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1809B1 - 스마트기기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기기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1809B1
KR102271809B1 KR1020190141868A KR20190141868A KR102271809B1 KR 102271809 B1 KR102271809 B1 KR 102271809B1 KR 1020190141868 A KR1020190141868 A KR 1020190141868A KR 20190141868 A KR20190141868 A KR 20190141868A KR 102271809 B1 KR102271809 B1 KR 102271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device
seat
main body
belt
sea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1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5433A (ko
Inventor
이시백
Original Assignee
이시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시백 filed Critical 이시백
Priority to KR1020190141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1809B1/ko
Publication of KR20210055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5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2Seat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9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에 설치된 좌석의 시트커버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설치하고, 장거리 여행 및 이동시, 스마트기기를 손쉽게 거치할 수 있어 편리하며, 상기 스마트기기가 노출되는 전면에 사생활보호망이 설치되어 양측을 통해 스마트기기를 볼 수 없기에 사용자 이외에 옆에 있는 사람이 스마트기기를 볼 수 없어 사생활이 보호되며, 스마트기기 거치장치의 본체부 끝단부에 한개 이상의 연결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착석자의 안전벨트에 연결되어 본체부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스마트기기가 수용된 본체부를 착석자 측으로 당겨주기에 안전성 및 시안성이 확보되어 사용효율이 증대되며, 기존에 설치된 좌석의 시트커버에 스마트기기 거치장치를 탈부착부재에 의해 탈부착할 수 있어 기존 시트커버를 재활용할 수 있고, 시트커버 또는 스마트기기 거치장치의 오염시, 손쉽게 분리하여 세탁할 수 있어 효율성이 좋은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스마트기기 거치장치{Support device of Smart device}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에 설치된 좌석의 시트커버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설치하고, 장거리 여행 및 이동시, 스마트기기를 손쉽게 거치할 수 있어 편리하며, 상기 스마트기기가 노출되는 전면에 사생활보호망이 설치되어 양측을 통해 스마트기기를 볼 수 없기에 사용자 이외에 옆에 있는 사람이 스마트기기를 볼 수 없어 사생활이 보호되는 스마트기기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이제 스마트폰은 단순히 전화수단이 아닌 여러 사람들과 소통을 하는 수단이며, 수많은 컨텐츠를 내장하여 사용자가 필요할 때 이용할 수 있는 멀티종합 전자기기가 되었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점차 휴대성이 증가되어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에서 출퇴근시간에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흔들리는 버스에서 스마트폰을 장시간 들고 있는 것은 사용자에게 불편할 뿐만 아니라 목디스크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개선코자 버스와 같은 좌석에 스마트폰을 특별히 거치할 수 있는 장치의 수요가 있는 실정이다.
종래기술인 한국등록 실용신안공보 제20-0474200호의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는 차량의 좌석 배면에 내측으로 수용되는 거치대를 설치하고, 수용홈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커버와 수용홈부에서 외측으로 슬라이딩 인출이 가능한 거치부재로 구성된 거치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차량 좌석 배면에 휴대 전자기기를 거치할 수 있는 구조이나, 걸림홈의 크기보다 작은 전자기기인 경우 차량진동에 의해 흔들리고 걸림홈의 크기보다 큰 전자기기는 거치시킬 수 없어 다양한 전자기기를 거치하기에 한계가 있으며, 휴대 전자기기를 거치함에 있어 커버를 열고 커버부재를 앞으로 당겨야하는 조작의 번거로움이 있고, 전자기기를 거치하더라도 차량의 흔들림에 의해 커버부재와 함께 앞뒤로 이동될 수 있고, 차량 좌석의 배면을 내측에 거지장치를 설치하는 구조인 점에서 두께가 두꺼운 자동차 시트는 가능하나 두께가 얇은 버스 좌석에는 설치하기 어려운 구조인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82365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기존에 설치된 좌석의 시트커버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설치하고, 장거리 여행 및 이동시, 스마트기기를 손쉽게 거치할 수 있어 편리하며, 상기 스마트기기가 노출되는 전면에 사생활보호망이 설치되어 양측을 통해 스마트기기를 볼 수 없기에 사용자 이외에 옆에 있는 사람이 스마트기기를 볼 수 없어 사생활이 보호되는 스마트기기 거치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스마트기기 거치장치의 본체부 끝단부에 한개 이상의 연결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착석자의 안전벨트에 연결되어 본체부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스마트기기가 수용된 본체부를 착석자 측으로 당겨주기에 안전성 및 시안성이 확보되어 사용효율이 증대되는 스마트기기 거치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기존에 설치된 