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2122U - 걸이구 - Google Patents

걸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2122U
KR20140002122U KR2020120008936U KR20120008936U KR20140002122U KR 20140002122 U KR20140002122 U KR 20140002122U KR 2020120008936 U KR2020120008936 U KR 2020120008936U KR 20120008936 U KR20120008936 U KR 20120008936U KR 20140002122 U KR20140002122 U KR 2014000212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user
hanger
hook
s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89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석
이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비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비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비유
Priority to CN201280039559.4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3781503B/zh
Priority to KR2020120008936U priority patent/KR20140002122U/ko
Priority to JP2014534480A priority patent/JP2014528320A/ja
Priority to US14/239,148 priority patent/US9427516B2/en
Priority to PCT/KR2012/008081 priority patent/WO2013051887A2/ko
Priority to DE112012004157.7T priority patent/DE112012004157T5/de
Publication of KR201400021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12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4Hanging-up devices
    • A61M5/1415Stands, brackets or the like for supporting infusion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4Hanging-up devices
    • A61M5/1415Stands, brackets or the like for supporting infusion accessories
    • A61M2005/1416Stands, brackets or the like for supporting infusion accessories placed on the body of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8Supports for equipment
    • A61M2209/088Supports for equipment on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걸이구에 관한 것으로서, 측면으로 연장되는 연결부를 형성하면서 견봉에 접촉하는 오목부가 형성된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에서 연장되어 극상근에 올려지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지지부에는 밴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구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활동중에도 수액병(링거)를 안정적이면서도 편리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락한 치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걸이구{A hanger}
본 고안은 걸이구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및 IT기술의 발전에 따라 무선 인터넷을 이용해 이메일, 웹서핑, TV시청 및 영화감상, 네비게이션, 모바일 학습, e북, 화상통화 기능 등이 추가된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사용자가 많아지고 있다.
대부분의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사용자들은 길거리, 버스, 지하철이나 사무실 등에서 한손으로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등을 조작하여 콘텐츠를 즐기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 사용자가 한 손으로 장시간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게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등을 들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특히 청각장애인이 스마트폰 및 일반휴대폰으로 화상통화를 할 경우, 한 손으로 스마트폰 및 휴대폰을 어깨 높이까지 들고 나머지 한 손으로만 수화를 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하다.
한편, 환자가 병을 치료하거나 검사를 받기 위해 병원에 입원을 하면, 대부분의 환자들은 첫날부터 수액을 맞으며, 수술을 받은 환자는 수액과 함께 수술받은 부위의 통증을 경감시켜주는 무통주사를 맞는다.
그러나, 환자들은 일반적으로 바퀴가 달린 이동식 수액걸이(링거대)의 윗부분에 있는 고리에 수액 또는 무통주사를 걸고 이동식 수액걸이 손잡이를 잡고 이동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특히 수술을 받은 환자는 빠른 회복을 위해 의사로부터 운동을 권유받지만, 수액 및 무통주사를 맞고 있는 환자가 바퀴 달린 이동식 수액걸이를 잡고 화장실 이동이나 병실 복도에서 가벼운 운동을 하려면 환자 스스로가 이동식 수액걸이를 잡고 직접 밀면서 이동을 해야하기 때문에 불편하였다.
