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051887A2 - 체형 맞춤 구조를 갖는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 - Google Patents

체형 맞춤 구조를 갖는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051887A2
WO2013051887A2 PCT/KR2012/008081 KR2012008081W WO2013051887A2 WO 2013051887 A2 WO2013051887 A2 WO 2013051887A2 KR 2012008081 W KR2012008081 W KR 2012008081W WO 2013051887 A2 WO2013051887 A2 WO 2013051887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hanger
shoulder
support
mounted multi
fit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808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3051887A3 (ko
Inventor
김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비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1010230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148110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비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비유
Priority to CN201280039559.4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3781503B/zh
Priority to GB1405890.3A priority patent/GB2509436A/en
Priority to JP2014534480A priority patent/JP2014528320A/ja
Priority to US14/239,148 priority patent/US9427516B2/en
Priority to DE112012004157.7T priority patent/DE112012004157T5/de
Priority claimed from KR2020120008936U external-priority patent/KR20140002122U/ko
Publication of WO2013051887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051887A2/ko
Publication of WO2013051887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051887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4Hanging-up devices
    • A61M5/1415Stands, brackets or the like for supporting infusion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4Hanging-up devices
    • A61M5/1417Holders or handles for hanging up infusion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4Hanging-up devices
    • A61M5/1415Stands, brackets or the like for supporting infusion accessories
    • A61M2005/1416Stands, brackets or the like for supporting infusion accessories placed on the body of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8Supports for equipment
    • A61M2209/082Mounting brackets, arm supports for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8Supports for equipment
    • A61M2209/088Supports for equipment on the body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ulder-mounted multi-purpose hanger having a structure that fits the body of the user.
  •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9-0010120 discloses Ringer's shoulder hanger, which causes Ringer's disease to shake when the patient walks because Ringer's bottle is unstablely supported.
  • the shoulder portion is a problem that the fall of fit in the upper extremity muscles, clavicle, acromegaly, etc. of the user's shoulder remains a shoulder pain.
  • Patent Document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9-0010120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providing a shoulder-mounted multi-purpose hanger having a body-fitting structure, so that there is no discomfort such as pain in the supraspinatus, clavicle, acromione area when the user is in solution There is a purpose.
  • the first support portion formed with a concav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apron while forming a connection portion extending to the side;
  • a second support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placed on the upper extremity;
  • An indentation portion formed by being indented into a portion where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are connected; It includes a shoulder-mounted multi-purpose hanger having a body-fi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first hanger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portion; It includes a shoulder-mounted multi-purpose hanger having a body fitt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hanger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irst hanger.
  • the first hanger includes a shoulder-mounted multi-purpose hanger having a body fitt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angle formed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is an obtuse angle.
  • the first hanger includes a shoulder-mounted multi-purpose hanger having a body fitt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so as to allow relative rotation with the first support.
  • the second hanger to form a holder for holding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sap
  • the holder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hanger to form a first groove to accommodate the infusion inlet on one side, the other side of the revenue outlet
  • a first support for forming a second groove to accommodate the container to support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sap
  • a second pedestal positioned in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first pedestal to support a container containing sap
  • a catch portion formed with at least one protrusion loca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hanger; It includes a shoulder-mounted multi-purpose hanger having a body-fi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 the second hanger includes a shoulder-mounted multi-purpose hanger having a body fitt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is adjustable in the first hanger.
  • the lower portion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or the second support portion includes a shoulder-mounted multi-purpose hanger having a body fitt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uffer.
  • the second support part may be formed to have an area extending from 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indentation part may be formed to have an interval between the connection part of 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second support part. It includes a shoulder-mounted multi-purpose hanger having a body-fitt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tion is formed to decrease toward the connection portion is prevented from contacting the clavicle.
  •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long the outer shape of the rod
  •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long the outer shape of the upper extremity
  • the indentation is formed so that the clavicle is located
  • a shoulder-mounted multi-purpose hanger having a body-fitting feature.
  • the indentation includes a shoulder-mounted multi-purpose hanger having a body-fitt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rch formed to be the same shape as the projecting contour of the clavicle.
