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1514Y1 - 휴대폰 충전기 - Google Patents

휴대폰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1514Y1
KR200431514Y1 KR2020060022258U KR20060022258U KR200431514Y1 KR 200431514 Y1 KR200431514 Y1 KR 200431514Y1 KR 2020060022258 U KR2020060022258 U KR 2020060022258U KR 20060022258 U KR20060022258 U KR 20060022258U KR 200431514 Y1 KR200431514 Y1 KR 2004315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obile phone
charging
phone charger
char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22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찬희
이정관
김석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모텍
Priority to KR20200600222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15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15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151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여러 종류의 휴대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휴대폰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형성된 배터리 거치부, 상기 배터리 거치부의 일단부에 구비되고 충전단자의 위치가 가변되는 충전부, 상기 배터리 거치부의 일정부분에 구비되고 배터리를 고정시키는 배터리 고정부, 상기 배터리 거치부의 하면에 구비되고 배터리를 상기 배터리 거치부로부터 지지하는 배터리 지지부, 및 상기 충전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 고정부에는 미끄럼방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 지지부에는 메모리폼을 구비함으로써, 휴대폰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 거치부의 밀착력을 극대화 하였다.
휴대폰 충전기, 휴대폰 배터리, 다기종, 위치조정기, TC커넥터

