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3331B1 - 휴대 단말장치용 액세서리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장치용 액세서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3331B1
KR102023331B1 KR1020190058547A KR20190058547A KR102023331B1 KR 102023331 B1 KR102023331 B1 KR 102023331B1 KR 1020190058547 A KR1020190058547 A KR 1020190058547A KR 20190058547 A KR20190058547 A KR 20190058547A KR 102023331 B1 KR102023331 B1 KR 102023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
terminal device
accessory
portable terminal
rot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8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래
최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퓨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퓨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퓨림
Priority to KR1020190058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33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장치용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장치용 액세서리는, 휴대 단말장치에 접착되는 접착면을 일면에 구비하고, 회전부재를 타면에 구비하는 본체부, 및 회전부재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며 휴대 단말장치를 바닥면에 거치 및 차량의 에어컨 벤트 그릴에 고정 가능한 포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장치용 액세서리{Accessory for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장치용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바닥면에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장치를 고정하고 동시에 차량 에어컨 벤트 그릴 등에 휴대 단말장치를 고정시키며, 핑거링 등과의 결합에 의해 다양한 거치 각도의 형성이 가능한 휴대 단말장치용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폰, PMP 등과 같은 휴대용 기기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종류의 액세서리가 개발되고 있다. 일례로서 휴대용 기기의 일측에 스트랩(strap) 형태의 액세서리가 구비되어 휴대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기기는 손으로 파지하여 사용하게 되는 반면, 장시간 동안 동영상을 시청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테이블 등의 바닥면에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트랩 형태의 액세서리는 휴대용 기기를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나, 휴대용 기기를 테이블 등의 바닥면에 거치할 때는 이용하기 어렵다.
이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휴대폰의 뒷면에 부착되는 거치대가 개발되어 판매중이다. 거치대는 링 형상의 고리를 구비하고, 고리를 바닥에 지지시켜 휴대폰 화면을 위쪽, 특히 사용자의 얼굴을 향하도록 위치시켜 사용자가 어느 위치에서도 휴대폰 화면을 볼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자동차를 운전 중인 경우 휴대폰 거치대를 통상 대쉬 보드 상면, 즉 윈드 실드 글래스 아래의 공간에 올려놓는 경우가 일반적인데, 주행 중인 자동차의 진동과 회전으로 거치대에 불구하고 휴대폰이 기울어지거나 심지어 낙하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종래의 거치 기능을 수행하는 가령 링 형상의 고리와 같은 경우에는 거치할 수 있는 각도가 한정되어 있고, 또 자주 사용하는 경우에는 거치 기능이 점점 상실되므로 좀더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한 제품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4-0005143호(2014.10.01)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6170호(2002.05.08)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51974호(2018.04.19)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05107호(2017.02.03)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64064호(2017.07.26)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29880호(2010.12.10)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11088호(2019.02.0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53889호(2014.10.1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령 바닥면에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장치를 고정하고 동시에 차량 에어컨 벤트 그릴 등에 휴대 단말장치를 고정시키며, 가령 핑거링 등과의 결합에 의해 다양한 거치 각도의 형성이 가능한 휴대 단말장치용 액세서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장치용 액세서리는, 휴대 단말장치에 접착되는 접착면을 일면에 구비하고, 회전부재를 타면에 구비하는 본체부, 및 상기 회전부재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며, 상기 휴대 단말장치를 바닥면에 거치 및 차량의 에어컨 벤트 그릴에 고정 가능한 포크부를 포함한다.
상기 포크부는 상기 벤트 그릴이 삽입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양변이 비평형한 개방구, 및 상기 개방구에 구비되는 집게 형태의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벤트 그릴과의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복수의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크부는, 상기 휴대 단말장치를 상기 바닥면에 거치시킬 때 안정적 거치를 위하여 상기 회전부재와의 연결 부위에서 1회의 꺾임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액세서리는,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포크부와 동시 회전하며, 핑거 삽입 및 상기 바닥면의 거치가 가능한 고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착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놓인 상기 포크부의 수직 길이(L1)와 상기 고리부의 수직 길이(L2)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액세서리는, 상기 고리부 및 상기 포크부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 및 꺾임 각도를 자동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세서리는, 상기 회전 및 상기 꺾임 각도를 센싱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한 센싱값을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세서리는, 상기 회전 및 꺾임 각도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명령을 근거로 상기 회전 및 꺾임 각도를 자동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액세서리는, 상기 회전부재에 연결된 상기 포크부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바닥면과의 거치 각도를 변경하는 길이조절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장치는, 리니어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가령 스마트폰 등의 배면에 부착되어 있는 액세서리를 통해 바닥면 거치 및 차량의 거치가 동시에 가능하며, 바닥면 거치의 경우에도 다양한 각도로 거치가 가능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장치용 액세서리의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포크부를 이용한 거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휴대 단말장치용 액세서리의 적용 예시도,
도 5는 도 1 및 도 2의 휴대 단말장치용 액세서리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장치용 액세서리의 구동 매커니즘에 대한 세부 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장치용 액세서리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의 베이스 프레임 또는 회전부 등을 형성하기 위한 판재 홈 형성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홈형성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의 베이스 프레임 또는 회전부 등을 형성하기 위한 비닐 제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그리고
도 12는 도 11의 압출 성형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장치용 액세서리의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포크부를 이용한 거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그리고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휴대 단말장치용 액세서리의 적용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장치용 액세서리(100)는 본체부(101, 103), 포크부(110) 및 고리부(1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고리부(12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구성되거나, 포크부(110)의 일부 또는 전부가 본체부(101, 103)와 통합(혹은 일체화)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본체부(101, 103)는 베이스 프레임(혹은 베이스 플레이트)(101)과 회전부재(103)를 포함한다. 가령 스마트폰 또는 휴대폰 케이스(97) 등의 배면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면이 베이스 프레임(101)의 일측에 형성되며, 그 타측에는 포크부(110)와 고리부(120)를 고정시켜 회전 가능한 회전부재(10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프레임(101)은 다양한 형태로 잡착면을 형성할 수 있지만, 접착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97) 등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면 접착 테이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다양한 접착 부재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프레임(101)은 PC 재질 등으로 형성되며, 그 베이스 프레임(101)의 일측면에 형성된 접착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1, 103)가 스마트폰이나 휴대폰 케이스(97) 등의 배면에 접착되는 접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접착 면적을 증가시키면 되지만, 접착 면적을 감소시키면서 접착력을 증가시키는 것은 접착 부재나 접착제의 물질을 변경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가능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물론 접착제나 접착부재가 아니라, 가령 스마트폰이나 휴대폰 케이스(97)의 배면에 형성되는 다양한 구조물을 통해 결합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간단하게는 슬라이드 체결 구조나 똑딱이 구조, 또 찍찍이 구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장치용 액세서리(100)를 스마트폰이나 휴대폰 케이스(97)에 결합하기 위한 구조는 다양할 수 있다.
