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1031084A2 - 휴대용 영상기기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영상기기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1031084A2
WO2011031084A2 PCT/KR2010/006162 KR2010006162W WO2011031084A2 WO 2011031084 A2 WO2011031084 A2 WO 2011031084A2 KR 2010006162 W KR2010006162 W KR 2010006162W WO 2011031084 A2 WO2011031084 A2 WO 2011031084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upport
user
neck
unit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0/00616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1031084A3 (ko
Inventor
박재욱
Original Assignee
Park Jae Wook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Park Jae Wook filed Critical Park Jae Wook
Publication of WO2011031084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31084A2/ko
Publication of WO2011031084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31084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video device support apparatus that allows a user to conveniently use a portable video device while moving.
  •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 mobile phones for watching satellite broadcasting
  • video phones and video game phones and portable game machines and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Is widespread.
  •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to provide a portable imaging device support device having a structure that can be supported by the neck of the user to position the portable imaging device at the eye level of the user.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video device support device implemented with a simple structure of the position adjustment 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video device support devic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ideo device holder for mounting a portable video device, and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video device holder so that the video device holder can be located in front of the user.
  • the support unit includes a neck support for supporting the back of the user's neck and a pair of extensions extending toward the front of the user at both ends of the neck support and supporting the chest of the user.
  • a portable image device supporting apparatus including a support portion and a position adjust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chest support portion to the image device holding portion and configured to be bent and deformable to at least a portion thereof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image device holding portion. .
  • the image device holder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position adjusting unit to rotate the portable image device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the neck support part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support parts and a locker for locking and releasing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arts by a user's manipulation.
  • the extension part may include a first extension part extending from the neck support part and a second extension part hinged to the first extension part and extending to the chest support part.
  • the microphone may be connected to the chest support by a support of a flexible material.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ideo device holder for mounting a portable video device, and a support unit which is supported on the neck of the user and supports the video device holder to be located in front of the user,
  • the support unit, the neck support for supporting the back of the user's neck, and at both ends of the neck support extending toward the front of the user connected to the video device mounting portion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bent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video device mounting portion Disclosed is a portable imaging apparatus support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air of position adjustment units configured to be deformable.
  • the neck support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n ear jack for connecting the plug of the earphone, the bottom surface of the neck support portion may be attached a buffer pad of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 the position adjusting unit may have the form of a flexible wire that can be bent or deformed, or may have the form of a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connected by a flexible tube.
  • the neck support part may have a built-in rechargeable battery for charging the portable video device, and a charging connecto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ortable video device and the rechargeable battery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video device holder.
  • the video device holder may include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portable video device, a holder connected to the support and fixing a position of the portable video device, and the connector for charging may be installed in the holder.
  • the holder is slidably connectable to the pedestal.
  • the neck support unit or the image device holder may further include a charge stat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state of charge of the portable image device.
  • the image adjustment device if the image adjustment device is properly bent to adjust the height and distance to fit the eye height of the user by properly bending the position adjustment unit, the location of the imaging device holder is maintained while using the portable imaging device. As a result, the user can enjoy a video call or a broadcast with both hands free.
  • the position adjust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bent and the shape can be freely deforme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video device to a variety of heights and distances, when not using the portable video device support device folded in various forms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stored or wor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imaging device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user wears the portable image device supporting apparatus of FIG. 1.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imaging device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sition adjusting unit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the position adjusting unit of FIG. 3.
  • FIG. 5 and 6 are plan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neck support and the extension of FIG.
  • Figure 7 is a side view of the neck support shown in Figure 5;
  • 8 to 10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portable video device support of FIG.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video device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user wearing the portable video device support device of FIG.
  • the portable image device suppor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device mounting unit 110 and support units 120 and 130.
  • the video device holder 110 is for mounting a portable video device, and supports pedestal 111 supporting the portable video device and holders 112a and 112b connected to the pedestal 111 to fix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video device. It includes.
  • the pedestal 111 has a support surface to support the portable video device, and the present embodiment illustrates that the pedestal 111 is formed in the form of a plate.
  • the holders 112a and 112b function to fix the portable imaging apparatu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pedestal 111.
  • the holders 112a and 112b extend from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pedestal 111 to be bent, and support both sides of the portable imaging apparatus.
  • the shapes of the holders 112a and 112b may be implemented in any form as long as the means can fix the portable video device.
  • the support units 120 and 30 are supported by the user's neck and serve to support the image device holder 110 so that the image device holder 110 may be positioned in front of the user.
  • the support units 120 and 13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 a neck support 120 and a pair of position adjusters 130.
  • Neck support 120 serves to support the back of the user's neck, for this purpose has a support surface for supporting the back of the user's neck.
