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4749B1 - 벽걸이 거치대 - Google Patents

벽걸이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4749B1
KR101044749B1 KR1020110037045A KR20110037045A KR101044749B1 KR 101044749 B1 KR101044749 B1 KR 101044749B1 KR 1020110037045 A KR1020110037045 A KR 1020110037045A KR 20110037045 A KR20110037045 A KR 20110037045A KR 101044749 B1 KR101044749 B1 KR 101044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wall
panel
mounting panel
bas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7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숙
Original Assignee
(주)정일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일솔루션 filed Critical (주)정일솔루션
Priority to KR1020110037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47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4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4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전제품이나 액자 등의 벽걸이 대상체를 벽면에 거치시키는 벽걸이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고, 벽걸이 대상체의 탈착이 용이하고, 장착 공간이 협소하여 벽걸이 대상체가 벽면에 붙어 있는 느낌으로 거치대고, 벽걸이 대상체에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대상체의 틸팅이 용이하게 안정하게 행해지고, 케이블 연결 후 틸팅 상태를 원상태로 복귀가 부드럽게 행해져 충격에 의한 거치대나 대상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벽걸이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 거치대는 벽면에 지지 고정되는 베이스패널; 상기 베이스패널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거치패널; 상기 거치패널에 벽걸이 대상체를 거치시키는 거치수단; 상기 베이스패널에 대한 상기 거치패널의 틸팅 상태를 유지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패널과 거치패널을 힌지결합시키는 힌지결합수단은 상기 베이스패널 내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하부가 개방된 축홀을 형성하는 축결합부와, 상기 거치패널 상부 내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축홀에 삽입되어 힌지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축홀의 개방부에 배치되어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회전제한부와, 상기 회전제한부에 연결되며 상부면은 상기 축결합부의 외면을 감싸도록 라운드진 라운드부를 포함하는 힌지부와, 자중에 의한 복귀 회전에 저항하는 저항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벽걸이 거치대{Wall mounting supporter}
본 발명은 가전제품이나 액자 등의 벽걸이 대상체를 벽면에 거치시키는 벽걸이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고, 벽걸이 대상체의 탈착이 용이하고, 장착 공간이 협소하여 벽걸이 대상체가 벽면에 붙어 있는 느낌으로 거치대고, 벽걸이 대상체에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대상체의 틸팅이 용이하게 안정하게 행해지고, 케이블 연결 후 틸팅 상태를 원상태로 복귀가 부드럽게 행해져 충격에 의한 거치대나 대상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벽걸이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실내 공간을 넓게 사용하기 위해 TV나 에어컨 등을 벽면에 걸어 거치시키거나, 액자나 광고판 등이 시야에 잘 보이는 위치의 벽면(또는 전시판)에 걸어 거치시키기 위해 벽걸이 거치대를 사용하고 있다.
이처럼 벽걸이 대상체(예;TV, 에어컨, 액자, 광고판 등)를 벽면에 거치시키는 벽걸이 거치대에 관한 발명이 다양하게 개시되었다.
개시된 종래기술의 벽걸이 거치대로는 공개특허 제2006-0049896호 "표시장치의 벽걸이 지지 장치", 공개특허 제2009-0072775호 "디스플레이 지지장치", 등록특허 제0643914호 "디스플레이 기기의 거치 구조" 등이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거치대들을 보면 구조가 상당히 복잡하고 부피가 커서 제조원가가 고가이고, 거치시 대상체가 벽면에서 상당히 이격되어 거치되어 미관이 좋지 않고 주변 통행인이 부딪혀 다칠 염려가 있다.
그리고 벽걸이 거치대는 거치되는 대상체에 케이블을 연결하거나 거치된 대상체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회전수단(즉, 힌지결합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거치대를 보면 회전수단이 축핀과 상기 축핀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결합되는 축홀로 구성되어, 축핀의 회전이 자유롭다.
