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5678B1 - 배터리 충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 Google Patents

배터리 충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5678B1
KR101435678B1 KR1020070085782A KR20070085782A KR101435678B1 KR 101435678 B1 KR101435678 B1 KR 101435678B1 KR 1020070085782 A KR1020070085782 A KR 1020070085782A KR 20070085782 A KR20070085782 A KR 20070085782A KR 101435678 B1 KR101435678 B1 KR 101435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leaf spring
holding device
charging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5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1047A (ko
Inventor
박재용
김용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5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5678B1/ko
Priority to US12/194,852 priority patent/US8174236B2/en
Priority to CN2008102133182A priority patent/CN101373852B/zh
Publication of KR20090021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1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5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5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두께 및 형상을 갖는 배터리에 체결되어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배터리 충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배터리 충전장치에 있어서,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는 전원 단자부와, 상기 배터리의 전원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는 충전 단자부와, 상기 충전 단자부가 상기 배터리의 전원 단자에 접촉시 상기 배터리의 양 측면에 고정되는 홀딩 장치를 포함하며, 이로 인해,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배터리 전용 케이스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며, 배터리의 크기나 형태가 달라져도 충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배터리, 충전기,홀딩 장치, 고정부

Description

배터리 충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BATTERY CHARGING DEVICE AND BATTERY WITH THE SAME}
본 발명은 배터리 충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기와 배터리의 전원단자에 연결되어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배터리 충전장치를 구비하여 다양한 두께 및 형상을 갖는 배터리에 체결될 수 있게 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한 배터리 충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자 기기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전자 기기에 맞는 전원을 공급해 주어야 한다.
특히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다양한 컨텐츠를 접하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 엠피 쓰리 플레이어(mp3 player), 피엠피(PMP)등의 휴대용 전자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구비되고 있다.
이러한 배터리는 휴대용 전자 기기에 결합되는 방식에 따라 슬라이딩(sliding) 방식과, 락킹(locking) 방식으로 구분된다.
또한, 최근 휴대용 전자 기기의 슬림화 소형화 등의 추세에 따라 공간 활용성의 장점을 갖도록 휴대용 전자 기기 하우징의 배터리 수납부에 배터리 전부가 수용되는 이른바 내장형 방식이 주로 이용된다.
이러한 배터리의 사용에 따라 배터리가 방전되었을 경우, 배터리를 휴대용 전자 기기의 배터리 수납부로부터 분리하여 충전기를 통해 재충전하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전자 기기에서 분리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자기기에서 분리된 방전된 배터리(10)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배터리 전용 케이스(20)가 구비된다.
배터리 전용 케이스는 케이스(21)와 커버(22)로 구성되고, 케이스(21)는 배터리(10)를 삽입시킴과 아울러 충전기 연결단자(31)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소켓(23)을 갖으며, 커버(22)는 배터리(10)를 삽입시키는 상기 케이스(21)의 일측면을 커버하도록 구성된다.
방전된 배터리(10)를 충전하기 위해서, 전자기기에서 배터리(10)를 분리한다.
배터리(10)의 충전단자(11)를 케이스(21)의 연결 소켓(23)과 맞물리도록 배터리(10)를 케이스(21)의 일측을 통해 케이스(21) 내측으로 삽입한다.
배터리(10)를 케이스(21)의 일측을 통해 삽입한 후, 배터리(10)를 삽입시킨 케이스(21)의 일측을 커버(22)로 커버하여 배터리(10)를 배터리 전용 케이스(20)의 내측에 삽입시켜 밀폐한다.
이 상태에서 충전기(30)의 연결단자(31)를 케이스(21)에 구비된 연결 소켓(23)에 맞물리게 하여 케이스(21)에 전기적으로 장착시킨다.
