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1672Y1 - 컴퓨터 키보드 조작용 팔받침대 - Google Patents

컴퓨터 키보드 조작용 팔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1672Y1
KR200241672Y1 KR2020010012255U KR20010012255U KR200241672Y1 KR 200241672 Y1 KR200241672 Y1 KR 200241672Y1 KR 2020010012255 U KR2020010012255 U KR 2020010012255U KR 20010012255 U KR20010012255 U KR 20010012255U KR 200241672 Y1 KR200241672 Y1 KR 2002416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coupled
jaw
guide groov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22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문오
Original Assignee
만다인터내셔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다인터내셔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만다인터내셔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122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16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16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1672Y1/ko

Links

Landscapes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컴퓨터를 사용할 때 사용자의 팔을 보호하기 위한 컴퓨터 사용자용 팔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방향과 높이로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컴퓨터 키보드 조작용 팔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책상 선반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의 양쪽에 구비된 가이드홈을 수직으로 이동되는 각각의 이동뭉치와, 상기 이동뭉치에 핀으로 연결되어 횡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아암과, 상기 아암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회전아암, 그리고 상기 회전아암에 고정돌기에 의해 각각 연결되는 팔받침대와 마우스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키보드 조작용 팔받침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컴퓨터 키보드 조작용 팔받침대{arm supporting apparatus for keyboard user}
본 고안은 컴퓨터를 사용할 때 사용자의 팔을 보호하기 위한 컴퓨터 키보드조작용 팔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키보드조작에 필요한 방향과 높이로 손쉽게 조절함과 아울러 편리하게 마우스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 키보드 조작용 팔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정보의 흐름이 많은 현대 사회에서, 컴퓨터는 산업현장은 물론이고, 작은 사무실과 가게, 그리고 각 가정까지 필수품이 되어 가고 있으며, 점차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컴퓨터의 장시간 이용에 따른 문제점도 생기게 되었는데, 그 중 하나가 팔, 팔목 그리고 어깨 등의 통증이다.
컴퓨터 사용자는 항상 키보드를 이용하여 컴퓨터에 원하는 자료를 입력하는데, 키보드는 보통 책상위에 올려져서 사용되고, 이에 따라 손목은 항시 꺽여지게 된다. 따라서 팔목과 팔 등에 통증이 유발되게 되고, 컴퓨터를 장시간 사용하는 사람들에게는 직업병으로까지 커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없애고자 키보드 하단에 보조 받침대를 놓고 사용하고 있으나, 상기 방법은 손목통증을 줄이는 효과가 있으나 팔과 어깨 등의 통증을 줄이는데는 기여하지 못했다.
이에 상기한 보조 받침대를 사용하는 방법보다 개량된 고안으로 최근 컴퓨터용 팔받침대가 도 5와 같은 형태로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 장치는 팔받침대(1)가 볼록한 형태로써 팔을 안정성 있게 받쳐주지 못하고, 팔이 팔받침대(1)에서 잘 벗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팔받침대(1)의 높이가 높이조절손잡이(2)에 부착된볼트(3)의 회전에 의해 로드(4)가 가이드(5)를 수직운동함으로써 조절되기 때문에, 조절이 신속하지 못하고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컴퓨터용 팔받침대는 별도의 마우스판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서, 팔받침대(1)의 높이를 키보드에 맞추다보면 책상위에 있는 마우스를 조작하기 불편한 경우가 발생하는 단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팔받침대를 내향만곡된 반원통형으로 형성하여, 팔이 팔받침대에서 잘 벗어나지 않으면서 편안하게 받쳐질 수 있도록 하고, 별도의 마우스판을 팔받침대와 동일 수평면상에 부착시켜 키보드를 사용하면서도 자유롭게 마우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컴퓨터 키보드 조작용 팔받침대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도 1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분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요부분리사시도
도 3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 사시도
도 5는 종래의 컴퓨터용 팔받침대
* 도면의 주요부분에 따른 부호의 설명
10 : 고정몸체 11 : 턱가이드홈
12 : 이동뭉치가이드홈 13 : 고정볼트구멍
20 : 아래턱 21 : 윗턱
22 : 보조턱 202 : 나사구멍
30 : 이동뭉치 31 : 핀구멍
32 : 삽입부 33 : 스프링
34 : 볼 40 : 볼고정판
41 : 원형구멍 50 : 높이조절구
51 : 미세조절구 503 : 클립
60 : 받침판 70 : 아암
71 : 회전아암 72 : 고정아암
711 : 구멍 721 : 고정돌기
80 : 팔받침대 81 : 고정날개
82 : 돌기 90 : 마우스판
91 : 홈 100 : 고정볼트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본 고안은, 하나의 고정된 턱과 다른 하나의 움직이는 턱에 의해 책상을 고정시키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의 양측에 내설된 가이드를 따라 움직이면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각각의 이동뭉치, 상기 이동뭉치에 핀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아암과, 상기 아암의 끝에 핀으로 연결되어 360도 회전할 수 있도록 된 회전아암, 그리고 상기 회전아암에 끝에 각각 핀과 고정돌기에 의해 연결되는 팔받침대와 마우스판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분분리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고정몸체(10)의 좌우측으로는 이동뭉치(301, 30)가 끼워져 있으며, 상기 이동뭉치(301, 30)에는 각각 고정아암(72)과 아암(70)이 고정돌기(721)과 핀(73)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고정아암(72)의 좌우 끝단에는 고정돌기(721, 722)가 각각 상하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윗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고정돌기(721)에는 마우스판(90)이 결합된다.