  • Neck support 120 is preferably formed to be slightly wide and thick so as not to burden the user's neck.
  • the position adjusting unit 130 extends toward the front of the user at both ends of the neck support unit 120 and is connected to the image device holding unit 110, and at least one portion thereof may adjust the position of the image device holding unit 110. It is comprised so that bending deformation is possible.
  • the position adjusting unit 130 may extend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be bent upward in the upward direction, and the bent portion may be supported by the user's chest.
  • the position adjusting unit 130 has a form of a flexible wire.
  • the flexible wire may be formed of rubber or elastic plastics.
  • a flexible metal material may be embedded in the flexible wire, which is to maintain the position of the image device mounting unit 110 having the rigidity as it is.
  • the position adjuster 130 may be positioned while the portable imaging device is in use. Is maintained, the user can enjoy a video call or broadcast with both hands free.
  • the flexible wire-type position adjusting unit 130 can be bent and can be freely deform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be folded and stored in various forms when the portable video device supporting apparatus is not used.
  • the neck support 120 may be a built-in rechargeable battery (not shown) for charging a portable imaging device.
  • one side of the image device mounting unit 110 is provided with a charging connector 151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chargeable battery.
  • the charging connector 151 is connected to the rechargeable battery by a cable built in the position controller 130. When the battery of the portable imaging apparatus is exhausted, the charging connector 151 may be connected to the portable imaging apparatus to charge the battery of the portable imaging apparatus.
  • the neck support unit 120 may be provided with a charge state display unit 152 that displays the state of charge (charge amount) of the portable imaging device.
  • the charging state display unit 152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indicator lights.
  • the neck support 120 is provided with a receptacle 153 for charging the rechargeable battery, the connector of the charger is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153 to allow the charging of the rechargeable battery.
  • the earphone 161 may be connected to the neck support part 120.
  • the cable of the earphone 161 is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position adjusting unit 130 and drawn out from the other end of the position adjusting unit 130.
  • the earphone plug 162 connected to the earphone cable is dispos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image device holder 110 and connected to the portable image device.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imaging apparatus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ortable image device suppor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also includes the image device holding unit 210 and the support units 220, 230, and 240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 Imaging device 210 and the support unit 220, 230, 240 is the same as the previous embodiment in the basic function, but in a detailed structure having a different configuration from the previous embodiment,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 the configuration similar to the previous embodiment is indicated by the reference numeral on the extension line.
  • the imaging device mounting unit 210 includes a pedestal 211 and holders 211a, 212b and 212c.
  • the holders 211a, 212b and 212c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 upper and lower holders 211a and 212b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edestal 211 and side holders 212c formed on the side of the pedestal 211.
  • This embodiment exemplifies that the upper and lower holders 211a and 212b are formed in the form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locking piece.
  • the side holder 212c may be slidably connected to the pedestal 211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side holder 212c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portable video device.
  • the charging connector 251 may be installed at an end of the side holder 212c.
  • the charging connector 25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rechargeable battery built in the neck support 220, and the charging connector 251 is fixed to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video device through the structure installed in the holder 212c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his is done at the same time.
  • the charging state display unit 152 is provided on the neck support unit 120,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the charging state display unit 252 in the pedestal 211 as in this embodiment.
  • the earphone plug 262 is connected to the pedestal 211 to be connected to the portable video device.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the cable of the earphone plug 262 to the pedestal 211 to be detachably replaceable.
  • the support units 220, 230, and 24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 a neck support 220, a chest support 240, and a position adjuster 230.
  • the neck support 220 serves to support the back of the neck of the user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extension 241 extends from both ends of the neck support 220.
  • Extension portion 241 has a structure extending toward the front of the user at both ends of the neck support 220.
  • Extension portion 241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 Chest support 240 is connected to the pair of extensions, and serves to support the user's chest area. Chest support 240 is preferably formed to be slightly wide and thick so as not to burden the user's chest.
  • the microphone 271 may be installed at the chest support 240, and the microphone 271 is connected to the chest support 240 by a support 272 that is bendable and deformable.
  • the user may make a video call using the microphone 271 or record sound in a portable video device. Since the support 272 has a material that can be bent and deformed, the support 272 is folded when the microphone 271 is not in use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face of the user.
  • Shock absorbing pads 281 and 282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may be attached to the bottom of at least one of the neck support 220 and the chest support 240.
  • the buffer pads 281 and 282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silicone, rubber, etc., which prevents damage to the skin during long-term use of the image device supporting apparatus or when the user wears thin clothes.
  • the pair is attached to have a predetermined interval so as to be seated on both chests. As a result, a certain space is generated between the pair of shock absorbing pads 282, and there is no inconvenience when wearing a tie or a necklace.
