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045178A1 - 사물 포지셔닝 장치 - Google Patents

사물 포지셔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45178A1
WO2019045178A1 PCT/KR2017/012822 KR2017012822W WO2019045178A1 WO 2019045178 A1 WO2019045178 A1 WO 2019045178A1 KR 2017012822 W KR2017012822 W KR 2017012822W WO 2019045178 A1 WO2019045178 A1 WO 201904517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hole
base
ring
shaped
polyg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1282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맹용주
Original Assignee
맹용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맹용주 filed Critical 맹용주
Publication of WO201904517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4517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object position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object positioning apparatus that can be easily attached to a back surface of a mobil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and can be easily gripped and easily mounted on a desk or a wall surface.
  •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 a cradle that is coupled to the back of a cellular phone is becoming popular.
  •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62557 discloses a portable terminal which comprises a base portion mounted on the back surface of a portable terminal and having a rotation protrusion formed with through holes on both sides thereof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both ends of the through- A ring member fixed at a predetermined angle when the terminal is rotated to be stationary and having a through hole at one side thereof and a fastening screw fastened through the through hole.
  • Korean Patent No. 10-1753520 relates to a smart phone holder, and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sliding speed of the holder ring by adjusting bolts in the connector, and a plate spring having elasticity is formed in the hinge portio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phone holder tha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without causing wear even if it is widely used, and can prevent the leaf spring from being detached by constituting a support base outside the leaf spring.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object positioning apparatus which can be easily attached to a back surface of a mobil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and can be easily gripped and can be easily mounted on a desk or a wall surfac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object positioning device which can be used for a long time without loss of object positioning function using a toothed wheel and a stopper projection and can fix an object in various directions and angles with a minimum number of parts.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object positioning apparatus which can use a polygon ring partly for a long time without losing object positioning function and can fix an object in various directions and angles with a minimum number of parts.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object positioning apparatus which can be thinly deformed and can be wirelessly charged.
  • the object positioning device includes a base including a first stopper projection, a first gear-shaped through hole and a second gear-shaped through hole which are coupled and rotated through the first stopper projection, And a ring connector including a base cover covering the base, a ring and a coupling hole for interposing a part of the ring, and a second stopper protrusion coupled through the second gear-shaped through hole and controlled to rotate.
  • a part of the ring forms a polygon
  • the combining hole forms an opposite polygon that is combined with the polygon
  • the first stopper projec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stopping sub-protrusions arranged equally on a circumference of the first gear-shaped through-hole.
  • the second stopper projec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stopping sub-protrusions disposed equally on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gear-shaped through-hole.
  • it further comprises an adhesive means coupled with the bas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base cover and adhering an object to be positioned.
  • the object position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rresponds to a cradle that can be held through a ring.
  • the object positioning device includes a base including a first cog wheel-shaped through-hole, a first stopper projection coupled with the first cog wheel-shaped through-hole to perform rotation control, and a second cog wheel-shaped through- And a base cover covering the base to face the base, a ring, and a coupling hole for interposing a part of the ring, and a second stopper projection coupled and rotatably controlled through the second cog wheel-shaped through-hole.
  • a part of the ring forms a polygon
  • the combining hole forms an opposite polygon that is combined with the polygon
  • the disclosed technique may have the following effect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thereby, as it is not meant to imply that a particular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or only the following effects.
  • the object positioning apparatus can be easily attached to a back surface of a mobil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and can be easily gripped and can be easily mounted on a desk or a wall surface.
  • the object positioning apparatus can use the gear and the stopper projection for a long time without losing the object positioning function and can fix the object in various directions and angles with a minimum number of parts.
  • the object positioning apparatus can use the polygon ring for a long time without losing the object positioning function and fix the object in various directions and angles with the minimum number of parts.
  • the object pos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thinly deformed to be wirelessly charge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object pos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object positioning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object pos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a) shows a case where the object positioning apparatus 100 is superimposed and matched
  • FIG. 1 (b) shows a case where the object positioning apparatus 100 is completely unfolded.
  • the object positioning apparatus 100 can provide a positional change with respect to gripping and positioning by the ring 150.
  • the object positioning apparatus 100 may include a base 110, an adhesive means 120, a base cover 130, a ring connector 140, and a ring 150.
