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0632A -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0632A
KR20150000632A KR20130072964A KR20130072964A KR20150000632A KR 20150000632 A KR20150000632 A KR 20150000632A KR 20130072964 A KR20130072964 A KR 20130072964A KR 20130072964 A KR20130072964 A KR 20130072964A KR 20150000632 A KR20150000632 A KR 20150000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input
screen mode
portable device
threshold
ti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2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환
조은주
이재희
이주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72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0632A/ko
Priority to US13/967,068 priority patent/US20140375574A1/en
Priority to CN201380077791.1A priority patent/CN105339863B/zh
Priority to PCT/KR2013/007671 priority patent/WO2014208813A1/en
Priority to EP13887694.1A priority patent/EP3014388B1/en
Publication of KR20150000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6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7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ousing movement or orientation, e.g. for controlling scrolling or cursor movement on the display of an handheld comput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92Change of orientation of the displayed image, e.g. upside-down, mirror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2Flexible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사용자가 더욱 편리하고 더욱 정확하게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이를 위해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포터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기울기를 획득하는 기울기 센서 유닛; 터치 입력을 센싱하고,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곡면 형태의 곡면 디스플레이 유닛; 기설정된 질량을 가지고,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 내부에서 이동하여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무게 중심을 변화시키는, 이동형 매스(Movable mass); 및 상기 기울기 센서 유닛,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이동형 매스를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 1 화면 모드를 제공 중, 기설정된 터치 입력인 제 1 터치 입력 없이,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기울임을 디텍트한 경우, 상기 기울기가 제 1 스레스홀드를 초과하면, 상기 제 1 화면 모드를 제 2 화면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제 1 터치 입력과 함께 상기 기울임을 디텍트한 경우, 상기 기울기가 제 2 스레스홀드를 초과하면 상기 제 1 화면 모드를 상기 제 2 화면 모드로 전환하되, 상기 제 2 스레스홀드는 상기 제 1 스레스홀드보다 작은, 포터블 디바이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Portable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명세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포터블 디바이스에 대한 것이다. 특히 디바이스의 기울기에 따라 화면 모드를 제어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최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이 보급됨에 따라서, 디바이스는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를 탑재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는 곡면 형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탑재할 수 있게 되었다. 디바이스가 곡면 형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탑재하는 경우, 디바이스는 바닥에 놓인 상태에서도 외력에 의해 쉽게 디바이스의 포지션이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기존의 디바이스와 동일한 기울기 스레스홀드(Threshold)에 따라 화면의 회전을 제어한다면, 곡면 형태의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살리지 못한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으로서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설정된(predetermined) 터치 입력 및 디바이스의 기울기에 따라 화면 모드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설정된 터치 입력의 디텍트 여부에 따라 스레스홀드를 결정하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에 대한 그립의 센싱 여부 및 디바이스의 기울기에 따라 화면 모드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의 기울기가 스레스홀드를 초과한 경우, 디텍트된 기울기에 따라 이동형 매스(movable mass)를 이동시켜, 디바이스의 무게 중심을 이동시키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설정된 터치 입력을 인디케이트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설정된 터치 입력에 따라 이동형 매스를 기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고자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포터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기울기를 획득하는 기울기 센서 유닛; 터치 입력을 센싱하고,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곡면 형태의 곡면 디스플레이 유닛; 기설정된 질량을 가지고,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 내부에서 이동하여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무게 중심을 변화시키는, 이동형 매스(Movable mass); 및 상기 기울기 센서 유닛,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이동형 매스를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 1 화면 모드를 제공 중, 기설정된 터치 입력인 제 1 터치 입력 없이,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기울임을 디텍트한 경우, 상기 기울기가 제 1 스레스홀드를 초과하면, 상기 제 1 화면 모드를 제 2 화면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제 1 터치 입력과 함께 상기 기울임을 디텍트한 경우, 상기 기울기가 제 2 스레스홀드를 초과하면 상기 제 1 화면 모드를 상기 제 2 화면 모드로 전환하되, 상기 제 2 스레스홀드는 상기 제 1 스레스홀드보다 작은, 포터블 디바이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바이스는 기설정된 터치 입력의 디텍트 여부에 따라, 화면 모드 전환의 기준이 되는 스레스홀드를 변경할 수 있다. 터치 입력에 따라 스레스홀드가 적절히 변경됨으로써, 곡면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디바이스가 보다 효과적으로 기울기에 따라 화면 모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바이스의 기울기가 스레스홀드를 초과한 경우, 디바이스는 디텍트된 기울기가 유지되도록 이동형 매스를 움직여, 디바이스의 무게 중심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저는 디바이스가 원하는 포지션을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바이스는 기설정된 터치 입력을 인디케이트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유저는 이러한 인디케이터를 통해 디바이스의 화면 모드 및 무게 중심의 제어 방법을 쉽게 알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발명의 효과에 대해서는 이하 목차에서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라 곡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탑재한 디바이스의 외부 및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디바이스가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모드를 제공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디바이스의 기울기에 따라 화면 모드가 전환되는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기설정된 터치 입력 및 디바이스의 기울기에 따라 디바이스의 무게 중심이 이동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기설정된 터치 입력에 따라 디바이스의 무게 중심이 이동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제 1 터치 입력 및 제 2 터치 입력에 관한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터치 입력 및 디바이스의 기울기에 따라 화면 모드를 전환하는 디바이스의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아닌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더욱이,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디바이스 제조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들의 소형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명세서는, 이동 가능한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것으로, 이하에서 이를 통칭하여 포터블 디바이스로 지칭하도록 한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이동성을 갖는 다양한 전자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의미로서, 예를 들면, 핸드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노트북, 태블릿 피씨, MP3 플레이어, CD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등의 전자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포터블 디바이스는 디바이스로 약칭할 수도 있다.