이로 인해, 배터리(10)는 케이스(21)의 연결 소켓(23)을 통해 충전기(3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연결되어 재충전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배터리(10)는 전자 기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량에 따라 배터리(10)의 크기를 대용량이나 일반용량 또는 소용량 등으로 구분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에서와 같이, 배터리(10)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그 크기에 맞는 배터리 전용 케이스(20)가 각각 필요하게 되고, 배터리(10)의 크기나 형태가 달라지면, 배터리에 맞는 배터리 전용 케이스(20)가 없이는 배터리(10)를 충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배터리의 충전시 배터리 전용 케이스가 없어도 배터리를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도록 한 배터리 충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배터리의 모양이나 형태 또는 크기에 상관없이 다양한 형상의 배터리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한 배터리 충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배터리 충전장치를 구비할 수 있도록 하는 배터리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배터리 충전장치에 있어서,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는 전원 단자부;
상기 배터리의 전원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는 충전 단자부; 및
상기 충전 단자부가 상기 배터리의 전원 단자에 접촉시 상기 배터리의 양측면에 고정되는 홀딩 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딩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판 스프링들은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를 결합시 상하 방향으로 탄성되어 상기 배터리를 홀딩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 스프링의 내측면은 상기 홀딩 장치의 끝단에서 서로 대향한 내측면 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를 체결함과 아울러 상기 배터리의 형상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탄성되어 상기 배터리를 홀딩하게 탄성 플레이트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배터리에 체결시 상기 배터리의 양단에 접하여 서로 대향한 방향의 역방향으로 밀어 올려짐과 아울러 상기 배터리 측으로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배터리를 상기 홀딩 장치에 맞물리게 잡아주며, 상기 홀딩 장치를 가이드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 스프링에는 상기 배터리의 착탈시 상기 배터리를 구속시키거나 구속을 해제하는 락킹 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락킹 부는 상기 판 스프링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의 양단에는 상기 락킹 부를 착탈시키는 고정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 스프링에는 상기 고정부에 체결된 상기 락킹 부를 이탈시키게 이탈장치가 상기 판 스프링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 상기 락킹 부를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판 스프링에 힘을 가하면, 상기 이탈 장치가 상기 배터리에 접촉됨과 아울러 상기 판 스프링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락킹 부를 상기 고정부에서 이탈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락킹 부를 구속시키거나 구속을 해제하게 홈 또는 돌기 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홀딩 부재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홀딩 장치는 상기 본체 하우징에 돌출형성됨과 아울러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에 상기 배터리를 결합시 상,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배터리를 맞물려 구속시키거나 이탈시 구속을 해제시키는 락킹 부재와,
상기 락킹 부재와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락킹 부재를 상,하부로 이동가능하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락킹 부재는 상기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대향하는 방향으로 마주보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의 결합시 상, 하부로 이동되는 돌출 돌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터리에는 상기 돌출 돌기를 삽입하게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 상기 탄성 돌기가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충전 단자부는 상기 배터리 전원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 부재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락킹 부에 구속되거나 구속을 해제하게 홈 또는 돌기 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딩 장치는 말단에 고무재질이 부착된 집게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는 배터리에 있어서,
전지 셀이 내장되는 판상형 배터리 몸체;
상기 배터리 몸체의 두께 면에 부착된 충전용 배터리의 전원단자; 및
상기 전원단자의 부착 면의 양측 면에 한 쌍으로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에는 배터리 충전장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배터리 몸체에서 돌출형성되고, 상기 배터리 충전장치를 구속시키거나 구속을 해제하는 돌기 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장치는 다양한 두께 및 형상을 갖는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배터리 충전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배터리 전용 케이스를 구비하지 않아도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홀딩 장치로 인해 배터리의 두께나 형상에 관계없이 배터리에 체결될 수 있으므로, 배터리의 충전을 용이하게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터리 충전장치는 배터리의 충전단자와 충전기의 연결단자를 연결해 주는 장치로서, 그 크기가 소형화되어 휴대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배터리 충전장치를 전자 기기의 액세서리 등으로 휴대할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충전장치(100)는 전원 단자부(112)와, 충전 단자부(111) 및 홀딩 장치(120)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전원 단자부(111)는 전원(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충전 단자부(111)는 상기 배터리(10)의 전원 단자(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홀딩 장치(120)는 상기 충전 단자부(111)가 상기 배터리(10)의 전원 단자(11)에 접촉시 상기 배터리(10)의 양 측면에 고정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도 3, 도 5,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딩 장치(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 스프링(120)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판 스프링(120)들은 상기 배터리(10)를 결합시 상하 방향으로 탄성되어 상기 배터리(10)를 홀딩하도록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어 있다.
