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2288B1 - 회전식 공구대 - Google Patents

회전식 공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2288B1
KR101692288B1 KR1020160149936A KR20160149936A KR101692288B1 KR 101692288 B1 KR101692288 B1 KR 101692288B1 KR 1020160149936 A KR1020160149936 A KR 1020160149936A KR 20160149936 A KR20160149936 A KR 20160149936A KR 101692288 B1 KR101692288 B1 KR 101692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support
horizontal
coupled
horizont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9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연
Original Assignee
(주)성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연테크 filed Critical (주)성연테크
Priority to KR1020160149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22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2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2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3/00Storage means or arrangements for workshops facilitating access to, or handling of, work tools or instruments
    • B25H3/04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1/00Tables with tops revolvable on vertical spi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2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of tabl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14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the bench 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rkshop Equipment, Work Benches, Supports, Or Storag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식 공구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의 공구가 놓여진 선반을 회전시켜 작업자가 용이하게 공구를 취사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회전식 공구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회전식 공구대는, 다수개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에 결합된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안쪽에서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는 선반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 중심과 상기 선반의 하부 중심에 형성되어 상기 선반을 상기 수평프레임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전결합부와;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선반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회전결합부의 둘레에서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상기 선반의 가장자리 하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회전식 공구대 { ROTATION TYPE TOOL DESK }
본 발명은 회전식 공구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의 공구가 놓여진 선반을 회전시켜 작업자가 용이하게 공구를 취사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회전식 공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구대 또는 공구함은 각종 제품의 생산라인이나 조립라인에서 각각의 용도에 적합한 공구나 필요한 부품을 가능한 편리하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여러 잡다한 부품이나 공구가 분산되어 작업의 효율성을 낮추거나 혹은 주변이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공구대에는 공구를 올려놓기 위한 선반이 마련되어 있는데, 선반이 큰 경우 작업자가 선반에 놓인 공구를 집기 위해 팔을 쭉 뻗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반이 회전하는 공구대가 다수의 특허문헌에 나타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회전식 공구대는 선반의 지름이 커지거나 무거운 공구가 올려질 경우 선반의 가장자리가 아랫방향으로 쳐지거나 휘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3439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09196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선반의 지름이 커지거나 무거운 공구가 올려지더라도 선반의 가장자리가 아랫방향으로 쳐지거나 휘어지지 않으며, 공구가 올려진 선반이 용이하게 잘 회전되며, 무거운 공구를 선반에 올려 놓을 때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다른 공구들이 선반에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회전식 공구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회전식 공구대는, 다수개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에 결합된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안쪽에서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는 선반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 중심과 상기 선반의 하부 중심에 형성되어 상기 선반을 상기 수평프레임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전결합부와;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선반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회전결합부의 둘레에서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상기 선반의 가장자리 하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재는 볼캐스터로 이루어져 상기 선반의 하부를 지지한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결합판과; 상기 결합판의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브라켓과; 상기 결합판과 브라켓 사이에 배치된 다수개의 볼부재와; 상기 브라켓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바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선반의 하부는 상기 지지바퀴에 접하고, 상기 선반의 회전시 상기 지지바퀴는 회전하면서 동시에 상기 브라켓이 상기 결합판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기 수직프레임은 2개 이상으로 이루어져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수평프레임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상기 수직프레임에 결합되어 연결하는 제1수평지지대와; 상기 제1수평지지대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제2수평지지대;로 이루어지며, 상기 선반의 지름은 마주보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의 간격보다 작고, 상기 제1수평지지대와 제2수평지지대는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어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1수평지지대와 제2수평지지대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선반은 상기 회전결합부에 의해 상기 수평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회전결합부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에 돌출 결합된 원기둥형상의 제1돌기부와; 상기 선반의 하부에 돌출 결합되고, 상기 제1돌기부와 끼움 결합되는 원기둥형상의 제2돌기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와 상기 선반의 하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선반을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회전결합부를 감싸면서 배치된다.
상기 선반의 외주면을 따라 결합되는 걸림턱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걸림턱부재의 두께는 상기 선반의 두께보다 크고, 상기 걸림턱부재의 일면에는 상기 선반의 외주면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부재의 상면과 하면은 상기 선반의 상면 및 하면보다 더 돌출된다.
상기 걸림턱부재는 탄성재질의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선반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결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회전식 공구대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지지부재가 선반의 가장자리 하부를 지지함으로써, 선반의 지름이 커지거나 무거운 공구가 올려지더라도 선반의 가장자리가 아랫방향으로 쳐지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에 의해 선반을 지지하면서도 공구가 올려진 선반이 용이하게 잘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무거운 공구를 선반에 올려놓을 때 발생되는 충격을 탄성부재에서 흡수하도록 함으로써, 충격에 의해 다른 공구들이 선반에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공구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공구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공구대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공구대의 단면구조도.