  • the position adjusting unit 230 extends from the chest supporter 240 to the image device holder 210,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position controller 230 is bent and deformable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image device holder 210.
  • the position adjusting unit 230 includes a plurality of connecting tables 231 and a flexible tube 232 connecting between the connecting tables 231.
  • the flexible tube 232 has a material that can be deformed to be folded at various angles between the connecting rods 231.
  • the flexible tube 232 is provided in plural so that the image device holder 210 can be adjusted to various positions or distances.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sition adjusting unit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the position adjusting unit of FIG. 3.
  • the flexible tube 232 is inserted and fixed inside the connecting table 231 located at both sides thereof.
  • an earphone cable 265 connected to the earphone 261 and a battery cable 255 connected to a rechargeable battery built in the neck support 220 are installed inside the connecting table 231 and the flexible tube 232.
  • the connecting rod 231 may be coated with a luminous paint (or a light reflecting paint) to increase safety at night use.
  • the position adjusting unit 23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flexible wire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as well as the structure of the connecting table 231 connected by the flexible tube 232.
  • the position adjusting unit 130 of the previous embodiment may also be embodied as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embodiment.
  • the imaging device mounting unit 210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position adjusting unit 230 to rotate the portable imaging device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Accordingly, the pedestal 211 can be u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shown in FIG. 3, or in this state, the pedestal 211 can be rotated by 90 degrees. Such a structure can be implemented by pin coupling the rotary support 233 connected with the position adjusting unit 230 to the pedestal 211.
  • the rotation support part 233 is hinged to the end of the position adjusting part 230 to allow the pedestal 211 to be tilted at various angles.
  • the image device mounting unit 210 may be connected to the position adjusting unit 230 so as to be rotatable in two axes.
  • FIG. 5 and 6 are plan views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neck support and the extension of FIG. 3, and FIG. 7 is a side view of the neck support shown in FIG. 5.
  • the neck support 220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support parts 221 and 222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221 and 222 can be connected by a lock to lock and unlock them, and the locker is configured to lock or unlock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221 and 222 by a user's manipulation. Can be configured. Since the locker can apply a known configura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extension part 241 may include a first extension part 241a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neck support part 220 and a second extension part 241b hinged to the first extension part 241a.
  • the second extension part 241b is connected to the first extension part 241a by the hinge part 241c and extends to the chest support part 240.
  • the first extension part 241a is configured to be foldable inwardly of the portable image device supporting apparatus.
  •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arts 221 and 222 are detachably configured and the first extension part 241a is configured to be fold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extension part 241b.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ze of the image device supporting apparatus.
  • the length of the position adjusting section 230 should be formed long enough to allow the user's head to pass, where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neck of the user is pas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s 221 and 222. After that, only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arts 221 and 222 may be coupled, and thus the length of the extension part 241 may be relatively reduced.
  • the neck support 220 may be provided with an ear jack 264 for inserting and connecting the plug 263 of the earphone 261, through which the earphone 261 can be replaced.
  • the extension part 241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neck support part 220, and may be applied to various physical conditions through the rotation of the extension part 241.
  • a bottom of the neck support 220 may be provided with a receptacle 253 into which the connector of the charger is inserted.
  • 8 to 10 are operating state diagrams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portable video apparatus supporter of FIG. 3.
  • FIG. 8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image device holder 210 adjusts the position of the image device holder 210 so as to be positioned at the eye level of the user.
  • the flexible tube 232 is appropriately bent and deformed so as to fold between the connecting table 231, the connecting table 231, and the mounting apparatus 210 as shown in FIG. 9.
  • FIG 9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image device holder 210 is positioned below the eye height of the user.
  • the support 272 of the microphone 271 is folded to prevent the microphone 271 from interfering with the face of the user.
  • FIG. 10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video device is properly folded so as to minimize the space occupied by the video device holder 210 and the position adjuster 230 when the portable video device is not used.
  • the user can carry the portable video device while wearing the portable device, and when the portable video device is to be used again, the position adjusting unit 230 is bent and deformed to switch to the state of FIG. 8 or 9 again. Just do it.