  • the second support portion includes a shoulder-mounted multi-purpose hanger having a body fitt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band hole is formed.
  • the end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includes a shoulder-mounted multi-purpose hanger having a body-fitt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rota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hook.
  • the connecting portion, the folding portion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end of the support;
  • a shoulder-mounted multi-purpose hanger having a body-fitting structure comprising an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fold and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
  • the user can fit the sap more comfortably without discomfort on the shoulder.
  • the first support forms an obtuse angle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to maintain a distance from the user's head, more stable wearing is possible.
  • the support can be rotated in front of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mount and use a device such as a smartphone on the holder, thereby increasing user convenience.
  • the height can be adjusted by using the first support and the second suppor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body shape.
  • the indentation is formed so that the clavicle is not interfered to provide a more comfortable fit.
  • the rotating part is a rotatable structure
  • the user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used in the most suitable position for the user to adjust in the desired direction.
  • FIG.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support par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wearing diagram according to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uffer un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n operation diagram of a folding part according to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otating part according to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rst support part 100 has a structure that is seated on the apron and forms a concave part 101 in which an inner surface is concave.
  • connection part 150 is formed to extend left and right of the first support part 100.
  • the second support part 200 extends from the first support part 100 and is placed on the upper extremity.
  • the second support part 200 forms a second surface 332 whose area in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first support part 100 increases.
  • the first surface 331 is formed at the upper edg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150.
  • the indentation 300 is formed between the first surface 331 and the second surface 332 and is formed with a convex portion 310 extending convexly upward from the first support portion 100.
  • the indentation portion 300 allows the user's collarbone to pass naturally, and the convex portion 310 is formed to surround the user's collarbone so that the user can wear more comfortably.
  • the first support part 100 has a concave shape inside to fit the user's apron to provide the user with a more stable and comfortable fit.
  • the second support part 200 is a part which is placed on the upper extremity, and serves to more stably support the shoulder-mounted multi-purpose hang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houlder restraint) having a body fitting structure and has a shape suitable for the shape of the upper extremity. It gives the user a stable and comfortable fit.
  • the shoulder restraint the shoulder-mounted multi-purpose hanger
  • the second support part 200 forms a convex reinforcement part 320 at the point where the second support part 200 is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part 100 so that the second support part 200 can support the shoulder strap more stably.
  • connection part 150 forms the first hanger 400 at the fixing part 130 of the first support part 100.
  • the first hanger 400 forms a second hanger 500 on the upper side.
  • the first hanger 400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art 130 of the first support part 100 and fixed to the first fixing screw 110.
  • the first hanger 400 extends upward while forming an obtuse angle with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art 100, and is coupled to the second hanger 500.
  • the second hanger 500 forms a first holder 510 in the lower portion and a second holder 520 in the middle portion so as to mount the infusion bottle.
  • the first holder 510 forms a supporting portion 513 so that the infusion bottle does not fall down, and the supporting portion 513 has a first groove 511 and a second groove so as to accommodate the infusion package of a rectangular shape. 512).
  • the first groove 511 and the second groove 512 are preferably symmetrical to each other.
  • the infusion pack can maintain a rectangular shape, and thus the infusion portion or the intake ejection insertion portion formed in the infusion pack is the first groove 511.
  • the user can fit the sap more stably because the sap pack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groove 512 to maintain the sap pack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rectangular sap pack is formed with a sap input unit for additionally injecting sap into the lower portion, and a sap extraction insert portion for extracting the sap. Since the sap pack is formed of a soft transparent resin, it is difficult to move the sap when the sap input part or the sap extraction insert part is wrinkled at the bottom of the sap pack.
  • the first groove 511 or the second groove 512 is formed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infusion pack is not wrinkled by the interference of the support 513.
  • the end portion is opened so that the infusion bottle may enter into the open portion to mount the infusion bottle. Is convenient.
  • the second holder 520 is slightly open to the left and right through the infusion bottle. After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the infusion bottle supported by the supporting part 513 is fixed.
  • the second hanger 500 is formed to hang at least one sap pack by forming at least one protrusion having a different height on the top.
  • the first protrusion 531 is protruded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ond hanger 500 to hang the sap pack of more than 1000cc
  • the second protrusion 532 is protruded from the middle of the second hanger 500 You can hang a 500cc sap pack.
  • the second hanger 500 may be more stably supported by the infusion bottle or the infusion pack without shaking as the user walks. To help.