본 발명의 회전식 공구대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프레임(10)과, 수평프레임(20)과, 선반(30)과, 회전결합부(40)와, 지지부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프레임(10)은 2개 이상의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호 이격되어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프레임(10)은 2개로 이루어져 상호 이격되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수평프레임(20)은 상기 수직프레임(10)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수평프레임(20)은 제1수평지지대(21)와 제2수평지지대(2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수평지지대(21)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상기 수직프레임(10)에 결합되어 2개의 상기 수직프레임(10)을 상호 연결한다.
상기 제2수평지지대(22)는 상기 제1수평지지대(21)에 결합되어 지지된다.
이러한 상기 제1수평지지대(21)와 제2수평지지대(22)는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어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수평지지대(21)와 제2수평지지대(22)는 '+'자형으로 결합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수평지지대(21)와 제2수평지지대(22)로 이루어진 상기 수평프레임(20)이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위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10)과 상기 수평프레임(20)의 결합에 의해 공구대의 전체적인 뼈대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직프레임(10)과 수평프레임(20)의 하부에는 이동바퀴(61)가 장착되어 본 발명의 공구대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선반(30)은 상기 수직프레임(10)의 안쪽에서 상기 수평프레임(20)의 상부에 배치되고, 그 상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공구가 놓이게 된다.
상기 선반(30)은 평판으로 이루어지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반(30)은 본 실시예와 같이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선반(30)의 회전시 어느 곳에서나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평프레임(20)이 상하방향으로 다수개 배치되어 있는바,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선반(30)은 다수개로 이루어져 각각의 상기 수평프레임(20)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결합부(40)는 상기 수평프레임(20)의 상부 중심과 상기 선반(30)의 하부 중심에 형성되어 상기 선반(30)을 상기 수평프레임(20)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즉, 상기 회전결합부(40)에 의해 상기 선반(30)은 상기 수평프레임(20)의 상부에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회전결합부(40)는, 제1돌기부(41)와 제2돌기부(4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돌기부(41)는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평프레임(20)의 중심의 상부에 돌출 결합된다.
즉, 상기 제1돌기부(41)는 상기 제1수평지지대(21)와 제2수평지지대(22)가 교차하는 부분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2돌기부(42)는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선반(30)의 중심 하부에 돌출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돌기부(41)와 제2돌기부(42)는 둘 중 어느 하나의 직경이 작고, 나머지 하나의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작은 직경을 갖는 것이 큰 직경을 갖는 것의 안쪽에 끼워져 결합 즉 끼움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돌기부(41)의 직경이 상기 제2돌기부(42)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2돌기부(42)가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돌기부(41)가 상기 제2돌기부(42)의 내부로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돌기부(41)와 제2돌기부(42) 사이에는 베어링(43)이 장착되어, 상기 제1돌기부(41)와 제2돌기부(42)의 상대적 회전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상기 제1돌기부(41)와 제2돌기부(42)의 끼움결합에 의해, 상기 선반(30)은 상기 수평프레임(20)의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결합부(40)를 이루는 상기 제2돌기부(42)는 상기 제1돌기부(4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 상기 선반(30)을 상기 회전결합부(40)에 의해 상기 수평프레임(20)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선반(30)의 지름은 마주보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0)의 간격보다 작도록 한다.
이를 통해, 한쌍의 상기 수직프레임(10)의 안쪽에 배치된 선반(30)을 상기 수평프레임(20)에서 분리한 후, 상기 수직프레임(10)에서 용이하게 밖으로 꺼낼 수 있다.
위와 같이 상기 선반(30)을 상기 수직프레임(10)의 상부에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선반(30)의 상부에 놓인 공구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작업자가 상기 선반(30)을 회전시켜 근거리에서 용이하게 공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50)는 상기 수평프레임(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선반(30)의 하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부재(50)는 상기 회전결합부(40)의 둘레에서 상기 수평프레임(20)의 상부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상기 선반(30)의 가장자리 하부를 지지한다.
이러한 상기 지지부재(50)에 의해 상기 선반(30)의 지름이 큰 경우에도 상기 선반(30)의 가장자리가 자중에 의해 아랫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재(50)는, 결합판(51)과, 브라켓(52)과, 볼부재(53)와, 지지바퀴(54)로 이루어지고, 각 수평프레임(20)에 4개의 지지부재(50)가 장착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재(50)는 상기 제1수평지지대(21)의 상부에 2개, 상기 제2수평지지대(22)의 상부에 2개 결합되어 있다.
