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8155B1 - 다기능형 휴대 단말기용 목걸이 - Google Patents
다기능형 휴대 단말기용 목걸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28155B1 KR102528155B1 KR1020210143613A KR20210143613A KR102528155B1 KR 102528155 B1 KR102528155 B1 KR 102528155B1 KR 1020210143613 A KR1020210143613 A KR 1020210143613A KR 20210143613 A KR20210143613 A KR 20210143613A KR 102528155 B1 KR102528155 B1 KR 1025281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ash
- spring
- rotation
- necklace
- us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description 7
- 230000037237 body shap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247 hand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1/00—Watch chains; Ornamental chai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18—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 B65H75/4428—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acting on the reel or on a reel blocking mechanism
- B65H75/4431—Manual stop or release butt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57—Arrangements of the frame or housing
- B65H75/4471—Housing enclosing the ree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8—Automatic re-storing devices
- B65H75/48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ing moto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9—Other types of filamentary materials or special applications
- B65H2701/3919—USB, earphones, audio or video cables, e.g. for connecting small electronic devices such as MP3 players or mobile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형 휴대 단말기용 목걸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목줄 권취력 발생수단과 목줄 어셈블리가 착탈 가능하게 안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뚜껑체와; 회전단속수단의 고정력 해제시 외부로 인출된 목줄이 자동으로 권취되게 하는 목줄 권취력 발생수단과;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길이만큼 본체의 외부로 인출되게 하는 목줄 어셈블리와; 상기 목줄 권취력 발생수단의 회전을 단속하여 사용자에 의해 인출된 목줄이 그 길이를 유지되게 하는 회전단속수단과; 상기 본체의 바닥면을 휴대 단말기 또는 커버의 배면에 고정시켜 주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의 체격이나 체형 및 기호 등에 맞게 목줄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한 상태에서 목에 걸고 휴대 또는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스마트 링에 손가락을 끼워 파지하고 휴대 또는 사용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스마트 링을 이용하여 원하는 방향 및 각도로 거치해 놓고 사용할 수 있어 각종 휴대 단말기를 보다 편리하고 간편하며 안전하게 휴대 및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의 체격이나 체형 및 기호 등에 맞게 목줄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한 상태에서 목에 걸고 휴대 또는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스마트 링에 손가락을 끼워 파지하고 휴대 또는 사용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스마트 링을 이용하여 원하는 방향 및 각도로 거치해 놓고 사용할 수 있어 각종 휴대 단말기를 보다 편리하고 간편하며 안전하게 휴대 및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기능형 휴대 단말기용 목걸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휴대 단말기 또는 단말기 케이스의 배면에 선택적으로 부착 설치하고, 목줄의 길이를 사용자의 체격이나 체형 및 기호 등에 맞춰 선택적으로 조절한 상태에서 목에 걸고 휴대 또는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이어 더하여 손가락에 끼워 파지하고 휴대 또는 사용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 및 각도로 거치해 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발명한 다기능형 휴대 단말기용 목걸이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에서 각종 휴대 단말기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 및 대중화로 인하여 필수 소지품이 되었다.
이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휴내용 카드 단말기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휴대용 무선기기를 포함하며, 이와 같은 휴대 단말기의 보급은 최근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특히, 스마트폰)들은 넓은 액정 화면을 탑재하기 위해 그 크기가 점차 커지고 있는 추세이며, 일반 통화 외에도 화상 통화, 동영상 및 DMB 시청, 음악 재생, 동영상 및 사진 촬영, 인터넷 사용, 정보 입력 등의 부가기능이 추가되면서 휴대 단말기를 손에 들고 눈으로 보면서,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도보할 때 등과 같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움직이면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의 다기능에 의해 현대인들은 손에 휴대 단말기를 잡고 있는 시간이 점점 늘어나고 있지만,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를 사용자의 손에 고정 또는 지지하는 장치가 없어, 사용자는 항상 두 손으로 휴대 단말기를 잡고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며, 사용자의 실수로 휴대 단말기를 떨어뜨리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각종 휴대 단말기의 보급과 함께 상기 휴대 단말기에 보조적으로 장착되는 액세서리도 다양하게 출시되어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휴대 단말기용 악세서리로는 휴대 단말기를 목에 걸고 다닐 수 있는 휴대용 목걸이를 포함하여, 교통카드나 터치펜을 체결하여 사용하는 휴대폰 고리, 멀티미디어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휴대 단말기를 평지나 경사면에 거치시키는 거치대, 휴대기기의 분실을 예방하기 위해 손가락이나 가방에 체결되는 핑거 홀더 등이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 내부의 부품들을 긁힘 및 흠집으로부터 보호하고, 파손 등의 충격으로 인하여 망실되는 정보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외관의 미려함을 위하여 다양한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는 긁힘, 흠집 및 충격 등으로부터 휴대 단말기를 보호하기는 하지만 휴대 단말기를 떨어뜨리는 것 자체를 방지하지는 못한다.
한편, 종래 대부분의 휴대 단말기용 목걸이에 구비된 목줄은 제품마다 길이가 제한되어 있다. 이처럼 길이가 제한된 휴대 단말기용 목걸이의 목줄은 가는 사람에겐 넉넉하다가도 목 굵은 사람에게는 짧고 목 굵은 사람용 목줄은 목이 가는 사람에게는 길게 느껴질 것이므로, 이런 점에서 결국 휴대 단말기용 목걸이의 목줄은 길이 가변형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도 목줄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목걸이들이 제시된 바 있는데, 이들의 대분분은 휴대 단말기용 목걸이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목줄이나 케이스를 분리해야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탈착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 종래 일부에서는 각종 휴대 단말기 또는 단말기 케이스의 배면에 파지 또는 거치가 용이하도록 하는 액세서리가 부착되어, 사용자의 손에 파지하고 안정적으로 이용하거나 장시간 동영상을 보는 경우에 상기 액서서리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를 책상 등과 같은 바닥면에 거치한 상태로 사용하고 있다.
즉, 종래에도 각종 휴대 단말기 또는 단말기 케이스의 배면에 부착되어 휴대 단말기의 파지와 거치를 용이하게 하는 다양한 형태의 링 액세서리(일명 "핑거 링" 또는 "스마트 링"이라고도 함)들이 제시되고 있다.
