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7753B1 - 휴대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7753B1
KR101187753B1 KR1020100094501A KR20100094501A KR101187753B1 KR 101187753 B1 KR101187753 B1 KR 101187753B1 KR 1020100094501 A KR1020100094501 A KR 1020100094501A KR 20100094501 A KR20100094501 A KR 20100094501A KR 101187753 B1 KR101187753 B1 KR 101187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case
assembly
portable terminal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4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2929A (ko
Inventor
신기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빛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빛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빛
Priority to KR1020100094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7753B1/ko
Publication of KR20120032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2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7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7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는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과 양단부를 감싸는 케이스 어셈블리와, 전술한 케이스 어셈블리의 배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사용자의 의복 또는 혁대에 탈착 고정되는 클립 어셈블리와, 전술한 클립 어셈블리로부터 각도 조절 가능하게 회동하며 수납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어 케이스 어셈블리 및 전술한 케이스 어셈블리에 안착된 휴대용 단말기를 지지하는 지지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폰 케이스{CELLULAR PHONE CASE}
본 발명은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의 탈착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견고한 결합 상태의 유지가 가능함은 물론, 동영상 또는 이미지 등 출력되는 화면 감상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다양한 휴대 방법에 의하여 사용을 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사용자가 직접 파지하거나 주머니 또는 가방에 넣고 다니거나, 연결끈을 휴대용 단말기의 본체에 연결하여 손목이나 목에 거는 등의 방법을 채택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직접 파지하고 다는 경우는 분실 우려가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의 부주의로 휴대용 단말기 전면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충격이 가해지면서 흠집이 발생하거나 파손되는 등의 문제에 직면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의 보호를 위해서는 휴대용 단말기의 외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작된 케이스에 휴대용 단말기를 장착하여 외부로부터의 충격에서 보호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최근 시판되는 케이스는 터치 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채용하고 다중 작업의 필요성에 따라 대화면의 휴대용 단말기가 다수 출시됨에 따라 플렉시블하고 탄성을 지닌 소재로 제작되어 내충격성을 향상시킨 것이 함께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케이스는 플렉시블하고 탄성을 지닌 소재의 특성상 장시간의 사용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발열로 인하여 케이스와 휴대용 단말기 상호간의 접촉 부위가 밀착되어 배터리 교체 등과 같이 시급하게 휴대용 단말기를 케이스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지장이 있다.
또한, 최근 시판되는 케이스는 전술한 기능 외에도 영화 또는 다양한 영상물과 정지 화상을 감상하는 기능이 추가되는 것도 많지만, 사용자가 실외에서 이동중일 때는 직접 파지하여 감상할 수 있겠으나, 책상이나 고정된 구조물 상에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할 때는 별도의 물품이나 돌출된 구조물에 휴대용 단말기를 희망하는 각도로 기대어 사용하는 등의 임시 방편에 의할 수밖에 없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탈착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견고한 결합 상태의 유지가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동영상 또는 이미지 등 출력되는 화면 감상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는,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과 양단부를 감싸는 케이스 어셈블리와, 전술한 케이스 어셈블리의 배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사용자의 의복 또는 혁대에 탈착 고정되는 클립 어셈블리와, 전술한 클립 어셈블리로부터 각도 조절 가능하게 회동하며 수납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어 케이스 어셈블리 및 전술한 케이스 어셈블리에 안착된 휴대용 단말기를 지지하는 지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우선, 일측으로부터 휴대용 단말기를 안착시켜 타측으로부터 탈착 고정시키거나, 플렉시블한 소재로 측면을 감싸거나, 휴대용 단말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단부가 신축 가능한 케이스 어셈블리의 구조를 채택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탈착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견고한 결합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케이스 어셈블리의 배면에 결합되어 회전하거나, 별도의 부재를 통하여 탈착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사용자의 의복 또는 벨트 등에 파지되어 고정되는 클립 어셈블리와, 클립 어셈블리로부터 수납 또는 인출 가능하게 회동 결합되고 경사도 조절이 가능한 지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구조를 채택하여 동영상 또는 이미지 등 출력되는 화면 감상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측면 개념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측면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케이스 어셈블리를 나타낸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어셈블리(100)와 클립 어셈블리(200) 및 지지 어셈블리(300)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케이스 어셈블리(100)는 휴대용 단말기(400)의 배면과 양단부를 감싸는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400)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클립 어셈블리(200)는 케이스 어셈블리(100)의 배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사용자의 의복 또는 혁대에 탈착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분실 방지 및 휴대의 편의를 위하여 마련되는 것이다.
