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168U - 마운팅 부재 - Google Patents

마운팅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168U
KR20180002168U KR2020170000101U KR20170000101U KR20180002168U KR 20180002168 U KR20180002168 U KR 20180002168U KR 2020170000101 U KR2020170000101 U KR 2020170000101U KR 20170000101 U KR20170000101 U KR 20170000101U KR 20180002168 U KR20180002168 U KR 2018000216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portable device
mounting member
insertion hol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1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7229Y1 (ko
Inventor
장진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억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억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억스코리아
Priority to KR20201700001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229Y1/ko
Priority to PCT/KR2018/000170 priority patent/WO2018128411A1/ko
Priority to US16/476,237 priority patent/US20200189486A1/en
Publication of KR201800021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1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2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2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1/00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5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cycl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B62J1/00 - B62J45/00
    • B62J50/20Information-providing devices
    • B62J50/21Information-providing devices intended to provide information to rider or passenger
    • B62J50/225Mounting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63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adhesive means, e.g. hook and loop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휴대용 기기 및 상기 휴대용 기기의 일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된 고리를 구비한 휴대용 기기 액세서리를 대상체 상에 장착하는 마운팅 부재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부재는 평판 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하를 관통하고 상기 몸체에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고리가 상기 몸체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삽입되는 고리 삽입홀 및 상기 몸체의 하부면에 상기 고리 삽입홀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리 삽입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한 고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운팅 부재{MOUNTING MEMBER}
본 고안은 마운팅 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기기 및 상기 휴대용 기기의 일면에 고정되며 고리를 구비한 휴대용 기기 액세서리를 대상체에 장착하는 마운팅 부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폰, PMP 등과 같은 휴대용 기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휴대용 기기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다양한 액세서리가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용 기기의 일측에 스트랩(strap) 형태의 액세서리가 구비되어 휴대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기기는 대체로 손으로 파지하여 이용하지만 장시간 동영상을 보거나 경우에 따라 책상 등과 같은 바닥면에 거치하여 이용할 수 있다.
기존의 휴대용 기기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차량, 자전거, 셀카봉 등)에 고정하는 일반적인 방식은 집게 방식 또는 스프링 탄성 구조를 이용하여 휴대용 기기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가 사용된다.
이러한 집게 방식의 단점은 휴대용 기기의 크기에 비례하여 집게 구조가 커져야 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최근 스마트폰 및 태블릿의 크기가 점점 대형화되는 경황에 따라 상기 집게 방식의 고정 부재 또한 그 크기가 비례하여 커져야 하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이는 운전중 시야 확보에도 매우 방해가 되며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도 차량의 대시 보드를 넓게 차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집게 방식의 고정 부재들의 대부분은 스프링으로 휴대용 기기를 파지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는 외부 충격에 매우 취약하여 자동차 또는 자전거 운행 중 요철이나 사진 촬영 중 충격 등에 스프링 구조의 탄성력 때문에 휴대용 기기를 잡고 있는 집게로부터 이탈하여 고가의 스마트기기의 낙하로 파손의 우려가 높다.