  • the portable video apparatus supporting apparatus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
  • the portable imaging device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영상기기를 거치하기 위한 영상기기 거치부와, 사용자의 목에 지지되며 상기 영상기기 거치부가 사용자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영상기기 거치부를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유닛은, 사용자의 목 뒤를 지지하는 목 지지부와, 상기 목 지지부의 양단에서 상기 사용자의 전방을 향해 연장된 한 쌍의 연장부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가슴 부위를 지지하는 가슴 지지부, 및 상기 가슴 지지부로부터 상기 영상기기 거치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영상기기 거치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굴곡 변형 가능하게 구성된 위치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영상기기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목에 지지되어 휴대용 영상기기를 사용자의 눈높이에 위치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휴대용 영상기기 지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영상기기 지지장치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동하는 중에도 편리하게 휴대용 영상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영상기기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IT기술의 발달로 공중파 TV방송을 볼 수 있는 디엠비(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폰, 위성방송을 볼 수 있는 핸드폰, 화상통화가 가능한 영상폰과 휴대용 게임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 휴대용 영상기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최근들어, 버스, 지하철 등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는 동안에 휴대용 영상기기를 즐기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휴대용 영상기기는 사용자가 반드시 손으로 들고서 이를 이용해야 하므로 장시간 이용시 사용자의 팔이 아픈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사용자가 휴대용 영상기기를 손에 들고 있음에 따라 손이 구속된 상태가 되는 등 이동 중 휴대용 영상기기의 사용에 많은 불편이 따르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목에 지지되어 휴대용 영상기기를 사용자의 눈높이에 위치시킬 수 있는 구조의 휴대용 영상기기 지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영상기기 지지장치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위치조절수단을 간단한 구조로서 구현한 휴대용 영상기기 지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휴대용 영상기기를 거치하기 위한 영상기기 거치부와, 사용자의 목에 지지되며 상기 영상기기 거치부가 사용자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영상기기 거치부를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유닛은, 사용자의 목 뒤를 지지하는 목 지지부와, 상기 목 지지부의 양단에서 상기 사용자의 전방을 향해 연장된 한 쌍의 연장부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가슴 부위를 지지하는 가슴 지지부, 및 상기 가슴 지지부로부터 상기 영상기기 거치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영상기기 거치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굴곡 변형 가능하게 구성된 위치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영상기기 지지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영상기기 거치부는 상기 휴대용 영상기기를 세로 및 가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위치 조절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목 지지부는 제1 및 제2지지부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를 록킹 및 록킹 해제시키는 록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목지지부에서 연장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가슴 지지부까지 연장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슴 지지부에는 마이크가 굴곡 가능한 재질의 지지대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휴대용 영상기기를 거치하기 위한 영상기기 거치부와, 사용자의 목에 지지되며 상기 영상기기 거치부가 사용자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영상기기 거치부를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유닛은, 사용자의 목 뒤를 지지하는 목 지지부, 및 상기 목 지지부의 양단에서 사용자의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영상기기 거치부에 연결되며 상기 영상기기 거치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굴곡 변형 가능하게 구성된 한 쌍의 위치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영상기기 지지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목 지지부에는 상기 이어폰의 플러그를 연결하기 위한 이어잭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목 지지부의 저면에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의 완충 패드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조절부는 굴곡 변형 가능한 플렉서블 와이어의 형태를 갖거나, 플렉서블 튜브에 의해 연결된 복수의 연결대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목 지지부에는 상기 휴대용 영상기기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용 배터리가 내장될 수 있으며, 상기 영상기기 거치부의 일측에는 휴대용 영상기기와 충전용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충전용 커넥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영상기기 거치부는 상기 휴대용 영상기기를 지지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연결되며 상기 휴대용 영상기기의 위치를 고정하는 홀더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충전용 커넥터는 상기 홀더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더는 상기 받침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 가능하다.
상기 목 지지부 또는 영상기기 거치부에는 상기 휴대용 영상기기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충전상태 표시부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위치 조절부를 적절하게 굴곡시켜 영상기기 거치부가 사용자의 눈 높이에 맞도록 높이와 거리를 조절시켜 주면, 휴대용 영상기기를 사용하는 동안에 영상기기 거치부의 위치가 유지되게 되는 바, 사용자는 양 손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영상통화나 방송을 즐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위치 조절부는 굴곡이 가능하며 그 형태를 자유롭게 변형시킬 수 있으므로, 휴대용 영상기기의 위치를 다양한 높이와 거리로 조절할 수 있으며, 휴대용 영상기기 지지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다양한 형태로 접어서 보관하거나 착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영상기기 지지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휴대용 영상기기 지지장치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영상기기 지지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위치 조절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위치 조절부의 단면도.
도 5 및 6은 도 3의 목 지지부와 연장부의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목 지지부의 측면도.
도 8 내지 10은 도 3의 휴대용 영상기기 지지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영상기기 지지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영상기기 지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휴대용 영상기기 지지장치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영상기기 지지장치는 영상기기 거치부(110)와 지지유닛(120,130)을 포함한다.