한편, 디바이스에 탑재되는 디스플레이 소자 기술의 발전에 따라,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 패널이 상용화되고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은 기존의 하드 디스플레이 패널과 달리 디스플레이 특성의 손실 없이 휘거나, 구부리거나, 말 수 있는 유연한 기판에 제작된 디스플레이를 지칭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자 종이(e-paper)라고도 지칭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은, 기존의 하드 디스플레이 패널에 비해 가볍고, 얇고, 내충격성이 강하며, 자유롭게 구부릴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경우, 기판은 메탈 호일(metal hoil), 박형 유리(very thin grass) 또는 플라스틱 기판으로 제조될 수 있다. 특히, 플라스틱 기판의 경우 PC 기판, PET 기판, PES 기판, PI 기판, PEN 기판, AryLite 기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술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의 디스플레이 유닛은 일정한 형태로 휘어진 곡면(curved surface) 형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곡면 형태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곡면 디스플레이 유닛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라 곡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탑재한 디바이스의 외부 및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바이스는 곡면 형태의 디스플레이 유닛(1010)을 탑재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안쪽으로 휘어진 곡면 형태의 디스플레이 유닛(1010)을 탑재한 디바이스(1020)를 일 실시예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도면에 도시한 바와 달리, 디바이스(1020)는 바깥쪽으로 휘어진 곡면 형태의 디스플레이를 탑재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20)는 일측 또는 타측이 휘어진 곡면 디스플레이를 탑재할 수 있다. 즉, 곡면 디스플레이 유닛(1010)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쪽으로 휘어진 곡면 디스플레이 유닛(1010)을 디스플레이 유닛의 대표 실시예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디바이스(1020)에서 곡면 디스플레이 유닛(1010)이 구비된 면을 디바이스(1020)의 전면이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20)에서 곡면 디스플레이 유닛(1010)이 구비된 면의 반대 면을 디바이스(1020)의 후면이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20)는 일 실시예로서 내부에 이동형 매스(movable mass)(1030, 104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동형 매스(1030, 1040)란, 기설정된(predetermined) 질량을 가지고, 디바이스(1020) 내부에서 이동하여 디바이스의 무게 중심을 변화시키는 엘리먼트를 나타낼 수 있다. 이동형 매스(1030, 1040)는 디바이스(1020) 내부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디바이스(1020)의 무게 중심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이동형 매스(1030)는 디바이스(1020) 내부에서 레일을 따라 상, 하, 좌, 우 또는 대각선 방향 등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이동형 매스(1040)는 디바이스(1020) 내부에서 원판을 따라 회전함으로써 이동할 수 있다. 이동형 매스(1030, 1040)는 디바이스(1020)의 무게 중심을 변화시키는 한 다양한 실시예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형 매스(1030, 1040)는 디바이스(1020) 내부의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형 매스(1030, 1040)는 디바이스(1020)의 배터리, 회로 기판, 카메라, 디스플레이 유닛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이동형 매스(1030, 1040)로서 별도의 구성 요소가 추가되는 것이 아니라, 디바이스(1020)는 내부 부품 또는 구성 부품을 이동 시킴으로써 이동형 매스(1030, 1040)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렇듯, 디바이스(1020)가 이동형 매스(1030, 1040)를 이동시키는 경우, 디바이스(1020)의 무게 중심은 변경될 수 있다. 이때, 디바이스(1020)는 곡면 형태이므로, 이러한 무게 중심 변경에 따라 디바이스(1020)의 포지션(position)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무게 중심 변경에 따른 디바이스(1020)의 포지션 변경에 대한 실시예는 도 4 및 도 5에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2010), 터치 센서 유닛(2020), 기울기 센서 유닛(2030), 그립 센서 유닛(2040) 및 프로세서(205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010)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유닛(2010)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미지란, 디스플레이 유닛(2010)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기타 다양한 시각적으로 표현 가능한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디스플레이 유닛(2010)은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모드에 따라 다양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화면 모드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2010)은 터치 센서 유닛(2020)을 구비하여 디스플레이 유닛(2010)에 대한 터치 입력을 센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유닛(2010)은 디바이스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센싱 수단을 사용하여 유저의 터치 입력을 센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적어도 하나의 센싱 수단은 터치 센서, 지문 센서, 모션 센서, 근접 센서 및 압력 센서 등 다양한 터치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 유닛(2020)은 상술한 다양한 센싱 수단을 통칭하는 것으로, 상술한 센서들은 별도의 엘리먼트로 디바이스에 포함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로 통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010)은 터치 센서 유닛(2020)을 통하여 유저의 다양한 터치 입력을 센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 센서 유닛(2020)은 유저의 롱-프레스(long-press) 터치 입력, 숏-프레스(short-press) 터치 입력, 드래그(drag) 터치 입력, 릴리즈(release) 터치 입력, 호버링 입력 또는 플리킹(flicking) 터치 입력 등 접촉 또는 비접촉의 다양한 터치 입력을 센싱할 수 있다. 나아가, 터치 센서 유닛(2020)은 터치 펜, 스타일러스 펜 등 다양한 터치 입력 도구에 의한 터치 입력을 센싱할 수 있고, 센싱 결과를 프로세서(2050)에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디스플레이 유닛(201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될 수 있으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특성에 따라 곡면 형태로 디바이스에 탑재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안쪽으로 휘어진 곡면 디스플레이 유닛(2010)을 대표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함은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기울기 센서 유닛(2030)은 디바이스의 기울기를 센싱할 수 있다. 기울기 센서 유닛(2030)은 디바이스를 세로로 놓았을 때, 디바이스의 수평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측 또는 하측으로 디바이스가 얼만큼 기울어졌는지를 센싱할 수 있다. 