지지 어셈블리(300)는 클립 어셈블리(200)로부터 각도 조절 가능하게 회동하며 수납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어 케이스 어셈블리(100) 및 케이스 어셈블리(100)에 안착된 휴대용 단말기(400)를 지지하는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400)로부터 출력되는 동영상 또는 이미지 등과 같은 화면 감상의 편의를 위하여 마련된다.
즉, 지지 어셈블리(300)는 책상 등과 같이 휴대용 단말기(400)를 거치할 수 있는 대상물과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한 각도만큼 경사를 이루도록 하여 최적의 감상 포인트를 지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의하여 적용이 가능하며,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본 발명의 주요부에 대하여 더욱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케이스 어셈블리(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400)를 보호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으로, 도 1 및 도 2와 같이 케이스편(110)과 측편(120)과 고정클립(130)을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즉, 케이스편(110)은 휴대용 단말기(400)의 배면이 안착되는 부재이며, 측편(120)은 케이스편(110)의 일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휴대용 단말기(400)의 일단부 측면을 감싸는 부분이며, 고정클립(130)은 케이스편(110)의 타단부 가장자리에 도 2와 같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휴대용 단말기(400)의 타단부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고정클립(130)은 케이스편(110)의 일단부에서 타단부측을 향하여 탄성 반발력을 작용하여 휴대용 단말기(400)를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고, 케이스편(110)의 배면에 지지 어셈블리(300)가 결합된 클립 어셈블리(200)가 장착된다.
한편, 클립 어셈블리(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의복이나 벨트 등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도 2를 참고로 하면 회전편(210)과 클립편(220)과 탄성편(23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회전편(210)은 케이스 어셈블리(100)의 배면에 일단부가 회전구(212)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일정 각도마다 회전시킬 때 정지되고 회전시키는 동작을 반복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며, 이에 대한 메카니즘은 다양한 기술에 의하여 공지되어 있는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클립편(220)은 회전편(210)의 타단부로부터 돌출된 한 쌍의 브라켓(211)에 결합되는 회전축(221)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탄성편(230)은 클립편(220)과 회전편(210)이 상호 대향하는 면에 양측이 각각 접촉되어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것이다.
여기서, 지지 어셈블리(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편(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함몰된 수납홈(222)에 안착되어 수납 또는 인출되며,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지지편(310)과 걸림부(320)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즉, 지지편(310)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클립 어셈블리(200), 더욱 상세히는 클립편(220)의 표면에 함몰된 수납홈(222)과 대응하는 형상이며, 일단부가 수납홈(222)의 일측 가장자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재이다.
그리고, 걸림부(320)는 지지편(310)의 일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며, 수납홈(222)으로부터 지지편(310)의 타단부가 인출되어 클립 어셈블리(200)와 경사를 이루는 회동 범위를 제한하는 부재이다.
즉, 걸림부(320)는 지지편(310)의 일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는 돌기 형상으로 하고 지지편(310)의 일단부 나머지 부분은 회동 동작의 편의를 위하여 원기둥의 외주면 일부분과 같은 형상으로 제작하는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걸림부(320)는 지지편(310)의 일단부 가장자리 부분을 회동 동작의 편의를 위하여 원기둥의 외주면 형상과 같이 형성하고 전술한 원기둥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의 표면에 대하여 평평하고 각이 진 평면 형상으로 제작하여 회동 동작후 전술한 평면에 도달하면 회동이 멈추도록 하는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케이스 어셈블리(100)는 케이스 어셈블리(100)는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케이스편(140)과 측편(150)을 포함하는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다.
즉, 케이스편(140)은 휴대용 단말기(400)의 배면이 안착되는 평판 형상의 것이며, 측편(150)은 케이스편(14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휴대용 단말기(400)의 측면을 감싸며, 케이스편(140)보다 상대적으로 연질이면서 플렉시블한 재질로 제작되어 휴대용 단말기(400)의 탈착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측편(150)에는 휴대용 단말기(400)와 연통되는 연결용 슬릿(151)이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되고, 케이스편(140)의 배면에 지지 어셈블리(300)가 결합된 클립 어셈블리(200)가 장착되는 것이다.
이때, 클립 어셈블리(200)는 도 5와 같이 탈착편(240)에 마련된 체결돌기(250)를 통하여 케이스 어셈블리(10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탈착편(240)은 케이스 어셈블리(100), 즉 케이스편(110)의 배면에 돌출된 결합블럭(16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된 결합홈(241)이 마련되고 결합블럭(16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편(210)이 장착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체결돌기(250)는 결합홈(241)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상호 대향되게 돌출되어 케이스 어셈블리(100)의 배면과 평행하고, 결합블럭(160)의 양측면에 형성된 체결홈(162)과 결합되는 부분으로, 탈착편(240)은 체결돌기(250)가 형성된 일단부로부터 타단부에 이르는 길이 방향을 따라 길이가 가변되는 것이다.
