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0526B1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0526B1
KR102500526B1 KR1020200085991A KR20200085991A KR102500526B1 KR 102500526 B1 KR102500526 B1 KR 102500526B1 KR 1020200085991 A KR1020200085991 A KR 1020200085991A KR 20200085991 A KR20200085991 A KR 20200085991A KR 102500526 B1 KR102500526 B1 KR 102500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open ring
pair
open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5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7994A (ko
Inventor
윤형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5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526B1/ko
Publication of KR20220007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7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을 덮는 백커버; 상기 백커버의 후방에서 상기 백커버에 결합되는 핀; 그리고, 상기 백커버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핀이 분리 가능하게 걸리는 행거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행거 어셈블리는: 길게 연장되는 라인; 상기 라인의 일부 구간이 끊어지고, 상기 끊어진 라인의 일부 구간을 연결하는 오픈 링(open ring);으로서, 상기 핀이 걸리는 오픈 링; 그리고, 상기 라인의 길이방향에서 상기 오픈 링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라인이 걸리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라인과 연결되는 상기 오픈 링의 양 말단 간의 거리는, 상기 핀의 상기 오픈 링에 걸리는 부분의 직경보다 작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DISPLAY DEVICE}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개시는 행거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벽과 같은 고정체에 설치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유기 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비하여 휘도 특성 및 시야각 특성이 우수하고 백라이트 유닛을 필요로 하지 않아 초박형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최근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개발 및 소비 동향에 맞추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벽에 설치할 수 있는 구조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백커버에 결합되는 핀과 벽과 같은 고정체에 고정된 행거 어셈블리를 통해 고정체에 근접하여 설치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좌우방향 및/또는 상하방향에서 고정체에 대한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행거 어셈블리가 틸팅 가능하게 구비되어 사용자가 행거 어셈블리를 통해 고정체에 설치된 백커버의 후방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을 덮는 백커버; 상기 백커버의 후방에서 상기 백커버에 결합되는 핀; 그리고, 상기 백커버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핀이 분리 가능하게 걸리는 행거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행거 어셈블리는: 길게 연장되는 라인; 상기 라인의 일부 구간이 끊어지고, 상기 끊어진 라인의 일부 구간을 연결하는 오픈 링(open ring);으로서, 상기 핀이 걸리는 오픈 링; 그리고, 상기 라인의 길이방향에서 상기 오픈 링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라인이 걸리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라인과 연결되는 상기 오픈 링의 양 말단 간의 거리는, 상기 핀의 상기 오픈 링에 걸리는 부분의 직경보다 작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의하면, 백커버에 결합되는 핀과 벽과 같은 고정체에 고정된 행거 어셈블리를 통해 고정체에 근접하여 설치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의하면, 좌우방향 및/또는 상하방향에서 고정체에 대한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의하면, 행거 어셈블리가 틸팅 가능하게 구비되어 사용자가 행거 어셈블리를 통해 고정체에 설치된 백커버의 후방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16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scription will now be given in detail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e sake of brief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ame or equivalent components may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bers, and description thereof will not be repeated.).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In general, suffixes such as "module" and "unit" may be used to refer to elements or components. Use of such suffixes herein is merely intended to facilitate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and the suffixes do not have any special meaning or function).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disclosure, that which is well known to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relevant art has generally been omitted for the sake of brevity.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used to assist in easy understanding of various technical feature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are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such, the present disclosure should be construed to extend to any alter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 addition to those which are particularly set out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It will be understood that although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herein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s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there may be intervening elements present. In contrast, it will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there are no intervening elements present).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A singular representation may include a plural representation unless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es, includes," "has," etc. specify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는 제1 장변(First Long Side, LS1), 제1 장변(LS1)에 대향하는 제2 장변(Second Long Side, LS2), 제1 장변(LS1) 및 제2 장변(LS2)에 인접하는 제1 단변(First Short Side, SS1) 및 제1 단변(SS1)에 대향하는 제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및 제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1 및 제2 단변(SS1, SS2)의 길이보다 더 긴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1 및 제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1 및 제2 단변(SS1, SS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장변(Long Side, LS1, LS2)과 나란한 방향을 제1 방향(DR1) 또는 좌우방향(LR)이라고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단변(Short Side, SS1, SS2)과 나란한 방향을 제2 방향(DR2) 또는 상하방향(UD)이라고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장변(LS1, LS2) 및 단변(SS1, SS2)에 수직한 방향을 제3 방향(DR3) 또는 전후방향(FR)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10)이 화면을 표시하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하고, 이와 반대되는 방향을 후방이라고 할 수 있다.
이하, 디스플레이 패널(10)에 대해 유기 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개시에 적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LCD 패널 등이 본 개시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는 디스플레이 패널(10), 이너패널(20) 그리고 백커버(6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전면을 형성하며, 전방으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화상을 복수개의 픽셀로 나누어 각 픽셀당 색상, 명도, 채도를 맞추어 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화상이 표시되는 활성 영역(active area)과,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활성 영역(de-active area)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제어신호에 따라 레드, 그린 또는 블루의 색에 해당하는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너패널(20)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방에 위치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너패널(20)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너패널(20)은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너패널(2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굽힘 강성 및/또는 비틀림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백커버(6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백커버(60)는 이너패널(2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백커버(60)와 이너패널(20) 사이에 후술하는 프레임(40, 도 6 참조)이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백커버(60)는 프레임(40)의 후방에서 프레임(4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너패널(20)은 전면을 형성하는 프런트 스킨(2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런트 스킨(22)의 둘레에 압착부(25: 25a, 25b, 25c, 25d)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압착부(25a)와 제3 압착부(25c)는 프런트 스킨(22)의 상변과 하변을 따라 형성되고, 제2 압착부(25b)와 제4 압착부(25d)는 프런트 스킨(22)의 우변과 하변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압착부(25)는 프런트 스킨(22)이 프레스 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압착부(25)는 프런트 스킨(22)으로부터 낮아지면서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케이블홀(26)은 제3 압착부(25c)와 후술하는 리어 스킨(23, 도 5 참조)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홀(26)은 프런트 스킨(22)의 하변에 인접하여, 제3 압착부(25c)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케이블홀(26)은 복수개의 케이블홀들(26a, 26b)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케이블홀(26a)과 제2 케이블홀(26b)은 이웃하여 위치할 수 있다.
