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2526B1 - 휴대용 단말기 거치 홀더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거치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2526B1
KR102132526B1 KR1020180057166A KR20180057166A KR102132526B1 KR 102132526 B1 KR102132526 B1 KR 102132526B1 KR 1020180057166 A KR1020180057166 A KR 1020180057166A KR 20180057166 A KR20180057166 A KR 20180057166A KR 102132526 B1 KR102132526 B1 KR 102132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rotating
rotating member
hold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7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2013A (ko
Inventor
윤여신
Original Assignee
윤여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여신 filed Critical 윤여신
Priority to KR1020180057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2526B1/ko
Publication of KR20190132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2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2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2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휴대폰 등 휴대용 전자기기를 용이하게 파지 및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모양 및 크기가 다양화되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거치 홀더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 거치 홀더 {SUPPORTING HOLDER FOR MOBI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거치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 등 휴대용 전자기기를 용이하게 파지 및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모양 및 크기가 다양화되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거치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 PMP, 전자사전 및 게임기 등과 같은 휴대용 통신기기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무선 통신망을 사용하거나 내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동하면서 인터넷, 전화 통화, 영화 감상 및 정보 확인 등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바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일종인 셀룰러폰(cellular phone)은 이동 중에도 음성통화 및 무선통신이 가능한 개인용 통신수단의 하나로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무선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과 함께 강력한 프로세서, 풍부한 메모리, 큰 화면, 개방형 운영 체제를 갖춘 스마트폰, 태블릿 폰, 태블릿 PC 등의 무선 네트워킹이 가능한 고급 휴대 전자기기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 중에서 최근에 출시된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은 전화 통화, 문자 메시지의 수발신 기능뿐만 아니라 문서 작업와 인터넷 사용 및 이메일 수발신 등과 같이 그 활용 영역이 매우 다양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를 장소나 시간에 구애됨 없이 사용하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 전화, 태블릿과 같은 휴대용 전자장치를 사용할 경우, 한 손으로 휴대용 장치를 잡고서 사용한다. 한 손으로 휴대용 전자장치를 사용 중에, 휴대용 전자장치를 손에서 놓칠 경우 전자장치가 파손되는 위험이 있다.
따라서, 휴대용 전자장치를 한 손으로 잡고서 사용할 때, 휴대용 전자장치를 손에서 떨어뜨려서 파손될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홀더가 고안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557968호(발명의 명칭, 행거 그립을 이용한 휴대폰 거치대)에는 휴대폰이나 휴대폰의 케이스에 부착할 수 있는 홀더(행거 그립)와 홀더를 지지하기 위한 장치(거치대)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 개시된 홀더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휴대폰(80)이 부착되기 위한 베이스(20)와, 베이스(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고리(40)를 구비한다. 베이스(20)에는 영구자석이 설치되어 있다. 휴대폰에는 베이스(20)를 영구자석에 부착되기 위한 얇은 철판을 접착제로 부착하여 착탈하도록 한다. 고리(40)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우고 사용하여, 사용 중에 휴대폰이 손에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한다. 고리(40)는 회동부(30)에 연결되고, 회동부(30)는 고리를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 고리 홀더는 휴대용 단말기를 필수품처럼 휴대하여 사용함에 따라 다양한 환경이나 조건에서 사용되는 것에 비해 그 기능이 단순하여 폭넓게 휴대용 단말기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고자 하는 유저들의 욕구를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는 제품의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특허등록공보 제10-1557968호 (2015.09.3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한 끝에,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휴대용 전자기기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하여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면서 필요에 따라서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로 용이하게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다양한 종류 및 크기에 대응하여 확장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다양한 조건 및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 홀더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적어도 일면에 부착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연동하여 장착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와 적어도 일측이 고정된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부재; 및
상기 제 2 체결부와 회동부재 또는 상기 제 1 체결부와 회전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회전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회동부재는 1 내지 90도 범위에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회전부재에는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구조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회동부재에는 상기 걸림돌기에 대응하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와 연동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고정홀; 및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회전부재에는 상기 회전돌기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홀이 형성되는 구조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회동부재에는 핑거 지지부가 형성되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회동부재에는 일방향으로 연장 가능하게 장착되는 연장 바가 더 형성되는 구조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 홀더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적어도 일면에 부착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연동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부; 및