한편, 방송용 소형 카메라를 사용하는 카메라PD는 카메라 본체와 연결된 핸드 스트랩에 오른손을 끼운 상태로 무거운 카메라를 들고 조작을 하고, 나머지 한 손으로 카메라 밑부분을 받치는 방식으로 촬영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장시간 무거운 카메라를 한 손으로만 들고 촬영을 하기 때문에 어깨 및 팔뚝에 통증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건강 및 취미생활을 위해 자전거를 타는 사람이나 스키를 타는 사람이 카메라로 동영상을 촬영할 경우 양손으로 자전거 핸들이나 스키 폴대를 잡고 방향 조작을 해야 하기 때문에 소형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는 데에 불편함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 한국등록실용신안 20-0429643에는 착용부를 환자의 허벅지에 착용시키는 환자용 수액병 걸이구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공개실용신안 20-2010-0005802에는 환자의 어깨 및 상완부에 착용부를 고정시키고 착용부에 수액병을 거는 걸이구를 장착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한국등록실용신안 20-0429643과 한국공개실용신안 20-2010-0005802의 기술들은 착용부가 움직임이 많은 신체부위에 고정되었기 때문에 환자가 팔이나 다리 등을 움직일 때마다 착용부에 연결된 걸이구에 걸려있는 수액병(링거)이 흔들려서 불안정한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용도 걸이구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활동중에 보다 용이하게 수액병(링거)를 안정적으로 맞을 수 있도록 하고,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며 걸이구의 수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측면으로 연장되는 연결부를 형성하면서 견봉에 접촉하는 오목부가 형성된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에서 연장되어 극상근에 올려지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지지부에는 밴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의 단부에는 걸이대가 설치되는 회전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접이부와; 상기 접이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지지부에 지지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대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사용자가 활동중에도 수액병(링거)를 안정적이면서도 편리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락한 치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둘째, 접이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보다 콤팩트하게 보관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셋째, 걸이구가 회전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하여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위치에서 사용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다른 사시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의 분리사시도이다.
도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사시도이다.
도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부의 작동도이다.
도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리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도이며, 도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다른 사시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800)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고안에서의 걸이구는 사용자의 우측어깨 또는 좌측어깨에 선택적으로 사용가능하다.
도2를 참조하면, 제2지지부(200)의 우측에는 가늘고 길게 통공된 제1밴드홀(2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지지부(200)의 좌측에는 가늘고 길게 통공된 제2밴드홀(220)이 형성되어 있다.
제1연결밴드(751)는 일측이 제2밴드홀(220)에 연결되고 타측이 커넥터(750)에 연결된다.
제2연결밴드(752)는 일측이 탈착판(741)에 연결되고 타측이 커넥터(750)에 연결된다.
제3연결밴드(753)는 일측이 커넥터(750)에 연결되면서 사용자의 등을 감싸면서 사용자의 전방으로 감겨나간다.
탈착판(741)은 탈착홈(740)에서 착탈 가능하며, 탈착홈(740) 상부에는 접이부(154)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부(900)는 걸이구의 상부에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도3을 참조하면, 완충부(800)는 걸이구의 내측에서 걸이구와 대응되는 형상을 하면서 탈부착가능하다.
완충부(800)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통기성이 좋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사시도이다.
연결부(150)에 형성된 호스걸이(157)가 호스(H)를 안내하기 때문에 호스(H)가 꼬이는 것이 방지된다.
걸림부(530)는 수액병이 걸릴 수 있도록 제2걸이대(500)에 형성된다.
제1지지부(100)는 견봉에 안착되는 구조로서 내면이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제2지지부(200)는 제1지지부(100)로부터 연장되어 나와 극상근에 올려진다.
만입부(300)에는 제1지지부(100)에서 위로 볼록하게 연장되는 볼록부(310)가 형성된다.
만입부(300)는 사용자의 쇄골이 자연스럽게 지날 수 있도록 하고, 볼록부(310)는 사용자의 쇄골을 감싸듯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편안한 착용이 되도록 한다.
제1지지부(100)는 사용자의 견봉에 알맞도록 내부가 오목한 형상을 하고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고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한다.
제2지지부(200)는 극상근에 올려지는 부분으로서, 걸이구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극상근의 형상에 알맞은 형상을 하고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안정적이고 편안한 착용감을 선사한다.
제2지지부(200)는 제1지지부(100)와의 연결되는 지점에서 위로 볼록한 보강부(320)를 형성함으로써 제2지지부(200)가 보다 안정적으로 걸이구를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제1걸이대(400) 상측에는 제2걸이대(500)가 설치된다.
제1걸이대(400)의 하측에는 회전부(900)에 체결되는 제1끼움부(403)가 형성되어 있고, 제1걸이대(400)의 상측에는 제2걸이대(500)에 체결되는 제2끼움부(401)가 형성된다.
