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7591A - 전자기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7591A
KR20230137591A KR1020220035171A KR20220035171A KR20230137591A KR 20230137591 A KR20230137591 A KR 20230137591A KR 1020220035171 A KR1020220035171 A KR 1020220035171A KR 20220035171 A KR20220035171 A KR 20220035171A KR 20230137591 A KR20230137591 A KR 20230137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electronic device
bases
device holder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5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성태
Original Assignee
권성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성태 filed Critical 권성태
Priority to KR1020220035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7591A/ko
Publication of KR20230137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75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 H04M1/12Adjustable supports, e.g. exten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대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호 대향하며 위치하는 한 쌍의 베이스, 한 쌍의 베이스의 사이에 위치하고 한 쌍의 베이스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 한 쌍의 베이스의 일측에 각각 회동 연결되는 한 쌍의 고정부, 한 쌍의 고정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한 쌍의 고정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 한 쌍의 베이스의 타측에 각각 회동 연결되고 한 쌍의 고정부의 내측에서 한 쌍의 고정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한 쌍의 가변부, 한 쌍의 고정부의 일측에 각각 회동 연결되고 상부에 거치물을 거치하는 한 쌍의 거치부, 한 쌍의 거치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한 쌍의 거치부를 연결하는 제3 연결부, 및 한 쌍의 거치부의 일측에 각각 회동 연결되고 한 쌍의 거치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한 쌍의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기기 거치대{HOLDER FOR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전자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거치대에 노트북, 태블릿 PC 등을 거치하고 상황에 따라 높이와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간편하게 접어 보관할 수 있는 전자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통신의 원활화 및 신속화에 따라 노트북, 태블릿 PC 등의 개인용 디스플레이 전자기기들이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노트북은 키보드가 형성된 본체와 모니터가 소정 각도로 펼쳐진 상태로 사용된다. 이 때, 사용자는 노트북을 수평의 테이블 상부에 올려 놓고 사용하기 때문에 노트북의 사용 위치에 맞추기 위해 상체를 굽혀 사용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목 또는 척추 등에 무리가 가해지고, 장시간 사용시 피로도가 급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태블릿 PC는 터치스크린 방식이 적용되어 별도의 마우스나 키보드 없이 사용된다. 사용자는 태블릿 PC를 바닥면에 놓은 상태로 작업하거나 직접 들고 작업을 하거나 태블릿 PC를 기울인 상태에서 벽면에 기대어 거치 시키거나 사용자가 손으로 태블릿 PC를 잡은 상태에서 동영상 등을 시청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노트북, 태블릿 PC 등의 전자기기를 받치는 경사받침대 구조가 사용되었는데, 종래의 경사받침대는 부피가 커 휴대하기 어렵고, 노트북과 태블릿 PC 등 디스플레이 전자기기 각각에 적절한 각도 및 높낮이 조절 작동이 용이하지 못하여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하나의 거치대로 경사 각도와 높이를 조절하여 다양한 디스플레이 전자기기에 적용하고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한국등록실용 제20-043298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노트북, 태블릿 PC 등의 전자기기 각각에 맞는 적절한 경사 각도와 높낮이를 조절하여 다양한 전자기기의 거치가 가능하며 사용자의 목 또는 척추 등에 무리 및 피로도를 낮출 수 있는 전자기기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 고정부, 가변부의 삼각구조 및 고정부, 거치부, 지지부의 삼각구조를 이용하여 구조의 내구성을 높여 전자기기가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는 전자기기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쌍의 좌우 구조가 상호 연결된 구조를 이용하여 사용할 때에는 좌우 구조가 함께 조작될 수 있으므로 조작의 편의성을 높이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간편하게 접어 보관할 수 있는 전자기기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대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호 대향하며 위치하는 한 쌍의 베이스, 한 쌍의 베이스의 사이에 위치하고 한 쌍의 베이스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 한 쌍의 베이스의 일측에 각각 회동 연결되는 한 쌍의 고정부, 한 쌍의 고정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한 쌍의 고정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 한 쌍의 베이스의 타측에 각각 회동 연결되고 한 쌍의 고정부의 내측에서 한 쌍의 고정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한 쌍의 가변부, 한 쌍의 고정부의 일측에 각각 회동 연결되고 상부에 거치물을 거치하는 한 쌍의 거치부, 한 쌍의 거치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한 쌍의 거치부를 연결하는 제3 연결부, 및 한 쌍의 거치부의 일측에 각각 회동 연결되고 한 쌍의 거치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한 쌍의 지지부를 포함한다.