상기 회동부재로부터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회동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의 레일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레일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복수의 레일 돌기가 형성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 홀더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하여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면서 필요에 따라서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로 용이하게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부가 형성된 그레이팅 및 이의 제조방법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다양한 종류 및 크기에 대응하여 확장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다양한 조건 및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폰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 홀더의 평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 홀더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 홀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 홀더의 고정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 홀더의 회전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 홀더의 회전가이드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 홀더의 회동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 홀더의 사용 상태도들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 홀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 홀더의 평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 홀더의 배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 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 고리 구조에서는 기능이 단순하여 폭넓게 휴대단말기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고자 하는 유저들의 욕구에 대한 충분히 만족을 보장할 수 있는 거치 구조에 대한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사이즈와 형상을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 및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면서 필요에 따라서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로 용이하게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전술한 문제점의 해결을 모색하였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 홀더의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 홀더(100)는 휴대용 단말기에 부착되는 고정부재(110), 고정부재(110)에 연동하여 장착되는 회전부재(120), 회전부재(120)에 일측이 고정된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부재(130) 및 회전부재(120)와 회동부재(130) 사이에 개재되는 회전 가이드 부재(1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고정부재(110)는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에 부착되며 중앙 부위에 회전 가이드부재(150)이 체결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회전 가이드부재(150)은 전체적으로 원형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고정부재(110)에 체결된 상태로 360도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 가이드부재(150)가 회전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회전부재(120)는 고정부재(110)와 일체로 또는 독립적으로 구성되되, 고정부재(110)에 결합되어 있는 회전 가이드부재(150)와 연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회동부재(130)는 일측 단부가 고정부재(110)의 일측에 결합된 상태로 대략 90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70도 범위에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 홀더(100)의 전술한 구성들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 홀더의 평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 홀더의 배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 홀더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 홀더의 고정부재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 홀더의 제 2 결합부재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 홀더의 회전가이드부재의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 홀더(100)는 중앙부위에 이미지(131)가 각인되어 있는 원형 공간(도시하지 않음)이 구성되어 있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에 부착되는 고정부재(110)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회전부재(120), 회전 가이드부재(150) 및 회동부재(13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다.
먼저, 고정부재(110)는 일면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에 부착되도록 평평한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타면의 중앙 부위에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중심돌기(11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중심돌기(111)에는 회전 가이드부재(150)를 구속하는 제 1 단차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 가이드부재(150)는 원형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재(110)의 중심돌기(111)가 삽입되는 고정홀(151)이 형성되어 있고 전술한 제 1 단차부(112)에 밀착되는 제 2 단차부(15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측 방향으로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3개의 회전돌기(152)가 상향 돌출되어 있다.
한편, 회전부재(120)는 고정부재(110)의 외형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타원형으로 외측으로 연장되는 중앙부위에 상기 3개의 회전돌기(152)가 선택적으로 탈착되도록 복수개의 회전홀(123)이 나선형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부재(120)가 회전 가이드부재(150)과 연동하여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부재(120)에는 양측에 회동부재(130)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돌출부(121)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각각의 돌출부(121)의 일측에는 걸림돌기(122)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양 돌출부(121)는 상기 회전부재(120)과 상기 회동부재(130)가 상호간에 회동하는 회동축을 형성한다.
또, 회전부재(120)에의 양 돌출부(121)를 연결하는 부분에는 회동부재(130)의 회동 시에 탄력적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탄성홈(125)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부재(120)의 걸림돌기(122)가 회동부재(130)의 걸림홈(132)에 용이하게 삽입 및 이탈될 수 있다.