  • the object positioning apparatus 100 can superpose or completely spread the base 110 and the base cover 130 via the rotary shaft 10. [ 1, the object positioning apparatus 100 may be designed so that the rotation shaft 10 is disposed at the center thereof so that the base 110 and the base cover 130 can not be unfolded.
  • the object positioning device 100 may spread the base 110 and the base cover 130 to perform wireless charging. This is to perform wireless charging more efficiently through a relatively reduced thickness.
  • the base 110 engages the bonding means 120 on one side (i.e., the top side) and engages the base cover 130 on the opposite side (i.e., the bottom side).
  • the base 110 may adhere an object to be mounted with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adhesive means 120.
  • the base 110 may have a circular cross-section.
  • the base 110 may be connected to the base cover 130 through the rotation shaft 10. That is, the base cover 130 can be rotated through the rotation shaft 10.
  • the base 110 may combine a control board (not shown) that provides location tracking, anti-theft, and communication capabilities of a particular frequency band.
  • the communication reception function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can be used to detect an illegal wireless camera in the vicinity.
  • the adhesive means 120 is engaged with the base 11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base cover 130.
  • the bonding means 120 bonds the object to be positioned to the base 110.
  • the adhesive means 120 may be embodied as an adhesive.
  • the bonding means 120 may be embodied as a magnet.
  • the base cover 130 is coupled to the base 110 against the base 110 and is rotatable through the rotation axis 10.
  • the base cover 130 engages the base 110 on one side and the ring connector 140 on the opposite side.
  • the base cover 130 may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of the base cover 130.
  • the base cover 120 may be provided with a heart rate sensor or body temperature sensor on its top.
  • the ring connector 140 is coupled with the base cover 130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base 110 and is rotatable through the rotation shaft 20.
  • the ring connector 140 connects the base cover 130 and the ring 150.
  • the ring 150 is connected to the base cover 130 through the ring connector 140 and can be used to hold an object bonded to the base 110.
  • the ring 150 can be used when positioning an object at a desired angle and direction in the process of mounting the object.
  • the ring 15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object positioning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 the base 110 may include a first stopper projection 210.
  • the first stopper projection 210 will be described.
  • the first stopper protrusion 210 may be formed on the base 110 so as to protrude toward the base cover 130 and may be embedded in the base cover 130.
  • the first stopper protrusion 210 may include first stopping sub-protrusions 212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base cover 130 when the end of the first stopper protrusion 210 is in the form of a cogwheel.
  • the first stopping sub-protrusions 212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equally spaced circumferences of the interference protrusions of the first stopper protrusions 210.
  • the base cover 130 may include a first cogged through hole 220 and a second cogged through hole 230.
  • the first gear-shaped through-hole 220 can receive the first stopper projection 210.
  • acceptance can be performed through interference.
  • the first cogged through-hole 220 may include a first layer 222 forming a fine groove and a second layer 224 forming a cogwheel.
  • the first cogged through-hole 220 may further comprise a third layer (not shown) forming a film.
  • the film can be used for esthetics of the base cover 130.
  • the first gear-shaped through hole 220 can easily insert the first stopping sub-protrusions 212 through the fine grooves when the first stopper protrusion 210 is inserted.
  • the first cog wheel-shaped through-hole 220 is formed so that rotation of the base cover 130 through the first stopping sub-protrusions 212 inserted in the cog wheel after the first stopper protrusion 210 is inserted Can be controlled.
  • the first toothed through-hole 220 contacts the first stopping sub-protrusions 212 for rotation control when the first stopper protrusion 210 is received.
  • the first toothed-type through-holes 220 are formed in the first stopping sub-protrusions 220 in excess of the stopping force due to the contacted tooth- (212).
  • the first toothed through-hole 220 does not exceed the stopping force due to the next toothed wheel teeth in contact with the first stopping sub- do.
  • the second gear-shaped through hole 230 can receive the second stopper projection 240.
  • acceptance can be performed through interference.
  • the second cogged through-hole 230 may include a first layer (not shown) forming a fine groove and a second layer (not shown) forming a cogwheel.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perform the same function as the first layer 222 and the second layer 224 of the first cog wheel-shaped through hole 230.
  • the second cogged through-hole 230 may further comprise a third layer (not shown) forming a membrane.
  • the film can be used for esthetics of the base cover 130.