또는 기울기 센서 유닛(2030)은 디바이스를 가로로 놓았을 때, 디바이스의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디바이스가 얼만큼 기울어졌는지를 센싱할 수 있다. 기울기 센서 유닛(2030)은 디바이스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센싱 수단을 사용하여 디바이스의 기울기를 센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적어도 하나의 센싱 수단은 중력(gravity) 센서, 지자기 센서, 모션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적외선 센서, 기울기(inclination) 센서, 고도 센서, 근접 센서, 적외선 센서, 조도 센서, 뎁스 센서, 압력 센서 등 다양한 터치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기울기 센서 유닛(2030)은 상술한 다양한 센싱 수단을 통칭하는 것으로, 상술한 센서들은 별도의 엘리먼트로 디바이스에 포함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로 통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그립 센서 유닛(2040)은 디바이스의 그립을 센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그립 센서 유닛(2040)은 디바이스가 그립되어 있는지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그립 센서 유닛(2040)은 조도 센서, 압력 센서, 터치 센서, 모션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디바이스가 유저에 의해 그립되어 있는지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그립 센서 유닛(2040)은 디바이스의 일측에 구비되어 그립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그립 센서 유닛(2040)은 실시예에 따라 선택적으로 디바이스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디바이스는 오브젝트 센서 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오브젝트 센서 유닛은 디바이스가 다른 오브젝트에 놓였는지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나아가, 디바이스가 놓여있는 오브젝트의 속성을 센싱할 수 있다. 오브젝트의 속성은 오브젝트의 텍스쳐, 색상 및 반사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오브젝트 센서 유닛은 센싱된 오브젝트의 속성에 대한 정보를 프로세서(2050)로 전달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2050)는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이미지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050)는 디바이스 내부의 데이터를 프로세싱하여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050)는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050)는 상술한 디바이스의 각 유닛들을 제어하며, 유닛들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2050)는 상술한 센서 유닛들을 통해 입력 신호가 센싱된 경우, 입력 신호에 따른 커맨드를 실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프로세서(2050)는 디바이스의 기울기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050)는 디바이스의 기울기가 스레스홀드를 초과하였음을 디텍트한 경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제 1 화면 모드인 경우, 디바이스가 스레스홀드를 초과하여 기울어지면, 프로세서(2050)는 제 1 화면 모드를 제 2 화면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다만, 디바이스의 기울임이 기설정된 터치 입력과 함께 디텍트되는지에 따라 상기 스레스홀드는 변경될 수 있다. 이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4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나아가, 프로세서(2050)는 디바이스 내부에 구비된 이동형 매스를 이동시켜 디바이스의 무게 중심을 변경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세서(2050)는 터치 입력 및 디바이스의 기울기에 따라 이동형 매스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5 및 도 6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포터블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각 단계나 동작이 유저 입력에 의해 시작되거나 진행되는 경우, 유저 입력에 따라 입력 신호가 생성되는 과정은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아도 상술한 과정에 대한 설명이 포함된 것으로 한다. 또한, 유저 입력에 따라 프로세서(2050)가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유닛을 제어한다고 표현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2050)와 디바이스를 동일시하여 설명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포터블 디바이스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로서, 분리하여 표시한 블록들은 디바이스의 구성 요소들을 논리적으로 구별하여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디바이스의 엘리먼트들은 디바이스의 설계에 따라 하나의 칩으로 또는 복수의 칩으로 장착될 수 있다.
도 3은 디바이스가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모드를 제공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의 기울기에 따라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양한 화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의 기울기에 따라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대한 다양한 화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화면 모드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가로(3020) 또는 세로(3030-1, 3030-2)로 디스플레이 하는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즉, 화면 모드는 랜드스케이프(landscape mode) 모드(3020) 및 포트레이트 모드(portrait mode)(3030-1, 3030-2)를 포함한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랜드스케이프 모드를 제 1 화면 모드(3020), 포트레이트 모드를 제 2 화면 모드(3030-1, 3030-2)라 지칭할 수 있다. 화면 모드가 전환 되면, 디바이스는 단순히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화면을 회전시킬 수 있다. 또는, 화면 모드가 전환 되면, 디바이스는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화면을 전환된 화면 모드에서 제공하는 화면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이 제 1 화면 모드로서 실행 중이었던 경우, 디바이스는 가로로 된 사진(landscape photo)(3020)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때, 디바이스가 스레스홀드를 초과하여 기울어짐이 디텍트된 경우, 디바이스는 제 1 화면 모드(3020)를 제 2 화면 모드(3030-1)로 전환할 수 있다. 제 2 화면 모드로 전환되면, 디바이스는 제 1 화면 모드(3020)의 가로로 된 사진(landscape photo)을 세로로 된 사진(portrait photo) (3030-1)으로 전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제 2 화면 모드(3030-1)로 전환되면, 디바이스는 제 1 화면 모드(3020)에서 디스플레이 중이던 사진을 회전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때, 디바이스는 회전 동작에 따라 사진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다. 