회동부재(130)는 회전부재(120)가 수용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전술한 회전부재(120)의 돌출부(121)가 삽입되는 회동축 삽입홈(131)이 형성되어 있고, 회전부재(120)의 걸림돌기(122)가 선택적으로 삽입 및 이탈되는 2개의 걸림홈(132)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도면에는 회전부재(120)에 1 개의 걸림돌기(122) 및 이에 대응하는 형상과 크기를 갖는 회동부재(130)에 2개의 걸림홈(132)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회동부재(130)의 회동 각도에 따라서 다양한 형상 및 크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 홀더(100)를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에 부착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끼워서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경우에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 거치 홀더(100)의 회전부재(120) 및 회동부재(130)를 연결하면서 사용자의 손가락을 지지할 수 있는 핑거 지지부가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핑거 지지부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소정의 신축성을 갖고 형상 변형이 가능한 고무밴드가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 홀더(100)의 구체적인 작동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 홀더의 사용 상태도들이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 홀더(100)를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에 부착한다. 이 때, 휴대용 단말기 거치 홀더(100)의 고정부재(110)에는 탈착이 가능한 점착테이프가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점착테이프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계 접착제, 아크릴계 접착제, 고온 용융 접착제, 구조용 접착제 또는 규소계 점착제일 수 있다.
그 다음, 사용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 방향 및 거치 환경에 따라서 회동부재(130)를 소망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회동부재(130)의 회동축 삽입홈(131)에 회전부재(120)의 돌출부(121)가 삽입되어 상호 고정되어 있으므로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회전부재(120)에는 복수의 회전홀(123)이 나선형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회동부재(13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원형 가이드부재(150)의 회전돌기(152)가 회전홀(123)에 삽입 및 이탈되며 위치 고정 된다.
최종적으로, 사용자는 회동부재(130)을 파지한 상태로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에 대해서 소정의 높이로 이격 시키게 된다. 이때, 회동부재(130)의 한 쌍의 걸림홈(132) 중 하나에 삽입되어 있는 하나의 회전부재(120)의 걸림돌기(122)가 인접한 다른 하나의 걸림홈(132)으로 탄성홈(125)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이동되면서 위치 고정된다. 따라서, 회동부재(130)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13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 홀더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 홀더의 평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 홀더의 배면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 홀더(300)는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에 부착되는 고정부재(110), 고정부재(110)의 일측에 고정된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부재(130) 및 고정부재(110)와 회동부재(130)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연장바(2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회동부재(130)에는 복수의 가이드홈(133)이 형성되어 있고, 연장바(200)에는 가이드홈(133)에 선택적으로 삽입 및 이탈되는 가이드 돌기(21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크기에 따라서, 회동부재(130)으로부터 연장바(200)가 안정적으로 인출 및 삽입하여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회동부재(130)의 연장바(200)는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 홀더(100)의 회동부재(130)에 별도의 가이드홈 및 이에 대응하여 가이드 돌기가 형성된 연장바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300: 거치 홀더 110: 고정부재
111: 중심 돌기 112: 제 1 단차부
120: 회전부재 121: 돌출부
122: 걸림돌기 123: 회전홀
125: 탄성홈 130: 회동부재
131: 회동축 삽입홈 132: 걸림홈
133: 가이드 홈 150: 회전 가이드부재
151: 고정홀 152: 회전 돌기
153: 제 2 단차부 200: 연장 바
210: 가이드 돌기

Claims (11)

  1. (a) 상호간에 회동하는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가지며;
    (b) 상기 제1부재에는 그 양측에 각각 돌출된 것으로서 상기 제2부재와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돌출부의 일측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 돌출부는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가 상호간에 회동하는 회동축을 형성하고,
    (c) 상기 제2부재에는 상기 제1부재의 상기 양 돌출부가 각각 삽입되는 회동축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동축 삽입홈에는 상기 제1부재의 걸림돌기가 선택적으로 삽입 및 이탈되는 2개의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d) 상기 제1부재의 양 돌출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부분에는 탄성홈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 홀더.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 홀더는
    (a) 휴대용 단말기의 적어도 일면에 부착되는 고정부재;
    (b) 상기 고정부재에 연동하여 장착되는 회전부재;
    (c) 상기 회전부재와 적어도 일측이 고정된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부재; 및
    (d) 상기 회전부재와 회동부재 또는 상기 고정부재와 회전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회전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e) 여기서 상기 제1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이고, 상기 제2부재는 상기 회동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 홀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1 내지 90도 범위에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 홀더.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와 연동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 홀더.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고정홀; 및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 홀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에는 상기 회전돌기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 홀더.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에는 핑거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 홀더.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에는 일방향으로 연장 가능하게 장착되는 연장 바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 홀더.