  • the second gear-shaped through hole 230 can easily insert the second stopping sub-protrusions 242 through the fine grooves when the second stopper protrusion 240 is inserted. Further, the second gear-shaped through hole 230 is formed so that the rotation of the ring connector 140 through the second stopping sub-protrusions 242 inserted in the toothed wheel after the second stopper protrusion 240 is inserted Can be controlled.
  • the second toothed through-hole 230 contacts the second stopping sub-protrusions 242 for rotation control when the second stopper protrusion 240 is received.
  • the second gear-shaped through hole 230 is formed in the second stopping sub-protrusions 230 so that when the rotation of the ring connector 140 is performed through the user's stress, the stopping force due to the contacted tooth teeth is exceeded, (242).
  • the second toothed through-hole 230 does not exceed the stopping force due to the next toothed wheel teeth that are in contact with the second stopping sub- do.
  • the ring connector 140 may include a second stopper protrusion 240 and an engagement hole 250.
  • the second stopper protrusion 240 can be formed on the ring connector 140 and can be forced into the base cover 130.
  • the second stopper protrusion 240 may include second stopping sub-protrusions 242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base cover 130 when the terminal is in the form of a cogwheel.
  • the second stopping sub-protrusions 242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equally spaced circumferences of the interference fit projections of the second stopper protrusions 240.
  • the engaging hole 250 inserts a part of the ring 150 to connect the ring 150 to the base cover 130.
  • the coupling hole 250 forms an opposing polygon such that the ring 150, whose cross-section is a polygon, can be interpolated.
  • the ring 150 will be described.
  • Ring 150 may engage ring connector 140 and secure the mobile terminal.
  • a portion of the ring 150 may form a polygon to control the rotation of the ring 150. More specifically, a portion of the ring 150 may form a polygonal cross-section and the bond hole 250 may form an opposing polygon that is coupled to the polygon.
  • the ring 150 does not exceed the frictional force due to the curved surface of the next opposing polygon to fix the ring 150.
  • the base 110 may include a first cog wheel-shaped through-hole 220, unlike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 the first gear-shaped through-hole 220 can receive the first stopper projection 210.
  • acceptance can be performed through interference.
  • the first cogged through-hole 220 may include a first layer 222 forming a fine groove and a second layer 224 forming a cogwheel.
  • the first cogged through-hole 220 may further comprise a third layer (not shown) forming a film.
  • the film can be used for esthetics of the base cover 130.
  • the first gear-shaped through hole 220 can easily insert the first stopping sub-protrusions 212 through the fine grooves when the first stopper protrusion 210 is inserted.
  • the first cog wheel-shaped through-hole 220 is formed so that rotation of the base cover 130 through the first stopping sub-protrusions 212 inserted in the cog wheel after the first stopper protrusion 210 is inserted Can be controlled.
  • the first toothed through-hole 220 contacts the first stopping sub-protrusions 212 for rotation control when the first stopper protrusion 210 is received.
  • the first toothed through-hole 220 is formed in the first through-hole 220 so that when the rotation of the first stopping sub-protrusions 212 is performed through the stress of the user, The stopping sub-protrusions 212 are rotated.
  • the first toothed through-hole 220 does not exceed the stopping force due to the next toothed wheel teeth in contact with the first stopping sub- do.
  • the base cover 130 may include a first stopper projection 210 and a second cogged through-hole 230.
  • the first stopper protrusion 210 may be formed on the base cover 130 so as to protrude toward the base 110 and may be interference fit to the base 110.
  • the first stopper protrusion 210 may include first stopping sub-protrusions 212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base cover 130 when the end of the first stopper protrusion 210 is in the form of a cogwheel.
