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9158A - 휴대폰을 장착한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을 장착한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9158A
KR20150139158A KR1020140067291A KR20140067291A KR20150139158A KR 20150139158 A KR20150139158 A KR 20150139158A KR 1020140067291 A KR1020140067291 A KR 1020140067291A KR 20140067291 A KR20140067291 A KR 20140067291A KR 20150139158 A KR20150139158 A KR 20150139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unit
display
mounting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7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효윤
Original Assignee
정효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효윤 filed Critical 정효윤
Priority to KR1020140067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9158A/ko
Publication of KR20150139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91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7Arrangements to support accessories mechanically attached to the display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을 장착하고 장착된 휴대폰으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받아 휴대폰의 액정화면보다 큰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여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한 휴대폰을 장착한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수납공간부; 상기 수납공간부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며, 휴대폰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휴대폰으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받아 전달하기 위한 제어장치부; 및 상기 본체부의 정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어장치부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폰을 장착한 디스플레이장치{Display device estabi cellular phone}
본 발명은 휴대폰을 장착한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을 장착하고 장착된 휴대폰으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받아 휴대폰의 액정화면보다 큰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여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한 휴대폰을 장착한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요즘 휴대폰이 없는 사람이 없다. 어디서나 통화가 가능한 시대이다 보니 장소와 상관없이 산과 들, 강에서도 사람들은 통화를 한다. 심지어 사람들의 인적이 드문 산골짜기에서도 휴대폰은 필수품이 되어가고 있다. 과거에는 통화기능을 중요시 하였다면 요즘에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폰의 보급으로 인해 영상기능을 중요시 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폰이 보급되면서 어디에서든 영화 또는 드라마 시청, 게임, 문서작업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면서 사람들의 생활 패턴의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하지만, 이러한 휴대폰은 휴대성이 강조되면서 점점 소형화되면서 액정화면 또한 작아지면서 휴대폰 사용 시 눈이 금방 피로해지며, 영상기능 이용 시 현실감이 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의 만족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96046호(2014.03.10 공개)는 태플릿 PC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입력된 데이터에 대응되는 결과가 출력되는 출력부가 구비되는 패드본체와 패드본체의 기능을 보조하기 위해, 패드본체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형 보조장치; 및 패드본체에 마련되어 착탈형 보조장치를 상기 패드본체에 결합시키는 체결유닛을 포함하여 이동상의 편의, 물류관리, 재고관리, 결재 또는 개인인증 등의 다양한 보조적 기능 또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23415호(2013.03.08 공개)는 스마트폰과 연결하여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외부 모니터 장치와 외부 모니터 연결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및 운영체계 혹은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폰의 고성능 CPU와 대용량 메모리 저장수단, 이동통신망을 사용하고 외부 디바이스는 단순 모니터 역할만 수행하도록 하면, 원격지의 서버를 클라우디 서비스의 중심으로 하는 애플 회사와 달리 스마트폰 자체를 클라우드 서비스의 중심으로 만들 수 있다. 단순 모니터의 형태로는 차량내 고정기구가 설치된 네비게이션 형태의 모니터, 키보드와 터치패드 혹은 마우스를 설치한 노트북 형태의 모니터, 터치 패널과 10인치 내외의 LCD, 스피커로만 구성되는 스마트 패드 형태의 모니터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스마트폰은 액정화면이 작아 태플릿 PC, 노트북, PDA 또는 개인용 컴퓨터를 연결시켜 영상기능을 제공받게 되는데, 스마트폰은 화면표시장치들과 기능이 대부분 중복되며, 이러한 기능이 중복함에도 불구하고 따로 구매하여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부담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휴대폰을 장착하고 외부 모니터 장치와 연결하여 휴대폰으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받아 외부 모니터 장치로 출력이 가능하나 정해진 휴대폰 기종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영상 기능 수행 시에 통화를 동시에 할 수 없기 때문에 영상 모드를 오프시킨 후 휴대폰을 제거한 후에 통화모드로 변경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96046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23415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폰을 장착하고 장착된 휴대폰으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받아 휴대폰의 액정화면보다 큰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여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한 휴대폰을 장착한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수납공간부; 상기 수납공간부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며, 휴대폰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휴대폰으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받아 전달하기 위한 제어장치부; 및 상기 본체부의 정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어장치부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장착한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장치부는,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휴대폰으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영상신호로 