좌석의 시트커버에 스마트기기 거치장치를 탈부착부재에 의해 탈부착할 수 있어 기존 시트커버를 재활용할 수 있고, 시트커버 또는 스마트기기 거치장치의 오염시, 손쉽게 분리하여 세탁할 수 있어 효율성이 좋은 스마트기기 거치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이동수단의 좌석에 설치된 시트커버에 연결 설치되는 스마트기기 거치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스마트기기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일면에는 수용된 스마트기기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노출홀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의 상부와 하부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결착되도록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고, 후면부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결착되도록 결착고리부가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과 시트커버의 일측에 설치되어 본체부를 시트커버에 탈부착시키는 탈부착부재와;
상기 수용부의 노출홀에 막으로 설치되어 스마트기기가 노출홀을 통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선방향으로는 수용부의 노출홀 내부가 투시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는 사생활보호막과;
상기 본체부의 끝단부에 형성되되, 착석자의 안전벨트에 연결되어 본체부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본체부를 착석자 측으로 당겨주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수용부의 투입구는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는 바네(Vanner) 타입으로 형성되어 탄성력에 의해 수용부를 항시 닫혀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수용부의 내부면에는 수용된 스마트기기가 수용부의 내부에서 이격되지 않도록 미끄럼방지용 고무패드가 한개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연결부재는 띠 형태로 길게 형성되어 안전벨트에 감긴 뒤, 띠의 끝단부에 형성된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연결부재의 내부에는 연결부재의 미사용시 본체부 측으로 탄성력에 의해 감겨있다가 사용시에는 억지풀림을 통해 풀어서 안전벨트에 감기는 감김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연결부재는, 띠 형태로 길게 형성되어 안전벨트에 감긴 뒤, 띠의 끝단부에 형성된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는 연결띠와;
상기 본체부의 끝단부에 고정되되, 상기 연결띠가 내부에 연결되어 연결띠를 감았다 풀었다 할 수 있는 감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기기 거치장치는 기존에 설치된 좌석의 시트커버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설치하고, 장거리 여행 및 이동시, 스마트기기를 손쉽게 거치할 수 있어 편리하며, 상기 스마트기기가 노출되는 전면에 사생활보호망이 설치되어 양측을 통해 스마트기기를 볼 수 없기에 사용자 이외에 옆에 있는 사람이 스마트기기를 볼 수 없어 사생활이 보호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마트기기 거치장치의 본체부 끝단부에 한개 이상의 연결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착석자의 안전벨트에 연결되어 본체부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스마트기기가 수용된 본체부를 착석자 측으로 당겨주기에 안전성 및 시안성이 확보되어 사용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에 설치된 좌석의 시트커버에 스마트기기 거치장치를 탈부착부재에 의해 탈부착할 수 있어 기존 시트커버를 재활용할 수 있고, 시트커버 또는 스마트기기 거치장치의 오염시, 손쉽게 분리하여 세탁할 수 있어 효율성이 좋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 거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용부의 작동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부를 나타낸 전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부의 후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작동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유체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 거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용부의 작동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부를 나타낸 전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부의 후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작동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기기 거치장치는 고속버스, 관광버스, 승용차, 비행기 등의 이동수단에 설치되는 좌석에 설치된 시트커버(1)에 연결 설치되는 스마트기기 거치장치로써, 본체부(10)와, 탈부착부재(20)와, 사생활보호막(30)과, 연결부재(4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부착부재(20)에 의해 시트커버(1)에 연결되어 스마트기기를 직접적으로 수용하는데, 상기 본체부(10)의 전면에는 내부에 스마트기기를 수용하는 수용부(11)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11)는 본체부(10)의 전면에 형성되되,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주머니 형태로 본체부(10)에 부착되고, 상기 수용부(11)의 투입구(13) 즉, 스마트기기가 수용부(11) 내측으로 투입되는 입구는 본체부(10)의 전면상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투입구(13)는 바네(Vanner) 타입으로 형성되어 탄성력에 의해 수용부(11)의 투입구(13)를 항시 닫아준다.
