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8862A -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8862A
KR20070118862A KR1020060053101A KR20060053101A KR20070118862A KR 20070118862 A KR20070118862 A KR 20070118862A KR 1020060053101 A KR1020060053101 A KR 1020060053101A KR 20060053101 A KR20060053101 A KR 20060053101A KR 20070118862 A KR20070118862 A KR 20070118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support arm
display
stand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3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9563B1 (ko
Inventor
권오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3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9563B1/ko
Publication of KR20070118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8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9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9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35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with approximately constant height, e.g. with constant length of column or of le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6Arms
    • F16M2200/065Arms with a special structure, e.g. reinforced or adapted for space red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8Foot or support base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랩탑(lap top) 컴퓨터의 키보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고개를 돌려서 디스플레이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일측 가장자리에 회전 및 연장 가능하게 결합되는 직립 부재; 상기 직립 부재에 결합되는 지지암; 상기 지지암의 단부에 결합되며, 전면에 디스플레이가 부착되는 지지판;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에 의하여, 랩탑 컴퓨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랩탑 컴퓨터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직하방에 위치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도모되는 효과가 있다.
지지 장치, 피봇, 틸팅, 디스플레이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Supporting apparatus for display}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배면 사시도.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랩탑(lap top) 컴퓨터의 키보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고개를 돌려서 디스플레이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와, 상기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스탠드부로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상기 스탠드 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배면 중심부에 수직하게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스탠드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전후 또는 좌우로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랩탑 컴퓨터를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협소함 때문에 치수가 큰 별도의 디스플레이를 사용하기도 한다. 다시 말하면, 랩탑 컴퓨터의 키보드를 이용하면서 영상 정보는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되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도모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스탠드부가 디스플레이의 배면 중앙에 위치됨으로써, 랩탑 컴퓨터를 겸하여 사용하는 경우 사용의 불편함이 제기된다.
상세히, 랩탑 컴퓨터에 구비된 모니터가 별도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랩탑 컴퓨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방에 두고 작업을 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기 위하여 고개를 옆으로 돌려야 하거나, 랩탑 컴퓨터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장시간 고개를 돌린 채로 작업하는 경우 근육통 등이 유발될 수 있고, 랩탑 컴퓨터를 디스플레이 장치 전방으로 이격되게 위치하는 경우 공간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접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운반이 용이하지 아니할 뿐 아니라, 제품 포장 박스의 부피가 커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랩탑 컴퓨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별도의 모니터를 사용할 경우 자유로운 시야각 조절과 더불어 운송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일측 가장자리에 회전 및 연장 가능하게 결합되는 직립 부재; 상기 직립 부재에 결합되는 지지암; 상기 지지암의 단부에 결합되며, 전면에 디스플레이가 부착되는 지지판;이 포함된다.
또다른 측면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일측 가장자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스탠드 부재; 상기 베이스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스탠드 부재의 회전 중심이 되는 고정 힌지가 돌출되는 서포터;및 상기 서포터를 관통하여 양 단부가 상기 스탠드 부재에 삽입되며, 상기 스탠드 부재의 직립 또는 회전을 제어하는 가동 힌지;가 더 포함되고, 상기 서포터에는 상기 가동 힌지의 회동을 가이드하는 힌지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다른 측면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는 설치면으로부터 직립되는 스탠드 부재; 상기 스탠드 부재로부터 연장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측에 소정 길이의 가이드 홀이 형성되는 연장단; 상기 스탠드 부재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가이드 홀 내부로 관통 삽입되어, 상기 연장단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높이 클러치;및 상기 연장단의 상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암;이 포함된다.