  • the first stopping sub-protrusions 212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equally spaced circumferences of the interference protrusions of the first stopper protrusions 21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사물 포지셔닝 장치는 제1 스토퍼 돌기를 포함하는 베이스; 상기 제1 스토퍼 돌기를 통해 결합되어 회전 제어되는 제1 톱니바퀴형 관통공과 제2 톱니바퀴형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와 대향하여 상기 베이스를 커버하는 베이스 커버; 링; 및 상기 링의 일부를 내삽 결합하는 결합공과 상기 제2 톱니바퀴형 관통공을 통해 결합되어 회전 제어되는 제2 스토퍼 돌기를 포함하는 링 커넥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물 포지셔닝 장치
본 발명은 사물 포지셔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전화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의 배면에 부착하여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고 탁상이나 벽면 등에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사물 포지셔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영상 재생기기로 재생되는 영상을 보거나 휴대전화로 영상통화 등을 하고자 할 때 휴대용 영상 재생기나 휴대전화를 손에 쥐거나 책상 등에 놓아야 한다. 이 때 원하는 각도로 파지 또는 거치해야 영상을 편하게 볼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영상 재생기나 휴대전화를 용이하게 파지 또는 거치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에 부응하여 최근에는 영상재생기 또는 휴대전화를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조절한 후 파지하거나 책상 또는 바닥면에 거치시키는 방법으로 재생되는 영상을 시청하거나 영상통화를 할 수 있도록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또는 휴대전화의 뒷면에 결합되는 거치대가 보급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62557호는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장착되고 양측에 관통공이 형성된 회전돌기가 좌우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관통공에 양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휴대단말기가 거치되도록 회동시 일정각도로 고정되며, 일측에는 관통홀이 형성된 링부재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나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단말기 거치링을 개시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53520호는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연결구에 조절볼트를 구성하여 거치링의 슬라이딩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힌지부에 탄성이 강한 판스프링을 구성하여 사용자가 많이 사용하더라도 마모가 발생되지 않고, 오랜 시간 사용할 수 있으며, 판스프링의 외부에 지지대를 구성하여 판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발명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휴대전화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의 배면에 부착하여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고 탁상이나 벽면 등에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는 사물 포지셔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톱니바퀴와 스토퍼 돌기를 이용하여 사물 포지셔닝 기능 상실하지 않고 오랜 시간 사용할 수 있고 최소한의 부품으로 사물을 다양한 방향 및 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는 사물 포지셔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일부가 폴리곤인 링을 이용하여 사물 포지셔닝 기능을 상실하지 않고 오랜 시간 사용할 수 있고 최소한의 부품으로 사물을 다양한 방향 및 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는 사물 포지셔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두께가 얇게 변형될 수 있어 무선 충전이 가능한 사물 포지셔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사물 포지셔닝 장치는 제1 스토퍼 돌기를 포함하는 베이스, 상기 제1 스토퍼 돌기를 통해 결합되어 회전 제어되는 제1 톱니바퀴형 관통공과 제2 톱니바퀴형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와 대향하여 베이스를 커버하는 베이스 커버, 링 및 상기 링의 일부를 내삽 결합하는 결합공과 상기 제2 톱니바퀴형 관통공을 통해 결합되어 회전 제어되는 제2 스토퍼 돌기를 포함하는 링 커넥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링의 일부는 폴리곤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공은 상기 폴리곤과 결합되는 대향 폴리곤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스토퍼 돌기는 상기 제1 톱니바퀴형 관통공의 원주를 균분하여 배치된 복수의 제1 스토핑 서브 돌기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스토퍼 돌기는 상기 제2 톱니바퀴형 관통공의 원주를 균분하여 배치된 복수의 제2 스토핑 서브 돌기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커버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와 결합되고 포지셔닝 하고자 하는 사물을 접착시키는 접착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물 포지셔닝 장치는 링을 통해 파지될 수 있는 사물 거치대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사물 포지셔닝 장치는 제1 톱니바퀴형 관통공을 포함하는 베이스, 상기 제1 톱니바퀴형 관통공에 결합되어 회전 제어를 수행하는 제1 스토퍼 돌기와 제2 톱니바퀴형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와 대향하여 상기 베이스를 커버하는 베이스 커버, 링 및 상기 링의 일부를 내삽 결합하는 결합공과 상기 제2 톱니바퀴형 관통공을 통해 결합되어 회전 제어되는 제2 스토퍼 돌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링의 일부는 폴리곤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공은 상기 폴리곤과 결합되는 대향 폴리곤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포지셔닝 장치는 휴대전화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의 배면에 부착하여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고 탁상이나 벽면 등에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포지셔닝 장치는 톱니바퀴와 스토퍼 돌기를 이용하여 사물 포지셔닝 기능 상실하지 않고 오랜 시간 사용할 수 있고 최소한의 부품으로 사물을 다양한 방향 및 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포지셔닝 장치는 일부가 폴리곤인 링을 이용하여 사물 포지셔닝 기능을 상실하지 않고 오랜 시간 사용할 수 있고 최소한의 부품으로 사물을 다양한 방향 및 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포지셔닝 장치는 두께가 얇게 변형될 수 있어 무선 충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포지셔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사물 포지셔닝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포지셔닝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a)는 사물 포지셔닝 장치(100)가 포개져서 정합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도 1(b)는 사물 포지셔닝 장치(100)가 완전하게 펼쳐져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1(a)와 도 1(b)에서, 사물 포지셔닝 장치(100)는 링(150)에 의한 파지 및 포지셔닝에 관한 위치 변화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사물 포지셔닝 장치(100)는 베이스(110), 접착 수단(120), 베이스 커버(130), 링 커넥터(140) 및 링(150)을 포함할 수 있다.