그 가운데, 접착제와 관련해 좀더 살펴보면, 베이스 프레임(101)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접착제는 가령 고분자 접착제, 열용융 접착제 등이 사용될 수 있지만, 접착제 조성물로서 열가소성 수지 40~80 중량부, 점착부여수지 5~40 중량부, 송진 1~5 중량부, 가소제 1~10 중량부, 충전재 1~10 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0.1~1 중량부를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때, 조성물은 나노실리카 0.1~5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의 비중(혹은 배율)은 접착력이나 흐름지수 등에 관련되는 것이며, 인체 저자극 수지를 사용하기 위한 구체적 예에 해당된다. 기타 자세한 내용은 이후에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또한, 본체부(101, 103)를 구성하는 회전부재(103)는 베이스 프레임(101)에 고정되어 회전 가능한 형태로 구성된다. 도 1에서는 회전부재(103)가 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지만, 그것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회전부재(103)의 정중앙 부위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크부(110)가 체결된다. 또한, 회전부재(103)의 일측 가장자리 부위에는 고리부(120)가 체결된다. 따라서, 회전부재(103)에 포크부(110)와 고리부(120)가 함께 고정되어 있으므로, 포크부(110)와 고리부(120)는 회전부재(103)의 회전시에 동시에 회전이 이루어진다.
포크부(110)는 회전부재(103)에 고정되어 회전부재(103)에 의해 360도로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며, 도 3에서와 같이 바닥면에의 거치도 가능하다. 거치시 각도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무엇보다 포크부(110)는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거치시에 안정된 거치를 위하여 회전부재(103)와의 연결 부위에서 1회의 꺾임을 발생시킬 수 있다. 물론 이는 회전부재(103)를 구성하는 부속(품)과 포크부(110)를 구성하는 부속(품)과의 구조에 의해 발생한다. 또한, 포크부(110)를 사용한 각도의 조절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지만, 포크부(110)를 회전부재(103)에 체결할 때의 체결 위치나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크부(110)는 가령 휴대폰 케이스(97)의 배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까지만 펼침(혹은 젖힘)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스마트폰 등의 거치 각도가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 포크부(110)는 고리부(120)에 의해 거치되는 각도와 다른 각도를 형성한다. 물론 이는 포크부(110)와 고리부(120)의 거치 길이가 서로 다른 데에서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접착면, 더 정확하게는 스마트폰이나 휴대폰 케이스(97)의 배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포크부(110)와 고리부(120)를 각각 세웠을 때 고리부(120)보다 포크부(110)의 수직 길이가 길다. 따라서, 포크부(110)는 가령 스마트폰을 도 3에서와 같이 랜드스케이프(landscape) 형태뿐 아니라 포트레이트(portrait) 형태로 거치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물론 도 3에서와 같이 랜드스케이프 형태로 바닥면에 거치될 때에도 거치 각도는 고리부(120)의 각도와는 상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크부(110)는 가령 차량의 에어컨 바람이 배출되는 송풍구의 벤트 그릴에 고정하기 위한 포크(혹은 집게)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벤트 그릴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포크부(110)의 집게는 바다게의 팔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포크부(110)의 집게 부위는 탄성부재 또는 탄력성이 있는 고무 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며, 개방 부위에서 안쪽으로 들어갈수록 간격이 서서히 줄어들 수 있다. 이를 통해, 벤트 그릴에 포크부(110)의 집게를 자유롭게 삽입하고 뺄 수 있으며, 벤트 그릴의 다양한 두께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포크부(110)의 집게 부위는 양측에서 간헐적으로 돌출되는 돌기부를 가지므로, 이를 통해 그릴을 강하게 움켜쥘 수 있다.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물론 포크부(110)는 회전부재(103)를 통해 회전이 가능하므로, 벤트 그릴에 고정시키는 경우에도 스마트폰 등은 랜드스케이프 형태나 포트레이트 형태를 유지하여 고정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포크부(110)는 벤트 그릴을 삽입할 수 있는 수용부를 포함하며, 그 수용부는 양변이 비평형한 상태를 유지하는 개방구와, 그 개방구에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는 바다게의 집게 팔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개방구와 같이 비평형한 상태를 유지하여 개방구에 구비되되,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돌출부를 수용부의 양변에서 노출시킨다. 따라서, 탄성부재의 노출 부위는 벤트 그릴과 접촉하되 벤트 그릴의 스크래치를 방지하며, 동시에 비평한 구조로 인해 벤트 그릴과의 고정력을 증가시키게 되는 것이다. 탄성부재는 포크부(110)의 내부로 수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하부면에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되거나 체결 구조를 통해 체결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고리부(120)는 스마트폰 사용자의 손가락(finger)을 삽입할 수 있는 고리 형태를 가지며, 물론 그 형상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고리부(120)는 회전부재(103)의 일측 가장자리 연결부에 자유롭게 결합 및 분해가 가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고리부(120)는 일측이 개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개방된 부위의 양단이(혹은 그 부위에 형성된 핀(pin)이) 회전부재(103)의 일측 가장자리 연결부에 양측을 삽입시켜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근거해 볼 때 고리부(120)는 탄력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고리부(120)는 포크부(110)와 마찬가지로 바닥면에의 거치가 가능하다. 길이가 포크부(110)에 비해 짧은 관계로 랜드스케이프 형태로의 거치가 가능할 수 있고, 거치 각도는 포크부(110)에 비해 작다. 물론 작다는 것은 구현 가능한 최대 각도를 가정한 것이다. 따라서, 고리부(120)에 의해 구현되는 거치 각도가 0 ~ 45도라면, 포크부(110)에 의해서는 최대 90도까지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손가락을 고리부(120)에 삽입한 후 스마트폰 등을 그립(grip)함으로써 스마트폰을 보다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장치용 액세서리(100)의 다양한 적용 예를 보여준다. 