한 쌍의 고정부는, 한 쌍의 고정부의 일측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베이스와 회동 연결되는 베이스연결돌기, 한 쌍의 고정부의 타측 외면에 돌출 형성되고 거치부와 회동 연결되는 거치연결돌기 및 한 쌍의 고정부의 내측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가변부의 측면에 삽입되는 가변조절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가변부는, 한 쌍의 가변부의 양측면 상부에 돌출 형성되고 가변조절돌기를 고정하는 걸림고정부 및 한 쌍의 가변부의 양측면 하부에 돌출 형성되고 가변조절돌기의 이동을 제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베이스는, 한 쌍의 베이스의 일측 상부에 돌출 형성되는 스프링 체결부, 스프링 체결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베이스연결돌기가 삽입되는 제1 스프링, 및 한 쌍의 베이스를 관통하는 관통홀에 위치하고 제1 스프링의 단부가 고정되는 스프링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고정부는, 한 쌍의 고정부의 타측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스프링 결착돌기, 스프링 결착돌기에 삽입되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가변부는, 한 쌍의 가변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고 한 쌍의 베이스와 회동 연결되는 회전바, 회전바에 삽입되는 제3 스프링 및 제3 스프링의 단부가 고정되는 누름홈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베이스는, 한 쌍의 베이스의 타측 상부에 돌출 형성되고 회전바가 삽입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거치부는, 한 쌍의 거치부의 양측면을 관통하고 거치연결돌기가 삽입되는 거치회동홀, 한 쌍의 거치부의 하단부에서 내측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을 가지고 한 쌍의 지지부와 결합하는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거치부는, 한 쌍의 거치부의 일측 단부에서 일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전면받침홈, 전면받침홈에 삽입되어 회동하고 거치물을 고정하는 전면받침대, 한 쌍의 거치부의 측면 단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측면받침홈 및 측면받침홈에 삽입되어 회동하고 거치물을 고정하는 측면받침대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부는, 한 쌍의 지지부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결합홈에 삽입되어 거치부와 회동 연결되는 지지연결바를 포함하는 레그바 및 레그바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하면서 레그바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조절바를 포함할 수 있다. 레그바는, 레그바의 상부에 위치하고 외력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탄성판을 포함하고, 탄성판이 레그바의 상측 외부로 이동할 경우, 조절바가 레그바의 내부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한 쌍의 베이스는, 한 쌍의 베이스가 마주보는 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1 슬라이딩부를 포함하고, 제1 연결부의 일측 단부는 제1 슬라이딩부에 삽입되어 이동하면서 한 쌍의 베이스의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한 쌍의 고정부는, 한 쌍의 고정부가 마주보는 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2 슬라이딩부를 포함하고, 제2 연결부의 일측 단부는 제2 슬라이딩부에 삽입되어 이동하면서 한 쌍의 고정부의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한 쌍의 거치부는, 한 쌍의 거치부가 마주보는 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3 슬라이딩부를 포함하고, 제3 연결부의 일측 단부는 제3 슬라이딩부에 삽입되어 이동하면서 한 쌍의 거치부의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대는 거치하고자 하는 다양한 전자기기에 맞추어 적절한 경사 각도와 높낮이를 간단하게 조절하여 전자기기 거치대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대는 사용시, 구조의 내구성을 높여 전자기기가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으며 미사용시, 간편하게 접어 보관하여 휴대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대가 펼쳐진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대의 베이스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대의 고정부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대의 가변부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대의 베이스, 고정부 및 가변부가 결합된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대의 거치부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대의 지지부의 배면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대의 지지부의 정면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대의 지지부의 사용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대의 거치부 및 지지부가 결합된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대가 접힌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대가 접힌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대의 사용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대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대가 펼쳐진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대의 베이스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대의 고정부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대의 가변부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대의 베이스, 고정부 및 가변부가 결합된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대의 거치부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대의 지지부의 배면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대의 지지부의 정면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대의 지지부의 사용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대의 거치부 및 지지부가 결합된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대가 접힌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대가 접힌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도이며, 도 13 내지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대의 사용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 거치대(1)는 베이스(10), 고정부(20), 가변부(30), 거치부(40) 및 지지부(50)를 포함하며, 전자기기 거치대(1)를 펼쳐서 적절한 경사 각도와 높낮이를 조절하여 다양한 전자기기를 거치할 수 있으며, 미사용시 전자기기 거치대(1)를 접어서 간편하게 접어 보관 및 휴대할 수 있다.
베이스(10)는 지면과 맞닿으며 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호 대향하며 위치하는 한 쌍의 베이스(10a, 10b)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베이스(10a, 10b)는 제1 연결부(60)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고정부(20)는 상호 대향하며 위치하는 한 쌍의 고정부(20a, 20b)로 구성되고 한 쌍의 베이스(10a, 10b)의 일측에 각각 회동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고정부(20a, 20b)는 제2 연결부(70)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고정부(20)는 전자기기 거치대(1)가 접힘 상태일 경우 베이스(10)의 상부와 맞닿을 수 있으며, 펼침 상태일 경우 베이스(10)와 각도를 이루며 위치할 수 있다.
가변부(30)는 상호 대향하며 위치하는 한 쌍의 가변부(30a, 30b)로 구성되고 한 쌍의 베이스(10a, 10b)의 타측에 각각 회동 연결될 수 있다. 가변부(30)는 전자기기 거치대(1)가 접힘 상태일 경우 고정부(20)의 내측에 위치하며 베이스(10)의 상부와 맞닿을 수 있으며, 펼침 상태일 경우 고정부(20)의 내측공간(27)에서 고정부(20)와 상호 교차하며 위치하고 베이스(10)와 각도를 이루며 위치할 수 있다. 가변부(30)는 고정부(20)의 높이 즉, 고정부(20)가 베이스(10)와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거치부(40)는 상부에 노트북, 태블릿 PC 등의 개인용 디스플레이 전자기기가 거치될 수 있으며 상호 대향하며 위치하는 한 쌍의 거치부(40a, 40b)로 구성되고 한 쌍의 고정부(20a, 20b)의 일측에 각각 회동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거치부(40a, 40b)는 제3 연결부(80)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거치부(40)는 전자기기 거치대(1)가 접힘 상태일 경우 내측 공간에 고정부(20) 와 가변부(30)를 수용하며 베이스(10)의 상부와 맞닿을 수 있으며, 펼침 상태일 경우 고정부(20)와 각도를 이루며 위치할 수 있다.
