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4720B1 - 휴대용 단말기의 그립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그립 보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64720B1 KR102164720B1 KR1020190024138A KR20190024138A KR102164720B1 KR 102164720 B1 KR102164720 B1 KR 102164720B1 KR 1020190024138 A KR1020190024138 A KR 1020190024138A KR 20190024138 A KR20190024138 A KR 20190024138A KR 102164720 B1 KR102164720 B1 KR 1021647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inge
- groove
- plate
- lower plate
- seating groo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그립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면의 일부가 중심부로부터 일측면으로 움푹 파인 형상인 것으로, 중심부 내측면에 고정돌기 또는 고정홈이 형성된 힌지고정부(11)를 구비한 안착홈(10)으로 이루어진 상판(200) 및 하판(100)과, 종방향으로 절개되어 절개된 면(24)과 면(24) 사이에 일정간격을 이루고, 절개된 면(24)들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신축성을 지니며, 상부 및 하부 양측면에 힌지고정부(11)에 대응하는 힌지돌기(21a) 또는 힌지홈(21b)으로 이루어진 힌지부(21)를 형성하여 상판(200) 및 하판(100)에 형성한 힌지고정부(11)에 탈착가능하고 안착홈(10)의 폭보다 작은 폭을 이루는 힌지부재(20)를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그립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들고서도 편리하게 단말기를 조작하고, 세워 거치하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그립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고 컴퓨터에서 생성된 정보를 눈으로 볼 수 있도록 키보드와 모니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현재 그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이를 휴대하고 다닐 수 있는 스마트폰이나 PDA, PMP 등의 휴대용 단말기가 개발되었다.
휴대용 단말기 중에서도 현대인들이 누구나 소지하고 사용하고 있는 스마트폰은 주머니에 쏙 들어갈만한 크기인 것으로 일반적으로 터치 입력 기능을 가진 표시 화면이나 소형 자판을 갖고 있으며 입출력이 모두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이루어져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준다.
이러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현대인들은 가만히 서있거나 앉아있거나 누워있는 고정된 자세뿐 아니라 걸어 다니며 이동하거나 실내가 혼잡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상황 등 시간과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손에 쥐고 사용하는 시간이 많고, 화면에 나오는 동영상 등을 편하게 보기위해서 스마트폰을 기댈 수 있는 곳에 기대어 세워 놓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현대인들은 스마트폰을 손에 쥐고 있는 시간들이 많아지다 보니 사용하면서 실수로 스마트폰을 떨어뜨리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어서 손으로 꽉 쥐거나 두손으로 쥐고 사용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에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손가락을 끼워 지지하거나 바닥이나 책상 등과 같은 곳에 세워 거치하도록 하는 다양한 형태의 보조 장치들이 제공되어 왔다.
그 중에서도 한국등록특허공보(제10-1891667호)(이하 '선행기술'이라 함)는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가 편안한 그립감을 가지고 단말기를 들고 있을 수 있도록 손가락과 손가락 사이에 끼워 지지하게 하고 바닥 등과 같은 곳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측에서 하측으로 점차 커지는 형상으로 하측면을 단말기에 부착하고 연장된 상판을 구비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손가락이 놓여지는 부분이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커지는 형상이라서 손가락과 손가락 사이의 거리가 발생하여 어느정도 손가락을 벌려서 잡아야하고 하판과 상판의 높이가 제한적이라 손가락이 굵은 사람의 경우 제대로 끼워지지 않고 걸쳐진 상태가 되기 때문에 안정감 있게 지지하기 어려운 문제점들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판과 하판 사이에 손가락을 끼웠을 때 손가락과 손가락 사이가 크게 벌어지지 않고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그립 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손가락이 굵은 사람이 사용하더라도 손가락과 손가락 사이로 깊이 끼울 수 있도록 상판과 하판과의 높이를 확보한 휴대용 단말기의 그립 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은 일면의 일부가 중심부로부터 일측면으로 움푹 파인 형상인 것으로, 중심부 내측면에 고정돌기 또는 고정홈이 형성된 힌지고정부를 구비한 안착홈으로 이루어진 상판 및 하판과, 종방향으로 절개되어 절개된 면과 면 사이에 일정간격을 이루고, 절개된 면들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신축성을 지니며, 상부 및 하부 양측면에 힌지고정부에 대응하는 힌지돌기 또는 힌지홈으로 이루어진 힌지부를 형성하여 상판 및 하판에 형성한 힌지고정부에 탈착가능하고 안착홈의 폭보다 작은 폭을 이루는 힌지부재를 구비한것으로 이루어 진다.