도 3, 도 5,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 스프링(120)의 내측면은 탄성 플레이트(121)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탄성 플레이트(121)는 상기 배터리(10)를 체결함과 아울러 상기 배터리(10)의 형상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탄성되어 상기 배터리(10)를 홀딩하도록 상기 홀딩 장치(120)의 끝단에서 서로 대향한 내측면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어 있다.
도 3, 도 5,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 스프링(120)은 상기 배터리(10)에 체결시 상기 배터리(10)의 양단에 접하여 서로 대향한 방향의 역방향 으로 밀어 올려짐과 아울러 상기 배터리(10) 측으로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배터리(10)를 상기 홀딩 장치(120)에 맞물리게 잡아주며, 상기 홀딩 장치(120)를 가이드 하도록 구비되어 진다.
도 3,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 스프링(120)에는 락킹 부(12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락킹 부(122)는 상기 배터리(10)의 착탈시 상기 배터리(10)를 구속시키거나 구속을 해제하도록 상기 판 스프링(120)에 구비되어 진다.
도 2, 도 3,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락킹 부(122)는 상기 판 스프링(122)에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터리(10)의 양단에는 상기 락킹 부(122)를 착탈시키도록 고정부(200)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 스프링(120)에는 이탈 장치(123)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이탈 장치(123)는 상기 고정부(200)에 체결된 상기 락킹 부(122)를 이탈시키도록 상기 판 스프링(12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200)에 상기 락킹 부(122)를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판 스프링(120)에 힘을 가하면, 상기 이탈 장치(123)가 상기 배터리(10)에 접촉됨과 아울러 상기 판 스프링(12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락킹 부(122)를 상기 고정부(200)에서 이탈시키도록 구비되어 진다.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200)는 홈(200) 또는 돌기 부(200a)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충전 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10)를 충전하기 위해서, 상기 배터리 충전장치(100)의 본체(110)를 상기 전원(30)과 연결되어 충전되도록 상기 배터리 충전장치(100)를 상기 배터리(10)에 체결시킨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에 돌출 형성된 상기 판 스프링(120) 사이로 상기 배터리(10)의 상기 충전단자(11)와 상기 본체(110)의 상기 전원 단자(111)가 서로 접촉될 수 있게 상기 홀딩 장치(120)를 집입시킨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 스프링(120) 사이로 상기 배터리(10)가 결합되도록 상기 판 스프링(120)을 상기 배터리(10)에 끼워준다.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 스프링(120)이 상기 배터리(10)에 끼워지면, 상기 배터리(10)의 양단은 상기 판 스프링(120)의 내측면에 접하면서 상기 판 스프링(120)을 밀게 된다.
상기 배터리(10) 양단의 미는 힘에 의해 상기 판 스프링(120)의 내측은 상, 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밀려 이동된다.
이로 인해, 마주 보게 형성된 상기 판 스프링(120)들 사이 공간은 상기 배터리(10)가 삽입가능하도록 상기 배터리(10) 양단의 크기만큼 벌어진다.
또한, 상기 판 스프링(120)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져 상기 배터 리(10)에 끼워진 후에는, 상기 락킹 부(122)가 상기 배터리(10)에 접하면서 상기 배터리(10)의 전원 단자(11)와 상기 충전 단자부(111)가 접촉되도록 가이드 이동된다.
또한, 상기 배터리(10)의 결합시 상기 판 스프링(121)은 탄성적으로 상기 배터리(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림으로써, 탄성력에 의해 상기 배터리(10)는 상기 판 스프링(120) 사이에 홀딩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락킹 부(122)가 상기 홈(200)에 위치되면, 탄성력으로 인해 상기 락킹 부(122)가 상기 홈(200)으로 순간적으로 삽입된다.