그런데, 각종 휴대 단말기를 휴대 및 사용하다 보면, 상기한 목걸이를 이용한 휴대에 따른 편리한 기능(즉, 목줄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휴대 단말기를 편리하게 목에 걸고 다닐 수 있는 기능)과 링 액세서리 등의 기능(즉, 휴대 단말기의 파지 시 및 원하는 방향 및 각도로 경사되게 거치시켜 사용할 수 있는 사용에 따른 편의성 도모 기능)을 모두 필요로 할 때가 있는데, 종래에는 두 가지 모두의 기능이 결합된 형태의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 또는 보조 물품이 제시된 바 없어 이들 모두의 기능이 복합된 다기능형 휴대 단말기용 목걸이를 필요로 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각종 휴대 단말기 또는 단말기 케이스의 배면에 목줄의 길이 조절이 자유롭고, 또 스마트 링을 통해 손가락으로 파지가 가능하며, 또한 상기 스마트 링을 이용하여 책상 등에 원하는 각도로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휴대 단말기용 목걸이를 부착 설치하여 줌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체격이나 체형 및 기호 등에 맞게 목줄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한 상태에서 목에 걸거나 손목 스트랩 등의 형태로 휴대 또는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스마트 링에 손가락을 끼워 파지하고 휴대 또는 사용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스마트 링을 이용하여 원하는 방향 및 각도로 거치해 놓고 사용할 수 있어 각종 휴대 단말기를 보다 편리하고 간편하며 안전하게 휴대 및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형 휴대 단말기용 목걸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무늬나 그림 등이 구비된 목줄을 사용자의 기호나 착용하는 의복의 색상 등에 맞춰 간단하게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용 목걸이의 외형상 미려함을 추구할 수 있음은 물론 장신구(즉, 악세서리로)로도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형 휴대 단말기용 목걸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목줄의 어느 일면 또는 양면에 자눈금을 구비시켜 줄자로도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용 목걸이의 사용에 따른 가치 및 호환성 등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는 다기능형 휴대 단말기용 목걸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면에 정해진 거리를 두고 목줄 삽입구와 목줄 출입구가 형성된 형상을 갖되, 내부에는 목줄 권취력 발생수단과 목줄 어셈블리가 착탈 가능하게 안치될 수 있는 공간부를 구비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체와; 상기 본체 내의 중앙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를 갖고, 회전단속수단의 고정력 해제시 외부로 인출된 목줄이 자동으로 권취되도록 복원력을 발생시켜 주는 목줄 권취력 발생수단과; 상기 목줄 권취력 발생수단의 외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권취릴의 외면에 목줄이 두루말이식으로 감겨진 형태를 갖고, 상기 목줄 권취력 발생수단의 복원력에 의해 목줄이 본체 내에서 삽입된 상태에 있다가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길이만큼 본체의 외부로 인출되게 하는 목줄 어셈블리와; 상기 뚜껑체의 내측에 구비된 형태를 갖고, 상기 목줄 권취력 발생수단의 회전을 단속하여 사용자에 의해 강제로 인출된 목줄이 그 길이를 유지하도록 하는 회전단속수단과; 상기 본체의 바닥면을 휴대 단말기 또는 커버의 배면에 고정시켜 주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뚜껑체의 외측 상면 중앙에서 수평 및 경사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를 갖고, 사용자가 링 부재를 원주방향 및 경사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그 내부로 손가락을 끼워 휴대 단말기를 휴대하거나, 또는 링 부재를 원하는 각도로 회전 및 경사지게 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를 특정 물체 위에 거치시켜 놓을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줄 권취력 발생수단은 상기 본체의 중앙에 돌출 형성된 형태를 갖고 태엽형 리턴 스프링의 내측 단부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켜 줌은 물론 스프링 보호캡의 회전축 기능을 수행하는 스프링 고정겸 캡 회전축과; 내측 단부가 고정된 상기 스프링 고정겸 캡 회전축의 외측에 두루말이식으로 권취되고, 외측 단부는 스프링 보호캡에 고정된 형태를 갖고, 목줄의 자동 권취에 필요한 탄성 복원력을 발생시켜 주는 태엽형 리턴 스프링과; 외측 단부가 고정된 상기 태엽형 리턴 스프링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에서 상기 스프링 고정겸 캡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를 갖고, 상기 목줄의 당김력 또는 상기 태엽형 리턴 스프링의 복원력에 대응하여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목줄이 인출 또는 권취되게 하는 스프링 보호캡;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목줄 어셈블리의 권취릴 외부에 권취된 목줄의 내단부는 목줄 고정구를 통해 상기 권취릴의 외측에 구비된 고정구 삽입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본체의 목줄 출입구를 통해 외부로 인출된 다음 목줄 삽입구를 통해 본체의 내부로 삽입되는 목줄의 외단부는 목줄 결합구를 통해 상기 본체의 내측에서 상기 목줄 삽입구에 근접되게 형성된 목줄 고정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 보호캡의 외면과 목줄 어셈블리의 권취릴 내면에는 각각 적어도 2개 이상의 릴 결합홈 및 캡 결합돌기를 구비시켜, 상기 목줄 어셈블리를 상기 스프링 보호캡의 외측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목줄은 띠상을 갖고, 상기 목줄의 어느 일면 또는 양면에는 다양한 무늬나 문양 또는 로그 또는 그림 또는 자눈금 중 어느 하나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회전단속수단은 상기 목줄 권취력 발생수단의 스프링 보호캡 상면에서 동일 원주상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방사형으로 형성시킨 복수의 회전저지돌기 삽입공과; 일단부 저면에 회전저지돌기가 구비되고 타단부 상면에 조작돌기가 구비된 형태를 갖고, 상기 뚜껑체의 내측에서 상기 스프링 보호캡의 상면 단부에 시소 형태로 작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스프링 보호캡의 회전을 직접적으로 단속하는 회전단속구와; 상기 뚜껑체의 천정면과 상기 회전단속구의 내측 상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단속구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지 않을 때, 상기 회전단속구의 회전저지돌기가 스프링 보호캡에 형성된 복수의 회전저지돌기 삽입공 중 어느 한 회전저지돌기 삽입공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상기 회전단속구를 조작한 후 손을 떼었을 때, 상기 회전단속구가 원위치로 돌아가며 상기 회전저지돌기가 스프링 보호캡의 회전저지돌기 삽입공들 중 어느 한 회전저지돌기 삽입공에 삽입되게 탄성 복원력을 발생시켜 주는 단속구 리턴 스프링과; 상기 회전단속구를 사용자가 외부에서 조작돌기를 통해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뚜껑체에 형성시킨 조작돌기 출입공;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 링은 외주면 일부에 링 부재 결합돌부를 구비하고, 상기 뚜껑체의 상면 중앙에서 360도 회전 가능하게 축지되는 원판형 플레이트와; 상기 원판형 플레이트가 상기 뚜껑체의 상면 중앙에서 360도 회전 가능하도록 축지시켜 주는 회전 지지축과; 절단된 부위가 상기 원판형 플레이트의 