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7406B1 -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7406B1
KR101847406B1 KR1020170105078A KR20170105078A KR101847406B1 KR 101847406 B1 KR101847406 B1 KR 101847406B1 KR 1020170105078 A KR1020170105078 A KR 1020170105078A KR 20170105078 A KR20170105078 A KR 20170105078A KR 101847406 B1 KR101847406 B1 KR 101847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ing
portable terminal
support
holder
til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범
Original Assignee
이기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범 filed Critical 이기범
Priority to KR1020170105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74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7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7406B1/ko
Priority to PCT/KR2018/009433 priority patent/WO2019035676A1/ko
Priority to JP2018550768A priority patent/JP6695444B2/ja
Priority to CN201880001481.4A priority patent/CN109716741A/zh
Priority to EP18768748.8A priority patent/EP3471382B1/en
Priority to US16/135,440 priority patent/US20190058782A1/en
Priority to US16/593,167 priority patent/US1080604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工' 형태의 접철식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손가락 크기에 맞추어 최적의 사이즈로 조절이 가능하고, 손가락의 상부와 하부가 모두 접촉되어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인 그립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단말기를 바닥면에 일정각도로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세워둘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편안한 동영상 시청이나 웹 서핑이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Holder with supporter for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工' 형태의 접철식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손가락 크기에 맞추어 최적의 사이즈로 조절이 가능하고, 손가락의 상부와 하부가 모두 접촉되어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인 그립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단말기를 바닥면에 일정각도로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세워둘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편안한 동영상 시청이나 웹 서핑이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휴대 단말기들이 널리 보급되어 남녀노소 모두에게 필수적인 휴대품이 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디스플레이가 커짐에 따라 전체적인 휴대 단말기의 크기가 커지고 두께는 얇아지는 추세에 있으며, 일반 전화 기능을 포함한 동영상이나 음악감상, 촬영, 인터넷검색, 일정관리 등의 다양한 기능은 물론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활용도가 점점 많아지면서 대중교통 이용시는 물론 보행중까지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크기가 커지고 두께가 얇아진 휴대 단말기의 경우 한 손으로의 조작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손에서 쉽게 미끄러지므로 사용 중 휴대 단말기를 떨어뜨리게 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 또는 그 케이스의 배면에 부착되는 링 또는 고리 형상이나, 'ㅅ'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홀더장치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홀더장치들은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손의 크기에 맞추어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착용시 그립감이 떨어지게 되므로 문자입력, 사진촬영 등의 조작이 불편하고 방향전환이 제한적이므로 휴대성 및 조작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07050호에는 휴대단말기 케이스가 게재되어 있는데, 그 주요 기술적 구성은 정면에 휴대단말기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배면에 결합되는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걸림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종래기술은 사용자의 손가락 사이에 로드부가 삽입 배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지지판은 손바닥에 접하고 걸림판은 손등에 접하게 되어 거치동작이 간편하면서도 휴대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에 그 특징이 있으나, 안정적인 거치를 위해서는 로드부가 손가락 사이 깊숙한 위치까지 삽입되어야 하고 지지판이 손바닥에 접하게 되어 거치한 상태에서의 휴대 단말기 조작, 즉 한 손으로의 조작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휴대 단말기를 거치한 상태에서의 조작은 엄지손가락을 통해 이루어지고,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로드부가 검지와 중지 또는 중지와 약지 사이의 바깥쪽에 위치되어야 하는데, 상기 종래기술의 경우 지지판이 손바닥에 접하고 걸림판이 손등에 접한 상태에서만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하게 되므로,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를 조작하는 경우에는 거치가 불안정해지고, 안정적인 거치 상태에서는 엄지손가락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조작이 불편해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의 경우 휴대 단말기를 바닥에 일정 각도로 세워두기 위한 거치대가 별도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이 불편하다는 단점도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07050호(2014. 01. 16.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손가락 크기에 맞추어 최적의 사이즈로 조절이 가능하고, 사용시 시소 구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등 부분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파지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부착되는 지지부가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손가락 끝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인 그립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휴대 단말기를 파지한 상태에서의 조작성을 향상시키고 조작범위를 넓힐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터치 동작에 의해 연결부재의 접혀진 상태가 자동으로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용이한 착용이 가능하고, 걸이부재의 전방 단부가 자동으로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추가적인 조작없이도 휴대 단말기의 홀더로서의 기능과 거치대로서의 기능 전환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걸이부재의 크기를 크게 하여 홀더 또는 거치대로 사용시 안정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캠 구조에 의해 지지부와 걸이부재 사이의 간격 및 연결부재의 각도가 단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 단말기를 바닥에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하여 세워둘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접착 고정되는 지지부와, 일측 단부가 상기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타측 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손가락의 상부를 지지하는 걸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지지부는 상면에 연결부가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하면에 구비되는 접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용홈의 양 측면에는 연결부의 양 측면에 접촉되어 연결부의 자유로운 회동을 제한하는 간섭부재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0.5 ~ 1.5cm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는 지지부와 걸이부재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양측 단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어 지지부 및 걸이부재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제1 및 제2회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는 제1회동부재에 연결 설치되는 제1연결부재와, 제2회동부재에 연결 설치되는 제2연결부재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재는 서로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의 하단부 및 상단부는 각각 제1 및 제2회동부재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연결부재 