KR102339012B1 - 슬라이딩 킥스탠드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킥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9012B1
KR102339012B1 KR1020200076164A KR20200076164A KR102339012B1 KR 102339012 B1 KR102339012 B1 KR 102339012B1 KR 1020200076164 A KR1020200076164 A KR 1020200076164A KR 20200076164 A KR20200076164 A KR 20200076164A KR 102339012 B1 KR102339012 B1 KR 102339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case
stand leg
sliding
pai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6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어스
Priority to KR1020200076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90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9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딩 킥스탠드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본체케이스, 상기 본체케이스의 상부에 포개지도록 배치되며 힌지고정핀을 매개로 본체케이스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스탠드다리 및 상기 본체케이스와 스탠드다리 사이에 배치되며 힌지고정핀을 매개로 스탠드다리에 결합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힌지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힌지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스탠드다리는 본체케이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물리적인 체결 방식으로 스탠드다리를 접어놓았다가 자동으로 펼칠 수 있으므로 단말기의 거치시 안정성이 향상되는 슬라이딩 킥스탠드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슬라이딩 킥스탠드{SLIDING KICKSTAND}
본 발명은 단말기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킥스탠드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리적인 체결 방식으로 스탠드다리의 자동 펼침을 조절할 수 있으며, 구성 부품의 수를 최소화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슬라이딩 킥스탠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는 다시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 등으로 나뉠 수 있다.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달에 따라 이동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기능은 단순히 통화, 문자 전송의 기능을 넘어 점점 다양화되고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 등이 있다.
또한,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도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면서 단말기와 관련된 보호케이스, 거치수단, 액세서리 시장도 크게 동반성장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개발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TV, 영화, 뮤직비디오 등을 시청하는 데에는 장시간이 소요되므로 보통 단말기를 바닥에 눕혀놓기보다는 거치수단을 이용하여 세워둔 상태에서 시청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이동 단말기의 거치수단은 단말기의 후면에 항상 일정 크기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영상을 시청하지 않을 때에는 거추장스럽고, 영상을 시청할 때마다 거치수단을 조절하는 과정이 필요하므로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이를 개선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의 후면에 밀착되어 있다가 펼쳐지는 방식의 거치수단도 개발되고 있으나, 펼침 강도가 충분하지 않아 안정성이 다소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위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해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리적인 체결 방식으로 스탠드다리를 접어놓았다가 자동으로 펼칠 수 있으므로 단말기의 거치시 안정성이 향상되는 슬라이딩 킥스탠드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구성 부품의 숫자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원가가 절감되는 슬라이딩 킥스탠드 구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본체케이스; 상기 본체케이스의 상부에 포개지도록 배치되며 힌지고정핀을 매개로 본체케이스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스탠드다리; 및 상기 본체케이스와 스탠드다리 사이에 배치되며 힌지고정핀을 매개로 스탠드다리에 결합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힌지스프링; 을 포함하며, 상기 힌지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스탠드다리는 본체케이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킥스탠드 구조는, 상기 본체케이스의 하면에 결합되며 본체케이스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접착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킥스탠드 구조에서 상기 본체케이스의 양 측부에는 한 쌍의 장홀이 형성되어 힌지고정핀이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힌지고정핀의 슬라이딩에 따라 스탠드다리가 본체케이스 내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킥스탠드 구조에서 상기 스탠드다리에는 걸림단부가 스탠드다리의 일측 단부로부터 돌출 연장되며, 걸림단부의 중앙 부분에는 걸림홈이 함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킥스탠드 구조에서 상기 본체케이스의 일측 단부에는 걸림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걸림삽입부가 형성되며, 걸림삽입부의 중앙 부분에는 걸림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걸림홈에 치합될 수 있는 고정후크가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킥스탠드 구조에서 상기 스탠드다리의 타측 단부에는 힌지고정핀이 삽입될 수 있도록 회전홀이 천공되는 한 쌍의 회전부가 돌출 형성되고, 한 쌍의 회전부는 스탠드다리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소정의 갭을 형성하며, 힌지스프링은 한 쌍의 회전부 사이의 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킥스탠드 구조에서 상기 본체케이스에는 한 쌍의 회전부의 위치에 대응하여 한 쌍의 슬라이딩부가 함몰 형성되며, 한 쌍의 회전부는 슬라이딩부 상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킥스탠드 