링 부재 결합돌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된 형태를 갖고, 사용자가 상기 원판형 플레이트와 함께 회전 지지축을 중심으로 원주방향 및 상기 링 부재 결합돌부를 중심으로 경사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그 내부로 손가락을 끼워 휴대 단말기를 휴대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회전 및 경사지게 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를 특정 물체 위에 거치시켜 놓을 수 있도록 하는 링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원판형 플레이트의 저면과 이에 접촉되는 상기 뚜껑체의 상면에 상기 원판형 플레이트가 사용자에 의해 정해진 각도로 회전되었을 때, 그 각도를 유지하도록 상호 마찰력 및 결합력을 제공하는 요철(凹凸)부를 각각 방사형으로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뚜껑체의 중앙에서 내측으로 삽입된 상기 회전 지지축의 단부와 고정 너트 사이에는 상기 원판형 플레이트의 저면과 상기 뚜껑체의 상면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을 지속적으로 제공해 주는 마찰력 증대용 스프링 및 와셔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기능형 휴대 단말기용 목걸이에 의하면, 각종 휴대 단말기 또는 단말기 케이스의 배면에 목줄의 길이 조절이 자유롭고, 또 스마트 링을 통해 손가락으로 파지가 가능하며, 또한 상기 스마트 링을 이용하여 책상 등에 원하는 각도로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휴대 단말기용 목걸이를 부착 설치하여 줌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체격이나 체형 및 기호 등에 맞게 목줄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한 상태에서 목에 걸거나 손목 스트랩 등의 형태로 휴대 또는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스마트 링에 손가락을 끼워 파지하고 휴대 또는 사용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스마트 링을 이용하여 원하는 방향 및 각도로 거치해 놓고 사용할 수 있어 각종 휴대 단말기를 보다 편리하고 간편하며 안전하게 휴대 및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무늬나 그림 등이 구비된 목줄을 사용자의 기호나 착용하는 의복의 색상 등에 맞춰 간단하게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용 목걸이의 외형상 미려함을 추구할 수 있음은 물론 장신구(즉, 악세서리로)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목줄의 어느 일면 또는 양면에 자눈금을 구비시켜 줄자로도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용 목걸이의 사용에 따른 가치 및 호환성 등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공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다기능형 휴대 단말기용 목걸이의 사시도.
도 2의 (a)(b)는 본 발명이 적용된 다기능형 휴대 단말기용 목걸이에서 목줄을 인출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다기능형 휴대 단말기용 목걸이의 평단면도 및 일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다기능형 휴대 단말기용 목걸이의 정단면도.
도 5의 (a)(b)는 본 발명이 적용된 다기능형 휴대 단말기용 목걸이 중 스마트 링에 대한 서로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가 위한 일부 확대 단면도.
도 2의 (a)(b)는 본 발명이 적용된 다기능형 휴대 단말기용 목걸이에서 목줄을 인출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다기능형 휴대 단말기용 목걸이의 평단면도 및 일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다기능형 휴대 단말기용 목걸이의 정단면도.
도 5의 (a)(b)는 본 발명이 적용된 다기능형 휴대 단말기용 목걸이 중 스마트 링에 대한 서로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가 위한 일부 확대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포함하여 각 구성에 따른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다기능형 휴대 단말기용 목걸이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의 (a)(b)는 본 발명이 적용된 다기능형 휴대 단말기용 목걸이에서 목줄을 인출시킨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다기능형 휴대 단말기용 목걸이의 평단면도 및 일부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다기능형 휴대 단말기용 목걸이의 정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5의 (a)(b)는 본 발명이 적용된 다기능형 휴대 단말기용 목걸이 중 스마트 링에 대한 서로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가 위한 일부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이 적용된 다기능형 휴대 단말기용 목걸이는 도 1 내지 도 5의 (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본체(10)와 뚜껑체(20), 목줄 권취력 발생수단(30), 목줄 어셈블리(40), 회전단속수단(50) 및 고정부재(60)를 포함하고, 이에 더하여 스마트 링(70)을 더 포함시켜, 사용자가 자신의 체격이나 체형 및 기호 등에 맞게 목줄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한 상태에서 목에 걸고 휴대 또는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스마트 링에 손가락을 끼워 파지하고 휴대 또는 사용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스마트 링(70)을 이용하여 원하는 방향 및 각도로 거치해 놓고 사용할 수 있어 각종 휴대 단말기를 보다 편리하고 간편하며 안전하게 휴대 및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상기 본체(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상면이 개구된 원통 또는 사각통 형상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통체 형상을 갖게 성형한 것으로, 외측 주연부에는 정해진 거리를 두고 목줄 삽입구(11)와 목줄 출입구(12)가 형성된 형태를 갖고, 내부에는 목줄 권취력 발생수단(30)과 목줄 어셈블리(40)가 착탈 가능하게 안치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부를 구비한 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중앙 바닥면에서 수직방향으로는 후술하는 목줄 권취력 발생수단(30)에 구비된 태엽형 리턴 스프링(31)의 내측 단부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켜 줌은 물론 스프링 보호캡(32)의 회전축 기능을 수행하는 스프링 고정겸 캡 회전축(13)이 더 구비된 형태를 갖는 것을 포함한다.
또, 상기 본체(10)의 내측에서 상기 목줄 삽입구(11)에 근접된 위치에는 목줄(42)의 외측 단부를 목줄 결합구(44)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목줄 고정부(14)가 더 구비된 것을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본체(10)의 주연부 내면에는 후술하는 뚜껑체(20)에 구비된 복수의 탄성 걸림고리(21)가 각각 탄력적으로 끼워져 걸려질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걸림홈(15)이 정해진 간격을 두고 더 형성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뚜껑체(20)도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대략 원판 형상으로 성형하여, 상기 본체(10)의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를 갖는다.
