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8603A -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용 입출력 확장장치 - Google Patents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용 입출력 확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8603A
KR20110028603A KR1020110005407A KR20110005407A KR20110028603A KR 20110028603 A KR20110028603 A KR 20110028603A KR 1020110005407 A KR1020110005407 A KR 1020110005407A KR 20110005407 A KR20110005407 A KR 20110005407A KR 20110028603 A KR20110028603 A KR 201100286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unit
external device
expansion
sm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5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우
Original Assignee
이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우 filed Critical 이진우
Priority to KR1020110005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8603A/ko
Publication of KR20110028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86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와 일체로 접속되어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의 작은 화면을 확대하여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데이터에 의해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를 직접 제어할 수 있는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용 입출력 확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외부기기로부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입력받아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한 입력 데이터 발생 시 발생한 입력 데이터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를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외부기기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구성되고, 외부기기와 상기 확장 회로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확장 회로부에 연결된 기기 접속 포트를 구비하는 기기 접속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용 입출력 확장장치{I/O Expansion apparatus for compact multimedia devices}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와 일체로 접속되어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의 작은 화면을 확대하여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데이터에 의해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를 직접 제어할 수 있는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용 입출력 확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커뮤니케이션은 음성언어, 미디어, 인터넷 등과 같은 매체를 통해 이루어진다. 커뮤니케이션의 매체는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고 발전하고 있다. 유일하게 음성언어만이 커뮤니케이션 매체였던 시기에서 인터넷을 통한 문자언어 중심으로 인터넷 미디어 시대로 변화하였고, 라디오나 전화, 영상 매체인 TV 등의 미디어 시대로 발전하였다. 그리고 TV의 제한적인 채널 한계성을 뛰어 넘어 케이블 TV가 나타났고, 이동성의 한계성을 뛰어 넘어 DMB가 등장했으며, 음성과 영상을 혼합한 멀티미디어 시대에서 1인 미디어, 유비쿼터스가 도입된 멀티미디어 시대로 접어들었다.
이런 멀티미디어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멀티미디어의 플레이가 가능한 휴대폰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기기들이 등장하였으며, 이동통신망 및 WIFI와 같은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수신 받아 재생할 수 있고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스마트폰도 등장하였다.
스마트폰의 등장에 따라 소형, 즉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수요가 증가하여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 시장은 급속도로 팽창하고 있다.
이러한 시장 팽창에 따라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도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부류의 사용자들을 만족시키기 위해 대형 화면을 가지는 멀티미디어 기기와 휴대성을 강조한 소형의 화면을 가지는 멀티미디어 기기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멀티미디어 기기들이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대형 멀티미디어 기기는 가독성 및 활용성은 좋으나 휴대성이 불편하고,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는 휴대성은 좋으나 가독성 및 활용성이 다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렇다고 둘 모두를 구비하기에는 대형이든 소형이든 멀티미디어 각각의 가격이 너무 비싸 사용자에게 부담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성을 향상시키고 싶은 경우 소형의 멀티미디어 기기 자체를 이용하고, 대형의 화면을 통해 활용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경우 멀티미디어 기기와 일체로 접속되어 대형의 화면을 통해 상기 소형의 멀티미디어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입력데이터를 소형의 멀티미디어 기기로 출력하여 소형의 멀티미디어 기기의 기능을 제어하는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용 입출력 확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용 입출력 확장장치는; 외부기기로부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입력받아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한 입력 데이터 발생 시 발생한 입력 데이터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확장 회로부를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외부기기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구성되고, 외부기기와 상기 확장 회로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확장 회로부에 연결된 기기 접속 포트를 구비하는 기기 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기 접속부는 상기 본체부의 후면에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기기 접속부는 삽입된 외부기기의 삽입 시 상기 외부기기가 보이도록 투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기 접속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서 내측으로 상기 외부기기가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기기 접속부는 외부기기가 삽입되는 개구부에 형성되어 외부기기의 삽입 시 외부기기의 삽입방향으로 접혀지고 제거 시 상기 개구부를 덮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기 접속부는 상기 본체부의 후면이 상기 외부기기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확장 회로부는,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표시하고, 터치된 위치에 대한 좌표 신호를 출력하는 확장 