  • connection part 150 forms a horizontal connection part 151 extending obliquely in the chest direction from the user's apron and forms a vertical connection part 152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user's armpit direction again in the horizontal connection part 151.
  • the vertical connection portion 152 is preferably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axle space direction of the user to minimize the interferenc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s arm when the user wears the shoulder strap.
  • the horizontal connection part 151 is formed to form a second detachable part 711 so that the second band 700 surrounding the user's chest is detachable.
  • the vertical connection part 152 is disposed below the second detachment part 711 and forms a first detachment part 611 to detach the first band 600 surrounding the user's armpit.
  • the first band 600 forms a first fastening part 610 to adjust the length of the band according to the user's body shape.
  • the second band 700 forms a second fastening portion 710 to adjust the length of the band according to the user's body shape.
  • the buffer unit 800 is preferably attached whil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wl in the inside of the shawl.
  • the shock absorbing portion 800 may be form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shawl, and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shock absorbing material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good breathability.
  • the first support part 100 forms a polygonal groove 140 in the fixing part 130.
  • the first hanger 400 is inserted into the polygon groove 140 while the first coupling portion 41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olygon groove 140.
  • the first coupling part 410 is inserted into the polygonal groove 140 and the first fixing screw 110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art 100 is coupled to the screw groove formed in the first coupling part 410 and thus the first coupling part 410.
  • the hanger 400 is fixed to the first support part 100.
  • the first hanger 400 has a second coupling portion 420 formed on the upper portion, and a second fixing screw 430 is formed o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420.
  • the second coupling part 42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fastening part 540 formed in the second hanger 500 and fixed to the second fixing screw 430.
  • the second fastening part 540 is formed to be height-adjustable in the second coupling part 420.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rst hanger 400 may be formed to be rotatable based on the first coupling part 410 as shown in FIG. 2, and the user may attach a second device to the second hanger 500 such as a smartphone, a tablet pc, an mp3 player, or a peripheral device (
  • the peripheral device 1000 may be used in front of the user's eyes by passing through the 1000.
  • the user When the user wears a shoulder strap on the left shoulder, as shown in FIG. 4, the user can use the peripheral device 1000 while looking at the front line of sight.
  • the shoulder strap is formed to be used in both the right shoulder or the left shoulder of the user to form a symmetrical shape.
  • Figure 5 is a wearing degree according to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econd hanger 500 is installed above the first hanger 400.
  • a first fitting portion 403 is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first hanger 400 to be fastened to the rotating part 900, and a second fitting portion is fastened to the second hanger 500 at an upper side of the first hanger 400. 401 is formed.
  • the button part 405 is provided below the second fitting part 401 of the first hanger 400, and the button part 405 is detachable from the second fastening part 504 formed in the second hanger 500. It is formed into a structure.
  • the first fitting portion 403 can be attached or detached by the button in the rotating unit 900.
  •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uffer 800 according to the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Shoulder strap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lectively used on the right shoulder or left shoulder of the user.
  • the first band hole 210 is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support part 200 in a thin and long hole, and the second band hole 220 is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second support part 200. ) Is formed.
  •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band 751 is connected to the second band hole 220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750.
  • connection band 752 One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band 752 is connected to the removable plate 741, and the other side thereof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750.
  • the third connection band 753 is wound on the front of the user while wrapping the user's back while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750.
  • the detachable plate 741 is detachable from the detachable groove 740, and a folding part 154 is formed on the detachable groove 740.
  • Rotating portion 900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hawl.
  • the shock absorbing unit 800 may be detachable whil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wl in the inside of the shawl.
  • the buffer unit 800 may absorb a shock and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good ventilation.
  •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atching part 530 is formed in the second hanger 500 so that the infusion bottle can be caught.
  • FIG. 9 is an operation diagram of the folding unit 154 according to the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oldable portions 154 are formed at the connection portions 150 and 150.
  • the foldable part 154 is connected to be rotatable in the first support part 100.
  • Connection 150 extends beyond fold 154
  • the extension part 153 is separated from the first support part 100 when the folding part 154 is rotated in the folding part 154 and folded as shown in FIG.
  • the extension part 153 is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 part 100 to enable stable use.
  • connection part 150 When the user stores the shawl, the user can fold the connection part 150 on the basis of the folding part 154 to store it more compactly.
