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3227A - 스마트폰 거치대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3227A
KR20150053227A KR1020140140185A KR20140140185A KR20150053227A KR 20150053227 A KR20150053227 A KR 20150053227A KR 1020140140185 A KR1020140140185 A KR 1020140140185A KR 20140140185 A KR20140140185 A KR 20140140185A KR 20150053227 A KR20150053227 A KR 20150053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cradle
cover
connecting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0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용
Original Assignee
이정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20140027467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50043950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091719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50107562A/ko
Priority claimed from KR20140102692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50043964A/ko
Application filed by 이정용 filed Critical 이정용
Priority to KR1020140153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3241A/ko
Publication of KR20150053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3227A/ko
Priority to PCT/KR2015/010995 priority patent/WO2016060526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과 결합하여 스마트폰을 가로 또는 세로로 세운 상태를 유지시켜 스마트폰의 거치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그에 따라 스마트폰과 결합하여, 상기 스마트폰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스마트폰커버; 일단이 상기 스마트폰커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부; 및, 일단이 상기 스마트폰커버의 하단과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받침부의 타단과 연결되는 연결판;을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는 상기 스마트폰커버에서 일정각도 펼쳐저 상기 스마트폰커버를 지지하며, 상기 연결판은 상기 스마트폰커버의 하단과 상기 받침부 하단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받침부가 상기 스마트폰커버에서 일정각도이상 펼쳐지지 않도록 구속하되, 상기 받침부가 접혀져 상기 스마트폰커버에 밀착되는 경우 상기 받침부와 상기 스마트폰 사이에 접철되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일 예로 개시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 거치대{SUPPORT DEVICE FOR SMART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과 결합하여 스마트폰을 가로 또는 세로로 세운 상태를 유지시켜 스마트폰의 거치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DMB시청 기능의 거치용도나 탁상용 거치 달력 거치용도나 탁상용 사진 앨범 거치용도로 이용되는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에는 스마트폰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스마트폰 커버를 장착해서 사용하고 있다.
한편, 상기한 스마트폰 커버와 함께, 스마트폰을 거치시켜, DMB와 같은 미디어파일을 시청하기 위해 이용하는 스마트폰 거치대가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의 종래 선행기술로써,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제20-2012-0004024호인 거치기능 및 삼각대가능한 스마트폰 보호케이스는 일면에 스마트폰을 홀딩할 수 있는 홀딩부가 마련되어 있고, 타면에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를 지지할 수 있는 홀더 서포트; 하면에는 삼각대를 연결할 수 있는 삼각대 결합공이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홀딩부에는 스마트폰을 장시간 고정할 수 있는 hold hook가 설계되어 있으며, 타면에는 홀더 서포트의 기능을 할 수 있게 shaft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거치기능을 추가하여 보다 편리하게 장시간 사용할 수 있도록 거치기능 및 삼각대 기능을 추가하여 사용자가 느끼는 불편함을 해소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선행기술은 지지기능을 하는 홀더 서포트가 미끄러운 바닥면에 배치되어 자주 미끄러지는 문제점을 유발하거나, 거치시 충격등에 의해 스마트폰의 무게중심이 급속하게 변화하는 상황의 경우 스마트폰이 쓰러지는 문제점을 유발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제20-2012-0004024호(2012. 06.08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될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과 결합되어 스마트폰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면서도, DMB시청 기능의 거치용도나 탁상용 거치 달력 거치용도나 탁상용 사진 앨범 거치용도로 이용시 거치대가 충격을 받은 경우, 스마트폰을 지지하는 지지기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과 결합하여, 상기 스마트폰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스마트폰커버; 일단이 상기 스마트폰커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부; 및, 일단이 상기 스마트폰커버의 하단과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받침부의 타단과 연결되는 연결판;을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는 상기 스마트폰커버에서 일정각도 펼쳐저 상기 스마트폰커버를 지지하며, 상기 연결판은 상기 스마트폰커버의 하단과 상기 받침부 하단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받침부가 상기 스마트폰커버에서 일정각도이상 펼쳐지지 않도록 구속하되, 상기 받침부가 접혀져 상기 스마트폰커버에 밀착되는 경우 상기 받침부와 상기 스마트폰 사이에 접철되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과 결합하여 상기 스마트폰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와 연결된 상태에서 접철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액정을 덮는 덮개부로 구성되는 스마트폰커버; 및, 일단이 상기 본체부의 하단과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덮개부와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판;을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는 스마트폰의 액정을 덮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에서 젖혀지는 경우, 상기 스마트폰커버에서 일정각도 펄쳐저 상기 본체부를 지지지고, 상기 연결판은 상기 본체부의 하단과 상기 덮개부 하단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덮개부가 상기 스마트폰커버에서 일정각도이상 펼쳐지지 않도록 구속하며, 상기 덮개부가 상기 연결판과의 연결이 해제된 경우, 상기 덮개부는 접혀져 상기 스마트폰의 액정을 덮되, 상기 연결판은 상기 덮개부에 포개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과 결합하여, 상기 스마트폰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스마트폰커버; 일단이 상기 스마트폰커버에 접철되도록 결합되는 받침부; 일단이 상기 스마트폰커버의 하단과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받침부의 타단과 연결되는 연결판; 및, 상기 스마트폰커버와 상기 받침부 사이를 핀결합시켜 상기 받침부가 상기 스마트폰커버에서 회동되도록 하는 핀결합구;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는 상기 스마트폰커버에서 일정각도 펼쳐저 상기 스마트폰커버를 지지하며, 상기 연결판은 상기 스마트폰커버의 하단과 상기 받침부 하단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받침부가 상기 스마트폰커버에서 일정각도이상 펼쳐지지 않도록 구속하되, 상기 받침부가 접혀져 상기 스마트폰커버에 밀착되는 경우 상기 받침부와 상기 스마트폰 사이에 접철되어 삽입되며, 상기 받침부는 상기 핀결합구를 기준으로 상기 스마트폰커버에서 회전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장방향 가로면이나 길이방향 세로면 또는 스마트폰의 사선방향을 선택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과 결합하여, 상기 스마트폰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스마트폰커버; 일단이 상기 스마트폰커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고정화돌기(3a)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회동받침대; 및, 상기 스마트폰커버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회동받침대의 상부에 배치되는 압박판; 을 포함하며, 상기 회동받침대는 상기 스마폰커버에서 회동하여 상기 스마트폰커버와 접철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스마트폰커버와 포개지며, 포개진 상태에서 회동하여 선단 하부가 받침대기능을 구현하고, 상기 스마트폰커버에서 회동하는 경우, 상기 고정화돌기(3a)가 회동하여 상기 압박판에 끼움결합되어 받침대기능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결합되어 스마트폰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면서도, 스마트폰을 거치시 충격을 받은 경우, 스마트폰을 지지하는 지지기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거치된 상태의 스마트폰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거치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폰거치대의 우측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마트폰거치대의 받침대가 스마트폰커버에 포개진 상태를 나타내는 우측면도.