상기 결합판(51)은 상기 수평프레임(20)의 상부에 결합된다.
상기 브라켓(52)은 상기 결합판(51)의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볼부재(53)는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결합판(51)과 브라켓(52)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결합판(51)에 대한 상기 브라켓(52)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지지바퀴(54)는 상기 브라켓(52)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선반(30)의 하부는 상기 지지바퀴(54)에 접하고, 상기 선반(30)의 회전시 상기 지지바퀴(54)는 회전하면서 동시에 상기 브라켓(52)이 상기 결합판(5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상기 지지부재(50)가 상기 선반(30)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면서도 상기 선반(30)이 수평방향으로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캐스터(58)로 이루어져 상기 수평프레임(20)의 상부에 결합됨으로서, 상기 선반(3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할 수 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수평프레임(20)의 상부와 상기 선반(30)의 하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선반(30)을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6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위와 같은 상기 탄성부재(63)는 코일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선반(30)을 상기 수평프레임(20)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63)는 중심에 위치한 상기 회전결합부(40)를 감싸면서 배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상기 탄성부재(63)에 의해, 무거운 공구를 상기 선반(30) 위에 올려놓을 경우 상기 탄성부재(63)가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주변에 놓여 있는 다른 공구들에 충격 및 진동이 가해져 공구들이 선반(30)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무거운 공구를 선반(30) 위에 올려놓을 경우 선반(30)에는 충격에 따른 진동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선반(30)에 올려져 있던 다른 공구들에 진동 등의 외력이 작용하여 선반(30)의 아래로 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선반(30)의 하부에 탄성부재(63)가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무거운 공구를 선반(30)에 올려놓을 경우 무거운 공구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을 상기 탄성부재(63)에서 흡수하게 되는바, 선반(30)에 올려져 있던 다른 공구들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어 선반(30)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반(30)에는 상기 선반(30)의 외주면을 따라 걸림턱부재(65)가 결합된다.
상기 걸림턱부재(65)의 두께는 상기 선반(30)의 두께보다 크고, 상기 걸림턱부재(65)의 일면에는 상기 선반(30)의 외주면이 삽입되는 삽입홈(66)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부재(65)의 상면과 하면은 상기 선반(30)의 상면 및 하면보다 더 돌출된다.
위와 같은 상기 걸림턱부재(65)에 의해 작업자가 상기 선반(30)을 잡고 회전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선반(30)보다 두께가 두꺼운 상기 걸림턱부재(65)를 잡음으로써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선반(30)을 보다 용이하고 강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턱부재(65)에 의해 상기 선반(30)에 놓인 공구가 상기 선반(30)으로부터 밀려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걸림턱부재(65)는 탄성재질의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선반(30)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결합된다.
즉, 상기 걸림턱부재(65)는 고무, 실리콘 등의 튜브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력을 가하여 상기 걸림턱부재(65)에 형성된 상기 삽입홈(66)에 상기 선반(30)의 외주면을 삽입하여, 상기 걸림턱부재(65)가 상기 선반(30)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결합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걸림턱부재(65)가 고무 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마찰력이 증대되어, 작업자가 상기 걸림턱부재(65)를 보다 용이하게 잡을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회전식 공구대에 의해, 상기 선반(30) 위에 공구를 올려 놓고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상기 선반(30)을 회전시켜 멀리 있는 공구를 근접하게 위치시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바,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인 회전식 공구대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수직프레임,
20 : 수평프레임, 21 : 제1수평지지대, 22 : 제2수평지지대,
30 : 선반,
40 : 회전결합부, 41 : 제1돌기부, 42 : 제2돌기부, 43 : 베어링,
50 : 지지부재, 51 : 결합판, 52 : 브라켓, 53 : 볼부재, 54 : 지지바퀴, 58 : 볼캐스터,
61 : 이동바퀴, 63 : 탄성부재, 65 : 걸림턱부재, 66 : 삽입홈.

Claims (8)

  1. 다수개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에 결합된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안쪽에서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는 선반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 중심과 상기 선반의 하부 중심에 형성되어 상기 선반을 상기 수평프레임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전결합부와;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선반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회전결합부의 둘레에서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상기 선반의 가장자리 하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공구대.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볼캐스터로 이루어져 상기 선반의 하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공구대.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결합판과;
    상기 결합판의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브라켓과;
    상기 결합판과 브라켓 사이에 배치된 다수개의 볼부재와;
    상기 브라켓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바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선반의 하부는 상기 지지바퀴에 접하고,
    상기 선반의 회전시 상기 지지바퀴는 회전하면서 동시에 상기 브라켓이 상기 결합판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공구대.