  •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otating unit 900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rotating part 900 includes an upper member 920 inserted into the upper cap 910 and the upper cap 910, a base part 930 on which the inserting member 920 and the upper cap 910 are seated, and an upper cap 910. ) And the insertion member 920 is rotatable in the base portion 930, but consists of a lower cap 950 for coupling so as not to be separated.
  • An inlet 913 is formed at the side of the upper cap 910 so that the first fitting portion of the first hanger is inserted.
  • the button groove 911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upper cap 910.
  • the button groove 911 is fastened to the button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fitting portion of the first hanger.
  • Insertion member 920 has a lower surface portion 925, the overall shape is a cylindrical columnar shape.
  • An upper end of the insertion member 920 has a first protrusion 921 formed thin and long about a central axis.
  • the first protrusion 921 is fitted into a groove (not shown)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cap 910 to allow the insertion member 920 to be firmly supported at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cap 910.
  •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923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 the base portion 930 has a first seating surface 934 formed around the housing portion 932 and has a stepped 933 and a pin 931.
  • the base portion 930 has a receiving portion 932 formed in a hollow of a circular shape so that the insertion member 920 is accommodated.
  • the first seating surface 934 is a top cap 910 is raised to a flat surface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receiving portion 932.
  • the base portion 930 is formed with a hol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pin 931 in the front side of the base portion 930 so that the pin 931 is inserted through.
  • the step 933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front side of the base portion 930.
  • the lever 940 accommodates a pin 931 installed in the base portion 930 in a hole penetrating the left and right sides.
  • the lever 940 has a handle 942 protruding to the left when referring to the drawing, and has a support surface 943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handle 942.
  • the lever 940 has a fixing protrusion 941 protruding again from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surface 943 to the right.
  • the lever 940 is coupled by a pin 931 at a step 933 formed in the base 930.
  • the pin 931 penetrates through the front left side of the base 930 and passes through the hole formed in the lever 940 to pass through the front right side of the base 930.
  • the lower cap 950 has a second seating surface 951 to accommodate the lower surface portion 925 of the insertion member 920.
  • the second protrusion 952 is fixed in a groove (not shown) formed in the lower surface portion 925 of the insertion member 920.
  • the flange portion 953 extends from the edge of the second seating surface 951 and has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receiving hole of the base portion 930.
  • the lower cap 950 is fastened by the upper cap 910 and the screw 960 in which the insertion member 920 is installed, so that the upper cap 910 can be rotated at the base 930 but is not separated. .
  • the rotating part 900 is fixed so as not to rotate.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iew of the object and technical idea, and it is apparent that the technical leve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created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stated that the descriptions of commercial design changes, changes in shape, changes in materials, numbers of parts, changes in colors, and the like fall within the scope and sub-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rst support portion 101 recessed portion
  • connection part 150 connection part, 153 extension pa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체형에 맞는 구조를 갖는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에 관한 것으로서, 측면으로 연장되는 연결부를 형성하면서 견봉에 접촉하는 오목부가 형성된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에서 연장되어 극상근에 올려지는 제2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가 연결되는 부위로 만입되어 형성된 만입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맞춤 구조를 갖는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어깨 구조에 알맞도록 형상화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어깨에 불편함이 없이 보다 편안하게 수액을 맞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체형 맞춤 구조를 갖는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체형에 맞는 구조를 갖는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병을 치료하거나 검사를 받기 위해 병원에 입원을 하면,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첫날부터 수액을 맞으며, 수술을 받은 사용자는 수액과 함께 수술받은 부위의 통증을 경감시켜주는 무통주사를 맞는다.
사용자들은 일반적으로 바퀴가 달린 이동식 수액걸이(링거대)의 윗부분에 있는 고리에 수액 또는 무통주사를 걸고 이동식 수액걸이 손잡이를 잡고 이동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고, 특히 수술을 받은 환자는 빠른 회복을 위해 의사로부터 운동을 권유받지만, 수액 및 무통주사를 맞고 있는 사용자가 바퀴 달린 이동식 수액걸이를 잡고 화장실 이동이나 병실 복도에서 가벼운 운동을 하려면 사용자 스스로가 이동식 수액걸이를 잡고 직접 밀면서 이동을 해야하기 때문에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 2009-0010120호는 링거액어깨걸이대를 개시하고 있는데, 이는 링거병 등이 불안정하게 지지되기 때문에 환자가 걸을 때 링거병이 흔들거리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어깨걸이구 부분이 사용자 어깨의 극상근, 쇄골, 견봉 등에서 착용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잔존하여 어깨 통증이 유발되는 문제가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 2009-0010120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체형 맞춤 구조를 갖는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수액을 맞을 때 극상근, 쇄골, 견봉 부위에서 통증 등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측면으로 연장되는 연결부를 형성하면서 견봉에 접촉하는 오목부가 형성된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에서 연장되어 극상근에 올려지는 제2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가 연결되는 부위로 만입되어 형성된 만입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맞춤 구조를 갖는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에는 상기 제1지지부에 연결되는 제1걸이대와; 상기 제1걸이대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2걸이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맞춤 구조를 갖는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걸이대는, 상기 제1지지부의 상면과 이루는 각이 둔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맞춤 구조를 갖는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걸이대는, 상기 제1지지부와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맞춤 구조를 갖는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걸이대는 수액이 담긴 용기를 거치하는 홀더를 형성하되, 상기 홀더는, 상기 제2걸이대의 하부에 형성되면서 일측에 수액주입구를 수용하도록 제1홈을 형성하고, 타측에 수익배출구를 수용하도록 제2홈을 형성하여 수액이 담긴 용기를 지지하는 제1받침대와; 상기 제1받침대의 중간부에 위치하여 수액이 담긴 용기를 지지하는 제2받침대와; 상기 