구조에서 상기 본체케이스에는 한 쌍의 회전부 사이의 갭의 위치에 대응하여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며, 힌지스프링은 지지부 상에 배치되어 본체케이스와 스탠드다리 간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킥스탠드 구조에서 상기 한 쌍의 회전부 사이에는 스토퍼가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킥스탠드 구조에서 상기 지지부의 타측 단부에는 한 쌍의 회전부 사이에 돌출 형성된 스토퍼를 접촉 지지하여 스탠드다리의 회전을 제한하는 멈춤홈이 함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걸림홈과 고정후크의 치합을 통한 물리적인 체결로 스탠드다리를 접은 상태에서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힌지스프링의 탄성력을 강하게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은 힌지스프링의 탄성력이 강하므로 스탠드다리의 저항력이 강해지고, 이에 따라 단말기를 거치하였을 때 스탠드다리의 안정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스탠드다리를 엄지손가락 등으로 잡고 당기는 동작 만으로도 스탠드다리가 자동으로 펼쳐지므로 간단하게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본체케이스, 스탠드다리, 힌지스프링 및 힌지고정핀으로 구성된 최소한의 부품으로 단말기의 스탠딩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비해 원가가 현저히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킥스탠드 구조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킥스탠드 구조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탠드다리와 힌지스프링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탠드다리의 평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케이스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탠드다리가 본체케이스에 접힌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탠드다리가 본체케이스로부터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탠드다리가 본체케이스로부터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부분 절단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킥스탠드 구조의 작동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킥스탠드 구조의 작동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킥스탠드 구조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킥스탠드 구조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킥스탠드는 본체케이스(100), 스탠드다리(200), 힌지고정핀(300) 및 힌지스프링(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케이스(100)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내부에 수납공간(101)이 형성되어 스탠드다리(200) 등의 다른 부품이 수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본체케이스(100)는 어느 정도 강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본체케이스(100)는 강화플라스틱 또는 금속 소재를 다이캐스팅(die casting)하여 주조하거나, 알루미늄 소재를 CNC(Computer Numerical Control) 가공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하면에는 접착부(500)가 추가로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착부(500)는 양면테이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체케이스(100)가 단말기(미도시)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본체케이스(100)는 접착부(500)를 이용하여 단말기(예컨대, 스마트폰)의 후면에 직접 결합되거나, 보호케이스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본체케이스(100)는 단말기 또는 보호케이스의 후면에 일체로 매립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스탠드다리(200)는 본체케이스(100)의 상부에 포개지도록 배치된다. 스탠드다리(200)는 본체케이스(100)의 형태에 대응하여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탠드다리(200)는 접혀있을 때 본체케이스(100)의 수납공간(101)에 수납된다.
상기 스탠드다리(200) 역시 본체케이스(100)와 마찬가지로 어느 정도 강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강화플라스틱 또는 금속 소재를 다이캐스팅(die casting)하여 주조하거나, 알루미늄 소재를 CNC(Computer Numerical Control) 가공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스탠드다리(200)는 힌지고정핀(300)을 매개로 본체케이스(10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사용자는 평상시 스탠드다리(200)를 접어 차지하는 부피가 최소화되도록 하고, 영상 등을 시청하여 장시간 거치가 필요할 때에는 스탠드다리(200)를 펼쳐 단말기가 세워져 있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힌지스프링(400)은 본체케이스(100)와 스탠드다리(200) 사이에 배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한다. 힌지스프링(400)은 힌지고정핀(300)을 매개로 스탠드다리(200)에 결합된다.
힌지스프링(400)의 탄성력에 의해 스탠드다리(200)는 본체케이스(1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 받으며, 이러한 탄성력을 이용하여 힌지고정핀(300)을 기준으로 자동으로 회전(펼침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양 측부에는 한 쌍의 장홀(110)이 형성된다. 한 쌍의 장홀(110)은 전후방향(본체케이스의 길이방향) 길이가 상하방향(본체케이스의 높이방향)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긴 형태로 형성된다.
한 쌍의 장홀(110)에는 힌지고정핀(300)이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힌지고정핀(300)이 장홀(110)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스탠드다리(200)는 본체케이스(100)의 수납공간(101)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힌지고정핀(300)은 이러한 장홀(110)을 관통하여 스탠드다리(200) 및 힌지스프링(400)을 관통하며, 이에 따라 본체케이스(100), 스탠드다리(200) 및 힌지스프링(400)이 하나로 연결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탠드다리와 힌지스프링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탠드다리의 평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탠드다리(200)의 전방 단부에는 걸림단부(210)가 돌출된다. 걸림단부(210)는 스탠드다리(200)의 전방 방향으로 연장되고, 중앙 부분에는 걸림홈(211)이 함몰된다.