거치대는 벽면에 고정되는 베이스패널과 대상체가 거치되고 상기 베이스패널과 힌지결합되는 거치패널을 포함하는데, 축핀의 회전이 자유로운 경우에, 사용자가 대상체(또는 거치대)를 잡고 들어올리거나 밀어내려 회전시키는 때에 회전범위가 크고 그 힘이 과도하면 베이스패널과 거치패널이 힌지결합부위에서 서로 부딪히고, 부딪히는 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축핀의 회전이 자유로운 경우에, 사용자가 대상체(또는 거치대)를 잡고 들어올리거나 밀어내리다가 놓치게 되면 자중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 회전을 하게 되고, 그에 따라 베이스패널과 거치패널이 힌지결합부위에서 서로 부딪히고, 부딪히는 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축핀의 회전이 자유로운 경우에, 사용자가 거치된 대상체에 케이블을 연결할 때에는 대상체와 벽면 사이에 작업 공간이 형성하기 위해 대상체를 케이블 연결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계속적으로 잡고 있어야 하는 불편이 있다. 이런 불편을 없애기 위해 거치대에 별도의 고정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거치대가 있는데, 별도의 고정수단을 구비함으로써 구조가 복잡해지고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와, 수작업으로 고정수단을 고정시키고 고정을 해제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그리고 종래기술에 따른 벽걸이 거치대는 대상체가 볼트 등으로 고정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그래서 대상체를 거치대에 거치시키거나 분리시키는 것, 즉, 거치대에 탈부착하는 작업이 불편하고 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벽걸이 거치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베이스패널과 거치패널의 힌지결합 부위에 자중에 위한 복귀 회전에 저항, 다시 말해 틸팅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저항부를 도입하여 과도한 힘으로 과도하게 회전시키지 아니하도록 예방하여 거치대의 손상을 방지하고, 들어올리거나 밀어내리는 도중에 놓치더라도 그 상태를 유지하거나 서서히 회전하도록 하여 부딪히는 충격에 의해 거치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대상체에 케이블 연결작업이 편리한 벽걸이 거치대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구조를 단순화하고 부피를 작게 하여 저렴하고, 대상체가 벽면에 붙어 있는 느낌으로 거치되고, 대상체의 탈착이 용이한 벽걸이 거치대를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 거치대는
벽면에 지지 고정되는 베이스패널;
상기 베이스패널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거치패널;
상기 거치패널에 벽걸이 대상체를 거치시키는 거치수단;
상기 베이스패널에 대한 상기 거치패널의 틸팅 상태를 유지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패널과 거치패널을 힌지결합시키는 힌지결합수단은
상기 베이스패널 내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하부가 개방된 축홀을 형성하는 축결합부와,
상기 거치패널 상부 내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축홀에 삽입되어 힌지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축홀의 개방부에 배치되어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회전제한부와, 상기 회전제한부에 연결되며 상부면은 상기 축결합부의 외면을 감싸도록 라운드진 라운드부를 포함하는 힌지부와,
자중에 의한 복귀 회전에 저항하는 저항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힌지결합수단의 저항부는
상기 베이스패널 내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축결합부 하부에 구비되고, 상부면에 지지홈이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와,
상기 라운드부의 하부면에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지지홈에 밀착되어 접촉 저항으로 틸팅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거치수단은
내측부와, 상기 내측부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외측부와, 상기 내측부와 외측부를 연결하며 상기 내측부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벽걸이 대상체에 고정결합되는 고정핀을 구비한 홀더와,
상기 거치패널에 형성되며 상기 내측부가 삽입되는 삽입홀과, 상기 삽입홀 하부에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의 외경에 상응하는 내경을 갖는 걸림홀,
상기 거치패널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내측부를 탄성지지하고, 상기 걸림홀에 안착된 상기 내측부 상단을 지지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가 형성된 락킹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베이스패널 내면에 고정되고, 좌우 양측에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거치패널 내면에 고정되고, 좌우 양측에 상기 걸림부 단부에 걸려 틸팅 상태를 유지시키는 걸림돌기가 하부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거치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 거치대는 베이스패널과 거치패널을 힌지결합시키는 힌지결합수단에 저항부를 도입하여 틸팅된 상태를 유지하려 하고 자중에 의해 자유회전하는 것을 제한하여 베이스패널과 거치패널이 강하게 부딪혀 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예방하고,
거치수단의 홀더와 삽입홀 및 걸림홈은 대상체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하고, 락킹탄성체는 대상체를 탄성지지하면서 견고하게 잡아주어 우발적인 외부 충격에 의해 거치된 대상체가 거치대에서 쉽게 분리이탈되지 않고,
스토퍼는 대상체를 들어올리면 자연스럽게 고정시켜 틸팅 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케이블의 대상체에의 연결 작업이 편리하고,
벽걸이 거치대는 전체적으로 구조와 구성이 간단하여 저렴하고, 부피가 작아 장착공간을 협소하게 차지하여 대상체가 벽면에 붙어 있는 듯이 거치되고, 그에 따라 통행인이 부딪혀 다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벽걸이 거치대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 거치대를 사용하여 대상체가 거치된 상태의 틸팅 전후의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 거치대의 사시도.