및 걸이부재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에 형성되는 수용홈의 바닥면 및 걸이부재의 내측 바닥면에는 연결부재의 하단부와 상단부가 각각 걸림되는 회동제한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연결부재 및 걸이부재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걸이부재의 하면에는 제2회동부재가 힌지 결합되는 지지마운트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마운트는 걸이부재의 하면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회동부재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는 연결부가 펼쳐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힘을 가하는 제1토션스프링이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와 걸이부재에는 연결부가 접혀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접힘유지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접힘유지구는 지지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걸림홈과, 상기 걸이부재의 하면에 형성되어 걸림홈의 내측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가 펼쳐지는 경우 상기 걸이부재의 전방 단부는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회동부재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걸이부재의 전방 단부가 휴대 단말기의 배면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힘을 가하는 제2토션스프링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회동부재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는 제1회동부재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캠부재가 축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의 내측에는 캠부재가 삽입 설치되는 설치홈이 형성되며, 상기 설치홈의 내주면에는 상기 캠부재의 돌출부가 걸림되는 탄성 재질의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턱은 연결부재와 지지부 사이의 각도가 30 ~ 90°를 이루는 범위 내에서만 캠부재의 돌출부가 걸림될 수 있도록 설치홈의 일부에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걸이부재의 안쪽 중앙부에는 지지부가 내측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손가락 크기에 맞추어 최적의 사이즈로 조절이 가능하고, 사용시 시소 구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등 부분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의 크기에 상관없이 사용자가 한 손 만으로도 안정적인 파지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에 부착되는 지지부가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손가락 끝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인 그립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그에 따라 휴대 단말기를 파지한 상태에서의 조작성을 향상시키고 조작가능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원터치 동작에 의해 연결부재의 접혀진 상태가 자동으로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용이한 착용이 가능하고, 걸이부재의 전방 단부가 자동으로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추가적인 조작없이도 휴대 단말기의 홀더로서의 기능과 거치대로서의 기능 전환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걸이부재의 크기를 크게 하여 홀더 또는 거치대로 사용시 안정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통화시 걸이부재를 손잡이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캠 구조에 의해 지지부와 걸이부재 사이의 간격 및 연결부재의 각도가 단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추가적인 도구 없이도 휴대 단말기를 바닥에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하여 세워둘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편안한 자세로 동영상 시청이나 웹 서핑 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
도 3의 (a),(b)는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 중 걸이부재 및 그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5의 (a)~(c)는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제1회동부재와 지지부 사이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6의 (a)~(c)는 지지부와 연결부 사이의 각도에 따른 지지부와 연결부 및 걸이부재 사이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의 작동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의 (a)~(c)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연결부와 걸이부재 사이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의 사용상태에 따른 모습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의 (a),(b)는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 중 걸이부재 및 그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며, 도 5의 (a)~(c)는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제1회동부재와 지지부 사이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의 (a)~(c)는 지지부와 연결부 사이의 각도에 따른 지지부와 연결부 및 걸이부재 사이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의 작동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의 (a)~(c)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연결부와 걸이부재 사이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의 사용상태에 따른 모습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工' 형태의 접철식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손가락 크기에 맞추어 최적의 사이즈로 조절이 가능하고, 손가락의 상부와 하부가 모두 접촉되어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인 그립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단말기를 바닥면에 일정각도로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세워둘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편안한 동영상 시청이나 웹 서핑이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100)(이하, '거치대 겸용 홀더(100)'라 한다)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지지부(110), 연결부(120) 및 걸이부재(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지지부(110)는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접착되어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 겸용 홀더(100)가 휴대 단말기에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지지부재(112)와 접착수단(11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지지부재(112)는 후술할 연결부(120) 및 걸이부재(130)가 휴대 단말기 본체에 설치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원형 또는 다각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지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입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접착수단(116)은 지지부재(112)의 하면, 즉 지지부재(112)가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부착되는 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접착제 또는 통상의 양면테이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110)는 0.5 ~ 1.5cm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사용자가 보다 안정적으로 휴대 단말기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그립감을 좋게 하기 위함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종래의 휴대 단말기용 홀더의 경우 본 발명에서의 지지부(110)에 대응되는 구성이 존재하지 않거나, 낮은 두께, 즉 낮은 높이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경우 사용시 사용자의 손가락 끝에 걸리는 부분이 없게 되어 손가락의 바닥면 또는 손바닥으로 휴대 단말기의 배면을 가압하는 힘에 의해서만 휴대 단말기를 지지할 수 있게 되므로 안정성이 떨어지게 되고, 휴대 단말기를 파지한 상태에서의 조작이 불편하게 되는 단점이 있던 것임에 비해, 본 발명에서는 지지부(110)의 두께를 0.5 ~ 1.5cm로 한정하여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파지하는 경우 손가락 끝이 지지부(110)의 외측면에 걸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휴대 단말기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편안한 그립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지지부(110)의 외측면에 손가락 끝이 걸리게 되면 보다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하므로 