사물 포지셔닝 장치(100)는 회전축(10)을 통해 베이스(110)와 베이스 커버(130)를 서로 포개거나 또는 완전하게 펼칠 수 있다. 한편, 사물 포지셔닝 장치(100)는 도 1과 달리, 회전축(10)을 중심에 배치하여 베이스(110)와 베이스 커버(130)를 펼치지 못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물 포지셔닝 장치(100)는 베이스(110)와 베이스 커버(130)를 펼쳐서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상대적으로 감소된 두께를 통해 무선 충전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함이다.
이하, 사물 포지셔닝 장치(100)의 각 구성을 설명한다.
베이스(110)는 일면(즉, 상면)에서 접착 수단(120)과 결합하고, 반대면(즉, 하면)에서 베이스 커버(130)와 결합한다. 베이스(110)는 접착 수단(120)을 통해 모바일 단말과 같이 거치하고자 하는 사물을 접착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110)는 그 단면을 원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베이스(110)는 회전축(10)을 통해 베이스 커버(130)를 연결시킬 수 있다. 즉, 베이스 커버(130)는 회전축(10)을 통해 회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110)는 위치 추적 기능, 도난 방지 기능, 특정 주파수 대역의 통신 수신 기능을 제공하는 제어보드(미도시됨)를 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통신 수신 기능은 주변의 불법적인 무선 카메라를 감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접착 수단(120)은 베이스 커버(130)의 반대 방향으로 베이스(110)와 결합된다. 접착 수단(120)은 포지셔닝 하고자 하는 사물을 베이스(110)에 접착 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접착 수단(120)은 접착제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접착 수단(120)은 자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베이스 커버(130)는 베이스(110)에 대향하여 베이스(110)와 결합되고 회전축(10)을 통해 회전할 수 있다. 베이스 커버(130)는 일면에서 베이스(110)와 결합하고, 반대면에서 링 커넥터(140)와 결합한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 커버(130)는 베이스 커버(130)의 단면이 원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 커버(120)는 그 상부에 심박센서 또는 체온센서를 설치할 수 있다.
링 커넥터(140)는 베이스(110)의 반대 방향으로 베이스 커버(130)와 결합되고 회전축(20)을 통해 회전할 수 있다. 링 커넥터(140)는 베이스 커버(130)와 링(150)을 연결한다.
링(150)은 링 커넥터(140)를 통해 베이스 커버(130)와 연결되고 베이스(110)에 접착된 사물을 파지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링(150)은 사물의 거치 과정에서 원하는 각도 및 방향으로 사물을 포지셔닝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링(150)은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사물 포지셔닝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통해, 사물 포지셔닝 장치(100)에 있는 각 구성들, 즉, 베이스(110), 베이스 커버(130), 링 커넥터(140) 및 링(150)에 관한 구체적 구성을 설명한다.