수용부(27)는 프런트 스킨(22)의 하변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용부(27)는 복수개의 수용부들(27a, 27b)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27)는 프런트 스킨(22)이 프레스 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용부(27)는 프런트 스킨(22)으로부터 낮아지면서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27)는 압착부(25)로부터 높아지면서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사이드 프레임(30)은 압착부(25)에 결합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3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30)은 제1 파트(31), 제2 파트(32), 제3 파트(33), 제4 파트(34), 그리고 제5 파트(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파트(31)는 제1 압착부(25a)에 결합되고, 제2 파트(32)는 제2 압착부(25b)에 결합되고, 제3 파트(33)와 제4 파트(34)는 제3 압착부(25c)에 결합되고, 제5 파트(35)는 제4 압착부(25d)에 결합될 수 있다.
방열판(HA)은 길게 연장되어 프런트 스킨(22)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열판(HA)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플레이트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방열판(HA)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테잎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방열판(HA)은 복수개의 방열판들(HA1, HA2, HA3, HA4, HA5, HA6, HA7, HA8, HA9, HA10, HA11, HA12)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 접착부재(AD)는 길게 연장되어 프런트 스킨(22)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널 접착부재(AD)는 복수의 패널 접착부재들(AD1, AD2, AD3, AD4, AD5, AD6, AD7, AD8, AD9, AD10, AD11, AD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너패널(20)은 패널 접착부재(AD)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너패널(20)은 후면을 형성하는 리어 스킨(2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대로 리어 스킨(23)의 하변에 인접한 위치에서 케이블홀(26)이 형성될 수 있다.
리어 접착부재(a, b)는 리어 스킨(23)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어 접착부재(a, b)는 복수개의 리어 접착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리어 접착부재들은 리어 스킨(23) 상에서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 접착부재(a1, a2, a3, a4, a5, a6, a7, a8, a9, a10)와, 리어 스킨(23) 상에서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2 접착부재(b1, b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프레임(40)은 리어 접착부재(a, b)에 의해 리어 스킨(23)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레임(40)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방에서, 이너패널(20)과 백커버(6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40)은 메인 프레임, 미들 프레임 또는 모듈커버로 칭할 수 있다.
프레임(40)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동작과 관련하여 구동되는 복수개의 전자부품들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전자소자들이 실장되는 보드(M)는 프레임(40)과 백커버(60) 사이에서 프레임(40)에 결합될 수 있다.
T-CON 보드(T)는 프레임(40)에 결합될 수 있다. T-CON 보드(T)는 제1 플레이트(51) 상에 위치할 수 있다. T-CON 보드(T)는 제2 플레이트(52)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블홀(26, 도 3 및 4 참조)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0)과 연결되는 FFC 케이블들(FC1, FC2)이 T-CON 보드(T)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팬(53)은 보드(M)에 설치되어 보드(M)에 실장된 전자소자들을 냉각하기 위한 기류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플레이트(54)는 보드(M)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행거 어셈블리(100)는 벽(wall)과 같은 고정체(W)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행거 어셈블리(100)는 브라켓, 마운트 또는 홀더로 칭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는 행거 어셈블리(1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는 행거 어셈블리(100)를 통해 고정체(W)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행거 어셈블리(1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고정체(W)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핀(80)은 백커버(60)의 후방에서 백커버(6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핀(80)은 백커버(60)의 후면에 구비된 팸넛(70)을 통해 백커버(6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핀(80)의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며, 팸넛(70)의 내주면에 상기 수나사산과 맞물리는 암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팸넛(70)은 상하방향에서 백커버(60)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거리(Hs)만큼 이격될 수 있다.
핀(80)은 개수에 제한이 있지 않으나, 행거 어셈블리(1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되기 위하여 적어도 한쌍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핀(80)은 좌우방향에서 일정 간격(Ls)으로 서로 이격되는 한쌍의 핀(81, 8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팸넛(70)은 좌우방향에서 일정 간격(Ls)으로 서로 이격되는 한쌍의 팸넛(71, 7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한쌍의 핀(81, 82) 각각은 한쌍의 팸넛(71, 72)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핀(80)은 서포터로 칭할 수 있다.
행거 어셈블리(100)는 벽과 같은 고정체(W)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행거 어셈블리(100)는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제 또는 용접 등을 통해 고정체(W)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행거 어셈블리(100)는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90)의 나사 결합을 통해 고정체(W)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체결부재(90)의 개수에 제한이 있지 않으나, 행거 어셈블리(100)가 고정체(W)에 안정적으로 결합되기 위하여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체결부재(90)는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제1 체결부재(91), 제2 체결부재(92) 그리고 제3 체결부재(9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체결부재(91)는 행거 어셈블리(100)의 좌측 끝단에 인접하는 제1 홀더(141)의 제1 체결홀(151)을 통해 고정체(W)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체결부재(92)는 행거 어셈블리(100)의 좌측 끝단과 우측 끝단 사이에 위치하는 제2 홀더(142)의 제2 체결홀(152)을 통해 고정체(W)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3 체결부재(93)는 행거 어셈블리(100)의 우측 끝단에 인접하는 제3 홀더(143)의 제3 체결홀(153)을 통해 고정체(W)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행거 어셈블리(100)는 라인(111), 오픈 링(112, open ring) 그리고 홀더(14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홀더(140)는 클립으로 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라인(111), 오픈 링(112) 그리고 홀더(140)는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라인(111), 오픈 링(112) 그리고 홀더(140)는 스테인리스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라인(111)은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라인(111)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라인(111)은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라인(111)은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오픈 링(112)은 라인(111)의 일부 구간이 끊어지고, 상기 끊어진 라인의 일부 구간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픈 링(112)은 상기 끊어진 라인의 일부 구간의 양 단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어 라인(111)과 일체로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오픈 링(112)은 라인(111)의 일부 구간이 하측으로 밴딩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오픈 링(112)은 라인(111)의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SL1)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홀더(140)는 라인(111)의 길이방향에서 오픈 링(112)으로부터 이격되고, 라인(111)이 걸릴 수 있다. 그리고, 홀더(140)는 전술한 체결부재(90)를 통해 고정체(W)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홀더(140)는 전술한 제1 홀더(141), 제2 홀더(142) 그리고 제3 홀더(143)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홀더(140)는 후술하는 복수개의 오픈 링들(112) 사이마다 배치되는 복수개의 홀더들(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오픈 링(112)에 걸리는 핀(80)을 통해 행거 어셈블리(100)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행거 어셈블리(100)가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 및 9를 참조하면, 라인(111)은 바디(111a), 걸림부(111b) 그리고 단차부(111c)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라인(111)의 단면은 원 형상일 수 있다.