이로 인해 상기 홀딩 장치(120)가 상기 배터리(10)에 체결됨과 아울러 클릭감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락킹 부(122)가 상기 홈(200)에 체결됨과 아울러 상기 충전 단자부(111)는 상기 배터리(10)의 전원 단자(11)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배터리 충전장치(100)에서 상기 충전 단자부(111)와 이웃하게 위치된 상기 전원 단자부(112)에 상기 충전기(30)의 상기 연결단자(31)를 삽입시키면, 상기 배터리(10)는 상기 배터리 충전장치(100)로 인해 충전된다.
상기 배터리(10)를 충전시키고 난 후, 상기 배터리 충전장치(100)를 상기 배터리(10)에서 분리하기 위해서 도 8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상기 판 스프링(120)의 양단의 외측에서 상기 배터리(10) 양측으로 힘을 가한다.
상기 판 스프링(120)의 외측에서 상기 배터리(10) 측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상기 판 스프링(120)의 서로 대향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상기 이탈장치(123)가 상기 배터리(10)에 각각 접하게 된다.
상기 이탈장치(123)가 상기 배터리(10)에 접하면서, 지렛대의 원리나 시소의 원리처럼 상기 이탈장치(123)를 중심으로 상기 락킹 부(122)를 각각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홈(200)에서 상기 락킹 부(122)를 이탈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 몸체(110)를 상기 배터리(10)에 체결시켰던 방향과 반대로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홀딩 장치(120)는 상기 배터리(10)에서 분리된다.
만약, 상기 배터리(10)의 크기가 변하여 상기 홀딩 장치(120) 사이로 체결되는 상기 배터리(10)의 양단의 두께가 변하게 되면, 상기 판 스프링(120)은 상기 배터리(10)를 삽입시킬 수 있는 두께만큼 각각 탄성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판 스프링(120)이 상기 배터리(10)의 두께나 형상에 따라 상기 판 스프링(120)의 마주보는 사이의 공간을 변화시킴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상기 배터리(10)를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배터리 충전장치(100)를 체결시 상기 홈(200)에 착탈되는 상기 락킹 부(122)로 인해 사용자에게 클릭감을 제공함은 물론, 체결되는 위치로 이동되게 가이드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200a)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고정 부(200a)가 돌기 부(200a)로 이루어진다.
이로 인한 상기 배터리 충전 장치(100)의 동작을 살펴본다.
상기 배터리(10)에 상기 배터리 충전장치(100)가 장착되도록 상기 홀딩 장치(120)를 상기 배터리로 홀딩시킨다.
상기 판 스프링(120)은 상기 돌기부(200a)에 의해 상하로 탄성적으로 밀리고, 상기 배터리(10)가 삽입가능하도록 상기 배터리(10) 양단의 크기만큼 벌어진다.
또한, 상기 판 스프링(120)이 상기 돌기 부(200a)에 의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지고, 상기 돌기 부(200a)는 상기 락킹 부(122)와 상기 본체(110)의 일면 사이로 유입된다.
이로 이해, 상기 돌기 부(200a)에 의해 상기 락킹 부(122)가 걸려 구속되게 고, 상기 배터리(10)는 상기 판 스프링(120) 사이에 홀딩된다.
전원을 상기 본체(100)의 상기 전원 단자부(112)에 연결시켜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배터리(10)를 충전시키고 난 후, 상기 배터리 충전장치(100)를 상기 배터리(10)에서 분리하기 위해서 상기 판 스프링(120)의 양단의 외측에서 상기 배터리(10) 양측으로 힘을 가하면서 상기 본체(110)를 체결 방향의 역방향으로 당긴다.