버튼부(405)는 제1걸이대(400)의 제2끼움부(401) 하측에 설치되어 있고, 버튼부(405)는 제2걸이대(500)에 형성된 제2체결부(504)에서 착탈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제1끼움부(403)의 상면에도 버튼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끼움부(403)가 회전부(900)에서 버튼에 의해 착탈 가능하다.
제2걸이대(500)는 수액병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하부에 제1홀더(510)를 형성하고 중간부에 제2홀더(520)를 형성한다.
제1홀더(510)는 수액병이 아래로 빠지지 않도록 받침부(513)를 형성하는데, 받침부(513)는 직사각 형상의 수액팩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제1홈(511)과 제2홈(512)을 형성한다.
제1홈(511)과 제2홈(512)은 서로 대칭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부(513)가 제1홈(511)과 제2홈(512)을 형성함으로써 수액팩이 직사각형상을 유지할 수가 있어 수액팩에 형성된 수액투입부 또는 수액 취출삽입부등이 제1홈(511) 또는 제2홈(512)에서 수용되어 수액팩을 수직방향으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수액을 보다 안정적으로 맞을 수 있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직사각형 모양의 수액팩은 하부에 수액을 추가로 투입하도록 하는 수액투입부나 수액을 취출하는 수액취출삽입부 등이 형성된다.
수액팩은 연질의 투명수지로 형성되기 때문에 수액투입부나 수액취출삽입부가 수액팩의 하부에서 구겨지면 수액의 이동이 곤란해지게 된다.
제1홈(511) 또는 제2홈(512)은 수액팩의 하부가 받침부(513)의 간섭으로 구겨지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제2홀더(520)는 제1홀더(510)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좌우에서 라운드지게 뻗어나와 끝부분이 개구된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수액병이 개구된 부분으로 드나들 수 있어 수액병을 거치하는 것이 편리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액병이 받침부(513)에 올려진 채 수액병의 옆부분이 제2홀더(520)의 개구된 부분으로 밀어지면 제2홀더(520)는 좌우로 조금 벌어져 수액병을 통과시킨 뒤 다시 원상태로 복귀하여 침부(513)에서 지지된 수액병을 고정한다.
제2걸이대(500)는 제1홀더(510)와 제2홀더(520) 및 걸림부(530)를 형성함으로써 수액병 또는 수액팩이 사용자가 보행하는 등 움직임에 따라 흔들리지않고 보다 안정감있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연결부(150)는 사용자의 견봉에서 가슴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수평연결부(151)를 형성하고 수평연결부(151)에서 다시 사용자의 겨드랑이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수직연결부(152)를 형성한다.
수직연결부(152)는 사용자가 걸이구를 착용할 때 사용자의 팔의 움직임에 따라 간섭을 최소화 하도록 사용자의 겨드랑이 공간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연결부(151)는 제2탈착부(711)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가슴을 감싸는 제2밴드(700)가 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수직연결부(152)는 제2탈착부(711)의 아래에 배치되면서 사용자의 겨드랑이를 감싸는 제1밴드(600)가 탈착될 수 있도록 제1탈착부(611)를 형성한다.
제1밴드(600)는 사용자의 체형에 알맞게 밴드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1조임부(610)를 형성한다.
제2밴드(700)는 사용자의 체형에 알맞게 밴드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2조임부(710)를 형성한다.
도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부(154)의 작동도이다.
연결부(150)에는 접이부(154)가 형성되어 있다.
접이부(154)는 제1지지부(100)에서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연결부(150)는 접이부(154)를 지나 연장되는 연장부(153)를 갖는다.
연장부(153)는 접이부(154)가 회동하여 도5처럼 접혀질 때 제1지지부(100)로부터 이격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걸이구를 사용할 때에는 연장부(153)가 제1지지부(100)에 지지됨으로써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사용자는 걸이구를 보관시 연결부(150)를 접이부(154)를 기준하여 접어서 보다 콤팩트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도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900)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리사시도이다.