지지부(50)는 상호 대향하며 위치하는 한 쌍의 지지부(50a, 50b)로 구성되고 한 쌍의 거치부(40a, 40b)의 일측에 각각 회동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50)의 일측은 거치부(40)와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베이스(10) 또는 고정부(20)와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50)는 거치부(40)가 고정부(20)와 이루는 각도 즉, 거치부(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전자기기 거치대(1)가 펼쳐진 상태일 경우, 베이스(10), 고정부(20) 및 가변부(30)는 상호 삼각형 형태의 구조를 이루며 전자기기 거치대(1)의 전방부의 안정적인 삼중지지를 형성할 수 있으며, 고정부(20), 거치부(40) 및 지지부(50)는 상호 삼각형 형태의 구조를 이루며 전자기기 거치대(1)의 후방부의 안정적인 삼중지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0), 고정부(20) 및 거치부(40)가 ‘Z’자 형태의 구조를 이루며 전자기기 거치대(1)의 전방부와 후방부를 전체적으로 지지하며 전후방 균형을 균일하게 분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자기기 거치대(1)는 베이스(10), 고정부(20), 가변부(30), 거치부(40) 및 지지부(50)의 구조를 통해 전, 후, 좌, 우의 전체적인 구조적 안정성 및 균형성을 높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으며 거치되는 전자기기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10을 통하여 전자기기 거치대(1)의 베이스(10), 고정부(20), 가변부(30), 거치부(40) 및 지지부(50)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는 일방향을 따라 길게 뻗은 한 쌍의 베이스(10a, 10b)로 구성되고, 각각 스프링 체결부(11), 스프링 걸림턱(12), 브라켓(13) 및 제1 스프링(14)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 체결부(11)는 한 쌍의 베이스(10a, 10b)의 일측 상부에서 z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원호(circular arc)를 가지는 반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스프링 걸림턱(12)은 한 쌍의 베이스(10a, 10b)를 z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홀(121)에 위치할 수 있다. 스프링 걸림턱(12)은 한 쌍의 베이스(10a, 10b)의 상부에서 관통홀(121)을 통과하며 z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고리형태로 제1 스프링(14)의 일측(142)을 고정시킬 수 있다. 스프링 걸림턱(12)에는 일측에 내측 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단부홈(122)이 형성되고, 단부홈(122)에는 가변부(30)의 단부(36)가 삽입될 수 있다.
제1 스프링(14)은 베이스(10)와 고정부(20)의 사이에 설치되고, 베이스(10)와 고정부(20)를 상호 연결시킨다. 제1 스프링(14)은 토션 스프링으로, 제1 스프링(14)이 이루는 각도에 비례하여 반대방향으로 토크력을 가하며 베이스(10)를 중심으로 고정부(20)를 회동시킬 수 있다. 제1 스프링(14)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베이스(10)와 고정부(20)가 접힘 상태 즉, 베이스(10)의 상부에 고정부(20)가 맞닿는 상태가 유지된다.
제1 스프링(14)의 코일(141)은 원형 형상으로, 체결부(11)의 외측면에 위치하며 베이스연결돌기(21)가 삽입된다. 제1 스프링(14)의 일측(142)은 코일(141)에서 연장되어 관통홀(121)을 통과한 상태에서 스프링 걸림턱(12)에 고정되고, 타측(143)은 고정부(20)의 내측과 연결될 수 있다.
브라켓(13)은 한 쌍의 베이스(10a, 10b)의 타측 상부에서 z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베이스(10)의 내측 방향으로 오목한 수용홈(131)이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13)은 아웃라인이 라운딩 된 ‘凹’자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수용홈(131)에는 가변부(30)의 회전바(33)가 수용되고, 브라켓(13)의 양측 단부는 회전바(33)가 수용홈(13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회전바(33)의 상부를 홀딩 할 수 있다. 이에 브라켓(13)은 가변부(30)의 일측 단부와 안정적으로 회동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10)는 한 쌍의 베이스(10a, 10b)로 구성되고, 각각 제1 슬라이딩부(15), 제1 장착홀(16), 상부커플러(17a, 17b, 19a, 19b) 및 하부커플러(18a, 18b, 191a, 19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부(15)는 한 쌍의 베이스(10a, 10b)가 마주보는 면에서 각각 슬릿홀이 형성된 형상을 가지며 돌출될 수 있다. 제1 장착홀(16)은 한 쌍의 베이스(10a, 10b)가 마주보는 면에서 각각 관통홀이 형성된 형상을 가지며 돌출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부(15) 및 제1 장착홀(16)에는 제1 연결부(60)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연결부(60)는 제1 장착홀(16)에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제1 슬라이딩부(15)에 형성된 슬릿에 삽입되어 이동하면서 한 쌍의 베이스(10a, 10b)의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제1 연결부(60)는 제1 크로스바(61) 및 제2 크로스바(62)로 구성되어 중앙축(63)을 중심으로 상호 ‘X’자 구조를 이루며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크로스바(61)의 일측 단부는 베이스(10a)에 형성된 제1 장착홀(16a)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베이스(10b)에 형성된 제1 슬라이딩부(15b)에 연결되어 슬릿을 따라 직선 방향, 즉 베이스(10a)가 길게 뻗은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2 크로스바(62)의 일측 단부는 베이스(10b)에 형성된 제1 장착홀(16b)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베이스(10a)에 형성된 제1 슬라이딩부(15a)에 연결되어 슬릿을 따라 직선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부커플러(17a, 17b, 19a, 19b) 및 하부커플러(18a, 18b, 191a, 191b)는 한 쌍의 베이스(10a, 10b)가 마주보는 면에서 각각 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돌출될 수 있다. 상부커플러(17a, 17b, 19a, 19b)는 한 쌍의 베이스(10a, 10b)가 마주보는 면에서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며, 하부커플러(18a, 18b, 191a, 191b)는 한 쌍의 베이스(10a, 10b)가 마주보는 면에서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한다.
즉, 상부커플러(17a, 17b, 19a, 19b)는 베이스(10)의 상면과 가까우며, 상대적으로 지면과 이격거리가 큰 위치이고, 하부커플러(18a, 18b, 191a, 191b)는 베이스(10)의 하면과 가까우며, 상대적으로 지면과 이격거리가 작은 위치이다. 상부커플러(17a, 17b, 19a, 19b) 및 하부커플러(18a, 18b, 191a, 191b)는 각각 상부커플러(17a, 17b, 19a, 19b)의 하면과 하부커플러(18a, 18b, 191a, 191b)의 상면이 맞닿으며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전자기기 거치대(1)가 접힘 상태일 경우, 제1 크로스바(61) 및 제2 크로스바(62)의 측면이 상호 맞닿고, 한 쌍의 베이스(10a, 10b)는 제1 연결부(60)를 사이에 두고 상호 나란히 가깝게 배치된다. 이 경우, 상부커플러(17a)의 하면은 하부커플러(18b)의 상면과 면접촉하고 상부커플러(17b)의 하면은 하부커플러(18a)의 상면과 면접촉 하고, 상부커플러(19a, 19b)의 하면은 하부커플러(191a, 191b)의 상면과 각각 면접촉하면서 상호 결합되어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고정부(20)는 한 쌍의 고정부(20a, 20b)로 구성되고, 각각 베이스연결돌기(21), 거치연결돌기(22), 가변조절돌기(23), 지지고정홈(24), 제2 스프링(28) 및 스프링 결착돌기(29)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연결돌기(21)는 고정부(20)의 일측 내부 측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연결돌기(21)는 제1 스프링(14)의 원형 코일(141)을 통과한 상태에서 베이스연결돌기(21)의 중앙의 원기둥 돌기가 측면홈(111)에 삽입되어 베이스(10)와 회동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스프링(14)은 베이스(10)와 고정부(20)를 상호 연결시키고 탄성력으로 베이스(10)와 고정부(20)를 회동시킬 수 있다.