도 4a 내지 도 4d는 도 3에 도시된 스마트폰 거치대에 제1벨크로부 및 제2벨크로부를 부착하는 다양한 예를 나타내는 우측면도.
도 5a는 스마트폰커버와 연결판에 회전고정구를 설치한 상태의 우측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배면도이며, 도 5c는 스마트폰커버와 연결판에 회전고정구를 설치한 또 다른 상태의 우측면도이고, 도 5d는 도 5c의 배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접혀진 상태의 우측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스마트폰 거치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며, 도 6c는 도 6a의 스마트폰 거치대가 펼쳐진 상태의 배면도이고, 도 6d는 도 6a의 변형예로써,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접혀진 상태의 우측면도이고, 도 6e는 도 6d의 스마트폰 거치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며, 도 6f는 도 6e의 스마트폰 거치대가 펼쳐진 상태의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우측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스마트폰 거치대의 배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우측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스마트폰 거치대에 회동받침대를 두 개 구성한 상태의 배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변형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사시도.
도 13은 도 1 내지 3에 도시된 스마트폰 거치대의 변형예에 따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측면도와 스마트폰 커버와 받침대가 연결된 부분을 확대한 부분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측면도.
도 17은 지갑형 스마트폰에 있어서의 벨로크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 동일 또는 등가의 구성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동일 또는 등가의 구성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동일 또는 등가의 구성을 제외한 차이점에 대해 중점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폰거치대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마트폰거치대의 받침대가 스마트폰커버에 포개진 상태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스마트폰거치대는 스마트폰커버(1), 받침부(2) 및, 연결판(3)을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폰커버(1)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연성재질이나 연성고분자수지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스마트폰과 결합하여 스마트폰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이러한 스마트폰커버(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2)는 고분자수지와 같은 강성재질로 구성되며, 일단이 스마트폰커버(1)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받침부(2)와 스마트폰커버(1)와의 연결은 비닐과 같은 연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받침부(2)와 스마트폰커버(1)의 결합을 연성수지재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연결판(3)은 몸체의 일부분에 접철되는 영역이 형성되는 연성 또는 강성재질로 형성되며, 일단이 스마트폰커버(1)의 하단과 연결되며, 타단이 받침부(2)의 타단과 연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는 미사용시에 스마트폰커버(1)에서 받침부(2)가 회동하여 받침부(2)가 스마트폰커버(1)에서 밀착된 형태로 사용되어진다.
만약,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거치하고자 하는 경우, 받침부(2)는 스마트폰커버(1)에서 일정각도 펼쳐져 스마트폰커버(1)를 지지하게 된다.
이 경우, 연결판(3)은 스마트폰커버(1)의 하단과 받침부(2) 하단 사이를 연결하여 받침부(2)가 스마트폰커버(1)에서 일정각도이상 펼쳐지지 않도록 구속하게 된다.
만약, 받침부(2)가 다시 접혀져 스마트폰커버(1)에 밀착되는 경우 받침부(2)와 스마트폰 사이에 접철되어 삽입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커버(1)에 의해 스마트폰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면서도, 연결판(3)이 스마트폰커버(1)와 받침부(2) 사이에 배치되어 지지기능을 더하고 있어, 스마트폰을 거치시 충격을 받은 경우에도 스마트폰을 지지하는 지지기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스마트폰의 휴대시에는 연결판(3)이 접철된 상태에서 스마트폰커버(1)에 포개지개 되므로 휴대성을 유지한 상태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스마트폰의 거치기능을 활성화시킨 상태에서, 스마트폰의 모든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는 제1벨크로부(4) 및 제2벨크로부(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d는 도 3에 도시된 스마트폰 거치대에 제1벨크로부(4) 및 제2벨크로부(5)를 부착하는 다양한 예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상기 제1벨크로부(4)는 도 4의 (b)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2)와 연결판(3) 사이가 벨크로 결합되도록 받침부(2)와 연결판(3)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예시하는 벨크로 결합이란 암벨크로와 숫벨크로를 부착시키는 것을 말하며, 본 실시예의 벨크로부는 암벨크로와 숫벨크로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제2벨크로부(5)는 도 4의 (a)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커버(1)와 연결판(3) 사이가 벨크로 결합되도록 스마트폰커버(1)와 연결판(3)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1벨크로부(4)는 받침부(2)와 연결판(3) 사이를 벨크로 결합시키고, 제2벨크로부(5)는 스마트폰커버(1)와 연결판(3) 사이를 벨크로 결합시킴에 따라, 벨크로결합위치를 사용자가 임의대로 조절함으로써 스마트폰 기울기 각도를 사용자의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연결판(3)을 다양한 형태로 굽혀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연결판(3)에는 홀이 형성되고, 이 경우, 제1벨크로부(4) 및 제2벨크로부(5)는 홀을 통해 각각 스마트폰커버(1)와 받침부(2)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a는 스마트폰커버(1)와 연결판(3)에 회전고정구를 설치한 상태의 우측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배면도이고, 도 5c는 스마트폰커버(1)와 연결판(3)에 회전고정구를 설치한 또 다른 상태의 우측면도이고, 도 5d는 도 5c의 배면도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는 제1회전고정구(6) 및 제2회전고정구(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고정구(6)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2)와 연결판(3) 사이를 핀결합시켜 연결판(3)이 받침부(2)에서 회동되도록 하기 때문에 연결판(3)이 받침부(2)에 용이하게 포개지도록 하여 실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회전고정구(7)는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커버(1)와 연결판(3) 사이를 핀결합시켜 연결판(3)이 스마트폰커버(1)에서 회동되도록 하기 때문에, 연결판(3)이 스마트폰커버(1)에 포개지도록 하여 실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연결판(3)은 하부에 고무 또는 실리콘재질의 돌기(3a)가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연결판(3)의 마찰력이 증가되어 충격을 받는 경우에도 스마트폰 거치대의 유동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받침부(2)는 하부에 고무 또는 실리콘재질의 돌출부(2a)가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받침부(2)의 마찰력이 증가되어 충격을 받는 경우에도 스마트폰 거치대의 유동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돌기(3a)와 돌출부(2a)는 이하에서 예시하는 스마트폰 거치대의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접혀진 상태의 우측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스마트폰 거치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며, 도 6c는 도 6a의 스마트폰 거치대가 펼쳐진 상태의 배면도이고, 도 6d는 도 6a의 변형예로써,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접혀진 상태의 우측면도이고, 도 6e는 도 6d의 스마트폰 거치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며, 도 6f는 도 6e의 스마트폰 거치대가 펼쳐진 상태의 배면도이다.