영상기기 거치부(110)는 휴대용 영상기기를 거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용 영상기기를 지지하는 받침대(111)와, 받침대(111)에 연결되어 휴대용 영상기기의 위치를 고정하는 홀더(112a,112b)를 포함한다.
받침대(111)는 휴대용 영상기기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면을 가지며, 본 실시예는 받침대(111)가 플레이트의 형태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홀더(112a,112b)는 휴대용 영상기기가 받침대(111)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112a,112b)는 받침대(111)의 상하측에서 연장되어 절곡된 형태를 가지며, 휴대용 영상기기의 양 측면을 지지한다. 다만, 홀더(112a,112b)의 형태는 휴대용 영상기기를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현 가능하다.
지지유닛(120,30)은 사용자의 목에 지지되며, 영상기기 거치부(110)가 사용자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도록 영상기기 거치부(110)를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예의 지지유닛(120,130)은 목 지지부(120)와 한 쌍의 위치 조절부(130)를 포함한다.
목 지지부(120)는 사용자의 목 뒤를 지지하는 기능을 하며, 이를 위해 사용자의 목 뒤를 지지하는 지지면을 갖는다. 목 지지부(120)는 사용자의 목에 부담을 주지 않을 정도로 약간 넓고 두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 조절부(130)는 목 지지부(120)의 양단에서 사용자의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영상기기 거치부(110)에 연결되며, 영상기기 거치부(1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 부분이 굴곡 변형 가능하게 구성된다.
위치 조절부(130)는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다 다시 상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절곡된 부분은 사용자의 가슴 부위에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조절부(130)는 플렉서블 와이어의 형태를 갖는다. 플렉서블 와이어는 고무 또는 탄성 플라스틱의 재질로 형성 가능하다. 플렉서블 와이어의 내부에는 굴곡 가능한 금속 소재가 내장될 수 있으며, 이는 그 자체로서 강성을 가져 위치 조절된 영상기기 거치부(110)의 위치를 그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위치 조절부(130)를 적절하게 굴곡시켜 영상기기 거치부(110)가 사용자의 눈 높이에 맞도록 높이와 거리를 조절시켜 주면, 휴대용 영상기기를 사용하는 동안에 영상기기 거치부(110)의 위치가 유지되게 되는 바, 사용자는 양 손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영상통화나 방송을 즐길 수 있다. 아울러, 플렉서블 와이어 형태의 위치 조절부(130)는 굴곡이 가능하며 그 형태를 자유롭게 변형시킬 수 있으므로, 휴대용 영상기기 지지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다양한 형태로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목 지지부(120)에는 휴대용 영상기기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용 배터리(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그리고, 영상기기 거치부(110)의 일측에는 충전용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충전용 커넥터(151)가 구비된다. 충전용 커넥터(151)는 위치 조절부(130)에 내장된 케이블에 의해 충전용 배터리와 연결된다. 휴대용 영상기기의 자체 배터리가 소진된 경우, 충전용 커넥터(151)를 휴대용 영상기기에 연결하여 휴대용 영상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목 지지부(120)에는 휴대용 영상기기의 충전상태(충전량)을 표시하는 충전상태 표시부(152)가 설치될 수 있다. 충전상태 표시부(152)는 복수의 표시등의 형태로 형성 가능하다. 또한, 목 지지부(120)에는 충전용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리셉터클(153)이 구비되며, 충전기의 커넥터는 리셉터클(153)에 삽입되어 충전용 배터리의 충전이 이루어지게 한다.
한편, 목 지지부(120)에는 이어폰(161)이 연결될 수 있다. 이어폰(161)의 케이블은 위치 조절부(130)의 일단에 삽입되어 위치 조절부(130)의 타단에서 인출된다. 이어폰 케이블에 연결된 이어폰 플러그(162)는 영상기기 거치부(110)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휴대용 영상기기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형태뿐 아니라, 목 지지부(120)에 이어폰(161)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이어잭을 설치하여 이어폰(161)이 목 지지부(120)에 착탈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영상기기 지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휴대용 영상기기 지지장치 또한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영상기기 거치부(210)와, 지지유닛(220,230,240)을 포함하고 있다. 영상기기 거치부(210)와 지지유닛(220,230,240)은 그 기본적인 기능에 있어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나, 상세 구조에 있어서 앞선 실시예와 상이한 구성을 가지는 바, 이에 대해 상세히 살펴 보기로 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앞선 실시예와 유사한 구성에 대해 연장선상의 도면 부호로 표기하였다.