도 4의 (a)에서는 액세서리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회전부재(103)의 일측면에 CD 모양의 플레이트와 같은 부속(품)을 통해 다양한 컬러 색상의 디자인을 추가할 수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도 4의 (b)에서는 휴대 단말장치용 액세서리(100)를 사용하여 차량 에어컨 벤트 그릴에 스마트폰을 고정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도 4의 (c)에서는 포크부(110)를 접은 상태에서 고리부(120)만을 사용해 바닥면에 스마트폰을 거치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포크부(110)와 고리부(120)를 적절히 사용하여 다양한 거치 각도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가령 스마트폰을 랜드스케이프 형태 및 포트레이트 형태로 거치할 수 있어 사용자가 용도에 맞춰 거치 형태를 결정함으로써 원하는 형태로 동영상 등의 시청이 가능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장치용 액세서리(100)는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고리 기능, 차량의 벤트 그릴 등에 스마트폰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기능, 나아가 바닥면에 스마트폰 등을 거치하되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의 거치가 모두 가능하고 다양한 각도로 거치가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포트레이트 형태의 거치는 대략 바닥면에 대하여 45도 ~ 80도의 범위에서 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도 1 및 도 2의 휴대 단말장치용 액세서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장치용 액세서리(100)는 접착부재(500), 베이스 프레임(510), 포크 지지부(520), 폼(POM)(530), 탄성부재(540), 결합부재(550, 560), 회전부(재)(570), 부속 플레이트(580) 및 고리 지지부(59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구성되거나, 접착부재(50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베이스 프레임(510) 등에 통합(혹은 일체화)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접착부재(500)는 가령 양면 접착 테이프(예: 3M사의 양면테이프 등)를 포함한다. 물론 접착제 즉 접착 조성물이 베이스 프레임(51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도 무관하다. 양면 접착 테이프의 경우, 일측면은 베이스 프레임(510)의 일측면에 부착되고, 타측면은 스마트폰이나 휴대폰 케이스(97) 등의 배면에 부착된다.
베이스 프레임(510)은 폴리(Poly) 계열의 폴리카보네이트(PC) 등을 재질로 형성된다. 베이스 프레임(510)의 타측은 도 1 및 도 2에서 언급한 회전부재(103)를 체결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다. 다시 말해, 회전부재(103)는 도 4에서 볼 때, 폼(530), 결합부재(550, 560) 및 회전부(57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재(550, 560)는 고정판(혹은 연결판)(550)과 나사(560)를 포함하며, 고정판(550)은 아연합금 재질로 형성되고, 회전부(570)는 알루미늄합금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510)의 체결부에는 결합부재(550, 560)가 체결된다. 그리고, 포크 지지부(520)는 폼(530)을 양측에 각각 삽입한 채 그 상측으로는 회전부(570)를 배치하여 체결될 수 있다. 예컨대, 회전부(570)의 가장자리 영역이 베이스 프레임(510)의 일측 가장자리에 체결되는 형태로 하여 이를 통해 내부의 포크 지지부(520)를 구속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체결 구조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또한, 탄성부재(예: TPU 인조레자 등)(540)는 포크 지지부(520)의 하측, 도면에서 볼 때 하측 수납부에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포크 지지부(520)는 거치를 위한 지지대로서, 아연합금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측면에 수납이나 부착하는 형태를 예시하였으나, 상측과 하측의 사이로 탄성부재(540)를 삽입하되, 측면이나 개방된 전면부를 통해 탄성부재(540)를 삽입하는 구조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다만, 제조비용 등을 고려할 때, 도 5에서와 같은 전자의 경우가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부재(540)가 수용된 포크 지지부(520)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 및 도 2의 포크부(110)는 회전부(570)를 통해 결합부재(550, 560)를 기준으로 자유롭게 360도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회전시 폼(530)에 의해 포크 지지부(520)와 결합부재(550, 560)와의 마찰은 크지 않게 된다. 탄성부재(540)는 악어입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포크 지지부(520)의 연결부(예: 폼 포함)를 내부에 포함하는 회전부(570)의 상측에는 CD 모양의 부속 플레이트(580)가 체결된다. 여기서, 부속이라 함은 필수적으로 필요한 부품은 아니나, 심미적인 디자인 등을 감안하여 더 구성될 수 있는 부품을 의미할 수 있다. 부속 플레이트(580)는 다양한 색상의 플레이트를 이용함으로써 도 4의 (a)에서와 같은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회전부(570)의 가장자리 부위에 형성된 체결부 즉 고리 연결부에는 고리 지지부(590)가 체결된다. 고리 지지부(590)는 고리 형태로 바닥면에 거치를 수행할 수 있으며, 아연 합금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의 구성요소들은 압출 성형이나 사출 성형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별도로 제작된 금형(틀)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구성요소들과 같은 사출물이나 압출물을 형성하는 과정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여기서 압출 성형은, 원료를 압출기에 공급하고 금형에서 밀어내어 일정한 모양의 단면을 가진 연속체로 변환하는 성형법으로 열가소성 수지 특히 폴리에틸렌이나 염화비닐수지 등의 주요한 성형법을 의미한다. 또한, 사출성형은 혼합물을 사출성형하고 이것을 가열해서 바인더를 제거한 후 체결하는 방법으로, 플라스틱의 성형가공법으로 열가소성수지를 성형하는 방법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장치용 액세서리의 구동 매커니즘에 대한 세부 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장치용 액세서리(100')는 전자동 방식으로 작동하는 액세서리의 예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00), 제어부(610), 디스플레이부(620), 센싱부(630) 및 모터부(64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앞서의 의미와 동일하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00)는 가령 도 1 및 도 2의 포크부(110)나 고리부(120) 중 적어도 하나를 전자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620)에 표시된 특정 꺾임 각도나 회전 각도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사용자 명령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꺾임 각도나 회전 각도는 휴대 단말장치용 액세서리(100')의 사용 목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거치를 위한 목적이라면 이를 선택함으로써 꺾임 각도와 회전 각도가 자동 형성될 수 있다. 반면, 차량 에어컨 등의 벤트 그릴에 고정하기 위한 해당 목적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그에 따른 각도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차량의 벤트 그릴에 고정하기 위하여 해당 목적을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610)는 모터부(640)를 제어하여 가령 도 1 및 도 2의 포크부(110)를 스마트폰의 배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이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포트레이트 형태나 랜드스케이프 형태를 선택하게 되면, 회전 각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00)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어를 수신하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할 수도 있다. 