바디(111a)는 라인(111)의 길이방향, 즉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오픈 링(112)에 연결될 수 있다. 걸림부(111b)는 바디(111a)가 프레스되면서 바디(111a)의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부(111b)는 바디(111a)의 길이방향, 즉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단차부(111c)는 바디(111a)와 걸림부(111b) 사이에서 바디(111a)와 걸림부(111b)에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차부(111c)는 바디(111a)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며 걸림부(111b)에 결합될 수 있다.
걸림부(111b)는 홀더(140)에 걸림부(111b)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걸릴 수 있다. 이 경우, 걸림부(111b)는 상하방향에서 위치가 고정된 채, 좌우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부(111b)가 회전되면, 걸림부(111b)에 연결되는 단차부(111c), 바디(111a) 그리고 오픈 링(112)도 걸림부(111b)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단차부(111c)는 걸림부(111b)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는 한쌍의 단차부(111c-1, 111c-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한쌍의 단차부(111c-1, 111c-2)는 결림부(111b)의 좌측에 결합되는 좌측 단차부(111c-1)와, 걸리부(111b)의 우측에 결합되는 우측 단차부(111c-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홀더(111b)는 걸림부(111b)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면서 좌측 단차부(111c-1)와 우측 단차부(111c-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좌측 단차부(111c-1)와 우측 단차부(111c-2)는 홀더(140)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스토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 9 및 10을 참조하면, 홀더(140)는 제1 파트(140a), 제2 파트(140b) 그리고 제3 파트(14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140a)는 전체적으로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제1 파트(140a)는 고정체(W)에 대해 편평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제1 파트(140a)는 고정체(W)에 접촉하는 후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파트(140a)의 두께는 t 일 수 있다.
제2 파트(140b)와 제3 파트(140c)는 제1 파트(140a)의 일부가 제1 파트(140a)의 상측으로 밴딩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제2 파트(140b)는 제1 파트(140a)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파트(140c)는 제1 파트(140a)의 하단과 제2 파트(140b)의 하단을 연결하며, 홀더(140)의 하측을 향해 라운딩될 수 있다. 이때, 걸림부(111b)는 제1 파트(140a)와 제2 파트(140b) 사이에서 제3 파트(140c) 상에 걸릴 수 있다. 이 경우, 걸림부(111b)는 제3 파트(140c) 상에 회전 가능하게 걸릴 수 있다.
한편,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체결홀(151), 제2 체결홀(152) 그리고 제3 체결홀(153)을 구비하는 체결홀(150)은 제1 파트(140a)와 제2 파트(140b)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파트(140a)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 홀(150a)과, 제2 파트(140b)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 홀(150b)이 전술한 체결홀(150)로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행거 어셈블리(100)는 체결홀(150)을 관통하여 고정체(W)에 결합되는 체결부재(90, 도 8 참조)에 의해 고정체(W)에 고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를 행거 어셈블리(100)에 걸거나 결합하는 동작에 대응해, 핀(80)은 팸넛(70)을 통해 백커버(60)에 결합된 상태에서 행거 어셈블리(100)의 상측에서 아래로 이동하며 행거 어셈블리(100)에 접근할 수 있다(도 10의 도면부호 Mv 참조). 이 경우, 핀(80)은 슬롯(SL1)으로 삽입되어 오픈 링(112)에 걸릴 수 있다.
그리고, 핀(80)은 헤드(801), 넥(802) 그리고 바디(803)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801)는 행거 어셈블리(100)의 후방에서 오픈 링(112)에 접촉할 수 있다. 넥(802)은 헤드(80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슬롯(SL1)을 관통하며, 오픈 링(112)에 걸릴 수 있다. 바디(803)는 넥(802)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백커버(6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디(803)의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며, 백커버(60)에 고정된 팸넛(70)의 내주면에 상기 수나사산과 맞물리는 암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 바디(803)를 대신하여 넥(802)이 직접 팸넛(70)에 나사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며, 헤드(801)와 넥(802)을 관통하는 별도의 스크류가 팸넛(70)에 나사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넥(802)의 두께(tb)는 오픈 링(112)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클 수 있다. 헤드(801)는 오픈 링(112)과 고정체(W) 사이에서 오픈 링(112)에 접촉할 수 있다. 이 경우, 헤드(801)가 오픈 링(112)의 후방으로 용이하게 진입하기 위하여, 전후방향에서 오픈 링(112)과 고정체(W) 사이의 간격이 헤드(801)의 두께(tb)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전후방향에서 오픈 링(112)과 고정체(W) 사이의 간격은 바디(111a)로부터 걸림부(111b)가 후방으로 돌출된 거리(c)와 제1 파트(140a)의 두께(t)의 합과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바디(111a)와 걸림부(111b) 각각의 단면의 직경이 서로 동일하면, 바디(111a)로부터 걸림부(111b)가 후방으로 돌출된 거리(c)는 바디(111a)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서 연장되는 가상의 제1 직선(La)과, 걸림부(111b)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서 연장되는 가상의 제2 직선(Lb) 간의 수직 거리(c, 도 9 참조)와 동일할 수 있다.