영상기기 거치부(210)는 받침대(211)와 홀더(211a,212b,212c)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홀더(211a,212b,212c)는 받침대(211)의 상하부에 형성된 상부 및 하부 홀더(211a,212b)와, 받침대(211)의 사이드에 형성된 사이드 홀더(212c)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상부 및 하부 홀더(211a,212b)가 탄성 변형 가능한 걸림편의 형태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사이드 홀더(212c)는 받침대(21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이는 휴대용 영상기기의 길이에 따라 사이드 홀더(212c)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충전용 커넥터(251)는 사이드 홀더(212c)의 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충전용 커넥터(251)는 목 지지부(220)에 내장된 충전용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러한 충전용 커넥터(251)가 홀더(212c)에 설치된 구조를 통해 휴대용 영상기기의 위치 고정 및 전기적 연결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한다.
한편, 앞선 실시예에서는 충전상태 표시부(152)가 목 지지부(120)에 구비되었으나, 본 실시예와 같이 충전상태 표시부(252)를 받침대(211)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받침대(211)에 이어폰 플러그(262)를 연결하여 휴대용 영상기기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어폰 플러그(262)의 케이블을 받침대(21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교체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지지유닛(220,230,240)은 목 지지부(220), 가슴 지지부(240), 및 위치 조절부(230)를 포함한다.
목 지지부(220)는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목 뒤를 지지하는 기능을 하며, 목 지지부(220)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부(241)가 연장되는 구조를 갖는다. 연장부(241)는 목 지지부(220)의 양단에서 사용자의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구조를 갖는다. 연장부(241)는 탄성 변형 가능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 가능하다.
가슴 지지부(240)는 한 쌍의 연장부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가슴 부위를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가슴 지지부(240)는 사용자의 가슴에 부담을 주지 않을 정도로 약간 넓고 두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슴 지지부(240)에는 마이크(271)가 설치될 수 있으며, 마이크(271)는 굴곡 변형 가능한 지지대(272)에 의해 가슴 지지부(240)에 연결된다. 사용자는 마이크(271)를 이용하여 영상통화를 하거나 휴대용 영상기기에 음향을 녹음할 수 있다. 지지대(272)가 굴곡 변형 가능한 재질을 가지므로, 마이크(271)의 미사용시 지지대(272)를 접어서 사용자의 얼굴과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목 지지부(220)와 가슴 지지부(240) 중 적어도 하나의 저면에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의 완충 패드(281,282)가 각각 부착될 수 있다. 완충 패드(281,282)는 실리콘, 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 가능하며, 이는 영상기기 지지장치의 장시간 사용시나 사용자가 얇은 옷을 입었을 때 피부에 손상이 가는 것을 방지한다.
가슴 지지부(240)에 부착된 완충 패드(282)의 경우, 한 쌍으로서 일정 간격을 갖도록 부착하여 양 쪽 가슴에 안착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완충 패드(282) 사이에 일정 공간이 생기는 바, 넥타이, 목걸이 등의 착용시에도 불편함이 없게 하였다.
위치 조절부(230)는 가슴 지지부(240)로부터 영상기기 거치부(210)까지 연장되며, 영상기기 거치부(2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굴곡 변형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조절부(230)는 복수의 연결대(231)와, 연결대(231) 사이를 연결하는 플렉서블 튜브(232)를 포함한다. 플렉서블 튜브(232)는 연결대(231) 사이가 다양한 각도로 접힐 수 있도록 변형 가능한 재질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튜브(232)가 복수로 구비되어 영상기기 거치부(210)가 다양한 위치 또는 거리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도 3의 위치 조절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위치 조절부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튜브(232)는 그 양측에 위치한 연결대(231)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어 있다.
연결대(231)와 플렉서블 튜브(232)의 내부에는 이어폰(261)과 연결된 이어폰 케이블(265)과, 목 지지부(220)에 내장된 충전용 배터리와 연결된 배터리 케이블(255)이 설치된다. 이어폰 케이블(265)과 배터리 케이블(255)은 목 지지부(220)로부터 연장부(241), 위치 조절부(230)의 내부를 관통하여 영상기기 거치부(210)까지 연결되는 것이다.
연결대(231)에는 야광 도료(또는 빛 반사 도료)를 도포하여 야간 사용시 안전성을 높이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위치 조절부(230)는 플렉서블 튜브(232)에 의해 연결된 연결대(231)의 구조 뿐만 아니라 앞선 실시예와 같은 플렉서블 와이어의 형태로도 구현 가능하다. 또한, 그 반대로 앞선 실시예의 위치 조절부(130) 또한 본 실시예의 구조로서 구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영상기기 거치부(210)는 휴대용 영상기기를 세로 및 가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위치 조절부(2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받침대(211)를 도 3과 같이 가로 방향으로 사용하거나, 이 상태에서 받침대(211)를 90도만큼 회전시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조는 위치 조절부(230)와 연결된 회전 지지부(233)를 받침대(211)에 핀 결합시킴으로써 구현 가능하다.