도 6a 및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커버(1) 및, 연결판(3)을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폰커버(1)는 스마트폰과 결합하여 스마트폰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본체부(1a)와, 본체부(1a)와 연결된 상태에서 접철되어 스마트폰의 액정을 덮는 덮개부(1b)로 구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예시하는 스마트폰커버(1)는 지갑형 커버에 관한 예이다.
상기 연결판(3)은 일단이 본체부(1a)의 하단과 연결되며, 타단이 덮개부(1b)와 탈착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지갑형 스마트폰커버(1)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보호하기 위하여 덮개부(1b)로 스마트폰의 액정을 덮어 스마트폰의 액정을 보호하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거치시키고자 하게 되면, 사용자는 덮개부(1b)를 젖히고, 덮개부(1b)를 본체부(1a)에서 일정각도 이루도록 지지하여 배치하게 된다.
이때, 연결판(3)은 본체부(1a)의 하단과 덮개부(1b) 하단 사이를 연결하여 덮개부(1b)가 스마트폰커버(1)에서 일정각도이상 펼쳐지지 않도록 구속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실시예의 지갑형 스마트폰커버(1)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을 용이하게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사용자는 덮개부(1b)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의 액정을 덮고자 하고자 하여, 덮개부(1b)와 연결판(3)과의 연결을 해제시키게 되고, 이 경우, 덮개부(1b)는 회동하여 스마트폰의 액정을 덮게 되며, 이때 연결판(3)은 덮개부(1b)에 포개지게 되기 때문에, 거치기능의 해제시에 스마트폰의 휴대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스마트폰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본 실시예의 스마트폰 거치대는 제3벨크로부(8) 및 제4벨크로부(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벨크로부(8)는 본체부(1a)와 연결판(3) 사이가 벨크로 결합되도록 본체부(1a)에 배치되어 결합된다.
상기 제4벨크로부(9)는 덮개부(1b)와 연결판(3) 사이가 벨크로 결합되도록 덮개부(1b)와 연결판(3)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제3벨크로부(8)는 제4벨크로부(9)는 벨크로 결합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벨크로 겹합되는 각 구성들이 탈착가능하도록 하여 휴대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벨크로 결합위치를 달리하여 거치시에 스마트폰의 배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는 제3회전고정구(10) 및 제4회전고정구(11)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3회전고정구(10)는 본체부(1a)와 연결판(3) 사이를 핀결합시켜 연결판(3)이 본체부(1a)에서 회동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 제4회전고정구(11)는 덮개부(1b)와 연결판(3) 사이를 핀결합시켜 연결판(3)이 덮개부(1b)에서 회동하도록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3회전고정구(10) 및 제4회전고정구(11)는 연결된 각각의 구성들이 각각의 핀결합된 위치를 기준으로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각 구성들을 회동구동에 의해 용이하게 배치되도록 하여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즉, 상기 스마트폰의 덮개기능과 받침기능을 하는 상기 거치대 받침부와 상기 스마트폰의 바로 뒷면의 커버의 둘 중의 일측에 연결된 연결판(3)은 연결판(3)을 펼쳤을 때 연결판(3)의 하늘로 향하는 부분에 벨크로 테이프나 고무, 실리콘이나 받침돌기등이 형성되며 다른 측의 하단부가 벨크로테이프나 고무, 실리콘이나 받침돌기등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판(3) 상부에 기울기를 자유롭게 조정되도록 하여, 임의의 위치에 배치시키면 중력과 마찰력,또는 체결력등에 의하여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우측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커버(1), 받침부(2), 연결판(3) 및, 핀결합구(12)를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폰커버(1)는 스마트폰과 결합하여, 스마트폰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이러한 스마트폰커버(1)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본 설명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받침부(2)는 일단이 스마트폰커버(1)에 접철되도록 결합된다. 이 경우, 받침부(2)는 강성재질로 이루어지되, 핀결합구(12)가 위치 주변의 구간이 연성재질로 이루어지는 연성구간을 형성하여 연성구간을 기준으로 접철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폰커버(1)에는 받침판(13)이 더 구성될 수 있으며, 받침판(13)은 핀결합구(12)에 의해 받침부(2)와 함께 핀결합된 상태에서 스마트폰커버(1)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판(3)은 일단이 스마트폰커버(1)의 하단과 연결되며, 타단이 받침부(2)의 타단과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판(3)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본 설명에서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연결판(3)은 스마트폰커버(1)에 연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받침판(13)과 같은 추가 구성이 있는 경우 받침판(13)과도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핀결합구(12)는 스마트폰커버(1)와 받침부(2) 사이를 핀결합시켜 받침부(2)가 스마트폰커버(1)에서 회동되도록 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핀결합구(12)는 받침부(2) 뿐만 아니라, 받침판(13)을 스마트폰커버(1)를 핀결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스마트폰 거치대는 거치기능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받침부(2)는 연성구간으로 기준으로 스마트폰커버(1)에서 일정각도 접혀져 스마트폰커버(1)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연결판(3)은 스마트폰커버(1)의 하단과 받침부(2) 하단 사이를 연결하여 받침부(2)가 스마트폰커버(1)에서 일정각도이상 펼쳐지지 않도록 구속함으로써, 연결판(3)에 의해 받침부(2)가 일정각도를 유지하면서도 충격등에 의해 받침부(2)가 다시 접혀지는등의 현상을 방지하여 스마트폰의 거치기능에 안정성을 더하게 된다.