Description

휴대폰 충전기{MOBILE PHONE CHARG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의 충전부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의 사용 상태도.
본 고안에 따른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케이스 200:거치부
300:충전부 400:배터리고정부
500:배터리지지부 600:전원부
610;플러그 620:충전포트
630:USB포트 640:보충전지삽입구
310:충전대 320:가이드 홈
330:충전단자 340:위치조정기
본 고안은 휴대폰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휴대폰 배터리를 하나의 충전기로 충전 가능한 휴대폰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휴대폰 충전기는 휴대폰 기종에 따라 크기와 모양이 다양하고 형태와 구조가 각각 달랐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새로운 휴대폰을 구입할 때 기존의 충전기는 필요가 없게 되어 사용자 개인의 경제적 손실뿐만 아니라 국가적으로도 큰 손실을 주고 있다.
또한 휴대폰 사용자는 자신의 휴대폰 기종에 맞는 충전기를 가정이나 직장에 비치하고서 충전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여행용 충전기(TC)로 휴대폰을 충전할 수 있다 하더라도 스페어 배터리만을 따로 충전할 수 없으므로, 여행용 충전기로 충전할 때는 따로 휴대폰을 소지하여 이동할 수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나의 휴대폰 충전기로 어떤 휴대폰 배터리라도 충전할 수 있는 휴대폰 충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다양한 형태의 전원공급 포트를 제공하여 사용 장소에 따라 충전이 용이한 휴대폰 충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베터리 거치부에는 미끄럼 방지 수단을 구비하여 휴대폰 배터리와의 밀착력을 극대화 하는 휴대폰 충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휴대폰 충전기에 있어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형성된 배터리 거치부, 상기 배터리 거치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충전단자의 위치가 가변되는 충전부, 상기 배터리 거치부의 일정부분에 구비되고 배터리를 고정시키는 배터리 고정부, 상기 배터리 거치부의 하면에 구비되고 배터리를 상기 배터리 거치부로부터 지지하는 배터리 지지부 및 상기 충전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지지부는 메모리폼으로 되어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고정부는 스프링을 이용하여 힌지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클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클립이 배터리를 누르는 부분은 미끄럼 방지 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미끄럼 방지 부재는 상기 클립에 실리콘 코팅이 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충전기는 상기 케이스 일정부분에 여행용 충전기 커넥터가 연결되는 충전포트, USB케이블로 전원을 공급받는 USB포트, 및 건전지로 전원을 공급받는 보충전지 삽입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상기 케이스상에 스프링을 이용하 여 힌지결합하는 충전대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대는 상기 힌지결합 축을 중심으로 탄력적으로 일정각도 회동하여 배터리에 밀착되도록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상기 충전부의 일정부분에 형성된 가이드홈,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충전단자, 및 상기 충전단자의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조정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위치조정기는 조정 다이얼, 상기 조정 다이얼에 결합하는 랙기어 및 상기 랙기어의 상부 및 하부에 맞물리는 두개의 피니언기어들을 구비하여, 상기 피니언기어 상에 충전단자를 각각 결합하여 상기 조정 다이얼을 돌릴 때 상기 충전단자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의 사용 상태도 이다.
도 1과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는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의 형성된 상부에 배터리 거치부(200), 상기 배터리 거치부(200)의 하부에 구비되고 충전단자(310)의 위치가 가변되는 충전부(300), 상기 배터리 거치부(200)의 일정부분에 구비되고 배터리(10)를 고정시키는 배터리 고정부(400), 상기 배터리 거치부(200)의 하면에 구비되고 배터리(10)를 상기 배터리 거치부(200)로부터 지지하는 배터리 지지부(500) 및 상기 충저부(3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600)로 구성되어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케이스(100)는 휴대폰 배터리(10)가 거치 가능하고 충전부(300)와 배터리 고정부(400)를 구비할 수 있도록 적당한 크기로 제작한다.
상기 배터리 거치부(200)는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에 휴대폰 배터리(10)가 거치될 수 있도록 적당한 깊이로 함몰시켜 제작한다.
상기 충전부(300)는 거치부(200)의 하부에 스프링을 이용하여 힌지결합하는 충전대(310)를 구비하고 상기 충전대(310)는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상하로 회동한다.
따라서 휴대폰 베터리(10)에 충전단자(310)를 확실히 밀착시킬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고정부(400)는 상기 배터리 거치부(200)의 상부에 스프링을 이용하여 힌지 결합하는 클립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클립이 휴대폰 배터리(10)을 누르는 부분은 미끄럼 방지부재(410)가 구비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410)는 실리콘 코팅으로 되어 있어 휴대폰 배터리(10)를 거치 하였을 때 마찰력에 의해 휴대폰 배터리(10)가 움직이지 않도록 단단히 눌러준다.
또한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410)는 요철, 돌기 등을 구비할 수 있고 미끄럼 방지코팅을 할 수도 있다.
상기 배터리 지지부(500)는 상기 배터리 거치부(200)의 하면에 구비되어 휴대폰 배터리(10)를 지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여러 종류의 배터리 형태가 잘 밀착되도록 메모리폼을 구비하여 밀착력을 극대화 시킨다.
상기 전원부(600)는 교류 전원을 입력할 수 있는 플러그(610), 여행용 충전기 커넥터(TC 커넥터)로 충전하는 충전포트(620), 건전지를 삽입하여 충전할 수 있는 보충전지 삽입구(640), USB케이블을 연결하여 충전할 수 있는 USB포트(630)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전원 콘센트나 컴퓨터가 있는 곳이면 어디서나 충전이 가능하고 또한 콘센트나 컴퓨터가 없더라도 건전지로 충전이 가능하므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충전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의 충전부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충전부(300)은 충전대(310)를 구비하여 이루어져있고, 상기 충전대(310)에는 가이드홈(320), 충전단자(330) 및 위치조정기(340)가 구비되어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충전대(310)은 케이스 상에 스프링을 이용하여 힌지결합하여 배터리 거치부(200) 쪽으로 탄력적으로 회동가능하다.
또한 하부에는 충전단자(330)가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홈(320)을 구비하고, 상부에는 조정다이얼(341)을 수용할수 있는 홈이 있다.
상기 가이드홈(320)은 충전단자(330)들을 충전대(310) 외부로 돌출시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적당한 크기로 제작한다.
상기 충전단자(330)들은 음극과 양극의 두개로 이루어지고, 케이스(100)내부의 정류회로(미도시)와 연결된다.
또한 충전대(310)내부의 2개의 피니언기어(343)들과 각각 결합하여 상기 가 이드홈(320)을 따라 이동이 가능한다.
상기 위치조정기(430)는 상기 충전대(3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조정다이얼(341), 랙기어(342), 피니언기어(343)들로 구성된다.
상기 조정다이얼(341)은 수직으로 축을 결합되어있고 축의 타단에는 랙기어(342)을 구비하여 다이얼을 돌리면 상기 랙기어(342)가 함께 돌아갈 수 있도록 하며, 충전대(310)의 상부로 일정높이 돌출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조작할 수 있다.
상기 랙기어(342)는 상부와 하부에 2개의 피니언기어(343)들을 각각 맞물려 상기 조정다이얼(341)을 돌릴때 상기 피니언기어(343)들에 각각 결합된 충전단자(330)들이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진다.
따라서 휴대폰 기종에 따라 상기 충전단자(330)를 적당하게 위치시켜 충전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구성 및 동작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휴대폰 배터리를 충전할 때 배터리가 거치부에 완전히 밀착되어 고정이 용이하다.
또한 전원 콘센트, 컴퓨터 USB케이블, 여행용충전기로 충전이 가능하고 전원이 없는 곳이라도 건전지로 충전이 가능하므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충전이 가능 하다.
또한 휴대폰 기종에 관계없이 충전단자를 적당하게 위치시켜 충전할 수 있으므로, 새로운 휴대폰을 구입하더라도 휴대폰 충전기는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8)