또한, 안착홈은, 내측면이 마주한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부를 더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판 및 하판에 탈착하는 판상의 수평부재를 더 포함하고, 수평부재는 안착홈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힌지부재의 절개된 면들 사이로 삽입가능하게 폭을 이루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힌지부재는, 상판 및 하판과 이루는 각도의 조절을 수단계 이루도록 힌지부 테두리에 일정간격마다 각도조절돌기 또는 각도조절홈을 형성하고, 힌지고정부 테두리에는 각도조절돌기 또는 각도조절홈에 대응하는 걸림돌기 또는 걸림홈을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판의 이면에는,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출몰된 홀더를 구비한 홀더판을 탈착가능하게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그립 보조장치는 상판과 하판을 연결하는 힌지부재를 설치한다. 이 힌지부재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일정한 두께를 갖도록 구성하되 손가락과 손가락이 끼워졌을때 그 사이가 크게 벌어지지 않은 상태의 그립감을 제공하도록 그 두께를 형성하여 안정적으로 손에 쥐고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그립 보조장치는 상판과 하판의 높이를 충분히 확보하여 손가락이 굵은 사람이 사용하더라도 손가락과 손가락 사이에 깊이 끼워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의 그립 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그립 보조장치의 일 실시예로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그립 보조장치의 일 실시예로 하판에 장착된 힌지부재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그립 보조장치의 일 실시예로 작동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그립 보조장치의 일 실시예로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그립 보조장치의 일 실시예로 작동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그립 보조장치의 일 실시예로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그립 보조장치의 일 실시예로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그립 보조장치의 일 실시예로 하판에 장착된 힌지부재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그립 보조장치의 일 실시예로 작동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그립 보조장치의 일 실시예로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그립 보조장치의 일 실시예로 작동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그립 보조장치의 일 실시예로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으로, 그 용어나 단어의 사전적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그립 보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그립 보조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는 단말기에 부착되어 지지하는 하판(100)과 데코를 가미한 데코판 또는 리모콘 등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부가장치를 수용하는 상판(200)으로 이루어지고, 이 하판(100)과 상판(200)을 연결하는 힌지부재(20)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그립 보조장치의 하판(100)은, 도 1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께를 가지는 판 형상으로 일면의 일부가 중심부로부터 일측면으로 움푹 파인 안착홈(10)을 형성하고 이면은 단말기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이면은 단말기에 직접 접착할 수 있는 접착면을 형성하거나, 단말기에 체결이 가능한 체결판을 부착하여 이에 대응하는 체결구조를 갖도록 이면을 형성하는 것 혹은 단말기 케이스에 연질의 끼움부를 형성하고 이면의 테두리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탈착가능한 것 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단말기에 연결할 수 있다.
하판(100)의 일면에 형성한 안착홈(10)은 상부와 일측면으로 개구를 형성한 것으로 안착홈(10)의 중심부 내측면에 후술할 힌지부재(20)가 끼워질 수 있도록하는 힌지고정부(11)를 형성하는데 이는 고정홈(11a) 또는 고정돌기(11b)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안착홈(10)은 힌지부재(20)가 안착할 수 있는 폭과 높이로 이루어지되 힌지부재(20)가 안착홈(10)에 안착되어 하판(100)에 대하여 수평한 상태일 때 힌지부재(20)가 안착홈(10)의 상부로 노출되지 않는 높이가 바람직하다.