상기 걸림홈(211)은 후술되는 본체케이스(100)의 고정후크(121)와 치합되어 스탠드다리(200)가 힌지스프링(400)의 탄성력에 의해 펼쳐지지 않고 접힌 상태(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탠드다리(200)의 후방 단부에는 한 쌍의 회전부(220)가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된다. 한 쌍의 회전부(220)는 전체적으로 'U'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중앙에는 힌지고정핀(3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회전홀(221)이 천공된다.
한 쌍의 회전부(220)는 스탠드다리(200)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한 쌍의 회전부(220) 사이에 소정의 갭(G)이 형성된다. 전술한 힌지스프링(400)은 이러한 회전부(220) 사이의 갭(G)에 배치된다.
또한, 한 쌍의 회전부(220) 사이에는 스토퍼(230)가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230)는 후술되는 본체케이스(100)의 멈춤홈(150)에 접촉되어 스탠드다리(200)의 회전을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스토퍼(230)에 대한 자세한 작동은 아래에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스탠드다리(200)의 상부면 일측에는 파지부(240)가 형성된다. 상기 파지부(240)는 사용자가 손가락 등을 접촉하여 스탠드다리(200)를 이동시키기에 적합한 형태로 형성된다. 예컨대, 파지부(240)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다수의 돌출된 막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220)와 인접한 스탠드다리(200)의 하부면에는 안착홈(250)이 함몰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250)은 힌지스프링(400)의 상부면이 접촉되어 힌지스프링(400)의 전후방향 거동이 제한될 수 있도록 한다.
즉, 힌지스프링(400)은 좌우 양 측부가 회전부(220)에 의해 가로막히고, 상부면이 안착홈(250)에 접촉되며, 하부면이 후술되는 지지부(140)에 접촉하게 된다. 힌지고정핀(300)은 이러한 힌지스프링(400)을 좌우방향(본체케이스의 폭 방향)으로 관통한다.
또한, 상기 안착홈(250)의 일측에는 안착홈(250)에 대해 소정의 경사를 이루는 안착경사면(251)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경사면(251)에는 후술되는 힌지스프링(400)의 제2스프링다리(430)가 접촉된다.
상기 안착경사면(251)이 안착홈(250)에 대해 소정의 경사를 이룰 수 있도록 형성되므로 스탠드다리(200)의 회전시 제2스프링다리(430)가 안착경사면(251)에 면 접촉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힌지스프링(400)의 탄성력이 스탠드다리(200)로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힌지스프링(400)은, 내부에 힌지고정핀(300)이 관통될 수 있도록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스프링몸체(410), 스프링몸체의 일측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스프링다리(420) 및 스프링몸체의 타측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스프링다리(4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스프링다리(420)는 힌지스프링(4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90도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고, 제2스프링다리(430)는 힌지스프링(400)의 탄성력을 스탠드다리(200)로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스프링몸체(410)로부터 전방을 향해 일자로 연장된다.
상기 제1스프링다리(420)는 후술되는 본체케이스(100)의 지지부(140)에 접촉되고, 제2스프링다리(430)는 스탠드다리(200)의 안착경사면(251)에 접촉된다. 상기 힌지스프링(400)은 한 쌍의 회전부(220) 사이의 갭(G)에 배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케이스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탠드다리가 본체케이스에 접힌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전방 단부에는 걸림삽입부(120)가 형성된다. 걸림삽입부(120)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며, 이러한 공간에 전술한 스탠드다리(200)의 걸림단부(210)가 삽입된다.
