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8441B1 - 몰래카메라 탐지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몰래카메라 탐지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8441B1
KR102138441B1 KR1020180151264A KR20180151264A KR102138441B1 KR 102138441 B1 KR102138441 B1 KR 102138441B1 KR 1020180151264 A KR1020180151264 A KR 1020180151264A KR 20180151264 A KR20180151264 A KR 20180151264A KR 102138441 B1 KR102138441 B1 KR 102138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ring
mounting
det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1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4756A (ko
Inventor
이성훈
Original Assignee
이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훈 filed Critical 이성훈
Priority to KR1020180151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8441B1/ko
Publication of KR20200064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4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8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8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 보조 장치는, 카메라 렌즈와 플래시로 이루어진 촬영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몰래카메라 탐지 기능을 구비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촬영부의 표면에 부착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에 연결되거나 상기 거치부 내에 포함된 상태에서 적색 셀로판지를 구비한 탐지부;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몰래카메라 탐지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 보조 장치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색 셀로판지를 구비하여 몰래카메라를 손쉽게 탐지할 뿐 아니라 적색 셀로판지의 휴대성을 강화하고, 거치 기능을 겸비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확장하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몰래카메라 탐지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 보조 장치{AUXILIARY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WITH FUNCTION OF DETECTING HIDDEN CAMERA}
본 발명은 몰래카메라 탐지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간이식 적외선 탐지기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적색 셀로판지를 간편하고 편리한 방식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탈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몰래 카메라는 일명 '몰카'로도 명명되는 것으로, 상대방이 모르게 상대방을 녹화하는 카메라를 의미한다.
스마트폰 및 소형 카메라의 발달의 부작용으로 특히 몰래카메라가 촬영 대상이 원하지 않는 영상을 촬영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데 가장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것은 여성의 신체를 몰래 촬영하는 행위라 할 수 있다. 이때 몰래카메라는 공공장소는 물론 공중화장실이나 모텔 등에서 은닉되어 교묘한 수법과 기법으로 여성이 알지 못하게 신체 부위를 촬영하고 있다.
이러한 몰래카메라 촬영은 명백한 범죄 행위로서 그 처벌을 강화하고 있지만, 날이 갈수록 카메라가 소형화되면서 일상적인 주의와 의식 수준으로 쉽게 발견하기 힘들어 여성들에게 적지 않은 스트레스를 일으키고 있다.
최근에 한 방송에서 일반인들이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카메라를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 예를 들어 스마트폰에 셀로판지를 붙여 몰래카메라를 탐지하는 방법이 공개되었다.
구체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와 플래시 부위 동시에 적색 셀로판지를 붙인 다음 플래시를 작동시켜 촬영하면 몰래카메라 렌즈가 반사되어 반짝이며 빛을 내어서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몰래카메라를 손쉽게 발견할 수 있다는 원리이다. 이는 적색 반투명 성질을 가진 셀로판지가 가시광선 파장을 가장 적절하게 검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카메라 렌즈에 가장 잘 반사된다는 간이형 적외선 탐지기의 원리와 비슷한 것이다.
이와 같은 간편한 방법을 활용하여 여성들이 화장실이나 개인 숙박업소 등의 몰래카메라를 발견할 수 있으나, 정상적인 카메라 활용을 위해서는 적색 셀로판지를 항시 카메라 렌즈와 플래시에 붙인 상태를 유지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적색 셀로판지가 카메라 렌즈와 플래시에 잘 붙지 않을 수도 있고 더 나아가 적색 셀로판지를 휴대하기가 번거롭다는 문제가 따른다.
더불어, 적색 셀로판지를 카메라 필터로 활용하는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국내 특허 제 1862219호인 입체 영상을 이용하는 스크린 사격 시스템의 운용 방법에 대한 기술이 게시되어 있다.