도 2에서, 베이스(110)는 제1 스토퍼 돌기(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제1 스토퍼 돌기(210)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스토퍼 돌기(210)는 베이스 커버(130)를 향해 돌출되도록 베이스(110)에 형성될 수 있고, 베이스 커버(130)에 억지끼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스토퍼 돌기(210)는 말단에 톱니바퀴 형상에 억지끼움될 경우 베이스 커버(130)의 회전 제어를 위한 제1 스토핑 서브 돌기들(21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스토핑 서브 돌기들(212)은 제1 스토퍼 돌기(210)의 억지끼움 돌기의 원주를 균분하여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서, 베이스 커버(130)는 제1 톱니바퀴형 관통공(220) 및 제2 톱니바퀴형 관통공(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톱니바퀴형 관통공(220)은 제1 스토퍼 돌기(210)를 수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수용은 억지끼움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톱니바퀴형 관통공(220)은 미세 홈을 형성한 제1 레이어(222)와 톱니바퀴를 형성한 제2 레이어(22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톱니바퀴형 관통공(220)은 막을 형성한 제3 레이어(미도시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막은 베이스 커버(130)의 심미감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1 톱니바퀴형 관통공(220)은 제1 스토퍼 돌기(210)가 삽입될 때 미세 홈을 통해 제1 스토핑 서브 돌기들(212)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제1 톱니바퀴형 관통공(220)은 제1 스토퍼 돌기(210)가 삽입된 이후에 톱니바퀴에 삽입된 제1 스토핑 서브 돌기들(212)를 통해 베이스 커버(13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제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1 톱니바퀴형 관통공(220)은 제1 스토퍼 돌기(210)가 수용되면 회전 제어를 위해 톱니바퀴를 제1 스토핑 서브 돌기들(212)과 접촉시킨다.
다음으로, 제1 톱니바퀴형 관통공(220)은 사용자의 응력을 통해 베이스 커버(130)의 회전이 수행되면 접촉된 톱니바퀴 이빨들에 의한 스토핑 힘을 초과하여 제1 스토핑 서브 돌기들(212)을 회전시킨다.
마지막으로, 제1 톱니바퀴형 관통공(220)은 사용자의 응력이 약화되면 다음에 접촉된 톱니바퀴 이빨들에 의한 스토핑 힘을 초과하지 못하여 제1 스토핑 서브 돌기들(212)을 스토핑한다.
제2 톱니바퀴형 관통공(230)은 제2 스토퍼 돌기(240)를 수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수용은 억지끼움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톱니바퀴형 관통공(230)은 미세 홈을 형성한 제1 레이어(미도시됨)와 톱니바퀴를 형성한 제2 레이어(미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레이어 및 제2 레이어는 제1 톱니바퀴형 관통공(230)의 제1 레이어(222) 및 제2 레이어(224)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톱니바퀴형 관통공(230)은 막을 형성한 제3 레이어(미도시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막은 베이스 커버(130)의 심미감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2 톱니바퀴형 관통공(230)은 제2 스토퍼 돌기(240)가 삽입될 때 미세 홈을 통해 제2 스토핑 서브 돌기들(242)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제2 톱니바퀴형 관통공(230)은 제2 스토퍼 돌기(240)가 삽입된 이후에 톱니바퀴에 삽입된 제2 스토핑 서브 돌기들(242)을 통해 링 커넥터(14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제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2 톱니바퀴형 관통공(230)은 제2 스토퍼 돌기(240)가 수용되면 회전 제어를 위해 톱니바퀴를 제2 스토핑 서브 돌기들(242)과 접촉시킨다.
다음으로, 제2 톱니바퀴형 관통공(230)은 사용자의 응력을 통해 링 커넥터(140)의 회전이 수행되면 접촉된 톱니바퀴 이빨들에 의한 스토핑 힘을 초과하여 제2 스토핑 서브 돌기들(242)을 회전시킨다.
마지막으로, 제2 톱니바퀴형 관통공(230)은 사용자의 응력이 약화되면 다음에 접촉된 톱니바퀴 이빨들에 의한 스토핑 힘을 초과하지 못하여 제2 스토핑 서브 돌기들(242)을 스토핑한다.
도 2에서, 링 커넥터(140)는 제2 스토퍼 돌기(240)와 결합공(2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토퍼 돌기(240)는 링 커넥터(140)에 형성될 수 있고, 베이스 커버(130)에 억지끼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스토퍼 돌기(240)는 말단에 톱니바퀴 형상에 억지끼움될 경우 베이스 커버(130)의 회전 제어를 위한 제2 스토핑 서브 돌기들(24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스토핑 서브 돌기들(242)은 제2 스토퍼 돌기(240)의 억지끼움 돌기의 원주를 균분하여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결합공(250)은 링(150)의 일부를 내삽 결합하여 링(150)을 베이스 커버(130)에 연결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결합공(250)은 단면이 폴리곤인 링(150)을 내삽할 수 있도록 대향 폴리곤을 형성한다. 이하, 링(150)에 대해 설명한다.