이때, 상기 바네(Vanner)라는 것은 일자형의 바네프레임으로 두개의 바네프레임이 양끝단부가 상호 간에 부착된 상태에서 중앙부 측을 억지로 벌릴 수 있고, 상기 일자형 바네프레임에는 탄성력이 있어서 억지 벌림을 해체하면 탄성력에 의해 중앙부가 다시 붙는 타입을 말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일자형 바네프레임이 수용부(11)의 투입구(13)와 상기 투입구(13)가 접촉되는 본체부(10)의 일면 내부에 각각 설치되거나, 상기 수용부(11)가 주머니 형태이기에 투입구(13)에 두개의 바네프레임을 설치한 뒤, 두 개의 일자형 바네프레임 양끝단부가 연결된 상태가 된다.
그렇기에 상기 수용부(11)의 투입구(13)를 사용시에는 사용자가 투입구(13) 중앙부를 벌리면 투입구(13)측의 바네프레임이 벌어지면서 투입구(13)가 열리고, 그 상태에서 스마트기기를 수용부(11)의 내부에 투입한 뒤, 벌린 투입구(13)를 놓으면 바네프레임의 탄성력에 의해 투입구가 닫혀지며, 그로 인해 스마트기기는 투입구(13)를 통해 이탈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용부(11)의 일면에는 수용된 스마트기기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노출홀(12)이 형성되고, 상기 노출홀(12)을 통해 수용부(11)에 수용된 스마트기기가 사용자에게 보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11)의 내부면에는 수용된 스마트기기가 수용부(11)의 내부에서 이격되지 않도록 미끄럼방지용 고무패드(14)가 한개 이상 설치되는데, 상기 미끄럼방지용 고무패드(14)는 노출홀(12)의 반대측에 설치되어 스마트기기의 후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미끄럼방지용 고무패드(14)의 표면에는 다수개의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스마트기기의 후면에 흡착되기에 스마트기기가 이격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수용부(11)의 상부와 하부 중앙부에는 도 3에서처럼, 사용자의 손가락이 결착되도록 관통홀(15)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5)의 가장자리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결착시 관통홀(15)이 변형되지 않도록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15)에는 본체부(10)의 후면부를 통해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이 결착되면 수용부(11)에 수용된 스마트기기에 문자, 채팅 등의 글자를 클릭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0)의 후면부에는 도 4에서처럼, 사용자의 손가락이 결착되도록 결착고리부(16)가 형성되고, 상기 결착고리부(16)에는 사용자의 손가락 중 검지, 중지가 결착되어 일반적인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와 같은 방식으로 수용부(11)에 수용된 스마트기기를 잡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착고리부(16)는 외주연의 일측이 뾰쪽하게 돌출 형성되어 위급사항이 발생시 이동수단의 창문을 깨는데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탈부착부재(2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10)의 일측과 시트커버(1)의 일측에 설치되어 본체부(10)를 시트커버(1)에 탈부착시키는 것으로, 상기 탈부착부재(20)는 지퍼 형태, 찍찍이 형태, 똑딱이 버튼 형태, 단추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지퍼 형태로 형성되어 본체부(10)를 시트커버(1)에 연결한다.
상기 사생활보호막(30)은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부(11)의 노출홀(12)에 막으로 설치되어 스마트기기가 노출홀(12)을 통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선방향으로는 수용부(11)의 노출홀(12) 내부가 투시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사생활보호막(30)의 재질은 양측 사선방향에서 내부가 투시되지 않는 재질로 통상에서 사용되는 사생활 보호필름지가 부착된 막인 것이다.