이 기술에 의하면, 스크린 표적에 광 포인트를 출력하고 이 광 포인트를 검출하기 위하여 적색 셀로판지를 붙인 카메라를 활용함으로써 간편하게 광 포인트를 파악하는 기능을 제공한다고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이 기술 역시 적색 셀로판지가 카메라 렌즈에 항시 붙어 있어, 일상적이자 정상적인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기능을 활용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적색 셀로판지에 의해 몰래카메라의 렌즈를 쉽게 탐지하되 카메라 렌즈와 플래시에 간편하게 탈착 가능한 구조와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보조 장치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거치 기능을 제공하면서 촬영부에 탈착되어 간이식 적외선 탐지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여 몰래카메라를 탐지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거치부의 다양한 구조를 제공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도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탐지부의 다양한 구조를 제공하여 역시 사용의 편의성을 추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거치 및 탐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적색 셀로판지의 인입 및 인출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스마트폰과 연동되어 적색 셀로판지에서 감지된 몰래카메라의 광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몰래카메라 탐지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 보조 장치는, 카메라 렌즈와 플래시로 이루어진 촬영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몰래카메라 탐지 기능을 구비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촬영부의 표면에 부착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에 연결되거나 상기 거치부 내에 포함된 상태에서 적색 셀로판지를 구비한 탐지부;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촬영부가 위치한 일 면에 부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서 회동 및 각도 조절 가능한 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거치부는, 탄성을 가진 상태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탈착 가능한 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링은, 복수 개의 보조 링이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탐지부는, 최외측에 위치한 상기 보조 링에 연결되거나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거치부는, 중공부와, 상기 중공부에서 외측 면으로 내통된 상태에서 상기 외측 면에 슬릿을 구비하고, 상기 탐지부는, 롤러 축에 의해 회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적색 셀로판지를 와인딩 처리한 롤러로 이루어져, 상기 롤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슬릿을 통해 상기 적색 셀로판지를 인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몰래카메라 탐지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 보조 장치에 의하면,
1)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색 셀로판지를 구비하여 몰래카메라를 손쉽게 탐지할 뿐 아니라 적색 셀로판지의 휴대성을 강화하고,
2) 거치 기능을 겸비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확장하며,
3) 거치 기능과 탐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통해 활용성을 증강시킴과 동시에,
4)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탐지된 몰래카메라의 존재 여부를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알릴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 보조 장치의 기본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거치부가 회동 및 각도 조절 가능한 링 구조인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거치부가 밴드 구조인 것을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거치부가 복수 개의 보조 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탐지부가 롤러 구조인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탐지부가 접철 구조인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거치부가 익스텐션 링을 구비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 보조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 보조 장치의 기본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우선, 본 발명에서의 이동통신 단말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10)라 함은 카메라 렌즈(11)와 플래시(12)를 포함한 상태에서 통신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휴대폰, 핸드폰, 셀 폰, 모바일 단말을 비롯하여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고, 더 나아가 통신 기능이 없는 영상 플레이어, 음악 재생기 등과 같은 범용의 휴대용 전자기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도 가능하다.
더불어, 본 발명의 보조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10)에 직접 부착되는 것은 물론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이동통신 단말기(10)를 보호하는 케이스, 즉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에 부착되는 것이 가능하며, 별도의 설명이 없는 경우 본 발명의 보조 장치는 이러한 양자에 선택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촬영부(15)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카메라 렌즈(11)와 플래시(12)를 합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주로 카메라 렌즈(11)를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나 대개의 이동통신 단말, 특히 스마트폰에서 촬영부(15)는 카메라 렌즈(11) 주변에 플래시(12)가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카메라 렌즈(11)와 플래시(12)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촬영부(15)의 표면은 카메라 렌즈(11)와 플래시(12)의 표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스마트폰을 예를 들면 제조사 별로 스마트폰 표면에서 돌출되어 있거나(예를 들어, 애플사의 아이폰) 아니면 평면으로 이루어져 있는 면으로서 후술할 적색 셀로판지(300)가 부착되는 부위에 해당된다.
더 나아가, 도면에 첨부된 각각의 거치부(100)와 탐지부(200)는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구조와 양자의 조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도 2의 거치부(100)에 도 5의 탐지부(200)가 적용될 수 있는 것과 같이 어느 하나의 도면에 도시된 거치부(100)의 실시예가 다른 도면의 탐지부(200)의 실시예와 다양한 조합이 가능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보조 장치는 거치부(100)와 탐지부(200)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거치부(1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 및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 중 어느 하나의 촬영부(15)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후술할 탐지부(200)의 적색 셀로판지(300)를 보관/연결하거나 인출할 수 있는 물리적 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자가 간편하게 거치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거치부(100)는 첨부된 도면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다양한 형상과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후술하겠지만, 거치부(100)는 회동 및 각도 조절 가능한 링 구조로 이루어져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자가 쉽게 파지 및 거치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더불어 밴드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손을 끼워 거치할 수 있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즉, 거치부(100)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거치의 편의성을 제공함과 더불어 탐지부(200)를 수용하거나 탐지부(200)와 연결되어 적색 셀로판지(300)가 촬영부(15)의 표면에 도달할 수 있는 공간 내지 물리적 구조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거치부(100)는 촬영부(15) 근방에 장착되거나 아니면 탐지부(200)에서 적색 셀로판지(300)가 촬영부(15)를 덮을 수 있는 구조(예를 들어 길이 조절 가능한 구조)를 확보한 상태에서 촬영부(15)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일 면의 중앙 부위 등에 장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거치부(100)는 촬영부(15)의 둘레 주변에 11자 형태로 이루어진 가이드 레일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가이드 레일에 후술할 적색 셀로판지(300)를 구비한 탐지부(20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착될 수 있다. 이때, 탐지부(200)는 중앙 부위에는 적색 셀로판지(300)를 구비하고 그 둘레에는 적색 셀로판지(300)보다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진 프레임 구조를 취하여, 이 프레임 구조에 의하여 탐지부(200)가 쉽사리 구겨져 가이드 레일에 삽입 자체가 되지 않거나 삽입이 어려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탐지부(200)는 상술한 거치부(100)에 포함되거나 연결된 상태에서 적색 셀로판지(300)를 구비함으로써, 적색 셀로판지(300)가 촬영부(15)의 표면을 안정적으로 덮을 수 있는 것을 보조하는 역할을 제공한다.