링(150)은 링 커넥터(140)와 결합하고 모바일 단말을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링(150)의 일부는 폴리곤을 형성하여 링(15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링(150)의 일부는 폴리곤 단면을 형성하고 결합공(250)은 폴리곤과 결합되는 대향 폴리곤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제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링(150)은 결합공(250)에 내삽되면 회전 제어를 위해 폴리곤과 대향 폴리곤을 접촉시킨다.
다음으로, 링(150)은 사용자의 응력을 통해 링(150)의 회전이 수행되면 접촉된 대향 폴리곤의 절곡면에 의한 마찰력을 초과하여 링(150)을 회전시킨다.
마지막으로, 링(150)은 사용자의 응력이 약화되면 다음에 접촉된 대향 폴리곤의 절곡면에 의한 마찰력을 초과하지 못하여 링(150)을 고정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로서, 베이스(110)는 도 1 및 도 2와 달리, 제1 톱니바퀴형 관통공(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톱니바퀴형 관통공(220)은 제1 스토퍼 돌기(210)를 수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수용은 억지끼움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톱니바퀴형 관통공(220)은 미세 홈을 형성한 제1 레이어(222)와 톱니바퀴를 형성한 제2 레이어(22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톱니바퀴형 관통공(220)은 막을 형성한 제3 레이어(미도시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막은 베이스 커버(130)의 심미감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1 톱니바퀴형 관통공(220)은 제1 스토퍼 돌기(210)가 삽입될 때 미세 홈을 통해 제1 스토핑 서브 돌기들(212)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제1 톱니바퀴형 관통공(220)은 제1 스토퍼 돌기(210)가 삽입된 이후에 톱니바퀴에 삽입된 제1 스토핑 서브 돌기들(212)를 통해 베이스 커버(13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제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1 톱니바퀴형 관통공(220)은 제1 스토퍼 돌기(210)가 수용되면 회전 제어를 위해 톱니바퀴를 제1 스토핑 서브 돌기들(212)과 접촉시킨다.
다음으로, 제1 톱니바퀴형 관통공(220)은 사용자의 응력을 통해 제1 스토핑 서브 돌기들(212)의 회전이 수행되면 접촉된 톱니바퀴 이빨들에 의한 스토핑 힘을 초과하여 제1 스토핑 서브 돌기들(212)을 회전시킨다.
마지막으로, 제1 톱니바퀴형 관통공(220)은 사용자의 응력이 약화되면 다음에 접촉된 톱니바퀴 이빨들에 의한 스토핑 힘을 초과하지 못하여 제1 스토핑 서브 돌기들(212)을 스토핑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도 1 및 도 2와 달리 베이스 커버(130)는 제1 스토퍼 돌기(210) 및 제2 톱니바퀴형 관통공(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토퍼 돌기(210)는 베이스 (110)를 향해 돌출되도록 베이스 커버(130)에 형성될 수 있고, 베이스(110)에 억지끼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스토퍼 돌기(210)는 말단에 톱니바퀴 형상에 억지끼움될 경우 베이스 커버(130)의 회전 제어를 위한 제1 스토핑 서브 돌기들(21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스토핑 서브 돌기들(212)은 제1 스토퍼 돌기(210)의 억지끼움 돌기의 원주를 균분하여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제1 스토퍼 돌기를 포함하는 베이스;
    상기 제1 스토퍼 돌기를 통해 결합되어 회전 제어되는 제1 톱니바퀴형 관통공과 제2 톱니바퀴형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와 대향하여 상기 베이스를 커버하는 베이스 커버;
    링; 및
    상기 링의 일부를 내삽 결합하는 결합공과 상기 제2 톱니바퀴형 관통공을 통해 결합되어 회전 제어되는 제2 스토퍼 돌기를 포함하는 링 커넥터를 포함하는 사물 포지셔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의 일부는 폴리곤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공은 상기 폴리곤과 결합되는 대향 폴리곤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포지셔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토퍼 돌기는
    상기 제1 톱니바퀴형 관통공의 원주를 균분하여 배치된 복수의 제1 스토핑 서브 돌기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포지셔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토퍼 돌기는
    상기 제2 톱니바퀴형 관통공의 원주를 균분하여 배치된 복수의 제2 스토핑 서브 돌기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포지셔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커버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와 결합되고 포지셔닝 하고자 하는 사물을 접착시키는 접착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포지셔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 포지셔닝 장치는
    링을 통해 파지될 수 있는 모바일 단말 거치대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포지셔닝 장치.