한편, 안착홈(10)은 힌지부재(20)가 안착홈(10)에 수평하게 눕혀져 있는 것으로부터 힌지고정부(11)의 축을 따라 이동하여 안착홈(10)의 높이를 형성한 벽에 기대어 수직하게 세워지는 것으로 이동을 제한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힌지부재(20)가 힌지고정부(11)에 끼워져 축을 따라 이동 가능한 각도는 90도로 제한한다.
그리고, 안착홈(10)은 힌지부재(20)가 힌지고정부(11)의 축을 따라 이동할 때, 힌지부재(20)의 끝단 부위와 안착홈(10)이 마주한 면이 곡선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2 내지 3에 도시한 바와같이, 안착홈(10)은 내측면이 마주한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부(12)를 안착홈(10)의 내측면에 형성한다.
이 걸림부(12)는 힌지부재(20)가 안착홈(10)의 힌지고정부(11)에 끼워진 상태에서 일정 하중을 가하지 않는 이상 하판(100)에 대하여 수평 혹은 수직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일, 이러한 걸림부(12)가 존재하지 않으면 힌지고정부(11)의 축을 따라 약간의 외력이 가해질 때마다 왔다갔다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걸림부(12)는 힌지고정부(11)에 형성한 고정돌기(11a) 또는 고정홈(11b) 및 후술할 힌지부(21)의 힌지돌기(21a) 또는 힌지홈(21a)의 길이보다 작은 높이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의 a는 힌지부재(20)가 안착홈(10)의 힌지고정부(11)에 끼워진 상태로 하판(100)에 대하여 수직하게 세워진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걸림부(12)는 힌지부재(20)가 하판(100)에 대해 수직하게 세워진 것으로부터 수평하게 눕혀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기 어렵도록 돌출되어 형성한다.
도 3의 b는, 힌지부재(20)가 안착홈(10)의 힌지고정부(11)에 끼워진 상태로 하판(100)에 대하여 수평하게 눕혀진 것을 나타낸 단면도로, 걸림부(12)는 힌지부재(20)가 하판(100)에 대해 수평하게 눕혀진 것으로부터 수직하게 세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기 어렵도록 돌출되어 형성한다.
따라서, 힌지부재(20)는 안착홈(10)에 형성한 걸림부(12)에 의해 하판(100)에 대하여 수직하게 세워진 것 혹은 수평하게 눕혀져 있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도 2를 참조하면, 힌지부재(20)는 종방향으로 절개되어 절개된 면(24)과 면(24)사이에 일정간격을 이루며 이 절개된 면(24)들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신축성을 지니고 있으며 상부 및 하부 양측면에 힌지고정부(11)에 대응하는 힌지 돌기 또는 힌지 홈으로 이루어진 힌지부(21)를 형성한다.
즉, 이러한 구성은 절개된 면(24)과 면(24)이 이루는 간격을 외력을 가해 좁혔다가 해제하여 다시 원래의 간격으로 돌아오도록 할 수 있다.
이 절개면(24)은 힌지부재(20)를 힌지고정부(11)에 탈착가능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힌지부재(20)를 힌지고정부(11)에 장착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힌지부재(20)의 절개된 면(24)들이 마주하는 방향으로 힌지부재(20)를 손가락으로 눌러서 그 간격을 좁힌 뒤 안착홈(10)의 힌지고정부(11)에 힌지부(21)를 끼워 맞추고 손가락에 힘을 풀러 힌지부재(20)가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면서 장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힌지부재(20)를 힌지고정부(11)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방법은 위 방법의 반대 작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4a 내지 도4c는 일 실시예로 하판(100)과 상판(200)에 힌지부재(20)가 장착되어 힌지고정부(11)에 끼워진 힌지부(21)의 축을 따라 작동하는 과정을 단면도로 나타낸 것으로 이를 참조하면 상판(200)은 일면이 하판(100)의 일면과 상하 그리고 좌우로 대칭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a는 하판(100)이 단말기에 고정된 상태에서 하판(100) 및 상판(200)과 연결한 힌지부재(20)가 서로 수평하게 눕혀져 있는 것으로, 하판(100) 및 상판(200)의 안착홈(10) 각각에 형성한 걸림부(12)에 의해 힌지부재(20)가 고정되어 모두가 일직선상에 놓여진 형상이다.