상기 마우스판(90)의 밑면에는 상기 고정돌기(721)가 결합될 수 있도록 다수의 홈(9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91)과 홈(91)사이에는 특정부위에 힘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강틀(92)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721, 722)와 홈(91)은 각이 형성되어 있어 임의로 회전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고정아암(72)이 결합되는 반대편 이동뭉치(30)에는 양끝단에 핀구멍(701)이 형성된 아암(70)이 핀(73)에 의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아암(70)은 여러개의 아암(70)을 연속하여 연결하여도 높이가 변하지 않도록 일측에 다수의 돌기부(703)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돌기부(7030)와 대응되는 절개부(70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개부(702)와 돌기부(703)는 상기 아암(70)이 아래위로 크게 흔들리지 않도록 2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회전아암(71)이 연결되는 아암(70)의 일측에만 절개부(702)를 형성하여, 상기 회전아암(71)이 360도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아암(71)에 핀(73)을 매개로 결합되는 회전아암(71)은 양측끝에 구멍(711)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아암(71)이 결합되는 타측으로 팔받침대(80)가 결합된다.
한편, 상기 아암(71)에 형성된 구멍(711)에 결합되는 돌기(82)는 상기 팔받침대(80)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날개(81)에 힌지결합되므로, 상기 팔받침대(80)가 상하로 선회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팔받침대(80)는 팔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위로 개구된 원통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요부분리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고정몸체(10)의 전면에는 턱가이드홈(11)이 내설되어 있으며, 좌우측으로는 이동뭉치가이드홈(12)이 내설되어 있다.
상기 고정몸체(10), 윗턱(21) 및 받침판(60)에는 고정볼트구멍(13, 211, 61)이 각기 형성되어 있어 고정볼트(100)에 의해 상하로 결합된다.
한편, 상기 고정몸체(10)의 턱가이드홈(11)에는 아래턱(20)과 보조턱(22)이 끼워지며, 좌우 이동뭉치가이드홈(12)에는 수개의 볼구멍(41)이 형성된 볼고정판(40)과 이동뭉치(30)가 각각 끼워진다.
상기 아래턱(20)과 보조턱(22)에는 구멍(201, 2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중 아래턱(20)에 형성된 구멍(201)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볼트부(501)가 돌출형성된 높이조절구(50)에 의해 상하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구(50)는 받침판(60)에 형성된 구멍(62)을 통해 아래에서 위로 체결되며, 상기 받침판(6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볼트부(501) 하부끝에 형성된 홈(502)에 클립(503)이 결합된다.
상기 높이조절구(50)는 윗턱(21)에 구멍을 형성시켜 위에서 아래도 체결시킬 수 있으나, 사용자의 불편함을 줄이기 위해 받침판(60)에 형성된 통해 아래에서 위로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아래턱(20)의 앞부분에는 나사구멍(2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구멍(202)에 볼트부(511)가 형성된 미세조절구(51)가 체결된다. 이때, 상기 미세조절구(51)를 회전시키면 상기 아래턱(20) 상단에 위치한 보조턱(22)이 상하로 이동된다.
따라서, 도 4와 같이 고정몸체(10)를 책상(110)에 고정할 때, 먼저 높이조절구(50)을 회전시켜 아래턱(20)과 윗턱(21)으로 책상을 물린 후, 다시 미세조절구(51)를 조정하여 보조턱(22)을 이동시켜 상기 고정몸체(10)를 책상(110)에 더욱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몸체(10) 좌우측에 형성된 이동뭉치가이드홈(12)에는 다수의 볼구멍(41)이 형성된 볼고정판(40)과 이동뭉치(30, 301)가 내설된다.
상기 이동뭉치(30, 301)는 상기 이동뭉치가이드홈(12)에 내설되는 면에 삽입부(32)를 형성하고 스프링(33)가 볼(34)을 구성시키고 있으며, 타단부에는 아암에 연결하기 위한 구멍(31)과 절개부(35)를 형성하고 있다.
이때, 상기 이동뭉치(30, 301)중 마우스판(90)이 결합되는 고정아암(72)과 연결되는 이동뭉치(301)의 구멍(31)은 각이 형성되어 있어 임의로 회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이동뭉치(30, 301)는 상기 볼고정판(40)에 볼(34)과 스프링(33)에 의해 탄성결합하여 상하로 자유롭게 움직인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동뭉치(30, 301)에 각각 연결된 팔받침대(80)와 마우스판(90)은 상하로 이동되며, 책상을 단단히 무는 아래턱(20)과 보조턱(22)이 각기 높이조절구(50)와 미세조절구(51)에 의해 상하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팔받침대(80)는 다수의 아암(70)에 힌지연결되어 사용자의 임의대로 팔받침대(80)를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이동뭉치(30)가 볼고정판(40)에 볼(34)의 움직임에 의해 고정 또는 상하움직임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종래 고안에 비해 그 움직임이 원할하고 용이하며, 별도의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판(90)을 구비하고 있어, 컴퓨터사용자에게 가장 편한 팔의 위치에서 키보드 입력과 마우스 입력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팔받침대(80)를 위로 열린 반원모양으로 만듬으로써, 팔이 움직임에 따라 팔받침대(80)도 쉽게 따라 움직임과 동시에 팔이 팔받침대(80)에서 잘 미끄러지지 않는 장점과, 팔받침대(80) 하단에 형성된 고정날개(81)에 힌지결합된 돌기(82)가 회전아암(71)의 끝에 형성된 구멍(711)에 결합되어, 상기 팔받침대(80)가 선회할 수 있어 컴퓨터 사용자가 보다 편하게 팔을 움직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측면과 정면에 이동뭉치가이드홈(12)과 턱가이드홈(11)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고정몸체(10), 상기 턱가이드홈(11)에 끼워져 상하 이동하는 아래턱(20), 상기 고정몸체(10) 상단과 하단에 결합되는 윗턱(21)과 받침판(60), 상기 아래턱(20)에 형성된 구멍(201)과 결합되는 볼트부(501)가 형성되어 상기 아래턱(20)을 상하이동시키는 높이조절구(50), 상기 이동뭉치가이드홈(12)에 내설되는 다수의 원형구멍(41)이 형성된 볼고정판(40), 상기 볼고정판(40)과 탄성결합하여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스프링(33)과 볼(34)이 삽입부(32)에 내설된 이동뭉치(30), 상기 이동뭉치(30)에 결합되는 아암(70, 72), 상기 아암(70)에 결합되는 회전아암(71)에 결합되는 팔받침대(80), 상기 고정아암(72)에 결합되는 마우스판(90)으로 이루어진 컴퓨터 키보드 조작용 팔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윗턱(21)과 아래턱(20)사이에 아래턱(20)에 형성된 나사구멍(202)에 결합된 미세조절구(51)에 의해 상하이동되는 보조턱(22)을 설치하고, 상기 높이조절구(50)가 상기 받침판(60)에 형성된 구멍(62)을 통해 아래에서 위로 체결되며, 상기 높이조절구(50)가 이탈되지 않도록 볼트부(501)하단에 형성된 홈(502)에 클립(503)이 체결되고, 상기 아암(70) 일측에 돌기부(703)를 형성함과 동시에 타측으로 상기 돌기부(703)와 대응되게 절개부(702)가 형성되어 높이 변화없이 반복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키보드 조작용 팔받침대.
KR2020010012255U 2001-04-27 2001-04-27 컴퓨터 키보드 조작용 팔받침대 KR2002416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255U KR200241672Y1 (ko) 2001-04-27 2001-04-27 컴퓨터 키보드 조작용 팔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255U KR200241672Y1 (ko) 2001-04-27 2001-04-27 컴퓨터 키보드 조작용 팔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1672Y1 true KR200241672Y1 (ko) 2001-10-12