또, 상기 뚜껑체(20)의 중앙에는 후술하는 스마트 링(70)이 안치될 수 있는 링 안착홈(도면 부로 기입 생략함)이 더 형성된 것을 포함함은 물론, 외측 단부에서 하방부를 향해서는 복수의 탄성 걸림고리(21)가 돌출 형성된 것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뚜껑체(20)를 상기 본체(10)의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였을 때, 상기 뚜껑체(20)에 구비된 복수의 탄성 걸림고리(21)가 상기 본체(10)의 주연부 내면에 형성된 복수의 걸림홈(15)에 각각 탄력적으로 걸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상기 뚜껑체(20)가 상기 본체(10)의 개구부로부터 자유롭게 분리되지 않고 상호 결합된 상태 즉, 상기 뚜껑체(20)가 상기 본체(10)의 개구부를 완벽히 맏아주는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밖에도, 상기 뚜껑체(20)에는 후술하는 회전단속구(51)에 구비되는 조작돌기(512)가 상기 뚜껑체(2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돌기 출입공(22)을 포함하여, 스마트 링(70)의 원판형 플레이트(71)를 축지시켜 주는 회전 지지축(72) 통과공(도면 부호 기입 생략함) 등이 더 구비된 것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뚜껑체(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탄성 걸림고리(21)에 의해 상기 본체(10)의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예에 한정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본체(10) 및 상기 뚜껑체(20)의 결합부분에 각각 나사산을 형성시켜 주고 상기 뚜껑체(20)를 상기 본체(10)의 개구부에 일반 용기들과 같이 나사 결합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도 있음은 물론 복수의 걸림돌기 및 이들이 걸려지는 걸림홈을 상기 본체(10) 및 상기 뚜껑체(20)의 결합부분에 나선방향으로 정해진 간격을 두고 복수개를 형성시켜 작은 회전으로도 상호 분해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본체(10) 또는 상기 뚜껑체(20)에 비록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상기 목줄 어셈블리(40)에 구비된 목줄(42)을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원활히 잡고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손가락 파지홈을 더 형성시켜 줄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줄 권취력 발생수단(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 고정겸 캡 회전축(13)과 태엽형 리턴 스프링(31) 및 스프링 보호캡(32) 등으로 구성된 형태를 갖고, 상기 본체(10) 내의 중앙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회전단속수단(50)의 고정력 해제시(즉, 스토퍼 기능 해제시) 외부로 인출되어 있는 목줄(42)이 자동으로 본체(10) 내부로 삽입되며 목줄 어셈블리(40)의 권취릴(41) 외측에 권취되도록 복원력을 발생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목줄 권취력 발생수단(30)의 구성요소 중 상기 스프링 고정겸 캡 회전축(13)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중앙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된 형태를 갖고, 태엽형 리턴 스프링(31)의 내측 단부가 착탈 가능하도록 고정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스프링 보호캡(32)의 회전축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태엽형 리턴 스프링(31)은 내측 단부가 고정된 상기 스프링 고정겸 캡 회전축(13)의 외측에 두루말이식으로 권취된 형태를 갖되, 외측 단부는 스프링 보호캡(32)에 고정된 형태를 갖고, 목줄(42)의 자동 권취에 필요한 탄성 복원력을 직접적으로 발생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 보호캡(32)은 저면이 개구된 통체 형상을 갖고, 외측 단부가 고정된 상기 태엽형 리턴 스프링(31)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 상태에서, 중앙부가 상기 스프링 고정겸 캡 회전축(13)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상기 스프링 보호캡(32)은 통상시 후술하는 회전단속수단(50)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사용자가 본체(10)의 외측에서 목줄(42)을 당김으로 인해 발생되는 당김력에 대응하여 또는 상기 회전단속수단(50)의 단속력 해제시 발생하는 상기 태엽형 리턴 스프링(31)의 복원력에 대응하여 상기 스프링 고정겸 캡 회전축(13)을 중심축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목줄(42)이 본체(10)의 외부로 인출 또는 본체(10)의 내부로 자동 삽입되며 목줄 어셈블리(40)의 권취릴(41)에 권취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목줄 어셈블리(4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권취릴(41)과 소정길이를 갖는 목줄(42) 등으로 구성된 형태를 갖는 것으로, 상기 목줄 권취력 발생수단(30)의 외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권취릴(41)의 외면에 목줄(42)이 두루말이식으로 감겨진 형태를 갖고, 상기 목줄 권취력 발생수단(3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본체(10) 내에 목줄(42)이 도 1과 같이 삽입된 상태에 있다가 사용자에 의해 도 2의 (a)(b)와 같이 원하는 길이만큼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인출시켜 각종 휴대 단말기를 사용자의 목이나 손목 등에 걸고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목줄(42)의 내단부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목줄 고정구(43)를 통해 상기 권취릴(41)의 외측에 구비된 고정구 삽입부(41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본체(10)에 도 1 및 도 2의 (a)와 같이 목줄 출입구(12)와 목줄 삽입구(11)가 동시에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본체(10)의 목줄 출입구(12)를 통해 외부로 인출된 다음 목줄 삽입구(11)를 통해 다시 본체(10)의 내부로 삽입되는 목줄(42)의 외단부는 목줄 결합구(44)를 통해 상기 본체(10)의 내측에서 상기 목줄 삽입구(11)에 근접되게 형성되어 있는 목줄 고정부(14)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본체(10)에 도 2의 (b)와 같이 하나의 목줄 출입구(12)만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목줄(42)의 내단부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목줄 고정구(43)를 통해 상기 권취릴(41)의 외측에 구비된 고정구 삽입부(41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목줄(42)의 외단부는 목줄 결합구(44)를 통해 비록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상기 본체(10)의 내면에서 상기 목줄 출입구(12)에 근접되게 형성된 목줄 고정부(14)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를 가지게 된다.