탈착편(240)은 도 6 및 도 7과 같이 제1 탈착보울(242)과 제2 탈착보울(244)이 신축편(246)에 의하여 신축 가능하게 결합되어 케이스편(110)의 결합블럭(160)과 탈착 결합된다.
즉, 제1 탈착보울(242)은 양측의 체결돌기(250) 사이를 기준으로 체결돌기(250)의 형성방향에 직교되게 분할되어 결합홈(241)의 일부를 형성하며, 분할된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일측의 체결돌기(250)측으로 함몰된 탈착슬릿(243)이 형성된 부재로 결합홈(241)이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 회전편(210)이 결합된다.
그리고, 제2 탈착보울(244)은 제1 탈착보울(242)에 대하여 결합홈(241)의 나머지를 형성하며, 분할된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일측의 체결돌기(250)측으로 돌출되어 탈착슬릿(243)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탈착돌편(245)이 형성된 부재이다.
또한, 신축편(246)은 도 6과 같이 제1, 2 탈착보울(242, 244) 각각의 분할된 단부 가장자리가 접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탈착슬릿(243)에 내장되어 탈착돌편(245)과 연결되고, 체결홈(162)에 체결돌기(250)가 결합되게 도 7과 같이 제1, 2 탈착보울(242, 244) 상호간을 이격시키면서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부재이다.
신축편(246)은 도면에 도시된 형상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제1, 2 탈착보울(242, 244)이 상호 이격 또는 근접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변형 및 응용 설계도 가능하다.
한편, 케이스 어셈블리(100)는 도 8과 같이 제1, 2 케이스편(170, 180)이 탄성편(190)에 의하여 이격 또는 접촉하는 구조를 적용하여 휴대용 단말기(400) 장착의 편의를 도모하는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제1 케이스편(170)은 휴대용 단말기(400)의 일측 배면과 일단부 측면을 감싸는 부재이며, 제2 케이스편(180)은 제1 케이스편(170)에 슬라이딩 접촉 가능하게 결합되고 휴대용 단말기(400)의 타측 배면과 타단부 측면을 감싸는 부재이다.
여기서, 제1 케이스편(170)의 배면에는 지지 어셈블리(300)가 결합된 클립 어셈블리(200)가 장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탄성편(190)은 제1 케이스편(170)과 제2 케이스편(180)에 양측이 각각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재이며, 휴대용 단말기(400)가 장착되는 순간에 신장되어 제1, 2 케이스편(170, 180) 상호간을 이격되게 하고, 휴대용 단말기(400)가 안착되면 수축되어 제1, 2 케이스편(170, 180) 상호간의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탄성편(190)은 도면에 도시된 형상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제1, 2 케이스편(170, 180)이 상호 이격 또는 근접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변형 및 응용 설계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탈착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견고한 결합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고, 동영상 또는 이미지 등 출력되는 화면 감상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케이스 어셈블리 110...케이스편
120...측편 130...고정클립
140...케이스편 150...측편
160...결합블럭 162...체결홈
170...제1 케이스편 180...제2 케이스편
190...탄성편 200...클립 어셈블리
210...회전편 211...브라켓
212...회전구 220...클립편
221...회전축 222...수납홈
230...탄성편 240...탈착편
242...제1 탈착보울 243...탈착슬릿
244...제2 탈착보울 245...탈착돌편
246...신축편 250...체결돌기
300...지지 어셈블리 310...지지편
320...걸림부 400...휴대용 단말기
241: 결합홈

Claims (8)

  1.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과 양단부를 감싸는 케이스 어셈블리;
    상기 케이스 어셈블리의 배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사용자의 의복 또는 혁대에 탈착 고정되는 클립 어셈블리; 및
    상기 클립 어셈블리로부터 각도 조절 가능하게 회동하며 수납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어 케이스 어셈블리 및 상기 케이스 어셈블리에 안착된 휴대용 단말기를 지지하는 지지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클립 어셈블리는,
    상기 케이스 어셈블리의 배면에 돌출형성된 결합블럭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된 결합홈이 마련되고 상기 결합블럭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탈착편과,
    상기 결합홈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상호 대향되게 돌출되어 상기 케이스 어셈블리의 배면과 평행하고 상기 결합블럭의 양측면에 형성된 체결홈과 결합되는 체결돌기를 더 포함하여,
    상기 탈착편은 상기 체결돌기가 형성된 일단부로부터 타단부에 이르는 길이 방향을 따라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어셈블리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이 안착되는 케이스편과,
    상기 케이스편의 일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일단부 측면을 감싸는 측편과,
    상기 케이스편의 타단부 가장자리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타단부를 고정하는 고정클립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클립은 상기 케이스편의 일단부에서 타단부측을 향하여 탄성 반발력을 작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고,
    상기 케이스편의 배면에 상기 지지 어셈블리가 결합된 상기 클립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휴대폰 케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어셈블리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이 안착되는 케이스편과,
    상기 케이스편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을 감싸며, 상기 케이스편보다 상대적으로 연질이면서 플렉시블한 측편을 포함하며,