이로 인해, 상기 이탈장치(123)가 상기 배터리(10)에 접함과 아울러 상기 락킹 부(122)가 상기 돌기부(200a)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 몸체(110)를 상기 배터리(10)에 체결시켰던 방향과 반대로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홀딩 장치(120)는 상기 배터리(10)에서 분리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배터리 충전장치(100)에서 상기 판 스프링(120)이 상기 배터리(10)의 두께나 형상에 따라 상기 판 스프링(120)의 마주보는 사이의 공간을 변화시킴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상기 배터리(10)를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장치에서 홀딩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충전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9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충전장치(300)의 상기 홀딩 장치(320)는 한 쌍의 플레이트(321)와, 락킹 부재(322)와 탄성 부재(32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321)는 상기 본체(310)에 돌출형성됨과 아울러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락킹 부재(322)는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321)에 상기 배터리(10)를 결합시 상,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배터리(10)를 맞물려 구속시키거나 이탈시 구속을 해제시키도록 상기 플레이트(321)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 부재(323)는 상기 락킹 부재(322)를 상,하부로 이동가능하게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락킹 부재(322)와 상기 플레이트(321) 사이에 구비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락킹 부재(322)는 돌출 돌기(322)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돌출 돌기(322)는 상기 배터리(10)의 결합시 상, 하부로 이동되도록 상기 플레이트(321)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대향하는 방향으로 마주보게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도 9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10)에는 상기 돌출 돌기(322)를 삽입하도록 홈(20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200)에 상기 돌출 돌기(322)가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충전단자부(311)는 상기 배터리(10)의 전원 단자(1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탄성 부재(323)는 코일 스프링(323)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상기 홀딩 장치(320)를 상기 배터리(10)에 체결시키면, 상기 배터리(10)의 양단은 상기 돌출 돌기(322)에 접함과 아울러 상기 돌출 돌기(322) 들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주게 된다.
상기 돌출 돌기(322)를 밀어올리는 힘에 의해 상기 돌출 돌기(322)와 상기 플레이트(321)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코일 스프링(323)이 압축되고, 상기 돌출 돌기(322)는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코일 스프링(323)의 압축에 의해 상기 돌출 돌기(322)에서 상기 배터리(10) 측으로 탄성력이 작용 된다.
그러므로 상기 배터리(10)는 상기 홀딩 장치(320) 사이로 진입되되 상기 돌출 돌기(322)에 물려서 상기 홀딩 장치(320)로 진입된다.
상기 돌출 돌기(322)가 상기 홈(200)의 상단에 위치되면, 압축된 상기 코일 스프링(32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돌출 돌기(322)는 상기 홈(200)에 끼워지게 된다.
상기 돌출 돌기(322)는 상기 홈(200)에 끼워짐과 아울러 상기 배터리 몸 체(310)의 접촉단자(311)는 상기 배터리(10)의 충전단자(11)와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또한, 상기 배터리 충전장치(300)를 분리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 하우징(320)으로 체결되던 방향과 역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돌출 돌기(322)는 상기 락킹 홈(200)에 접하면서 상기 돌출 돌기(322)를 밀어주게 된다.
상기 돌출 돌기(322)의 미는 힘에 의해, 상기 코일 스프링(323)은 압축되고, 상기 돌출 돌기(322) 사이가 벌어지면서 상기 배터리(10)가 분리된다.
상기 돌출 돌기(322) 사이의 공간이 상기 배터리(10)의 크기 또는 형태에 맞추어 탄성적으로 변화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상기 배터리(10)를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배터리 충전장치(100)를 체결시 상기 락킹 홈(200)에 착탈되는 상기 돌출돌기(322) 로 인해 사용자에게 클릭감을 제공함은 물론, 체결되는 위치 또한 맞추게 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의 배터리 충전장치를 구비하는 배터리를 첨부된 도 10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배터리(20)는 배터리 몸체(20)와, 충전용 배터리의 전원 단자(21)와 고정부(200a)와 배터리 충전장치(100)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배터리 몸체(20)는 전지 셀이 내장되는 판상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충전용 배터리(20)의 전원단자(21)는 상기 배터리 몸체(20)의 두께 면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200a)는 상기 전원 단자(11)의 부착 면의 양측 면에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터 리 충전 장치(100)는 상기 고정부(200a)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200a)는 락킹 홈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200a)는 상기 배터리 몸체(20)에서 돌출된 돌기 부(200a)로 이루어져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배터리 충전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홀딩 장치 사이의 거리를 고려하여 상기 홀딩 장치가 형성되는 상기 본체 하우징의 일면의 크기나 형상은 얼마든지 그 형태를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배터리 충전장치를 구속하거나 구속을 해제시키는 상기 고정부는 돌출부 또는 홈 중 어느 것으로도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락킹 부를 걸리게 하여 상기 배터리 충전 장치를 구속시키거나 구속을 해제하도록 하는 모든 형태가 가능하다.