제2걸이대의 상부에 위치하는 돌기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걸림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맞춤 구조를 갖는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걸이대는 상기 제1걸이대에서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맞춤 구조를 갖는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 또는 상기 제2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하부에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맞춤 구조를 갖는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제1지지부로부터 연장되어 확장되는 면적을 갖으면서 형성되고, 상기 만입부는 상기 제1지지부의 연결부와 상기 제2지지부의 사이 간격이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가 연결되는 부위로 갈수록 줄어들도록 형성되어 쇄골과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맞춤 구조를 갖는 어깨 거치식 다용구 걸이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의 내면은 상기 견봉의 외형을 따라 동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부의 내면은 상기 극상근의 외형을 따라 동형을 형성되며, 상기 만입부에는 상기 쇄골이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맞춤 구조를 갖는 어깨 거치식 다용구 걸이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만입부에는 상기 쇄골의 돌출 외형과 동형을 이루도록 형성된 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맞춤 구조를 갖는 어깨 거치식 다용구 걸이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지지부에는 밴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맞춤 구조를 갖는 어깨 거치식 다용구 걸이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의 단부에는 걸이대가 설치되는 회전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맞춤 구조를 갖는 어깨 거치식 다용구 걸이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접이부와; 상기 접이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지지부에 지지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맞춤 구조를 갖는 어깨 거치식 다용구 걸이구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사용자의 어깨 구조에 알맞도록 형상화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어깨에 불편함이 없이 보다 편안하게 수액을 맞을 수 있게 된다.
둘째, 제1지지대가 제1지지부 상면과 둔각을 이루어 사용자의 머리와 간격을 유지하기 때문에 보다 안정감 있는 착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셋째, 수액병 뿐만 아니라 수액팩을 걸 수 있으며, 지지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활용도가 뛰어나다.
넷째, 제1지지대가 회전가능하기 때문에 지지대를 사용자의 전방으로 회전시켜 거치대에 스마트폰 등 기기의 장착사용이 가능하여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
다섯째,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를 이용하여 높이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체형에 알맞은 조절이 가능하다.
여섯째, 완충부를 형성함으로써 보다 안락한 착용감을 느끼게 해 준다.
일곱째, 만입부가 형성되어 쇄골이 간섭받지 않게 되어 보다 편안한 착용감을 선사한다.
여덟째, 사용자가 활동중에도 수액병(링거)를 안정적이면서도 편리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락한 치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아홉째, 접이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보다 콤팩트하게 보관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열째, 회전부가 회전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하여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위치에서 사용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체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지지부의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착용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의 분리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분리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접이부의 작동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의 분리사시도이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체사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지지부(100)의 단면도이다.
제1지지부(100)는 견봉에 안착되는 구조로서 내면이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부(101)를 형성한다.
연결부(150)는 제1지지부(100)의 좌우에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2지지부(200)는 제1지지부(100)로부터 연장되어 나와 극상근에 올려진다.
제2지지부(200)는 제1지지부(100)에서 멀어질수록 면적이 증가하는 제2면(332)을 형성한다.
제1면(331)은 연결부(150)의 길이방향 상측 모서리에 형성된다.
만입부(300)는 제1면(331)과 제2면(332) 사이에서 형성되고 제1지지부(100)에서 위로 볼록하게 연장되는 볼록부(310)가 형성된다.
만입부(300)는 사용자의 쇄골이 자연스럽게 지날 수 있도록 하고, 볼록부(310)는 사용자의 쇄골을 감싸듯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편안한 착용이 되도록 한다.
제1지지부(100)는 사용자의 견봉에 알맞도록 내부가 오목한 형상을 하고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고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한다.
제2지지부(200)는 극상근에 올려지는 부분으로서, 체형 맞춤 구조를 갖는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이하 어깨걸이구라 함)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극상근의 형상에 알맞은 형상을 하고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안정적이고 편안한 착용감을 선사한다.
제2지지부(200)는 제1지지부(100)와의 연결되는 지점에서 위로 볼록한 보강부(320)를 형성함으로써 제2지지부(200)가 보다 안정적으로 어깨걸이구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연결부(150)는 제1지지부(100)의 고정부(130)에서 제1걸이대(400)를 형성한다.
제1걸이대(400)는 상측에 제2걸이대(500)를 형성한다.
제1걸이대(400)는 제1지지부(100)의 고정부(130)에 삽입되어 제1고정나사(110)로 고정된다.
제1걸이대(400)는 제1지지부(100)의 상면과 둔각을 이루면서 위로 뻗어올라가 제2걸이대(500)에 결합된다.
제2걸이대(500)는 수액병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하부에 제1홀더(510)를 형성하고 중간부에 제2홀더(520)를 형성한다.
제1홀더(510)는 수액병이 아래로 빠지지 않도록 받침부(513)를 형성하는데, 받침부(513)는 직사각 형상의 수액팩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제1홈(511)과 제2홈(512)을 형성한다.
제1홈(511)과 제2홈(512)은 서로 대칭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부(513)가 제1홈(511)과 제2홈(512)을 형성함으로써 수액팩이 직사각형상을 유지할 수가 있어 수액팩에 형성된 수액투입부 또는 수액 취출삽입부등이 제1홈(511) 또는 제2홈(512)에서 수용되어 수액팩을 수직방향으로 유지할 수가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수액을 보다 안정적으로 맞을 수 있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직사각형 모양의 수액팩은 하부에 수액을 추가로 투입하도록 하는 수액투입부나 수액을 취출하는 수액취출삽입부 등이 형성된다. 수액팩은 연질의 투명수지로 형성되기 때문에 수액투입부나 수액취출삽입부가 수액팩의 하부에서 구겨지면 수액의 이동이 곤란해지게 된다. 제1홈(511) 또는 제2홈(512)은 수액팩의 하부가 받침부(513)의 간섭으로 구겨지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제2홀더(520)는 제1홀더(510)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좌우에서 라운드지게 뻗어나와 끝부분이 개구된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수액병이 개구된 부분으로 드나들 수 있어 수액병을 거치하는 것이 편리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액병이 받침부(513)에 올려진 채 수액병의 옆부분이 제2홀더(520)의 개구된 부분으로 밀어지면 제2홀더(520)는 좌우로 조금 벌어져 수액병을 통과시킨 뒤 다시 원상태로 복귀하여 받침부(513)에서 지지된 수액병을 고정한다.
제2걸이대(500)는 상부에 높이가 다른 돌기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여 여러 종류의 수액팩을 걸 수 있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돌기(531)는 제2걸이대(500)의 상단에서 돌출형성되어 1000cc이상의 수액팩을 걸 수 있고, 제2돌기(532)는 제2걸이대(500)의 중간에서 돌출형성되어 500cc짜리 수액팩을 걸 수 있다.
제2걸이대(500)는 제1홀더(510)와 제2홀더(520) 및 걸림부(530)를 형성함으로써 수액병 또는 수액팩이 사용자가 보행하는 등 움직임에 따라 흔들리지 않고 보다 안정감있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연결부(150)는 사용자의 견봉에서 가슴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수평연결부(151)를 형성하고 수평연결부(151)에서 다시 사용자의 겨드랑이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수직연결부(152)를 형성한다.
수직연결부(152)는 사용자가 어깨걸이구를 착용할 때 사용자의 팔의 움직임에 따라 간섭을 최소화 하도록 사용자의 겨드랑이 공간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연결부(151)는 제2탈착부(711)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가슴을 감싸는 제2밴드(700)가 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수직연결부(152)는 제2탈착부(711)의 아래에 배치되면서 사용자의 겨드랑이를 감싸는 제1밴드(600)가 탈착될 수 있도록 제1탈착부(611)를 형성한다.