또한, 회전 지지부(233)는 위치 조절부(230)의 단부와 힌지 결합되어 받침대(211)가 다양한 각도로 틸팅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영상기기 거치부(210)는 위치 조절부(230)와 2축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가능하다.
도 5 및 6은 도 3의 목 지지부와 연장부의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들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목 지지부의 측면도이다.
도 5 및 6와 같이, 목 지지부(220)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지지부(221,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지지부(221,222)는 이들을 록킹 및 록킹 해제시키는 록커(Lock)에 의해 연결 가능하며, 록커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1 및 제2지지부(221,222)를 록킹시키거나 록킹 해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록커는 공지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연장부(241)는 목 지지부(220)의 양단에서 연장된 제1연장부(241a)와, 제1연장부(241a)에 힌지 연결되는 제2연장부(24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연장부(241b)는 힌지부(241c)에 의해 제1연장부(241a)에 연결되어 가슴 지지부(240)까지 연장된다. 여기서, 제1연장부(241a)는 휴대용 영상기기 지지장치의 내측 방향으로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지지부(221,222)를 분리 가능하게 구성함과 동시에 제1연장부(241a)가 제2연장부(241b)에 대해 접힐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앞선 실시예와 대비하여 휴대용 영상기기 지지장치의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다. 앞선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의 머리가 통과할 수 있도록 위치 조절부(230)의 길이를 충분히 길게 형성하여야 하는데 반하여,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및 제2지지부(221,222) 사이에 사용자의 목을 통과시킨 후 제1 및 제2지지부(221,222)를 결합시키기만 하면 되는 바, 연장부(241)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목 지지부(220)에는 이어폰(261)의 플러그(263)를 삽입 연결하기 위한 이어잭(264)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이어폰(261)의 교체가 가능하게 된다.
도 7과 같이, 연장부(241)는 목 지지부(220)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연장부(241)의 회전을 통해 다양한 신체 조건에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목 지지부(220)의 저면에는 충전기의 커넥터가 삽입 연결되는 리셉터클(253)이 구비될 수 있다.
도 8 내지 10은 도 3의 휴대용 영상기기 지지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8은 영상기기 거치부(210)가 사용자의 눈 높이에 위치하도록 영상기기 거치부(210)의 위치를 조절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플레서블 튜브(232)를 적절히 굴곡 변형시켜 도 9와 같이 연결대(231)의 사이, 연결대(231) 영상기기 거치부(210)와의 사이 등을 접을 수 있다.
도 9는 영상기기 거치부(210)가 사용자의 눈 높이보다 아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아울러, 마이크(271)의 미사용시 마이크(271)의 지지대(272)를 접어 마이크(271)가 사용자의 얼굴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0은 휴대용 영상기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 영상기기 거치부(210) 및 위치 조절부(230)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도록 이들을 적절하게 접은 상태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영상기기 지지장치를 이용하여 휴대용 영상기기를 착용한 채로 다닐 수 있으며, 휴대용 영상기기를 다시 사용하고자 할 때는 위치 조절부(230)를 적절히 굴곡 변형시켜 다시 도 8 또는 도 9의 상태로 전환시키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휴대용 영상기기 지지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휴대용 영상기기 지지대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4)

  1. 휴대용 영상기기를 거치하기 위한 영상기기 거치부; 및
    사용자의 목에 지지되며, 상기 영상기기 거치부가 사용자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영상기기 거치부를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유닛은,
    사용자의 목 뒤를 지지하는 목 지지부;
    상기 목 지지부의 양단에서 상기 사용자의 전방을 향해 연장된 한 쌍의 연장부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가슴 부위를 지지하는 가슴 지지부; 및
    상기 가슴 지지부로부터 상기 영상기기 거치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영상기기 거치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굴곡 변형 가능하게 구성된 위치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영상기기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기기 거치부는 상기 휴대용 영상기기를 세로 및 가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위치 조절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영상기기 지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 지지부는,
    제1 및 제2지지부; 및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를 록킹 및 록킹 해제시키는 록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영상기기 지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목지지부에서 연장되는 제1연장부; 및
    상기 제1연장부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가슴 지지부까지 연장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영상기기 지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굴곡 가능한 재질의 지지대에 의해 상기 가슴 지지부와 연결되는 마이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영상기기 지지장치.