터치스크린과,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구비하고, 눌린 버튼에 대한 버튼 신호를 출력하는 확장 입력부와, 상기 기기 접속 포트에 접속된 외부기기로부터 디스플레이 데이터 수신하여 출력하고, 상기 입력 데이터를 송신하는 확장 통신부와, 상기 확장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상기 확장 터치스크린으로 제공하여 표시시키고,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입력되는 좌표신호 및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버튼 신호에 대응하는 입력데이터를 상기 확장 통신부를 통해 송신시키는 확장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출력 확장장치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충전전원을 생성하고, 생성된 충전전원을 상기 기기 접속 포트를 통해 접속된 외부기기로 제공하는 충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기기가 기기 접속부에 삽입 시 상기 외부기기는 자신의 터치스크린 및 입력부를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기기가 기기 접속부에 삽입 시 상기 본체부 및 외부기기 둘 모두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동시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동성을 위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를 이용하고,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 사용자가 대형화면을 통해 멀티미디어를 즐기고자 하는 경우, 터치스크린과 입력 수단 및 데이터 송수신 수단 및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의 접속 수단만을 구비하여 저렴하게 구성되어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에서 재생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대형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입력데이터를 소형의 멀티미디어 기기로 제공하여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입출력을 확장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적은 비용으로 소형 및 대형의 멀티미디어 기기를 모두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용 입출력 확장장치와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의 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용 입출력 확장장치와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의 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용 입출력 확장장치의 측면도 및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용 입출력 확장장치의 측면도 및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용 입출력 확장장치의 측면도 및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 및 입출력 확장장치의 전자적인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입출력 확장장치를 사용하기 위한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입출력 확장장치에서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용 입출력 확장장치는 외부기기로부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입력받아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한 입력 데이터 발생 시 발생한 입력 데이터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확장 회로부를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외부기기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구성되고, 외부기기와 상기 확장 회로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확장 회로부에 연결된 기기 접속 포트를 구비하는 기기 접속부를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용 입출력 확장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용 입출력 확장장치와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의 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용 입출력 확장장치와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의 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용 입출력 확장장치의 측면도 및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용 입출력 확장장치는 본체부(10)와 기기 접속부(20)를 포함한다.
본체부(10)는 전면에 확장 터치스크린(240)이 구비되고, 터치스크린(240) 주변 및 측부에 입력부(23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10)는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100)로부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입력받아 표시하고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100)로 입력데이터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확장 회로부(201)를 포함한다. 상기 확장 회로부(201)의 상세 구성 및 동작은 하기 도 6에서 후술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기기 접속부(20)는 도 2 및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체부(10)의 후면에서 돌출되도록 일체로 구성된다. 기기 접속부(20)는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1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으로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100)를 삽입할 수 있도록 일측부에 개방부(30)가 형성된다. 통상 상기 측부는 상측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기기 접속부(200)는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100)를 고정하고, 본체부(10) 내부에 구성된 확장 회로부(201)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기 접속 포트(271)가 구성된다. 통상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기기 접속 포트(171)는 암 커넥터로 형성되므로, 기기 접속부(20)에 형성되는 기기 접속 포트(271)는 수 커텍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100)에 구성된 기기 접속 포트(171)의 위치에 따라 기기 접속 포트(271)의 위치가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100)에 구성된 기기 접속 포트(171)의 위치에 따라 기기 접속부(20)에 구성되는 기기 접속 포트(271)는 짧은 케이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에서는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기기 접속 포트(171)가 하부면에 구성되어 기기 접속부(20)의 기기 접속 포트(271)가 내측 저면부에 구성된 경우를 나타내었다. 