만약,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받침부(2)를 접고자하여 받침부(2)가 접혀저 스마트폰커버(1)에 밀착되는 경우, 연결판(3)은 받침부(2)와 스마트폰 사이에 접철되어 삽입되어 스마트폰의 휴대성을 저해시키는 요소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나아가, 받침부(2)는 핀결합구(12)를 기준으로 스마트폰커버(1)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스마트폰의 장방향 가로면이나 길이방향 세로면 또는 스마트폰의 사선방향을 선택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스마트폰 거치대는 제5벨크로부(14)와 제6벨크로부(15) 및 결합구(15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5벨크로부(14)는 연결판(3)과 스마트폰커버(1)가 벨크로결합되도록 연결판(3)과 스마트폰커버(1) 사이에 결합된다.
상기 제6벨크로부(15)는 연결판(3)과 받침부(2)가 벨크로결합되도록 연결판(3)과 받침부(2) 사이에 결합된다.
상기 결합구(15a)는 받침부(2)와 스마트폰커버(1)가 벨크로결합되도록 받침부(2)와 스마트폰커버(1)와 결합된다.
이러한 제5벨크로부(14) 및 제6벨크로부(15)에 의해 연결판(3)은 벨크로 결합위치를 조절하여 스마트폰 거치시에 받침부(2)의 각도를 사용자의 편의대로 조절할 수 있고, 휴대시에 탈착가능하게 분리되어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스마트폰 거치대는 제7벨크로부(16) 및, 제8벨크로부(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스마트폰 거치대의 배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스마트폰 거치대의 제7벨크로부(16)는 스마트폰커버(1)와 받침부(2) 사이를 벨크로 결합시켜 스마트폰커버(1)와 받침부(2)를 탈착가능하게 결합시키게 되고, 제8벨크로부(17)는 스마트폰커버(1)와 받침부(2) 사이를 벨크로 결합시켜 스마트폰커버(1)와 받침부(2)를 탈착가능하게 결합시키되, 제6벨로크부(16)와 이격되어 배치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제7벨크로부(16) 및, 제8벨크로부(17)에 의해 스마트폰 거치대는 받침부(2)를 스마트폰의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에 선택적으로 배치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실시예의 스마트폰 거치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판(3)의 하부에 고무 또는 실리콘재질의 돌기(3a)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받침부(2)의 하부에 고무 또는 실리콘재질의 돌출부(2a)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우측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커버(1), 회동받침대(19) 및, 압박판(20)을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폰커버(1)는 스마트폰과 결합하여, 스마트폰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며, 이러한 스마트폰커버(1)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본 설명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회동받침대(19)는 일단이 스마트폰커버(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고정화돌기(19a)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회동받침대(19)와 스마트폰커버(1) 사이에는 제9벨크로부(21)가 더 구성되어 회동받침대(19)와 스마트폰커버(1)를 벨크로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압박판(20)은 상기 스마트폰커버(1)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회동받침대(19)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들로 이루어지는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을 휴대하는 경우에 회동받침대(19)를 회동시켜 스마트폰커버(1)에 포개진 상태로 이용하다가,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거치시키자 하는 경우에 스마트폰커버(1)에 포개진 회동받침대(19)를 회동시켜 회동받침대(19)의 선단 하부가 받침대 기능을 구현하도록 하고, 이 경우, 회동받침대(19)의 고정화돌기(19a)가 회동하여 압박판(20)에 끼움결합되도록 하여 고정됨으로써, 받침대기능을 유지하여 거치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스마트폰 거치대에 회동받침대(19)를 두 개 구성한 상태의 배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받침대(19)는 두 개로 구성되되, 스마트폰 커버의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 각각에 배치되고, 압박판(20)도 두 개로 구성되되, 두 개 회동받침대(19)와 대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동받침대(19)와 압박판(20)은 스마트폰커버(1)의 가로방향과 세로방향 각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받침대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가로방향과 세로방향 모두 거치기능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의 모는 기능을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스마트폰커버(1)와 상기 회동받침대(19)가 핀결합되는
지점에 압박체가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압박체는 회동받침대(19)의 핀결합되
는 지점을 압박하여 사용자의 의해 조절된 각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압박체는 상기 스마트폰커버(1)와 상기 회동받침대
(19)가 핀결합되는 지점에 삽입되는 볼트를 삽입하여 상기 볼트에 너트를 결합시켜
구성되는 것; 상기 스마트폰커버(1)와 상기 회동받침대(19)가 핀결합되는 지점에
삽입되는 볼트를 삽입하여 상기 볼트에 너트를 결합시키되 상기 볼트에 와셔를 삽
입하는 것; 상기 스마트폰커버(1)와 상기 회동받침대(19)가 핀결합되는 지점에
"ㅜ"자 형의 제1끼움체와 "ㅛ"자 형의 제2끼움체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 상기 스
마트폰커버(1)와 상기 회동받침대(19)가 핀결합되는 지점에 "ㅜ"자 형의 제1끼움체
와 "ㅛ"자 형의 제2끼움체가 삽입되어 결합되되, 상기 제1끼움체와 상기 제2끼움체
에 돌기부를 돌출시켜 끼움결합시키는 것; 가운데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거나 이들
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사시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커버(1), 받침부(2) 및, 연결판(3)을 포함한다.