또다른 측면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일측 가장자리에 직립되는 스탠드 부재; 상기 스탠드 부재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장단; 상기 연장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암; 상기 지지암과 상기 연장단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연장단의 회전을 제어하는 암 고정부; 가 포함되고, 상기 연장단의 단부에는 상기 지지암의 회전 중심이 되는 암힌지가 돌출되어 상기 지지암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다른 측면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는 베이스의 일측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스탠드 부재; 상기 스탠드 부재에 연장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장단; 상기 연장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암; 상기 지지암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판;및 상기 지지판이 상기 지지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회전 조절부가 포함되고, 상기 회전 조절부에는 상기 지지판의 배면에 결합되는 피봇 조절편과, 상기 지지암의 단부에 연결되는 틸팅 조절편 및 상기 피봇 조절편 및 틸팅 조절편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편이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랩탑 컴퓨터 사용자가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고개를 돌려서 작업할 필요가 없고 운반이 자유롭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0)은 디스플레이(11)와, 상기 디스플레이(11)를 지지하는 지지 장치(20) 및 상기 디스플레 이(11)의 직하방에 위치되는 랩탑 컴퓨터(12)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지지 장치(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랩탑 컴퓨터(12)의 모니터가 상기 디스플레이(11)의 후방에 위치 가능하도록, 스탠드(22 : 도 3 참조)가 일측 가장자리쪽에 치우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탠드(22)는 높이 조절이 가능할 뿐 아니라 접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지지 장치(20)의 구성 및 그 기능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발명의 사상에 따른 지지 장치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지지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20)는 설치면에 안착되는 베이스(21)와, 상기 베이스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스탠드(22)와, 상기 스탠드(22)로부터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장단(23)과, 상기 연장단(23)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암(24)과, 상기 지지암(24)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판(25) 및 상기 지지판(25)과 지지암(24)을 연결하는 부위를 덮는 커버(26)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베이스(21)의 상부면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이 소정 각도로 경사지는 받침면(211)이 형성되어, 랩탑 컴퓨터(12)가 안착되면 사용자쪽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랩탑 컴퓨터(12)의 키보드를 사용하는데 매우 편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장단(23)은 상기 스탠드(22)로부터 상측으로 인출되거나 스탠 드(22) 내부로 인입되어 디스플레이(11)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암(24)은 상기 연장단(23)을 중심으로 270도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지지 장치(20)를 용이하게 접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판(25)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11)가 결합되고, 상기 지지판(25)은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상기 지지암(24)을 회전축으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11)를 후방으로 회전하면 사용자의 맞은 편에 앉은 사람도 디스플레이 화면을 볼 수 있게 된다.
도 5는 상기 지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장치(2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베이스(21)와, 스탠드(22)와, 지지암(24)과, 지지판(25)으로 크게 이루어진다.
상세히, 상기 베이스(21)의 일측 테두리부에는 서포터(27)가 일체로 또는 별도의 단품으로 연결되고, 상기 서포터(27)의 양 측면에는 상기 스탠드(22)가 각각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서포터(27)의 두께만큼 상기 두 개의 스탠드(22)는 일정 간격 이격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서포터(27)는 서포터 바디(271)와, 상기 서포터 바디(271)의 양 측면에 돌출되는 고정 힌지(272)와, 상기 고정 힌지(272)의 후방에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상기 서포터 바디(272)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힌지홈(273)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힌지(272)는 상기 스탠드(22)에 형성된 고정 힌지홀(222)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홈(273)에는 상기 스탠드(22)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가동 힌지(274)가 삽입되고, 상기 가동 힌지(274)의 양단부는 상기 스탠 드(22)의 하단에 형성된 가동 힌지홀(223)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 힌지(274)의 외주에는 스프링(275)이 삽입되어, 상기 가동 힌지(274)가 상기 서포터(27) 내부에서 좌우 이동 가능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스탠드(22)의 접힘 동작시와 직립 상태에서 상기 가동 힌지(274)의 위치가 다르며,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하기에서 도면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스탠드(22)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핀홀(221)이 형성되고, 상기 핀 홀(221)에 가이드 핀(226)이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단(23)은 상기 가이드 핀(226) 사이 공간으로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 핀(226)에 의하여 상기 연장단(23)이 상하 운동 과정에서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된다.
또한, 상기 스탠드(22)의 내측에는 상기 연장단(23)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클러치(28)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스탠드(22)에는 상기 클러치(28)가 수용되는 스토퍼홈(225) 및 버튼홀(224)이 각각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클러치(28)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연장단(23)은 상기 스탠드(22) 사이에서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수단으로서, 내측에 상기 클러치(28)가 수용되는 가이드 홀(23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홀(231)의 내측 테두리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단차지는 높이 조절부(232)가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클러치(28)가 상기 높이 조절부(232)에 걸리는 위치에 따라 상기 연장단(23)의 높이가 결정된다.
또한, 상기 연장단(23)의 상측 단부에는 상기 지지암(24)의 일측 단부가 회 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암 고정부(29)가 결합되며, 상기 암 고정부(29)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암(24)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지지판(25)이 피봇(pivot)및 틸팅(tilting)이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회전 조절부(30)가 개입되며, 상기 회전 조절부(30)는 커버926)에 의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피봇이라 함은, 상기 지지판(25)의 전면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가 좌후 회전하는 것을 말하며, 틸팅이라 함은 상기 지지판(25)이 전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한 기능과 작동들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지지 장치가 접혀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장치(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히, 상기 지지 장치(20)를 접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연장단(23)이 상기 스탠드(22) 사이로 하강하여 최저점에 이르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암(24)을 270도 회전시켜 상기 연장단(23)에 밀착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판(25)은 접었을 때 상측을 향하도록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스탠드(27)를 상기 베이스(21)에 밀착되도록 접는다.