또한, 기기 접속부(20)는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후면이 본체부(10)의 후면을 마주 보면서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전면이 본체부(10)의 후면을 향하면서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자의 경우, 기기 접속부(20)를 위로 향하도록 놓았을 때의 상부면은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화면, 터치스크린 전체가 보이도록 직사각형 형상의 디스플레이 홀(22)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모드를 듀얼모드로 설정하여 본체부(10)의 화면과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화면에 동일한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기기 접속부(20)는 상부면에 카메라 홀(23)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기기 접속부(20)의 상부면은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터치스크린 및 카메라가 모두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홈(22) 및 카메라 홈(23)은 투명한 보호 필름으로 덮이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기기 접속부(20)의 측부에는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볼륨 버튼 및 전원 버튼 등을 누를 수 있도록 버튼 홀(25)을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기기 접속부(20)는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미 삽입 시 내측 공간부로 먼지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 삽입 시 내측 공간부로 삽입되고, 멀티미디어 기기 제거 시 개방부를 덮는 덮개(24)를 더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용 입출력 확장장치의 측면도 및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실시 예에서는 기기 접속부(20)가 본체부의 후면에 돌출되어 일체로 구성되었으나, 도 4에서는 기기 접속부(20)가 본체부(10)의 내측에 구성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 기기 접속부(20)의 개구부(30)를 덮는 덮개(24)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용 입출력 확장장치의 측면도 및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용 확장장치의 기기 접속부(40)는 본체부(10)에 홈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홈에는 다른 기기 접속부(20)에 구성되는 기기 접속 포트(271)가 동일하게 구성된다. 단, 기기 접속부(40)가 홈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100)를 기기 접속 포트(271)에 접속하기 쉽도록 기기 접속 포트(271)가 대략 90도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기기 접속부(40)가 홈 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삽입 시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중량에 의해 기기 접속 포트(271)에 큰 하중이 실릴 수 있으므로 기기 접속 포트(271)가 본체부(10)로부터 떨어져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5a와 같이 기기 접속부(40)를 덮는 덮개(50)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덮개(50)는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나사 고정 방식 및 슬라딩 고정 방식 등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덮개(50)는 도2의 디스플레이 홀(22)과 유사하게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터치스크린(140)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윈도우(미도시)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듀얼 모드로 설정되어 있거나 멀티미디어 기기(100)가 입출력 확장장치(200)에 삽입된 상태에서도 정상적으로 동작하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하며,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윈도우를 통해 터치스크린(140)에 표시되는 영상을 볼 수 있고, 터치스크린(140)을 터치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덮개(50)는 제1실시 예의 기기 접속부(20)의 카메라 홀(23)과 같이 덮개(50)에 카메라 홀(미도시)을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 및 입출력 확장장치의 전자적인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100) 및 입출력 확장장치(200)의 전자적인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도면에 참조된 부호 101은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회로부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201은 입출력 확장장치의 확장 회로부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제어부(110)와 저장부(120)와 입력부(130)와 터치스크린(140)과 통신부(17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 처리부들을 포함한다.
제어부(110)는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10)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 입출력 장치(200)와 연결되기 위한 확장 입출력 모드 설정 및 확장 입출력 모드 설정에 따른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통신부(170)를 통해 확장 회로부(201)로 제공하고, 확장 회로부(201)로부터 수신되는 입력데이터에 따른 기능을 제어한다.
저장부(120)는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운영프로그램 등과 같은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영역과,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임시 영역과 응용프로그램 및 사용자에 의해 발생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사용자 영역을 포함한다.
입력부(130)는 복수의 키 또는 버튼들을 구비하고, 사용자에 의해 눌려진 키 또는 버튼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제어부(110)로 출력한다.
터치스크린(140)은 액정표시장치(LCD) 상부에 터치패드가 구성된 것으로 제어부(110)로부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입력받아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부분에 대한 좌표정보를 입력데이터로서 제어부(110)로 제공한다.
기능 처리부는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센서 모듈(145), GPS 모듈(150), 카메라 모듈(160) 및 DMB 모듈(180) 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170)는 기기 접속 포트(17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기기 접속 포트(171)를 통해 확장 회로부(201)에 연결되어 제어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출력데이터인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확장 회로부(201)로 송신하고, 확장 회로부(201)로부터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10)로 출력한다. 그럼 제어부(110)는 입력된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190)는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아 오디오 데이터를 이퀄라이징, 소리 증폭 및 아날로그 오디오 변환 등의 오디오 처리를 수행한 후 스피커를 통해 가청음로 출력한다.
배터리(195)는 전원부(196)에 배터리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196)는 배터리(195)로부터 배터리 전원을 인가받아 회로부(101)의 각 구성들에 필요한 서로 다른 전압으로 변환하여 제공한다.
입출력 확장장치(200)의 확장 회로부(201)는 확장 제어부(210)와 확장 저장부(220)와 확장 입력부(230)와 확장 터치스크린(240)과 확장 통신부(270)를 포함하며, 부가적으로 충전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확장 제어부(210)는 본 발명의 입출력 확장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확장 저장부(220)는 입출력 확장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제어프로그램 영역과,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임시 영역으로 구성된다.