제1밴드(600)는 사용자의 체형에 알맞게 밴드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1조임부(610)를 형성한다.
제2밴드(700)는 사용자의 체형에 알맞게 밴드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2조임부(710)를 형성한다.
완충부(800)는 어깨걸이구의 내측에서 어깨걸이구와 대응되는 형상을 하면서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완충부(800)는 어깨걸이구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통기성이 좋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제1지지부(100)는 고정부(130)에서 다각홈(140)을 형성한다.
제1걸이대(400)는 제1결합부(410)가 다각홈(140)과 대응되는 형상을 하면서 다각홈(140)에 삽입된다.
제1결합부(410)가 다각홈(140)에 삽입되고 제1지지부(100)의 상면에 마련된 제1고정나사(110)가 제1결합부(410)에 형성된 나사홈에 결합되면서 제1걸이대(400)는 제1지지부(100)에 고정된다.
제1걸이대(400)는 상부에 제2결합부(420)를 형성하고, 제2결합부(420)에는 제2고정나사(430)가 형성된다.
제2결합부(420)는 제2걸이대(500)에 형성되는 제2체결부(540)에 삽입되어 제2고정나사(430)로 고정된다.
제2체결부(540)는 제2결합부(420)에서 높이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제1걸이대(400)가 도2와같이 제1결합부(410)를 기준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사용자는 제2걸이대(500)에 스마트폰, 태블릿pc, mp3플레이어, 등 주변기기(1000)를 거치하여 사용자의 시선 전방에서 주변기기(1000)를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왼쪽 어깨에 어깨걸이구를 착용할 경우 도4와 같이 시선 전방에서 주변기기(1000)를 보면서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어깨걸이구는 전후대칭형상을 이루고 있어 사용자의 오른쪽 어깨나 왼쪽어깨에서 모두 사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착용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제1걸이대(400) 상측에는 제2걸이대(500)가 설치된다.
제1걸이대(400)의 하측에는 회전부(900)에 체결되는 제1끼움부(403)가 형성되어 있고, 제1걸이대(400)의 상측에는 제2걸이대(500)에 체결되는 제2끼움부(401)가 형성된다.
버튼부(405)는 제1걸이대(400)의 제2끼움부(401) 하측에 설치되어 있고, 버튼부(405)는 제2걸이대(500)에 형성된 제2체결부(504)에서 착탈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제1끼움부(403)의 상면에도 버튼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끼움부(403)가 회전부(900)에서 버튼에 의해 착탈 가능하다.
도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완충부(800)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의 어깨걸이구는 사용자의 우측어깨 또는 좌측어깨에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도6을 참조하면, 제2지지부(200)의 우측에는 가늘고 길게 통공된 제1밴드홀(2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지지부(200)의 좌측에는 가늘고 길게 통공된 제2밴드홀(220)이 형성되어 있다.
제1연결밴드(751)는 일측이 제2밴드홀(220)에 연결되고 타측이 커넥터(750)에 연결된다.
제2연결밴드(752)는 일측이 탈착판(741)에 연결되고 타측이 커넥터(750)에 연결된다.
데 제3연결밴드(753)는 일측이 커넥터(750)에 연결되면서 사용자의 등을 감싸면서 사용자의 전방으로 감겨나간다.
탈착판(741)은 탈착홈(740)에서 착탈 가능하며, 탈착홈(740) 상부에는 접이부(154)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부(900)는 어깨걸이구의 상부에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도7을 참조하면, 완충부(800)는 어깨걸이구의 내측에서 어깨걸이구와 대응되는 형상을 하면서 탈부착가능하다.
완충부(800)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통기성이 좋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분리 사시도이다.
연결부(150)에 형성된 호스걸이(157)가 호스(H)를 안내하기 때문에 호스(H)가 꼬이는 것이 방지된다.
걸림부(530)는 수액병이 걸릴 수 있도록 제2걸이대(500)에 형성된다.
도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접이부(154)의 작동도이다.
연결부(150)(150)에는 접이부(154)가 형성되어 있다.
접이부(154)는 제1지지부(100)에서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연결부(150)는 접이부(154)를 지나 연장1731esp
되는 연장부(153)를 갖는다.
연장부(153)는 접이부(154)가 접이부(154)에서 회동하여 도9처럼 접혀질 때 제1지지부(100)로부터 이탈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어깨걸이구를 사용할 때에는 연장부(153)가 제1지지부(100)에 지지됨으로써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사용자는 어깨걸이구를 보관시 연결부(150)를 접이부(154)를 기준하여 접어서 보다 콤팩트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도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회전부(900)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리사시도이다.
회전부(900)는 상부캡(910)과 상부캡(910)에 삽입되는 삽입부재(920), 삽입부재(920) 및 상부캡(910)이 안착되는 베이스부(930)와, 상부캡(910)과 삽입부재(920)를 베이스부(930)에서 회동가능하되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시키는 하부캡(950)으로 이루어진다.
상부캡(910)의 측면에는 제1걸이대의 제1끼움부가 삽입되도록 입구(913)가 형성되어 있다.
버튼홈(911)은 상부캡(910) 상단에 형성되어 있다.
버튼홈(911)은 제1걸이대의 제1끼움부 상단에 형성된 버튼이 체결된다.
삽입부재(920)는 하면부(925)를 갖는데 전체적인 형상이 원통형 기둥 형상을 하고 있다.
삽입부재(920) 상단에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가늘고 길게 제1돌기(921)가 형성되어 있다.
제1돌기(921)는 상부캡(910) 하측면에 형성된 홈(미도시)에 맞게 끼워져 삽입부재(920)가 상부캡(910) 하측면에서 견고하게 지지되면서 결합하도록 한다.
삽입부재(920) 상부 측면에는 원주면을 따라서 고정홈(923)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930)에는 수용부(932) 주위로 제1안착면(934)이 형성되고, 단턱(933)과 핀(931)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베이스부(930)는 삽입부재(920)가 수용되도록 원형 형상의 중공으로 형성된 수용부(932)를 갖는다.
제1안착면(934)은 수용부(932)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편평한 형상의 면으로 상부캡(910)이 올려지게 된다.
베이스부(930)에는 핀(931)이 관통하여 삽입되도록 베이스부(930) 전방 측면에 핀(931)의 직경에 대응되는 홀이 형성되어 있다.
단턱(933)은 베이스부(930)의 전방 측면 중간에 형성된다.
레바(940)는 좌측면과 우측면을 관통하는 홀에서 베이스부(930)에 설치되는 핀(931)이 수용된다.
레바(940)는 도면을 기준할 때 좌측으로 돌출된 손잡이(942)를 갖고, 손잡이(942)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지지면(943)을 갖는다.
레바(940)는 지지면(943) 상단에서 다시 우측으로 돌출된 고정돌기(941)를 갖는다.
레바(940)는 베이스부(930)에 형성된 단턱(933)에서 핀(931)에 의해 결합된다.
핀(931)은 베이스부(930)의 전방좌측면을 관통한후 레바(940)에 형성된 홀을 지나 베이스부(930)의 전방우측면을 관통한다.
스프링(944)이 단턱(933)과 레바(940)의 지지면(943) 사이에 설치되기 때문에 레바(940)의 고정돌기(941)는 항상 삽입부재(920)의 고정홈(923)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하부캡(950)은 삽입부재(920)의 하면부(925)를 수용하도록 제2안착면(951)을 갖는다.
제2안착면(951) 상부에는 앞서 언급한 삽입부재(920)에 형성된 제1돌기(921)와 같은 형상의 제2돌기(952)가 형성된다.
제2돌기(952)는 삽입부재(920)의 하면부(925)에 형성된 홈(미도시)에서 고정된다.
플랜지부(953)는 제2안착면(951)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직경이 베이스부(930)의 수용홀 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하부캡(950)은 삽입부재(920)가 설치된 상부캡(910)과 나사(960)로 체결되어, 상부캡(910)이 베이스부(930)에서 회동은 가능하되 이탈은 되지 않도록 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회전부(900)를 회전하는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레바(940)의 손잡이(942)를 아래로 누르면, 핀(931)을 중심으로 레바(940)가 회전하면서 고정돌기(941)는 고정홈(923)에서 이탈되면서 회전부(900)가 회전할 수 있다.
회전부(900)가 회전한 상태에서 레바(940)의 손잡이(942)를 놓게되면 레바(940)는 스프링(944)에 의해 핀(931)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고정돌기(941)는 고정홈(923)에 끼워지게 된다.
고정돌기(941)가 고정홈(923)에 체결됨으로써 회전부(900)는 회전을 할 수 없도록 고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그 목적과 기술적인 사상에 비추어 볼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창작할 수 있는 정도의 기술 수준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예속되는 것임은 자명한 것으로 본 발명으로부터 상업적인 설계변경의 수준, 모양의 변화, 재질의 변화, 부품의 숫자 증감, 색상의 변화 등 본 발명의 기술과 균등범위에 있거나 하위개념에 속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일일이 언급하지 않음을 부언한다.
[부호의 설명]
100 : 제1지지부, 101 : 오목부
110 : 제1고정나사, 120 : 상면
130 : 고정부, 140 : 다각홈
150 : 연결부, 153 : 연장부
154 : 접이부, 157 : 호스걸이
151 : 수평연결부, 152 : 수직연결부
200 : 제2지지부, 210 : 제1밴드홀
220 : 제2밴드홀, 300 : 만입부
310 : 볼록부, 331 : 제1면
332 : 제2면, 400 : 제1걸이대
401 : 제2끼움부, 403 : 제1끼움부
405 : 버튼부, 500 : 제2걸이대
510 : 제1홀더, 511 : 제1홈
512 : 제2홈, 513 : 받침부
520 : 제2홀더, 530 : 걸림부
531 : 제1돌기, 532 : 제2돌기
540 : 제2체결부, 600 : 제1밴드
610 : 제1조임부, 611 : 제1탈착부
700 : 제2밴드, 710 : 제2조임부
711 : 제2탈착부, 740 : 탈착홈
741 : 탈착판, 750 : 커넥터
751 : 제1연결밴드, 752 : 제2연결밴드
753 : 제3연결밴드, 800 : 완충부
900 : 회전부, 1000 : 주변기기