이 경우, 두겹으로 접혀진 상태를 갖고, 일부가 상기 본체(10)에 형성된 하나의 목줄 출입구(12)를 통해 선택적으로 원하는 길이만큼 인출될 수 있게 설치된 목줄(42)의 경우에는 도 2의 (b)와 같이, 상기 목줄(42) 자체가 상기 목줄 권취력 발생수단(3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대략 클립 형상을 갖는 목줄 삽입 방지부재(80)를 더 설치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본체(10)에 하나의 목줄 출입구(12)만 형성하고, 이 목줄 출입구(12)를 통해 두겹으로 접혀진 목줄(42)을 원하는 길이만큼 인출시킬 경우,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인출된 목줄(42)의 단부가 상기 본체(10)의 목줄 출입구(12)를 통해 내,외부로 자유롭게 출입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지므로, 후술하는 회전단속수단(50)에 의해 그 회전이 차단되었던 상기 목줄 권취력 발생수단(30)의 회전단속을 회전단속수단(50)를 통해 해제할 경우, 상기 목줄(42) 자체가 상기 목줄 권취력 발생수단(3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상기 목줄 출입구(12)를 통해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목줄(42) 상에 도 2의 (b)와 같이, 상기 목줄 삽입 방지부재(80)를 더 설치하여 줌으로써, 상기 목줄 권취력 발생수단(30)의 회전단속 해제에 의해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인출되어 있는 상기 목줄(42)이 상기 목줄 권취력 발생수단(30)의 복원력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삽입되던 중 상기 목줄 삽입 방지부재(80)가 상기 본체(10)의 목줄 출입구(12) 외측에 걸려지게 되므로 상기 목줄(42) 자체가 상기 목줄 권취력 발생수단(3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스프링 보호캡(32)의 외면과 상기 목줄 어셈블리(40)의 상기 권취릴(41) 내면에는 각각 암수 결합 형태를 갖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릴 결합홈(321) 및 캡 결합돌기(411)를 구비시켜 줌으로써, 상기 목줄 어셈블리(40) 자체를 상기 스프링 보호캡(32)의 외측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목줄(42)은 띠상을 가짐은 물론 상기 목줄(42)의 어느 일면 또는 양면에는 도면 부호 기입을 생략한 다양한 무늬나 문양 또는 로그 또는 그림을 포함하여 도 1, 도 2의 (a)(b)와 같이 자눈금(421) 중 어느 하나를 더 구비시킨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적용된 휴대 단말기용 목걸이 내에 구비된 상기 목줄(42) 즉, 상기 목줄 어셈블리(40) 자체를 사용자의 기호나 착용하는 의복의 색상 등에 맞춰 간단하게 교체 사용할 수 있어 휴대 단말기용 목걸이의 외형상 미려함을 추구할 수 있음은 물론 장신구 등으로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줄자로도 사용할 수 있어 휴대 단말기용 목걸이의 사용에 따른 가치 및 호환성 등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목줄 어셈블리(40)를 교체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뚜껑체(20)를 상기 본체(10)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목줄(42)의 외단부에 구비된 목줄 결합구(44)를 본체(10)의 목줄 고정부(14)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상기 목줄(42)을 포함하는 권취릴(41)를 상기 목줄 권취력 발생수단(30)의 스프링 보호캡(32) 외측으로부터 분리시키고, 사용자가 원하는 목줄(42)이 구비된 새로운 목줄 어셈블리(40)를 전술한 바와 같은 형태로 다시 설치한 후, 상기 본체(10)의 개구부에 뚜껑체(20)를 다시 결합해 주는 것만으로 간단히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단속수단(50)은 도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회전저지돌기 삽입공(322)과 회전단속구(51), 단속구 리턴 스프링(52) 및 조작돌기 출입공(22) 등으로 구성된 형태를 갖고, 상기 뚜껑체(20)의 내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목줄 권취력 발생수단(30)의 회전을 단속하여 사용자에 의해 강제로 인출된 목줄이 그 길이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회전단속수단(50)의 구성요소 중 상기 복수의 회전저지돌기 삽입공(322)은, 상기 목줄 권취력 발생수단(30)의 스프링 보호캡(32) 상면에서 동일 원주상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방사형으로 형성된 형태를 갖고 후술하는 회전단속구(51)의 회전저지돌기(511)가 특정 위치의 회전저지돌기 삽입공(322)에 삽입되며 상기 목줄 권취력 발생수단(30)의 스프링 보호캡(32)에 대한 회전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회전단속구(51)는 일단부 저면에 회전저지돌기(511)가 구비되고 타단부 상면에는 조작돌기(512)가 구비된 형태를 갖고, 상기 뚜껑체(20)의 내측에서 상기 스프링 보호캡(32)의 상면 단부에 중간부 저면이 시소 형태로 작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 여부에 대응하여 상기 태엽형 리턴 스프링(31)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 작동하는 상기 스프링 보호캡(32)의 회전을 직접적으로 단속하는 스토퍼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회전단속구(51)의 일단부 저면에 돌출 성형된 회전저지돌기(511)는 단순한 돌기 형태로 성형하는 것보다, 목줄(42)이 당겨지는 방향의 저면을 경사지게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기 목줄(42)을 사용자가 강제로 당겨 인출할 때, 상기 회전단속구(51)를 조작하지 않더라도 상기 목줄(42)의 인출 길이에 대응하여 상기 목줄 어셈블리(40)의 권취릴(41)은 물론 상기 스프링 보호캡(32)에 회전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회전단속구(51)의 회전저지돌기(511)에 형성된 경사면이 현재 끼워져 있는 상기 스프링 보호캡(32)의 회전저지돌기 삽입공(322) 내면과 접하면서 상기 회전단속구(51)의 일단부 자동으로 승강하며 회전저지돌기(511)가 해당 회전저지돌기 삽입공(322)으로부터 빠져나오고, 이어서 도달하는 회전저지돌기 삽입공(322)에 끼워진 다음 상기 목줄(42)의 인출이 직속되는 동안 상기한 작동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기 회전단속구(51)의 일단부 저면에 돌출 성형된 회전저지돌기(511)의 저면 일측에 경사면을 형성시켜 주게 되면, 사용자가 목줄(42)을 강제적으로 당겨 인출시킬 때, 상기 회전단속구(51)의 조작돌기(512)를 별도로 조작하지 않고도 상기 목줄(42)을 원하는 길이만큼 인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속구 리턴 스프링(52)은 상기 뚜껑체(20)의 천정면과 상기 회전단속구(51)의 내측 상면 사이에 탄력적으로 설치된 형태를 갖는데, 이때 상기 뚜껑체(20)의 천정면과 상기 회전단속구(51)의 내측 상면에는 비록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단속구 리턴 스프링(5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단속구 리턴 스프링(52)의 상하단부 내에 각각 끼워지는 스프링 고정돌기 등을 더 형성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단속구 리턴 스프링(52)은 상기 회전단속구(51)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지 않는 통상시에는, 상기 회전단속구(51)의 회전저지돌기(511)가 상기 스프링 보호캡(32)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회전저지돌기 삽입공(322) 중 어느 한 회전저지돌기 삽입공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발력을 발생시켜 주고, 사용자가 상기 뚜껑체(20)의 외부에서 조작돌기(512)를 눌러 상기 회전단속구(51)의 회전단속 기능을 해제하다가 조작돌기(512)로부터 손을 떼었을 때, 상기 회전단속구(51)가 원위치로 돌아가며 상기 회전저지돌기(511)가 스프링 보호캡(32)의 회전저지돌기 삽입공(322)들 중 어느 한 회전저지돌기 삽입공에 삽입되게 탄성 복원력을 발생시켜 주게 된다.
