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2719A - 휴대용 링거걸이 - Google Patents

휴대용 링거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2719A
KR20060082719A KR1020050003436A KR20050003436A KR20060082719A KR 20060082719 A KR20060082719 A KR 20060082719A KR 1020050003436 A KR1020050003436 A KR 1020050003436A KR 20050003436 A KR20050003436 A KR 20050003436A KR 20060082719 A KR20060082719 A KR 20060082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er
user
hanger
portable
wa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3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1600B1 (ko
Inventor
홍장표
이상현
손영목
강경탁
김달수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인제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인제학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인제학원
Priority to KR1020050003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1600B1/ko
Publication of KR20060082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2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1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1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01K95/02Devices for fixing on or removing sinkers from l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링거걸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이동 장소의 제한을 받지 않으며 이동중에도 수액을 받을 수 있는 휴대용 링거걸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링거걸이는 사용자의 척추를 보호하도록 수직대와 상기 수직대의 하단에 구비되는 수평대로 이루어진 척추 보호대와; 상기 수직대에 양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어깨에 착용되는 어깨끈과, 상기 어깨끈의 하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허리끈으로 구성되는 착용수단과; 상기 수직대에 돌출되어 링거를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링거 고정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용 링거걸이, 척추 보호대, 착용수단, 링거 고정수단, 후방 지지대