이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사용하지 않고 주머니에 넣거나 책상 위 같은 곳에 올려놓거나 혹은 손에 쥔채 들고다닐 때 취할 수 있는 바람직한 형태이다.
도 4b는 하판(100)이 단말기에 고정된 상태로부터 하판(100) 및 상판(200)과 연결한 힌지부재(20)가 하판(100)에 대하여 수직하게 세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하판(100)의 걸림부(12)를 지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힌지부재(20)는 안착홈(10) 양측면에 형성한 걸림부(12)가 돌출한 높이만큼 절개면(24) 사이 간격이 좁아지게 된다.
앞서 언급한대로 걸림부(12)가 힌지고정부(11) 및 힌지부(21)에 형성한 돌기 또는 홈의 길이보다 작은 높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힌지부재(20)는 걸림부(12)를 지나가면서 힌지부재(20)의 절개면(24) 사이 간격이 좁아지더라도 안착홈(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도 4c는 하판(100)이 단말기에 고정된 상태에서 하판(100) 및 상판(200)과 연결한 힌지부재(20)가 하판(100)에 대하여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하판(100)에 형성한 걸림부(12)에 의해 고정된 것을 나타낸다.
이때, 상판(200)은 처음 수평하게 눕혀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상판(200)을 힌지부재(20)에 대해 수직하게 세우는 것으로 작동을 완료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그립 보조장치는 하판(100) 및 상판(200)의 안착홈(10)에 연결하는 힌지부재(20) 외에 얇은 판상의 수평부재(30)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수평부재(30)는 힌지부재(20)의 상부에 형성한 힌지부(21)로부터 하부에 형성한 힌지부(21)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 수평유지부(31)를 수평부재(30)의 상부 및 하부 측면에 구비한다.
수평유지부(31)는 수평유지돌기(31a) 또는 수평유지홈(31b)으로 형성한다.
아울러, 하판(100) 및 상판(200)에 형성한 안착홈(10)에는 수평유지부(31)에 대응하는 수평고정돌기(13a) 및 수평고정돌기(13b)을 이루는 수평고정부(13)를 형성한다.
도 6a 내지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예는 하판(100)의 안착홈(10)에 형성한 힌지고정부(11)와 상판(200)의 안착홈(10)에 형성한 힌지고정부(11)가 서로 대칭구조를 이루지 않는다.
하판(100)의 안착홈(10)에 형성한 힌지고정부(11)가 중심부 상단에 위치할 경우 이에 대응하는 상판(200)의 안착홈(10)에 형성한 힌지고정부(11)는 중심부로부터 외측 하단에 위치해야 하며, 반대의 경우 혹은 좌우대칭한 경우에도 이러한 상관관계를 갖는다.
또한, 하판(100)의 안착홈(10)에 형성한 힌지고정부(11)가 중심부 상단에 위치할 경우 하판(100)의 안착홈(10)에 형성한 수평고정부(13)는 중심부로부터 외측 하단에 위치해야하며 이에 대응 하는 상판(200)의 안착홈(10)에 형성한 힌지고정부(11)가 중심부으로부터 외측 하단에 위치하는 경우 상판(200)의 안착홈(10)에 형성한 수평고정부(13)는 중심부 상단에 위치해야 하며 반대의 경우 혹은 좌우대칭한 경우에도 이러한 상관관계를 갖는다.
힌지고정부(11)와 수평고정부(13)가 위치한 높이 차는 하판(100) 및 상판(200)이 수평한 상태로 이루어질때 수평부재(30)가 힌지부재(20)의 절개면(24) 사이로 삽입되는 깊이 이상으로 설정해야한다.