전환시켜주기 위한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전원을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휴대폰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휴대폰의 기종을 확인하며, 휴대폰의 기종에 따른 변경해야 할 화면 비율에 대한 정보를 판독하여 화면 비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비율을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휴대폰에 구비되어 있는 접속단자와 연결되어,상기 휴대폰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단자; 및 상기 고정단자와 연결되면서 상기 장착부의 안쪽 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어장치부와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장치부는, 상기 커넥터단자와 연결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휴대폰으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전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장치부는,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휴대폰을 상기 고정단자에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커넥터단자를 상기 인터페이스단자에 연결시키도록 하여, 상기 휴대폰의 액정화면은 오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수납공간부는, 내부에 수납된 상기 장착부를 내측방향으로 1회 누르면 상기 장착부가 외부로 돌출되어 개방되며, 다시 1회 누르면 상기 장착부가 내부로 다시 수납되도록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장착부는, 가운데 부분이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휴대폰을 눌러 밀착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장착부는,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휴대폰의 전면을 덮어 씌워 보호하기 위한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커버부재는, 내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휴대폰의 액정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폰을 장착한 디스플레이장치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폰을 장착하여 휴대폰의 액정화면보다 큰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해주기 때문에 눈의 피로를 줄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화, 드라마, 게임과 같은 영상 기능을 현실감 있게 즐길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폰은 어느 기종에 관계없이 어댑터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어장치를 사용할 수 있어, 휴대폰 기종에 맞는 디스플레이어장치를 따로 구매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영화, 드라마, 게임과 같은 영상 기능을 수행함과 휴대폰 통화 기능을 동시에 행할 수 있어, 영상 기능을 오프시킨 뒤에 휴대폰을 빼서 통화를 하지 않아도되기 때문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을 장착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시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휴대폰을 장착한 디스플레이장치를 단면도로 설명한 것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수납공간부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장착부의 제1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장착부의 제2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을 장착한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을 장착한 디스플레이장치를 설명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있는 휴대폰을 장착한 디스플레이장치를 단면도로 설명한 것이다.
도 1를 참조하면, 휴대폰을 장착한 디스플레이장치는 본체부(100), 수간공간부(200), 장착부(300), 제어장치부(400) 및 디스플레이부(50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휴대폰을 장착한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전체적인 형상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형상에 무관하게 일정 두께를 가지도록 납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100)는 스피커(130) 및 마이크(14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스피커(130) 및 마이크(140)는 휴대폰(302)을 장착부(300)에 장착한 후 수납공간부(200)에 삽입된 상태로 외부로부터 전화가 왔을 경우 따로 휴대폰(302)을 제거하지 않고도 전환버튼(150)을 눌러 통화 모드로 변경해줄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100)는 이어폰을 연결시키기 위한 이어폰구(16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영화, 드라마, 게임과 같은 영상 기능 수행 시에 이어폰구(160)에 꽂아 이어폰을 연결하여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휴대폰(302)을 장착한 상태로 이어폰구(160)에 이어폰을 꽂아 통화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스피커(130) 및 마이크(140)를 통해 휴대폰(302)이 수납공간부(200)에 수용된 상태에서 전환버튼(150)을 눌러 모드를 변환시켜 통화하거나 휴대폰을 장착부(300)에서 제거시킨 후 사용할 수 있어 원하는 대로 통화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폰과 디스플레이장치를 연동되어 구현되도록 함으로써 기능 모드를 쉽게 변환하여 사용하여 편리하다.
수납공간부(200)는 본체부(100)의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며, 이는 말단부의 내측으로 휴대폰(302)의 크기보다 큰 공간을 형성한다.
장착부(300)는 수납공간부(200)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며, 상측에 휴대폰(302)을 장착하도록 한다. 이 때 장착부(300)는 수납공간부(200)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휴대폰(302)을 장착부(300)에 장착하도록 한다.
장착부(300)는 고정단자(310) 및 커넥터단자(320)를 포함한다.
고정단자(310)는 장착부(300)의 양측 중 어느 하나의 말단부에 설치되어 장착부(300)에 장착된 휴대폰(302)에 구비되어 있는 접속단자(304)를 삽입 연결하여 휴대폰(302)을 고정하도록 한다. 접속단자(304)는 통상적으로 휴대폰(302)의 하부에 내측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대한 위치는 기종에 따라 다르므로 한정하지 않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단자(310)는 장착부(300)의 양측 중 어느 하나의 높이부분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고정단자(310)는 장착부(300) 사이에 힌지축(312)이 연결되어 힌지축(312)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휴대폰을 장착한 디스플레이장치는 휴대폰(302)에 구비되어 있는 접속단자(304)에 고정단자(310)를 접촉 연결하여 휴대폰(302)의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500)에 전달하는데, 고정단자(310)는 휴대폰의 기종별로 호환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휴대폰 기종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어 효율성이 높다.