도 10 및 11을 참조하면, 라인(111)은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라인(111)은 상기 끊어진 라인의 일부 구간의 양 단에 인접하여 오픈 링(112)을 향해 라운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라인(111)의 라운딩된 파트들(111-1, 111-2) 중 슬롯(SL1)의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 라운딩 파트(111-1)는 슬롯(SL1)의 좌측과 라인(111)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1 중심점(Oa1)을 기준으로 일정한 곡률반경(Ra1)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라인(111)의 라운딩된 파트들(111-1, 111-2) 중 슬롯(SL1)의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라운딩 파트(111-2)는 슬롯(SL1)의 우측과 라인(111)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2 중심점(Oa2)을 기준으로 일정한 곡률반경(Ra2)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좌측 라운딩 파트(111-1)와 우측 라운딩 파트(111-2) 간의 수평 거리는 상하방향에서 라인(11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좌측 라운딩 파트(111-1)의 상단과 우측 라운딩 파트(111-2)의 상단 간의 수평 거리(ga)는 넥(802)의 직경(Db)과 동일하거나 이보다 클 수 있다. 그리고, 좌측 라운딩 파트(111-1)의 하단과 우측 라운딩 파트(111-2)의 하단 간의 수평 거리(gb)는 넥(802)의 직경(Db)보다 작을 수 있다.
행거 어셈블리(100)의 상측에서 라인(111)을 향해 아래로 이동한 핀(80)의 넥(802)은 라인(111)을 따라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그리고, 핀(80)의 넥(802)은 좌측 라운딩 파트(111-1)의 상단과 우측 라운딩 파트(111-2)의 상단 사이로 진입하여, 좌측 라운딩 파트(111-1)의 하단과 우측 라운딩 파트(111-2)의 하단 사이 또는 이에 인접한 위치에 걸릴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게 일정 수준의 충격이 전달됨으로써, 사용자는 핀(80)의 넥(802)이 오픈 링(112)의 슬롯(SL1)에 진입하였는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라인(111)과 연결되는 오픈 링(112)의 양 말단 간의 수평 거리인 제1 거리는 좌측 라운딩 파트(111-1)의 하단과 우측 라운딩 파트(111-2)의 하단 간의 수평 거리(gb)와 동일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오픈 링(112)의 양 말단 중 어느 하나는 좌측 라운딩 파트(111-1)의 하단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우측 라운딩 파트(111-2)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오픈 링(112)에서, 오픈 링(112)의 양 말단 각각으로부터 이격된 양 지점 간의 수평 거리인 제2 거리는 상기 제1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면, 오픈 링(112)은 한쌍의 제1 파트(112a-1, 112a-2)와 제2 파트(112b)를 포함할 수 있다.
한쌍의 제1 파트(112a-1, 112a-2) 각각의 상단은 오픈 링(112)의 상기 양 말단 각각을 형성할 수 있다. 한쌍의 제1 파트(112a-1, 112a-2)는 상하방향에서 라인(11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서로 이격된 거리가 커질 수 있다. 한쌍의 제1 파트(112a-1, 112a-2)는 슬롯(SL1)의 좌측에 위치하는 제1 좌측 파트(112a-1)와, 슬롯(SL1)의 우측에 위치하는 제1 우측 파트(112a-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거리는 좌우방향에서 서로 마주하는 제1 좌측 파트(112a-1) 상의 어느 한 지점과 제1 우측 파트(112a-2) 상의 어느 한 지점 간의 수평 거리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한쌍의 제1 파트(112a-1, 112a-2) 각각은 곧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파트(112b)는 한쌍의 제1 파트(112a-1, 112a-2)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일단과, 다른 하나에 연결되는 타단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파트(112b)는 한쌍의 제1 파트(112a-1, 112a-2)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중심점(Oc)에 대해 일정한 곡률반경(Rc)을 가지는 호(arc)의 일부를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곡률반경(Rc)은 넥(802)의 반경과 동일할 수 있다.
전술한 라인(111)의 라운딩된 파트들(111-1, 111-2)과 오픈 링(112)은 탄성을 지닐 수 있다. 이때, 좌측 라운딩 파트(111-1)의 하단과 우측 라운딩 파트(111-2)의 하단 사이에서 핀(80)의 넥(802)에 일정 수준 이상의 하중이 가해지면, 좌측 라운딩 파트(111-1)와 우측 라운딩 파트(111-2)가 좌우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다(도 11의 도면부호 Ms 참조). 즉, 오픈 링(112)의 양 말단이 넥(802)의 직경(Db)만큼 좌우방향으로 벌어짐에 따라, 넥(802)이 한쌍의 제1 파트(112a-1, 112a-2)를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아래로 이동되어 제2 파트(112b) 상에 걸릴 수 있다.
그리고, 넥(802)이 통과함에 따라 좌우로 벌어진 오픈 링(112)의 양 말단은 넥(802)이 통과한 후에 탄성력에 의해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넥(802)이 제2 파트(112b) 상에 걸린 상태에서, 오픈 링(112)의 양 말단 간의 거리는 넥(802)의 직경(Db)보다 작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오픈 링(112)의 양 말단 간의 거리를 넥(802)의 직경(Db)만큼 좌우로 벌리는 데 충분한 힘이 넥(802)에 가해져야 넥(802)을 오픈 링(112)의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오픈 링(112)에 걸린 핀(80)은 일정 수준 이상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오픈 링(112)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헤드(801)는 오픈 링(112)의 후방에서 오픈 링(112)에 접촉하면서 전방으로의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헤드(801)의 직경(Da)은 상기 끊어진 라인의 일부 구간의 수평 길이 또는 오픈 링(112)의 좌우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임의의 양 지점 간의 수평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핀(80)의 넥(802)이 제2 파트(112b)에 걸려 하측으로의 움직임이 제한되고, 핀(80)의 헤드(801)가 오픈 링(112)에 걸려 전방으로의 움직임이 제한되어, 핀(80)이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는 행거 어셈블리(100)에 안정적으로 걸릴 수 있다.