도 3 은 도2에 도시된 벽걸이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
도 4 는 거치수단을 중심으로 한 거치 전후의 단면도.
도 5 는 힌지결합수단 및 스토퍼를 중심으로 한 틸팅 전후의 단면도.
이하,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 거치대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 거치대(H)는 베이스패널(10), 거치패널(20), 거치수단(40), 스토퍼(50), 힌지결합수단(60)의 대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패널(10)은 장방형의 직사각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벽면(W)에 지지 고정된다.
상기 베이스패널(10)의 상부 내면에는 상기 힌지결합수단(60)으로 축결합부(61)와 지지부(65)가 돌출 형성되고, 내면 중앙에는 상기 스토퍼(50)로서 베이스플레이트(51)가 고정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패널(10)은 좌측에서 우측까지 단면 형상이 동일하므로 압출 방식으로 생산하는 것이 경제적이다. 물론, 사출 방식이나 프레스 방식으로도 생산할 수 있다.
상기 거치패널(20)은 상기 베이스패널(10)에 대응하여 장방형의 직사각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전방에 벽걸이 대상체(S)가 상기 거치수단(40)을 통해 거치된다.
상기 거치패널(20)의 상부 내면에는 상기 힌지결합수단(60)으로 힌지부(63)가 돌출 형성되고, 내면 중앙에는 상기 스토퍼(50)로서 거치플레이트(55)가 고정 결합되고, 좌우측 소정 부위에는 상기 거치수단(40)으로서 삽입홀(45)과 걸림홀(47)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패널(10)을 벽면(W)에 고정하는 고정볼트(1)와 드라이버가 삽입 관통되는 관통공(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거치패널(20) 역시 좌측에서 우측까지 단면 형상이 동일하므로 압출 방식으로 생산하는 것이 경제적이다.
상기 거치수단(40)은 상기 베이스패널(10)에 벽걸이 대상체(S)를 간편하게 탈착 가능하게 거치시키는 수단으로서, 홀더(41), 삽입홀(45)과 걸림홀(47), 락킹탄성체(4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홀더(41)는 상기 거치패널(20)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측부(411)와,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부(413), 그리고 상기 내측부(411)와 외측부(413)를 연결하는 연결부(4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내측부(411)는 상기 거치패널(20)에 형성된 삽입홀(45)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홀(45)의 내경 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
상기 외측부(413)는 상기 삽입홀(45)에 삽입되지 않도록 삽입홀(45)의 내경 보다 큰 외경을 갖고,
상기 연결부(415)는 상기 거치패널(20)에 형성된 걸림홀(47)에 안착되어 걸릴 수 있도록 걸림홀(47)의 내경에 상응하는 외경을 가지며 흔들림 없이 걸림홈에 안착되어 걸리도록 거치패널(20)의 두께에 상응하는 폭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홀더(41)의 중앙에는 전후방을 관통하는 핀공(417)이 형성되고, 상기 핀공(417)에는 후방에서 고정핀(43)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홀더(41)의 핀공(417)에 삽입되어 전방으로 노출된 고정핀(43)의 전방부는 벽걸이 대상체(S)에 결합된다.
상기 삽입홀(45)과 걸림홀(47)을 상기 거치패널(20)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45)은 상기 홀더(41)의 내측부(411)가 삽입될 수 있는 내경을 갖고,
상기 걸림홀(47)은 상기 삽입홀(45)에 연결되어 그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홀더(41)의 연결부(415)가 안착되어 걸릴 수 있는 내경을 갖는다.