커넥터단자(320)는 고정단자(310)와 연결되면서 장착부(300)의 안쪽 측부에 형성되어, 제어장치부(400)와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커텍터단자(320)는 고정단자(310)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즉 연결구조는 장착부(300)의 양측 중 어느 하나의 높이 부분 내부에 양 단자를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제어장치부(400)는 본체부(10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장착부(300)에 장착된 휴대폰(302)으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받아 전달하도록 한다. 휴대폰(302)은 영상기능이 부가된 스마트폰일 수 있으며, 영상기능에서 영상은 영화, TV, 비디오, 광고, 사진 등의 시각 기호. 렌즈라는 매체를 통해 형성된 이미지를 뜻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장치부(400)는 인터페이스단자(4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단자(440)는 커텍터단자(320)와 연결하도록 형성하여, 장착부(300)에 장착된 휴대폰(302)으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받아 디스플레이부(500)에 전달하도록 한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커넥터단자(320)는 고정단자(310)와 장착부(300)의 양측 중 어느 하나의 높이 부분 내부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데, 휴대폰(302)으로부터 수신받은 영상신호를 고정단자(310)를 통해 커텍터단자(320)에 전기적으로 보내진 뒤 커넥터단자(320)와 인터페이스단자(440)가 서로 연결됨에 따라 제어장치부(400) 즉 하기 설명할 제어부(410)로 전달되어 디스플레이부(500)가 디스플레이하도록 해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장치부(400)는 장착부(300)에 장착된 휴대폰(302)을 고정단자(310)에 연결하는 동시에 커넥터단자(320)를 인터페이스단자(440)에 연결시키도록 하며, 이 때 휴대폰(302)의 액정화면은 오프되고 디스플레이부(500)의 액정화면은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해줄 수 있다. 이는 하기 설명할 제어부(410)에서 영상신호를 입력받고 일정시간을 입력하여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휴대폰(302)의 액정화면을 오프시켜주도록 제어하도록 한다.
제어장치부(400)는 제어부(410), 메모리부(420) 및 전원공급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10)는 장착부(300)에 장착된 휴대폰(302)으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500)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영상신호로 전환시켜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410)는 장착부(300)에 장착된 휴대폰(302)의 기종을 확인한 뒤, 휴대폰(302)의 기종에 따라 액정화면의 크기가 다른데 이 때의 변경해야할 화면 비율에 대한 정보를 판독하여 화면 비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500)의 화면 비율을 맞춰서 디스플레이부(500)로 디스플레이해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410)는 장착부(300)에 장착된 휴대폰(302)의 음량 크기를 출력하여, 출력된 크기값에 따라 본체부(100)에 형성된 스피커(미도시)의 음량크기를 조절해줄 수 있다.
메모리부(420)는 제어부(410)의 제어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자기 자신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또는, 자신의 장치식별코드 등)를 저장해둔다.
전원공급부(43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제어부(410)의 제어에 따라 전원을 디스플레이부(430) 및 휴대폰(302)에 공급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전원공급부(430)는 본체부(100)의 내부에 충전배터리 또는 교체용 일반배터리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부(500) 및 휴대폰(302)에 전원을 공급해줄 수 있다. 충전배터리는 외부충전장치에 의해 전원이 입력되면 충전해주거나, 충전배터리를 본체부(100)로부터 분리하여 충전팩에 외부충전장치를 연결하여 충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원공급부(430)는 충전배터리 또는 교체용 일반배터리를 사용하여 전원공급부(430)에 사용된 배터리의 잔량을 디스플레이부(430)에 디스플레이해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전원공급부(430)는 배터리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수단과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배터리로부터 각각의 정보의 항목들을 근거하여 잔량을 계산하는 계산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계산 수단에 의해 계산된 배터리 잔량을 디스플레이부(430)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서, 전원공급부(430)는 본체부(100)의 내부에 내장되어 있어, 제어부(410)의 제어에 따라 마이크로 USB 커넥터를 통해 외부 전원을 제공받도록 충전단자(120)를 구비하여 디스플레이부(430) 및 휴대폰(302)에 공급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전원공급부(430)는 본체부(100)의 외부에 형성된 온/오프할 수 있는 전원 스위치(110)를 구비하여, 전원 스위치(110)의 온/오프에 따라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스플레이부(500)는 본체부(100)의 정면에 형성되어, 제어장치부(400)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신호를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즉, 디스플레이부(500)는 휴대폰으로부터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영상화면을 본체부(100)의 정면에 그대로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휴대폰의 액정화면보다 큰 화면으로 제공해줌으로 보다 현실감있는 영상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어 효과적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수납공간부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수납공간부(200)는 체결부재(210)를 포함한다.