물론 음성 인식을 위한 음성 인식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위의 사용자 수동 선택은 음성 명령어를 발화하여 동작이 이루어지는 형태로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제어부(610)는 휴대 단말장치용 액세서리(100')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00), 디스플레이부(620), 센싱부(630) 및 모터부(640)의 전반적인 제어동작을 담당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610)는 센싱부(630)를 통해 가령 도 1 및 도 2의 포크부(110)의 회전 및 꺾임 각도를 등록시키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가령 차량의 벤트 그릴에 스마트폰을 고정할 때 포트레이트 형태를 선호하는 경우, 이를 사용자 요청이 있을 때, 센싱부(630)를 통해 현재의 회전량 및 꺾임량을 측정하여 해당 측정값을 저장한 후 이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설정 이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00)를 통해 사용자 명령이 있는 경우 그에 응답하여 자동으로 회전량 및 각도 정도를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센싱부(630)는 포크부(110) 등의 자동 동작시에도 현재의 각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제어부(610)는 가령 사용자 명령에 따라 회전량과 꺾임 정도 즉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모터부(640)를 제어할 수 있다. 모터부(640)는 가령 도 1 및 도 2의 회전부재(103)와 포크부(110)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대략 2개의 소형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소형 모터로는 BLDC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제1 모터를 통해서는 구동축에 연결된 회전부재(103)를 회전시키며, 제2 모터를 통해서는 포크부(110)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꺾임 각도의 조절은 제2 모터의 구동축에 연결된 가령 섹터 기어 등을 통해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610)는 가령 포크부(110)를 사용 목적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모드(Mode)를 설정하고, 해당 모드의 선택에 따라 자동으로 포크부(110)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모드란 휴대 단말장치용 액세서리(100')가 사용자의 명령이 있는 경우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식이다. 따라서, 제1 모드가 차량의 거치용도인 경우, 제어부(610)는 해당 목적에 부합하기 위하여 설정된 방식대로 스마트폰이 포트레이트 형태가 되도록 제1 모터를 제어하여 회전부재(103)를 회전시키고, 또 제2 모터를 제어하여 포크부(110)의 각도를 스마트폰의 배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물론 이외에도 다양한 동작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디스플레이부(620)는 휴대 단말장치용 액세서리(1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현재 차량의 거치 형태로 사용되고 있으면, 그 상태에서의 회전부재(103)의 회전량과 포크부(110)의 꺾임 각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620)는 터치 등을 통해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터치패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명령이 터치 동작을 통해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00)는 전원버튼이나 앞서 언급한 대로 음성명령어 수신이 가능한 마이크로폰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센싱부(630)는 회전부재(103)의 회전량과 포크부(110) 등의 꺾임 각도를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는 제1 모터 및 제2 모터에 연결되어 각 구동축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여 회전량과 꺾임 각도의 정도를 측정할 수 있지만, 자이로 센서나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물론 스마트폰도 자체적으로 이러한 센서를 가지므로 이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겠지만, 스마트폰을 사용자가 움직일 때, 이를 자이로 센서나 가속도 센서를 통해 회전량이나 꺾임 각도를 측정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좀더 정확한 측정을 위해 센서가 모터나 모터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터부(640)는 가령 도 1 및 도 2의 회전부재(103)를 회전시키는 제1 모터와, 가령 포크부(110)의 꺾임 각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2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터의 구동축에는 회전부재(103)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포크부(110)는 회전부재(103)에 연결하되, 각도는 회전부재(103)와 포크부(110)의 사이에 섹터 기어를 연결하여 섹터 기어를 제2 모터를 통해 구동시켜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구성이 가능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또한, 모터부(640)는 리니어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니어 모터는 가령 회전부재(103)를 탑재하여 가령 도 5의 베이스 프레임(510)의 타측에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베이스 프레임(510)의 타측에 형성된 체결부 즉 결합부재(550, 560)를 체결하는 체결부가 리니어 모터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어부(610)는 리니어 모터를 동작시켜 회전부재(103)가 포크부(110)를 포함하여 직진 운동을 하도록 제어함으로써 포크부(110)의 거치 길이를 조절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각도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다양한 변경 예가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포크부(1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리니어 모터 등을 길이조절장치라 명명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길이조절장치는 포크부(110)를 가령 사다리와 같이 길이를 줄였다 늘렸다 할 수 있는 슬라이드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장치용 액세서리(100')는 모터와 모터에 연결된 기어를 적절히 활용함으로써 회전부재(103)의 회전량이나 포크부(110)의 꺾임 각도, 나아가서는 포크부(110)의 길이나 그에 따른 거치 각도의 조절 등이 자유롭게 형성될 수 있어, 다양한 용도에 활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물론 이의 경우 사용 목적에 따라 가령 포크부(110) 등이 필요 이상으로 조작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고장이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장치용 액세서리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7을 도 6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장치용 액세서리(100')는 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회전부재의 회전량과 회전부재에 고정되어 회전하며 휴대 단말장치를 바닥면에 거치 및 차량의 에어컨 벤트 그릴에 고정시키는 포크부의 꺾임 각도를 각각 설정할 수 있다(S700).