Family

ID=73100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2255U KR200241672Y1 (ko) 2001-04-27 2001-04-27 컴퓨터 키보드 조작용 팔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167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66120B (zh) 可调整鼠标
US5351897A (en) Adjustable ergonomic support for computer keyboards
US5410333A (en) Computer keyboard
US5503361A (en) Adjustable stand device
CA1273096A (en) Tilt adjusting mechanism
US5582375A (en) Adjustable ergonomic support for computer keyboards
US7088339B2 (en) Ergonomic input device
US6454224B1 (en) Forearm and wrist support assembly for keyboard user
US5004196A (en) Keyboard accessory
US5924666A (en) Carrier device
KR100204945B1 (ko) 분리형 키보드와 이 분리형 키보드를 사용한 컴퓨터
CN216479743U (zh) 旋转装置
KR101293836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KR200241672Y1 (ko) 컴퓨터 키보드 조작용 팔받침대
KR20150104343A (ko) 디스플레이 거치대
KR100849563B1 (ko)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KR200200483Y1 (ko) 컴퓨터 키보드 조작용 팔받침대
US20050045788A1 (en) Mount for an input device
US20050212772A1 (en) Foldable keyboard
KR200364211Y1 (ko) 강의용 디스플레이장치의 힌지기구
US6507335B1 (en) Pointing device with adjustable palm rest
KR20160115333A (ko) 마우스
KR101483407B1 (ko) 탁자 상판의 각도 조절장치
WO2001061237A1 (en) Holding device for monitors provided with viewing screens
KR200201371Y1 (ko) 팔지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