이러한 스마트폰 거치대는 연결판(3)이 거치대 받침부(2)와 부착되지 않고 스마트폰의 커버(1)에서 연결되어 형성되며, 연결판(3)의 거치대 받침판(2)이 닿는 부분에 적어도 1개 이상의 거치될 수 있는 거치대 받침판(2)의 받침돌기(51)를 형성한다.
이 경우, 거치대 받침판(2)은 연결판(3)의 받침돌기(51) 단부에 밀착되는데, 이 경우, 받침돌기(51)는 고무판등의 미끄러지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거나 또는 거치대 받침판(2)의 하단이 고무판등의 미끄러지지 않는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거치대 받침판(2)이 받침돌기(51)에 의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여 거치대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사시도로써, 도 11에 도시된 스마트폰 거치대의 변형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커버(1), 받침부(2) 및, 연결판(3)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사시도는 연결판(3)이 받침부(2)에 부착되는 경우로써, 연결판(3)이 스마트폰의 전면부를 향하도록 구성한 상태에서 받침돌기(51)를 이용하여 거치대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다.
도 13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스마트폰 거치대의 변형예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는 도 1 내지 도 3의 스마트폰커버(1), 받침부(2) 및, 연결판(3)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연결판(3)에는 홀(3b)이 더 형성되고, 받침대(2)에도 홀(3c)이 더 형성되며, 이 경우, 연결판(3)과 받침대(2)의 접철시에 맞닿는 면 각각에는 벨크로부(3a)가 더 형성된다.
이와 같은 스마트폰 거치대는 받침대(2)의 중간부위가 접철되어 연결판(3)이 접철되는 경우, 연결판(3)과 받침부(2)의 벨크로부(3a)들이 각각의 홀을 통과하여 벨크로 결합됨으로써, 연결판(3)이 포개진 상태를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측면도로써, 도 1 내지 도 3의 스마트폰커버(1) 및 받침부(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스마트폰 거치대는 전술한 연결판(3)의 구성없이 스마트폰의 지지기능을 구현하게 되며, 이 경우, 받침부(2)는 고무 또는 실리콘재질의 돌출부(2a)가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받침부(2)의 마찰력이 증가되어 충격을 받는 경우에도 스마트폰 거치대의 유동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5를 더 참조하면,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스마트폰커버
(1)와 받침부(2)가 연결되는 부위에 회동가능한 끼움결합체를 형성하여 받침부(2)
가 끼움결합되는 부위의 마찰력에 의해 지지대의 기능을 구현하도록 하는 핀결합체
의 단면도로써,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결합체는 "ㅜ"자형 결합구(55), 상기
"ㅜ"자형 결합구(55)의 중앙 돌출부에 감싸도록 한 상태에서 "ㅜ"자형 결합구(55)
와 대향하게 배치되는 "ㅛ"자형 결합구(56), "ㅜ"자형 결합구(55)와 "ㅛ"자형 결합
구(56)가 교차되는 부위를 관통하는 볼트(53), 볼트(53)에 나사결합되며 "ㅛ"자형
결합구(56)에 밀착되어 압박하는 너트(54) 및, "ㅜ"자형 결합구(55)와 "ㅛ"자형 결
합구(56) 사이에 삽입되어 "ㅜ"자형 결합구(55)와 "ㅛ"자형 결합구(56) 사이에 탄
성력을 제공하는 와셔(57)를 포함한다.
이러한 핀결합체는 너트(54)를 조여지는 경우에 "ㅜ"자형 결합구
(55)와 "ㅛ"자형 결합구(56) 사이를 압박하여 마찰력을 증사시킴으로써, 받침대
(2)가 회동하여 특정각도로 기울어지는 경우, 받침대(2)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함으
로써, 사용자가 받침대(2)의 기울기를 임의의 각도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
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측면도로서 스마트폰의 커버 뒷면이나 거치대의 받침부(2) 거치대의 받침부와 2개의 연결판이 모두 하나로 연결되되 2개의 연결판이 접철되게 될 때 2개의 연결판(3)중의 일측에 2개의 연결판을 펼쳤을 경우의 길이만큼이나 그 길이에 가깝게 하드보드지등의 연결판 고정판(21)를 2개의 연결판 중의 일측인 연결판의 바닥면이나 연결판과 스마트폰의 커버 뒷면이나 거치대의 받침판(2) 또는 연결판과 거치대의 받침부의 연결부위에 부착시키고 다른 측은 부착되지 않게 하는 것이며 이러한 연결판 고정판은 연결판이 접히는 것에는 거의 저항이 생기지 않으면서도 일단 펼쳐지면 스스로는 쉽게 접히지 않게 하는 기능을 하게 되며 연결판 고정판(21)은 탄력적인 소재로 형성함으로써 연결판이 쉽게 접철되게 할 수 있다.