또한, 모든 전자 기기에 홀딩되는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배터리 전용 케이스에 배터리를 구비하여 충전되는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에서 홀딩 장치가 돌출 형성된 연결전환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에서 충전기 연결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장치에서 배터리 충전장치의 측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장치에서 배터리 충전장치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에서 배터리 충전장치가 배터리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에서 배터리에 배터리 충전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장치에서 홀딩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측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고정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측 단면도.

Claims (16)

  1. 배터리 충전장치에 있어서,
    충전장치의 본체;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는 전원 단자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배터리의 전원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는 충전 단자부; 및
    상기 본체의 일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충전 단자부의 주변으로 서로 대향하게 구비되고, 탄성적으로 가변되는 홀딩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단자부가 상기 배터리의 전원 단자에 접촉 시, 상기 홀딩 장치는 탄성적으로 가변되면서 상기 배터리의 양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홀딩 장치에는 상기 배터리의 착탈 시, 상기 배터리를 구속시키거나 구속을 해제하는 락킹 부가 구비되는 배터리 충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판 스프링들은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를 결합시 상하 방향으로 탄성되어 상기 배터리를 홀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의 내측면은 상기 홀딩 장치의 끝단에서 서로 대향한 내측면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를 체결함과 아울러 상기 배터리의 형상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탄성되어 상기 배터리를 홀딩하게 탄성 플레이트로 이루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배터리에 체결시 상기 배터리의 양단에 접하여 서로 대향한 방향의 역방향으로 밀어 올려짐과 아울러 상기 배터리 측으로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배터리를 상기 홀딩 장치에 맞물리게 잡아주며, 상기 홀딩 장치를 가이드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부는 서로 마주한 상기 판 스프링에 제공되는 배터리 충전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부는 상기 판 스프링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의 양단에는 상기 락킹 부를 착탈시키는 고정 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에는 상기 고정부에 체결된 상기 락킹 부를 이탈시키게 이탈장치가 상기 판 스프링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고정 부에 상기 락킹 부를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판 스프링에 힘을 가하면, 상기 이탈 장치가 상기 배터리에 접촉됨과 아울러 상기 판 스프링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락킹 부를 상기 고정 부에서 이탈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홈 또는 돌기 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장치는 상기 본체 하우징에 돌출형성됨과 아울러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에 상기 배터리를 결합시 상,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배터리를 맞물려 구속시키거나 이탈시 구속을 해제시키는 락킹 부재와,
    상기 락킹 부재와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락킹 부재를 상,하부로 이동가능하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부재는 상기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대향하는 방향으로 마주보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의 결합시 상, 하부로 이동되는 돌출 돌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에는 상기 돌출 돌기를 삽입하게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 상기 탄성 돌기가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충전 단자부는 상기 배터리 전원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홈 또는 돌기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장치.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장치는 말단에 고무재질이 부착된 집게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장치.