상기 걸림삽입부(120)의 중앙 부분에는 스탠드다리(200)의 걸림홈(21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고정후크(121)가 돌출된다. 상기 고정후크(121)는 걸림홈(211)에 치합되며, 이에 따라 스탠드다리(200)가 펼쳐지지 않고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힌지스프링(400)의 탄성력에 의해 스탠드다리(200)는 본체케이스(1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펼쳐지려고 하나, 고정후크(121)와 걸림홈(211)의 치합에 의해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물리적인 체결 방식으로 스탠드다리(200)를 접은 상태에서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힌지스프링(400)의 탄성력을 강하게 만들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탠드다리(200)의 저항력이 강해져서 단말기를 거치하였을 때 스탠드다리(200)의 안정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종래 일반적인 킥스탠드는, 마그네틱의 자력을 이용하여 스탠드다리를 고정하게 되는데, 이때 마그네틱의 자력보다 힌지스프링의 탄성력이 크면 의도치 않게 스탠드다리가 펼쳐질 수 있으므로 힌지스프링의 탄성력을 일정 수준 이상 강하게 할 수 없고, 이에 따라 스탠딩시 안정성이 본 발명에 비해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 일반적인 킥스탠드는 마그네틱의 자력을 이겨낼 수 있을 정도의 힘을 가하여 스탠드다리를 손톱 등으로 잡아 빼는 동작이 필요하므로 번거로운 반면, 본 발명은 한 손으로 스탠드다리(200)를 눌러서 당기는 원터치 동작만으로도 스탠드다리(200)를 펼칠 수 있으므로 작동이 매우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후방부에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130)가 함몰 형성된다. 한 쌍의 슬라이딩부(130)는 전술한 스탠드다리(200)의 한 쌍의 회전부(220)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한 쌍의 회전부(220)는 슬라이딩부(130) 상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130)의 좌우방향 폭은 회전부(220)의 좌우방향 폭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딩부(130)와 회전부(220)의 폭 방향 크기가 거의 동일하므로 스탠드다리(200)는 전후방향으로 움직일 때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한 쌍의 슬라이딩부(130) 사이에는 지지부(140)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140)는 한 쌍의 회전부(220) 사이의 갭(G)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상기 힌지스프링(400)은 지지부(140) 상에 배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
상기 지지부(140)가 슬라이딩부(130)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높이를 가지며 돌출되어 있으므로 힌지스프링(400)의 탄성력이 스탠드다리(200)로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즉,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수납공간(101)을 기준으로 한 쌍의 슬라이딩부(130)는 상대적으로 더 낮은 높이로 함몰 형성되고, 지지부(140)는 수납공간(101)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더 높은 높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탠드다리가 본체케이스로부터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탠드다리가 본체케이스로부터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부분 절단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140)의 후방 단부에는 스탠드다리(200)에 형성된 스토퍼(230)를 접촉 지지할 수 있도록 멈춤홈(150)이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230)가 멈춤홈(150)에 접촉 지지됨에 따라 스탠드다리(200)는 더 이상 회전하지 않고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멈춤홈(150)은 본체케이스(100)의 바닥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θ)를 이루는 스탠딩각도면(151)을 구비한다. 상기 스탠딩각도면(151)은 멈춤홈(150)의 하단부와 접촉되며, 스탠드다리(200)가 펼쳐지는 각도를 결정한다.
즉, 상기 스탠딩각도면(151)의 본체케이스(100) 바닥면에 대한 각도(θ)가 작게 설정될수록 스탠드다리(200)가 본체케이스(100)에 근접한 위치에서 펼쳐지고, 스탠딩각도면(151)의 본체케이스(100) 바닥면에 대한 각도(θ)가 크게 설정될수록 스탠드다리(200)가 본체케이스(100)에 먼 위치에서 펼쳐지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스탠딩각도면(151)의 본체케이스(100) 바닥면에 대한 각도(θ)는 약 45도 내지 9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스탠딩각도면(151)의 본체케이스(100) 바닥면에 대한 각도(θ)가 45도 미만이면 단말기의 거치시 스탠드다리(200)가 접히며 거치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고, 스탠딩각도면(151)의 본체케이스(100) 바닥면에 대한 각도(θ)가 90도 초과이면 스탠드다리(200)가 펼쳐졌을 때 본체케이스(100)와 스탠드다리(200)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스탠드다리(200)가 펼쳐져서 스토퍼(230)가 멈춤홈(150)에 접촉되어 있을 때, 힌지고정핀(300)은 장홀(110)에 삽입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이동되어 있고, 힌지스프링(400)과 스탠드다리(200) 역시 후방으로 이동되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킥스탠드 구조의 작동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킥스탠드 구조의 작동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 본체케이스(100)는 단말기(미도시)의 후면에 직접 또는 보호케이스에 부착되어 있고, 스탠드다리(200)는 본체케이스(100)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상기 본체케이스(100)는 종래의 거치수단에 비해 매우 납작한 형태로 형성되므로 단말기에서 차지하는 부피가 매우 작다.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다리(200)가 접힌 상태를 유지할 때에는 고정후크(121)와 걸림홈(211)이 치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이러한 물리적인 체결에 의해 스탠드다리(200)는 고정되어 있다.