도 17은 지갑형 스마트폰에 있어서의 벨로크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덮개부는 상기 스마트폰의 액정을 덮은 상태에서 젖혀지는 경우, 스마트폰의 뒷 면의 반이 지갑형 커버에 의해서 부착되며 또한 접혀져서 나머기 뒷 부분의 반이 거치대의 받침부 기능을 하고 액정을 덮었던 부분이 스마트폰의 연결판 기능을 하는 스마트폰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의 덮개기능을 했던 상기 거치대 연결판과 상기 스마트폰의 바로 지갑형 커버의 내측의 스마트폰 본체의 측면의 일부에 암 수 벨크로 테이프가 형성되어 상기 스마트폰 본체의 기울기를 자유롭게 조정되도록 하여, 임의의 위치에 배치시키면 밸크로 테이프의 체결력에 의하여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들은 각각의 기술적 특징들의 일부들을 서로 간에 접목시켜 구현하거나, 복합적으로 융합시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는 상기한 실시예들의 각 세부 기술적 특징들이나, 각 세부 기술적 특징들이 조합되어 상기 실시예들보다 광의의 개념으로 청구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스마트폰커버 2 ; 받침부
3 ; 연결판 4 ; 제1벨크로부
5 ; 제2벨크로부 6 ; 제1회전고정구
7 ; 제2회전고정구 8 ; 제3벨크로부
9 ; 제4벨크로부 10 ; 제3회전고정구
11 ; 제4회전고정구 12 ; 핀결합구
13 ; 받침판 14 ; 제5벨크로부
15 ; 제6벨크로부 16 ; 제7벨크로부
17 ; 제8벨크로부 18 ; 연결판고정막대
19 ; 회동받침대 20 ; 압박판
21 : 연결판 고정판 22 ; 제 9벨로크부

Claims (28)

  1. 스마트폰의 거치대에 있어서,
    스마트폰 커버의 윗 부분이 스마트폰의 커버에 부착되며 윗 부분이 접혔다가 펼 수 있게 되는 거치대 받침부; 및,
    상기 거치대 받침부의 하부와 연결되는 거치대 연결판;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판은 가운데가 접혀져서 2개로 접철되며 연결판의 다른 쪽은 스마트폰의 하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거치대.
  2. 스마트폰의 거치대에 있어서,
    스마폰폰과 결합되어 뒤로 젖혀지는 경우 받침부 기능을 구현하는 거치대 받침부;
    상기 거치대 받침부와 연결되는 연결판;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판은 상기 거치대 받침부와 스마트폰의 바로 뒷면의 커버의 둘 중의 일측에 연결된 연결판이 연결판을 펼쳤을 때 연결판의 하늘로 향하는 부분에 벨크로 테이프나 고무, 실리콘이나 받침돌기등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판은 다른 측의 하단부가 벨크로테이프나 고무, 실리콘이나 받침돌기등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연결판을 회동시켜 임의의 각도로 형성하는 경우, 중력과 마찰력,또는 체결력등에 의하여 임의의 각도로 결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거치대.
  3. 스마트폰의 본체부와 액정을 덮는 덮개부로 형성되는 지갑형 스마트폰에 이용되는 스마트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스마트폰의 액정을 덮은 상태에서 젖혀지는 경우, 거치대기능을 하는 거치대 받침부로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폰의 뒷면의 커버에는 연결판이 더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폰의 덮개기능과 받침기능을 하는 상기 거치대 받침부와 상기 스마트폰의 바로 뒷면의 커버의 둘 중의 일측에 연결된 연결판이 연결판을 펼쳤을 때 연결판의 하늘로 향하는 부분에 벨크로 테이프나 고무, 실리콘이나 받침돌기등이 형성되며 다른 측의 하단부가 벨크로테이프나 고무, 실리콘이나 받침돌기등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판 상부에 기울기를 자유롭게 조정되도록 하여, 임의의 위치에 배치시키면 중력과 마찰력,또는 체결력등에 의하여 결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거치대.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받침부와 스마트폰의 바로 뒷면의 커버의 둘 중의 일측에서 핀결합하여 연결되는 연결판은 고정이 된 상태에서 옆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결합되는 회전고정구;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폰의 거치대.
  5. 스마트폰의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커버의 거치대 바닥면의 상부 부분에 형성되며, 상부 부분이 접혔다가 펼 수 있게 접철되는 거치대 받침부; 및,
    상기 거치대 받침부의 하부와 연결되는 연결판; 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판은 가운데가 접혀져서 2개로 접철되며,
    상기 연결판의 또 다른 면은 스마트폰 거치대의 바닥면의 하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거치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의 또 다른 면은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의 바닥면의 하부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의 맨 밑의 바닥면과 연결판과 연결되는 거치대 받침부의 윗 부분은 바닥면이 거치대 윗 부분보다 위에 있게 된 상태에서 상기 바닥면에만 스마트폰의 커버와 핀결합하여 회전고정축을 더 형성하는 것 또는,
    상기 바닥면이 거치대 윗 부분과 일치하여 거치대 아래의 바닥면에 스마트폰의 커버와 핀결합하여 회전고정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거치대.
  7. 제 1항 내지 제 6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의 커버와 연결되는 상기 거치대 연결판을 두 개로 구성하고,
    상기 연결판이 강성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판이 연결되는 부위가 연성재질로 이루어져 연성구간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판은 상기 연성구간을 기준으로 접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거치대.
  8. 제1항 내지 제7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연결판과 상기 거치대 받침부는,
    스마트폰의 가로면과 세로면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세워지며, 가로면으로 세워지는 경우 거치대를 펴서 세로로 세워도 일정 기울기를 갖도록 거치대의 형성 위치와 크기를 정하거나,
    상기 거치대가 세로로 세워지는 경우, 거치대의 옆면이 사선이 되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거치대를 펴서 가로로 세워도 일정 기울기를 갖도록 거치대의 형성 위치와 크기를 정하거나,
    상기 거치대가 가로로 세워지는 경우, 상기 거치대의 옆면이 사선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거치대.
  9. 제 1항 내지 제 8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단부와 상기 스마트폰의 커버의 양쪽에 또는 거치대 단부의 돌출된 일측과 스마트폰의 커버의 양쪽에 또는, 전체적으로 돌출된 부분의 일측과 스마트폰의 커버 양쪽에는 벨크로 테이프와 같은 결합구가 형성되어 벨크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폰의 거치대.
  10. 제 1항 내지 제 5항과 제 7항 및 제 9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연결판과 상기 거치대 받침부는,
    상기 스마트폰의 가로면 위에 세로면이 형성되거나 세로면위에 가로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거치대.
  11. 제 6항에서 있어서,
    상기 거치대 받침부의 타측 단부와 상기 스마트폰의 커버의 가로면의 하부와 상기 스마트폰의 세로면 하부에는 벨크로 테이프등 결합구가 양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거치대.