  4.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은 2개 이상으로 이루어져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수평프레임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상기 수직프레임에 결합되어 연결하는 제1수평지지대와;
    상기 제1수평지지대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제2수평지지대;로 이루어지며,
    상기 선반의 지름은 마주보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의 간격보다 작고,
    상기 제1수평지지대와 제2수평지지대는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어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1수평지지대와 제2수평지지대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선반은 상기 회전결합부에 의해 상기 수평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공구대.
  5.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회전결합부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에 돌출 결합된 원기둥형상의 제1돌기부와;
    상기 선반의 하부에 돌출 결합되고, 상기 제1돌기부와 끼움 결합되는 원기둥형상의 제2돌기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공구대.
  6. 청구항5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와 상기 선반의 하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선반을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회전결합부를 감싸면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공구대.
  7.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선반의 외주면을 따라 결합되는 걸림턱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걸림턱부재의 두께는 상기 선반의 두께보다 크고,
    상기 걸림턱부재의 일면에는 상기 선반의 외주면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부재의 상면과 하면은 상기 선반의 상면 및 하면보다 더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공구대.
  8. 청구항7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부재는 탄성재질의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선반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공구대.
KR1020160149936A 2016-11-11 2016-11-11 회전식 공구대 KR101692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936A KR101692288B1 (ko) 2016-11-11 2016-11-11 회전식 공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936A KR101692288B1 (ko) 2016-11-11 2016-11-11 회전식 공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2288B1 true KR101692288B1 (ko) 2017-01-04

Family

ID=57831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9936A KR101692288B1 (ko) 2016-11-11 2016-11-11 회전식 공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22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61609A (zh) * 2021-12-16 2022-04-01 镇江西门子母线有限公司 一种母线连接器铜排旋转物料车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717Y1 (ko) * 1994-04-09 1997-06-11 주식회사 칸타빌레 회전옷걸이
KR200234399Y1 (ko) 2001-03-20 2001-10-08 이중원 이동식 회전공구함
KR20010100090A (ko) * 2001-09-22 2001-11-14 최병은 음료 용기 뚜껑용 유희기구
KR20110109196A (ko) 2010-03-30 2011-10-06 현대제철 주식회사 공구 보관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717Y1 (ko) * 1994-04-09 1997-06-11 주식회사 칸타빌레 회전옷걸이
KR200234399Y1 (ko) 2001-03-20 2001-10-08 이중원 이동식 회전공구함
KR20010100090A (ko) * 2001-09-22 2001-11-14 최병은 음료 용기 뚜껑용 유희기구
KR20110109196A (ko) 2010-03-30 2011-10-06 현대제철 주식회사 공구 보관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61609A (zh) * 2021-12-16 2022-04-01 镇江西门子母线有限公司 一种母线连接器铜排旋转物料车
CN114261609B (zh) * 2021-12-16 2024-01-26 镇江西门子母线有限公司 一种母线连接器铜排旋转物料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7968B1 (ko) 행거 그립을 이용한 휴대폰 거치대
US8245856B1 (en) Remote control car support apparatus
US8109479B1 (en) Multi-vacuum mount type support device
TW201348626A (zh) 支撐結構
KR101692288B1 (ko) 회전식 공구대
TWM250204U (en) Adjustable pedestal assembly
KR20170085804A (ko) 다용도 회전 모니터 스탠드
CN220440744U (zh) 手机支架
KR200449442Y1 (ko) 게시판 회전장치
CN102846041A (zh) 一种家具
US6516959B1 (en) Caddy for cleaning equipment
CN207251718U (zh) 可旋转的手机支撑装置
JP3185369U (ja) 撮影器機固定具
KR20170047600A (ko) 코너 선반
CN203839023U (zh) 重力自锁吉他架
KR200474864Y1 (ko) 자전거 거치대
JP3228603U (ja) 柄支持具
CN206162412U (zh) 一种键盘固定装置
US881345A (en) Display-stand.
CN212939095U (zh) 一种传统文化教学用展示装置
CN108937398A (zh) 一种网球拍固定器
TWI825532B (zh) 立式電路板承載裝置
KR101511897B1 (ko) 하단 다이아프램 거치대
CN211722444U (zh) 一种工程造价用图纸展板
CN210485209U (zh) 一种支架的多方位转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