휴대 단말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를 조작하기가 훨씬 안정적이고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엄지손가락이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닿을 수 있는 범위가 보다 넓어지게 되는 장점도 갖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110)의 두께가 0.5cm 미만인 경우에는 전술한 효과, 즉 휴대 단말기의 안정적인 파지와 편안한 그립감을 제공하는 효과를 얻기가 어렵고, 지지부(110)의 두께가 1.5cm를 초과하게 되면 전체적인 거치대 겸용 홀더(100)의 부피가 커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112)의 상면에는 수용홈(112a)이 형성되는데, 상기 수용홈(112a)은 지지부재(112)의 상면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되어 후술할 연결부(120)의 연결부재(122)가 접혀지는 경우 수용홈(112a)의 내측으로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접혀진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 겸용 홀더(100)의 두께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용홈(112a)에는 회동제한돌기(112b)가 돌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회동제한돌기(112b)는 후술할 연결부재(122)의 회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 상기 연결부(120)는 지지부(110)와 걸이부재(130)를 연결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지지부(110)와 걸이부재(130) 사이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지부(110)와 걸이부재(130) 사이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연결부(120)의 일측 단부는 지지부(110)에 연결 설치되고, 타측 단부는 걸이부재(130)에 연결 설치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연결부(120)는 연결부재(122)와 제1 및 제2회동부재(124,1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연결부재(122)는 지지부(110)와 걸이부재(130)가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하여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제1 및 제2회동부재(124,126)는 연결부재(122)의 양측 단부에 각각 수직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어 걸이부재(130)가 제1 및 제2회동부재(124,126)를 각각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제1회동부재(124)는 지지부(110)를 구성하는 지지부재(112)의 일측 단부에 수용홈(112a)을 가로지도록 하여 힌지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부재(122)의 일측 단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어 제1회동부재(124)의 회전에 의해 연결부재(122)가 수용홈(112a) 내측으로 접혀지거나 수용홈(112a)의 외측으로 펼쳐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회동부재(126)는 연결부재(122)의 타측 단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어 걸이부재(130)의 하면, 즉 안쪽면에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걸이부재(130)는 제2회동부재(126)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2회동부재(126)는 제1회동부재(124)와 대응되도록 하여 그 양측 단부가 걸이부재(130)의 내측면에 힌지 결합되어 걸이부재(130)가 제2회동부재(126)를 축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걸이부재(130)가 시소 구조를 이루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후술하겠지만, 상기 걸이부재(130)는 사용 도중 제2회동부재(126)를 기준으로 하여 일측이 지지부(110)로부터 멀어지게 되면 타측은 지지부(110)를 향해 이동하게 되어 사용자의 손가락 상부를 가압하게 되므로 휴대 단말기의 조작 중에도 편안하면서도 견고한 파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상기 연결부재(122)는 지지부(110)와 걸이부재(130)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 지지부(110)에 힌지 결합된 제1회동부재(124)와 걸이부재(130)에 힌지 결합된 제2회동부재(126)의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어 지지부(110)와 걸이부재(130)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연결부재(122)는 제1회동부재(124)와 제2회동부재(126)의 중심부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어 휴대 단말기의 파지시 사용자의 손가락 사이에 위치되는 부분으로, 제1 및 제2회동부재(124,126)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제1 및 제2회동부재(124,126)의 중심부에 관통홀을 형성하여 연결부재(122)의 양측 단부가 제1 및 제2회동부재(124,126)에 형성된 관통홀의 내측으로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122)의 양측 단부는 제1 및 제2회동부재(124,126)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는 연결부재(122) 및 후술할 걸이부재(130)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함이다.
즉, 연결부재(122)와 걸이부재(130)가 필요 이상의 각도로 회전할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에 대한 지지가 불안정하게 되어 휴대 단말기를 파지한 상태에서의 휴대 단말기 조작이 불편하게 되고, 그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파지를 위한 힘이 많이 들어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연결부재(122)와 걸이부재(13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여 불필요한 회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5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회동부재(124)를 관통하는 연결부재(122)의 하단부는 제1회동부재(124)를 중심으로 한 회전시 지지부재(112)의 수용홈(112a) 바닥면에 걸리게 되어 연결부재(122)가 약 90° 이내의 범위 내에서만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2회동부재(126)를 관통하는 연결부재(122)의 상단부는 제2회동부재(126)를 중심으로 한 회전시 걸이부재(130)의 내측 바닥면에 걸리게 되어 걸이부재(130)가 약 90° 이내의 범위 내에서만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110)의 지지부재(112)에 형성되는 수용홈(112a)의 바닥면 및 걸이부재(130)의 내측 바닥면에 연결부재(122)의 하단부와 상단부가 각각 걸림되는 회동제한돌기(112b,130a)를 돌출 형성하여 연결부재(122) 및 걸이부재(13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도 있는데, 상기 회동제한돌기(112b,130a)의 설치 위치에 따라 제한되는 회전 각도가 변경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122)의 경우 제1회동부재(124)에 연결 설치되는 제1연결부재(122a)와 제2회동부재(126)에 연결 설치되는 제2연결부재(122b)로 분리 구성될 수도 있는데,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재(122a,122b)는 지지부(110)와 걸이부재(1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휴대 단말기를 파지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지지부(110)와 걸이부재(13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손가락을 삽입하여야 하는데, 사용자에 따라 손가락의 두께에 따라 사용시 편안함을 느끼게 되는 지지부(110)와 걸이부재(130) 사이의 거리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연결부재(122)를 제1연결부재(122a)와 제2연결부재(122b)로 분리 구성하고, 제1 및 제2연결부재(122a,122b) 사이의 연결부가 나사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제1 또는 제2연결부재(122a,122b)의 회전에 의해 지지부(110)와 걸이부재(13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다음, 상기 걸이부재(130)는 연결부(120)의 타측 단부에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 휴대 단말기를 파지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 상면을 지지하여 보다 안정적인 파지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파지하지 않는 경우 바닥면에 의해 지지되어 휴대 단말기를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세워둘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도 10 내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걸이부재(130)는 직사각 형상을 이루도록 하여 종래의 휴대 단말기용 홀더에 비해 그 크기가 크게 형성됨으로써 휴대 단말기를 파지하여 사용하다가 바닥면에 놓는 경우 바로 거치상태로 전환되어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통화시에도 걸이부재(130)가 손잡이 역할을 하게 되어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인 휴대 단말기의 파지가 가능하게 되므로 통화 도중 휴대 단말기를 떨어뜨릴 위험을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걸이부재(130)의 안쪽, 즉 지지부(110)와 마주하는 부분의 일측에는 연결부(120)의 제2회동부재(126)가 힌지 결합되는 삽입홈(131a)이 구비된 결합부(131)가 형성되고, 상기 걸이부재(130)의 안쪽 중앙부에는 연결부재(122)가 접힌 상태에서 지지부가 내측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 수용홈(133)이 형성되어 있다.