거치연결돌기(22)는 고정부(20)의 외측면에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거치연결돌기(22)는 거치회동홀(41)에 삽입되어 거치부(40)와 회동 연결될 수 있다.
제2 스프링(28)은 고정부(20)와 거치부(40)의 사이에 설치되고, 고정부(20)와 거치부(40)를 상호 연결시킨다. 제2 스프링(28)은 토션 스프링으로, 제2 스프링(28)이 이루는 각도에 비례하여 반대방향으로 토크력을 가하며 고정부(20)를 중심으로 거치부(40)를 회동시킬 수 있다. 제2 스프링(28)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고정부(20)와 거치부(40)가 접힘 상태 즉, 고정부(20)가 거치부(40)의 내측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스프링 결착돌기(29)는 고정부(20)의 타측 내부 측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 스프링(28)의 코일(281)은 원형 형상으로, 스프링 결착돌기(29)가 삽입된다. 제2 스프링(28)의 일측(282)은 코일(281)에서 연장되어 거치부(40)에 형성된 걸림턱(미도시)에 고정되고, 타측(283)은 고정부(20)의 내측과 연결될 수 있다.
가변조절돌기(23)는 고정부(20)의 내부의 측면에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가변조절돌기(23)는 y축 방향에 대하여 베이스연결돌기(21)와 거치연결돌기(2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가변조절돌기(23)는 고정공간(35)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턱(34)에 의해 고정되어 가변부(30)와 연결될 수 있다. 지지고정홈(24)은 복수개로 고정부(20)의 단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고정홈(24)에는 지지부(50) 단부가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20)는 일방향을 따라 길게 뻗은 한 쌍의 고정부(20a, 20b)로 구성되고, 각각 제2 슬라이딩부(25) 및 제2 장착홀(26)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슬라이딩부(25)는 한 쌍의 고정부(20a, 20b)가 마주보는 면에서 각각 슬릿홀이 형성된 형상을 가지며 돌출될 수 있다. 제2 장착홀(26)은 한 쌍의 고정부(20a, 20b)가 마주보는 면에서 각각 관통홀이 형성된 형상을 가지며 돌출될 수 있다. 제2 슬라이딩부(25) 및 제2 장착홀(26)에는 제2 연결부(70)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연결부(70)는 제2 장착홀(26)에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제2 슬라이딩부(25)에 형성된 슬릿에 삽입되어 이동하면서 한 쌍의 고정부(20a, 20b)의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제2 연결부(70)는 제1 크로스바(71) 및 제2 크로스바(72)로 구성되어 중앙축(73)을 중심으로 상호 ‘X’자 구조를 이루며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크로스바(71)의 일측 단부는 고정부(20b)에 형성된 제2 장착홀(26b)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고정부(20a)에 형성된 제2 슬라이딩부(25a)에 연결되어 슬릿을 따라 직선 방향, 즉, 고정부(20a)가 길게 뻗은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2 크로스바(72)의 일측 단부는 고정부(20a)에 형성된 제2 장착홀(26a)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고정부(20b)에 형성된 제2 슬라이딩부(25b)에 연결되어 슬릿을 따라 직선 이동될 수 있다.
가변부(30)는 일방향을 따라 길게 뻗은 한 쌍의 가변부(30a, 30b)로 구성되고, 각각 걸림고정부(31), 가이드부(32), 회전바(33), 고정턱(34), 고정공간(35), 삽입단부(36), 제3 스프링(37) 및 누름홈(38)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고정부(31)는 한 쌍의 가변부(30a, 30b)의 양측면 상부에 만곡선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가변조절돌기(23)를 고정시킬 수 있다. 걸림고정부(31)는 복수개의 만곡선이 연장된 물결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고정턱(34)은 걸림고정부(31)의 만곡선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돌출된 형상을 가지고 복수개의 만곡선 사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고정공간(35)은 걸림고정부(31)의 물결선과 고정턱(34) 사이에 형성된 반원 형상의 공간으로 가변조절돌기(23)가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삽입된 가변조절돌기(23)는 고정턱(34)에 걸려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결과적으로 가변부(30)를 고정부(20)의 내측 공간에서 고정부(20)와 상호 교차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걸림고정부(31)는 7개의 만곡선이 연장된 물결선일 수 있으며, 0단계부터 7단계까지 총 8단계의 고정부(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가이드부(32)는 한 쌍의 가변부(30a, 30b)의 양측면 하부에 곡선이 연장된 굴곡선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가변부(30)가 길게 뻗은 방향으로 가변조절돌기(23)의 이동을 유도하면서 가변조절돌기(23)가 가변부(30)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경계선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가이드부(32)의 굴곡선 형상은 걸림고정부(31)의 물결선보다 완만한 곡선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가이드부(32)가 굴곡선 형상을 가질 경우, 가변조절돌기(23)가 그 굴곡을 따라 탄력적으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회전바(33)는 한 쌍의 가변부(30a, 30b)의 일측 단부에 가변부(30)가 길게 뻗은 방향과 교차하는 x축 방향으로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회전바(33)는 브라켓(13)에 형성된 수용홈(131)에 수용되어 가변부(30)와 베이스(10)는 상호 회동 연결될 수 있다. 누름홈(38)은 가변부(30)의 상부에서 내측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홈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3 스프링(37)의 일측(372)이 삽입될 수 있다.