회전부(900)는 상부캡(910)과 상부캡(910)에 삽입되는 삽입부재(920), 삽입부재(920) 및 상부캡(910)이 안착되는 베이스부(930)와, 상부캡(910)과 삽입부재(920)를 베이스부(930)에서 회동가능하되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시키는 하부캡(950)으로 이루어진다.
상부캡(910)의 측면에는 제1걸이대의 제1끼움부가 삽입되도록 입구(913)가 형성되어 있다.
버튼홈(911)은 상부캡(910) 상단에 형성되어 있다.
버튼홈(911)은 제1걸이대의 제1끼움부 상단에 형성된 버튼이 체결된다.
삽입부재(920)는 하면부(925)를 갖는데 전체적인 형상이 원통형 기둥 형상을 하고 있다.
삽입부재(920) 상단에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가늘고 길게 제1돌기(921)가 형성되어 있다.
제1돌기(921)는 상부캡(910) 하측면에 형성된 홈(미도시)에 맞게 끼워져 삽입부재(920)가 상부캡(910) 하측면에서 견고하게 지지되면서 결합하도록 한다.
삽입부재(920) 상부 측면에는 원주면을 따라서 고정홈(923)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930)에는 수용부(932) 주위로 제1안착면(934)이 형성되고, 단턱(933)과 핀(931)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베이스부(930)는 삽입부재(920)가 수용되도록 원형 형상의 중공으로 형성된 수용부(932)를 갖는다.
제1안착면(934)은 수용부(932)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편평한 형상의 면으로 상부캡(910)이 올려지게 된다.
베이스부(930)에는 핀(931)이 관통하여 삽입되도록 베이스부(930) 전방 측면에 핀(931)의 직경에 대응되는 홀이 형성되어 있다.
단턱(933)은 베이스부(930)의 전방 측면 중간에 형성된다.
레바(940)는 좌측면과 우측면을 관통하는 홀에서 베이스부(930)에 설치되는 핀(931)이 수용된다.
레바(940)는 도면을 기준할 때 좌측으로 돌출된 손잡이(942)를 갖고, 손잡이(942)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지지면(943)을 갖는다.
레바(940)는 지지면(943) 상단에서 다시 우측으로 돌출된 고정돌기(941)를 갖는다.
레바(940)는 베이스부(930)에 형성된 단턱(933)에서 핀(931)에 의해 결합된다.
핀(931)은 베이스부(930)의 전방좌측면을 관통한후 레바(940)에 형성된 홀을 지나 베이스부(930)의 전방우측면을 관통한다.
스프링(944)이 단턱(933)과 레바(940)의 지지면(943) 사이에 설치되기 때문에 레바(940)의 고정돌기(941)는 항상 삽입부재(920)의 고정홈(923)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하부캡(950)은 삽입부재(920)의 하면부(925)를 수용하도록 제2안착면(951)을 갖는다.
제2안착면(951) 상부에는 앞서 언급한 삽입부재(920)에 형성된 제1돌기(921)와 같은 형상의 제2돌기(952)가 형성된다.
제2돌기(952)는 삽입부재(920)의 하면부(925)에 형성된 홈(미도시)에서 고정된다.
플랜지부(953)는 제2안착면(951)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직경이 베이스부(930)의 수용홀 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하부캡(950)은 삽입부재(920)가 설치된 상부캡(910)과 나사(960)로 체결되어, 상부캡(910)이 베이스부(930)에서 회동은 가능하되 이탈은 되지 않도록 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회전부(900)를 회전하는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레바(940)의 손잡이(942)를 아래로 누르면, 핀(931)을 중심으로 레바(940)가 회전하면서 고정돌기(941)는 고정홈(923)에서 이탈되면서 회전부(900)가 회전할 수 있다.
회전부(900)가 회전한 상태에서 레바(940)의 손잡이(942)를 놓게되면 레바(940)는 스프링(944)에 의해 핀(931)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고정돌기(941)는 고정홈(923)에 끼워지게 된다.