Claims (13)

  1. 측면으로 연장되는 연결부를 형성하면서 견봉에 접촉하는 오목부가 형성된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에서 연장되어 극상근에 올려지는 제2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가 연결되는 부위로 만입되어 형성된 만입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맞춤 구조를 갖는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에는 상기 제1지지부에 연결되는 제1걸이대와;
    상기 제1걸이대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2걸이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맞춤 구조를 갖는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이대는,
    상기 제1지지부의 상면과 이루는 각이 둔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맞춤 구조를 갖는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이대는,
    상기 제1지지부와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맞춤 구조를 갖는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걸이대는 수액이 담긴 용기를 거치하는 홀더를 형성하되,
    상기 홀더는,
    상기 제2걸이대의 하부에 형성되면서 일측에 수액주입구를 수용하도록 제1홈을 형성하고, 타측에 수익배출구를 수용하도록 제2홈을 형성하여 수액이 담긴 용기를 지지하는 제1받침대와;
    상기 제1받침대의 중간부에 위치하여 수액이 담긴 용기를 지지하는 제2받침대와;
    상기 제2걸이대의 상부에 위치하는 돌기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걸림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맞춤 구조를 갖는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걸이대는 상기 제1걸이대에서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맞춤 구조를 갖는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 또는 상기 제2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하부에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맞춤 구조를 갖는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제1지지부로부터 연장되어 확장되는 면적을 갖으면서 형성되고, 상기 만입부는 상기 제1지지부의 연결부와 상기 제2지지부의 사이 간격이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가 연결되는 부위로 갈수록 줄어들도록 형성되어 쇄골과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맞춤 구조를 갖는 어깨 거치식 다용구 걸이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의 내면은 상기 견봉의 외형을 따라 동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부의 내면은 상기 극상근의 외형을 따라 동형을 형성되며, 상기 만입부에는 상기 쇄골이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맞춤 구조를 갖는 어깨 거치식 다용구 걸이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입부에는 상기 쇄골의 돌출 외형과 동형을 이루도록 형성된 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맞춤 구조를 갖는 어깨 거치식 다용구 걸이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에는 밴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맞춤 구조를 갖는 어깨 거치식 다용구 걸이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의 단부에는 걸이대가 설치되는 회전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맞춤 구조를 갖는 어깨 거치식 다용구 걸이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접이부와;
    상기 접이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지지부에 지지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맞춤 구조를 갖는 어깨 거치식 다용구 걸이구.
PCT/KR2012/008081 2011-10-07 2012-10-05 체형 맞춤 구조를 갖는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 WO2013051887A2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280039559.4A CN103781503B (zh) 2011-10-07 2012-10-05 具有符合体型的构造的挂肩式多用途挂架
GB1405890.3A GB2509436A (en) 2011-10-07 2012-10-05 Shoulder-mounted multifunctional hanging device having a body-fitting structure
JP2014534480A JP2014528320A (ja) 2011-10-07 2012-10-05 体形に合わせた構造を有する肩掛け式多用途掛け具
US14/239,148 US9427516B2 (en) 2011-10-07 2012-10-05 Shoulder-mounted multifunctional hanging device having a body-fitting structure
DE112012004157.7T DE112012004157T5 (de) 2011-10-07 2012-10-05 Schultergetragene multifunktionale Hängevorrichtung mit Körperpassstruktu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301A KR101148110B1 (ko) 2011-10-07 2011-10-07 체형 맞춤 구조를 갖는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
KR10-2011-0102301 2011-10-07
KR20-2012-0008936 2012-10-05
KR2020120008936U KR20140002122U (ko) 2012-10-05 2012-10-05 걸이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51887A2 true WO2013051887A2 (ko) 2013-04-11
WO2013051887A3 WO2013051887A3 (ko) 2013-07-04