확장 입력부(230)는 본체부(10)의 확장 터치스크린(240)의 주변 또는/및 측부에 복수의 키 또는 버튼을 구비하며, 사용자에 의해 눌려진 키 또는 버튼에 대응하는 신호를 확장 제어부(210)로 출력한다.
확장 터치스크린(240)은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터치스크린(140)보다 큰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확장 제어부(210)의 제어를 받아 확장 통신부(270)를 통해 수신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확장 제어부(210)를 통해 수신 받아 표시하고, 사용자가 터치한 화면상의 좌표정보를 확장 제어부(210)로 출력한다.
확장 통신부(2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기 접속 포트(271)을 통해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회로부(101)에 접속하여 회로부(101)로부터 수신되는 출력 데이터인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확장 제어부(210)로 출력하고, 확장 제어부(210)의 제어를 받아 상기 확장 터치스크린(240) 및 확장 입력부(230)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데이터를 회로부(101)로 송신한다.
그리고 충전부(250)는 기기 접속 포트(271)의 충전전원단자에 연결되어 입출력 확장장치(200)의 본체부(10) 내부에 구성되는 배터리(250)로부터 배터리 전원을 인가받아 충전전원을 생성하고, 생성된 충전전원을 상기 기기 접속 포트(271) 및 회로부(101)의 기기 접속 포트(271)를 통해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100)에 포함되어 있는 배터리(195)를 충전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입출력 확장장치를 사용하기 위한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우선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제어부(110)는 입출력 확장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검사한다(S311). 상기 입출력 확장 이벤트는 멀티미디어 기기(100)가 입출력 확장장치(200)에 삽입되었을 때 발생할 수도 있고, 특정 응용프로그램의 구동 시 발생할 수도 있으며, 터치스크린(140) 또는 입력부(130)를 통한 특정 명령 입력 시 발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입출력 확장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110)는 설정된 입출력 확장 모드 파라미터에 따라 터치스크린(140) 및/또는 입력부(130)를 차단하고 통신부(170) 활성화시키는 입출력 확장 모드를 설정한다(S313). 상기 입출력 확장 모드 파라미터에 따라 터치스크린(140)을 차단할 수도 있고, 그대로 두어 듀얼 LED로 구동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입출력 확장 모드가 설정되면 제어부(110)는 통신부(170)를 통해 입출력 데이터의 송수신을 개시하고(S315), 입출력 확장 모드 해제 이벤트가 발생할 때까지 입출력 데이터를 송수신한다(S317). 상기 입출력 확장 모드 해제 이벤트는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100)가 입출력 확장장치(200)로부터 분리되거나 확장 입력부(230) 또는 확장 터치스크린을 통한 입출력 확장 해제 모드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입출력 확장장치에서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입출력 확장장치(200)의 확장 제어부(210)는 입출력 확장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검사한다(S321). 상기 입출력 확장 이벤트는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연결에 의해 발생할 것이다.
상기 입출력 확장 이벤트가 발생하면 확장 제어부(210)는 확장 통신부(270)를 통해 입출력 데이터의 송수신을 개시한다(S325).
그리고 입출력 확장장치(200)가 오프되어 있는 상태에서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가 삽입되면 확장 제어부(210)는 전원을 온 한(S327) 후, 입출력 데이터의 송수신을 개시한다(S325). 이를 위해 확장 제어부(210)는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도 최소한의 전원을 인가받아 확장 통신부(270)를 모니터링하여 멀티미디어 기기(100)가 연결되는지를 주기적으로 검사하여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본체부 20, 40: 기기 접속부
22: 디스플레이 홀 23: 카메라 홀
24, 50: 덮개 25: 버튼 홀
30: 개구부 100: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
101: 소형 멀티미디어 회로부 110: 제어부
120: 저장부 130: 입력부
140: 터치스크린 150:GPS 모듈
160: 카메라 모듈 170: 통신부
171: 기기 접속 포트(암 커넥터) 180: DMB 모듈
190: 오디오 처리부 200: 입출력 확장장치
201: 확장 회로부 210: 확장 제어부
220: 확장 저장부 230: 확장 입력부
240: 확장 터치스크린 250: 배터리
260: 충전부 270: 확장 통신부
271: 기기 접속 포트(수 커넥터)

Claims (10)

  1. 외부기기로부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입력받아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한 입력 데이터 발생 시 발생한 입력 데이터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확장 회로부를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외부기기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구성되고, 외부기기와 상기 확장 회로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확장 회로부에 연결된 기기 접속 포트를 구비하는 기기 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용 입출력 확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접속부는 상기 본체부의 후면에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용 입출력 확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 접속부는 삽입된 외부기기의 삽입 시 상기 외부기기가 보이도록 투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용 입출력 확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접속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서 내측으로 상기 외부기기가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용 입출력 확장장치.