예를 들어, 제1 모드는 바닥면의 거치 용도로 사용하되, 랜드스케이프 형태로 거치 각도를 45도 또는 60도가 되도록 하는 설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모드는 차량의 벤트 그릴에의 거치 용도로서, 포트레이트 형태로 거치 각도를 85도가 되도록 하는 설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장치용 액세서리(100')는 사용자 명령을 근거로 위의 기설정한 회전부재의 회전량 및 포크부의 꺾임 각도를 갖도록 회전부재(103)와 포크부(110)를 각각 자동 제어한다(S710). 물론 여기서의 사용자 명령은 앞서 언급한 대로 화면에서 터치 형태로 모드를 선택함으로써 가능할 수 있고, 사용자가 음성명령어를 발화하여 이를 인식해 동작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동작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이하, 앞서 언급한 바 있는 접착제 조성물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가령 덧버선 내측면에 형성되어 덧버섯이 발에서 이탈하여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실리콘 밴드의 덧버선 부착용 접착제 조성물에 바람직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도 충분히 적용 가능하다.
접착제 조성물은, 열가소성 수지 40~80 중량부, 점착부여수지 5~40 중량부, 송진 1~5 중량부, 가소제 1~10 중량부, 충전재 1~10 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0.1~1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열용융 접착제 조성물로서, 일반적으로 이형제와 실리콘 밴드 사이에 접착된 상태로 제조되어, 원단에 적용시 이형제를 제거한 후 프레스 작업을 수행하여 원단에 실리콘 밴드가 부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하, 각 성분을 자세히 살펴본다.
열가소성 수지는 조성물의 주성분으로서, 접착력과 응집력 등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비닐기 또는 수산화기를 포함하는 것이라면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40~8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40 중량부 미만이면 용융 점도가 높아지고 용융 흐름 지수는 낮아져 작업성이 매우 떨어지게 되며, 함량이 80 중량부를 초과하면 원단에 바로 적용되기에 충분한 접착력을 발휘하기 어렵다.
점착부여수지는 저분자량 수지로, 용융 점도를 낮추어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접착 초기 젖음성과 접착제의 피착재 표면에서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고화시간 등의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점착부여수지는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석유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점착부여수지는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 방향족에 의해 개질된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및 하이드로겐화 탄화수소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는 상업적인 제품으로 코오롱유화사의 Hikorez A-1100, Hikorez A-1100S, Hikorez C-1100, Hikorez R-1100, Hikorez R-1100S 등이 있다. 또한,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로는 디사이클로펜타디엔(DCPD)을 단량체로 포함하는 탄화수소 수지 등이 있고,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는 상업적으로 코오롱유화사의 Hikotack P-110S, Hikotack P-120, Hikotack P-120HS, Hikotack P-120S, Hikotack P-140, Hikotack P-140M, Hikotack P-150, Hikotack P-160, Hikotack P-90, Hikotack P-90S, Hirenol PL-1000, Hirenol PL-400 등이 있다. 또한, 방향족에 의해 개질된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는 상업적으로 코오롱유화사의 Hikorez T-1080, Hikorez T-1100 등이 있다. 또한, 하이드로겐화 탄화수소 수지는 하이드로겐화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하이드로겐화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 등으로 세분화될 수 있으며, 상업적으로 코오롱유화사의 Sukorez D-300, Sukorez D-390, Sukorez SU-100, Sukorez SU-110, Sukorez SU-120, Sukorez SU-130, Sukorez SU-90 등이 있다.
점착부여수지는 바람직하게는 단량체의 탄소 수가 4~10인 탄화수소 수지이며, 구체적으로 C5 지방족 수지, C9 방향족 수지, C5/C9 지방족/방향족 공중합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부여수지는 보다 바람직하게 단량체로 디사이클로펜타디엔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겐화 탄화수소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업적으로 코오롱유화사(한국)의 Sukorez D-300, Sukorez D-390, Sukorez SU-100, Sukorez SU-110, Sukorez SU-120, SukorezSU-130, Sukorez SU-90 등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피부에 직접 닿는 부분에 적용되는 만큼 자극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앞서 설명한 다양한 석유수지에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를 함께 혼합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는 생분해성 폴리머에 폴리머의 단량체를 용융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생분해성 폴리머로는 폴리락트산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락트산은 유산의 축중합 도는 락티드의 개환중합에 의해 합성되는 폴리에스터로서 폴리아미드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중간 정도의 물성을 갖고 있으며, 주로 감자와 옥수수로부터 얻어지는 천연 식물성 당 성분을 원료로 하므로 생분해도가 높지만 일반적으로 경도가 높고, 탄성이 낮으며, 내구성이 떨어지는 특성이 있다.
생분해성 폴리머에는 동일한 폴리머 단량체를 용융혼합하게 되는데, 이때 생분해성 폴리머는 단량체와 결합되면서 쇄절단이 부분적으로 발생되어 전체적으로 수평균분자량이 떨어진다. 수평균분자량이 떨어지면서 점착제로 사용할 수 있는 물성을 나타내며 가공성이 높아지게 된다.
폴리락트산 100 중량부에 대해, 락트산 단량체는 20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할 수 있다. 단량체가 20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되면, 수평균분자량이 높고 딱딱하여 점착제로 사용되기 어려우며, 단량체가 40 중량부를 초과하면 표면에 마이그레이션이 발생하여 역시 점착제로 사용하기 어려울 수 있다.