이때, 상기 힌지고정핀(300)은 한 쌍의 장홀(110)에서 최전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스탠드다리(200)와 힌지스프링(400) 등의 부품도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로 위치하고 있다.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단말기의 거치를 위해 스탠드다리(200)의 전방 부분을 아래로 누르면, 걸림홈(211)이 아래로 이동하여 고정후크(121)와 걸림홈(211)의 치합이 해제된다.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탠드다리(200)를 누른 상태에서 후방으로 힘을 가하면, 스탠드다리(200)는 본체케이스(100) 내에서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스탠드다리(200)의 상부면에 형성된 파지부(240)를 이용하여 스탠드다리(200)에 힘을 가할 수 있다.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다리(200)가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 스탠드다리(200)의 걸림단부(210)는 본체케이스(100)의 걸림삽입부(120)로부터 이탈하게 되고, 스탠드다리(200)의 잠금은 완전히 해제된다.
이때, 상기 힌지고정핀(300)은 한 쌍의 장홀(110)에서 최후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스탠드다리(200)와 힌지스프링(400) 등의 부품도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로 위치하고 있다.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탠드다리(200)를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킨 상태에서 놓으면, 힌지스프링(400)의 탄성력에 의해 스탠드다리(200)는 자동으로 펼쳐지게 되고, 단말기는 안정적으로 지면에 세워질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이때 스탠드다리(200)의 후방에 돌출 형성된 스토퍼(230)는 본체케이스(100)의 후방에 함몰 형성된 멈춤홈(150)에 접촉 지지되고, 이에 따라 스탠드다리(200)가 더 이상 회전하지 않고 멈춰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걸림홈(211)과 고정후크(121)의 물리적인 체결로 스탠드다리(200)를 접은 상태에서 고정시킬 수 있어 힌지스프링(400)의 탄성력이 강하므로 스탠드다리(200)의 저항력이 강해지고, 이에 따라 단말기를 거치하였을 때 스탠드다리(200)의 안정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스탠드다리(200)를 엄지손가락 등으로 잡고 당기는 동작 만으로도 스탠드다리(200)가 자동으로 펼쳐지므로 간단하게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본체케이스(100), 스탠드다리(200), 힌지스프링(400) 및 힌지고정핀(300)으로 구성된 최소한의 부품으로 단말기의 스탠딩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비해 원가가 현저히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본체케이스 101 : 수납공간
110 : 장홀 120 : 걸림삽입부
121 : 고정후크 130 : 슬라이딩부
140 : 지지부 150 : 멈춤홈
151 : 스탠딩각도면 200 : 스탠드다리
210 : 걸림단부 211 : 걸림홈
220 : 회전부 221 : 회전홀
230 : 스토퍼 240 : 파지부
250 : 안착홈 251 : 안착경사면
300 : 힌지고정핀 400 : 힌지스프링
410 : 스프링몸체 420 : 제1스프링다리
430 : 제2스프링다리 500 : 접착부

Claims (10)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본체케이스; 상기 본체케이스의 상부에 포개지도록 배치되며 힌지고정핀을 매개로 본체케이스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스탠드다리; 및 상기 본체케이스와 스탠드다리 사이에 배치되며 힌지고정핀을 매개로 스탠드다리에 결합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힌지스프링; 을 포함하며,
    상기 스탠드다리의 단부에는 힌지고정핀이 삽입될 수 있도록 회전홀이 천공되는 한 쌍의 회전부가 돌출 형성되고, 한 쌍의 회전부는 스탠드다리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소정의 갭을 형성하며, 힌지스프링은 한 쌍의 회전부 사이의 갭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케이스에는 한 쌍의 회전부의 위치에 대응하여 한 쌍의 슬라이딩부가 함몰 형성되며, 한 쌍의 회전부는 슬라이딩부 상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고,
    상기 본체케이스에는 한 쌍의 회전부 사이의 갭의 위치에 대응하여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며, 힌지스프링은 지지부 상에 배치되어 본체케이스와 스탠드다리 간에 탄성력을 제공하고,
    상기 슬라이딩부의 좌우방향 폭은 회전부의 좌우방향 폭과 동일하고, 지지부의 좌우방향 폭은 갭의 좌우방향 폭과 동일하며,
    상기 본체케이스의 수납공간을 기준으로 한 쌍의 슬라이딩부는 수납공간보다 상대적으로 더 낮은 높이에 배치되고, 지지부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킥스탠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스의 하면에 결합되며 본체케이스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접착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킥스탠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스의 양 측부에는 한 쌍의 장홀이 형성되어 힌지고정핀이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힌지고정핀의 슬라이딩에 따라 스탠드다리가 본체케이스 내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킥스탠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다리에는 걸림단부가 스탠드다리의 일측 단부로부터 돌출 연장되며, 걸림단부의 중앙 부분에는 걸림홈이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킥스탠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스의 일측 단부에는 걸림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걸림삽입부가 형성되며, 걸림삽입부의 중앙 부분에는 걸림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걸림홈에 치합될 수 있는 고정후크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킥스탠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회전부 사이에는 스토퍼가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킥스탠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타측 단부에는 한 쌍의 회전부 사이에 돌출 형성된 스토퍼를 접촉 지지하여 스탠드다리의 회전을 제한하는 멈춤홈이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킥스탠드.