도 1의 탐지부(200)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실시예로서, 거치부(100)의 일 측에서 촬영부(15)에 이르도록 일정 면적으로 이루어진 적색 셀로판지(300) 자체로 이루어지거나 아니면 거치부(200) 내부에 중공부(110)를 확보한 다음 이 중공부(110)와 내통된 입구를 통해 중공부(110)에 보관 및 인출이 가능한 보관 케이스(210)로 이루어져 이 내부에 적색 셀로판지(300)를 보관 및 인출할 수 있다.
탐지부(200)가 적색 셀로판지(300) 자체인 경우를 예시하면, 거치부(100)의 중공부(110)에 탐지부(200), 즉 적색 셀로판지(300)가 보관이 된 상태에서 거치부(100)의 입구 측에 개폐 가능한 커버가 장착되어 커버의 개폐를 통해 중공부(100)에 탐지부(200)를 보관하거나 인출할 수 있다.
또한 탐지부(200)가 보관 케이스(210)로 이루어진 경우를 예시하면, 복수 매수의 적색 셀로판지(300)를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보관 파트(211)와, 보관 파트(211)의 일 측에서 개폐 가능한 커버(212)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적색 셀로판지(300)는 촬영부(15)의 표면을 덮을 수 있는 사이즈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중공부(110) 내지 탐지부(200) 내에 펼쳐진 상태 또는 접힌 상태로 보관이 되고 바람직하게는 이면에 점착층이 코팅되어 있어 촬영부(15)의 표면에 밀착했을 때 쉽사리 촬영부(15)에서 떨어지거나 분리되지 않도록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적색 셀로판지(300)를 촬영부(15)의 표면에 붙인 다음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카메라 모드에서 주변 영상을 촬영하거나 아니면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주변을 실시간 영상으로 확인할 때,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 화면은 적색 셀로판지(300)로 인해 적색 바탕을 띠게 되는데 만일 몰래카메라가 촬영 중일 경우 이 적색 바탕에서 몰래카메라가 위치한 일 지점이 반짝이는 것, 즉 발광되는 것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된 적색 셀로판지(300)는 다시금 중공부(110)에 보관하여 재사용하거나 아니면 1회용 소모품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 구성에 의하면, 적색 셀로판지(300)를 보관할 수 있는 물리적 공간을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일 측에 제공함으로써 몰래카메라 설치가 의심되는 장소에서 사용자가 간편하게 적색 셀로판지(300)를 촬영부(15)의 표면에 붙여 주변을 촬영하거나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관찰하여 몰래카메라를 손쉽게 발견 및 탐지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거치부가 회동 및 각도 조절 가능한 링 구조인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따른 거치부(1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 및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 중 어느 하나의 촬영부(15)가 위치한 일면에 부착되는 베이스(120)와, 베이스(120)에서 힌지를 매개로 회동(수평 방향의 제자리 회전) 및 각도 조절(궤적을 그리면서 회전) 가능한 링(130)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도 2에 따른 거치부(100)에서 링(130)은 사용자의 손가락을 끼울 수 있어 파지의 용이성을 담보하는 것은 물론 회동(수평 기준 회전) 및 각도 조절(상부 공간을 향해 회전)이 가능하여 바닥에 이동통신 단말기(10)를 올린 다음 힌지를 매개로 특정 각도로 기울도록 링(130)을 조절시키면 이동통신 단말기(10)의 거치대로서 활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조는 국내 특허 제 1062557호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되어 있을 뿐 아니라 현재 널리 활용되고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 구조와 동일하기 때문에 별도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거치부(100)가 도 2와 같은 구조일 경우, 도 1에서 설명한 중공부(110)는 베이스(120) 및 링(130) 중 어느 하나의 일 측에 형성될 수 있고 탐지부(200)는 적색 셀로판지(300) 자체 또는 적색 셀로판지(300)를 수용하는 보관 케이스(210)일 수 있다. 특히, 도 2에서와 같이 링(130)에 중공부(110)가 형성될 경우에는 중공부(110)가 형성된 링 부위가 다른 링 부위에 비해 두껍게 처리되어 중공부(110) 및 입구(111)의 체적을 적절하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고 적색 셀로판지(300)는 이에 말아 보관할 수 있다.