여기서, 상기 사생활보호막(30)은 수용부(11)에 수용된 스마트기기를 터치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제 1 실시예)
상기 연결부재(40)는 도 1 및 도 5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10)의 끝단부에 형성되는데, 착석자의 안전벨트에 연결되어 본체부(1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본체부를 착석자 측으로 당겨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40)는 착석자가 안전벨트를 체결했을 때 연결할 수 있기에 안전벨트를 필히 상용화할 수 있어 안전성도 증대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40)는 띠 형태로 길게 형성되어 안전벨트에 감긴 뒤, 띠의 끝단부에 형성된 고정부(41)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41)는 찍찍이 형태, 똑딱이 버튼 형태, 단추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찍찍이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찍찍이 형태는 한쪽(거친부위)이 다른 한쪽(부드러운 부위)에 붙어서 상호 간에 결합되는 구조로써, 본 발명에서는 거친부위가 연결부재(40)의 끝단부 일면에 형성되고, 부드러운 부위는 연결부재(40)의 중간부 반대면 즉, 거친부위가 형성된 일면의 반대면에 형성되어 연결부재(40)가 안전벨트에 다수번 감기겨서 거친부위가 부드러운 부위에 찍찍이로 부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40)의 내부에는 도 6에서처럼, 연결부재(40)의 미사용시 본체부 측으로 탄성력에 의해 감겨있다가 사용시에는 억지풀림을 통해 풀어서 안전벨트에 감기는 감김부재(42)가 더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감김부재(42)는 연결부재(40)의 속에 형성되기에 감김부재(42)의 외부에 연결부재(40)가 형성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감김부재(42)는 판형 스프링 형태로 형성되어 긴 막대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감김부재(42)는 수직 단면상 호 형태로 볼록하게 형성되며, 이 상태에서는 긴 막대형으로 길게 형성되다 볼록한 중앙부를 누르면 볼록한 부위가 반대측으로 이동되면서 긴 막대형으로 형성된 감김부재(42)가 탄성적으로 길이방향으로 여러번 말려지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말려진 감김부재(42)는 끝단부를 일측으로 당겨주면 다시 수직 단면이 볼록하게 형성되면서 긴 막대형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렇듯, 상기 감김부재(42)는 탄성적으로 말려지기에 미사용시에는 본체부(10) 측으로 말려(감겨)진 상태로 있다가 연결부재(40)를 사용시에는 연결부재(40)의 끝단부를 당기면 말려진 감김부재(42)는 풀어지면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감김부재(42)의 끝단부는 안전벨트에서 감기도록 조정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상기 연결부재(4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띠 형태로 길게 형성되어 안전벨트에 감긴 뒤, 띠의 끝단부에 형성된 고정부(41)에 의해 고정되는 연결띠(43)와; 상기 본체부(10)의 끝단부에 고정되되, 상기 연결띠(43)가 내부에 연결되어 연결띠(43)를 감았다 풀었다 할 수 있는 감김부재(4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띠(43)는 모직, 폴리에틸렌 수지, 철제 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되는데, 긴 줄의 띠로 형성되어 감김부재(42)의 내부에 감겨진 상태로 형성되다, 착석자가 안전벨트에 연결할 때 길게 빼서 안전벨트에 감긴 뒤, 띠의 끝단부에 형성된 고정부(41)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41)는 찍찍이 형태, 똑딱이 버튼 형태, 단추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는데, 제 2 실시예에서는 똑딱이 버튼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감김부재(42)는 본체부(10)의 끝단부에 고정되는데, 감김부재(42)의 내부에 연결띠의 끝단부가 연결된 상태에서 연결띠를 감았다 풀었다 할 수 있는 구조로써, 일반적인 줄자와 유사한 구조, 기능이기에 내부 구조는 기술하지 않는다.