  12. 스마트폰의 커버를 구비하는 스마트폰의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의 커버에 거치대에 거치대의 고정화 돌기가 스마트폰에 가까운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폰 커버에는 상기 고정화 돌기와 압박되어 지지대를 압박하는 압박판이 더 형성되며,
    상기 스마트폰 커버의 지지대는 거치대 고정 회전축의 형성되어, 상기 고정 회전축의 연결핀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거치대.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폰의 커버와 상기 스마트폰 지지대의 단부에는 벨크로테이프등 결합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거치대.
  14. 스마트폰의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의 커버에 거치대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폰의 커버의 본
    체 또는 거치대의 한 쪽은 "ㅜ"자 결합구가 구성되고 한 쪽은 "ㅛ"자 결합구가 구
    성되어 서로간에 삽입되되, 각각의 중심부에는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스마트폰의
    커버의 본체 또는 거치대의 한 쪽에는 볼트가 구성되고, 다른쪽에는 너트식의 나사
    가 형성되어 상기 구멍을 통하여 나사결합되어 상기 "ㅜ"자 결합구와 상기 "ㅛ"자
    결합구를 조이거나,
    상기 "ㅜ"자형 결합구나 "ㅛ"자형 결합구가 맞물리는 부위에 중심축형 돌기
    를 형성하여 상기 "ㅜ"자 결합구와 "ㅛ"자 결합구가 상기 중심축형 돌기에 의해
    빡빡하게 맞물리도록 하거나, 상기 중심축형 돌기가 형성되는 반대 쪽은 구멍을 형
    성하고 상기 구멍에 "ㅛ"자형 결합구를 삽입한 상태에서 너트를 조여 상기 너트와
    마찰력에 의하여 거치대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의 거치대.
  15. 스마트폰의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의 커버에 거치대가 형성될 때에 스마트폰의 커버의 본체 또는
    거치대의 한 쪽은 "ㅜ"자 결합구를 형성하고, 한 쪽은 "ㅛ"자 결합구를 형성하여
    서로 간에 삽입결합하고, 그 각 각의 가운데는 구멍을 형성하여 중심축을 관통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ㅜ"자 결합구가 상기 "ㅛ"자 결합구에 삽입되는 부분이 모
    가나 있거나 돌기등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와 상기 거치대를 고정시키거나,
    상기 스마트폰의 커버의 본체 또는 거치대의 한 쪽에는 볼트와 너트식의 나
    사가 형성하되, 상기 "ㅜ"자 결합구가 상기 "ㅛ"자 결합구의 구멍을 통해 상기 볼
    트와 나사가 나사결합하여 조여지는 부분의 마찰력에 의하여 거치대의 각도를 자유
    롭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거치대.
  16. 제 14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의 커버의 본체 또는 거치대의 한 쪽에 조여지는 부분의
    "ㅗ"자형 결합구와 "ㅠ"자형 결합구의 접촉 부분등에는 스프링 와셔나 혀붙이 와
    셔 또는 이붙이 와셔등의 와셔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거치
    대.
  1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이 스마트폰이나 덮개부의 전체 부분 중에서 일 부분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거치대.
  18. 제 3항에 있어서,
    세로 부분의 거치대가 덮개부의 내측에 윗 부분이 접혔다가 펼 수 있게 되는 거치대 받침부를 형성하며 거치대 받침부의 하부는 거치대 연결판과 연결되며 연결판은 가운데가 접혀져서 2개로 접철되며 연결판의 다른 쪽은 스마트폰의 덮개부의 내측 하부와 연결되거나 덮개부의 내측에 윗 부분이 접혔다가 펼 수 있게 되는 거치대 받침부를 형성하며 거치대 받침부가 뒤로 젖히면 거치대 받침부가 되며 연결판은 거치대 받침부와 스마트폰의 덮개부의 내측의 하부의 둘 중의 일측에 연결된 연결판이 연결판을 펼쳤을 때 연결판의 하늘로 향하는 부분에 벨크로 테이프나 고무, 실리콘이나 받침돌기등이 형성되며 다른 측의 하단부가 벨크로테이프나 고무, 실리콘이나 받침돌기등으로 형성되어 연결판 위의 임의의 각도로 놓으면 중력과 마찰력,또는 체결력등에 의하여 임의의 각도로 결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거치대.
  19. 제 3항과 제 17항 및 제 18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로부분의 거치대의 덮개부의 내측 하부와 거치대의 받침대의 단부에는 벨크로 테이프등의 결합구가 형성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거치대.
  20. 제 1항,5항,6항,7항,8항,9항,10항,11항 및,18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가 상기 스마트폰에 결합할 때 연결판 단부의 가운데를 절단하고 그 절단된 부분을 통하여 거치대 받침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벨크로테이프와, 상기 스마트폰의 본체나 덮개부의 내부 하부등에 형성된 벨크로테이프등등에 체결구를 결합시키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폰의 거치대.
  21. 제 2항,3항,4항,7항,8항,9항,10항,17항,18항,19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의 받침부와 상기 스마트폰의 커버등이 포개질 때 상기 연결판이 부착된 거치대의 받침부 또는 상기 스마트폰의 커버등의 연결판의 단부가,
    상기 거치대의 받침부나, 상기 스마트폰의 커버등의 닿는 부위의 연결판 단부나, 상기 거치대의 받침부 또는, 상기 스마트폰의 커버등 가운데 어느 하나에 닿는 경우 각각의 닿는 부위에 벨크로 결합을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폰의 거치대.
  22. 일반 스마트 폰의 거치대 받침부와 지갑형 스마트 폰의 지갑에 해당되는 뚜껑이 거치대 받침부가 됨으로써, 상기 연결판 없이 상기 거치대 받침부의 하단이 고무판등의 미끄러지지 않는 재질로 되어서 거치대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거치대.
  23. 제 1항 내지 제 22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가 원래의 스마트폰의 커버에 형성되거나, 스마트폰의 원래의 커버의 커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거치대.
  24. 제 12항 내지 제 16항, 제 22항 및 23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가 스마트 폰의 세로면만 또는 가로면만 또는 세로면과 가로면에 모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거치대.