Family

ID=48044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8081 WO2013051887A2 (ko) 2011-10-07 2012-10-05 체형 맞춤 구조를 갖는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427516B2 (ko)
JP (1) JP2014528320A (ko)
CN (1) CN103781503B (ko)
DE (1) DE112012004157T5 (ko)
WO (1) WO2013051887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27516B2 (en) 2011-10-07 2016-08-30 Mobiu Co., Ltd. Shoulder-mounted multifunctional hanging device having a body-fitting structure
CN117770121A (zh) * 2024-02-23 2024-03-29 云南山里红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石斛立体种植装置及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42876B (zh) * 2017-12-27 2021-06-18 湖北职业技术学院 一种穿戴式多功能输液架体
CN108042877A (zh) * 2017-12-29 2018-05-18 吴雅妮 一种便于病人使用的两用护理装置
US11576839B2 (en) * 2018-06-19 2023-02-14 Ella Kathleen Casano Therapeutic pouch for concealing intravenous therapy equipment
CN113413509B (zh) * 2021-07-30 2022-08-26 山东第一医科大学附属肿瘤医院(山东省肿瘤防治研究院、山东省肿瘤医院) 一种可以控制输液温度的营养输液器
DE102021129271A1 (de) 2021-11-10 2023-05-11 Ottobock Se & Co. Kgaa Verfahren zum Befestigen einer Orthese und Orthes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16270A1 (fr) * 1995-04-14 1998-04-23 Kabushiki Kaisha Best Life Support de poche de goutte-a-goutte
KR980008250A (ko) * 1997-01-23 1998-04-30 권경채 견착식 주사액용기 현수장치
KR200249139Y1 (ko) * 2001-07-10 2001-10-17 장성근 링거착용대
JP2005246037A (ja) * 2004-02-06 2005-09-15 Imex Co Ltd 点滴携帯装置および点滴容器携帯装置における点滴液の補給方法
KR20060082719A (ko) * 2005-01-13 2006-07-19 학교법인 인제학원 휴대용 링거걸이
KR20100005802U (ko) * 2008-11-28 2010-06-07 김희성 환자용 수액병 걸이구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23665A (en) * 1954-08-04 1955-11-15 Goldsmith Miriam Ellen Fluid injection device
US3090621A (en) * 1960-07-29 1963-05-21 Heimers Rudolph Heinrich Carrier means for attaching apparatus to the human body
US3547322A (en) * 1968-08-26 1970-12-15 Downor Inc Medical apparatus
US4438763A (en) * 1982-03-03 1984-03-27 Zablen Marshall A Ambulatory apparatus for use in combination with an intravenous delivery system
US5626270A (en) * 1995-09-19 1997-05-06 Chyi Shing Plastic Factory Co., Ltd. Drip syringe new backpack frame
CN2236324Y (zh) * 1996-01-04 1996-10-02 窦晋 一种自携式输液支架
US5676294A (en) * 1996-04-25 1997-10-14 Medical Invention Research Company Retention device for intravenous fluid container
CN2271370Y (zh) * 1996-06-05 1997-12-31 王斌 简便肩式输液架
US5799846A (en) * 1996-11-07 1998-09-01 Pfleger; Frederick W. Holder for a container which administers a feeding product to humans
US5893370A (en) * 1997-03-20 1999-04-13 Perez; Esther C. Tactical medical vest and method of providing emergency medical care
US6202214B1 (en) * 1999-11-05 2001-03-20 Edward A. Light Padded shoulder protection device
US6306111B1 (en) * 2000-07-11 2001-10-23 Joetta G. Dean Rehabilitative shoulder support
US7031763B1 (en) * 2001-04-18 2006-04-18 General Electric Company MRI shoulder coil
KR200429626Y1 (ko) 2006-06-27 2006-10-25 정태경 간이 링거 걸이구
MY153184A (en) * 2009-11-24 2015-01-29 Siew Kuang Choong Siow Kuang Ling Mobile intravenous administration apparatus
US20120228344A1 (en) * 2011-03-11 2012-09-13 Neoh Choo Aun Portable drip bottle/bag stand carriage strap
CN103781503B (zh) 2011-10-07 2016-03-23 株式会社谟裨有 具有符合体型的构造的挂肩式多用途挂架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16270A1 (fr) * 1995-04-14 1998-04-23 Kabushiki Kaisha Best Life Support de poche de goutte-a-goutte
KR980008250A (ko) * 1997-01-23 1998-04-30 권경채 견착식 주사액용기 현수장치
KR200249139Y1 (ko) * 2001-07-10 2001-10-17 장성근 링거착용대
JP2005246037A (ja) * 2004-02-06 2005-09-15 Imex Co Ltd 点滴携帯装置および点滴容器携帯装置における点滴液の補給方法
KR20060082719A (ko) * 2005-01-13 2006-07-19 학교법인 인제학원 휴대용 링거걸이
KR20100005802U (ko) * 2008-11-28 2010-06-07 김희성 환자용 수액병 걸이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27516B2 (en) 2011-10-07 2016-08-30 Mobiu Co., Ltd. Shoulder-mounted multifunctional hanging device having a body-fitting structure
CN117770121A (zh) * 2024-02-23 2024-03-29 云南山里红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石斛立体种植装置及方法
CN117770121B (zh) * 2024-02-23 2024-05-14 云南山里红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石斛立体种植装置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781503B (zh) 2016-03-23
CN103781503A (zh) 2014-05-07
DE112012004157T5 (de) 2014-06-26
JP2014528320A (ja) 2014-10-27
WO2013051887A3 (ko) 2013-07-04
US9427516B2 (en) 2016-08-30
US20140217138A1 (en) 2014-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51887A2 (ko) 체형 맞춤 구조를 갖는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
WO2015147462A1 (ko)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WO2018216943A1 (ko) 코 내시경용 보호커버체
WO2021095973A1 (ko)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
WO2021095970A1 (ko)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
WO2021095971A1 (ko)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
WO2017047927A1 (ko) 접이식 킥보드
WO2021095972A1 (ko)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
US5785057A (en) Medical positioning device
WO2016137288A1 (ko)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
US5451725A (en) Holder for a stethoscope or the like
WO2015161754A1 (zh) 一种便携式牙科治疗仪
WO2017196028A1 (ko) 청소기 거치대
WO2012096471A2 (ko)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
WO2019132108A1 (ko) 노약자용 보행 보조기
WO2020209575A1 (ko) 수면 자세 교정 기구
WO2011031084A2 (ko) 휴대용 영상기기 지지장치
WO2017164477A1 (ko) 악기 스탠드
CN209072699U (zh) 一种挂扣式蓝牙耳机外壳
WO2015156571A2 (ko) 포켓 수납형 치실 기구
WO2016133297A1 (ko) 양손으로 사용하는 치간 세정기
WO2021172807A1 (ko) 손가락 지지부를 포함하는 탁구라켓
WO2015072705A1 (ko) 기저귀 교환대
WO2021141304A2 (ko)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CN211326619U (zh) 一种可调节的防脱塑料拐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280039559.4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83798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in:

Ref document number: 2014534480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239148

Country of ref document: US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in:

Ref document number: 1405890

Country of ref document: GB

Kind code of ref document: A

Free format text: PCT FILING DATE = 20121005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05890.3

Country of ref document: GB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120120041577

Country of ref document: DE

Ref document number: 112012004157

Country of ref document: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83798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