즉, 휴대 단말기의 미사용시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 겸용 홀더(100)는 연결부재(122)가 접혀진 상태로 보관되는데, 이 경우 지지부(110) 및 걸이부재(130)의 두께로 인해 거치대 겸용 홀더(100)가 차지하는 부피가 커지게 되므로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110)의 지지부재(112)가 걸이부재(130)의 내측에 형성된 지지부 수용홈(133)의 내측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결부재(122)가 접혀진 상태에서의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 걸이부재(130)의 다른 실시예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걸이부재(130)의 하부에는 원형의 단면을 이루도록 하여 측면에 암나사(134a)가 형성된 체결홈(134)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체결홈(134)에는 제2회동부재(126)가 힌지 결합되고, 외주면에 체결홈(134)의 암나사(134a)에 체결되는 수나사(132a)가 형성된 지지마운트(132)가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휴대 단말기를 파지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지지부(110)와 걸이부재(13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손가락을 삽입하여야 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따라 손가락의 두께에 따라 사용시 편안함을 느끼게 되는 지지부(110)와 걸이부재(130) 사이의 거리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걸이부재(130)의 하부에 제2회동부재(126)가 힌지 결합되는 지지마운트(132)를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걸이부재(130)의 회전에 의해 지지부(110)와 걸이부재(13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마운트(132)의 하부에는 지지부재(112)의 수용홈(112a)과 대응되는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그 내측으로 제2회동부재(126)가 삽입되어 힌지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 겸용 홀더(100)는 도 5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회동부재(124)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1토션스프링(1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는데, 상기 제1토션스프링(140)은 접혀진 상태, 즉 지지부재(112)의 수용홈(112a) 내측에 수용된 상태의 연결부재(122)가 자동으로 펼쳐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파지하기 위해서는 손가락을 지지부(110)와 걸이부재(130) 사이로 삽입시켜야 하는데, 연결부재(122)가 접혀진 상태에서는 지지부(110)와 걸이부재(130) 사이의 공간이 협소하여 휴대 단말기의 파지가 불편할 수 있으므로 제1토션스프링(140)에 의해 제1회동부재(124)를 회전시켜 자동으로 연결부재(122)가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휴대 단말기를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부(110)와 걸이부재(130)의 사이에는 접힘유지구(150)가 구비되는데, 상기 접힘유지구(150)는 연결부(120)의 연결부재(122)가 접혀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제1토션스프링(140)에 의한 토션이 제1회동부재(124)에 작용하는 경우 연결부(120)의 연결부재(122)는 수용홈(112a) 내측에 수용된 상태, 즉 접혀진 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되므로 접힘유지구(150)를 통해 지지부(110)와 걸이부재(130)가 서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제1토션스프링(140)에 의한 토션에도 연결부(120)가 접혀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접힘유지구(150)는 지지부(110)의 일측 단부, 즉 지지부재(112)의 일측 단부 상면에 형성되는 걸림홈(152)과, 걸이부재(130)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152)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돌기(154)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부재(122)가 접혀져 걸이부재(130)의 걸림돌기(154)가 지지부재(112)에 형성된 걸림홈(152)에 걸림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걸이부재(130)의 일측 단부를 손가락으로 누르거나, 걸이부재(130)의 타측 단부를 손가락 끝으로 들어올리면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이부재(130)의 타측 단부가 상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걸이부재(130)에 형성된 걸림돌기(154)가 걸림홈(152)으로부터 이탈되어 도 8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회동부재(124)에 결합된 제1토션스프링(140)의 토션에 의해 연결부재(122)가 자동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112)에 형성된 걸림홈(152)은 그 상단부가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걸이부재(130)가 들어올려지는 방향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고, 걸이부재(130)에 형성된 걸림돌기(154)는 상기 걸림홈(152)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연결부재(122)가 접혀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누름 동작이 없는 경우에는 걸림홈(152)에 걸림 결합된 걸림돌기(154)에 의해 걸이부재(130)가 고정되어 연결부재(122)가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자가 걸이부재(130)의 일측 단부를 누른 경우에만 걸림돌기(154)가 걸림홈(152)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펼쳐진 상태의 연결부재(122)가 접혀지는 경우의 걸이부재(130)의 회전 방향과,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걸이부재(130)의 타측 단부가 들어올려지는 경우의 회전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므로, 걸림홈(152)과 걸림돌기(154)를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걸이부재(130)가 들어올려지는 방향으로 절곡시킴으로써 사용자가 걸이부재(130)의 일측 단부를 누르거나 타측 단부를 들어올리는 경우에만 걸림돌기(154)가 걸림홈(152)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접힘유지구(150)가 지지부재(112)의 상면에 형성되는 걸림돌기와, 걸이부재(130)의 하부에 형성되는 걸림홈으로 구성되거나, 지지부재(112)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걸림홈과, 걸이부재(130)의 지지부 수용홈(133) 양 측면의 상기 걸림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접힘유지구(150)에 의한 지지부(110)의 지지부재(112)와 걸이부재(130) 사이의 고정상태가 해제되어 연결부재(122)가 펼쳐지는 경우 상기 걸이부재(130)의 전방 단부는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접촉되도록 제2회동부재(126)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게 되는데, 이는 연결부재(122)가 펼쳐지는 경우 걸이부재(130)가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여 걸이부재(13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손가락을 지지부재(112)와 걸이부재(130) 사이로 투입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연결부재(122)가 펼쳐진 상태에서 바로 휴대 단말기를 바닥면에 거치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 일실시예로, 상기 제2회동부재(126)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는 제2토션스프링(126a)이 결합되어 걸이부재(130)의 결합부(131)에 형성되는 삽입홈(131a)의 내측에 삽입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제2토션스프링(126a)은 도 8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이부재(130)의 타측 단부, 즉 전방 단부가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접하도록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 겸용 홀더(100)가 휴대 단말기의 홀더로 사용되는 경우, 연결부재(122)가 펼쳐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지부재(112)와 걸이부재(130)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데, 제2토션스프링(126a)에 의해 걸이부재(130)에 상기와 같은 회전력이 가해지는 경우 걸이부재(130)의 전방 안쪽면이 사용자의 손가락 상부를 가압하게 되므로 휴대 단말기를 보다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토션스프링(126a)은 접혀진 상태의 연결부재(122)가 펼쳐지는 경우, 걸이부재(130)의 전방 단부가 바로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추가적인 조작 없이 연결부재(122)의 펼침 동작, 즉 걸이부재(130)의 일측 단부를 누르는 동작만으로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파지하거나 바닥면에 거치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추가로 갖게 된다.