체결부재(210)는 수납공간부(200)의 내부에 수납된 장착부(300)를 내측방향으로 한번 누르면 장착부(300)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개방되며, 다시 한번 누르면 장착부(300)가 내부로 수납되도록 하기 위해 수납공간부(200)와 체결된다.
체결부재(210)는 슬라이드가이드(211), 스프링(217)으로 크게 구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가이드(211)는 수납공간부(200)과 장착부(300) 사이에 연결설치될 수 있으며, 장착부(300)를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가이드해준다.
슬라이드가이드(211)는 걸림핀(212), 제1 가이드라인(213), 제2 가이드라인(214), 돌기(215) 및 고정홈(216)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체부(100)의 내부에는 고정핀(102)이 마련된다. 또한 본체부(100)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217)은 탄발력있게 형성되어 슬라이드가이드(211)가 이동되면서 결과적으로 장착부(300)를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한다. 따라서, 슬라이드가이드(211)는 스프링(217)에 지지되어 수납공간부(200) 내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걸림핀(212)은 걸림돌기(212a)를 형성하며, 장착부(300)에 마련되는 걸림홈(306)에 결합되어 장착부(300)를 고정하도록 하며, 제1 가이드라인(213), 및 제2 가이드라인(214)은 고정핀(102)의 일측이 이동되도록 가이드해주는 경로에 해당된다. 제1 가이드라인(213)은 고정핀(102)이 잠기는 경우에 이동하는 경로이며, 제2 가이드라인(214)는 고정핀(102)이 해제되는 경우에 이동되는 경로이다.
고정홈(216)은 고정핀(102)이 제 1 가이드라인(213)을 통하여 이동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체결부재(210)는 장착부(300)에 마련되는 걸림홈(306)에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장착부(300)를 내측방향으로 1회 누르면 체결부재(210)가 풀리면서 장착부(300)가 외측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개방되고, 다시 1회 누르면 장착부(300)가 수납공간부(200) 내부로 삽입되면서 체결부재(210)가 잠기도록 하여 휴대폰(302)을 삽입 장착한 뒤 수납하도록 한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장착부의 제1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장착부(300)는 고정패드(33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패드(330)는 가운데 부분이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휴대폰(302)을 눌러 밀착고정시켜준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패드(330)는 장착부(300)의 상면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 고정될 수 있으며, 또한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휴대폰(302)을 밀착 고정시켜줄 수 있고 휴대폰(302)의 배면부분에 장착부(300)와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면 발생할 수 있는 기스를 고정패드(330)에 의해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패드(330)는 실리콘 또는 스펀지일 수 있으며, 다양한 크기의 휴대폰을 넣고 누르면 더욱 견고하게 밀착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패드(330)는 장착부(300)와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져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장착부의 제2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장착부(300)는 커버부재(34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340)는 장착부(30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장착부(300)에 장착된 휴대폰(302)의 전면을 덮어 씌워 보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커버부재(340)는 휴대폰(302)에 구비되어 있는 접속단자(304)에 고정단자(310)를 삽입하여 고정한 뒤 커버부재(340)를 덮어씌울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커버부재(340)는 고정단자(310)가 설치된 부분의 반대부분 즉 장착부(30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휴대폰(302)의 전면을 보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커버부재(340)는 장착부(300)의 다른 일측에 구비된 자동개폐스위치(350)에 스프링(미도시)를 구비하여 스프링(미도시)의 탄발력에 의해 커버부재(340)를 자동으로 개폐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커버부재(340)는 보호시트(342)를 부착하도록 할 수 있으며, 보호시트(342)는 커버부재(340)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휴대폰(304)의 액정을 보호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보호시트(342)는 섬유집합체(미도시) 및 도전성 충전재(미도시)를 함유하는 탄성수지(미도시)로 구성된 전자파 차단 시트일 수 있으며, 탄성수지는 폴리우레탄일 수 있다.