또는, 제 2 화면 모드(3030-2)로 전환되면, 디바이스는 제 1 화면 모드(3020)에서 디스플레이 중이던 사진에 관한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때, 사진에 관한 부가 정보는 포트레이트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의 기울기에 따라 화면 모드를 전환하는 것은, 디바이스가 기울어짐에도 화면이 그대로 고정되어 있으면, 화면 역시 기울어진 상태로 유저의 시선에 노출되어, 유저가 화면의 정보를 인식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의 기울어진 방향을 기준으로 화면을 회전시킴으로써 디바이스의 기울기와 무관하게 항상 유저가 정보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화면 모드(3020)를 제공 중에, 디바이스의 수직 중심선(3010)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기울어진 경우, 디바이스는 수직 중심선(3010)의 우측을 기준으로 하여 세로 화면(portrait screen)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제 1 화면 모드(3020)를 제공 중에, 디바이스의 수직 중심선(3010)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기울어진 경우, 디바이스는 수직 중심선(3010)의 좌측을 기준으로 하여 세로 화면(portrait screen)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는 디바이스의 기울기에 따라 화면 모드가 전환되는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의 디바이스는 기울기에 따라 화면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기울기는 지표면과 디바이스가 이루는 각도를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로서 기울기는 디바이스의 기울임에 따른 각도의 변화량을 나타낼 수 있다. 이하에서는 기울기가 지표면과 디바이스가 이루는 각도인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디바이스가 지표면과 이루는 각도(θ)가 제 1 스레스홀드(θ1)를 초과하도록 기울어진 경우, 디바이스는 제 1 화면 모드를 제 2 화면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디바이스의 기울기(θ)가 제 1 스레스홀드(θ1)를 초과한 경우, 디바이스는 화면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디바이스가 제 1 스레스홀드(θ1)를 초과하도록 기울어진 경우에 제 2 화면 모드로 전환하는 것이 유저가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인식하는 데 보다 수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기설정된 터치 입력인 제 1 터치 입력(4010)과 디바이스의 기울기(θ)가 함께 디텍트된 경우에, 디바이스는 제 1 스레스홀드(θ1)보다 낮은 스레스홀드(θ2)에서 화면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즉, 제 1 터치 입력(4010) 없이 디바이스의 기울임만 디텍트된 경우, 디바이스는 기울기(θ)가 제 1 스레스홀드(θ1)를 초과한 경우에 화면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그러나, 제 1 터치 입력(4010)과 함께 디바이스의 기울임이 디텍트된 경우, 디바이스는 기울기(θ)가 제 2 스레스홀드(θ2)를 초과한 경우에 화면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이때, 제 2 스레스홀드(θ2)는 제 1 스레스홀드(θ1)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제 1 터치 입력(4010)이 추가로 디텍트된 경우에는, 제 1 터치 입력(4010)이 없는 경우와 달리, 디바이스가 조금만 기울여져도 화면 모드가 전환될 수 있다. 이는, 본 명세서에서 제 1 터치 입력(4010)은 화면 모드를 변화시키기 위한 유저의 기설정된 터치 입력을 나타내며, 이러한 입력엔 화면 모드를 전환하겠다는 유저의 명확한 의도가 내포되어 있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디바이스는 보다 작은 기울기인 제 2 스레스홀드(θ2)를 제공하여 보다 신속하게 제 2 화면 모드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터치 입력(4010)과 함께 디바이스의 기울임이 디텍트된 경우에는, 제 1 터치 입력(4010)이 없는 경우보다 빨리 화면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터치 입력(4010)의 다양한 실시예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7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같은 맥락으로,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기설정된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인 경우 디바이스는 화면 모드가 전환되는 스레스홀드를 제 2 스레스홀드(θ2)보다 작은 제 3 스레스홀드로 결정할 수 있다. 제 2 화면 모드로서만 실행 되거나, 제 2 화면 모드로 실행 되는 것이 적절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되는 경우, 디바이스는 화면 모드 전환을 위한 기울기(θ)의 스레스홀드로서 제 3 스레스홀드를 제공할 수 있다. 유저가 제 2 화면 모드로 최적화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시킴은 화면 모드를 곧 제 2 화면 모드로 전환시키고자 하는 의도가 내포되어있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의 작은 기울임에도 신속하게 화면 모드가 제 2 화면 모드로 전환될 수 있도록 제 2 스레스홀드(θ2)보다 작은 제 3 스레스홀드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디바이스의 그립 센싱 여부로도 스레스홀드가 결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저에 의한 디바이스의 그립이 센싱된 경우, 디바이스는 제 1 터치 입력(4010)의 센싱 여부와 무관하게 제 1 스레스홀드(θ1)를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유저에 의한 디바이스의 그립이 센싱된 경우, 디바이스는 제 1 터치 입력(4010)이 디텍트 되더라도, 디바이스가 제 1 스레스홀드(θ1)를 초과한 경우에 화면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유저가 디바이스를 그립하고 있는 경우, 디바이스의 기울기(θ)는 보다 쉽게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제 1 스레스홀드(θ1)보다 작은 제 2 스레스홀드(θ2)를 본 실시예에도 적용하게 된다면, 디바이스가 조금만 기울어지더라도 화면 모드가 전환되어 유저에게 혼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오히려 제 1 스레스홀드(θ1)를 유지함으로써 화면 모드 전환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유저의 혼란을 방지하는 것이 타당하다. 또는, 디바이스는 제 1 스레스홀드(θ1)보다 큰 스레스홀드를 별도로 제공하여 화면 모드 전환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디바이스가 바닥에 놓여있는지를 센싱하여 스레스홀드를 결정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가 바닥에 놓여 있는 경우, 디바이스가 그립되어 있는 경우보다 기울기(θ)는 쉽게 변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화면 모드 전환을 위한 기울기(θ)의 스레스홀드로서 제 2 스레스홀드(θ2)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기설정된 터치 입력 및 디바이스의 기울기에 따라 디바이스의 무게 중심이 이동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는 도 3 및 도 4에서 상술한 화면 모드의 전환과 함께 디바이스의 무게 중심을 변경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바이스는 화면 모드 전환을 위한 기설정된 터치 입력 및 디바이스의 기울임을 디텍트한 경우, 화면 모드를 전환할 뿐 아니라 이동형 매스(5030)를 이동시켜 디바이스의 무게 중심을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가 제 1 화면 모드(5010)를 실행 중 디바이스의 기울임 및 제 1 터치 입력(5040)이 디텍트된 경우, 디바이스는 제 1 화면 모드(5010)를 제 2 화면 모드(5020)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디바이스는 제 2 화면 모드(5020)로의 전환과 동시에 이동형 매스(50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형 매스(5030)는 일정한 질량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동형 매스(5030)의 이동으로 인해 디바이스의 무게 중심은 변경될 수 있다.