다시 도 10을 참조하면, 핀(80)은 팸넛(70)을 통해 백커버(60)에 결합된 상태에서 행거 어셈블리(100)의 상측에서 아래로 이동하며 행거 어셈블리(100)의 오픈 링(112)에 걸릴 수 있고, 이로써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가 고정체(W)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백커버(60)와 고정체(W) 간의 간격(g)은 전후방향에서 행거 어셈블리(10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일정 수준 미만으로 클 수 있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는 고정체(W)에 상당히 근접한 상태로 고정체(W)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간격(g)은 2~10 mm 일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핀(80)은 오픈 링(112)으로부터 위로 이동하며 행거 어셈블리(100)의 상측으로 분리될 수 있고, 이로써 고정체(W)에 대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설치가 해제될 수 있다.
한편, 핀(80)이 오픈 링(112)에 걸린 상태로, 라인(111)과 오픈 링(112)이 걸림부(111b)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 경우, 오픈 링(112)에 걸린 핀(80)과 이에 결합된 백커버(60)도 오픈 링(112)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도 10의 도면부호 Rt 참조). 이로써, 백커버(60)는 고정체(W)와 일정 각도(theta t)를 이룰 수 있다. 다시 말해, 백커버(60)의 회전에 대응해, 백커버(60)의 하단과 고정체(W) 간의 간격이 벌어질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 벌어진 간격을 통해 백커버(60)의 후방에 구비된 각종 포트들에 케이블 또는 USB 등을 편리하게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오픈 링(112)은 라인(111)의 길이방향, 즉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좌측 오픈 링들(112P)과 복수개의 우측 오픈 링들(112Q)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개의 좌측 오픈 링들(112P)은 복수개의 우측 오픈 링들(112Q)의 좌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좌측 오픈 링들(112P) 중 어느 하나는 복수개의 우측 오픈 링들(112Q) 중 어느 하나와 짝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좌측 오픈 링들(112P)은 라인(111)의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제1 좌측 오픈 링(112P1), 제2 좌측 오픈 링(112P2), 제3 좌측 오픈 링(112P3) 그리고 제4 좌측 오픈 링(112P4)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우측 오픈 링들(112Q)은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제1 우측 오픈 링(112Q1), 제2 우측 오픈 링(112Q2), 제3 우측 오픈 링(112Q3) 그리고 제4 우측 오픈 링(112Q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좌측 오픈 링(112P1)은 제1 우측 오픈 링(112Q1)과 한쌍의 제1 오픈 링(112P1, 112Q1)을 이룰 수 있다. 제2 좌측 오픈 링(112P2)은 제2 우측 오픈 링(112Q2)과 한쌍의 제2 오픈 링(112P2, 112Q2)을 이룰 수 있다. 제3 좌측 오픈 링(112P3)은 제3 우측 오픈 링(112Q3)과 한쌍의 제3 오픈 링(112P3, 112Q3)을 이룰 수 있다. 제4 좌측 오픈 링(112P4)은 제4 우측 오픈 링(112Q4)과 한쌍의 제4 오픈 링(112P4, 112Q4)을 이룰 수 있다.
한쌍의 제1 오픈 링(112P1, 112Q1)은 제1 간격(L1)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한쌍의 제2 오픈 링(112P2, 112Q2)은 제1 우측 오픈 링(112Q1)을 사이에 두고, 제1 간격(L1)과 동일한 제2 간격(L2)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한쌍의 제3 오픈 링(112P3, 112Q3)은 제2 우측 오픈 링(112Q2)을 사이에 두고, 제2 간격(L2)과 동일한 제3 간격(L3)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한쌍의 제4 오픈 링(112P4, 112Q4)은 제3 우측 오픈 링(112Q3)을 사이에 두고, 제3 간격(L3)과 동일한 제4 간격(L4)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제4 간격(L4)은 전술한 한쌍의 핀(81, 82) 사이의 간격(Ls, 도 8 참조)과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한쌍의 핀(81, 82)은 한쌍의 제1 오픈 링(112P1, 112Q1), 한쌍의 제2 오픈 링(112P2, 112Q2), 한쌍의 제3 오픈 링(112P3, 112Q3) 또는 한쌍의 제4 오픈 링(112P4, 112Q4)에 걸릴 수 있다. 이에 따라, 행거 어셈블리(100)에 대해 한쌍의 핀(81, 82)이 걸리는 위치를 조절하여, 좌우방향에서 고정체(W, 도 8 참조)에 대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쌍의 핀(81, 82)이 한쌍의 제2 오픈 링(112P2, 112Q2)에 걸려 있는 경우(도면부호 1A2 참조)를 기준으로, 고정체(W)에 대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위치를 좌우로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한쌍의 핀(81, 82)을 한쌍의 제2 오픈 링(112P2, 112Q2)으로부터 빼내고 한쌍의 제1 오픈 링(112P1, 112Q1)에 걸어, 고정체(W)에 대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위치를 좌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도면부호 1A1 참조). 다른 예를 들면, 사용자는 한쌍의 핀(81, 82)을 한쌍의 제2 오픈 링(112P2, 112Q2)으로부터 빼내고 한쌍의 제3 오픈 링(112P3, 112Q3)에 걸어, 고정체(W)에 대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위치를 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도면부호 1A3 참조). 또 다른 예를 들면, 사용자는 한쌍의 핀(81, 82)을 한쌍의 제2 오픈 링(112P2, 112Q2)으로부터 빼내고 한쌍의 제4 오프 링(112P4, 112Q4)에 걸어, 고정체(W)에 대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위치를 우측으로 더욱 이동시킬 수 있다(도면부호 1A4 참조).