한편, 상기 제1회동부재(124)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는 캠부재(160)가 축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캠부재(160)는 제1회동부재(124)의 회전을 제한하여 지지부(110)와 걸이부재(130) 사이의 간격이 단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 겸용 홀더(100)는 제1회동부재(124)의 회동에 의해 연결부재(122)가 회전하여 지지부(110)와 걸이부재(1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게 되는데, 제1회동부재(124)가 자유롭게 회동하게 되면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는 도중 작은 힘의 변화에도 연결부재(122)의 회전이 자유롭게 이루어져 지지부(110)와 걸이부재(130) 사이에 삽입 설치된 사용자의 손가락에 대한 지지가 불안정할 수도 있게 되므로 휴대 단말기를 파지한 상태에서의 휴대 단말기 조작이 불편하게 되고, 휴대 단말기의 파지를 위한 힘이 많이 들어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회동부재(124)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캠부재(160)를 결합시킴으로써 제1회동부재(124)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회동부재(124)가 힌지 결합되는 지지부(110)의 내측, 즉 지지부재(112)의 수용홈(112a) 양 측면에는 캠부재(160)가 삽입 설치되는 설치홈(114)이 형성되는데, 상기 설치홈(114)의 내주면에는 캠부재(160)의 돌출부(162)가 걸림되는 탄성 재질의 걸림턱(114a)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걸림턱(114a)은 설치홈(114)의 내주면 일부에만 형성되어 연결부재(122)와 지지부(110) 사이의 각도가 30 ~ 90°를 이루는 범위에서만 캠부재(160)의 돌출부(162)가 걸림턱(114a)에 의해 걸림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제1토션스프링(140)에 의해 접혀진 상태의 연결부재(122)가 자동으로 펼쳐지는 구간에서는 캠부재(160)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도 6의 (a) ~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부재(122)가 접혀진 상태와 제1토션스프링(140)에 의해 자동으로 펼쳐지는 구간, 즉 지지부(110)와 연결부재(122) 사이의 각도가 약 0 ~ 30°를 이루는 구간에서는 설치홈(114)의 내주면에 걸림턱(114a)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제1회동부재(124)가 회동하는 경우 캠부재(160) 또한 자유롭게 회전하게 된다.
다음, 상기 지지부(110)와 연결부재(122) 사이의 각도가 30°이상이 되는 경우, 캠부재(160)의 돌출부(162)가 걸림턱(114a)에 의해 걸림되기 시작하며, 상기 각도를 더 크게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걸이부재(130) 또는 연결부재(122)에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하여 캠부재(160)의 돌출부(162)가 탄성 재질의 걸림턱(114a)을 넘어가도록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걸림턱(114a)을 넘어간 캠부재(160)의 돌출부(162)는 이웃하는 다음 걸림턱(114a)의 사이에 안착되어 제1회동부재(124)의 회동을 제한하게 되고, 상기와 같은 과정의 반복을 통해 지지부(110)와 연결부재(122) 사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와 같은 캠부재(160) 및 걸림턱(114a)이 형성된 설치홈(114)의 구성은 제2회동부재(126)와 걸이부재(130) 사이의 결합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캠부재(160)에 의해 제1회동부재(124)의 회동, 즉 제1회동부재(124)를 중심축으로 하는 연결부(120)의 회전을 제한하는 것과 다른 방법으로, 간섭부재(112c)를 설치할 수도 있는데, 상기 간섭부재(112c)는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재(112)에 형성된 수용홈(112a)의 양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연결부(120), 즉 연결부재(122)의 양 측면에 접촉됨으로써 마찰에 의해 제1회동부재(124)를 중심축으로 하는 연결부(120)의 자유로운 회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122)의 회전 즉, 제1회동부재(124)를 중심축으로 하는 연결부(120)의 회전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경우, 휴대 단말기를 파지한 상태에서의 휴대 단말기 조작이 불편하게 되고, 휴대 단말기의 파지를 위한 힘이 많이 들어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수용홈(112a)의 양 측면에 간섭부재(112c)를 돌출 형성하여 연결부재(122)의 양 측면가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연결부(120)의 자유로운 회전을 제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간섭부재(112c)는 지지부(110)와 연결부재(122) 사이의 각도가 약 30 ~ 60°를 이루는 범위 내에서만 연결부재(122)의 양 측면과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그 이유는 전술한 연결부재(122)가 제1토션스프링(140)에 의해 자동으로 펼쳐지는 구간, 즉 지지부(110)와 연결부재(122) 사이의 각도가 약 0 ~ 30°를 이루는 구간에서는 간섭부재(112c)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지지부(110)와 연결부재(122) 사이의 각도가 60°를 넘는 구간에서는 사용자의 손가락 두께에 따른 지지부(110)와 