또, 상기 조작돌기 출입공(2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뚜껑체(20)의 외부에서 조작돌기(512)를 통해 상기 회전단속구(51)를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뚜껑체(20)에 형성시킨 것으로, 상기 회전단속구(51)가 뚜껑체(20)의 내부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조작돌기(512)가 뚜껑체(20)의 내부에서 외부로 원활히 출입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상기 회전단속수단(50)로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자동 권취형 줄자에서 사용되고 있는 슬라이드형 잠금구를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상기 상기 회전단속수단(50)을 대신하여 목줄을 정해진 힘으로 당길때 인출되고, 원하는 길이만큼 인출한 다음 손을 떼는 순간 잠금기능이 작동되며, 이후 인출된 목줄을 본체의 내부로 권취시키고자 할 때에는 목줄을 살짝 외부로 잡아당겨 잠금기능을 해제시킨 후, 손을 놓게 되면 자동으로 권취되는 기능을 갖는 목줄인출 단속수단이 상기 목줄 권취수단 내에 내장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60)는 접착력이 매우 강한 양면 테이프 및 벨크로 테이브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 4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바닥면과 휴대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 커버의 배면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본 발명이 적용된 다기능형 휴대 단말기용 목걸이 자체가 휴대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 커버의 배면에 고정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이 적용된 다기능형 휴대 단말기용 목걸이에는 상기한 구성요소 이외에도 스마트 링(70)을 더 설치한 것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스마트 링(70)은 도 1, 도 2 및 도 4와 같이, 상기 뚜껑체(20)의 외측 상면 중앙에서 수평 및 경사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를 갖고, 사용자가 링 부재(73)를 원주방향은 물론 경사방향으로 원하는 각도만큼 회전시키고, 그 내부로 손가락을 끼워 휴대 단말기를 휴대하거나, 또는 링 부재(73)를 원하는 각도로 회전 및 경사지게 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를 특정 물체 위에 거치시켜 놓을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스마트 링(70)은 원판형 플레이트(71)와 회전 지지축(72) 및 링 부재(73) 등을 포함를 한다.
상기한 스마트 링(70)의 구성요소 중 상기 원판형 플레이트(71)는, 외주면 일부에 링 부재 결합돌부(711)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 형태를 갖고, 후술하는 회전 지지축(72)를 통해 상기 뚜껑체(20)의 상면 중앙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360도 회전 가능하게 축지된 상태에서 스마트 링(70) 전체를 포함하여 링 부재(73)의 회전각도를 일부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회전 지지축(72)은 리벳 또는 볼트와 너트 등으로 구성된 형태를 갖고, 상기 원판형 플레이트(71)가 상기 뚜껑체(20)의 상면 중앙에서 360도 회전 가능하도록 축지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링 부재(73)는 일부 절단된 부위가 상기 원판형 플레이트(71)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상기 링 부재 결합돌부(711)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된 형태를 갖는데, 이때 상기 링 부재(73)의 절단부위 또는 이 부분이 결합되는 상기 링 부재 결합돌부(711) 상에는 비록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상기 링 부재(73)가 상기 링 부재 결합돌부(711)에서 자유롭게 회전되지 않고 많은 마찰력을 받으며 억지로 회동되게 하여 사용자가 링 부재(73)를 원하는 경사각도로 회전시켰을 때 그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결합력 또는 회전 마찰력 증강부재 등을 더 구비시켜 줄 수 있다.
이와 같은 링 부재(73)는 사용자가 상기 원판형 플레이트(71)와 함께 상기 회전 지지축(72)을 중심으로 원주방향 회전시키고, 또한 상기 링 부재 결합돌부(711)를 기점으로 경사방향으로 원하는 각도만큼 회전시킨 다음, 그 내부로 손가락을 끼워 휴대 단말기를 휴대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회전 및 경사지게 한 상태에서 각종 휴대 단말기를 특정 물체 위에 경사지게 거치시켜 놓을 수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스마트 링(70)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를 휴대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회전 및 경사지게 한 상태에서 특정 물체(예를 들어 책상 등) 위에 경사지게 거치시켜 놓고 사용하는 상태 및 전술한 목줄을 이용하여 각종 휴대 단말기를 목이나 손목 등에 걸치고 휴대하는 상태 등은 기 알려진 형태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도면 제시는 생략한다.
또, 상기 원판형 플레이트(71)의 저면과 이에 접촉되는 상기 뚜껑체(20)의 상면에 각각 중심점 기점으로 도 5의 (a)와 같이, 요철부(74)를 연속해서 방사형으로 더 형성시켜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원판형 플레이트(71)의 저면과 이에 접촉되는 상기 뚜껑체(20)의 상면에 각각 요철부(74)를 방사형(즉, "*" 형상)으로 더 형성시켜 주게 되면, 사용자가 상기 원판형 플레이트(71)를 상기 회전 지지축(72)을 중심으로 원주방향 회전시킬 때, 마치 멧돌에서와 같이 각각의 철(凸)부가 요(凹)부에 억지로 끼워졌다가 다시 빠져나가는 동작이 반복되며 상호 마찰력이 크게 증대됨은 물론 사용자에 의해 정해진 각도로 회전되는 동작이 멈춰졌을 때, 그 각도를 유지하도록 상호 마찰력 및 결합력을 크게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원판형 플레이트(71)가 사용자의 의사와 다르게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이나 압력 등에 의해 상기 회전 지지축(72)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는 것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어, 상기 원판형 플레이트(71)의 회전각도가 사용자에 의해 조절된 각도를 완벽히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요철부(74) 대신 또는 상기 요철부(74)와 더불어 상기 뚜껑체(20)의 중앙에서 내측으로 삽입된 상기 회전 지지축(72)의 내단부와 고정 너트 사이에 도 5의 (b)와 같이 마찰력 증대용 스프링(75)을 포함하여 도면 부호 기입을 생략한 와셔 등을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 지지축(72)의 내단부에 상,하단부가 각각 상기 뚜껑체(20)의 천정면과 상기 고정 너트 또는 와셔와 밀착되는 상기 마찰력 증대용 스프링(75)을 설치해 주게 되면, 상기 마찰력 증대용 스프링(75)에서 발생되는 탄성력을 상기 회전 지지축(72)을 통해 상기 원판형 플레이트(71)의 상면에 더욱 강하게 제공할 수 있으므로 상기 원판형 플레이트(71)의 저면과 상기 뚜껑체(20)의 상면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을 더욱 강하게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원판형 플레이트(71)가 사용자의 의사와 다르게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이나 압력 등에 의해 상기 회전 지지축(72)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는 것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어, 상기 원판형 플레이트(71)의 회전각도가 사용자에 의해 조절된 각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상기 링 부재(73)의 위치를 변경 및 조절하기 위해 상기 원판형 플레이트(71)를 원하는 방향 및 각도로 회전시킬 때, 상기 요철부(74) 또는 마찰력 증대용 스프링(75)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 증대에 의해 상기 원판형 플레이트(71)가 적은 힘으로도 쉽게 회전하지 않고, 강한 힘을 주더라도 서서히 회전하게 되므로 본 발명의 목걸이가 구비된 각종 휴대 단말기를 상기한 스마트 링(70)을 이용하여 원하는 경사각도로 특정 물체 위해 거치시켜 놓았을 때, 그 각도를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줄 수 있다.