KR1020200076164A 2020-06-23 2020-06-23 슬라이딩 킥스탠드 KR102339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164A KR102339012B1 (ko) 2020-06-23 2020-06-23 슬라이딩 킥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164A KR102339012B1 (ko) 2020-06-23 2020-06-23 슬라이딩 킥스탠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9012B1 true KR102339012B1 (ko) 2021-12-14

Family

ID=78902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6164A KR102339012B1 (ko) 2020-06-23 2020-06-23 슬라이딩 킥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901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2332A (ko) * 2009-06-09 2010-12-17 (주)엘티엠에이피 반자동으로 펼쳐지는 휴대단말기의 외발스탠드
KR101024928B1 (ko) * 2009-10-12 2011-03-31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탈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와 이를 장착한 휴대단말기
KR20110068284A (ko) * 2009-12-16 2011-06-22 (주)진명 휴대단말기용 절곡형 스탠드 힌지모듈
KR20110131779A (ko) * 2010-05-31 2011-12-07 주식회사 제이알테크 모바일 단말기용 오토틸트형 스탠드
KR20120098163A (ko) * 2011-02-28 2012-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장치의 거치 장치
KR101500899B1 (ko) * 2014-03-31 2015-03-12 박성남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2332A (ko) * 2009-06-09 2010-12-17 (주)엘티엠에이피 반자동으로 펼쳐지는 휴대단말기의 외발스탠드
KR101024928B1 (ko) * 2009-10-12 2011-03-31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탈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와 이를 장착한 휴대단말기
KR20110068284A (ko) * 2009-12-16 2011-06-22 (주)진명 휴대단말기용 절곡형 스탠드 힌지모듈
KR20110131779A (ko) * 2010-05-31 2011-12-07 주식회사 제이알테크 모바일 단말기용 오토틸트형 스탠드
KR20120098163A (ko) * 2011-02-28 2012-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장치의 거치 장치
KR101500899B1 (ko) * 2014-03-31 2015-03-12 박성남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28668B2 (en) Multiple suction cup attachment platform: securing an electronic device on a vertical surface
US7652873B2 (en) Portable computer
JP5470390B2 (ja) サポート付電子機器用ホルダー
US7809414B2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opening/closing operation method, and display method
EP2242237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65257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장치
KR102504372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장치용 힌지
EP1798939B1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with rotatable opening/closing operation
US20110260015A1 (en) Visual presenting apparatus
KR101809522B1 (ko) 휴대용 단말기용 스탠드 장치
JP2013055818A (ja) クレードル装置
KR102339012B1 (ko) 슬라이딩 킥스탠드
US8340514B2 (en) Opening/closing mechanism for cover and imaging device
JP2008193522A (ja) 折畳み式携帯通信端末
JP4640027B2 (ja) 携帯型情報端末装置
KR102482551B1 (ko) 각도 조절이 간편한 휴대기기용 거치대
KR10110576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회전 힌지 장치
KR100967810B1 (ko) 단말기용 거치대
JP4436876B2 (ja) 携帯端末
US8005520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KR100881579B1 (ko) 멀티 모드 구조
US20170310807A1 (en) Vertical slide aparatus with rotational screen for smart phones, pdas, tablets and the like
KR20120098163A (ko) 휴대용 통신 장치의 거치 장치
US7672584B2 (en) Digital device
JP5360891B2 (ja) アンテナ取付構造及び携帯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