  6. 휴대용 영상기기를 거치하기 위한 영상기기 거치부; 및
    사용자의 목에 지지되며, 상기 영상기기 거치부가 사용자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영상기기 거치부를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유닛은,
    사용자의 목 뒤를 지지하는 목 지지부; 및
    상기 목 지지부의 양단에서 사용자의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영상기기 거치부에 연결되며, 상기 영상기기 거치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굴곡 변형 가능하게 구성된 한 쌍의 위치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영상기기 지지장치.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목 지지부에는 상기 이어폰의 플러그를 연결하기 위한 이어잭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영상기기 지지장치.
  8.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목 지지부의 저면에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의 완충 패드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영상기기 지지장치.
  9.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절부는 굴곡 변형 가능한 플렉서블 와이어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영상기기 지지장치.
  10.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절부는,
    복수의 연결대; 및
    상기 연결대의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연결대의 사이가 접힐 수 있도록 변형 가능한 플렉서블 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영상기기 지지장치.
  11.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목 지지부에 내장되며, 상기 휴대용 영상기기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용 배터리; 및
    상기 충전용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영상기기 거치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충전용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영상기기 지지장치
  12.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기기 거치부는,
    상기 휴대용 영상기기를 지지하는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에 연결되며, 상기 휴대용 영상기기의 위치를 고정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용 커넥터는 상기 홀더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영상기기 지지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받침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영상기기 지지장치.
  14.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목 지지부 또는 영상기기 거치부에 설치되며, 상기 휴대용 영상기기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충전상태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영상기기 지지장치.
PCT/KR2010/006162 2009-09-10 2010-09-10 휴대용 영상기기 지지장치 WO2011031084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5193 2009-09-10
KR1020090085193A KR20110027204A (ko) 2009-09-10 2009-09-10 휴대용 영상기기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31084A2 true WO2011031084A2 (ko) 2011-03-17
WO2011031084A3 WO2011031084A3 (ko) 2011-08-04

Family

ID=43732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0/006162 WO2011031084A2 (ko) 2009-09-10 2010-09-10 휴대용 영상기기 지지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10027204A (ko)
WO (1) WO201103108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6854B1 (ko) * 2015-02-27 2016-03-28 (주)아바엔터테인먼트 시각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말기가 충전되는 헤드 마운틴 디스플레이 장치
JP6182575B2 (ja) * 2015-02-27 2017-08-16 マイポーブ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カメラを具備した端末機用据置台
WO2016175347A2 (ko) * 2015-04-28 2016-11-03 양동규 목 지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헤드셋, 전자기기
KR101616542B1 (ko) * 2015-06-29 2016-04-28 이재일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53888B2 (ja) * 1996-10-23 2006-12-0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頭部装着型映像表示装置
US20060176660A1 (en) * 2005-02-07 2006-08-10 Ahmad Amiri Ultra mobile communicating computer
US7810750B2 (en) * 2006-12-13 2010-10-12 Marcio Marc Abreu Biologically fit wearable electronics apparatus and methods
JPWO2008096719A1 (ja) * 2007-02-05 2010-05-20 高橋 淳 周辺視野を開放した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31084A3 (ko) 2011-08-04
KR20110027204A (ko) 2011-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37288A1 (ko)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
WO2015147450A1 (ko) 손목 시계형 스마트 단말기
WO2011031084A2 (ko) 휴대용 영상기기 지지장치
WO2020153692A1 (ko) 엑스레이용 디텍터 홀더 스탠드
WO2016186284A1 (ko) 블루투스헤드셋 및 이를 포함하는 손목시계
WO2013165053A1 (ko)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
WO2015182948A1 (ko) 스마트 기기 거치용 목걸이
WO2018190543A1 (ko)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
WO2016182268A1 (ko) 배터리가 구비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WO2017007069A1 (ko) 차량 핸들에 설치되는 휴대폰 거치대
WO2020138988A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이 설치되는 인폴딩타입 힌지구조
CN205882859U (zh) 多功能夹背无线磁吸充电宝
WO2013051887A2 (ko) 체형 맞춤 구조를 갖는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
WO2017069326A1 (ko)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WO2016013879A1 (ko) 표시부가 자동정렬되는 디스플레이장치
CN209458600U (zh) 一种新型手机、平板电脑支架
WO2012111994A2 (ko) 태블릿 pc용 케이스
WO2019205801A1 (zh) 一种结构新颖的蓝牙耳机充电装置
WO2019066321A1 (ko) 자석을 이용하여 자동 높이 조절 기능을 갖는 베개
WO2017164477A1 (ko) 악기 스탠드
WO2017119603A1 (ko) 휴대 정보통신기기 거치대
WO2017213414A1 (ko) 영상 출력 기능을 갖는 침대 시스템
WO2012105781A2 (ko) 휴대전자기기의 휴대용 거치대
WO2022270776A1 (ko) 스마트폰 다용도 거치대
WO2014112667A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081562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081562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