더불어, 탐지부(200)가 적색 셀로판지(300) 자체로 이루어질 경우 중공부(110)의 입구(111)는 적색 셀로판지(3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 개폐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거치부가 밴드 구조인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에 따른 거치부(100)는 사용자의 손에 끼울 수 있는 밴드(140)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촬영부(15)가 형성된 면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양 단이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일 부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밴드(140)의 양 단이 결합되는 2개의 걸림 부재(141)를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특정 부위에 결합하거나 부착하고 이 2개의 걸림 부재(141)를 밴드(140)가 잇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의미이다.
밴드(140)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신축이 가능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와 밴드(140) 사이에 사용자의 손을 끼워 이동통신 단말기(10)를 손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밴드 구조의 거치부(100)에서, 도 1에서와 같이 중공부(110)를 구비하여 이에 적색 셀로판지(300)가 수용된 보관 케이스(210) 구조의 탐지부(200)를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니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140)가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촬영부(15)의 표면을 지나도록 이동통신 단말기(10)의 길이 또는 폭 방향을 따라 연장이 되고 탐지부(200)는 전면 중앙 부위에 적색 셀로판지(300)가 장착된 구조의 패널 형태를 가지되 이 패널의 일 측 또는 양 측 부위에 ㄷ자로 절곡된 결합부(220)를 구비하여 탐지부(200)가 밴드(14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아니면,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탐지부(200)의 측면에 결합 홈이 관통 형성되어 이 결합 홈을 통해 밴드(140)와 결합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탐지부(200)가 밴드(1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정상적인 카메라 촬영 시에는 투명 재질의 밴드(140)가 촬영부(15)를 덮은 상태로 정상적인 촬영을 하다가 몰래카메라 탐지 시에는 촬영부(15)의 표면 측으로 탐지부(200)를 이동시켜 촬영부(15)의 표면을 덮은 다음 몰래카메라를 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거치부가 복수 개의 보조 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에 따른 거치부(100)는 도 2의 거치부(100)를 특화시킨 것으로서, 도 4를 참조하면 도 2의 링(130)이 복수 개의 보조 링(135)으로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보조 링(135)은 보조 힌지(136)를 매개로 접철 가능하게 연결이 되어 전체의 보조 링(135)을 펼쳤을 때 촬영부(15)를 향해 일렬로 연장 배치가 되며, 보조 링(135)을 접었을 때에는 예를 들어 3개의 보조 링(135)이 구비된 경우 1번 보조 링(135) 위에 2번 보조 링(135)이 적층되고 2번 보조 링(135) 위에 3번 보조 링(135)이 적층되는 것과 같이 상호 적층이 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각 보조 링(135)이 적층된 경우에 불필요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예를 들어 1번 보조 링(135)에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 2번 보조 링(135)의 일 면에는 이 결합 돌기를 수용하는 수용 홈이 형성되며 2번 보조 링(135)의 타 면에는 역시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 3번 보조 링(135)의 대응 면에는 수용 홈이 형성되는 방식으로 각각의 보조 링(135)이 적층되었을 때 불필요한 이탈을 방지하는 보조 결합 수단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결합 수단에 의한 결합 관계를 해제하고자 할 때에는 사용자가 가벼운 외력을 제공하여 수용 홈에서 결합 돌기를 빼어내는 방식으로 상호 분리/해제가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보조 링(135)은 서로 다른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총 3개의 보조 링(135)이 구비된 상태에서 거치부(100) 또는 베이스(120)에 가장 가까운 보조 링(135)을 1번 보조 링이라 하고, 그 다음 보조 링을 2번 보조 링, 최외측 보조 링을 3번 보조 링이라 할 때 1,2,3번으로 연속될수록 그 직경이 순차적으로 작아진다는 의미이다.