디바이스의 무게 중심을 변경시키는 이유는,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 전면이 위를 향하도록 놓여 있는 경우, 디바이스와 유저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 디스플레이와 유저 사이의 시야각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의 디바이스는 곡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곡면 특성을 이용하여 무게 중심을 이동시킴으로써 디바이스가 특정 포지션을 유지하도록 하여 유저와 디바이스 사이의 시야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동형 매스(5030)를 이동시키는 경우, 디바이스는 이동형 매스(5030)를 기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기설정된 위치는 디바이스의 설계 목적,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디자인, 유저에 의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이동형 매스(5030)는 항상 기설정된 위치로 이동하므로, 이동형 매스(5030)의 이동이 완료된 후의 디바이스 기울기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의 기울기에 따라 이동형 매스(50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바이스는 제 1 터치 입력(5040)이 완료된 시점에서의 디바이스의 기울기를 유지하기 위해 이동형 매스(50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는, 디바이스는 제 2 화면 모드(5020)로 전환된 시점에서의 디바이스의 기울기를 유지하기 위해 이동형 매스(50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디바이스는 변경된 디바이스의 기울기를 유지하기 위해 일 실시예로서, 변경된 디바이스의 기울기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디바이스의 변경된 기울기를 유지하기 위한 이동형 매스(503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획득한 이동형 매스(5030)의 위치로 이동형 매스(5030)를 이동시킴으로써 변경된 디바이스의 기울기를 유지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디바이스는 이동형 매스(5030)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 뒤, 중력에 따라 이동한 이동형 매스(5030)가 기설정된 시간 초과로 한 곳에 머무르면, 그 곳에 이동형 매스(5030)를 고정시킴으로써 변경된 디바이스의 기울기를 유지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이동형 매스(5030)를 다양한 방식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는 도 1에서 상술하였다.
나아가, 디바이스는 이동형 매스(5030)의 이동 방향, 이동 완료 시간 또는 위치 등을 인디케이트해주는 인디케이터를 일 실시예로서 제공할 수 있다. (미도시)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이동형 매스(5030)의 이동 방향을 가리키는 화살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이동형 매스(5030)의 이동 방향을 인디케이트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디바이스는 이동형 매스(5030)의 이동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이동형 매스(5030)의 이동이 완료되어 무게 중심이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유저에게 무게 중심 이동에 관한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가 유저에 의해 그립되어 있음이 센싱된 경우 제 2 화면 모드(5020)로 전환하지 않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유저의 그립이 센싱된 경우 디바이스는 이동형 매스(5030)를 이동시키지 않을 수 있다. 디바이스는 바닥에 디바이스가 놓여있는 경우에도 유저와의 충분한 시야각 확보를 위해 이동형 매스(5030)를 이동시켜 디바이스의 포지션을 변경시켰다. 그러나, 디바이스가 그립되어 있는 경우에는 유저가 디바이스를 움직여 직접 쉽게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그립이 센싱되는 경우에는 이동형 매스(5030)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따라서, 그립이 센싱된 경우에는 도 4에서와 같이, 제 1 터치 입력(5040) 및 기울기가 디텍트되더라도 디바이스는 이동형 매스(5030)를 이동시키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가 다른 오브젝트에 놓여 있는 것이 센싱된 경우라면, 제 2 화면 모드(5020) 전환과 함께 이동형 매스(50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디바이스가 다른 오브젝트에 놓여 있는 경우라면, 그립된 경우와는 달리, 이동형 매스(5030)를 이동시켜 충분한 시야각을 확보할 필요성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도 6은 기설정된 터치 입력에 따라 디바이스의 무게 중심이 이동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도면은 도 5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형 매스(6040)가 이동하여 무게 중심이 이동한 디바이스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디바이스는 기설정된 터치 입력인 제 2 터치 입력(6030)에 의해 이동형 매스를 원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디바이스는 기설정된 터치 입력인 제 2 터치 입력(6030)을 디텍트한 경우, 이동형 매스(6040)를 기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기설정된 위치는 변경된 디바이스의 기울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변경된 디바이스의 기울기만큼 이동형 매스(6040)를 이동시킴으로써 이동형 매스를 원래의 위치로 돌려놓을 수 있다. 이외에도, 기설정된 위치는 디바이스의 설계 목적, 디자인, 이동형 매스(6040)의 탑재 방식,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유저의 설정에 따라 다양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형 매스(6040)가 원위치로 이동한 경우, 디바이스의 무게 중심은 이동할 수 있다. 나아가, 디바이스는 제 2 화면 모드(6010)를 제 1 화면 모드(6020)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제 2 터치 입력(6030)은 제 2 화면 모드(6010)를 제 1 화면 모드(6020)로 전환하기 위한 기설정된 터치 입력을 나타낼 수 있다. 또는, 제 2 터치 입력(6030)은 이동형 매스(6040)를 원위치로 돌려놓기 위한 기설정된 터치 입력을 나타낼 수 있다. 