    상기 측편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연통되는 연결용 슬릿이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되고,
    상기 케이스편의 배면에 상기 지지 어셈블리가 결합된 상기 클립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휴대폰 케이스.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 어셈블리는,
    상기 탈착편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편과,
    상기 회전편의 타단부로부터 돌출된 한 쌍의 브라켓에 결합되는 회전축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립편과,
    상기 클립편과 상기 회전편이 상호 대향하는 면에 양측이 각각 접촉되어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탄성편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어셈블리는 상기 클립편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함몰된 수납홈에 안착되어 수납 또는 인출되는 휴대폰 케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어셈블리는,
    상기 클립 어셈블리의 표면에 함몰된 수납홈과 대응하는 형상이며, 일단부가 상기 수납홈의 일측 가장자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의 일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수납홈으로부터 상기 지지편의 타단부가 인출되어 상기 클립 어셈블리와 경사를 이루는 회동 범위를 제한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휴대폰 케이스.
  7. 삭제
  8. 삭제
KR1020100094501A 2010-09-29 2010-09-29 휴대폰 케이스 KR101187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501A KR101187753B1 (ko) 2010-09-29 2010-09-29 휴대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501A KR101187753B1 (ko) 2010-09-29 2010-09-29 휴대폰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2929A KR20120032929A (ko) 2012-04-06
KR101187753B1 true KR101187753B1 (ko) 2012-10-05

Family

ID=46135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4501A KR101187753B1 (ko) 2010-09-29 2010-09-29 휴대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775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099Y1 (ko) * 2013-04-29 2013-12-02 우양섭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20200018929A (ko) 2018-08-13 2020-02-21 강희정 실리콘그립과 와이어리본을 이용한 클립형 거치대가 결합된 휴대폰 케이스
WO2023224249A1 (ko) * 2022-05-17 2023-11-23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전자 장치를 고정하는 고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48508A1 (fr) 2012-09-27 2014-04-03 Druvent Sebastien Boîtier de protection pour un appareil, et accessoire connectable à un tel boîtier
KR101940545B1 (ko) * 2017-01-25 2019-01-22 김송희 스마트폰용 케이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216Y1 (ko) * 2005-06-27 2005-09-21 이호상 핸드폰 케이스용 거치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216Y1 (ko) * 2005-06-27 2005-09-21 이호상 핸드폰 케이스용 거치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099Y1 (ko) * 2013-04-29 2013-12-02 우양섭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20200018929A (ko) 2018-08-13 2020-02-21 강희정 실리콘그립과 와이어리본을 이용한 클립형 거치대가 결합된 휴대폰 케이스
WO2023224249A1 (ko) * 2022-05-17 2023-11-23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전자 장치를 고정하는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2929A (ko) 2012-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7753B1 (ko) 휴대폰 케이스
US9267638B2 (en) Holder for electronic device with support
KR101062557B1 (ko) 휴대단말기 거치링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KR101253763B1 (ko) 휴대기기용 다기능 액세서리
JP2012227794A (ja) 携帯端末用指掛け及び携帯端末
TW201441794A (zh) 平板型電子裝置保護套
KR20160063599A (ko) 휴대단말기용 손가락 지지대
KR20190006413A (ko)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
KR200447424Y1 (ko) 지지대가 구비된 이중 체결 구조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CN215499131U (zh) 电子设备保护壳
KR20120080809A (ko) 스마트폰 커버
KR20120082247A (ko)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
KR101346572B1 (ko) 휴대 기기용 케이스
KR20120103831A (ko) 기능성 휴대폰 케이스
KR20080032818A (ko) 휴대용 단말기
KR101102464B1 (ko) 보호부와 지지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디지털 기기 케이스
KR20130006934U (ko)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KR200488289Y1 (ko) 휴대 단말기 거치수단
KR20150107562A (ko) 스마트폰 거치대
KR200474707Y1 (ko) 전자기기용 홀더
KR200484140Y1 (ko) 휴대단말기 거치대
KR20150053227A (ko) 스마트폰 거치대
KR20150043964A (ko) 스마트폰 거치대
KR20110038008A (ko) 휴대 통신기기용 다기능 거치대
KR20120114526A (ko) 집게식 단말기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