걸이부재(130) 사이의 간격 조절이 용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마찬가지로 연결부재(122)가 간섭부재(112c)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토션스프링(140)에 의해 영향을 받는 지지부(110)와 연결부재(122) 사이의 각도가 약 0 ~ 30°를 이루는 c-b 구간에서는 간섭부재(112c)에 의한 영향이 연결부재(122)에 미치지 않게 되고, 지지부(110)와 연결부재(122) 사이의 각도가 약 30 ~ 60°를 이루는 b-a 구간에서는 간섭부재(112c)에 의한 마찰에 의해 연결부재(122)의 자유로운 회동이 제한되며, 지지부(110)와 연결부재(122) 사이의 각도가 약 60°를 초과하는 a-d 구간에서는 다시 연결부재(122)가 간섭부재(112c)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되어 자유롭게 회동하게 되고, 수용홈(112a)에 형성되는 회동제한돌기(112b)에 의해 지지부(110)와 연결부재(122) 사이의 최고 각도를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 겸용 홀더(100)의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 겸용 홀더(100)를 휴대 단말기의 홀더로 사용하는 경우, 도 8의 (a) ~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110)의 접착수단(116)에 의해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접착 고정되어 접힘유지구(150)에 의한 지지부(110)와 걸이부재(130) 사이의 고정에 의해 연결부재(122)가 수용홈(112a) 내측에 접혀진 채로 위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걸이부재(130)의 일측 단부를 누르면 접힘유지구(150)에 의한 지지부(110)와 걸이부재(130)의 고정 상태, 즉 걸이부재(130)의 걸림돌기(154)가 지지부재(112)의 걸림홈(152)에 걸림 결합된 상태가 해제되고, 제1회동부재(124)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결합된 제1토션스프링(140)의 토션에 의해 연결부재(122)가 자동으로 펼쳐지면서 지지부(110)와 걸이부재(130)의 사이가 이격된다.
즉, 사용자가 걸이부재(130)의 일측 단부를 누르는 동작만으로 접힘유지구(150)에 의한 지지부(110)와 걸이부재(130)의 고정 상태가 해제되면서 연결부재(122)가 펼쳐지면서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데, 반대로 걸이부재(130)의 타측 단부를 들어올리는 동작, 즉 사용자의 손가락 끝을 지지부(110)와 걸이부재(130) 사이의 공간으로 집어넣어 걸이부재(130)를 들어올리는 동작만으로 접힘유지구(150)에 의한 지지부(110)와 걸이부재(130)의 고정 상태가 해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2회동부재(126)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결합된 제2토션스프링(126a)의 토션에 의해 걸이부재(130)의 전방 단부는 제2회동부재(126)를 중심으로 하여 휴대 단말기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접촉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지지부(110)와 걸이부재(130)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통해 손가락을 삽입하여 휴대 단말기를 파지하게 되는데,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바닥이 지지부(110) 방향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연결부재(122)가 검지와 중지 사이 또는 중지와 약지 사이에 끼워지도록 삽입한다.
이때, 사용자의 손가락 두께에 따라 편안한 상태로 휴대 단말기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110)와 걸이부재(130) 사이의 간격에 차이가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인 파지를 위해 두 가지 방법에 의해 지지부(110)와 걸이부재(1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데, 먼저 제1연결부재(122a)와 제2연결부재(122b)의 회전을 통해 지지부(110)와 걸이부재(1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재(122)가 나사 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제1연결부재(122a)와 제2연결부재(122b)로 분리 구성된 경우, 제1연결부재(122a)와 제2연결부재(122b)의 회전만으로 지지부(110)와 걸이부재(1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다른 방법으로 연결부재(122)를 파지한 상태에서 지지마운트(132)에 나사 결합된 걸이부재(130)를 회전시키는 방법에 의해 지지부(110)와 걸이부재(1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파지 상태에서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지지부(110)가 0.5 ~ 1.5cm의 두께를 갖도록 하여 휴대 단말기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어 사용자의 손가락 끝부분이 지지부(110)의 외측면에 걸리면서 힘을 가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가 보다 편안한 그립감을 느낄 수 있고,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한 손으로 휴대 단말기를 조작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인 파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엄지손가락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조작 가능 범위도 넓어지게 된다.