이하에서는 상기 스탠드(27)를 접는 방법과 상기 지지암(24)을 접는 방법 등 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지지 장치의 스탠드 조립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장치(20)는 두 개의 스탠드(22)가 상기 베이스의 테두리부에 돌출 형성된 서포터(27)의 양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밀착 결합된다.
또한, 상기 스탠드(22)와 스탠드(22) 사이에는 상기 연장단(23)이 삽입되고, 상기 연장단(23)은 다수 개의 가이드 핀(226)에 의하여 지지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연장단(23)은 상기 가이드 핀(226)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하 높이 조절 과정에서 기울어지거나 넘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연장단(23)의 내측에 길게 형성된 가이드 홀(231) 내부로 상기 클러치(28)가 삽입된다. 상세히, 상기 클러치(28)는 상기 가이드 홀(231) 내에 수용되어 상기 높이 조절부(232)에 걸리는 스토퍼(281)와, 상기 스탠드(22)의 버튼홀(224)에 삽입되어 상기 스토퍼(281)에 연결되는 버튼부(282)와, 상기 스토퍼(281) 내부에 형성된 홈에 끼워지는 스프링(283)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스탠드(22)의 하단부는 상기 서포터(27)에 관통 삽입되는 가동 힌지(274)에 의하여 고정되며, 상기 가동 힌지(274)의 작동에 의하여 스탠드(22)가 직립 상태를 유지하거나 베이스(21) 상부면으로 접혀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8은 도 4의 Ⅰ-Ⅰ'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장치(20)는 연장단(23)의 높이가 사 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자유로이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히, 상기 클러치(28)를 구성하는 상기 버튼부(282)는 일측 스탠드(22)에 형성된 버튼홀(224)에 삽입되며, 상기 스탠드(22)의 외측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스탠드(22)를 관통하는 버튼부(282)의 단부에는 상기 스토퍼(281)가 연결된다. 그리고, 타측 스탠드(22)의 내측에는 상기 스토퍼(281)가 수용되기 위한 스토퍼 홈(22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 홈(225)의 중심부에는 소정 길이의 스프링 가이드(226)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 가이드(226)의 외주에는 상기 스프링(283)이 끼워진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 가이드(226)에 의하여 스프링(283)이 상기 스토퍼 홈(225) 내부에서 요동하는 현상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281)의 중심부에는 소정 깊이의 스프링 수용홈(281a)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수용홈(282a)에 상기 스프링 가이드(226)와 스프링(283)이 함께 끼워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버튼(282)에 외력이 가해지지 아니하면, 상기 스토퍼(281)는 스프링(283)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스토퍼 홈(225)으로부터 빠져 나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281)의 전단부는 상기 높이 조절부(232)의경사면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절단된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높이 조절부(232)는 경사와 단차가 반복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281)는 상기 높이 조절부(232)의 경사면에 완전히 밀착되고, 상부면 일부는 상기 높이 조절부(232)의 단차지는 부분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높이 조절부(232)의 경사 형태에 의하여, 상기 연장단(23)이 상측으로 인출될 때에는 상기 버튼부(282)를 누르지 않더라도, 스토퍼(281)가 상기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지게 된다. 즉, 상기 스토퍼(281)가 저절로 상기 스토퍼 홈(225) 내부로 삽입된다.
반면에, 상기 연장단(23)의 높이를 낮추기 위하여 하강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상기 버튼부(282)를 눌러서 상기 스토퍼(281)가 상기 스토퍼 홈(225)에 삽입되도록 하여야 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스토퍼(281)가 상기 높이 조절부(232)의 경사면과 단차부로부터 완전이 이탈되도록 하여야 한다. 그리고, 연장단(23)이 적절한 높이로 하강한 상태에서 버튼부(282)에 가해진 힘을 제거하면, 상기 스프링(283)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스토퍼(281)는 다시 상기 높이 조절부(232)에 밀착된다.
여기서, 상기 높이 조절부(232)는 상기 가이드 홀(231)의 양쪽 내측면에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281)의 경사진 전단부의 양 측면 가장자리에 상기 높이 조절부(232)가 각각 접촉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지지 장치(20)의 스탠드가 접혀지는 과정을 도면과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도 7의 Ⅱ-Ⅱ'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로서, 스탠드가 직립 상태에서의 가동 힌지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 상태에서의 가동 힌지의 내부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장치(20)의 스탠드(22)는 상기 서포터(27)에 끼워지는 가동 힌지(274)의 위치에 따라 직립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거나, 베이스(21)에 밀착되게 접혀지도록 한다.