이 경우, 각 보조 링(135)을 순차적으로 접으면 1번 보조 링 내에 2번 보조 링이 삽입되고 2번 보조 링 내에 3번 보조 링이 삽입되어 상술한 적층 구조에 비해 보조 링(135)의 결합 높이가 감소되어 휴대 및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다는 특성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거치부(100)가 복수의 보조 링(135)을 구비한 경우에 탐지부(200)는 도 2의 탐지부(200)와 같이 최외측 보조 링(상술한 예에서 3번 보조 링)의 외측 일 부위에 형성된 중공부(110)에 보관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보조 링(135)을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대략적인 중앙 부위에 장착하되 이들을 펼쳤을 경우 촬영부(15)에 이르기까지 연장이 가능하여 보조 링(135)의 안정적인 파지/거치 기능을 보장하면서도 별다른 신장 수단 없이 탐지부(200)가 촬영부(15)의 표면을 안정적으로 덮을 수 있고, 각각의 보조 링(135)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각각 끼워 보다 확실한 파지 기능을 담보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어느 하나의 보조 링(135)만 접거나 펼쳐 보다 다양한 거치 각도와 거치 위치를 설정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가 별도로 사용하는 이어폰 줄을 감아 보조 링(135)으로 잡아 둘 수 있다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탐지부가 롤러 구조인 것을 도시한 부분 확대 투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탐지부(200)가 원활한 거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거치부(100)가 촬영부(15) 주변으로 쏠리지 않고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중앙 부위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탐지 기능을 위해서는 거치부(100)가 대개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상단 측에 형성된 촬영부(15) 근방에 위치해야 좋은바 이처럼 탐지부(200)의 위치가 탐지 및 거치 보조 기능을 위해 각기 달라질 수 있다는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하여, 도 5의 실시예는 탐지부(200)가 거치부(100)에서 인출 및 인입 가능하도록 거치부(100)의 중공부(110) 내에 롤러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도시한 실시예이다.
도 5에 따른 탐지부(200)는 거치부(100) 내에 형성된 중공부(110)에 적색 셀로판지(300)가 와인딩(winding) 처리된 롤러(230)를 리와인딩하여 슬릿을 통해 적색 셀로판지(300)를 인출하여 촬영부(15)의 표면을 덮을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탐지부(200)는 중공부(110)의 일 측에 장착된 롤러 축(23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롤러(230)를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해당 중공부(110)는 커버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롤러(230)는 적색 셀로판지(300)를 권취 처리하고 있는데, 만일 롤러(230)에 권취된 적색 셀로판지(300)의 점착력이 다한 경우 커버를 개방하여 중공부(110)의 개방된 공간을 통해 용이하게 적색 셀로판지(300)를 교체할 수 있다.
더불어, 중공부(110)와 내통된 거치부(100)의 일 측 부위에는 슬릿 또는 입구(111)가 형성되어 적색 셀로판지(300)의 단부를 당기거나 롤러(230)를 리와인딩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를 통해 롤러(230)에서 적색 셀로판지(300)가 외부로 인출되어 촬영부(15)의 표면을 덮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적색 셀로판지(300)의 이면(촬영부 대향 면)에는 촬영부(15)의 표면에 점착되기 위한 점착층이 도포될 수 있는데, 이 점착층은 적색 셀로판지(300)의 이면 전체가 아니라 끝단 주변 부위(촬영부를 덮을 수 있는 부위)에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점착층은 다른 도면에 도시된 적색 셀로판지(300)에서도 적용 가능하다.
더 나아가, 적색 셀로판지(300)의 단부는 사용자가 적색 셀로판지(300)를 용이하게 잡아당길 수 있도록 마치 공지의 태엽 스프링 구조의 줄자의 단부와 같이 L자로 절곡되거나 슬릿 내로 빨려 들어가지 않도록 다른 부위보다 두께가 두껍게 처리된 그립부가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적색 셀로판지(300)의 단부, 구체적으로 그립부를 포함한 부위 또는 그립부 주변 부위에는 결합 부재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결합 부재는 이동통신 단말기(10) 및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 중 어느 하나의 촬영부(15) 주변 일 측에 결합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결합 부재가 돌기로 형성된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대응 부위에 홈이 형성되어 결합 부재가 탈착될 수 있고, 결합 부재가 고리일 경우에는 촬영부(15) 주변 부위인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의 경계 부위에 이 고리를 끼워 결합시킬 수도 있다. 다만, 결합 위치 확보 및 안정적인 결합 관계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결합 부재와 결합이 될 수 있는 세부 구조를 구비한 별도의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결합 부재는 롤러(230)에 후술할 태엽 스프링(231)이 구비된 구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적색 셀로판지(300)는 롤러(230)에서 촬영부(15)에 이르도록 풀렸다 감는 것을 반복하는 구조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1회용 적색 셀로판지(300)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한데 이때에는 롤러(230)에 감겨진 적색 셀로판지(300)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점선 형태로 절취선이 함입 형성되어 적색 셀로판지(300)를 절취하여 1회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거치부(100)가 반드시 촬영부(15) 주변에 위치하지 않더라도 거치부(100)에서 적색 셀로판지(300)를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사용할 수 있다는 특성을 제공한다.
