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3809B1 -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3809B1
KR101343809B1 KR1020110121420A KR20110121420A KR101343809B1 KR 101343809 B1 KR101343809 B1 KR 101343809B1 KR 1020110121420 A KR1020110121420 A KR 1020110121420A KR 20110121420 A KR20110121420 A KR 20110121420A KR 101343809 B1 KR101343809 B1 KR 101343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sorption
cradle
adsorption body
push button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1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7398A (ko
Inventor
이랄라
손광오
손상열
Original Assignee
이랄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랄라 filed Critical 이랄라
Publication of KR20130007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3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3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휴대용개인정보단말기(PDA)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책상이나 탁자 등에 비스듬히 세워 거치하는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유연성과 탄성 변형이 가능한 두 장의 합성수지 시트 원단을 테두리와 함께 중앙을 원판형상으로 융착하여 누름버튼을 갖는 흡착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흡착몸체의 일측으로 굽힘 가능하게 형성된 필름힌지를 통해 연장되는 거치받침대를 형성하며, 상기 흡착몸체의 타측으로 충전물인 유체 또는 공기를 주입하는 주입구를 연장 형성하고, 이 주입구를 통해 상기 흡착몸체와 거치받침대의 내부 공간에 유체 또는 공기를 충전 후 주입구를 밀봉하여 충전된 유체 또는 공기에 의해 상기 흡착몸체와 거치받침대가 볼륨을 갖게 형성하여 상기 흡착몸체의 중앙에 형성된 누름버튼의 흡착수단에 의해 상기 흡착몸체가 단말기의 배면에 진공흡착으로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게 하고, 상기 필름힌지로 굽힘 가능하게 형성된 거치받침대에 의해 단말기를 받침하여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대{HOLDER OF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휴대용개인정보단말기(PDA)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책상이나 탁자 등에 비스듬히 세워 거치하는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두 장의 유연한 합성수지 시트의 테두리를 융착하고 내부에는 충전물로 유체 또는 공기를 충전하여 밀봉함으로써 볼륨(부피감)이 형성되어 이를 통해 단말기의 배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흡착몸체와, 이 흡착몸체로부터 굽힘 가능한 필름힌지로 연장된 거치받침대를 형성하여 이를 통해 단말기를 간단히 거치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 및 취급의 편의성과 함께 제조비용을 대폭 절감하여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DMB방송, 멀티미디어 기능 등의 활성화로 인해 모바일 단말기를 거치해야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의 확대 보급에 따라 거치대 또한 발명가들에 의해 많이 제안되고 있다.
종래의 모바일 단말기(예로, 휴대폰)용 거치대는 충전기와 겸용으로서 사용자가 일일이 휴대하기가 어려워서 사용자가 단말기를 착용하고 다니는 의복의 주머니에 넣고 다니거나 단말기에 줄을 연결하여 목에 걸어서 휴대하고 있으나 무겁고 장시간 보관 및 휴대하기가 불편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02192호(2000년 11월 15일 공고)의 '쿠션이 형성된 휴대폰 받침대'는 휴대폰을 삽입 지지하는 휴대폰 받침대에 있어서, 합성 수지재 외피와 내피를 겹쳐서 커버를 형성하고 하단에는 미끄럼 방지 주름이 내측벽에 다수 형성된 휴대폰 삽입구가 구비된 휴대폰 받침부와 상단에는 휴대폰 지지부로 구성되어 휴대폰 받침부와 휴대폰 지지부 사이에 형성된 공기통로를 통해 내면의 내부 격실로 공기주입구로 외부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시키고 후크 버튼으로 공기주입구를 밀폐하여 쿠션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이 형성된 휴대폰 받침대의 기술을 기재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의 받침대의 경우 부피가 커서 휴대에 문제가 있고,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많이 든다.
이와 같이 지금까지의 발명은 그 구성요소가 복잡하여 그에 따른 제조비용이 많이 들어 제품가격이 비싸고, 거치대의 고유기능만을 하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따라 제품 구성을 간단히 하여 제조단가를 대폭 낮춤으로써 누구나 부담없이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고, 동시에 거치대의 고유기능 외에 다양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거치대를 여전히 필요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거치대를 개선 및 보완하고 다양한 추가 장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두 장의 유연한 합성수지 시트 원단과 충전물인 유체 또는 공기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거치대를 제공함으로써 거치대의 구조를 매우 간단히 하여 제조비용의 절감과 함께 사용 및 취급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거치대에 충전되는 유체는, 예컨대 물이나 알코올과 같은 액체상태의 전해물질일 수 있는, 유체 상태의 전기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거치대를 구성하는 거치받침대를 통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에 적용하고 있는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의 터치펜으로 사용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거치대에 충전되는 충전물질을 흡수성 폴리 아크릴 아미드 폴리머(Water absorbent poly acrylamide polymer) 등의 흡수성 폴리머로 반고체화(젤리화)시킴으로써 거치대의 손상시 충전액이 액상으로 유출되어 사용자 또는 모바일 단말기에 입히는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거치대에 충전되는 유체 충전물질을 향, 모기향으로 하여 거치대를 방향제 또는 모기퇴치제로 사용을 겸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거치대에 충전되는 충전물을 공기(air)로 함으로써 가장 단순한 형태로 제조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무게를 줄여 휴대가 용이한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거치대의 흡착몸체 또는 거치받침대 내에 인쇄시트를 내장하여 판촉물로 제공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대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은, 유연성과 탄성 변형이 가능한 두 장의 합성수지 시트 원단을 테두리와 함께 중앙을 원판형상으로 융착하여 누름버튼을 갖는 흡착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흡착몸체의 일측으로 굽힘 가능하게 형성된 필름힌지를 통해 연장되는 거치받침대를 형성하며, 상기 흡착몸체의 타측으로 충전물인 유체 또는 공기를 주입하는 주입구를 연장 형성하고, 이 