  1. 휴대폰 충전기에 있어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형성된 배터리 거치부;
    상기 배터리 거치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충전단자의 위치가 가변되는 충전부;
    상기 배터리 거치부의 일정부분에 구비되고 배터리를 고정시키는 배터리 고정부;
    상기 배터리 거치부의 하면에 구비되고 배터리를 상기 배터리 거치부로부터 지지하는 배터리 지지부;
    상기 충전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지지부는 메모리폼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고정부는 스프링을 이용하여 힌지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클립으 로 이루어지고 상기 클립이 배터리를 누르는 부분은 미끄럼 방지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 부재는 상기 클립에 실리콘 코팅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기.
  5. 제 1 항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충전기는:
    상기 케이스 일정부분에 여행용 충전기 커넥터가 연결되는 충전포트;
    USB케이블로 전원을 공급받는 USB포트: 및
    건전지로 전원을 공급받는 보충전지 삽입구;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상기 케이스상에 스프링을 이용하여 힌지결합하는 충전대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대는 상기 힌지결합 축을 중심으로 탄력적으로 일정각도 회동하여 배터리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상기 충전부의 일정부분에 형성된 가이드홈;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충전단자; 및
    상기 충전단자의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조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정기는:
    조정 다이얼;
    상기 조정 다이얼에 결합하는 랙기어; 및
    상기 랙기어의 상부 및 하부에 맞물리는 두개의 피니언기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피니언기어 상에 충전단자를 각각 결합하여 상기 조정 다이얼을 돌릴 때 상기 충전단자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기.
KR2020060022258U 2006-08-19 2006-08-19 휴대폰 충전기 KR2004315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258U KR200431514Y1 (ko) 2006-08-19 2006-08-19 휴대폰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258U KR200431514Y1 (ko) 2006-08-19 2006-08-19 휴대폰 충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1514Y1 true KR200431514Y1 (ko) 2006-11-23

Family

ID=41779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2258U KR200431514Y1 (ko) 2006-08-19 2006-08-19 휴대폰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1514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279Y1 (ko) 2008-12-11 2010-09-16 김윤오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
KR101101062B1 (ko) 2010-08-19 2011-12-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충방전 장치
KR101177630B1 (ko) * 2010-09-06 2012-08-27 봉민 휴대폰 배터리를 이용한 랜턴 및 후레쉬용 충전식 전원공급장치
KR101435678B1 (ko) 2007-08-24 2014-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충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KR101561069B1 (ko) * 2015-02-09 2015-10-22 주식회사 에이블유 보조 배터리 겸용 충전 거치대
KR101561050B1 (ko) * 2015-01-27 2015-10-26 주식회사 에이블유 보조 배터리 겸용 충전 거치대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678B1 (ko) 2007-08-24 2014-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충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KR200450279Y1 (ko) 2008-12-11 2010-09-16 김윤오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
KR101101062B1 (ko) 2010-08-19 2011-12-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충방전 장치
CN102377219A (zh) * 2010-08-19 2012-03-14 三星Sdi株式会社 用于充电和放电的装置
US8939441B2 (en) 2010-08-19 2015-01-27 Samsung Sdi Co., Ltd. Apparatus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KR101177630B1 (ko) * 2010-09-06 2012-08-27 봉민 휴대폰 배터리를 이용한 랜턴 및 후레쉬용 충전식 전원공급장치
KR101561050B1 (ko) * 2015-01-27 2015-10-26 주식회사 에이블유 보조 배터리 겸용 충전 거치대
KR101561069B1 (ko) * 2015-02-09 2015-10-22 주식회사 에이블유 보조 배터리 겸용 충전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1514Y1 (ko) 휴대폰 충전기
CN102738838B (zh) 可旋转角度的充电座
US6821670B2 (en) Mobile phone battery
US20120196658A1 (en)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with Exchangeable Battery Cell
JP3160283U (ja) ブルートゥースヘッドセット及び充電ホルダーの組み合わせ装置
KR101437948B1 (ko) 축전지가 구비된 휴대용 충전기
CN102530399A (zh) 有效隔间化的多功能盒
KR200469096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
CN103855763B (zh) 底座和平板电脑
US20090072786A1 (en) Cradle for differently sized portable electronic devices
CN103166287B (zh) 移动电子终端设备的底座
US20210226459A1 (en) Wireless charger device
CN212162937U (zh) 充电座
KR200483292Y1 (ko) 콘센트 겸용 모바일기기 무선 충전장치
US8076902B2 (en) Charger
US20060244417A1 (en) Battery
CN212098682U (zh) 一种具有移动电源的车载支架装置
CN219393945U (zh) 多功能拖线板
CN210196076U (zh) 具有充电功能的风扇底座
CN219419741U (zh) 兼具手机支架功能的插线板
KR200200187Y1 (ko) 탁상 및 여행 겸용 핸드폰 충전기
KR200431515Y1 (ko) 착탈식 건전지 케이스를 갖는 휴대폰 충전기
CN214205103U (zh) 电子设备支架及无线充电装置
CN206353810U (zh) 一种多功能手机保护套
CN2174783Y (zh) 改良电源接点的蓄电池充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