상세히, 상기 가동 힌지(274)는 소정의 직경과 길이를 가지는 힌지 바디(274a)와, 상기 힌지 바디(274a)의 외주면 일측에 상기 힌지 바디(274a)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걸림부(274b)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서포터(27)의 서포터 바디(271) 내부에는 상기 힌지 바디(274a)와 걸림부(274b)가 수용되는 힌지홀(27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 힌지(274)는 상기 스탠드(22)와 서포터 바디(271)를 관통하여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스탠드(22)가 회전하면서 접혀질 때 상기 가동 힌지(274)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홀(271)은 상기 가동 힌지(274)가 회전할 때 그려지는 곡률과 동일한 곡률로 만곡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힌지홀(271)은 상기 힌지 바디(274a)가 수용되는 제 3 가이드 홀(273c)과, 상기 제 3 가이드 홀(273c)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 3 가이드 홀(273c)과 같거나 큰 직경을 가지고 형성되는 제 2 가이드 홀(273b)과, 상기 제 2 가이드 홀(273b)의 단부로부터 상기 걸림부(274b)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 1 가이드 홀(273a)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 3 가이드 홀(273c)은 상기 가동 힌지(274)의 힌지 바디(274a)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힌지 바디(274a)가 요동없이 회전하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가이드 홀(273b)은 상기 힌지 바디(274a)와 동일하거나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요약하면, 상기 제 1 가이드 홀(273a)은 상기 제 2 및 제 3 가이드 홀(273c,273b)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가이드 홀(273b)의 하단부에는 상기 걸림부(274b)와 동일한 직경의 확관부(273d : 도 12 참조)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확관부(273d) 이외의 제 2 가이드 홀(273b) 부분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 3 가이드 홀(273c)과 동일하거나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274b)가 상기 확관부(273d)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가동 힌지(274)가 회전하지 못하게 되므로, 상기 스탠드(22)가 직립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세히, 상기 가동 힌지(274)의 외주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275)이 삽입되고, 상기 스탠드(22)에는 상기 스프링(275)이 수용되기 위한 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탠드(22)가 직립 상태에서는 상기 스프링(275)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걸림부(274b)가 밀려서 상기 확관부(273d)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확관부(273d)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 2 가이드 홀(273b)은 상기 확관부(273d)의 직경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가동 힌지(274)가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는 상기 힌지홀(273)이 크기가 다른 세개의 홀이 하나로 연결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제 3 가이드 홀(273c)과 제 2 가이드 홀(273b)이 상기 힌지 바디(274a)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만곡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힌지 홀(273)은 상기 걸림부(274b)가 수용되어 회전이 가이드되도록 하는 걸림부 가이드 홀과, 상기 힌지 바디가 수용되어 회전이 가이드되도록 하는 힌지 바디 가이드 홀 및 상기 힌지 바디 가이드 홀의 하단부에 상기 걸림부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는 확관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상기 걸림부가 상기 확관부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스탠드의 회전이 차단된다. 왜냐하면, 상기 확관부의 상측 부분은 상기 힌지 바디(274a)의 직경과 동일한 크기의 홀이 연장되기 때문이다. 반면, 상기 걸림부가 걸림부 가이드 홀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가동 힌지(274)가 상기 힌지 홀(273)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되어, 상기 스탠드(22)가 접힐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도 7의 Ⅱ-Ⅱ'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로서, 스탠드의 접힘 과정이 수행될 때의 가동 힌지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 상태에서의 가동 힌지의 내부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스탠드(22)가 접혀지기 위해서는 상기 가동 힌지(274)의 걸림부(274b)가 상기 제 1 가이드 홀(273a)에 위치되어야 한다.
상세히, 상기 제 1 가이드 홀(273a)은 상기 걸림부(274b)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탠드(22)를 접기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가동 힌지(274)의 일측 단부, 즉 상기 스프링(275)이 끼워진 쪽의 반대편 단부를 가압한다. 그러면, 상기 스프링(275)이 수축되면서 상기 확관부(273d)에 삽입된 상기 걸림부(274b)가 상기 제 1 가이드 홀(273a)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스탠드(22)를 회전하면 상기 걸림부(274b)는 상기 제 1 가이드 홀(273a)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가동 힌지(274)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 힌지(274)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는 상기 가동 힌지(274)에 가한 힘을 제거하여도 가동 힌지(274)는 원위치로 복귀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상기 제 1 가이드 홀(273a)에 인접한 제 2 가이드 홀(273b)은 상기 걸림부(274b)의 직경보다 작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스탠드(22)가 회전 또는 직립 가능하게 하는 수단으로서 상기에 서 제시된 힌지 수단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조절 수단이 제시 가능함을 밝혀 두며, 본 발명의 주된 사상은 상기 스탠드(22)가 직립 상태 또는 접힘 상태로 가변될 수 있는 것임을 재차 밝혀 둔다.