  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 접속부는 외부기기가 삽입되는 개구부에 형성되어 외부기기의 삽입 시 외부기기의 삽입방향으로 접혀지고 제거 시 상기 개구부를 덮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용 입출력 확장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접속부는 상기 본체부의 후면이 상기 외부기기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용 입출력 확장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확장 회로부는,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표시하고, 터치된 위치에 대한 좌표 신호를 출력하는 확장 터치스크린과,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구비하고, 눌린 버튼에 대한 버튼 신호를 출력하는 확장 입력부와,
    상기 기기 접속 포트에 접속된 외부기기로부터 디스플레이 데이터 수신하여 출력하고, 상기 입력 데이터를 송신하는 확장 통신부와,
    상기 확장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상기 확장 터치스크린으로 제공하여 표시시키고,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입력되는 좌표신호 및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버튼 신호에 대응하는 입력데이터를 상기 확장 통신부를 통해 송신시키는 확장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용 입출력 확장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충전전원을 생성하고, 생성된 충전전원을 상기 기기 접속 포트를 통해 접속된 외부기기로 제공하는 충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용 입출력 확장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가 기기 접속부에 삽입 시 상기 외부기기는 자신의 터치스크린 및 입력부를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용 입출력 확장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가 기기 접속부에 삽입 시 상기 본체부 및 외부기기 둘 모두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동시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멀티미디어기기용 입출력 확장장치.
KR1020110005407A 2011-01-19 2011-01-19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용 입출력 확장장치 KR201100286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407A KR20110028603A (ko) 2011-01-19 2011-01-19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용 입출력 확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407A KR20110028603A (ko) 2011-01-19 2011-01-19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용 입출력 확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8603A true KR20110028603A (ko) 2011-03-21

Family

ID=43934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5407A KR20110028603A (ko) 2011-01-19 2011-01-19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용 입출력 확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2860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7426B1 (ko) * 2020-05-04 2020-08-24 주식회사 드래곤미디어 확장형 키오스크
KR20220167686A (ko) * 2021-06-14 2022-12-21 ㈜ 한국공학기술연구원 디지털 에이징을 위한 학습용 키오스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7426B1 (ko) * 2020-05-04 2020-08-24 주식회사 드래곤미디어 확장형 키오스크
KR20220167686A (ko) * 2021-06-14 2022-12-21 ㈜ 한국공학기술연구원 디지털 에이징을 위한 학습용 키오스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3230B1 (ko) 단말기 장치
US20120194455A1 (en) Tablet electronic device
KR20140092722A (ko)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장치 및 방법
WO2012031519A1 (zh) 分体式多功能移动终端
KR100862345B1 (ko) 휴대 전자 시스템
KR101242439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시스템 및 그를 위한외부 연결 장치
US20130182387A1 (en) Accessory system for portable electronic computing devices
KR101737927B1 (ko)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JP4129003B2 (ja) 電子機器
KR20110113243A (ko) 이동 단말기
US20120178399A1 (en) Interactive system
KR20110028603A (ko)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용 입출력 확장장치
CN104013183A (zh) 终端保护套、终端显示屏扩展方法及终端设备
KR20140008568A (ko) 영상 출력 방법 및 장치
KR20150139158A (ko) 휴대폰을 장착한 디스플레이장치
KR101512042B1 (ko) 휴대단말기
KR101485149B1 (ko) 외부 디바이스와 결합하는 휴대 단말 및 그 구동 방법
KR20090080426A (ko) 확장 모듈 및 그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US9223409B2 (en) Portable function-expanding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KR101511271B1 (ko) 확장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CN102857626A (zh) 移动通讯终端
KR101268722B1 (ko) 탈착 가능한 제어모듈을 구비하는 멀티미디어 장치
KR10147444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에 사용되는 배터리
KR10139697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블루투스 헤드셋 충전방법
CN202677354U (zh) 一种可监控式的电子白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