석유수지와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의 혼합비율은 1~2:1(w/w)인 것이 바람직하며, 석유수지의 혼합비율이 너무 높은 경우 생분해성 저자극 효과가 나오기 힘들고, 저자극 수지의 혼합비율이 너무 높은 경우 경제성이 떨어지고 전체적인 점착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점착부여수지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5~4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점착부여 수지 첨가에 따른 용융 점도 저하 효과가 미비하고 그에 따른 용융 흐름 지수의 증가가 크지 않아 작업성이 만족할 만한 수준에 도달하지 못할 염려가 있고, 함량이 3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점착부여수지의 초과에 따른 용융흐름지수 증가율이 크지 않아 경제성이 떨어지고 상대적으로 열가소성 폴리머의 함량이 줄어들어 조성물의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
송진은 접착제 조성물의 전체적인 접착력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하며 인체에 무해하며 천연방부제 역할을 한다. 송진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1~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접착력 개선 효과를 얻기 어려우며, 함량이 5 중량부를 초과하면 가공시에 점착력이 증대되어 제품으로의 가공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가소제는 고분자에 유연성 및 접착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가소제의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솔비톨,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글리세린디아세테이트, 및 펜타에리쓰리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가소제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1~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가소제의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비하고,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가소제의 과다 사용에 의해 경제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접착제의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
충전재는 조성물의 보강 및 흐름성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다. 충전재의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탄산칼슘, 점토, 벤토나이트, 또는 칼슘스테아레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가령 덧버선 내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는 것으로서, 적용 환경상 악취 및 세균이 발생하기 쉽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의 보강 및 흐름성을 조절하면서도 악취 및 세균발생을 저하시기키 위하여, 충전재로서 석분(stone powder)과 펄프 분말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석분은 입자의 치밀함으로 인하여 첨가제를 다량 사용하지 않아도 높은 강도를 구현할 수 있고, 주변 환경에 따른 부피 변형률이 낮아 온도 변화가 큰 경우에도 접착제의 갈라짐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석분은 황토석, 대리석, 맥반석, 화강석, 옥석 등 다양한 암석의 분말 형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항균성, 항곰팡이성, 자외선 방출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황토석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펄프 분말은 액체 성분들을 빨아들이면서 석분들을 응집하는 역할을 하며 성분들간 혼화성을 높이고 응집력을 향상시킨다. 이때, 석분과 펄프 분말은 7:3~8:2(w/w) 정도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재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1~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충전재의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비하고,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접착제의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
산화방지제는 산화 및 분해로 인한 점도의 변화, 황변현상, 접착력 저하 및 내구성 저하 등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 페놀류, 방향족 아민류, 구연산, 또는 아스코르브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산화방지제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0.1~1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산화방지제의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비하고, 함량이 1 중량부를 초과하면 접착제의 경제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원단 상에서 프레스 작업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 원단 내 홀의 존재로 인하여 조성물의 양이 치우지거나 하는 이유로 접착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접착제 조성물이 원단 표면에 균일하게 분배되도록 하여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나노 실리카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나노 실리카의 함량은 0.1~5 중량부가 바람직하며, 나노 실리카의 사이즈(primary particles)는 100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노실리카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인 경우 나노실리카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미하며,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접착력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날수록 접착제의 표면에 블루밍(blooming)이 발생하는 불량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60 중량부, Sukorez D-300 25중량부, 송진 3중량부, 에틸렌글리콜 5중량부, 황토석 4중량부, 펄프분말 2중량부 및 아스코르브산 1중량부를 혼합하여 170~180℃에서 용융혼련시켜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한 후 펠렛 타입으로 성형하였다. 이때, 상기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는 폴리락트산 100중량부에 락트산 단량체 2.5중량부를 160℃로 5분동안 용융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60중량부, Sukorez D-300 15중량부,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 10중량부, 송진 3중량부, 에틸렌글리콜 5중량부, 황토석 4중량부, 펄프분말 2중량부 및 아스코르브산 1중량부를 혼합하여 170~180℃에서 용융혼련시켜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한 후 펠렛 타입으로 성형하였다. 이때, 상기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는 폴리락트산 100중량부에 락트산 단량체 2.5중량부를 160℃로 5분동안 용융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나노실리카 1중량부를 더 첨가한 것만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고, 이를 실시예 3으로 하였다.
[비교예]
종래의 TPU 핫멜트 필름에서 이면지를 제거한 후 사용하였다.
[실험예]
(1) 메쉬접착강도
열용융 접착제의 메쉬접착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두 장의 덧버선 원단 사이에 정량된 접착제 펠렛을 170℃에서 용융 도포한 후, 130℃에서 30초 동안 60㎏f/㎠의 압력으로 프레스 작업을 진행하고 메쉬접착강도(㎏f/㎠)를 측정하였다.
(2) 융융흐름지수
용융흐름지수 측정기의 가열 실린더에 펠렛 타입의 접착제를 가득 채우고 160℃에서 약 5분간 녹였다. 3㎏의 추를 얹고 10분간 실린더를 통해 통과되는 접착제의 중량(g)을 측정하였다.
Figure 112019051034816-pat00001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이 기존 제품보다 향상된 접착력과 흐름지수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생분해 저자극 수지를 사용한 경우에도 접착렵과 흐름지수가 크게 떨어지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나노 실리카를 혼합하는 경우 흐름지수가 크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계속해서, 판재 홈 형성과 관련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는 판재의 상부에 가공홈을 형성하는 장치와 관련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베이스 프레임(510)상에 체결부를 형성할 때 적용될 수도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금형틀을 통해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도 8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절삭 등을 수행하는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의 베이스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한 판재 홈 형성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재 홈 형성 장치(800)는, 홈형성부(810) 및 배출부(820)를 포함한다.