도 13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연장단과 지지암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장치(20)를 구성하는 지지암(24)는 연장단(2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암(24)은 암 고정부(29)에 의하여 상기 연장단(2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지지암(24)에는 상기 암 고정부(29)가 삽입되기 위한 수용홀(242)이 전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단(23)의 상단부에는 상기 암 고정부(29)를 구성하는 스토퍼(291 : 후술함)가 삽입되기 위한 스토퍼 홀(234)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홀(234)의 측방에는 암 힌지(233)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암(24)의 단부, 즉 상기 수용홀(242)의 측방에는 상기 암 힌지(233)가 삽입되기 위한 힌지홀(24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암(24)은 상기 암 힌지(233)를 회전 축으로 하여 최대 270도까지 회전 가능하게 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암 고정부(29)는 상기 수용홀(242)에 삽입되는 스토퍼(291)와, 상기 스토퍼(291) 내측에 수용되는 버튼부(293)와, 상기 버튼부(293)의 단부에 끼워지는 스프링(292)이 포함되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291)에는 양측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되는 파지부(291a)가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291a)의 반대편 단부에는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절단되는 형상의 경사면(291c)이 형성된다. 그리 고, 상기 연장단(23)에 형성되는 스토퍼 홀(234)의 상측에는 상기 경사면(291c)과 면접되는 경사면(235)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암(24)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연장단(23)의 경사면(235)을 따라 상기 스토퍼(291)의 경사면(291c)이 미끄러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지지암(24)의 회전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상기 암 고정부(29)의 작동 상태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장치의 지지암이 회전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 장치(20)가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스탠드(22)를 먼저 직립시키고, 그 다음 상기 지지암(24)을 회전하여 수평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세히, 상기 지지암(24)이 수평 상태까지 회전하기 전에는 상기 고정부(29)의 스토퍼(291)가 지지암(24)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암(24)이 더 회전하게 되면, 상기 스토퍼(291)는 상기 연장단(23)의 경사면(235)에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면(235)에 접촉된 상태에서 지지암(24)이 더 회전하게 되면, 상기 스토퍼(291)는 상기 경사면(235)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상기 지지암(24) 내부로 만입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암(24)이 수평 상태가 되면 상기 스토퍼(291)는 다시 돌출되어 상기 연장단(23)의 스토퍼 홀(234)에 끼워지게 된다.
도 17은 도 16의 Ⅲ-Ⅲ'을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16의 Ⅳ-Ⅳ'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암 고정부(29)를 구성하는 스토퍼(291)는 상기 지지암(24)의 수용홀(242)과 상기 연장단(23)의 스토퍼 홀(234)에 관통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버튼부(293)는 상기 스토퍼(291)의 파지부(291a)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따라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버튼부(293)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홀(242)의 상하 내주면에는 상기 버튼부(293)의 나사산과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버튼부(293)는 나사 결합에 의하여 상기 수용홀(242)에 고정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버튼부(293)의 단부에는 상기 스프링(292)이 삽입되고, 상기 스토퍼(291)에는 상기 버튼부(293)의 일부분이 삽입되기 위한 버튼홀(291b)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291)는 전후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며, 상기 스토퍼(291)가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될 때, 상기 스프링(292)이 수축되면서 상기 버튼부(293)의 일부분이 상기 버튼홀(291b)에 삽입된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장치의 지지암이 회전하는 과정에서의 암 고정부의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수평 상태에 있는 상기 지지암(24)을 접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상기 스토퍼(291)의 파지부(291a)를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 당긴다. 그러면, 상기 스토퍼(291)는 상기 연장단(23)의 스토퍼 홀(234)에서 빠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버튼부(293)는 상기 지지암(24)의 수용홀(242)에 고정 결합된 상태이므로, 상기 스프링(292)은 수축된다.
한편,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스토퍼(291)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암(24)을 상기 암 힌지(233)를 회전축으로 회전하면, 상기 스토퍼(291)의 경사 면(291c)은 상기 연장단(23)의 경사면(235)에 접촉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파지부(291a)에서 손을 떼어도 무방하다.
상세히, 상기 스토퍼(291)의 경사면(291c)이 상기 연장단(23)의 경사면(235)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암(24)을 더 회전하면, 상기 스토퍼(291)는 상기 연장단(230의 경사면(235)을 따라 미끄러져 올라가면서 화살표 방향으로 다시 인입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291)가 상기 경사면(235)을 완전히 벗어나게 되면, 상기 파지부(291a)는 도 17과 같이 수용홀(242)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가 된다.