즉, 상기 연결띠(43)는 감김부재(42)에서 당겨지면 길게 빠져나오지만 놓으면 탄성력에 의해 감김부재(42)의 내부로 감기면서 들어가 평상시에는 깔끔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10 : 본체부 11 : 수용부
12 : 노출홀 13 : 투입구
14 : 미끄럼방지용 고무패드 15 : 관통홀
16 : 결착고리부
20 : 탈부착부재 30 : 사생활보호막
40 : 연결부재 41 : 고정부
42 : 감김부재 43 : 연결띠

Claims (6)

  1. 이동수단의 좌석에 설치된 시트커버(1)에 연결 설치되는 스마트기기 거치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스마트기기를 수용하는 수용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11)의 일면에는 수용된 스마트기기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노출홀(12)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의 상부와 하부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결착되도록 관통홀(15)이 각각 형성되고, 후면부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결착되도록 결착고리부(16)가 형성되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일측과 시트커버(1)의 일측에 설치되어 본체부(10)를 시트커버(1)에 탈부착시키는 탈부착부재(20)와;
    상기 수용부(11)의 노출홀(12)에 막으로 설치되어 스마트기기가 노출홀(12)을 통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선방향으로는 수용부(11)의 노출홀(12) 내부가 투시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는 사생활보호막(30)과;
    상기 본체부(10)의 끝단부에 형성되되, 착석자의 안전벨트에 연결되어 본체부(1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본체부(10)를 착석자 측으로 당겨주는 연결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용부(11)의 투입구(13)는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13)는 바네(Vanner) 타입으로 형성되어 탄성력에 의해 수용부(11)를 항시 닫혀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거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11)의 내부면에는 수용된 스마트기기가 수용부(11)의 내부에서 이격되지 않도록 미끄럼방지용 고무패드(14)가 한개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거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40)는 띠 형태로 길게 형성되어 안전벨트에 감긴 뒤, 띠의 끝단부에 형성된 고정부(41)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거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40)의 내부에는 연결부재(40)의 미사용시 본체부(10) 측으로 탄성력에 의해 감겨있다가 사용시에는 억지풀림을 통해 풀어서 안전벨트에 감기는 감김부재(42)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거치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40)는,
    띠 형태로 길게 형성되어 안전벨트에 감긴 뒤, 띠의 끝단부에 형성된 고정부(41)에 의해 고정되는 연결띠(43)와;
    상기 본체부(10)의 끝단부에 고정되되, 상기 연결띠(43)가 내부에 연결되어 연결띠를 감았다 풀었다 할 수 있는 감김부재(42);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거치장치.
  6. 삭제
KR1020190141868A 2019-11-07 2019-11-07 스마트기기 거치장치 KR102271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868A KR102271809B1 (ko) 2019-11-07 2019-11-07 스마트기기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868A KR102271809B1 (ko) 2019-11-07 2019-11-07 스마트기기 거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5433A KR20210055433A (ko) 2021-05-17
KR102271809B1 true KR102271809B1 (ko) 2021-06-30

Family

ID=76158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1868A KR102271809B1 (ko) 2019-11-07 2019-11-07 스마트기기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180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340Y1 (ko) * 2014-09-11 2015-06-03 이미영 냉온 보관이 가능한 자동차 시트용 수납포켓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2881U (ja) * 2000-04-28 2000-11-02 城東工業株式会社 携帯電話機等の収納ケース
KR20120007213U (ko) * 2011-04-11 2012-10-19 신인철 태블릿 피시 케이스 겸용 차량용 거치대
KR101607477B1 (ko) * 2014-07-10 2016-03-30 이가람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KR200482365Y1 (ko) 2016-08-09 2017-01-16 김주영 전자기기 거치대와 그것이 적용된 차량 좌석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340Y1 (ko) * 2014-09-11 2015-06-03 이미영 냉온 보관이 가능한 자동차 시트용 수납포켓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072881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5433A (ko) 2021-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4285B1 (ko)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의 전면 커버를 계폐하는 결합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CN112937391B (zh) 儿童安全座椅
KR101001752B1 (ko) 스마트폰용 보호장치
AU2006201834B2 (en) Attachment mechanism for use wit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20090114556A1 (en) Protective sleev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200461453Y1 (ko) 투시창을 갖는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
KR20110007366U (ko) 덮개 개방 없이 통화가 용이한 휴대용 통신기기보호케이스
KR102271809B1 (ko) 스마트기기 거치장치
CN108605068A (zh) 可拆卸旋转的手机通用固定装置
US20150114532A1 (en) Car cover structure
CN205292457U (zh) 方向盘手机支架
KR20140005114U (ko) 차량용 도어 보호대
US20090108575A1 (en) Removable resilient vehicle protection assembly
KR200475030Y1 (ko) 이륜차 취부가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가방
CN206714938U (zh) 一种肩带按摩器的肩带翻转固定结构
CN210380987U (zh) 一种手机壳的可活动指环扣
CN210536709U (zh) 一种带有气囊支架的手机壳
JP6235289B2 (ja) タブレット端末用ケース
CN212785465U (zh) 手机安全带
KR20140005113U (ko) 차량용 범퍼 보호대
CN210329671U (zh) 一种可放置蓝牙键盘的平板保护套
JP3460637B2 (ja) 情報処理装置用携帯ケース
CN219938397U (zh) 一种兼具防尘塞和手绳的电子产品饰件
KR20100067906A (ko) 자동차용 보호 커버
KR101940545B1 (ko) 스마트폰용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