제3 스프링(37)은 가변부(30)와 베이스(10)의 사이에 설치되고, 가변부(30)와 베이스(10)를 상호 연결시킨다. 제3 스프링(37)은 토션 스프링으로, 제3 스프링(37)이 이루는 각도에 비례하여 반대방향으로 토크력을 가하며 베이스(10)를 중심으로 가변부(30)를 회동시킬 수 있다. 제3 스프링(37)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가변부(30)와 베이스(10)가 접힘 상태 즉, 베이스(10)의 상부에 가변부(30)가 맞닿고, 삽입단부(36)는 단부홈(122)에 삽입될 수 있다.
제3 스프링(37)의 코일(371)은 원형 형상으로, 브라켓(13)의 외측면에 위치하며 회전바(33)가 삽입된다. 제3 스프링(37)의 일측(372)은 코일(371)에서 연장되어 누름홈(38)에 걸려 고정되고, 타측(143)은 베이스(10)의 내측과 연결될 수 있다. 제3 스프링(37)의 일측(372)은 누름홈(38)에 결착되어 가변부(30)를 베이스(10)를 향한 방향으로 눌러줄 수 있으므로, 가변조절돌기(23)와 고정턱(34)의 밀착도를 높일 수 있다. 이에, 가변부(30)와 고정부(20)는 상호 교차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결합 고정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40)는 일방향을 따라 길게 뻗은 한 쌍의 거치부(40a, 40b)로 구성되고, 각각 거치회동홀(41), 전면받침홈(42), 전면받침대(421), 측면받침홈(423), 측면받침대(424), 제1 결합홈(43), 제2 결합홈(44) 및 제3 결합홈(441)을 포함할 수 있다.
거치회동홀(41)은 거치부(40)의 양측면에 관통홀 형상으로 형성되고 거치연결돌기(22)가 삽입되고, 거치부(40)와 고정부(20)를 회동 연결시킬 수 있다. 전면받침홈(42)은 거치부(40)의 일측 단부에서 길이방향인 y축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고, 둘레부를 따라 내측으로 오목한 홈이 형성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면받침홈(42)에는 전면받침대(421)가 삽입될 수 있다. 전면받침대(421)는 ‘ㄱ’자 구조를 가지며 전면받침홈(42)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면받침대(421)는 y축이 고정된 상태에서 x축과 z축 사이를 회동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전면받침대(421)를 회전시켜 거치부(40)에 거치되는 전자기기를 받쳐 고정시킬 수 있다.
측면받침홈(423)은 거치부(40)의 측면 단부에서 가로방향인 x축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고, 둘레부를 따라 내측으로 오목한 홈이 형성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측면받침홈(423)에는 측면받침대(424)가 삽입될 수 있다. 측면받침대(424)는 ‘ㄱ’자 구조를 가지며 측면받침홈(423)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면받침대(424)는 x축이 고정된 상태에서 y축과 z축 사이를 회동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측면받침대(424)를 회전시켜 거치부(40)에 거치되는 전자기기를 받쳐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결합홈(43), 제2 결합홈(44) 및 제3 결합홈(441)은 거치부의 하단부에서 내측방향으로 원호를 가지는 반원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홈(43)은 거치부(40)의 일측 단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결합홈(44)은 거치부(40)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3 결합홈(441)은 거치부(40)의 제1 결합홈(43)과 제2 결합홈(4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결합홈(43), 제2 결합홈(44) 및 제3 결합홈(441)에는 지지연결바(52)가 삽입될 수 있다.
거치부(40)는 한 쌍의 거치부(40a, 40b)로 구성되고, 각각 제3 슬라이딩부(45), 제3 장착홀(46), 상부커플러(47) 및 하부커플러(48)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슬라이딩부(45)는 한 쌍의 거치부(40a, 40b)가 마주보는 면에서 각각 슬릿홀이 형성된 형상을 가지며 돌출될 수 있다. 제3 장착홀(46)은 한 쌍의 거치부(40a, 40b)가 마주보는 면에서 각각 관통홀이 형성된 형상을 가지며 돌출될 수 있다. 제3 슬라이딩부(45) 및 제3 장착홀(46)에는 제3 연결부(80)가 설치될 수 있다.
제3 연결부(80)는 제3 장착홀(46)에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제3 슬라이딩부(45) 형성된 슬릿에 삽입되어 이동하면서 한 쌍의 거치부(40a, 40b) 의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제3 연결부(80)는 제1 크로스바(81) 및 제2 크로스바(82)로 구성되어 중앙축(83)을 중심으로 상호 ‘X’자 구조를 이루며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크로스바(81)의 일측 단부는 거치부(40b)에 형성된 제3 장착홀(46b)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거치부(40a)에 형성된 제3 슬라이딩부(45a)에 연결되어 슬릿을 따라 직선 방향, 즉, 거치부(40a)가 길게 뻗은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2 크로스바(82)의 일측 단부는 거치부(40a)에 형성된 제3 장착홀(46a)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거치부(40b)에 형성된 제3 슬라이딩부(45b)에 연결되어 슬릿을 따라 직선 이동될 수 있다.
상부커플러(47) 및 하부커플러(48) 한 쌍의 거치부(40a, 40b)가 마주보는 면에서 각각 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돌출될 수 있다. 상부커플러(47)는 한 쌍의 거치부(40a, 40b)가 마주보는 면에서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며, 하부커플러(48)는 한 쌍의 거치부(40a, 40b)가 마주보는 면에서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한다.