본 고안은 휴대용 기기를 견고하게 대상체 상에 장착할 수 있는 마운팅 부재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휴대용 기기 및 상기 휴대용 기기의 일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된 고리를 구비한 휴대용 기기 액세서리를 대상체 상에 장착하는 마운팅 부재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부재는 평판 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하를 관통하고 상기 몸체에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고리가 상기 몸체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삽입되는 고리 삽입홀 및 상기 몸체의 하부면에 상기 고리 삽입홀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리 삽입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한 고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마운팅 부재는 상기 고리 삽입홀에 수용된 상태에서 회전하는 고리의 회전을 돕기 위해 상기 몸체의 하부면에서 상기 고리 삽입홀과 상기 고정홈 사이에 상기 고리 삽입홀과 상기 고정홈의 교차점을 향해 경사지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마운팅 부재는 상기 몸체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고리를 상기 휴대용 기기에 접착하는 접착판을 수용하는 수용홈을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휴대용 기기 액세서리는 상기 접착판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며 상기 고리와 상기 접착판을 연결하는 연결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마운팅 부재는 상기 몸체에서 상기 고리 삽입홀과 상기 고정홈의 교차점에 상하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연결 블록이 삽입되는 연결 블록 삽입홀을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마운팅 부재는 상기 몸체의 하부면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를 상기 대상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는, 수평 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을 따라 상기 대상체가 고정되는 클램프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는, 상기 대상체와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 나사 홈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는 상기 대상체에 접착시키는 접착 부재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재는 휴대용 기기의 일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된 고리를 몸체의 고리 삽입홀에 상방에서 하방으로 삽입하여 상기 고리를 회전함으로써 상기 고리를 상기 몸체에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용 기기 및 상기 고리를 구비한 휴대용 기기 액세서리를 상기 마운팅 부재에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운팅 부재는 고정홈을 이용하여 상기 고리 삽입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한 고리를 고정한다. 따라서, 진동 등에 의해 상기 고리가 상기 고리 삽입홀을 향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고리가 상기 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 부재는 상기 몸체 상부면에 형성된 수용홈으로 상기 고리를 상기 휴대용 기기에 접착하는 접착판을 수용한다. 따라서, 상기 접착판이 상기 몸체의 상부면에 밀착될 수 있으므로 상기 몸체에 대해 상기 접착판이 요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휴대용 기기 및 상기 고리를 구비한 휴대용 기기 액세서리를 상기 마운팅 부재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마운팅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마운팅 부재에 휴대용 기기 및 액세서리가 장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고안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마운팅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마운팅 부재에 휴대용 기기 및 액세서리가 장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재(100)는 몸체(110), 고리 삽입홀(120), 고정홈(130), 경사면(140), 연결 블록 삽입홀(150) 및 고정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부재(100)는 휴대용 기기(10) 및 상기 휴대용 기기의 일면에 구비되는 휴대용 기기(20)를 대상체 상에 장착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휴대용 기기(10)의 예로는 휴대폰, PMP, MP3 플레이어, 전자사전, 태블릿 PC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대상체의 예로는 거치대, 플레이트, 차량용 대시 보드, 셀카봉, 자전거와 오토바이의 핸들바 등을 들 수 있다.
휴대용 기기 액세서리(20)는 휴대용 기기(10)의 일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된 고리(22), 고리(22)를 휴대용 기기(10)에 접착하는 접착판(24), 고리(22)와 접착판(24)을 연결하며 접착판(24)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연결 블록(26)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기기 액세서리(20)의 일 예에 대하여는 본 출원인이 2013.04.12.일자로 대한민국특허청에 출원한 특허출원번호 제10-2013-0040554호의 명세서에 자세하게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나아가, 상기 휴대용 기기 액세서리(20)는 휴대용 기기(10)의 일면에 고리(22)가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형태이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몸체(110)는 평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몸체(110)는 직사각형 모양의 평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몸체(110)의 하면은 상기 대상체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고리 삽입홀(120)은 몸체(110)의 상하를 관통하며, 몸체(110)에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때, 고리 삽입홀(120)의 길이는 고리(22)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고리(22)가 고리 삽입홀(12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고리(22)가 몸체(110)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삽입될 수 있다.