더 나아가, 도 5의 부분 확대도를 보아 알 수 있듯이 탐지부(200)는 마치 공지의 태엽 스프링 방식의 줄자와 같이 롤러(230)에 태엽 스프링(232)이 구비되고 적색 셀로판지(300)는 이 태엽 스프링(232)에 와인딩 처리되어 사용자가 적색 셀로판지(300)를 잡아당겼을 때 촬영부(15)까지 늘어나고 사용자가 적색 셀로판지(300)를 손에서 놓으면 태엽 스프링(232)의 탄성에 의해 자동으로 감겨 원상 복원될 수 있는 구조이다.
이때, 적색 셀로판지(300)가 촬영부(15) 주변에 위치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손을 놓으면 다시 태엽 스프링(232)에 감기기 때문에 필수적으로 상술한 결합 부재가 적색 셀로판지(300)의 단부에 형성되어 결합 부재와 이동통신 단말기(또는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의 결합관계에 의해 원상 복원되는 것을 방지하고 결합 부재의 결합 관계를 해제하였을 때에만 비로소 원상 복원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사용이 완료된 적색 셀로판지(300)를 사용자가 복원시키기 위해 롤러(230)를 다시 감아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탐지부가 접철 구조인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에 따른 탐지부(200)는 적색 셀로판지(300)가 말려 있는, 다시 말해 접철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따른 탐지부(200)는 거치부(100)의 일 측에 연결된 상태에서 적색 셀로판지(300)가 말려 있는 롤링 파트(240)를 구비한다.
롤링 파트(240)는 적색 셀로판지(300) 자체를 말아 놓은 것으로 사용자가 이를 펼쳐 촬영부(15)의 표면에 부착할 수 있다. 이 역시, 적색 셀로판지(300)의 이면에는 촬영부(15)의 표면에 원활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점착층이 코팅되는 것이 가능하다.
더불어, 롤링 파트(240)는 거치부(100)에서 촬영부(15)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말린 것은 물론 도 5와 같은 구조에서 적색 셀로판지(300)의 단부가 촬영부(15)의 폭(가로) 방향으로 말린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말해, 거치부(100)로부터 촬영부(15)에 이르도록 적색 셀로판지(300)의 길이가 충분히 확보된 상태에서 이를 롤링 처리한 구조이거나 아니면 도 5와 같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적색 셀로판지(300)의 단부만을 촬영부(15)의 높이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말아 롤링 파트(240)로 처리한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롤링 파트(240)는 적색 셀로판지(300) 자체로만 이루어질 경우 제대로 롤링 처리가 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롤링 처리가 용이한 투명 시트 상에 적색 셀로판지(300)를 붙인 구조, 즉 이중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투명 시트의 이면에서 촬영부(15)에 대응되는 부위에만 점착층을 형성하여 점착층이 이면 전체에 형성된 경우보다 원활한 롤링 처리 구조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롤링 파트(240)에 의해, 사용자가 이를 펼쳐 촬영부(15)의 표면에 부착한 다음 촬영부(15)의 표면에서 분리시키면 롤링 파트(240)가 자체적인 롤링이 되어 거치부(100) 주변에 위치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이와 같은 롤링 파트(240)를 변형한 구조로 적색 셀로판지(300)를 지그재그 방식으로 접철한 구조를 제시할 수 있고 탄성 복원을 위해 탐지부(200)는 적색 셀로판지(300)와 거치부(100)를 탄성 연결하는 스프링을 구비할 수도 있다.