제 2 터치 입력(6030)은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으며, 이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7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도 7은 제 1 터치 입력 및 제 2 터치 입력에 관한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터치 입력 및 제 2 터치 입력은 화면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터치 입력을 나타낼 수 있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제 1 터치 입력 및 제 2 터치 입력은 이동형 매스를 이동시키기 위한 기설정된 터치 입력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제 1 터치 입력 및 제 2 터치 입력은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 1 터치 입력 또는 제 2 터치 입력은 곡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터치 입력을 나타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터치 입력 또는 제 2 터치 입력은 곡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기설정된 지점 또는 영역(7020)에 대한 터치 입력을 나타낼 수 있다. 디바이스는 상기 기설정된 영역(7020)을 인디케이트하기 위해 상기 영역에 소프트 웨어 버튼(7020)을 곡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유저는 소프트 웨어 버튼(7020)을 터치함으로써 화면 모드를 전환하거나 이동형 매스를 이동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 1 터치 입력 또는 제 2 터치 입력은 디바이스에 구비된 하드 웨어 버튼(7010)에 대한 터치 입력을 나타낼 수 있다. 하드 웨어 버튼(7010)은 디바이스의 파워 버튼, 볼륨 조절 버튼, 잠금 해제 버튼, 홈 화면 버튼 등 물리적으로 디바이스에 구비된 버튼(7010)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 1 터치 입력 또는 제 2 터치 입력은 기설정된 시간 초과로 접촉이 유지되는 터치 입력을 나타낼 수 있다. 디바이스는 기설정된 시간을 인디케이트하기 위한 인디케이터(70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기설정된 시간 초과로 터치 입력의 접촉이 유지되는 경우에, 디바이스는 화면 모드를 전환하거나, 이동형 매스를 이동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 1 터치 입력 또는 제 2 터치 입력은 기설정된 패턴을 그리는 터치 입력을 나타낼 수 있다(미도시). 디바이스는 기설정된 패턴을 가이드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유저는 인디케이터가 가이딩하는 터치 패턴에 따라 터치를 입력함으로써 화면 모드를 전환하거나, 이동형 매스를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제 1 터치 입력은 곡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전면이 위를 향하도록 놓인 상태에서 디바이스의 기울기를 변화시키는 터치 입력일 수 있다. 즉, 다른 오브젝트에 놓인 디바이스의 기울기가 터치 입력에 의해 변하는 경우, 상기 터치 입력을 제 1 터치 입력이라 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다른 오브젝트에 놓여 있는지 여부를 디텍트하거나, 디바이스가 그립되어 있는지 여부를 디텍트하여 기울기의 변화에 따라 화면을 전환하거나 이동형 매스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외에도, 제 1 터치 입력 또는 제 2 터치 입력은 상술한 실시예뿐만 아니라, 디바이스에 대한 다양한 제스쳐 입력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디바이스의 설계, 목적,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유저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 및 변경될 수 있다.
도 8은 터치 입력 및 디바이스의 기울기에 따라 화면 모드를 전환하는 디바이스의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순서도에서 도 4 내지 도 6에서 상술한 설명과 유사하거나 상응하는 부분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디바이스는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 1 화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S8010). 본 명세서에서 제 1 화면 모드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가로 또는 랜드스케이프(landscape mode)로 디스플레이하는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화면 모드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디바이스는 제 1 화면 모드를 제공 중에 디바이스의 기울임 및 제 1 터치 입력이 함께 디텍트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8020). 본 명세서에서 제 1 터치 입력은 화면 모드를 전환하는 기설정된 터치 입력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제 1 터치 입력은 무게 중심을 이동시키기 위한 기설정된 터치 입력을 나타낼 수 있다. 제 1 터치 입력의 다양한 실시예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7에서 상술하였다.
만일, 제 1 터치 입력 없이, 디바이스의 기울임만 디텍트된 경우, 디바이스는 기울기가 제 1 스레스홀드를 초과하는 경우, 제 1 화면 모드를 제 2 화면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S8030). 본 명세서에서 제 2 화면 모드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세로 또는 포트레이트로 디스플레이하는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제 1 터치 입력과 함께 디바이스의 기울임이 디텍트된 경우, 디바이스는 기울기가 제 2 스레스홀드를 초과하는 경우, 제 1 화면 모드를 제 2 화면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S8040). 이때, 제 2 스레스홀드는 제 1 스레스홀드보다 작다. 즉, 디바이스의 기울임에 추가로 제 1 터치 입력이 디텍트된 경우, 디바이스는 조금만 기울어져도 제 2 화면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스레스홀드 결정 방법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4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나아가, 본 순서도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일 실시예로서 디바이스는 화면 전환과 함께 디바이스의 무게 중심을 이동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변경된 디바이스의 기울기에 따라 디바이스 내부의 이동형 매스를 이동시켜 무게 중심을 변경할 수 있는데, 이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5에서 상술하였다. 또한, 디바이스에 대한 기설정된 터치 입력인 제 2 터치 입력에 의해 이동형 매스를 원위치로 되돌려 놓을 수 있다. 이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6에서 상술하였다. 또한, 제 2 터치 입력의 다양한 실시예는 도 7에서 상술하였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이전에 설명된 실시예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설계하는 것도 권리범위에 속한다.