도 13을 참조하면, 백커버(60)는 백커버(60)에서 전방으로 낮아지면서 단차를 형성하고, 핀(80)이 결합되는 포밍부(70F)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전후방향에서 포밍부(70F)의 깊이(Pf)는 행거 어셈블리(100)의 두께(Th)보다 클 수 있다. 그리고, 좌우방향에서 포밍부(70F)의 폭(Wf)은 행거 어셈블리(100)의 폭(Wh)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하방향에서 포밍부(70F)의 높이(Hf)는 행거 어셈블리(100)의 높이(Hh)보다 클 수 있다. 이로써, 포밍부(70F)는 전후방향에서 행거 어셈블리(100)와 중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핀(80)이 고정체(W)에 고정된 행거 어셈블리(100)의 오픈 링(112)에 걸리면, 행거 어셈블리(100)는 포밍부(70F)와 고정체(W)에 의해 둘러싸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백커버(60)의 포밍부(70F)를 제외한 부분이 고정체(W)에 밀착되거나 이로부터 상당히 작은 간격으로 이격되어, 고정체(W)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와 고정체(W) 간의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4 및 15를 참조하면, 행거 어셈블리(100')는 제1 라인(111)과 제1 오픈 링(112) 외에도 제2 라인(121)과 제2 오픈 링(12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라인(111)과 제2 라인(121)은 도 8 등을 참조하여 전술한 라인(111)과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오픈 링(112)과 제2 오픈 링(122)은 도 8 등을 참조하여 전술한 오픈 링(112)과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라인(111)과 제2 라인(121)은 상하방향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라인(121)은 제1 라인(111)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한 제1 라인(111)이 홀더(140)에 걸릴 수 있다. 이 경우, 브릿지(130)는 제1 라인(111)과 제2 라인(121) 사이에서 제1 라인(111)과 제2 라인(12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브릿지(130)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바디(130a)와, 바디(130a)의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밴딩되면서 형성되는 제1 밴딩부(130b)와, 바디(130a)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밴딩되면서 형성되는 제2 밴딩부(130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밴딩부(130b)는 제1 라인(111)에 걸릴 수 있다. 그리고, 제2 라인(121)은 제2 밴딩부(130c)에 걸릴 수 있다. 이로써, 제2 라인(121)은 브릿지(130)를 통해 홀더(140)에 걸린 제1 라인(111)에 걸릴 수 있다.
예를 들면, 브릿지(130)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개의 브릿지들(131, 132, 133, 134, 135, 136)은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로써, 제2 라인(121)은 복수개의 브릿지들(131, 132, 133, 134, 135, 136)을 통해 홀더(140)에 걸린 제1 라인(111)에 안정적으로 걸릴 수 있다.
한편, 제1 라인(111) 뿐만 아니라, 제2 라인(121)도 도 9 등을 참조하여 전술한 라인(111)의 걸림부(111b) 및 단차부(111c)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제2 걸림부(121b) 및 단차부(121c)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라인(121)이 제1 라인(111)의 상측에 위치하면, 제2 라인(121)의 걸림부(121b)가 홀더(140)에 걸릴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1 오픈 링(112)은 제1 라인(111)의 길이방향, 즉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제1 좌측 오픈 링들(112P)과 복수개의 제1 우측 오픈 링들(112Q)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오픈 링(122)은 제2 라인(121)의 길이방향, 즉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제2 좌측 오픈 링들(122P)과 복수개의 제2 우측 오픈 링들(112Q)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제1 좌측 오픈 링들(112P)과 복수개의 제2 좌측 오픈 링들(122P)은 도 12 등을 참조하여 전술한 복수개의 좌측 오픈 링들(112P)과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 제1 우측 오픈 링들(112Q)과 복수개의 제2 우측 오픈 링들(122Q)은 도 12 등을 참조하여 전술한 복수개의 우측 오픈 링들(112Q)과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한쌍의 핀(81, 82)은 제1 라인(111)에 연결되어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한쌍의 제1 상측 오픈 링(112P1, 112Q1), 한쌍의 제2 상측 오픈 링(112P2, 112Q2), 한쌍의 제3 상측 오픈 링(112P3, 112Q3) 또는 한쌍의 제4 상측 오픈 링(112P4, 112Q4)에 걸릴 수 있다.
또는, 한쌍의 핀(81, 82)은 브릿지(130)를 통해 제2 라인(121)에 연결되어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한쌍의 제1 하측 오픈 링(122P1, 122Q1), 한쌍의 제2 하측 오픈 링(122P2, 122Q2), 한쌍의 제3 하측 오픈 링(122P3, 122Q3) 또는 한쌍의 제4 하측 오픈 링(122P4, 122Q4)에 걸릴 수 있다.
이에 따라, 행거 어셈블리(100')에 대해 한쌍의 핀(81, 82)이 걸리는 위치를 조절하여,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에서 고정체(W, 도 8 참조)에 대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한편, 핀(80)의 넥(802, 도 15 참조)의 중심과 백커버(60)의 상단(60u) 간의 수직 거리는 Hs 일 수 있다. 그리고, 핀(80)이 제1 오픈 링(112)에 걸린 경우에서, 가상의 제1 연장선(E1)은 핀(80)의 넥(802)의 중심을 지나면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핀(80)이 제2 오픈 링(122)에 걸린 경우에서, 가상의 제2 연장선(E2)은 핀(80)의 넥(802)의 중심을 지나면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장선(E1)과 제2 연장선(E2) 간의 수직 거리는 Ha 일 수 있다.