이때, 상기 스마트 링(7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뚜껑체(20)의 중앙에 형성된 링 안치홈 내에 삽입 설치된 형태를 갖게 되므로 상기 스마트 링(70)이 상기 뚜껑체(2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각각의 상면이 적어도 같은 면상을 유지하게 되어 본 발명이 적용된 목걸이를 각종 휴대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커버 배면에 부착하여 사용할 때, 상기 스마트 링(70)가 사용자의 행동에 지장을 주거나 걸리적거리는 등의 부작용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이 적용된 다기능형 휴대 단말기용 목걸이은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일반 목걸이와 같이 장신구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상기 목줄에 자눈금이 구비된 경우 상기와 같이 목걸이 또는 손목용 장신구 형태로 목 또는 손목에 착용하고 다니다가 필요에 따라 줄자로 사용할 수도 있고, 소형 핸드백이나 휴대용 가방 등에 1개 이상 부착하여 상기 핸드백 또는 휴대용 가방 등을 손으로 들고 다니거나 어께나 목 등에 걸거나 멜 수 있는 손목 스트랩 또는 손잡이 또는 멜방 또는 가방 끈 등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본체 11 : 목줄 삽입구
12 : 목줄 출입구 13 : 스프링 고정겸 캡 회전축
14 : 목줄 고정부 15 : 걸림홈
20 : 뚜껑체
21 : 탄성 걸림고리 22 : 조작돌기 출입공
30 : 목줄 권취력 발생수단
31 : 태엽형 리턴 스프링 32 : 스프링 보호캡
321 : 릴 결합홈 322 : 회전저지돌기 삽입공
40 : 목줄 어셈블리
41 : 권취릴 411 : 고정구 삽입부
42 : 목줄 421 : 자눈금
43 : 목줄 고정구 44 : 목줄 결합구
50 : 회전단속수단 51 : 회전단속구
511 : 회전저지돌기 512 : 조작돌기
52 : 단속구 리턴 스프링
60 : 고정부재
70 : 스마트 링
71 : 원판형 플레이트 711 : 링 부재 결합돌부
72 : 회전 지지축 73 : 링 부재
74 : 요철부 75 : 마찰력 증대용 스프링
80 : 목줄 삽입 방지부재
12 : 목줄 출입구 13 : 스프링 고정겸 캡 회전축
14 : 목줄 고정부 15 : 걸림홈
20 : 뚜껑체
21 : 탄성 걸림고리 22 : 조작돌기 출입공
30 : 목줄 권취력 발생수단
31 : 태엽형 리턴 스프링 32 : 스프링 보호캡
321 : 릴 결합홈 322 : 회전저지돌기 삽입공
40 : 목줄 어셈블리
41 : 권취릴 411 : 고정구 삽입부
42 : 목줄 421 : 자눈금
43 : 목줄 고정구 44 : 목줄 결합구
50 : 회전단속수단 51 : 회전단속구
511 : 회전저지돌기 512 : 조작돌기
52 : 단속구 리턴 스프링
60 : 고정부재
70 : 스마트 링
71 : 원판형 플레이트 711 : 링 부재 결합돌부
72 : 회전 지지축 73 : 링 부재
74 : 요철부 75 : 마찰력 증대용 스프링
80 : 목줄 삽입 방지부재
Claims (10)
- 내부에는 목줄 권취력 발생수단과 목줄 어셈블리가 착탈 가능하게 안치될 수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체와;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회전단속수단의 고정력 해제시 외부로 인출된 목줄이 자동으로 권취되게 하는 목줄 권취력 발생수단과;
상기 목줄 권취력 발생수단의 외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권취릴의 외면에 목줄이 두루말이식으로 감겨진 형태를 갖고, 상기 목줄 권취력 발생수단의 복원력에 의해 목줄이 본체 내에서 삽입된 상태에 있다가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길이만큼 본체의 외부로 인출되게 하는 목줄 어셈블리와;
상기 목줄 권취력 발생수단의 회전을 단속하여 사용자에 의해 인출된 목줄이 그 길이를 유지하도록 하는 회전단속수단과;
상기 본체의 바닥면을 휴대 단말기 또는 커버의 배면에 고정시켜 주는 고정부재; 및
상기 뚜껑체의 외측 중앙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링 부재를 원주방향 및 경사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링 부재에 손가락을 끼워 휴대 단말기를 휴대하거나, 또는 링 부재를 원하는 각도로 회전 및 경사지게 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를 특정 물체 위에 거치시켜 놓을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링;을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링은,
외주면 일부에 링 부재 결합돌부를 구비하고, 상기 뚜껑체의 상면 중앙에서 360도 회전 가능하게 축지되는 원판형 플레이트와;
상기 원판형 플레이트가 상기 뚜껑체의 상면 중앙에서 360도 회전 가능하도록 축지시켜 주는 회전 지지축과;
절단된 부위가 상기 원판형 플레이트의 링 부재 결합돌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된 형태를 갖고, 사용자가 상기 원판형 플레이트와 함께 회전 지지축을 중심으로 원주방향 및 상기 링 부재 결합돌부를 중심으로 경사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그 내부로 손가락을 끼워 휴대 단말기를 휴대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회전 및 경사지게 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를 특정 물체 위에 거치시켜 놓을 수 있도록 하는 링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형 휴대 단말기용 목걸이.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목줄 권취력 발생수단은,
상기 본체의 중앙에 돌출 형성된 상태에서 태엽형 리턴 스프링의 내측 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게 하는 스프링 고정겸 캡 회전축과;
내측 단부가 고정된 상기 스프링 고정겸 캡 회전축의 외측에 권취된 상태에서, 외측 단부는 스프링 보호캡에 고정된 형태를 갖고, 목줄의 자동 권취에 필요한 탄성 복원력을 발생시켜 주는 태엽형 리턴 스프링과;
상기 태엽형 리턴 스프링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에서 목줄의 권취릴과 함께 상기 스프링 고정겸 캡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를 갖고, 상기 목줄의 당김력 또는 상기 태엽형 리턴 스프링의 복원력에 대응하여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목줄이 인출 또는 권취되게 하는 스프링 보호캡;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형 휴대 단말기용 목걸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목줄 어셈블리의 권취릴 외부에 권취된 목줄의 내단부는 목줄 고정구를 통해 상기 권취릴의 외측에 구비된 고정구 삽입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목줄의 외단부는 목줄 결합구를 통해 상기 본체의 내측에서 형성된 목줄 고정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형 휴대 단말기용 목걸이.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보호캡의 외면과 목줄 어셈블리의 권취릴 내면에는 각각 적어도 2개 이상의 릴 결합홈 및 캡 결합돌기를 구비시켜, 상기 목줄 어셈블리를 상기 스프링 보호캡의 외측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형 휴대 단말기용 목걸이.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목줄은,
띠상을 갖고, 상기 목줄의 어느 일면 또는 양면에는 다양한 무늬나 문양 또는 로그 또는 그림 또는 자눈금 중 어느 하나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형 휴대 단말기용 목걸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단속수단은,
상기 목줄 권취력 발생수단의 스프링 보호캡 상면에서 동일 원주상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방사형으로 형성시킨 복수의 회전저지돌기 삽입공과;