또한, 휴대 단말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조작하는 경우 제2회동부재(126)에 의해 시소 구조를 이루는 걸이부재(130)가 사용자의 손가락 상부를 가압하게 되므로 보다 안정적인 파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조작 과정에서 휴대 단말기를 떨어뜨릴 위험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즉,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회동부재(126)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걸이부재(130)는 제2회동부재(126)를 중심으로 하여 한 쪽이 벌려지는 경우 다른 한 쪽은 좁혀지면서 사용자의 손가락 상부를 가압하게 되므로 보다 안정적인 파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1회동부재(124)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축결합된 캠부재(160)의 돌출부(162)가 지지부(110)의 설치홈(114)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114a)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연결부재(122)의 자유로운 회동이 제한되므로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조작하는 과정에서 느낄 수 있는 불편함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 겸용 홀더(1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걸이부재(130)를 회전시켜 연결부재(122)가 지지부(110)에 형성된 수용홈(112a)의 내측으로 수용되도록 하는데, 이 경우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이부재(130)에 형성된 걸림돌기(154)가 지지부(110)의 지지부재(112) 상면에 형성된 걸림홈(152)의 내측에 걸림 결합되어 연결부재(122)가 수용홈(112a)의 내측으로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그에 따라 미사용 상태에서의 거치대 겸용 홀더(100)의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걸이부재(130)의 내측에 지지부 수용홈(133)이 형성된 경우에는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재(112)가 지지부 수용홈(133)의 내측으로 수용되어 미사용 상태에서의 거치대 겸용 홀더(100)의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 겸용 홀더(100)를 휴대 단말기의 거치대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연결부재(122)를 펼치는 작업만으로 휴대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지 않은 미사용 상태의 휴대 단말기를 바로 바닥면에 거치시키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접혀진 상태의 연결부재(122)를 펼치기 위해 사용자가 걸이부재(130)의 일측 단부를 누르면 제1토션스프링(140)의 토션에 의해 연결부재(122)가 자동으로 펼쳐지면서 제2토션스프링(126a)의 토션에 의해 걸이부재(130)의 전방 단부가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접촉되고, 걸이부재(130)의 후방 단부 또는 일측면은 바닥면에 의해 지지되므로 추가적인 조작 없이 바로 휴대 단말기를 바닥면에 거치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도 11 및 도 12 참고)
또한,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는 도중 휴대 단말기를 바닥면에 거치시키기 위해서는 지지부(110)와 걸이부재(130) 사이의 공간에 삽입된 사용자의 손가락을 빼기만 하면, 마찬가지로 제2토션스프링(126a)의 토션에 의해 걸이부재(130)가 회전하여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접촉 지지되므로 추가적인 조작 없이 바로 휴대 단말기를 바닥면에 거치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휴대 단말기를 바닥면에 거치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직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걸이부재(130)가 종래 실시예들에 비해 충분히 크므로 휴대 단말기를 방향에 상관없이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자유롭게 거치시킬 수 있게 되고, 제1회동부재(124)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축결합된 캠부재(160)에 의해 연결부재(122)의 자유로운 회동이 제한되므로 휴대 단말기의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지지부(110)의 설치홈(114) 내측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114a) 사이에 위치되는 캠부재(160) 돌출부(162)의 위치 변경을 통해 휴대 단말기의 설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휴대 단말기를 파지한 상태 또는 바닥면에 거치한 상태에서 통화를 하여야 하는 경우, 사용자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이부재(130)를 손잡이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인 휴대 단말기의 파지가 가능하게 되므로 통화 도중 휴대 단말기를 떨어뜨릴 위험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 겸용 홀더(100)를 승용차 등의 차량에 설치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전면에 상부가 개구된 형상의 포켓부(172)가 형성되고 후면에 차량의 송풍구에 삽입 결합되는 집게부(174)가 형성된 차량용 거치대(170)의 포켓부(172) 내측으로 직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걸이부재(130)를 삽입 결합시키는 과정만으로 휴대 단말기를 차량에 고정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포켓부(172)의 상부 중심부에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 겸용 홀더(100)의 연결부(120)가 삽입되는 삽입홈(172a)이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이부재(130)를 포켓부(172)의 내측 깊숙한 곳까지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지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지지부(110)의 설치홈(114) 내측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114a) 사이에 위치되는 캠부재(160) 돌출부(162)의 위치 변경을 통해 휴대 단말기의 설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 겸용 홀더(100)에 의하면, 사용자의 손가락 크기에 맞추어 최적의 사이즈로 조절이 가능하고, 사용시 시소 구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등 부분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의 크기에 상관없이 사용자가 한 손 만으로도 안정적인 파지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를 조작할 수 있고, 휴대 단말기에 부착되는 지지부(110)가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손가락 끝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인 그립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그에 따라 휴대 단말기를 파지한 상태에서의 조작성을 향상시키고 조작가능 범위를 확장킬 수 있으며, 원터치 동작에 의해 연결부재(122)의 접혀진 상태가 자동으로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용이한 착용이 가능하고, 걸이부재(130)의 전방 단부가 자동으로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추가적인 조작없이도 휴대 단말기의 홀더로서의 기능과 거치대로서의 기능 전환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걸이부재(130)의 크기를 크게 하여 홀더 또는 거치대로 사용시 안정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통화시 걸이부재(130)를 손잡이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캠 구조에 의해 지지부(110)와 걸이부재(130) 사이의 간격 및 연결부재(122)의 각도가 단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추가적인 도구 없이도 휴대 단말기를 바닥에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하여 세워둘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편안한 자세로 동영상 시청이나 웹 서핑 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의 다양한 장점을 갖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工' 형태의 접철식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손가락 크기에 맞추어 최적의 사이즈로 조절이 가능하고, 손가락의 상부와 하부가 모두 접촉되어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인 그립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단말기를 바닥면에 일정각도로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세워둘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편안한 동영상 시청이나 웹 서핑이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
100 : 거치대 겸용 홀더 110 : 지지부
112 : 지지부재 112a : 수용홈
112b, 130a : 회동제한돌기 112c : 간섭부재
114 : 설치홈 114a : 걸림턱
116 : 접착수단 120 : 연결부
122 : 연결부재 122a : 제1연결부재
122b : 제2연결부재 124 : 제1회동부재
126 : 제2회동부재 126a : 제2토션스프링
130 : 걸이부재 131 : 결합부
132 : 지지마운트 132a : 수나사
133 : 지지부 수용홈 134 : 체결홈
134a : 암나사 140 : 제1토션스프링
150 : 접힘유지구 152 : 걸림홈
154 : 걸림돌기 160 : 캠부재
162 : 돌출부 170 : 차량용 거치대
172 : 포켓부 172a : 삽입홈
174 : 집게부

Claims (17)

  1.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접착 고정되는 지지부와,