상기 락킹탄성체(49)는 상기 거치패널(20)의 내측에 구비되고, 삽입된 상기 홀더(41)의 내측부(411)를 탄성지지하고, 상기 홀더(41)가 상기 걸림홀(47)에 안착되면 홀더(41)의 상단을 접촉 지지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49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락킹탄성체(49)는 그 하단이 상기 거치패널(20)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삽입홀(45) 및 걸림홀(47) 전체를 덮을 수 있는 면적을 갖는다.
상기 락킹탄성체(49)는 상기 홀더(41)의 삽입홀(45)로 삽입되면 홀더(41)에 접촉되어 후퇴되고, 상기 홀더(41)가 하부로 이동되어 상기 걸림홀(47)에 안착되면 탄성력으로 복원되어 상기 이탈방지부(491)가 홀더(41)의 내측부(411) 상단에 걸린다.
그러면 상가 홀더(41)는 상기 락킹탄성체(49)에 탄성지지되고 이탈방지부(491)에 걸려 후진과 상승이 억제되어, 우발적인 외부 충격에 의해 홀더(41)가 거치패널(20)에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참고로, 벽걸이 대상체(S)를 거치대에서 분리시킬 때에는 상기 삽입홀(45)을 통해 상기 락킹탄성체(49)를 살짝 밀어 후퇴시켜 상기 이탈방지부(491)의 걸림을 해제한 후에 들어 올리면 된다.
상기 스토퍼(50)는 상기 베이스패널(10)과 거치패널(20)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거치패널(20)이 상기 베이스패널(10)에 대하여 틸팅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상기 스토퍼(50)는 상기 베이스패널(10) 내면에 고정 결합되는 베이스플레이트(51)와, 상기 거치패널(20) 내면에 고정 결합되는 거치플레이트(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는 상기 베이스패널(10) 내면에 접촉되며 볼트(3)로 고정되는 평면부(511)와, 상기 평면부(511) 양측에서 내측으로 수직 연결되는 수직부(513)와, 상기 수직부(511) 하단에서 내측으로 연결된 걸림부(52)로 구성된다.
상기 걸림부(52)의 상부면에는 상기 거치플레이트(55)에 구비된 걸림돌기(56)가 수용되어 전후방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5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52)는 탄성력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홈(53)의 방향으로 상기 평면부(511)에는 상기 거치플레이트(55)에 구비된 삽입돌기(57)가 삽입되는 삽입공(5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거치플레이트(55)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와 유사하게 상기 거치패널(20) 내면에 접촉되며 볼트(5)로 고정되는 평면부(551)와, 상기 평면부(551) 양측에서 내측으로 수직 연결되는 수직부(5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거치플레이트(55)의 수직부(553)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의 수직부(513) 내측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거치플레이트(55) 평편부(551)의 좌우폭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 평면부(511)의 좌우폭 보다 짧다.
그리고 상기 거치플레이트(55)의 수직부(553)의 하부에는 상기 걸림부(52)의 가이드홈(53)에 수용되는 걸림돌기(56)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하부 전방으로서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의 삽입공(54)에 삽입되는 삽입돌기(57)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돌기(56)는 양측으로 테이퍼진 구조로 돌출되고, 상기 걸림부(52)의 표면 보다 하부로 돌출되어, 걸림부(52)에 위치할 때에는 걸림부(52)의 표면에 가압 지지되고, 걸림부(52)를 벗어나는 때에는 탄성 복원된 걸림부(52) 단부에 걸린다. 물론, 클로우즈 상태(거치패널(20)이 베이스패널(10)에 최대한 근접된 상태)에서는 상기 걸림부(52)에 형성된 가이드홈(53)에 수용되어 가압 지지되는 상태는 해제된다.