고리(22)가 고리 삽입홀(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리(22)를 회전함으로써 고리(22)를 몸체(110)에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기기(10) 및 고리(22)를 구비한 휴대용 기기 액세서리(20)를 마운팅 부재(100)에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몸체(110)는 수용홈(112)을 갖는다. 수용홈(112)은 몸체(110)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접착판(24)을 수용한다. 따라서, 접착판(24)이 몸체(110)와 밀착되며, 접착판(24)이 몸체(110)에 대해 요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휴대용 기기(10) 및 고리(22)를 구비한 휴대용 기기 액세서리(20)를 마운팅 부재(100)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고정홈(130)은 몸체(110)의 하부면에 고리 삽입홀(120)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된다. 고리 삽입홀(120)의 연장 방향과 고정홈(130)의 연장 방향은 다양한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고리 삽입홀(120)의 연장 방향과 고정홈(130)의 연장 방향은 서로 직교할 수 있다. 고정홈(130)은 고리 삽입홀(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한 고리(22)를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등에 의해 고리(22)가 고리 삽입홀(120)을 향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고리(22)가 몸체(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경사면(140)이 없는 경우, 고리(22)가 고리 삽입홀(120)에 수용된 상태에서 회전할 때 고리 삽입홀(120)과 고정홈(130) 사이의 몸체(110)가 걸림턱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고리(22)를 회전시키기 어렵다.
경사면(140)은 몸체(110)의 하부면에서 고리 삽입홀(120)과 고정홈(130) 사이에 형성되며, 고리 삽입홀(120)과 고정홈(130)의 교차점을 향해 경사진다. 고리(22)가 고리 삽입홀(120)에 수용된 상태에서 경사면(140)을 따라 고리 삽입홀(120)과 고정홈(130) 사이를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경사면(140)으로 인해 고리 삽입홀(120)에 수용된 고리(22)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연결 블록 삽입홀(150)은 몸체(110)에서 고리 삽입홀(120)과 고정홈(130)의 교차점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구비된다. 연결 블록(26)이 연결 블록 삽입홀(150)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블록(26)이 몸체(110)에 걸려 고리(22)가 고리 삽입홀(120)에 삽입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부(160)는 몸체(110)의 하부면에 구비되며, 몸체(110)를 상기 대상체에 고정한다.
일 예로, 고정부(160)는 클램프일 수 있다. 상기 클램프는 수평 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을 따라 상기 대상체가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고정부(160)는 상기 대상체와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 나사 홈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대상체는 셀카봉, 삼각대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대상체의 체결부에는 상기 나사 홈과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돌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고정부(160)는 상기 대상체에 접착되는 접착 부재일 수 있다. 상기 접착 부재의 예로는 접착 테이프 또는 자성을 이용하는 자성체를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착 부재는 몸체(110)의 하부면에 직접 구비되지 않고, 상기 접착 부재는 몸체(110)의 하부면 사이에 몸체(110)의 하부면에 나사 체결되는 베이스 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고정부(160)는 진공력으로 상기 대상체를 흡착하는 흡착판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휴대용 기기 20 : 액세서리
100 : 마운팅 부재 110 : 몸체
120 : 고리 삽입홀 130 : 고정홈
140 : 경사면 150 : 연결 블록 삽입홀
160 : 고정부

Claims (8)

  1. 휴대용 기기 및 상기 휴대용 기기의 일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된 고리를 구비한 휴대용 기기 액세서리를 대상체 상에 장착하는 마운팅 부재에 있어서,
    평판 형태의 몸체;
    상기 몸체의 상하를 관통하고 상기 몸체에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고리가 상기 몸체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삽입되는 고리 삽입홀; 및
    상기 몸체의 하부면에 상기 고리 삽입홀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리 삽입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한 고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 삽입홀에 수용된 상태에서 회전하는 고리의 회전을 돕기 위해 상기 몸체의 하부면에서 상기 고리 삽입홀과 상기 고정홈 사이에 상기 고리 삽입홀과 상기 고정홈의 교차점을 향해 경사지는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 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고리를 상기 휴대용 기기에 접착하는 접착판을 수용하는 수용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 부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기기 액세서리는 상기 접착판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며 상기 고리와 상기 접착판을 연결하는 연결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에서 상기 고리 삽입홀과 상기 고정홈의 교차점에 상하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연결 블록이 삽입되는 연결 블록 삽입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 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하부면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를 상기 대상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 부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수평 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을 따라 상기 대상체가 고정되는 클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 부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대상체와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 나사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 부재.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대상체에 접착시키는 접착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 부재.