또한,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술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각도, 거리 및 길이는 정확한 값을 의미할 뿐 아니라, 일정 범위의 실질적인 각도, 거리 및 길이를 포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의 각도, 거리 및 길이는 실질적인 각도, 거리 및 길이를 나타낼 수 있고, 일정 범위의 오차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 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1010: 곡면 디스플레이 유닛
1020: 디바이스
1030, 1040: 이동형 매스

Claims (21)

  1. 포터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기울기를 획득하는 기울기 센서 유닛;
    터치 입력을 센싱하고,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곡면 형태의 곡면 디스플레이 유닛;
    기설정된 질량을 가지고,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 내부에서 이동하여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무게 중심을 변화시키는, 이동형 매스(Movable mass); 및
    상기 기울기 센서 유닛,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이동형 매스를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 1 화면 모드를 제공 중,
    기설정된 터치 입력인 제 1 터치 입력 없이,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기울임을 디텍트한 경우, 상기 기울기가 제 1 스레스홀드를 초과하면, 상기 제 1 화면 모드를 제 2 화면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제 1 터치 입력과 함께 상기 기울임을 디텍트한 경우, 상기 기울기가 제 2 스레스홀드를 초과하면 상기 제 1 화면 모드를 상기 제 2 화면 모드로 전환하되, 상기 제 2 스레스홀드는 상기 제 1 스레스홀드보다 작은, 포터블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터치 입력은,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가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전면이 위쪽을 향하도록 놓인 상태에서 상기 기울기를 변화시키는 터치 입력인, 포터블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터치 입력은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에 대해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접촉(contact)이 유지되는 터치 입력인, 포터블 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설정된 시간을 인디케이트하는 인디케이터를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터치 입력은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에 구비된 하드 웨어 버튼(Hardware button) 또는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소프트 웨어 버튼(Software button)에 대한 터치 입력인, 포터블 디바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가 그립(grip)되어 있는지를 센싱하는 그립 센서 유닛; 을 더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그립 센서 유닛을 제어하며,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그립이 센싱된 경우에는,
    상기 제 1 터치 입력과 함께 상기 기울임을 디텍트한 경우에도, 상기 기울기가 상기 제 1 스레스홀드를 초과하면, 상기 제 1 화면 모드를 상기 제 2 화면 모드로 전환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터치 입력과 함께 상기 기울임이 디텍트된 경우,
    상기 이동형 매스를 기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포터블 디바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위치는 상기 변화된 기울기에 따라 결정되는, 포터블 디바이스.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형 매스의 이동을 인디케이트해주는 인디케이터를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형 매스의 이동이 완료되어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상기 무게 중심이 변경된 경우, 상기 무게 중심의 변경을 알리기 위한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기설정된 터치 입력인 제 2 터치 입력이 디텍트된 경우,
    상기 이동형 매스를 기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 2 화면 모드를 상기 제 1 화면 모드로 재전환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위치는 상기 변화된 기울기에 따라 결정되는, 포터블 디바이스.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터치 입력은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에 구비된 하드 웨어 버튼(Hardware button) 또는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터치 입력인, 포터블 디바이스.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터치 입력은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에 대해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접촉(contact)이 유지되는 터치 입력인, 포터블 디바이스.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기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 상기 제 1 터치 입력과 함께 상기 기울임을 디텍트한 경우, 상기 기울기가 제 3 스레스홀드를 초과하면 상기 제 1 화면 모드를 상기 제 2 화면 모드로 전환하되, 상기 제 3 스레스홀드는 상기 제 2 스레스홀드보다 작은, 포터블 디바이스.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센서 유닛은 가속도 센서, 기울기 센서 및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화면 모드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가 기울어지는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화면 모드를 제공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매스는,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에 탑재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 부품인, 포터블 디바이스.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형 매스를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 내부에서 상, 하, 좌, 우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회전시켜 상기 무게 중심을 변화시키는, 포터블 디바이스.
  21. 포터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 1 화면 모드를 제공하는 단계;
    기설정된 터치 입력인 제 1 터치 입력과 함께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기울임을 디텍트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터치 입력 없이 상기 기울임이 디텍트된 경우, 상기 기울기가 제 1 스레스홀드를 초과하면 상기 제 1 화면 모드를 제 2 화면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제 1 터치 입력과 함께 상기 기울임이 디텍트된 경우, 상기 기울기가 제 2 스레스홀드를 초과하면 상기 제 1 화면 모드를 상기 제 2 화면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로서, 상기 제 2 스레스홀드는 상기 제 1 스레스홀드보다 작은,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KR20130072964A 2013-06-25 2013-06-25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00632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2964A KR20150000632A (ko) 2013-06-25 2013-06-25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3/967,068 US20140375574A1 (en) 2013-06-25 2013-08-14 Port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380077791.1A CN105339863B (zh) 2013-06-25 2013-08-27 便携式装置及其控制方法
PCT/KR2013/007671 WO2014208813A1 (en) 2013-06-25 2013-08-27 Port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3887694.1A EP3014388B1 (en) 2013-06-25 2013-08-27 Port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2964A KR20150000632A (ko) 2013-06-25 2013-06-25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632A true KR20150000632A (ko) 2015-01-05

Family

ID=52110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2964A KR20150000632A (ko) 2013-06-25 2013-06-25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40375574A1 (ko)
EP (1) EP3014388B1 (ko)
KR (1) KR20150000632A (ko)
CN (1) CN105339863B (ko)
WO (1) WO201420881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424A (ko) * 2015-05-27 2016-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WO2017179903A1 (ko) * 2016-04-12 2017-10-19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바이스 및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040B1 (ko) * 2009-05-19 2016-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USD795854S1 (en) * 2012-11-09 2017-08-29 Samsung Display Co., Ltd. Mobile phone
USD736752S1 (en) * 2012-11-09 2015-08-18 Samsung Display Co., Ltd. Mobile phone