이와 반대로, 접혀져 있는 지지암(24)을 수평 상태로 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상기 지지암(24)을 회전하게 되면, 상기 스토퍼(291)의 경사면(291a)은 상기 연장단(23)의 경사면(235)에 접촉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지지암(24)을 더 회전하면 상기 스토퍼(291)는 상기 경사면(235)을 따라 미끄러져 내려가면서 파지부(291a)가 인출된다. 즉, 상기 스토퍼(291)는 도 20 → 도 19의 순서로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암(24)이 완전히 수평상태가 되면 상기 스토퍼(291)는 상기스프링(292)의 인장력에 의하여 상기 연장단(23)의 스토퍼홀(234) 내부로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암(24)은 상기 스토퍼(291)에 의하여 수평 상태로 고정된다.
한편, 상기 지지암(24)이 회전 가능하게 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암 고정부(29)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수단이 제안 가능하다. 물론, 본 발명의 주된 사상은 상기 지지암(24)이 연장단(2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는 것임을 밝혀 둔다.
도 2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지지 장치의 지지암에 디스플레이 지지판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회전 조절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Ⅴ-Ⅴ'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이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장치(20)에는 디스플레이(1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디스플레이(11)은 소정 크기의 지지판(25) 전면에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25)과 상기 지지암(24)은 상기 회전 조절부(30)에 의하여 결합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회전 조절부(30)에는 상기 지지판(25)의 배면에 고정 결합되는 백플레이트(31)와, 상기 백플레이트(31)의 배면 중심에 밀착되는 피봇(pivot) 조절편(32)과, 상기 지지암(24)의 단부에 결합되는 틸팅(tilting)조절편(34)과, 상기 피봇 조절편(32) 및 틸팅 조절편(34)을 연결하는 연결편(33)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편(33)은 상기 피봇 조절편(32)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측 연결편(331)과, 틸팅 조절편(34)에 결합되는 암측 연결편(332)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측 연결편(331)과 상기 피봇 조절편(32)은 스크류(35)에 의하여 결합되고, 상기 피봇 조절편(32)은 상기 백플레이트(31)에 또다른 스크류에 의하여 고정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판(25)과 백플레이트931) 및 상기 피봇 조절편(32)은 일체로 움직이게 되고, 상기 피봇 조절편(32)은 상기 디스플레이측 연결편(3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피봇 조절편(32)과 디스플레이측 연결편(331) 사이에는 부싱(36)이 삽입되어, 상기 피봇 조절편(32)이 상기 디스플레이측 연결편(331)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35)의 단부 외주면에는 너트(38)가 삽입되어, 상기 스크류(35)가 빠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암측 연결편(332)은 스크류(35)에 의하여 상기 틸팅 조절편(3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틸팅 조절편(34)과 암측 연결편(332) 사이에도 부싱(36)이 삽입되어, 상기 암측 연결편(332)이 상기 틸팅 조절편(34)으로부터 이격된다. 그리고, 상기 틸팅 조절편(34)은 별도의 스크류 부재에 의하여 상기 지지암(24)에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암측 연결편(332)을 관통하는 상기 스크류(35)도 상기 지지암(24)에 관통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35)와 접촉되는 부분 및 상기 부싱(36)에 접촉되는 면에는 와셔(37)가 끼워져서 각 부재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한다.
여기서, 피봇이라 함은 상기 디스플레이(11)가 상기 디스플ㄹ이측 연결편(331)을 관통하는 스크류(35)를 회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틸팅이라 함은 상기 디스플레이(11)가 상기 암측 연결편(332)을 관통하는 스크류(35)를 회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11)는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는 피봇팅(pivotting) 및 전후 방향으로 회전하는 틸팅(tilting)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11)의 피봇팅과 틸팅 과정에서 디스플레이(11)의 자중에 의하여 헛도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강구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헛돔 방지 구조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3 및 도 24는 디스플레이의 헛돔 방지를 위한 회전 조절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11)의 헛돔 방지 구조는 피봇팅 되는 부분과 틸팅 되는 부분 모두에 동일하게 적용되어 있으며, 이하에서는 피봇팅되는 부분을 대표 실시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상세히, 상기 디스플레이(11)의 피봇 과정에서 헛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측 연결편(331)과 피봇 조절편(32)은 마찰력에 의하여 디스플레이(11)의 회전이 조절되도록 한다.