이러한 높이 차의 설정은 수평부재(30)가 힌지부재(20)의 절개면(24) 사이로 삽입되면서 안착홈(10)에 완전히 안착되는 위치까지 수평유지부(31)가 힌지부재(20)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수평부재(30)는 하판(100)과 상판(200)이 언제나 평행을 이루도록 하기 위함으로 4축링크에 따른 이론에 따라 성립이 가능하다.
4축링크에 따른 것은 공지된 기술로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6a 내지 6c는 수평부재(30)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그립 보조장치의 작동도를 나타낸 것으로 힌지고정부(11) 및 수평고정부(13)의 축을 따라 이동하는 하판(100) 및 상판(200)이 평행을 유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그립 보조장치는 하판(100) 및 상판(200)과 연결한 힌지부재(20)가 이루는 각도의 조절을 수단계 이루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그립 보조장치는 힌지부(21) 테두리에 일정간격마다 각도조절돌기(22a) 또는 각도조절홈(22b)을 형성하고, 힌지고정부(11) 테두리에는 각도조절돌기(22a) 또는 각도조절홈(22b)에 대응하는 걸림홈(23a) 또는 걸림돌기(23b)를 형성하며, 이 경우에는 안착홈(10)의 걸림부(12) 구성을 제외한다.
또한, 이 경우 힌지부재(20)는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연장된 절개면(24) 없이 상부와 하단에 각각 절개면(24)을 형성하여 하판(100) 및 상판(200)에 탈착가능하다.
한편, 상판(200)의 이면에는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출몰된 홀더(211)를 구비한 홀더판(210)이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한다. 이러한 탈착은 나사결합 혹은 끼움결합 등 다양한 형상으로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홀더판(210)은 데코 혹은 리모콘 등의 스마트폰에 부가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0 : 하판
200 : 상판 210 : 홀더판 211 : 홀더
10 : 안착홈
11 : 힌지고정부 11a : 고정돌기 11b : 고정홈
12 : 걸림부
13 : 수평고정부 13a : 수평고정돌기 13b : 수평고정홈
20 : 힌지부재
21 : 힌지부 21a : 힌지돌기 21b : 힌지홈
22 : 각도조절부 22a : 각도조절돌기 22b : 각도조절홈
23a : 걸림돌기 23b : 걸림홈
24 : 절개면
30 : 수평부재
31 : 수평유지부 31a : 수평유지돌기 31b : 수평유지홈
200 : 상판 210 : 홀더판 211 : 홀더
10 : 안착홈
11 : 힌지고정부 11a : 고정돌기 11b : 고정홈
12 : 걸림부
13 : 수평고정부 13a : 수평고정돌기 13b : 수평고정홈
20 : 힌지부재
21 : 힌지부 21a : 힌지돌기 21b : 힌지홈
22 : 각도조절부 22a : 각도조절돌기 22b : 각도조절홈
23a : 걸림돌기 23b : 걸림홈
24 : 절개면
30 : 수평부재
31 : 수평유지부 31a : 수평유지돌기 31b : 수평유지홈
Claims (5)
- 일면의 일부가 중심부로부터 일측면으로 움푹 파인 형상인 것으로, 상기 중심부 내측면에 고정돌기 또는 고정홈이 형성된 힌지고정부를 구비한 안착홈으로 이루어진 하판 및 상판과,
종방향으로 절개되어 절개된 면과 면 사이에 일정간격을 이루고, 상기 절개된 면들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신축성을 지니며, 상부 및 하부 양측면에 상기 힌지고정부에 대응하는 힌지돌기 또는 힌지홈으로 이루어진 힌지부를 형성하여 상기 상판 및 하판에 형성한 힌지고정부에 탈착가능하고 상기 안착홈의 폭보다 작은 폭을 이루는 힌지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하판 및 상판에 탈착하는 판상의 수평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부재는 상기 안착홈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힌지부재의 절개면들 사이로 삽입가능한 폭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그립 보조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은,
내측면이 마주한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부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그립 보조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는,
상기 하판 및 상판과 이루는 각도의 조절을 수단계 이루도록 상기 힌지부 테두리에 일정간격마다 각도조절돌기 또는 각도조절홈을 형성하고, 상기 힌지고정부 테두리에는 상기 각도조절돌기 또는 각도조절홈에 대응하는 걸림돌기 또는 걸림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그립 보조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이면에는,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출몰된 홀더를 구비한 홀더판이 탈착가능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그립 보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4138A KR102164720B1 (ko) | 2019-02-28 | 2019-02-28 | 휴대용 단말기의 그립 보조 장치 |
PCT/KR2020/002856 WO2020175946A1 (ko) | 2019-02-28 | 2020-02-28 | 휴대용 단말기의 그립 보조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4138A KR102164720B1 (ko) | 2019-02-28 | 2019-02-28 | 휴대용 단말기의 그립 보조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05240A KR20200105240A (ko) | 2020-09-07 |