홈형성부(810)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선반(793)의 후단에 설치되며, 일측에 형성된 입구를 통해 삽입되는 판재(791)를 다른 일측에 형성된 출구 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판재(791)의 상부에 길이 방향의 홈(792)을 형성시키며, 홈(792)의 형성에 따라 발생된 부스거리들이 배출부(820)를 통해 배출된다.
배출부(820)는, 홈형성부(810)의 전단에 설치되며, 홈형성부(810)에 의한 판재(791)의 가공시 발생되는 부스러기를 홈형성부(81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빨아들여 외부로 배출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판재 홈 형성 장치(800)는, 판재(791)를 연속적으로 이동시켜 판재의 측부에 가공홈(792)을 형성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홈형성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홈형성부(810)는, 케이스(900), 이송 롤러(910), 절단날(920) 및 구동부(930)를 포함한다.
케이스(900)는, 홈형성부(810)의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 공간에 이송 롤러(910) 및 절단날(920)이 설치되고, 상부에 구동부(930)가 설치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이송 롤러(910)는, 케이스(900)의 내부 공간에서 바닥면(793a)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케이스(900)의 일측에 형성된 입구를 통해 판재(791)가 바닥면(793a)과의 이격 공간(911)으로 삽입되면 회전하여 케이스(900)의 다른 일측 방향으로 이송시켜 준다.
이때, 이송 롤러(910)는, 하나만 설치되는 것보다,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일렬로 복수 개 설치됨으로써, 판재(791)와 밀착되는 면적을 증가시켜 판재(791)의 이송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절단날(920)은, 케이스(900)의 내부 공간에서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구동부(930)의 벨트(931)에 연결 설치되어 구동부(93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되며,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톱날을 이용하여 이송 롤러(910)에 의하여 이송 중인 판재(791)의 상부에 홈(792)을 판다.
구동부(930)는, 케이스(900)의 상측에 설치되며, 절단날(920)에 벨트(931)에 의하여 연결 설치되며, 이송 롤러(910)에 의한 판재(791)의 이송이 시작되면 절단날(920)을 회전시킨다.
이때, 구동부(930)는, 사용자의 구동요청에 따라 회전하거나, 판재(791)의 삽입을 감지하여 구동요청이 없는 경우에도 회전하여 구동력을 발생시켜도 무방할 것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압출 성형에 대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의 베이스 프레임 또는 회전부 등을 형성하기 위한 비닐 제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압출 성형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 제조 장치(1090)는, 압출 성형부(1100) 및 비닐 권취부(1110)를 포함한다.
압출 성형부(1100)는, 수지를 공급받아 가열시킨 뒤 비닐 튜브(1099a)를 성형하며, 성형한 비닐 튜브(1099a)를 비닐 권취부(1110)로 전달한다.
비닐 권취부(1110)는, 압출 성형부(1100)에 의하여 성형된 비닐 튜브(1099a)를 다수 개의 가이드 롤러를 이용하여 이송 방향을 변경하면서 평면 형태의 비닐(1099a)로 제조한 뒤 권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비닐 제조 장치(1090)는,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비닐 튜브를 다수 개의 이송 롤러를 이용하여 이송 방향을 변경하면서 평면 형태의 비닐(1099b)로 연속적으로 제조함으로써, 비닐의 제조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는 도 11의 압출 성형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압출 성형부(1100)는, 압출기(1101), 히팅부(1102), 에어충진부(1105), 적어도 하나의 제1 유도부(1103) 및 제2 유도부(1104)를 포함한다.
압출기(1101)는 성형 다이로 수지를 공급하고, 히팅부(1102)는 압출기(1101)로부터 압출되는 수지를 가열하며, 에어충진부(1105)는 성형 다이에 설치되어 히팅부(1102)에 의해 가열된 수지로 비닐 튜브를 성형하기 위해 수지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압출기(1101)는 유입된 수지를 스크류와 같은 가압수단에 의해 성형다이(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로 압입한다. 이때, 히팅부(1102)는 압출기(1101)에 설치되는 전열선과 같은 발열부재를 구비하여 성형다이로 압출되는 수지를 가열하여 용융시킨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에어충진부(1105)를 통해 성형다이의 공기 주입구에 에어를 주입시키면 성형다이에 설치된 맨드릴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서 수지가 팽창되어 블로우튜브를 통과하면서 튜브형상(1099a)으로 성형되어 상방으로 이송된다.
즉, 성형다이를 통해 수지 내부로 에어가 충진되어 튜브형상으로 수지가 성형된다. 이와 동시에 맨드릴부의 상방에 경사지게 다단식으로 설치되어 있는 제2 유도부(1104)와 한 쌍의 가압롤러(1097)를 통과하면서 튜브형상의 비닐(1099a)이 시트형태(1099b)로 압축되어 가이드롤러에 의해 이송된다.
제1 유도부(1103)는, 에어충진부(1105)로부터 배출되는 비닐 튜브의 상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유도한다.
제2 유도부(1104)는, 제1 유도부(1103)의 상부에 이격 설치되어 비닐 튜브를 납작한 형태로 성형하면서 상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유도한다.