더욱 상세히, 상기 디스플레이측 연결편(331)의 일부분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홈(331c)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331c)에 의하여 절개되는 마찰단(331a)은 상기 피봇 조절편(32)쪽으로 휘어진다. 그리고, 상기 피봇 조절편(32)에도 절개홈(323)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323)에 의하여 절개되는 마찰단(321)은 상기 디스플레이측 연결편(331)쪽으로 휘어진다. 따라서, 상기 마찰단(331a,321)은 상기 디스플레이(11)의 회전 과정에서 접촉하여 마찰력을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측 연결편(331)의 하단에는 스토퍼(331b)가 절곡 형성되고, 상기 피봇 조절편(32)에는 상기 스토퍼(331b)의 회전량을 제한하는 가이드 홈(32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331b)는 상기 가이드 홈(322)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11)의 최대 회전량이 제어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1)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피봇 조절편(32)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피봇 조 절편(32)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마찰단(321)의 단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측 연결편(331)의 마찰단(331a) 표면과 접촉되면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11)의 회전량이 커질수록 상기 마찰단(321,331a)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11)가 회전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11)의 자중에 의하여 헛도는 현상이 방지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스토퍼(331b)에 의하여 디스플레이(11)의 최대 회전량이 제어되므로, 디스플레이(11)가 안전하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에 의하여, 랩탑 컴퓨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랩탑 컴퓨터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직하방에 위치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도모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는 접을 수 있는 편리함 때문에 운반 또는 포장시 부피가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는 디스플레이가 전후방으로 360도 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마주 앉은 상대방이 자리를 이동하지 않고도 디스플레이 화면을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9)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일측 가장자리에 회전 및 연장 가능하게 결합되는 직립 부재;
    상기 직립 부재에 결합되는 지지암;
    상기 지지암의 단부에 결합되며, 전면에 디스플레이가 부착되는 지지판;이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립 부재는 접을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탠드와,
    상기 스탠드로부터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장단이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암은 상기 연장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연장단에 전후 방향과 좌우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 향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은 소정 각도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6.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일측 가장자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스탠드 부재;
    상기 베이스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스탠드 부재의 회전 중심이 되는 고정 힌지가 돌출되는 서포터;및
    상기 서포터를 관통하여 양 단부가 상기 스탠드 부재에 삽입되며, 상기 스탠드 부재의 직립 또는 회전을 제어하는 가동 힌지;가 더 포함되고,
    상기 서포터에는 상기 가동 힌지의 회동을 가이드하는 힌지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스탠드 부재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가이드 핀과,
    상기 가이드 핀 사이에 개재되어 상하 이동이 가이드되는 연장단이 더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홀은 상기 가동 힌지의 회전 곡률과 동일한 곡률로 만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힌지는 소정의 직경과 길이를 가지는 힌지 바디와,
    상기 힌지 바디의 외주에 돌출되는 걸림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홀에는 상기 걸림부가 수용되어 그 회전을 가이드하는 걸림부 가이드 홀과,
    상기 걸림부 가이드 홀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힌지 바디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힌지 바디 가이드 홀 및
    상기 힌지 바디 가이드 홀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의 직경과 동일한 크기의 확관부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가 확관부에 삽입되면 상기 스탠드의 회전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힌지의 외주에 삽입되어, 상기 가동 힌지의 원위치 복귀를 유도하는 스프링이 더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13. 설치면으로부터 직립되는 스탠드 부재;
    상기 스탠드 부재로부터 연장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측에 소정 길이의 가이드 홀이 형성되는 연장단;
    상기 스탠드 부재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가이드 홀 내부로 관통 삽입되어, 상기 연장단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높이 클러치;및
    상기 연장단의 상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암;이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에는 상기 스탠드에 삽입되어 사용자가 누를 수 있도록 하는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연장단이 소정의 높이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스토퍼가 포함되고,
    상기 가이드 홀의 내주면에는 경사면과 단차면이 반복되는 높이 조절부가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의 전면은 상기 높이 조절부의 경사면과 일치되도록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후방에는 스프링이 삽입되어, 상기 버튼부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스토퍼는 상기 높이 조절부의 경사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16.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일측 가장자리에 직립되는 스탠드 부재;
    상기 스탠드 부재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장단;
    상기 연장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암;
    상기 지지암과 상기 연장단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연장단의 회전을 제어하는 암 고정부;가 포함되고,
    상기 연장단의 단부에는 상기 지지암의 회전 중심이 되는 암힌지가 돌출되어 상기 지지암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암 고정부에는 일단부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지부가 연장되는 스토퍼와,