  7. 제1 톱니바퀴형 관통공을 포함하는 베이스;
    상기 제1 톱니바퀴형 관통공에 결합되어 회전 제어를 수행하는 제1 스토퍼 돌기와 제2 톱니바퀴형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와 대향하여 상기 베이스를 커버하는 베이스 커버;
    링; 및
    상기 링의 일부를 내삽 결합하는 결합공과 상기 제2 톱니바퀴형 관통공을 통해 결합되어 회전 제어되는 제2 스토퍼 돌기를 포함하는 사물 포지셔닝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링의 일부는 폴리곤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공은 상기 폴리곤과 결합되는 대향 폴리곤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포지셔닝 장치.
PCT/KR2017/012822 2017-09-01 2017-11-14 사물 포지셔닝 장치 WO201904517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2091A KR101922610B1 (ko) 2017-09-01 2017-09-01 사물 포지셔닝 장치
KR10-2017-0112091 2017-09-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45178A1 true WO2019045178A1 (ko) 2019-03-07

Family

ID=64603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12822 WO2019045178A1 (ko) 2017-09-01 2017-11-14 사물 포지셔닝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22610B1 (ko)
WO (1) WO2019045178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557B1 (ko) * 2011-05-27 2011-09-05 김혜련 휴대단말기 거치링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US20130146625A1 (en) * 2011-12-13 2013-06-13 Bryan Karle Attachable holder with flexible ring for any handheld device
KR101280783B1 (ko) * 2012-05-18 2013-07-05 윤임식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KR101316210B1 (ko) * 2012-07-09 2013-10-08 김범진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20160125056A (ko) * 2015-04-21 2016-10-31 주식회사 그린캠 모바일기기 파지용 액세서리
KR101753520B1 (ko) * 2016-03-28 2017-07-04 박승찬 스마트폰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203Y1 (ko) * 2015-11-06 2017-04-14 주식회사 슈피겐코리아 모바일 기기용 액세서리
TW201720273A (zh) 2015-11-30 2017-06-01 Guo-Jie Yan 手持式電子裝置之定位結構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557B1 (ko) * 2011-05-27 2011-09-05 김혜련 휴대단말기 거치링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US20130146625A1 (en) * 2011-12-13 2013-06-13 Bryan Karle Attachable holder with flexible ring for any handheld device
KR101280783B1 (ko) * 2012-05-18 2013-07-05 윤임식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KR101316210B1 (ko) * 2012-07-09 2013-10-08 김범진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20160125056A (ko) * 2015-04-21 2016-10-31 주식회사 그린캠 모바일기기 파지용 액세서리
KR101753520B1 (ko) * 2016-03-28 2017-07-04 박승찬 스마트폰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2610B1 (ko) 2018-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03321A1 (ko)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
WO2017043765A1 (ko) 휴대용 전자,전기 기기의 액세서리
WO2017164578A1 (ko) 기포발생이 방지되는 구조를 가지는 연성디스플레이 패널이 설치되는 모바일 통신장치
WO2021172814A1 (ko)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
WO2015147450A1 (ko) 손목 시계형 스마트 단말기
WO2016021776A1 (ko)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WO2017008560A1 (zh) 一种两端可折弯的柔性屏移动终端
WO2017007069A1 (ko) 차량 핸들에 설치되는 휴대폰 거치대
WO2011037324A2 (ko) 휴대단말기용 크래들
WO2016137288A1 (ko)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
US20100074462A1 (en) Headse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WO2016106519A1 (zh) 便携式终端
WO2013058466A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목걸이형 오디오 출력장치
WO2015152461A1 (ko) 휴대용 충전장치
WO2014035047A1 (en) Docking station
WO2018128299A1 (en) Portable sound equipment
WO2020138988A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이 설치되는 인폴딩타입 힌지구조
WO2017047976A1 (ko) 도어벨 장치
WO2019045178A1 (ko) 사물 포지셔닝 장치
WO2019112267A1 (ko)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파지 장치
EP3087679A1 (en) Protective cove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it
US7351065B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onnector with band and angle encoding
JP2005090707A (ja) 電子機器のヒンジ装置
WO2016088945A1 (ko) 휴대기기 케이스
WO2010110556A2 (ko) 골 전도 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92325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92325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