이처럼 상기 걸림돌기(56)가 상기 걸림부(52)의 단부에 걸림으로써 틸팅 완료 상태(오픈 상태 ; 거치패널(20) 하단이 베이스패널(10) 하단에서 멀어진 상태)에서 거치된 대상체(S)의 자중이나 적은 힘의 우발적인 외력에 의해 거치패널(20)이 자연스럽게 회전하여 클로우즈 상태가 되지 않도록 틸팅 상태를 유지시킨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56)가 상기 걸림부(52)의 표면에 가압 지지됨으로써, 틸팅 과정에서 급작스럽게 거치패널(20)이 오픈되거나 클로우즈 상태로 회전되지 아니하도록 억제하여 충격에 의해 거치대나 대상체(S)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베이스패널(10)과 거치패널(20)을 상부에서 힌지결합시키는 상기 힌지결합수단(60)은 축결합부(61), 힌지부(63), 저항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참고로, 상기 축결합부(61), 힌지부(63), 저항부는 그 형성위치를 하기의 설명에 역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축결합부(61)는 상기 베이스패널(10) 상부 내면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하부의 일부 구간이 개방된 개방부(613)를 갖는 축홀(611)을 형성한다.
상기 힌지부(63)는 상기 거치패널(20)의 상부 내면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축홀(611)에 삽입되는 회전축(631)과,
상기 회전축(631)에 연결되며, 상기 개방부(613)에 배치되는 회전제한부(633)와,
상기 회전제한부(633)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축결합부(61)의 외면을 감싸는 라운드부(6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힌지부(63)는 측면에서 상기 축결합부(61)에 슬라이드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회전제한부(633)는 회전시 상기 축결합부(61)의 개방부(613) 양측에 접촉되어 걸림으로써 회전범위를 제한하고,
상기 라운드부(635)는 상부면이 라운드져 상기 축결합부(61)의 외면을 감쌈으로써, 내측에서 1차로 상기 회전축(631)과 상기 축홀(611)이 힌지결합되는 것에 추가하여, 외측에서 2차로 상기 라운드부(635)와 축결합부(61)가 힌지결합되도록 하여, 힌지결합의 안정성과 견고성을 증대시키고, 회전운동의 안정성을 증대시키도록 한다.
상기 저항부는 거치된 대상체(S)의 자중에 의한 힌지결합수단(60)의 복귀 회전에 저항한다.
상기 저항부는 상기 베이스패널(10) 내면, 그리고 상기 축결합부(61) 하부에 구비되어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65)와, 상기 라운드부(635)의 하면면에 형성되는 라운드진 구조의 밀착부(67)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65)의 상부면에는 지지홈(651)이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라운드부(635)의 밀착부(67)는 상기 지지홈(651)에 밀착되어 가압되도록 라운드진다.
그리하여 상기 라운드부(635)의 밀착부(67)가 상기 지지홈(651)에 가압 밀착되는 접촉저항에 의해 오픈 방향으로 회전된(틸팅된) 거치플레이트(55)가 클로우즈 방향으로 복귀 회전하는 것이 저항을 받아 틸팅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65)의 하부에는 체결홀(65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홀(653)에는 상기 베이스패널(10)과 거치패널(20)의 양측 개구부를 덮는 커버(30)를 체결시키는 체결핀이 결합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벽걸이 거치대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H : 벽걸이 거치대 S : 벽걸이 대상체
10 : 베이스패널 20 : 거치패널
30 : 커버 40 : 거치수단
41 : 홀더 43 : 고정핀
45 : 삽입홀 47 : 걸림홀
49 : 락킹탄성체 50 : 스토퍼
51 : 베이스플레이트 52 : 걸림부
55 : 거치플레이트 56 : 걸림돌기
60 : 힌지결합수단 61 : 축결합부
63 : 힌지부 65 : 지지부
67 : 밀착부

Claims (4)

  1. 벽면에 지지 고정되는 베이스패널;
    상기 베이스패널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거치패널;
    상기 거치패널에 벽걸이 대상체를 거치시키는 거치수단;
    상기 베이스패널에 대한 상기 거치패널의 틸팅 상태를 유지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패널과 거치패널을 힌지결합시키는 힌지결합수단은
    상기 베이스패널 내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하부가 개방된 축홀을 형성하는 축결합부와,
    상기 거치패널 상부 내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축홀에 삽입되어 힌지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축홀의 개방부에 배치되어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회전제한부와, 상기 회전제한부에 연결되며 상부면은 상기 축결합부의 외면을 감싸도록 라운드진 라운드부를 포함하는 힌지부와,
    자중에 의한 복귀 회전에 저항하는 저항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결합수단의 저항부는
    상기 베이스패널 내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축결합부 하부에 구비되고, 상부면에 지지홈이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와,
    상기 라운드부의 하부면에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지지홈에 밀착되어 접촉 저항으로 틸팅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거치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수단은