    상기 지지암에 고정되어 상기 스토퍼의 이탈을 방지하는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의 일단에 끼워져서 상기 스토퍼의 원위치 복귀를 가이드하는 스프링이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암에는 상기 스토퍼가 삽입되기 위한 수용홀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홀의 내주면에 상기 버튼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단의 단부에는 상기 스토퍼의 경사면이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가 삽입되도록 하는 스토퍼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암이 회전하여 상기 연장단과 직교 상태로 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스토퍼는 상기 연장단의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상기 지지암으로부터 인출되다가, 다시 상기 지지암 내부로 인입되면서 상기 스토퍼 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암을 접기 위해서는 상기 스토퍼의 파지부를 잡아 당겨 상기 스토퍼가 상기 스토퍼 홀에서 빠지도록 하고,
    상기 지지암을 회전하여 상기 스토퍼의 경사면이 상기 연장단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22. 베이스의 일측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스탠드 부재;
    상기 스탠드 부재에 연장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장단;
    상기 연장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암;
    상기 지지암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판;및
    상기 지지판이 상기 지지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회전 조절부가 포함되고,
    상기 회전 조절부에는 상기 지지판의 배면에 결합되는 피봇 조절편과, 상기 지지암의 단부에 연결되는 틸팅 조절편 및 상기 피봇 조절편 및 틸팅 조절편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편이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조절편과 상기 지지판 사이에 개입되는 백 플레이트가 더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과, 백플레이트 및 상기 피봇 조절편은 일체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은 소정 각도로 절곡되어, 상기 피봇 조절편에 접촉되는 디스플레이측 연결편과, 상기 틸팅 조절편에 접촉되는 암측 연결편으로 나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조절편과 상기 디스플레이측 연결편 사이 및 상기 틸팅 조절편과 상기 암측 연결편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개재되는 부싱과,
    상기 각각의 연결편과 부싱 및 조절편을 관통하는 체결 부재가 더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조절편 일부분이 절개 및 만곡되어 이루어지는 조절편측 마찰단과,
    상기 각각의 조절편에 대응되는 각각의 연결편 일부분이 절개 및 만곡되어 이루어지는 연결편측 마찰단이 더 포함되고,
    디스플레이가 피봇팅 또는 틸팅될 때, 상기 조절편측 마찰단과 연결편측 마찰단이 서로 접촉하여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하여 디스플레이의 회전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2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연결편 중 적어도 하나의 외주에는 디스플레이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조절편 중 적어도 하나의 외주에는 상기 스토퍼의 회전량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29.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조절부를 덮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커버 부재가 더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KR1020060053101A 2006-06-13 2006-06-13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KR100849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3101A KR100849563B1 (ko) 2006-06-13 2006-06-13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3101A KR100849563B1 (ko) 2006-06-13 2006-06-13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8862A true KR20070118862A (ko) 2007-12-18
KR100849563B1 KR100849563B1 (ko) 2008-07-31

Family

ID=39137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3101A KR100849563B1 (ko) 2006-06-13 2006-06-13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956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6949A (ko) * 2016-09-05 2018-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110360433A (zh) * 2019-07-17 2019-10-22 乐歌人体工学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器支架及其安装方法
CN111678005A (zh) * 2020-06-29 2020-09-18 新昌县杨辉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移动使用的大数据机房用视频监控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45343B (zh) * 2019-06-13 2021-12-14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显示器支架及应用其的显示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5415A (en) * 1996-10-03 1998-09-08 Hewlett-Packard Company Detachable flat panel computer display and support
JP2000112377A (ja) * 1998-09-30 2000-04-21 Okamura Corp ディスプレイ支持装置
JP2003223238A (ja) 2002-01-28 2003-08-08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コンピュータ装置、モニタユニットおよび対面ユニットの支持構造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6949A (ko) * 2016-09-05 2018-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110360433A (zh) * 2019-07-17 2019-10-22 乐歌人体工学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器支架及其安装方法
CN111678005A (zh) * 2020-06-29 2020-09-18 新昌县杨辉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移动使用的大数据机房用视频监控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9563B1 (ko) 2008-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37687B2 (ja) 可動型スタンド装置
US6016171A (en) Height-adjustable case structure for the display of portable computers
US5318257A (en) Mechanism for supporting camera in image transmission apparatus
US6098952A (en) Laptop computer support
US20090134285A1 (en) Monitor Support Device
CA2522443C (en) Laptop holder
US10806043B2 (en) Holder combined with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WO2007082161A2 (en) Adjustable work surface
US20130140837A1 (en) Portable computer holder with adjustable hand grip
KR20160004324A (ko) 안정화 장치
KR100849563B1 (ko)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US7004438B2 (en) Angularly adjustable keyboard support bracket
US7159827B2 (en) Arm support with mouse pad
KR101847406B1 (ko)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US20190058782A1 (en) Stand-holder for portable terminal
US20090108641A1 (en) Adjustable armchair tray
JP4343218B2 (ja) 調節式キーボードスタンド
US20060108841A1 (en) Adjustable armchair tray
KR20230137591A (ko) 전자기기 거치대
KR100942277B1 (ko) 노트북 컴퓨터 받침대
KR101483407B1 (ko) 탁자 상판의 각도 조절장치
KR102348648B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장치
KR20160020071A (ko) 휴대용 문서 스탠드
KR200241672Y1 (ko) 컴퓨터 키보드 조작용 팔받침대
KR890003225Y1 (ko) 컴퓨터 주변기기의 경사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