JP6024725B2 (ja) * 2014-01-17 2016-11-1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システム
JP6484859B2 (ja) * 2014-01-28 2019-03-2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423065B1 (ko) * 2015-06-04 2022-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JP6470115B2 (ja) * 2015-06-04 2019-02-13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JP2017047032A (ja) * 2015-09-03 2017-03-09 シャープ株式会社 転動装置
KR102483468B1 (ko) * 2015-10-30 2023-01-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CN106210279A (zh) * 2016-06-30 2016-12-07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显示屏切换装置及方法
KR102570777B1 (ko) * 2016-08-25 2023-08-25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터치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상태 전환 방법
CN107809873B (zh) * 2016-09-09 2021-09-14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及使用显示装置制造电子装置的方法
CN107037955A (zh) * 2016-10-24 2017-08-11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显示图像信息的方法及装置
WO2018133310A1 (zh) * 2017-01-17 2018-07-26 华为技术有限公司 双屏终端设备及显示方法
US10498890B2 (en) 2017-07-14 2019-12-03 Motorola Mobility Llc Activating virtual buttons using verbal commands
US10831246B2 (en) * 2017-07-14 2020-11-10 Motorola Mobility Llc Virtual button movement based on device movement
US10817173B2 (en) 2017-07-14 2020-10-27 Motorola Mobility Llc Visually placing virtual control buttons on a computing device based on grip profile
CN110007844A (zh) * 2018-01-05 2019-07-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屏幕切换的方法及双屏的终端
CN108319685A (zh) * 2018-01-31 2018-07-24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应用程序推荐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762630B (zh) * 2018-04-26 2022-04-1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终端控制方法、柔性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035010A (zh) * 2020-08-31 2020-12-0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图像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1972A (ja) * 2004-05-07 2005-11-17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における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における処理プログラム
KR100756129B1 (ko) * 2005-06-28 2007-09-0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디스플레이영역 변화에 따른 유동적 디스플레이 장치 및방법
US8462109B2 (en) * 2007-01-05 2013-06-11 Invensense, Inc. Controlling and accessing content using motion processing on mobile devices
US20100007510A1 (en) * 2008-07-14 2010-01-14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Communication device with orientation indication of receipt of communication signal
US20100013651A1 (en) * 2008-07-15 2010-01-2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Device with display and controller for controlling displayed information in response to movement
JP5219929B2 (ja) * 2008-07-31 2013-06-2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472021B1 (ko) * 2008-09-02 2014-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1577744A (zh) * 2009-03-05 2009-11-11 上海闻泰电子科技有限公司 手机lcd智能旋转显示系统及其实现方法
JP5120326B2 (ja) * 2009-04-17 2013-01-16 富士通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
KR101078899B1 (ko) * 2010-01-29 2011-11-01 주식회사 팬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영상 출력 위치 제어 장치
KR20110101585A (ko) * 2010-03-09 2011-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전환 장치 및 방법
EP2588938B1 (en) * 2010-07-02 2019-04-10 Nokia Technologies Oy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 rocking movement of an electronic device and execute a function in response to the detected movement
KR101809522B1 (ko) * 2011-04-12 2018-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용 스탠드 장치
CN102495706A (zh) * 2011-12-02 2012-06-13 优视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切换界面的方法及装置
US20130141464A1 (en) * 2011-12-05 2013-06-06 John Miles Hunt Orientation Control
US20130154947A1 (en) * 2011-12-14 2013-06-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etermining a preferred screen orientation based on known hand positions
KR101943435B1 (ko) * 2012-04-08 2019-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375908B1 (ko) * 2012-07-10 2014-03-18 주식회사 팬택 촬영 타이머 제어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424A (ko) * 2015-05-27 2016-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WO2017179903A1 (ko) * 2016-04-12 2017-10-19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바이스 및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US11036381B2 (en) 2016-04-12 2021-06-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flexib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14388B1 (en) 2019-05-01
CN105339863A (zh) 2016-02-17
CN105339863B (zh) 2018-08-07
EP3014388A1 (en) 2016-05-04
US20140375574A1 (en) 2014-12-25
EP3014388A4 (en) 2017-03-01
WO2014208813A1 (en) 2014-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00632A (ko)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459521B1 (ko)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9779481B2 (en) Device and program for controlling direction of displayed image
JP5529700B2 (ja)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423593B2 (ja) 情報処理装置
JP5360680B2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
KR102004858B1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KR20140135404A (ko)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TWI502479B (zh) 解鎖方法與電子裝置
US20150242100A1 (en) Detecting intentional rotation of a mobile device
JP2010086192A (ja) 携帯機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861377B1 (ko) 이동 단말에서 모션 기반의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
KR101872272B1 (ko) 제어 기기를 이용한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TWI689864B (zh) 手持裝置、其顯示模式的控制方法與電腦可讀取記錄媒體
TWI540492B (zh) 電子裝置以及電子裝置控制方法
WO2013107382A1 (zh) 一种电子装置
JP2014137646A (ja)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5800361B2 (ja) 表示制御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KR20100136289A (ko)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WO2018133211A1 (zh) 一种双屏电子设备的屏幕切换方法及双屏电子设备
US20160103506A1 (en) Input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input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2019096182A (ja) 電子装置、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119291B2 (ja) 表示装置、電子機器、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84102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JP6014420B2 (ja) 操作制御装置、操作制御方法、および、操作制御装置用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