Description

휴대용 링거걸이{A ringer po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링거걸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링거걸이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척추 보호대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링거 고정수단의 일부를 절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후방 지지대의 요부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링거걸이
2 : 링거
3 : 척추 보호대
31 : 수직대
32 : 수평대
33 : 이중관
331 : 전방 경사축
4 : 고정부재
41 : 관통관
42 : 탭홀
43 : 볼트
5 : 착용수단
51 : 어깨끈
511 : 몸체 고정끈, 512 : 보호덮개
52 : 허리끈
521 : 허리 고정끈
6 : 링거 고정수단
61 : 수평관
62 : 수직관
621 : 링거 받침대
7 : 연결수단
71 : 관통관
72 : 탭홀
73 : 볼트
8 : 후방 지지대
9 : 접착부
91 : 지지판
911 : 탭홀
92 : 볼트
93 : 너트
본 발명은 링거걸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이동 장소의 제한을 받지 않으며 이동중에도 수액을 받을 수 있는 휴대용 링거걸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링거걸이는 환자가 있는 가정이나 병원의 입원실등에서 사용되는 것이다.
이에 통상적으로 알려진 링거걸이는 이동이 편리하도록 다수의 바퀴가 구비된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하단이 고정되어 수직으로 연장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구비되어 링거액을 걸도록 설치되는 고리대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링거걸이는 계단이나 경사진 통로를 이용할 경우에 환자가 링거걸이를 직접 들고 이동해야 함으로써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이동 장소의 제한을 받지 않으며 이동중에도 수액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링거걸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링거걸이를 착용하지 않을 경우 이 링거걸이를 바닥이나 테이블등에 세워 놓고 수액을 받을 수 있는 휴대용 링거걸이를 제공하는 목적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척추를 보호하도록 수직대와 이 수직대의 하단부에 양측으로 구비되는 수평대로 이루어진 척추 보호대와; 상기 수직대에 양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어깨에 착용되는 어깨끈과, 상기 어깨끈의 하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허리끈으로 구성되는 착용수단과; 상기 수직대에 돌출되어 링거를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링거 고정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링거걸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링거걸이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따라서 상기 휴대용 링거걸이는 사용자의 척추를 보호하는 수직대(31)와 이 수직대(31)의 하단부에 양측으로 구비되는 수평대(32)로 이루어진 척추 보호대(3)와; 상기 수직대(31)에 양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어깨에 착용되는 어깨끈(51)과 상기 어깨끈(51)의 하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허리끈(52)으로 구성되는 착용수단(5)과; 상기 수직대(31)에 돌출되어 링거(2)를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링거 고정수단(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링거걸이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이동 장소의 제한을 받지 않으며 이동중에도 수액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착용수단(5)은 상기 어깨끈(51)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몸체를 감싸 는 몸체 고정끈(511)과, 상기 허리끈(52)의 양단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허리 고정끈(521)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착용수단(5)은 상기 몸체 고정끈(511)과 허리 고정끈(521)의 단부에 양측의 끈을 상호 체결하도록 버클이나 벨크로 테이프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어깨끈(51)에는 링거걸이(1)를 착용했을 때 이 무게에 의해 사용자의 어깨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어깨를 보호하는 보호덮개(512)가 더 구비되는 것이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척추 보호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척추 보호대(3)의 수직대(31) 및 양 수평대(32)는, 길이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상호 삽탈되는 이중관(33)과 상기 이중관(33)의 사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신체조건과 상응되게 길이를 조정하는 고정부재(4)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양 수평대(32)를 구성하는 이중관(33)의 외측 단부에는, 사용자의 허리 둘레를 감싸도록 전방 경사축(331)이 더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4)는 상기 수직대(31) 및 양 수평대(32)가 삽입되도록 탭홀(42)이 형성된 관통관(41)과, 상기 관통관(41)의 측벽에 탭홀(42)이 형성되어 상기 수직대(31)와 양 수평대(32)가 삽입되면 길이와 회전을 조절하도록 상기 탭홀(42)에 체결되는 볼트(43)로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링거 고정수단의 일부를 절개한 단면도이다.
이에 상기 링거 고정수단(6)은 상기 수직대(31)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수평관 (61)과, 이 수평관(61)의 단부에 높이와 각도가 변화되게 연결수단(7)을 통해 고정되어 있고 상부에는 상기 링거 고정수단(6)이 장착되는 수직관(62)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링거 고정수단(6)은 상기 수직관(62)의 일단이 절곡되며 이 단부에 링거(2)를 수용할 수 있도록 링거 받침대(621)가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7)은 상기 수직관(62)이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관통관(71)과, 상기 관통관(71)의 측벽에 형성된 탭홀(72)에 체결되는 볼트(73)로 구성되어 상기 링거 고정수단(6)이 상,하조절 및 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링거걸이(1)를 내려 놓을 경우 상기 링거(2)의 무게로 인해 상기 링거걸이(1)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링거(2)를 상기 연결수단(7)의 볼트(73)를 조절하여 상기 수직관(62)을 회전시켜 상기 양 수평대(32)와 상기 후방 지지대(8)에 의해 형성되는 지지 공간으로 무게중심을 위치시켜 링거걸이(1)가 쓰러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후방 지지대의 요부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이에 상기 후방 지지대(8)는 접철부(9)를 통해 상기 양 수평대(32)에 연결되어 상기 양 수평대(32)와 함께 링거걸이(1)를 평면에 세우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접철부(9)는 상기 후방 지지대(8)의 양측에 구비되되 탭홀(911)이 형성된 지지판(91)과, 상기 후방 지지대(8)의 후방과 관통 체결되어 상기 후방 지지대(8)를 접철하도록 볼트(92)와 너트(93)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수동에 의해 접힘과 펴짐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수액을 받고 있는 어느 한쪽의 팔을 이용해 상기 링거(2)를 잡고 상기 링거걸이(1)에 구비된 상기 어깨끈(51)의 안쪽으로 통과하여 상기 링거 받침대(621)에 상기 링거(2)를 위치시키도록 한다. 이때 상기 링거 고정수단(6)은 상기 연결수단(7)의 볼트(73)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수액을 받고 있는 팔의 위치에 따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상,하향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한쪽 팔에 상기 어깨끈(51)을 착용한 후 나머지 한쪽 팔에 상기 어깨끈(51)을 착용시킨 다음 상기 양측의 몸체 고정끈(511)을 상호 체결한다.
한편 상기 수직대(31)의 길이를 상기 볼트(43)로 조절하여 사용자의 척추에 상응되게 하며 다시 상기 볼트(43)를 조여 상기 수직대(31)를 고정시키는 것이다. 또한 이중관(33)으로 구성된 상기 양 수평대(32)를 사용자의 허리 둘레에 맞도록 길이를 신장시킨 후 상기 고정부재(4)로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양측 허리 고정끈(521)을 상호 체결한 다음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로 이동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링거걸이(1)를 착용하지 않고 수액을 받을 경우에는 상기 접철부(9)의 볼트(92)와 너트(93)를 조절하여 상기 후방 지지대(8)를 바닥을 향해 펴고 이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너트(93)를 조여 상기 링거걸이(1)를 세워진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링거걸이(1)를 내려 놓을 경우 상기 링거(2)의 무게로 인해 상기 링거걸이(1)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링거(2)의 연결수단(7)의 볼트(73)를 조절하여 수직관(62)을 회전시켜 양 수평대(32)와 후방 지지대(8)에 의해 형성되는 지지 공간으로 무게중심을 이동위치시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링거걸이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계단이나 실내 및 실외등의 이동 장소에 제한을 받지 않으며 이동중에도 수액을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링거걸이를 착용하지 않을 경우 이 링거걸이를 바닥이나 테이블등에 세워 놓고 수액을 받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8)