  25. 제 1항 내지 제 24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폰의 거치대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 거치대를 형성할 때에 커버 전체에 요철이 생기지 않도록 커버의 두께 내에서 거치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폰의 거치대.
  26. 제 1항,5항,6항,7항,8항,9항,10항,11항,18항,20항,23항,25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마트폰의 커버 뒷면이나 거치대의 받침부(2) 거치대의 받침부와 2개의 연결판이 모두 하나로 연결되되 2개의 연결판이 접철되게 될 때 2개의 연결판(3)중의 일측에 2개의 연결판을 펼쳤을 경우의 길이만큼이나 그 길이에 가깝게 하드보드지등의 연결판 고정판(21)를 2개의 연결판 중의 일측인 연결판의 바닥면이나 연결판과 스마트폰의 커버 뒷면이나 거치대의 받침판(2) 또는 연결판과 거치대의 받침부의 연결부위에 부착시키고 다른 측은 부착되지 않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폰의 거치대.
  27. 제 26항에 있어서 연결판 고정판(21)은 탄력적인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폰의 거치대.
  28. 스마트폰의 본체부와 액정을 덮는 덮개부로 형성되는 지갑형 스마트폰에 이용되는 스마트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스마트폰의 액정을 덮은 상태에서 젖혀지는 경우, 스마트폰의 뒷 면의 반이 지갑형 커버에 의해서 부착되며 또한 접혀져서 나머기 뒷 부분의 반이 거치대의 받침부 기능을 하고 액정을 덮었던 부분이 스마트폰의 연결판 기능을 하는 스마트폰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의 덮개기능을 했던 상기 거치대 연결판과 상기 스마트폰의 바로 지갑형 커버의 내측의 스마트폰 본체의 측면의 일부에 암 수 벨크로 테이프가 형성되거나 상기 스마트폰의 액정의 덮개기능을 했던 상기 거치대 연결판의 일측에 액정의 덮개를 펼쳤을 때 액정의 덮개의 내측에 고무, 실리콘이나 받침돌기등이 일렬로 형성되어 상기 스마트폰 본체의 기울기를 자유롭게 조정되도록 하여, 임의의 위치에 배치시키면 중력과 마찰력,또는 체결력등에 의하여 결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거치대.




KR1020140140185A 2013-11-06 2014-10-16 스마트폰 거치대 KR2015005322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250A KR20150053241A (ko) 2013-11-06 2014-11-06 스마트폰 거치대
PCT/KR2015/010995 WO2016060526A2 (ko) 2014-10-16 2015-10-16 스마트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4032 2013-11-06
KR20130134032 2013-11-06
KR20130137281 2013-11-12
KR1020130137281 2013-11-12
KR20130138679 2013-11-14
KR1020130138679 2013-11-14
KR20140000015 2014-01-01
KR1020140000015 2014-01-01
KR20140027467A KR20150043950A (ko) 2013-10-13 2014-03-07 스마트폰의 거치대
KR1020140027467 2014-03-07
KR1020140029296 2014-03-13
KR20140029296A KR20150043951A (ko) 2013-10-13 2014-03-13 스마트폰의 거치대
KR20140042083A KR20150043956A (ko) 2013-10-13 2014-04-08 스마트폰의 거치대
KR1020140042083 2014-04-08
KR1020140067204 2014-06-02
KR20140067204A KR20150043961A (ko) 2013-10-13 2014-06-02 스마트폰의 거치대
KR1020140091719A KR20150107562A (ko) 2014-03-13 2014-07-21 스마트폰 거치대
KR1020140091719 2014-07-21
KR1020140095159 2014-07-26
KR20140095159 2014-07-26
KR20140102692A KR20150043964A (ko) 2013-10-13 2014-08-09 스마트폰 거치대
KR1020140102692 2014-08-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3227A true KR20150053227A (ko) 2015-05-15

Family

ID=5338986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0185A KR20150053227A (ko) 2013-11-06 2014-10-16 스마트폰 거치대
KR1020140153250A KR20150053241A (ko) 2013-11-06 2014-11-06 스마트폰 거치대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3250A KR20150053241A (ko) 2013-11-06 2014-11-06 스마트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5005322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977B1 (ko) * 2016-12-15 2018-07-20 오성수 역브이형으로 회전이 가능한 휴대폰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20101534A4 (en) 2020-07-28 2020-09-10 Razer (Asia-Pacific) Pte. Ltd. Extendable cov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977B1 (ko) * 2016-12-15 2018-07-20 오성수 역브이형으로 회전이 가능한 휴대폰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3241A (ko) 2015-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98866B (zh) Multi-directional support structure of flat panel display device
US9074725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positioning unit
US9027747B2 (en) Protection cover support seat structure for tablet display apparatus
KR20150053227A (ko) 스마트폰 거치대
TWI511564B (zh) Flat support system for flat panel display devices
KR20150043964A (ko) 스마트폰 거치대
US20150346777A1 (en) Protective frame and stand for personal electronic devices
KR20170067613A (ko) 스마트폰 거치대
KR20150107562A (ko) 스마트폰 거치대
KR101187753B1 (ko) 휴대폰 케이스
KR101244983B1 (ko)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
KR20160122035A (ko) 스마트폰 거치대
KR20170023680A (ko) 스마트폰 거치대
KR20160131345A (ko) 스마트폰 거치대
KR20170086996A (ko) 스마트폰 거치대
KR20160113542A (ko) 스마트폰 거치대
KR20160058380A (ko) 스마트폰 거치대
KR20160119446A (ko) 스마트폰 거치대
KR20160142201A (ko) 스마트폰 거치대
KR20170001515A (ko) 스마트폰 거치대
KR20160132304A (ko) 스마트폰 거치대
KR20170018291A (ko) 스마트폰 거치대
KR20160139828A (ko) 스마트폰 거치대
KR20170022252A (ko) 스마트폰 거치대
KR200470994Y1 (ko)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