더불어, 도 6과 같은 구조에서는 거치부(100)에 거치 기능을 하는 도 2와 같은 공지의 링이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거치부가 익스텐션 링을 구비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에 따른 거치부(100)는 거치부 본체(150)와, 거치부 본체(150)의 둘레를 감싸도록 결합된 익스텐션 링(160)으로 이루어진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때, 거치부 본체(150)와 상기 익스텐션 링(160)의 일 측에는 연결 힌지(170)가 장착되어 연결 힌지(170)를 매개로 상기 익스텐션 링(160)이 상기 거치부 본체(150)에서 회동된다. 이 경우 탐지부(200)는 익스텐션 링(160)에 연결되거나 상술한 중공부(110)가 구비된 익스텐션 링(16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거치부(100)가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반드시 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원통 형상 또는 다면체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익스텐션 링(160) 역시 거치부 본체(150) 형상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앞서 언급하였듯이 익스텐션 링(160)에 중공부(110)가 구비되어 이에 도 1과 같은 적색 셀로판지(300)를 구비한 탐지부(200)가 수용될 수 있고, 더 나아가 도 4의 구조와 같이 복수 개의 보조 링(135)이 적층 결합되어 촬영부(15)까지 연장될 수도 있으며, 도 5와 같이 익스텐션 링(160) 내에 롤러(230)를 구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7에 따른 거치부(100)는 익스텐션 링(160)의 회동성에 의해 촬영부(15) 주변으로 근접하도록 한 다음 이에 연결된 탐지부(200)의 다양한 구조에 의해 촬영부(15)의 표면을 보다 용이하게 덮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역시, 거치부 본체에 거치 기능을 하는 도 2와 같은 공지의 링이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 보조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장치(1)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스마트폰(10)인 경우 스마트폰(10)에 설치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스마트폰(10), 구체적으로 스마트폰에 설치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탐지부(200)에서 적색 셀로판지(300)를 인출하거나 촬영부(15)의 표면에 부착하였을 때 자동으로 카메라 기능을 ON 처리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거치부(100) 내지 탐지부(200)의 적색 셀로판지(300)의 일 영역에 NFC 태그(2)를 구비하여 적색 셀로판지(300)가 거치부(100)에서 인출되거나 펼쳐졌을 때 또는 촬영부(15)의 표면에 적색 셀로판지(300)가 부착(이 경우 NFC 태그는 적색 셀로판지의 단부에 장착)되었을 때 NFC 태그(2)를 스마트폰(10)에서 인식하도록 하고 스마트폰(10)에서 이 NFC 태그(2)를 인식하였을 때 카메라를 통해 동영상 모드로 자동 활성 처리되도록 한다.
더불어, 스마트폰(10)은 적색 셀로판지(300)를 촬영부(15)의 표면에 부착한 다음 영상 촬영 모드를 가동할 때 촬영 영상에서 몰래카메라로 의심이 되는 빛(광)이 존재할 경우 이를 감지하는 감지부(16)를 구비하고, 이 감지부(16)에서 해당 빛을 감지한 경우 사용자에게 시각적 알람(디스플레이 화면에 알람 메시지 표시), 청각적 알람(사운드 발생)을 제공하는 알람부(17)를 포함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몰래카메라 탐지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 보조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본 발명의 보조 장치 2: NFC 태그
10: 이동통신 단말기 11: 카메라 렌즈
12: 플래시 15: 촬영부
16: 감지부 17: 알람부
100: 거치부 110: 중공부
111: 입구 120: 베이스
121: 힌지 130: 링
135: 보조 링 136: 보조 힌지
140: 밴드 141: 걸림 부재
150: 거치부 본체 160: 익스텐션 링
170: 연결 힌지 200: 탐지부
211: 보관 파트 212: 커버
210: 보관 케이스 220: 결합부
230: 롤러 231: 롤러 축
232: 태엽 스프링 240: 롤링 파트
300: 적색 셀로판지

Claims (12)

  1. 카메라 렌즈와 플래시로 이루어진 촬영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몰래카메라 탐지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 보조 장치로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촬영부의 표면에 부착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에 연결되거나 상기 거치부 내에 포함된 상태에서 적색 셀로판지를 구비한 탐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탐지부는, 투명 재질의 투명 시트 상에 적층된 상기 적색 셀로판지가 말려 있는 롤링 파트를 구비하고,
    상기 투명 시트의 이면 중에서 상기 촬영부에 대응되는 부위에는, 점착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 보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촬영부가 위치한 일 면에 부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서 회동 및 각도 조절 가능한 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 보조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탄성을 가진 상태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탈착 가능한 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 보조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촬영부를 덮도록 연장되고,
    상기 탐지부는,
    전면 중앙 부위에 상기 적색 셀로판지가 장착된 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져, 결합 수단을 통해 상기 밴드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밴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 보조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링은,
    복수 개의 보조 링이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탐지부는,
    최외측에 위치한 상기 보조 링에 연결되거나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 보조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링은,