KR2020170000101U 2017-01-05 2017-01-05 마운팅 부재 KR2004872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101U KR200487229Y1 (ko) 2017-01-05 2017-01-05 마운팅 부재
PCT/KR2018/000170 WO2018128411A1 (ko) 2017-01-05 2018-01-04 마운팅 부재
US16/476,237 US20200189486A1 (en) 2017-01-05 2018-01-04 Mounting memb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101U KR200487229Y1 (ko) 2017-01-05 2017-01-05 마운팅 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168U true KR20180002168U (ko) 2018-07-13
KR200487229Y1 KR200487229Y1 (ko) 2018-08-23

Family

ID=62789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101U KR200487229Y1 (ko) 2017-01-05 2017-01-05 마운팅 부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00189486A1 (ko)
KR (1) KR200487229Y1 (ko)
WO (1) WO20181284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3069B1 (ko) * 2018-12-27 2021-07-28 전우진 휴대 단말기용 고리 홀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968B1 (ko) * 2013-10-31 2015-10-08 한용석 행거 그립을 이용한 휴대폰 거치대
US20160039357A1 (en) * 2013-04-12 2016-02-11 Aauxx Korea Co., Ltd Mobile device accessory and apparatus for mounting the same on an automotive
KR20160100877A (ko) * 2016-08-09 2016-08-24 장진태 마운팅 부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763B1 (ko) * 2012-07-16 2013-04-11 노선수 휴대기기용 다기능 액세서리
KR101481256B1 (ko) * 2013-04-12 2015-01-15 주식회사 억스코리아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
US9019698B2 (en) * 2013-05-30 2015-04-28 Jean-Michel Thiers Mounting system for electronic device
KR101650766B1 (ko) * 2015-01-06 2016-08-29 장진태 마운팅 부재
KR101608754B1 (ko) * 2015-09-07 2016-04-04 전효진 휴대용 전자,전기 기기의 액세서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39357A1 (en) * 2013-04-12 2016-02-11 Aauxx Korea Co., Ltd Mobile device accessory and apparatus for mounting the same on an automotive
JP2016515783A (ja) * 2013-04-12 2016-05-30 エイエイユーエックスエックス コリア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Aauxx Korea Co.,Ltd モバイル機器のアクセサリ及びそれを有するモバイル機器の車両装着装置
KR101557968B1 (ko) * 2013-10-31 2015-10-08 한용석 행거 그립을 이용한 휴대폰 거치대
KR20160100877A (ko) * 2016-08-09 2016-08-24 장진태 마운팅 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89486A1 (en) 2020-06-18
KR200487229Y1 (ko) 2018-08-23
WO2018128411A1 (ko) 2018-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8148B2 (en) Finger grip mounting apparatus
US9366383B2 (en)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US7984886B2 (en) Carrying apparatus for automobile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80251078A1 (en) Apparatus for holding portable device
US10428997B2 (en) Mounting member
US2019018509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mountable multi-positional device holder
US10330251B2 (en) Finger grip mounting apparatus
US20150351531A1 (en) Smartphone or tablet mounting device and method
US8720837B2 (en) Support frame for electronic device
US20080298026A1 (en) Holder for electronic device
US20130242472A1 (en) Electronic device with support mechanism
US7413159B2 (en) Stand for retaining computer chassis
CN108799709A (zh) 夹持装置
KR101650766B1 (ko) 마운팅 부재
US20140144606A1 (en) Bracket for supporting electronic device
KR20120125931A (ko) 볼 조인트 및 이를 구비한 장치 거치대
KR20090075379A (ko) 휴대용 단말기의 차량용 거치대
KR200487229Y1 (ko) 마운팅 부재
US8696282B2 (en) Cantilever-type standoff
US9738234B2 (en) Fastening apparatus
US8422208B2 (en) Stand fixing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20180060460A (ko) 자전거 거치기능을 갖는 셀카봉
KR20160000276U (ko) 스마트폰 등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차량용 거치대
KR101485262B1 (ko) 휴대용 기기 거치대
KR101756172B1 (ko) 마운팅 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