즉, 제2 유도부(1104)는, 완전 평면 상태의 비닐(1099)을 제조하는 것이 아니라, 상측에 이격 설치된 가압롤러(1097)에 의한 시트 제조 전에 튜브 형태의 비닐이 평형 형태로 펼쳐진 뒤 가압롤러(1097)로 삽입될 수 있도록 1차로 펼쳐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97: 휴대폰 케이스 100, 100': 휴대 단말장치용 액세서리
101, 500: 베이스 프레임 103: 회전부재
110: 포크부 120: 고리부
510: 접착부재 520: 포크 지지부
530: 폼 540: 탄성부재
550, 560: 결합부재 570: 회전부
580: 부속 플레이트 590: 고리 지지부
60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610: 제어부
620: 디스플레이부 630: 센싱부
640: 모터부

Claims (2)

  1. 고리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장치용 액세서리로서,
    휴대 단말장치에 접착되는 접착면을 일면에 구비하고, 회전부재를 타면에 구비하는 본체부; 및
    상기 회전부재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며, 상기 휴대 단말장치를 바닥면에 거치 및 차량의 에어컨 벤트 그릴에 고정 가능한 포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접착면이 구비되는 베이스 프레임(510)의 타측에 형성된 체결부에 체결되는 고정판(550) 및 나사(560)를 포함하는 결합부재(550, 560);
    상기 결합부재를 수용하고, 상기 포크부를 결합하여 회전시키는 회전부(570); 및
    상기 포크부를 구성하는 포크 지지부(52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회전부에 수용되는 폼(POM)(530);을 포함하며,
    상기 고리부는,
    상기 회전부의 일측에 체결되며, 상기 포크부와 서로 다른 각도의 거치를 수행하는 고리 지지부(590)를 포함하고,
    상기 포크부는 상기 벤트 그릴이 삽입되는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는,
    양변이 비평형한 개방구; 및
    상기 비평형한 개방구의 양변을 따라 상기 개방구에 구비되는 집게 형태의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벤트 그릴과의 고정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양변의 일측변을 따라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포크부는, 상기 휴대 단말장치를 상기 바닥면에 거치시킬 때 안정적 거치를 위하여 상기 회전부재와의 연결 부위에서 1회의 꺾임을 발생시키는 휴대 단말장치용 액세서리.
  2. 삭제
KR1020190058547A 2019-05-20 2019-05-20 휴대 단말장치용 액세서리 KR102023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547A KR102023331B1 (ko) 2019-05-20 2019-05-20 휴대 단말장치용 액세서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547A KR102023331B1 (ko) 2019-05-20 2019-05-20 휴대 단말장치용 액세서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3331B1 true KR102023331B1 (ko) 2019-09-20

Family

ID=68067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8547A KR102023331B1 (ko) 2019-05-20 2019-05-20 휴대 단말장치용 액세서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3331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170Y1 (ko) 2002-02-22 2002-05-18 김동주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KR20100129880A (ko) 2009-06-02 2010-12-10 김현섭 휴대기기용 거치대
KR20140005143U (ko) 2013-03-20 2014-10-01 김병철 핑거링이 장치된 휴대폰케이스
KR101453889B1 (ko) 2014-03-28 2014-10-23 권연욱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KR20160003392A (ko) * 2014-07-01 2016-01-11 이을호 휴대 단말기용 홀더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케이스
KR101705107B1 (ko) 2015-04-06 2017-02-10 주식회사 가온랩 단말 거치용 고정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거치대
KR101764064B1 (ko) 2016-08-03 2017-08-14 (주)서주글로벌 스마트폰 핑거링
KR101825404B1 (ko) * 2016-10-12 2018-02-06 주식회사 더메이크 휴대용 단말기 파지 및 거치링
KR101851974B1 (ko) 2016-08-03 2018-04-25 김상신 차량용 휴대장치 거치대
KR20190011088A (ko) 2017-07-24 2019-02-01 전효진 자동차 에어컨 벤트 그릴에 전자기기를 부착하기 위한 액세서리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170Y1 (ko) 2002-02-22 2002-05-18 김동주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KR20100129880A (ko) 2009-06-02 2010-12-10 김현섭 휴대기기용 거치대
KR20140005143U (ko) 2013-03-20 2014-10-01 김병철 핑거링이 장치된 휴대폰케이스
KR101453889B1 (ko) 2014-03-28 2014-10-23 권연욱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KR20160003392A (ko) * 2014-07-01 2016-01-11 이을호 휴대 단말기용 홀더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케이스
KR101705107B1 (ko) 2015-04-06 2017-02-10 주식회사 가온랩 단말 거치용 고정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거치대
KR101764064B1 (ko) 2016-08-03 2017-08-14 (주)서주글로벌 스마트폰 핑거링
KR101851974B1 (ko) 2016-08-03 2018-04-25 김상신 차량용 휴대장치 거치대
KR101825404B1 (ko) * 2016-10-12 2018-02-06 주식회사 더메이크 휴대용 단말기 파지 및 거치링
KR20190011088A (ko) 2017-07-24 2019-02-01 전효진 자동차 에어컨 벤트 그릴에 전자기기를 부착하기 위한 액세서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02577A1 (en) Foam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EP1535964A4 (en)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
EP1721935A4 (en) 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FOAM AND MOLDING OBTAINED THEREFROM
US20060075650A1 (en) Attachment apparatus and methods
WO2009045902A3 (en) Polymer compositions suitable for intraocular lenses and related methods
EP1683828A3 (en) Expandable polylactic acid resin particles
KR102023331B1 (ko) 휴대 단말장치용 액세서리
CN204069094U (zh) 便携式手机支架
KR101566947B1 (ko) 발포 인솔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발포 인솔 제조방법
CN109159388A (zh) 一种角度可调节的注塑制品用冷却装置
CN100369975C (zh) 新的硅橡胶材料、其制备方法及用途
EP1380403A4 (en) ACRYLIC MATTE THERMOPLASTIC RESIN FILMS AND PROCESSES FOR PRODUCING THE SAME
CN108540627A (zh) 一种可遥控自动调节手机位置与角度的手机支架
CN210077229U (zh) 具有自立功能的相框
CN210815864U (zh) 一种手机壳生产用喷涂支架
CN207481073U (zh) 一种模内注塑升降机构
CN207234427U (zh) 一种可折叠无线充电器
CN217050850U (zh) 一种抗拉伸tpu薄膜
CN201001416Y (zh) 裤子用防掉束腰带
CN220926270U (zh) 一种精准稳定充绒机
CN201039415Y (zh) 无线耳塞机
CN221309437U (zh) 一种高度可调的摸高器
CN211347175U (zh) 一种半导体设备数据采集装置
CN201549146U (zh) 一种具有止滑功能的电子相框
CN217648433U (zh) 一种泡棉胶带涂胶分切一体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