보호시트(342)는 커버부재(340)의 내측면 전체에 부착되거나, 휴대폰(304)의 액정 화면과 접하는 부분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장착부(300)는 커버부재(340)와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돌기(34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커버부재(340)가 개폐되는 부분의 말단부과 접하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결합돌기(344)는 커버부재(340)가 개폐되는 말단 부분에 돌출 형성되어, 장착부(300)에 형성된 결합홈(미도시)와 끼워 결합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본체부
110 : 전원 스위치
120 : 충전단자
130 : 스피커
140 : 마이크
150 : 전환버튼
200 : 수납공간부
210 : 체결부재
211 : 슬라이드가이드
212 : 걸림핀
213 : 제1 가이드라인
214 : 제2 가이드라인
215 : 돌기
216 : 고정홈
217 : 스프링
300 : 장착부
310 : 고정단자
320 : 커넥터단자
330 : 고정패드
340 : 커버부재
342 : 보호시트
344 : 결합돌기
400 : 제어장치부
410 : 제어부
420 : 메모리부
430 : 전원공급부
440 : 인터페이스단자
500 : 디스플레이부

Claims (10)

  1.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수납공간부;
    상기 수납공간부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며, 휴대폰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휴대폰으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받아 전달하기 위한 제어장치부; 및
    상기 본체부의 정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어장치부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장착한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부는,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휴대폰으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영상신호로 전환시켜주기 위한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전원을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휴대폰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장착한 디스플레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휴대폰의 기종을 확인하며, 휴대폰의 기종에 따른 변경해야 할 화면 비율에 대한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화면 비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비율을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장착한 디스플에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휴대폰에 구비되어 있는 접속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휴대폰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단자; 및
    상기 고정단자와 연결되면서 상기 장착부의 안쪽 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어장치부와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장착한 디스플레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부는,
    상기 커넥터단자와 연결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휴대폰으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전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장착한 디스플레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부는,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휴대폰을 상기 고정단자에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커넥터단자를 상기 인터페이스단자에 연결시키도록 하여, 상기 휴대폰의 액정화면은 오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장착한 디스플레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부는,
    내부에 수납된 상기 장착부를 내측방향으로 1회 누르면 상기 장착부가 외부로 돌출되어 개방되며, 다시 1회 누르면 상기 장착부가 내부로 다시 수납되도록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장착한 디스플레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가운데 부분이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휴대폰을 눌러 밀착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장착한 디스플레이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휴대폰의 전면을 덮어 씌워 보호하기 위한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장착한 디스플레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내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휴대폰의 액정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장착한 디스플레이장치.


















KR1020140067291A 2014-06-03 2014-06-03 휴대폰을 장착한 디스플레이장치 KR201501391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291A KR20150139158A (ko) 2014-06-03 2014-06-03 휴대폰을 장착한 디스플레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291A KR20150139158A (ko) 2014-06-03 2014-06-03 휴대폰을 장착한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9158A true KR20150139158A (ko) 2015-12-11

Family

ID=55020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7291A KR20150139158A (ko) 2014-06-03 2014-06-03 휴대폰을 장착한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915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0177A (ko) 2019-01-15 2020-05-29 (주)테크온비젼 휴대폰을 연결하여 노트북처럼 사용할 수 있는 폰북
KR20200133613A (ko) 2019-05-20 2020-11-30 조원익 스마트폰의 장착이 가능한 대형디스플레이 장치
KR102526693B1 (ko) 2022-05-31 2023-04-28 주식회사 펀디지 더미 사용자 단말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0177A (ko) 2019-01-15 2020-05-29 (주)테크온비젼 휴대폰을 연결하여 노트북처럼 사용할 수 있는 폰북
KR20200133613A (ko) 2019-05-20 2020-11-30 조원익 스마트폰의 장착이 가능한 대형디스플레이 장치
KR102526693B1 (ko) 2022-05-31 2023-04-28 주식회사 펀디지 더미 사용자 단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5600B2 (en) Mobile terminal
US8078223B2 (en) Mobile terminal having expansion module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JP5163992B2 (ja) キャリングケース
EP2056483B1 (en) Mobile terminal
EP2056482B1 (en) Mobile terminal
EP2690844B1 (en) Mobile terminal
KR101143230B1 (ko) 단말기 장치
EP2632120A1 (en) Label plate for a mobile terminal
US8976523B2 (en) Mobile terminal
CN103427224B (zh) 移动终端
EP2587775A1 (en) Pouch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2207039B1 (ko) 액세서리 장치
KR101635029B1 (ko) 이동 단말기
KR100723903B1 (ko) 전자기기
KR101857754B1 (ko)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KR20150139158A (ko) 휴대폰을 장착한 디스플레이장치
JP4129003B2 (ja) 電子機器
KR101737927B1 (ko)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US9807483B1 (en) Mobile device case with foldable speaker system
JP2008152805A (ja) ユニット装着機構
KR20110028603A (ko)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용 입출력 확장장치
KR101422169B1 (ko)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US20210044124A1 (en) Dock Base for Wirelessly Charging Intelligent Handheld Devices
JPWO2004099959A1 (ja) 電子機器およびユニット装着機構
KR101718017B1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