    일측 단부가 상기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타측 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손가락의 상부를 지지하는 걸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연결부는 지지부와 걸이부재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양측 단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어 지지부 및 걸이부재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제1 및 제2회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하단부 및 상단부는 각각 제1 및 제2회동부재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연결부재 및 걸이부재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면에 연결부가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하면에 구비되는 접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의 양 측면에는 연결부의 양 측면에 접촉되어 연결부의 자유로운 회동을 제한하는 간섭부재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0.5 ~ 1.5cm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제1회동부재에 연결 설치되는 제1연결부재와, 제2회동부재에 연결 설치되는 제2연결부재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재는 서로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 형성되는 수용홈의 바닥면 및 걸이부재의 내측 바닥면에는 연결부재의 하단부와 상단부가 각각 걸림되는 회동제한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연결부재 및 걸이부재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재의 하면에는 제2회동부재가 힌지 결합되는 지지마운트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마운트는 걸이부재의 하면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동부재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는 연결부가 펼쳐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힘을 가하는 제1토션스프링이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와 걸이부재에는 연결부가 접혀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접힘유지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유지구는 지지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걸림홈과, 상기 걸이부재의 하면에 형성되어 걸림홈의 내측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가 펼쳐지는 경우 상기 걸이부재의 전방 단부는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동부재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걸이부재의 전방 단부가 휴대 단말기의 배면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힘을 가하는 제2토션스프링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동부재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는 제1회동부재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캠부재가 축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의 내측에는 캠부재가 삽입 설치되는 설치홈이 형성되며, 상기 설치홈의 내주면에는 상기 캠부재의 돌출부가 걸림되는 탄성 재질의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연결부재와 지지부 사이의 각도가 30 ~ 90°를 이루는 범위 내에서만 캠부재의 돌출부가 걸림될 수 있도록 설치홈의 일부에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재의 안쪽 중앙부에는 지지부가 내측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17. 삭제
KR1020170105078A 2017-08-18 2017-08-18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KR101847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078A KR101847406B1 (ko) 2017-08-18 2017-08-18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PCT/KR2018/009433 WO2019035676A1 (ko) 2017-08-18 2018-08-17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JP2018550768A JP6695444B2 (ja) 2017-08-18 2018-08-17 携帯端末用スタンド兼用ホルダー
CN201880001481.4A CN109716741A (zh) 2017-08-18 2018-08-17 用于便携式终端的支架-保持器
EP18768748.8A EP3471382B1 (en) 2017-08-18 2018-08-17 Holder combined with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US16/135,440 US20190058782A1 (en) 2017-08-18 2018-09-19 Stand-holder for portable terminal
US16/593,167 US10806043B2 (en) 2017-08-18 2019-10-04 Holder combined with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078A KR101847406B1 (ko) 2017-08-18 2017-08-18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7406B1 true KR101847406B1 (ko) 2018-04-10

Family

ID=61975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078A KR101847406B1 (ko) 2017-08-18 2017-08-18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74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709B1 (ko) * 2018-12-27 2019-10-14 이기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WO2020175946A1 (ko) * 2019-02-28 2020-09-03 장대규 휴대용 단말기의 그립 보조 장치
KR102388410B1 (ko) * 2020-12-10 2022-04-19 현진오 핸드 홀더용 그립 톡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42476A1 (en) 2010-08-19 2012-02-23 Karmatz Michael Shayne Apparatus for gripping handheld devices
WO2013050065A1 (en) * 2011-10-04 2013-04-11 Inspektionssystem Ab A holding device for mobile electric devic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42476A1 (en) 2010-08-19 2012-02-23 Karmatz Michael Shayne Apparatus for gripping handheld devices
WO2013050065A1 (en) * 2011-10-04 2013-04-11 Inspektionssystem Ab A holding device for mobile electric device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709B1 (ko) * 2018-12-27 2019-10-14 이기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WO2020175946A1 (ko) * 2019-02-28 2020-09-03 장대규 휴대용 단말기의 그립 보조 장치
KR20200105240A (ko) * 2019-02-28 2020-09-07 장대규 휴대용 단말기의 그립 보조 장치
KR102164720B1 (ko) * 2019-02-28 2020-10-12 장대규 휴대용 단말기의 그립 보조 장치
KR102388410B1 (ko) * 2020-12-10 2022-04-19 현진오 핸드 홀더용 그립 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7406B1 (ko)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US9267638B2 (en) Holder for electronic device with support
US9128668B2 (en) Multiple suction cup attachment platform: securing an electronic device on a vertical surface
KR101453889B1 (ko)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US20100072334A1 (en) Holder for Electronic Device with Support
JP6695444B2 (ja) 携帯端末用スタンド兼用ホルダー
US10637980B1 (en) Adjustable mobile device hanger
KR102244886B1 (ko) 바닥판을 구비한 독서대
KR101423474B1 (ko) 접이식 고리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WO2020088259A1 (zh) 一种穿戴式手机夹持装置
KR101914868B1 (ko) 셀카기능을 가지는 등산스틱
KR101244983B1 (ko)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
WO2009056974A2 (en) Stand hinge for electronic devices
CN112166281B (zh) 可调节式移动设备悬挂器
GB2479605A (en) Protective cov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90058782A1 (en) Stand-holder for portable terminal
KR20190106122A (ko)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KR101899251B1 (ko) 셀카기능을 가지는 등산스틱
KR20070074443A (ko) 케이싱 구조물 및 그 케이싱 구조물의 기능을 변화시키는방법
KR200461325Y1 (ko) 거치기능을 갖는 통신기기 수납용 지갑
US202101389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puting device securing apparatus
KR200452288Y1 (ko) 핸드폰 거치대
KR20070118862A (ko)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CN209991187U (zh) 自拍杆
KR20210125853A (ko) 휴대폰 거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