    내측부와, 상기 내측부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외측부와, 상기 내측부와 외측부를 연결하며 상기 내측부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벽걸이 대상체에 고정결합되는 고정핀을 구비한 홀더와,
    상기 거치패널에 형성되며 상기 내측부가 삽입되는 삽입홀과, 상기 삽입홀 하부에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의 외경에 상응하는 내경을 갖는 걸림홀,
    상기 거치패널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내측부를 탄성지지하고, 상기 걸림홀에 안착된 상기 내측부 상단을 지지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가 형성된 락킹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거치대.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베이스패널 내면에 고정되고, 좌우 양측에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거치패널 내면에 고정되고, 좌우 양측에 상기 걸림부 단부에 걸려 틸팅 상태를 유지시키는 걸림돌기가 하부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거치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거치대.
KR1020110037045A 2011-04-21 2011-04-21 벽걸이 거치대 KR101044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7045A KR101044749B1 (ko) 2011-04-21 2011-04-21 벽걸이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7045A KR101044749B1 (ko) 2011-04-21 2011-04-21 벽걸이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4749B1 true KR101044749B1 (ko) 2011-06-29

Family

ID=44406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7045A KR101044749B1 (ko) 2011-04-21 2011-04-21 벽걸이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474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69245A (zh) * 2017-04-20 2017-07-21 苏州胜利精密制造科技股份有限公司 电视壁挂架
KR20220007994A (ko) * 2020-07-13 2022-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20109104A (ko) * 2021-01-28 2022-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5151A (ko) * 2006-03-27 2008-12-03 사우스코 인코포레이티드 디스플레이 마운팅 장치
KR20100074745A (ko) * 2008-12-24 2010-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5151A (ko) * 2006-03-27 2008-12-03 사우스코 인코포레이티드 디스플레이 마운팅 장치
KR20100074745A (ko) * 2008-12-24 2010-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69245A (zh) * 2017-04-20 2017-07-21 苏州胜利精密制造科技股份有限公司 电视壁挂架
KR20220007994A (ko) * 2020-07-13 2022-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500526B1 (ko) 2020-07-13 2023-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20109104A (ko) * 2021-01-28 2022-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465071B1 (ko) * 2021-01-28 2022-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2557B1 (ko) 휴대단말기 거치링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JP3665063B2 (ja) 薄型表示装置及び表示部の抜脱方法
US8025265B2 (en) Stand for flat-panel display
US20120091298A1 (en) Supporting structure for display device
US20100284137A1 (en) Television with folding stand
CA2821502A1 (en) Article support device comprising a rotatable connection
KR101044749B1 (ko) 벽걸이 거치대
KR20190006413A (ko)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
JP2005115403A (ja) 薄型表示装置
CN112166281B (zh) 可调节式移动设备悬挂器
KR101321014B1 (ko) 휴대용 태블릿 pc 거치대
JP4169040B2 (ja) 壁掛け型表示装置
KR20190001650A (ko) 회전기능이 구비된 소화기거치대
KR20150033835A (ko)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및 시스템
JP2007086647A (ja) 表示装置
CN209943854U (zh) 一种显示器支架
CN220720962U (zh) 一种电子设备用的支架
CN220688459U (zh) 拉伸挂架及显示组件
CN215596848U (zh) 一种能够360度旋转的移动终端支架
CN213394520U (zh) 多功能支架
KR102421868B1 (ko) 다용도 거치대
CN216743582U (zh) 自动夹持的电子设备支架
KR102594521B1 (ko) 소화기 거치대
CN208402100U (zh) 一种车载音响
JP5748260B2 (ja) 吊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