이 경우, 핀(80)이 제1 오픈 링(112)에 걸린 경우에서, 백커버(60)의 상단(60u)은 홀더(140)의 상단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일정 거리(Hb)만큼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핀(80)이 제2 오픈 링(112)에 걸린 경우에서, 백커버(60)의 상단(60u)이 홀더(140)의 상단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거리 Hs는 거리 Hs와 거리 Hb의 차이에 거리 Ha를 더한 값보다 클 수 있다. 다시 말해, 거리 Hb는 거리 Ha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핀(80)이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한 제2 오픈 링(122)에 걸린 경우에서도 백커버(60)가 행거 어셈블리(100')의 후방을 덮어, 행거 어셈블리(100')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상측으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을 덮는 백커버; 상기 백커버의 후방에서 상기 백커버에 결합되는 핀; 그리고, 상기 백커버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핀이 분리 가능하게 걸리는 행거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행거 어셈블리는: 길게 연장되는 라인; 상기 라인의 일부 구간이 끊어지고, 상기 끊어진 라인의 일부 구간을 연결하는 오픈 링(open ring);으로서, 상기 핀이 걸리는 오픈 링; 그리고, 상기 라인의 길이방향에서 상기 오픈 링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라인이 걸리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라인과 연결되는 상기 오픈 링의 양 말단 간의 거리는, 상기 핀의 상기 오픈 링에 걸리는 부분의 직경보다 작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라인은, 상기 끊어진 라인의 일부 구간의 양 단에 인접하여 상기 오픈 링을 향해 라운딩되고, 상기 라인의 라운딩된 부분과 상기 오픈 링은 탄성을 지니며, 상기 핀은: 상기 행거 어셈블리의 후방에서 상기 오픈 링에 접촉하는 헤드; 그리고, 상기 헤드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백커버에 결합되는 넥;으로서, 상기 오픈 링에 걸리는 넥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오픈 링의 양 말단 간의 거리는, 상기 넥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핀은: 상기 라인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한쌍의 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오픈 링은: 상기 라인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한쌍의 제1 오픈 링; 그리고, 상기 한쌍의 제1 오픈 링 중 어느 하나를 사이에 두고, 상기 라인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한쌍의 제2 오픈 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한쌍의 핀 사이의 간격, 상기 한쌍의 제1 오픈 링 사이의 간격 그리고 상기 한쌍의 제2 오픈 링 사이의 간격은 서로 동일하고, 상기 한쌍의 핀은, 상기 한쌍의 제1 오픈 링 또는 상기 한쌍의 제2 오픈 링에 걸릴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길게 연장되는 라인; 상기 라인의 일부 구간이 끊어지고, 상기 끊어진 라인의 일부 구간을 연결하는 오픈 링(open ring); 그리고, 상기 라인의 길이방향에서 상기 오픈 링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라인이 걸리는 홀더를 포함하는 행거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라인은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오픈 링은: 상기 라인과 연결되는 양 말단 간의 수평 거리인 제1 거리; 그리고, 상기 오픈 링에서, 상기 양 말단 각각으로부터 이격된 양 지점 간의 수평 거리로서, 상기 제1 거리보다 큰 제2 거리를 구비하고, 상기 오픈 링은 탄성을 지닐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라인은, 상기 끊어진 라인의 일부 구간의 양 단에 인접하여 상기 오픈 링을 향해 라운딩되고, 상기 라인의 라운딩된 부분은 탄성을 지니며, 상기 오픈 링은: 상하방향에서 상기 라인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서로 이격된 거리가 커지는 한쌍의 제1 파트; 상기 한쌍의 제1 파트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일단과, 다른 하나에 연결되는 타단을 구비하는 제2 파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라인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오픈 링에 연결되는 바디; 상기 바디가 프레스되면서 상기 바디의 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바디의 길이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걸림부; 그리고, 상기 바디와 상기 걸림부 사이에서 상기 바디와 상기 걸림부에 결합되는 단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홀더에 상기 걸림부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걸릴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단차부는: 상기 걸림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는 한쌍의 단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걸림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면서 상기 한쌍의 단차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오픈 링은: 상기 라인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한쌍의 제1 오픈 링; 그리고, 상기 한쌍의 제1 오픈 링 중 어느 하나를 사이에 두고, 상기 라인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한쌍의 제2 오픈 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한쌍의 제1 오픈 링 사이의 간격과 상기 한쌍의 제2 오픈 링 사이의 간격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라인은: 상기 홀더에 걸리는 제1 라인; 그리고, 상기 제1 라인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2 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라인과 상기 제2 라인 사이에서 상기 제1 라인과 상기 제2 라인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릿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and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Namely, alth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illustrative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umerous other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inciples of this disclosure. More particularly, vari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of the subject combination arrang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he drawings and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o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alternative uses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10)

  1.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을 덮는 백커버;
    상기 백커버의 후방에서 상기 백커버에 결합되는 핀; 그리고,
    상기 백커버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핀이 분리 가능하게 걸리는 행거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행거 어셈블리는:
    길게 연장되는 라인;
    상기 라인의 일부 구간이 끊어지고, 상기 끊어진 라인의 일부 구간을 연결하는 오픈 링(open ring);으로서, 상기 핀이 걸리는 오픈 링; 그리고,
    상기 라인의 길이방향에서 상기 오픈 링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라인이 걸리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라인과 연결되는 상기 오픈 링의 양 말단 간의 거리는,
    상기 핀의 상기 오픈 링에 걸리는 부분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오픈 링은 탄성을 지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은,
    상기 끊어진 라인의 일부 구간의 양 단에 인접하여 상기 오픈 링을 향해 라운딩되고,
    상기 라인의 라운딩된 부분은 탄성을 지니며,
    상기 핀은:
    상기 행거 어셈블리의 후방에서 상기 오픈 링에 접촉하는 헤드; 그리고,