  10. 삭제
  11. 삭제
KR1020180057166A 2018-05-18 2018-05-18 휴대용 단말기 거치 홀더 KR102132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166A KR102132526B1 (ko) 2018-05-18 2018-05-18 휴대용 단말기 거치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166A KR102132526B1 (ko) 2018-05-18 2018-05-18 휴대용 단말기 거치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2013A KR20190132013A (ko) 2019-11-27
KR102132526B1 true KR102132526B1 (ko) 2020-07-09

Family

ID=68729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7166A KR102132526B1 (ko) 2018-05-18 2018-05-18 휴대용 단말기 거치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252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9536B2 (ja) * 1990-03-30 2000-08-21 日本電産株式会社 スピンドルモータの振動防止構造
KR101002367B1 (ko) * 2010-05-10 2010-12-17 이규철 휴대 단말기용 다기능 거치대
KR101837311B1 (ko) * 2016-12-09 2018-04-19 김진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9536U (ja) * 2000-11-29 2001-08-24 まり子 本田 携帯電話機起立保持具
KR20080017985A (ko) * 2006-08-23 2008-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충격완화용 거치대를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
KR101557968B1 (ko) 2013-10-31 2015-10-08 한용석 행거 그립을 이용한 휴대폰 거치대
KR20160072437A (ko) * 2014-12-15 2016-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거치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9536B2 (ja) * 1990-03-30 2000-08-21 日本電産株式会社 スピンドルモータの振動防止構造
KR101002367B1 (ko) * 2010-05-10 2010-12-17 이규철 휴대 단말기용 다기능 거치대
KR101837311B1 (ko) * 2016-12-09 2018-04-19 김진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2013A (ko) 2019-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76475B2 (ja) 携帯端末機用ホルダー
KR101316363B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US9570925B2 (en) Apparatus for selectively supporting and charging an electronic device in a portrait position and a landscape position
US8363014B2 (en) Wireless keyboard bas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30180934A1 (en) Multidirectional support structure for tablet display apparatus
CN102196690A (zh) 移动设备的功能扩展模块及具有该模块的移动设备
KR101316210B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US20230128108A1 (en) Attachment for a mobile phone case
US9699283B2 (en) Electronic portable device shell having an integral stand and stand brace
US11283911B2 (en) Hinge, folding mechanism, and terminal device
KR20160063599A (ko) 휴대단말기용 손가락 지지대
KR102132526B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 홀더
KR200483647Y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20110014304A (ko) 휴대용 통신 장치의 거치 장치
KR20080032818A (ko) 휴대용 단말기
KR102137363B1 (ko) 스킨링
CN208190695U (zh) 移动终端
KR20130007167U (ko) 휴대폰용 접이식 받침구
KR101346572B1 (ko) 휴대 기기용 케이스
KR20120008365U (ko)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KR101738616B1 (ko) 이동통신기기 거치대
KR20150004611U (ko) Nfc 스마트폰 거치대
CN203206299U (zh) 电话机
KR101946952B1 (ko) 휴대폰 케이스
CN208190694U (zh) 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