즉, 상부커플러(47)는 거치부(40)의 상면과 가까우며, 상대적으로 지면과 이격거리가 큰 위치이고, 하부커플러(48)는 거치부(40)의 하면과 가까우며, 상대적으로 지면과 이격거리가 작은 위치이다. 상부커플러(47) 및 하부커플러(48)는 각각 상부커플러(47)의 하면과 하부커플러(48)의 상면이 맞닿으며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전자기기 거치대(1)가 접힘 상태일 경우, 제1 크로스바(81) 및 제2 크로스바(82)의 측면이 상호 맞닿고, 한 쌍의 거치부(40a, 40b)는 제3 연결부(80)를 사이에 두고 상호 나란히 가깝게 배치된다. 이 경우, 상부커플러(47)의 하면은 하부커플러(48)의 상면과 면접촉하면서 상호 결합되어 견고하게 체결되고, 전면받침대(421)는 한 쌍의 거치부(40a, 40b)가 마주보는 면 방향으로 회동되어 거치부(40)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미끄럼 방지패드(49)는 한 쌍의 거치부(40a, 40b)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미끄럼 방지패드(49)는 마찰력이 높은 소재로 제조되어 거치부(40)에 거치되는 전자기기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지지부(50)는 일방향을 따라 길게 뻗은 한 쌍의 지지부(50a, 50b)로 구성되고, 각각 레그바(51) 및 조절바(56)의 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레그바(51)는 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호 대향하며 위치하는 한 쌍의 레그바(51a, 51b)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레그바(51a, 51b)는 배면에서 내측을 향한 방향으로 오목한 내측공간(511)을 포함하고, 내측공간(511)에는 조절바(56)가 슬라이딩 되어 수용될 수 있다.
한 쌍의 레그바(51a, 51b)는 지지연결바(52), 하부커플러(53), 상부커플러(54), 스토퍼(55), 탄성판(551) 및 삽입체(55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연결바(52)는 레그바(51)의 일측의 양측면을 상호 연결하며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결합홈(43), 제2 결합홈(44) 또는 제3 결합홈(441)에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한 쌍의 레그바(51a, 51b)는 상부커플러(54a, 54b) 및 하부커플러(53a, 53b)를 통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상부커플러(54a, 54b) 및 하부커플러(53a, 53b)는 레그바(51a, 51b)가 마주보는 면에서 각각 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돌출될 수 있다. 상부커플러(54a, 54b)는 레그바(51a, 51b)가 마주보는 면에서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며, 하부커플러(53a, 53b)는 레그바(51a, 51b)가 마주보는 면에서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한다. 즉, 상부커플러(54a, 54b)는 레그바(51a, 51b)의 정면과 가깝게 위치하고 하부커플러(53a, 53b)는 레그바(51a, 51b)의 배면과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전자기기 거치대(1)가 접힘 상태일 경우, 상부커플러(54a, 54b) 및 하부커플러(53a, 53b)는 각각 상부커플러(54a, 54b)의 하면과 하부커플러(53a, 53b)의 상면이 맞닿으며 상호 결합되어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스토퍼(55)는 버튼 형태로, 레그바(51)의 배면에서 z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돌출된 스토퍼(55)를 눌러 레그바(51)로부터 연장된 조절바(56)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
삽입체(553)는 스토퍼(55)와 연결되고, 관통홀(58)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관통홀(58)에 삽입될 수 있다. 탄성판(551)은 삽입체(553)와 연결되고 레그바(51)의 정면에서 레그바(51)의 내측 방향을 향해 완만한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탄성판(551)은 일측이 레그바(51)의 정면과 연결되고 세 면이 슬릿에 의하여 절개되어 형성된 영역으로, 외력에 의해 z축 방향으로 소정의 이동이 가능하다.
조절바(56)는 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호 대향하며 위치하는 한 쌍의 조절바(56a, 56b)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조절바(56a, 56b)는 한 쌍의 레그바(51a, 51b)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하면서 지지부(50)의 총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 한 쌍의 조절바(56a, 56b)는 중앙부에 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관통홀(58)이 형성된 형상을 가지며 걸림리브(57) 및 안착바(59)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리브(57)는 조절바(56)의 정면에 형성되고, 경사면을 포함하는 삼각기둥형 형상이 복수개로 연장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걸림리브(57)는 관통홀(58)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안착바(59)는 조절바(56)의 단부에 x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지지고정홈(24)에 안착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부(50a, 50b)의 총 길이는 한 쌍의 레그바(51a, 51b)에서 한 쌍의 조절바(56a, 56b)가 슬라이딩 되어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만큼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돌출된 스토퍼(55)를 누르고 조절바(56)를 레그바(51)의 내측공간(511)으로 슬라이딩 시켜 지지부(50)의 총 길이를 짧게 설정할 수 있으며, 레그바(51)에 수용되어 있는 조절바(56)를 잡아당겨 지지부(50)의 총 길이를 길게 설정할 수 있다.
레그바(51)와 조절바(56)가 상호 고정된 상태일 경우, 스토퍼(55)는 레그바(51)의 배면에서 z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탄성판(551)과 삽입체(553)는 레그바(51)의 내부에 위치한다. 이 때, 삽입체(553)는 관통홀(58)에 위치하고, 잠금면(552)는 걸림면(571)과 맞닿을 수 있다. 즉, 레그바(51)와 조절바(56)는 잠금면(552)과 걸림면(571)의 면접촉에 의하여 y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발생하지 않고 상호 고정될 수 있다.
레그바(51)에서 조절바(56)가 슬라이딩 되는 상태일 경우, 스토퍼(55)에 외력이 가해진 상태이므로, 스토퍼(55)는 레그바(51)의 내부에 위치하고 탄성판(551)과 삽입체(553)는 레그바(51)의 외부에 위치한다. 이 때, 걸림면(571)은 잠금면(552)의 상부를 통과하여 상호 접촉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조절바(56)는 레그바(51)에서 y축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15를 통하여 전자기기 거치대(1)의 접힘 상태 및 전자기기 거치대(1)가 펼쳐져 사용되는 일 형태에 따른 베이스(10), 고정부(20), 가변부(30), 거치부(40) 및 지지부(50)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전자기기 거치대(1)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전자기기 거치대(1)를 접어 소형으로 보관할 수 있다. 전자기기 거치대(1)가 접힘 상태일 경우,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를 이루며, 베이스(10), 고정부(20), 가변부(30), 거치부(40), 지지부(50) 및 연결부(60, 70, 80)은 모두 y축 방향으로 뻗으며 정렬될 수 있다.