고정돌기(941)가 고정홈(923)에 체결됨으로써 회전부(900)는 회전을 할 수 없도록 고정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그 목적과 기술적인 사상에 비추어 볼 때 본 고안의 실시예의 장착물은 태블릿PC, 스마트폰, 기타 휴대폰, 카메라, 수액병(링거)등이 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고안으로부터 용이하게 창작할 수 있는 정도의 기술 수준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예속되는 것임은 자명한 것으로 본 고안으로부터 상업적인 설계변경의 수준, 모양의 변화, 재질의 변화, 부품의 숫자 증감, 색상의 변화 등 본 고안의 기술과 균등범위에 있거나 하위개념에 속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일일이 언급하지 않음을 부언한다.
100 : 제1지지부 150 : 연결부
153 : 연장부 154 : 접이부
157 : 호스걸이 200 : 제2지지부
210 : 제1밴드홀 220 : 제2밴드홀
401 : 제2끼움부 403 : 제1끼움부
405 : 버튼부 740 : 탈착홈
741 : 탈착판 750 : 커넥터
751 : 제1연결밴드 752 : 제2연결밴드
753 : 제3연결밴드 800 : 완충부
900 : 회전부

Claims (3)

  1. 측면으로 연장되는 연결부를 형성하면서 견봉에 접촉하는 오목부가 형성된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에서 연장되어 극상근에 올려지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지지부에는 밴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의 단부에는 걸이대가 설치되는 회전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접이부와;
    상기 접이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지지부에 지지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구.
KR2020120008936U 2011-10-07 2012-10-05 걸이구 KR20140002122U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280039559.4A CN103781503B (zh) 2011-10-07 2012-10-05 具有符合体型的构造的挂肩式多用途挂架
KR2020120008936U KR20140002122U (ko) 2012-10-05 2012-10-05 걸이구
JP2014534480A JP2014528320A (ja) 2011-10-07 2012-10-05 体形に合わせた構造を有する肩掛け式多用途掛け具
US14/239,148 US9427516B2 (en) 2011-10-07 2012-10-05 Shoulder-mounted multifunctional hanging device having a body-fitting structure
PCT/KR2012/008081 WO2013051887A2 (ko) 2011-10-07 2012-10-05 체형 맞춤 구조를 갖는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
DE112012004157.7T DE112012004157T5 (de) 2011-10-07 2012-10-05 Schultergetragene multifunktionale Hängevorrichtung mit Körperpassstruktu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936U KR20140002122U (ko) 2012-10-05 2012-10-05 걸이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122U true KR20140002122U (ko) 2014-04-15

Family

ID=52442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8936U KR20140002122U (ko) 2011-10-07 2012-10-05 걸이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2122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3946B2 (en) Powered portable handle remote for smartphone
JP2018038057A (ja) 電子眼鏡システム
US9427516B2 (en) Shoulder-mounted multifunctional hanging device having a body-fitting structure
KR200479777Y1 (ko) 셀프 촬영용 스마트폰 거치대
CN205812093U (zh) 一种硅胶手机套壳
KR101148110B1 (ko) 체형 맞춤 구조를 갖는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
KR20140002122U (ko) 걸이구
KR200464961Y1 (ko) 다용도 걸이구
KR101787532B1 (ko) 노약자용 지팡이
CN107606448B (zh) 一种自拍装置
KR200479463Y1 (ko) 휴대 정보통신기기 거치대
CN208278647U (zh) 水杯放置装置
KR101308042B1 (ko) 레저용 스틱
CN202713381U (zh) 手机保护套
CN218457590U (zh) 一种球拍运动背包
KR101848208B1 (ko) 휴대형 링거대
CN201192497Y (zh) 头戴式自助输液装置
CN211751511U (zh) 电子镇痛泵随身固定绑带
CN207167956U (zh) 一种手机支架挂绳扣
CN211509098U (zh) 手机支架
CN211959290U (zh) 手机伸缩支架
CN206835180U (zh) 手机平视装置
CN209448779U (zh) 一种带固定环扣的背带式便携移动设备支架
CN110120998A (zh) 一种手机帽
CN205053530U (zh) 一种便于照人的背面的穿衣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