    상기 헤드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백커버에 결합되는 넥;으로서, 상기 오픈 링에 걸리는 넥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오픈 링의 양 말단 간의 거리는,
    상기 넥의 직경보다 작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상기 라인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한쌍의 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오픈 링은:
    상기 라인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한쌍의 제1 오픈 링; 그리고,
    상기 한쌍의 제1 오픈 링 중 어느 하나를 사이에 두고, 상기 라인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한쌍의 제2 오픈 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한쌍의 핀 사이의 간격, 상기 한쌍의 제1 오픈 링 사이의 간격 그리고 상기 한쌍의 제2 오픈 링 사이의 간격은 서로 동일하고,
    상기 한쌍의 핀은,
    상기 한쌍의 제1 오픈 링 또는 상기 한쌍의 제2 오픈 링에 걸리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길게 연장되는 라인;
    상기 라인의 일부 구간이 끊어지고, 상기 끊어진 라인의 일부 구간을 연결하는 오픈 링(open ring); 그리고,
    상기 라인의 길이방향에서 상기 오픈 링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라인이 걸리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오픈 링은 탄성을 지니고,
    상기 라인과 연결되는 상기 오픈 링의 양 말단 간의 간격은,
    상기 라인의 길이방향에서 가변 가능한 행거 어셈블리.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의 길이방향은 수평방향에 나란하고,
    상기 오픈 링은:
    상기 라인과 연결되는 상기 오픈 링의 양 말단 간의 간격으로서, 수평방향에서 정의되는 제1 거리; 그리고,
    상기 오픈 링에서, 상기 오픈 링의 양 말단 각각으로부터 이격된 양 지점 간의 수평 거리인 제2 거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거리는,
    상기 제1 거리가 최소일 때, 상기 제1 거리보다 큰 행거 어셈블리.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은,
    상기 끊어진 라인의 일부 구간의 양 단에 인접하여 상기 오픈 링을 향해 라운딩되고,
    상기 라인의 라운딩된 부분은 탄성을 지니며,
    상기 오픈 링은:
    상기 제1 거리가 최소일 때, 상하방향에서 상기 라인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서로 이격된 거리가 커지는 한쌍의 제1 파트; 그리고,
    상기 한쌍의 제1 파트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일단과, 다른 하나에 연결되는 타단을 구비하는 제2 파트를 더 포함하는 행거 어셈블리.
  7. 길게 연장되는 라인;
    상기 라인의 일부 구간이 끊어지고, 상기 끊어진 라인의 일부 구간을 연결하는 오픈 링(open ring); 그리고,
    상기 라인의 길이방향에서 상기 오픈 링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라인이 걸리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라인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오픈 링에 연결되는 바디;
    상기 바디가 프레스되면서 상기 바디의 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바디의 길이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걸림부; 그리고,
    상기 바디와 상기 걸림부 사이에서 상기 바디와 상기 걸림부에 결합되는 단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홀더에 상기 걸림부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걸리는 행거 어셈블리.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는:
    상기 걸림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는 한쌍의 단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걸림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면서 상기 한쌍의 단차부 사이에 배치되는 행거 어셈블리.
  9.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 링은:
    상기 라인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한쌍의 제1 오픈 링; 그리고,
    상기 한쌍의 제1 오픈 링 중 어느 하나를 사이에 두고, 상기 라인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한쌍의 제2 오픈 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한쌍의 제1 오픈 링 사이의 간격과 상기 한쌍의 제2 오픈 링 사이의 간격은 서로 동일한 행거 어셈블리.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은:
    상기 홀더에 걸리는 제1 라인; 그리고,
    상기 제1 라인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2 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라인과 상기 제2 라인 사이에서 상기 제1 라인과 상기 제2 라인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릿지를 더 포함하는 행거 어셈블리.
KR1020200085991A 2020-07-13 2020-07-1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500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991A KR102500526B1 (ko) 2020-07-13 2020-07-1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991A KR102500526B1 (ko) 2020-07-13 2020-07-1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7994A KR20220007994A (ko) 2022-01-20
KR102500526B1 true KR102500526B1 (ko) 2023-02-15

Family

ID=80052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5991A KR102500526B1 (ko) 2020-07-13 2020-07-1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052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749B1 (ko) 2011-04-21 2011-06-29 (주)정일솔루션 벽걸이 거치대
JP2013062785A (ja) 2011-08-23 2013-04-04 Sharp Corp ブラケット、取付システムおよび型紙
WO2015098358A1 (ja) * 2013-12-26 2015-07-02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支持部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0752A (ko) * 2007-10-22 2009-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평판 패널 디스플레이장치의 벽걸이용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749B1 (ko) 2011-04-21 2011-06-29 (주)정일솔루션 벽걸이 거치대
JP2013062785A (ja) 2011-08-23 2013-04-04 Sharp Corp ブラケット、取付システムおよび型紙
WO2015098358A1 (ja) * 2013-12-26 2015-07-02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支持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7994A (ko) 202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72238B (zh) 显示装置
CN106920478B (zh) 显示设备
US10034399B2 (en) Display device
US11029547B2 (en) Display device
GB2485030A (en) Flat-screen display with minimal front framing
CN102654660A (zh) 显示装置
EP3504872B1 (en) Display device
US9690129B1 (en) Display device
EP2950136B1 (en) Display device
EP3825758A1 (en) Display device
EP4016174A1 (en) Display device
KR102500526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EP3255624A1 (en) Display device
KR20210062338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204870B1 (ko) 바텀 커버와 이를 갖는 액정 표시 모듈 및 평판 표시 장치
US20120014119A1 (en) Lamp fastener of backlight module
US20230034801A1 (en) Display device
CN202533677U (zh) 显示装置
CN208126780U (zh) 一种防刮液晶显示器面板
CN109188750A (zh) 显示装置
WO2011111951A2 (ko) 디스플레이 패널 글래스 파손 방지용 마스터 프레임
US20240215184A1 (en) Display device
JP2015034839A (ja) 表示灯
KR101437062B1 (ko) 쇼케이스용 디스플레이패널 조립구조
US20230389206A1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