이 때, 베이스(10)의 상부에는 고정부(20)가 위치하고, 고정부(20)의 내측 공간에는 가변부(30)가 위치한다. 거치부(40)는 가변부(30) 및 가변부(30)를 수용한 고정부(20)를 덮으며 베이스(10)의 상부에 위치하고, 전면받침대(421)는 전자기기 거치대(1)의 내측 방향으로 회동되어 위치하고, 측면받침대(424)는 전자기기 거치대(1)의 길이 방향으로 회동되어 위치할 수 있다. 지지부(50)는 거치부(40)에서 회동하여 베이스(10)의 배면의 내측 공간에 수용된다. 지지부(50)의 배면은 베이스(10)가 지면과 맞닿는 선과 동일한 선상을 이룰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자기기 거치대(1)의 접힘 상태의 배면은 전체적으로 평평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전자기기 거치대(1)를 사용할 경우, 먼저 제1 결합홈(43)에 결합된 지지부(50)를 베이스(10)의 배면에서 회전시켜 오픈하고 지지부(50)의 단부를 베이스(10)의 상부 또는 고정부(20)의 지지고정홈(24)에 위치시켜 후방부의 높이를 조절한다. 사용자는 레그바(51)에서 연장되는 조절바(56)의 길이를 조절하여 지지부(50)의 총 길이를 미리 설정해 놓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베이스(10)와 거치부(40)를 잡고 오픈 시켜 전방부의 높이를 조절하고 고정부(20)와 가변부(30)의 각도를 조절한 뒤 고정시킨다. 이 경우, 가변조절돌기(23)는 고정공간(35)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턱(34)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거치되는 노트북(N)의 너비에 따라 연결부(60, 70, 80)들을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오픈하여 전자기기 거치대(1)의 가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전자기기 거치대(1)의 세팅이 완료되면 노트북(N)을 거치대(40)의 상부에 올리고 전면받침대(421)를 이용하여 노트북(N)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전자기기 거치대(1)의 사용 높이 및 전방부를 향한 각도를 크게 설정할 경우, 먼저 제1 결합홈(43)에 결합된 지지부(50)를 베이스(10)의 배면에서 회전시켜 오픈하고 베이스(10)와 거치부(40)를 잡고 오픈 시켜 전방부의 높이를 조절하고 고정부(20)와 가변부(30)의 각도를 조절한 뒤 고정시킨다. 그리고 제1 결합홈(43)에 결합된 지지부(50)의 결합을 해제하고 제2 결합홈(44) 또는 제3 결합홈(441)으로 옮겨 결합시키고 조절바(56)를 레그바(51)에서 길게 연장시킨 뒤 상호 결착 시켜 지지부(50)의 길이를 길게 조절한 뒤 조절바(56)의 단부를 지지고정홈(24)에 위치시켜 후방부의 높이 및 거치대(40)의 각도를 고정한다. 전자기기 거치대(1)의 세팅이 완료되면 노트북(N) 또는 태블릿 PC(T)를 거치대(40)의 상부에 올리고 전면받침대(421)를 이용하여 노트북(N) 또는 태블릿 PC(T)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 거치대(1)에 태블릿 PC(T)를 가로로 거치하여 사용할 경우, 사용자는 전자기기 거치대(1)의 전방부와 후방부의 높이를 알맞게 설정하여 세팅을 완료한 뒤, 측면받침대(424)를 이용하여 태블릿 PC(T)를 고정시킬 수 있다. 측면받침대(424)는 거치부(40)에 거치되는 전자기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전자기기 거치대(1)의 전방부는 가변부(30)의 걸림고정부(31)의 구조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후방부는 조절바(56)에서 연장되는 레그바(51)의 길이에 따라 지지부(5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지지부(50)가 안착되는 지지고정홈(24)의 위치 및 지지부(50)가 삽입되는 결합홈(43, 44, 441)의 위치에 따라 거치부(40)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그리고, 전면받침대(421) 및 측면받침대(424)의 선택에 따라 거치부(40)에 거치되는 전자기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정리하면, 전자기기 거치대(1)는 총 다섯가지의 요소를 조합하여 노트북(N), 태블릿 PC(T) 등의 전자기기 각각에 맞는 적절한 경사 각도와 높낮이를 조절하여 다양한 전자기기의 거치가 가능하며 사용자의 목 또는 척추 등에 무리 및 피로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베이스(10), 고정부(20), 가변부(30), 거치부(40) 및 지지부(50)가 한 쌍의 좌우 구조로 상호 연결되어 사용할 때에는 좌우 구조가 함께 조작될 수 있으므로 조작의 편의성을 높이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간편하게 접어 보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베이스
11: 스프링 체결부
12: 스프링 걸림턱
13: 브라켓
14: 제1 스프링
15: 제1 슬라이딩부
16: 제1 장착홀
17: 상부커플러
18: 하부커플러
19: 상부커플러
20: 고정부
21: 베이스연결돌기
22: 거치연결돌기
23: 가변조절돌기
24: 지지고정홈
25: 제2 슬라이딩부
26: 제2 장착홀
27: 내측공간
28: 제2 스프링
29: 스프링 결착돌기
30: 가변부
31: 걸림고정부
32: 가이드부
33: 회전바
34: 고정턱
35: 고정공간
36: 삽입단부
37: 제3 스프링
38: 누름홈
40: 거치부
41: 거치회동홀
42: 전면받침홈
43: 제1 결합홈
44: 제2 결합홈
45: 제3 슬라이딩부
46: 제3 장착홀
47: 상부커플러
48: 하부커플러
49: 미끄럼 방지패드
50: 지지부
51: 레그바
52: 지지연결바
53: 하부커플러
54: 상부커플러
55: 스토퍼
56: 조절바
57: 걸림리브
58: 관통홀
59: 안착바
60: 제1 연결부
61: 제1 크로스바
62: 제2 크로스바
63: 중앙축
70: 제2 연결부
71: 제1 크로스바
72: 제2 크로스바
73: 중앙축
80: 제3 연결부
81: 제1 크로스바
82: 제2 크로스바
83: 중앙축
122: 단부홈
191: 하부커플러
421: 전면받침대
423: 측면받침홈
424: 측면받침대
441: 제3 결합홈
551: 탄성판
552: 잠금면
553: 삽입체
571: 걸림면

Claims (14)

  1.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호 대향하며 위치하는 한 쌍의 베이스,
    상기 한 쌍의 베이스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베이스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
    상기 한 쌍의 베이스의 일측에 각각 회동 연결되는 한 쌍의 고정부,
    상기 한 쌍의 고정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고정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
    상기 한 쌍의 베이스의 타측에 각각 회동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부의 내측에서 상기 한 쌍의 고정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한 쌍의 가변부,
    상기 한 쌍의 고정부의 일측에 각각 회동 연결되고 상부에 거치물을 거치하는 한 쌍의 거치부,
    상기 한 쌍의 거치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거치부를 연결하는 제3 연결부, 및
    상기 한 쌍의 거치부의 일측에 각각 회동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거치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한 쌍의 지지부,
    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고정부는, 상기 한 쌍의 고정부의 일측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와 회동 연결되는 베이스연결돌기, 상기 한 쌍의 고정부의 타측 외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와 회동 연결되는 거치연결돌기 및 상기 한 쌍의 고정부의 내측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변부의 측면에 삽입되는 가변조절돌기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거치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변부는, 상기 한 쌍의 가변부의 양측면 상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변조절돌기를 고정하는 걸림고정부 및 상기 한 쌍의 가변부의 양측면 하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변조절돌기의 이동을 제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거치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베이스는, 상기 한 쌍의 베이스의 일측 상부에 돌출 형성되는 스프링 체결부, 상기 스프링 