  1. 사용자의 척추를 보호하도록 수직대(31)와 이 수직대(31)의 하단부에 양측으로 구비되는 수평대(32)로 이루어진 척추 보호대(3)와;
    상기 수직대(31)에 양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어깨에 착용되는 어깨끈(51)과, 상기 어깨끈(51)의 하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허리끈(52)으로 구성되는 착용수단(5)과;
    상기 수직대(31)에 돌출되어 링거(2)를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링거 고정수단(6)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링거걸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대(31) 및 양 수평대(32)는,
    길이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상호 삽탈되는 이중관(33)과,
    상기 이중관(33)의 사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신체조건과 상응되게 길이를 조정하는 고정부재(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링거걸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수단(5)은,
    상기 어깨끈(51)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몸체를 감싸는 몸체 고정끈(511)과,
    상기 허리끈(52)의 양단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허리 고정끈(52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링거걸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거 고정수단(6)은,
    상기 수직대(31)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수평관(61)과, 이 수평관(61)의 단부에 높이와 각도가 변화되게 연결수단(7)을 통해 고정되어 있고 상부에는 상기 링거 고정수단(6)이 장착되는 수직관(6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링거걸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7)은,
    상기 수직관(62)이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관통관(71)과,
    상기 관통관(71)의 측벽에 형성된 탭홀(72)에 체결되는 볼트(7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링거걸이.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양 수평대(32)를 구성하는 이중관(33)의 외측 단부에는,
    사용자의 허리 둘레를 감싸도록 전방 경사축(331)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링거걸이.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대(31)의 하부 후방에는,
    접철부(9)를 통해 상기 양 수평대(32)에 연결되어 상기 양 수평대(32)와 함께 링거걸이(1)를 평면에 세우는 후방 지지대(8)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링거걸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9)는,
    상기 후방 지지대(8)의 양측에 구비되되 탭홀(911)이 형성된 지지판(91)과, 상기 후방 지지대(8)의 후방과 관통 체결되어 상기 후방 지지대(8)를 접철하도록 볼트(92)와 너트(9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링거걸이.
KR1020050003436A 2005-01-13 2005-01-13 휴대용 링거걸이 KR100661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3436A KR100661600B1 (ko) 2005-01-13 2005-01-13 휴대용 링거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3436A KR100661600B1 (ko) 2005-01-13 2005-01-13 휴대용 링거걸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2719A true KR20060082719A (ko) 2006-07-19
KR100661600B1 KR100661600B1 (ko) 2006-12-26

Family

ID=37173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3436A KR100661600B1 (ko) 2005-01-13 2005-01-13 휴대용 링거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160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110B1 (ko) * 2011-10-07 2012-05-22 주식회사 모비유 체형 맞춤 구조를 갖는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
WO2013051887A2 (ko) * 2011-10-07 2013-04-11 주식회사 모비유 체형 맞춤 구조를 갖는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
KR20190019404A (ko) * 2017-08-17 2019-02-27 김도훈 링거 고정 장치
WO2019050328A1 (ko) * 2017-09-10 2019-03-14 원철호 착용품 지지용구
CN110841132A (zh) * 2019-11-29 2020-02-28 陕西中医药大学 一种背带便携式多功能输液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961Y1 (ko) 2011-01-17 2013-01-25 주식회사 모비유 다용도 걸이구
KR101704349B1 (ko) 2016-06-30 2017-02-22 이상석 착용식 수액공급 패키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1343Y1 (ko) * 1993-01-06 1996-02-13 박병찬 휴대용 수액병걸이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110B1 (ko) * 2011-10-07 2012-05-22 주식회사 모비유 체형 맞춤 구조를 갖는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
WO2013051887A2 (ko) * 2011-10-07 2013-04-11 주식회사 모비유 체형 맞춤 구조를 갖는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
WO2013051887A3 (ko) * 2011-10-07 2013-07-04 주식회사 모비유 체형 맞춤 구조를 갖는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
GB2509436A (en) * 2011-10-07 2014-07-02 Mobiu Co Ltd Shoulder-mounted multifunctional hanging device having a body-fitting structure
US9427516B2 (en) 2011-10-07 2016-08-30 Mobiu Co., Ltd. Shoulder-mounted multifunctional hanging device having a body-fitting structure
KR20190019404A (ko) * 2017-08-17 2019-02-27 김도훈 링거 고정 장치
WO2019050328A1 (ko) * 2017-09-10 2019-03-14 원철호 착용품 지지용구
CN110841132A (zh) * 2019-11-29 2020-02-28 陕西中医药大学 一种背带便携式多功能输液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1600B1 (ko) 2006-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1600B1 (ko) 휴대용 링거걸이
US5788606A (en) Adjustable trampoline support
US9192803B2 (en) Exercise equipment system
US20120088633A1 (en) Ergonomic workstation
US20120228439A1 (en) Support structure for protective wear
CN208259894U (zh) 多功能便携式关节置换患者康复助行器
US20070287599A1 (en) Acrobatic and gymnastic spotting apparatus
US7984524B1 (en) Swivel lift grab bar
US20130178767A1 (en) Physical therapy support device
US20050139736A1 (en) Intravenous equipment support on mobile pole assembly
US6302126B1 (en) Attachment for a walker
CN207971889U (zh) 一种顶板膨胀螺栓安装装置
US10595617B2 (en) Portable seat
US20040232396A1 (en) Stand-up hoisting apparatus
CA2148135A1 (en) Training apparatus
CN205698425U (zh) 坐式髋关节训练椅
US6397868B1 (en) Seat suspended between crutches
US6926018B1 (en) Hands free umbrella
JP2001522455A (ja) 個人用衣装支持システム
US6257258B1 (en) Seat suspended between crutches
KR101414353B1 (ko) 절첩형 싯업 보드
KR20180101293A (ko) 바퀴 달린 지지대가 부착된 배낭 받침대
CN207661361U (zh) 多功能摄影装置
GB2367499A (en) Improvements to leg supports
US9089461B1 (en) Mobility and comfort auxiliary bed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