    서로 다른 직경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복수 개의 보조 링을 접었을 때 가장 큰 보조 링 내에 나머지 상기 보조 링이 순차적으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 보조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거치부 본체와,
    상기 거치부 본체의 둘레에 결합된 익스텐션 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거치부 본체와 상기 익스텐션 링의 일 측에는 연결 힌지가 장착되어, 상기 연결 힌지를 매개로 상기 익스텐션 링이 상기 거치부 본체에서 회동되며,
    상기 탐지부는,
    상기 익스텐션 링에 연결되거나 상기 익스텐션 링 내에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 보조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80151264A 2018-11-29 2018-11-29 몰래카메라 탐지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 보조 장치 KR102138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264A KR102138441B1 (ko) 2018-11-29 2018-11-29 몰래카메라 탐지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264A KR102138441B1 (ko) 2018-11-29 2018-11-29 몰래카메라 탐지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 보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756A KR20200064756A (ko) 2020-06-08
KR102138441B1 true KR102138441B1 (ko) 2020-07-27

Family

ID=71090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1264A KR102138441B1 (ko) 2018-11-29 2018-11-29 몰래카메라 탐지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84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7594B1 (ko) 2020-12-11 2022-02-25 주식회사 이너트론 몰래 카메라 탐지기용 안테나
KR20220069427A (ko) 2020-11-20 2022-05-27 주식회사 이너트론 휴대용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212U (ko) 2020-07-16 2022-01-25 주식회사 아이엔지시스템 몰래카메라 탐지시스템용 감지장치
KR20220009632A (ko) 2020-07-16 2022-01-25 주식회사 휴미디어 몰래카메라 탐지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889B1 (ko) * 2014-03-28 2014-10-23 권연욱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KR101548297B1 (ko) * 2015-01-27 2015-08-3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폰 다용도 밴드
KR101762335B1 (ko) * 2017-02-23 2017-08-08 (주)케이앤피코스메틱 화장품 수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KR101918855B1 (ko) * 2017-06-30 2018-11-14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몰래 카메라 감지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889B1 (ko) * 2014-03-28 2014-10-23 권연욱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KR101548297B1 (ko) * 2015-01-27 2015-08-3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폰 다용도 밴드
KR101762335B1 (ko) * 2017-02-23 2017-08-08 (주)케이앤피코스메틱 화장품 수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KR101918855B1 (ko) * 2017-06-30 2018-11-14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몰래 카메라 감지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9427A (ko) 2020-11-20 2022-05-27 주식회사 이너트론 휴대용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
KR102367594B1 (ko) 2020-12-11 2022-02-25 주식회사 이너트론 몰래 카메라 탐지기용 안테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756A (ko) 2020-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8441B1 (ko) 몰래카메라 탐지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 보조 장치
TWI582640B (zh) 具可捲式螢幕的掌上型電子裝置及其顯示方法
KR101638167B1 (ko) 플랙시블한 디스플레이패널이 구비된 단말기
KR101784880B1 (ko) 롤더블 영상표시장치
KR20210100565A (ko)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
TWI283377B (en) Flexible display
US20190250677A1 (en) Phone Case With Camera
KR200464767Y1 (ko) 지갑형 스마트폰 케이스
US20140187289A1 (en) Modular Components and Methods for an Electronic Device
US20200177718A1 (en) Mobile Terminal And Display Method
BRPI0721704A2 (pt) Dispositivo eletrônico
KR20130117212A (ko) 휴대폰용 케이스
NO20101796A1 (no) Universell kombinert lommebok og oppbevarings og beskyttelsesanordning for elektroniske innretninger med tilhorende oppbevaringsmulighet for headsets
JP2009021660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3250074A (ja) カメラ
JP4705136B2 (ja) ヘッドホン機能付携帯電話
WO2021075078A1 (ja) 情報端末装置
JP7304618B2 (ja) 携帯カードケース
KR20110013859A (ko) 휴대용 커넥터 케이블 인출입 수납장치
JP6258623B2 (ja) コード保持具
JP3185933U (ja) 巻物形拡張ディスプレイ付き情報端末
CN114077281A (zh) 电子设备、显示方法及装置、存储介质
JP4373148B2 (ja) ヘッドホン機能付携帯電話
US9288340B2 (en) Continuous film and camera and method thereof
KR200472574Y1 (ko) 케이스와 지갑이 결합된 핸드폰 보호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