  15. 삭제
  16. 삭제
KR1020070085782A 2007-08-24 2007-08-24 배터리 충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KR101435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5782A KR101435678B1 (ko) 2007-08-24 2007-08-24 배터리 충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US12/194,852 US8174236B2 (en) 2007-08-24 2008-08-20 Battery charging device and battery with the same
CN2008102133182A CN101373852B (zh) 2007-08-24 2008-08-22 电池充电装置及具有该装置的电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5782A KR101435678B1 (ko) 2007-08-24 2007-08-24 배터리 충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047A KR20090021047A (ko) 2009-02-27
KR101435678B1 true KR101435678B1 (ko) 2014-09-01

Family

ID=40381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5782A KR101435678B1 (ko) 2007-08-24 2007-08-24 배터리 충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174236B2 (ko)
KR (1) KR101435678B1 (ko)
CN (1) CN1013738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93323B (zh) * 2009-12-23 2013-04-11 George Liu 可攜式充電設備
US9059591B2 (en) * 2011-08-30 2015-06-16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Docking station for inductively charg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9276421B2 (en) 2012-10-31 2016-03-01 Motorola Solutions, Inc. Portable rechargeable battery pack and external adapter for same
US9337667B2 (en) 2013-02-28 2016-05-10 Motorola Solutions, Inc. External adapter for battery pack used to power a portable device
USD779449S1 (en) * 2014-10-01 2017-0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820666B1 (ko) * 2016-01-27 2018-01-22 전승원 조명등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9744A (ja) * 1992-09-08 1994-03-29 Fujitsu Ltd 通信装置およびそれへの充電装置および充電形の電池
KR20050105066A (ko) * 2004-04-30 2005-11-03 윤성훈 핸즈프리 전화기
KR200431514Y1 (ko) 2006-08-19 2006-11-23 주식회사 다모텍 휴대폰 충전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6787A (en) * 1976-08-30 1978-02-28 General Motors Corporation Universal battery case having embossed intercell partitions and process for making same
JP2986059B2 (ja) * 1995-03-08 1999-12-06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バッテリ充電装置
TW538585B (en) * 2001-10-30 2003-06-21 Primax Electronics Ltd Power adapting device applied i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2646934Y (zh) 2003-09-11 2004-10-06 廖海东 多规格适用充电器
US7394221B2 (en) * 2003-12-24 2008-07-01 Vtech Telecommunications Limited Mechanically isolated battery charg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9744A (ja) * 1992-09-08 1994-03-29 Fujitsu Ltd 通信装置およびそれへの充電装置および充電形の電池
KR20050105066A (ko) * 2004-04-30 2005-11-03 윤성훈 핸즈프리 전화기
KR200431514Y1 (ko) 2006-08-19 2006-11-23 주식회사 다모텍 휴대폰 충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047A (ko) 2009-02-27
US8174236B2 (en) 2012-05-08
CN101373852B (zh) 2012-04-04
CN101373852A (zh) 2009-02-25
US20090051316A1 (en) 200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5678B1 (ko) 배터리 충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US4904549A (en) Battery housing with integral latch and positive displacement apparatus
US9614203B2 (en) Battery pack for electric power tool
JP6091968B2 (ja) 電動工具用電池パック
KR101552435B1 (ko) 무정지 배터리 교환장치
US9412982B2 (en) Battery pack for electric power tool
KR10042509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팩 착탈 구조
KR101417806B1 (ko) 전자기기의 배터리 탈착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US7183744B2 (en) Battery housing structure for portable devices
JP3690323B2 (ja) 端子装置及びこの端子装置を備えたバッテリパック充電器
CN113302788A (zh) 壳体结构、电池、电子设备和可移动平台
US20080204990A1 (en) Portable computer with detachable solar cell module
WO2013027595A1 (ja) 電池ユニット
JP2013093973A (ja) 充電式電気機器用ホルダ装置
US8551634B2 (en) Computer enclosure with battery holding structure
KR200455693Y1 (ko) 휴대 단말기 보호커버
JP5283476B2 (ja) パック電池
CN214542423U (zh) 电池包的壳体结构及可拆卸式电池包
KR10050480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고정장치
CN113471747B (zh) 连接装置、无线耳机、插卡电子设备
EP3871920A1 (en) Battery restraining structure of an electric vehicle
KR20070033561A (ko) 셀형 배터리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50001925A (ko) 토글스프링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
CN210472140U (zh) 一种便携式心电图机的背夹装置
KR200347601Y1 (ko) 배터리 결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