체결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연결돌기가 삽입되는 제1 스프링, 및 상기 한 쌍의 베이스를 관통하는 관통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스프링의 단부가 고정되는 스프링 걸림턱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거치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고정부는, 상기 한 쌍의 고정부의 타측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스프링 결착돌기, 상기 스프링 결착돌기에 삽입되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거치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변부는, 상기 한 쌍의 가변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베이스와 회동 연결되는 회전바, 상기 회전바에 삽입되는 제3 스프링 및 상기 제3 스프링의 단부가 고정되는 누름홈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거치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베이스는, 상기 한 쌍의 베이스의 타측 상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회전바가 삽입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거치대.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거치부는, 상기 한 쌍의 거치부의 양측면을 관통하고 상기 거치연결돌기가 삽입되는 거치회동홀, 상기 한 쌍의 거치부의 하단부에서 내측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지지부와 결합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거치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거치부는, 상기 한 쌍의 거치부의 일측 단부에서 상기 일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전면받침홈, 상기 전면받침홈에 삽입되어 회동하고 거치물을 고정하는 전면받침대, 상기 한 쌍의 거치부의 측면 단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측면받침홈 및 상기 측면받침홈에 삽입되어 회동하고 거치물을 고정하는 측면받침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거치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부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상기 거치부와 회동 연결되는 지지연결바를 포함하는 레그바 및 상기 레그바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하면서 상기 레그바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조절바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거치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바는, 상기 레그바의 상부에 위치하고 외력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탄성판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판이 상기 레그바의 상측 외부로 이동할 경우, 상기 조절바가 상기 레그바의 내부로 슬라이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거치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베이스는, 상기 한 쌍의 베이스가 마주보는 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1 슬라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1 슬라이딩부에 삽입되어 이동하면서 상기 한 쌍의 베이스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거치대.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고정부는, 상기 한 쌍의 고정부가 마주보는 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2 슬라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부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2 슬라이딩부에 삽입되어 이동하면서 상기 한 쌍의 고정부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거치대.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거치부는, 상기 한 쌍의 거치부가 마주보는 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3 슬라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연결부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3 슬라이딩부에 삽입되어 이동하면서 상기 한 쌍의 거치부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거치대.
KR1020220035171A 2022-03-22 2022-03-22 전자기기 거치대 KR202301375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171A KR20230137591A (ko) 2022-03-22 2022-03-22 전자기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171A KR20230137591A (ko) 2022-03-22 2022-03-22 전자기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7591A true KR20230137591A (ko) 2023-10-05

Family

ID=88294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5171A KR20230137591A (ko) 2022-03-22 2022-03-22 전자기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759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060661A (zh) * 2024-04-22 2024-05-24 呼伦贝尔市大数据中心 一种基于电子设备维护的焊接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2983Y1 (ko) 2006-09-20 2006-12-07 김충연 휴대용 컴퓨터 받침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2983Y1 (ko) 2006-09-20 2006-12-07 김충연 휴대용 컴퓨터 받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060661A (zh) * 2024-04-22 2024-05-24 呼伦贝尔市大数据中心 一种基于电子设备维护的焊接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3361A (en) Adjustable stand device
US10753531B2 (en) Multi-display stand
US5915661A (en) Collapsible desk stand for portable computer
EP1492978B1 (en) Stabilized flat panel touch monitor
KR102223569B1 (ko) 안정화 장치
US20090134285A1 (en) Monitor Support Device
US10760727B2 (en) Display stand
US20040037032A1 (en) Portable computer pedestal method and apparatus
JPH08123580A (ja) ノートブック型コンピュータを解放可能に懸架する携帯式の棚状受け装置
US20140151517A1 (en) Adjustable Keyboard Support
KR20230137591A (ko) 전자기기 거치대
JP4314295B2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用スタンド
US5895022A (en) Monitor support adjusting apparatus
US9091392B1 (en) Horizontal vertical laptop computer stand
CN112166281B (zh) 可调节式移动设备悬挂器
KR200485749Y1 (ko) 설치각도 가변형 이젤
KR100849563B1 (ko)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US5799919A (en) Adjustable stand
KR200472078Y1 (ko) 독서대가 구비된 좌식책상
KR20040086182A (ko) 조절식 키보드 스탠드
KR101483407B1 (ko) 탁자 상판의 각도 조절장치
KR200475621Y1 (ko) 소형 휴대형 컴퓨터용 케이스
TWM584390U (zh) 可調式承載架
KR20150113706A (ko) 휴대용 접이식 다용도 사각거치대
KR102240234B1 (ko) 이중독서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