일단부 저면과 타단부 상면에 각각 회전저지돌기와 조작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뚜껑체의 내측에서 스프링 보호캡의 상면 단부를 기점으로 시소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를 갖고, 스프링 보호캡의 회전을 직접적으로 단속하는 회전단속구와;
상기 뚜껑체의 천정면과 상기 회전단속구의 내측 상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단속구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지 않을 때, 상기 회전단속구의 회전저지돌기가 스프링 보호캡에 형성된 복수의 회전저지돌기 삽입공 중 어느 한 회전저지돌기 삽입공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상기 회전단속구를 조작한 후 손을 떼었을 때, 상기 회전단속구가 원위치로 돌아가며 상기 회전저지돌기가 스프링 보호캡의 회전저지돌기 삽입공들 중 어느 한 회전저지돌기 삽입공에 삽입되게 탄성 복원력을 발생시켜 주는 단속구 리턴 스프링과;
상기 회전단속구를 사용자가 외부에서 조작돌기를 통해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뚜껑체에 형성시킨 조작돌기 출입공;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형 휴대 단말기용 목걸이.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판형 플레이트의 저면과 이에 접촉되는 상기 뚜껑체의 상면에 상기 원판형 플레이트가 사용자에 의해 정해진 각도로 회전되었을 때, 그 각도를 유지하도록 상호 마찰력 및 결합력을 제공하는 요철부를 각각 방사형으로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형 휴대 단말기용 목걸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뚜껑체의 중앙에서 내측으로 삽입된 상기 회전 지지축의 단부에는 상기 원판형 플레이트의 저면과 상기 뚜껑체의 상면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을 지속적으로 제공해 주는 마찰력 증대용 스프링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형 휴대 단말기용 목걸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3613A KR102528155B1 (ko) | 2021-10-26 | 2021-10-26 | 다기능형 휴대 단말기용 목걸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3613A KR102528155B1 (ko) | 2021-10-26 | 2021-10-26 | 다기능형 휴대 단말기용 목걸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28155B1 true KR102528155B1 (ko) | 2023-05-02 |
Family
ID=86387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43613A KR102528155B1 (ko) | 2021-10-26 | 2021-10-26 | 다기능형 휴대 단말기용 목걸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28155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2245Y1 (ko) | 2000-06-03 | 2000-11-15 | 홍석길 | 길이 조절이 가능한 핸드폰줄 |
KR200240146Y1 (ko) * | 2001-04-14 | 2001-10-11 | 최기석 | 목걸이줄 |
KR20020020328A (ko) * | 2000-09-08 | 2002-03-15 | 강정진 | 장신용 악세사리 겸 휴대폰용 목걸이줄 |
KR200336835Y1 (ko) | 2003-09-25 | 2003-12-24 | 명성통신 주식회사 | 목걸이줄 권취 장치 |
KR101453889B1 (ko) | 2014-03-28 | 2014-10-23 | 권연욱 |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
CN209787257U (zh) * | 2019-07-18 | 2019-12-13 | 文芳 | 一种便捷式手机壳 |
-
2021
- 2021-10-26 KR KR1020210143613A patent/KR10252815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2245Y1 (ko) | 2000-06-03 | 2000-11-15 | 홍석길 | 길이 조절이 가능한 핸드폰줄 |
KR20020020328A (ko) * | 2000-09-08 | 2002-03-15 | 강정진 | 장신용 악세사리 겸 휴대폰용 목걸이줄 |
KR100404750B1 (ko) | 2000-09-08 | 2003-11-07 | 강정진 | 장신용 악세사리 겸 휴대폰용 목걸이줄 |
KR200240146Y1 (ko) * | 2001-04-14 | 2001-10-11 | 최기석 | 목걸이줄 |
KR200336835Y1 (ko) | 2003-09-25 | 2003-12-24 | 명성통신 주식회사 | 목걸이줄 권취 장치 |
KR101453889B1 (ko) | 2014-03-28 | 2014-10-23 | 권연욱 |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
CN209787257U (zh) * | 2019-07-18 | 2019-12-13 | 文芳 | 一种便捷式手机壳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411748B1 (en) | Telecommunications cell and satellite phone case with stylus pen and storage compartment for the pen | |
US20150173497A1 (en) | Apparatus And Methods For Carrying Electronic Devices | |
KR101891667B1 (ko) |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 |
KR101453889B1 (ko) |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 |
US11552667B2 (en) | Adaptive support accessory for mobile devices | |
US8328055B1 (en) | Wrist holder for a smartphone or personal digital assistant | |
US8408513B2 (en) | Holder systems for mobile devices | |
JP4899770B2 (ja) | ヘッドホン装置 | |
WO2007095427A2 (en) | Ring system for securing devices | |
US20150318885A1 (en) | Mobile electronic device holder | |
US20140085814A1 (en) | Portable Computer Support | |
US11026502B1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leash and associated use thereof | |
US20150097008A1 (en) | Lockable attachment device for a mobile phone or other hand held device | |
US20150289634A1 (en) | Reel-case phone case | |
WO2014163233A1 (ko) | 교체형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 |
KR200466549Y1 (ko) | 단말기용 핑거 홀더 | |
US6357641B1 (en) | Accessory holder | |
KR101837311B1 (ko) |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 |
US20170231374A1 (en) | Hanger for an electronic device | |
US20150139469A1 (en) | Secure Storage Device for Wireless Headsets | |
KR102528155B1 (ko) | 다기능형 휴대 단말기용 목걸이 | |
US20190297982A1 (en) | Hat with Hat-Band Loops | |
US20180062686A1 (en) | Tethered Stylus within a concealed compartment of a protective case | |
KR20160125056A (ko) | 모바일기기 파지용 액세서리 | |
CN208956135U (zh) | 一种指环扣可旋转的手机壳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