KR102164720B1 true KR102164720B1 (ko) | 2020-10-12 |
Family
ID=72239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24138A KR102164720B1 (ko) | 2019-02-28 | 2019-02-28 | 휴대용 단말기의 그립 보조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164720B1 (ko) |
WO (1) | WO2020175946A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47406B1 (ko) * | 2017-08-18 | 2018-04-10 | 이기범 |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07050A (ko) * | 2012-07-06 | 2014-01-16 | 박요섭 | 휴대단말기 케이스 |
KR101481256B1 (ko) * | 2013-04-12 | 2015-01-15 | 주식회사 억스코리아 |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 |
KR101453889B1 (ko) * | 2014-03-28 | 2014-10-23 | 권연욱 |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
KR101733435B1 (ko) * | 2016-04-04 | 2017-05-24 | 주식회사 유리네트웍스솔루션 | 휴대단말기용 고리홀더 |
KR101891667B1 (ko) | 2017-09-29 | 2018-08-24 | 주식회사 아이버스터 |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
-
2019
- 2019-02-28 KR KR1020190024138A patent/KR10216472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0
- 2020-02-28 WO PCT/KR2020/002856 patent/WO2020175946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47406B1 (ko) * | 2017-08-18 | 2018-04-10 | 이기범 |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0175946A1 (ko) | 2020-09-03 |
KR20200105240A (ko) | 2020-09-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001243B2 (en) | Flexible kickstand and mounting apparatu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US20110205372A1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use | |
US9486910B2 (en) | Tablet computer holder | |
US9163779B2 (en) | Tablet mounting systems, stands, and methods | |
US9047049B2 (en) | Docking station, electronic system and operating method of releasing connection between two devices | |
US9194536B2 (en) | Portable foldable cradle | |
KR20140094441A (ko) | 휴대 전자기기 받침 스탠드 | |
US8861714B1 (en) | Holder for hand-held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 |
US9535453B2 (en) | Electronic device and protective housing of the electronic device | |
US9167062B1 (en) | Holder for hand-held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 |
GB2502411A (en) | A collapsible stand for a tablet computer | |
US9876521B2 (en) | Sliding stand assembly | |
US20160195117A1 (en) | Alignment structure | |
US10342323B2 (en) | Ergonomic phone support device | |
KR20140090921A (ko) |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 |
US8585315B2 (en) | Connecting element and associated connection assembly | |
KR102164720B1 (ko) | 휴대용 단말기의 그립 보조 장치 | |
KR101847406B1 (ko) |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 |
JP5718416B2 (ja) | テーブル装置 | |
CN105320228A (zh) | 固定装置及其应用的电脑装置 | |
KR20070074443A (ko) | 케이싱 구조물 및 그 케이싱 구조물의 기능을 변화시키는방법 | |
KR20120008365U (ko) |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 |
JP5383754B2 (ja) | 無線入力装置 | |
US20140021323A1 (en) | Book Sized Holder/Cradle and Associated Clamping and Positioning Mechanisms Combined into a Single Article for the Purpose of Facilitating Ergonomically Centric Human Interface With a Handheld/Pocket-sized Device While Allowing Access to the Handheld/Pocket-sized Device's Touch Screen and Selected IO Ports and Interface Buttons | |
CN107463203B (zh) | 一种终端配件及终端组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