주입구를 통해 상기 흡착몸체와 거치받침대의 내부 공간에 유체 또는 공기를 충전 후 주입구를 밀봉하여 충전된 유체 또는 공기에 의해 상기 흡착몸체와 거치받침대가 볼륨을 갖게 형성하여 상기 흡착몸체의 중앙에 형성된 누름버튼의 흡착수단에 의해 상기 흡착몸체가 단말기의 배면에 진공흡착으로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게 하고, 상기 필름힌지로 굽힘 가능하게 형성된 거치받침대에 의해 단말기를 받침하여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착수단은 흡착몸체의 중앙에 형성되어 손가락으로 눌러 탄성 변형되는 누름버튼과, 상기 누름버튼을 중심으로 흡착몸체의 앞뒷면이 유체 또는 공기 충전에 의해 볼륨을 갖게 하여 흡착몸체의 테두리와 누름버튼 사이의 단면이 단말기의 평활한 배면에 밀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링 형태로 폐쇄되어 밀착되도록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흡착부와, 상기 흡착부와 누름버튼 사이에 진공공간을 형성하는 공간부로 구성되어 상기 누름버튼을 누름에 따라 상기 흡착부와 공간부 사이에 진공상태가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착부와 공간부 및 누름버튼으로 구성되는 흡착수단은 흡착몸체의 양 표면에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착몸체의 앞 표면에는 흡착부와 공간부 및 누름버튼에 의한 흡착수단이 형성되고 뒤 표면에는 단말기를 닦을 수 있는 샤무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착수단은 누름버튼의 중앙에 고정구멍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고정턱이 형성된 석션컵을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착몸체와 거치받침대를 연결하는 필름힌지에는 유체 또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줄기 형태의 충전물유동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착몸체에 필름힌지를 통해 연장 형성되는 거치받침대는 흡착몸체로부터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치받침대의 단부는 단말기의 터치패널의 터치를 위해 "U"자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착몸체와 거치받침대에 충전되는 유체는 상기 거치받침대를 단말기의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의 터치펜으로 사용하기 위해 전기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치대에 충전되는 유체는 액체를 흡수하면 부피가 증가하는 흡습제와 이 흡습제에 흡수된 액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습제는 젤라틴, 한천 및 흡수성 폴리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치대에 충전되는 유체는 휘발성을 갖는 향, 모기향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착몸체와 거치받침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에는 인쇄시트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연성과 탄성 변형이 가능한 두 장의 합성수지 시트 원단은 기체 투과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착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주입구에는 단말기의 연결줄이 연결되는 연결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착몸체에 형성된 누름버튼에 마크를 형성하고, 상기 마크에 유체 또는 공기가 공급되어 충전되도록 흡착몸체의 내부와 연통되는 줄기 형태의 충전물공급통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대에 의하면, 두 장의 유연한 합성수지 시트 원단을 사용하여 내부에 유체 또는 공기를 충전하고 밀봉함으로써 볼륨이 형성되어 흡착몸체와 거치받침대로 구성된 거치대가 제조되는바, 이는 합성수지 시트 원단의 재료와 유체 또는 공기를 이용하여 거치대를 제조함으로써 다른 거치대 제품에 비해 가격경쟁력을 갖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흡착몸체에 형성된 흡착수단이 누름버튼의 구성에 의해 단순하게 형성되어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동시에 제조공정을 간단히 하여 비용을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치받침대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용 터치패널의 터치펜으로 사용을 겸할 수 있어 사용 용도를 확장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거치대에 충전되는 충전물을 흡수성 폴리 아크릴 아미드 폴리머 등의 흡수성 폴리머로 반고체화(젤리화)시킴으로써 거치대의 손상시 충전액이 액상으로 유출되어 사용자나 단말기에 입히는 피해를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거치대에 휘발성 향 또는 모기향을 충전함으로써 방향제 또는 모기퇴치제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거치대에 내장된 인쇄시트를 통해 각종 인쇄를 하여 판촉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 예로 예시된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로서, 거치대에 충전되는 충전물을 유체로 충전한 것을 예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의 단면도로서, 거치대에 충전되는 충전물을 공기로 충전한 변형 예를 예시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거치대를 단말기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을 예시한 것으로, 도 4는 거치대를 단말기에 연결하여 휴대하는 것을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거치대를 이용하여 단말기를 거치하는 동작 사시도이고, 도 6은 거치대를 이용하여 단말기를 거치하는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흡착몸체의 흡착수단의 변형 예로, 도 7은 분리 사시도이고, 도 8은 조립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2실시 예로 예시된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변형 예로서 예시된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대의 배면(뒤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거치대를 이용하여 단말기를 거치하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3실시 예로 예시된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거치대를 이용하여 단말기를 거치하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14 (a), (b)는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대의 변형 예를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 (a)의 단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흡착몸체에 형성된 누름버튼의 변형 예로, 도 16은 사시도이고, 도 17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여러 도면 설명에서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은 같은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1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대가 예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대(10)(이하에서는 편의상 '거치대'로 기술한다.)는 유연성과 탄성 변형이 가능한 두 장의 합성수지 시트 원단을 재료로 하여 이를 고주파 기계에서 테두리 등을 융착하고 그 내부에 충전물인 유체 또는 공기를 충전함으로써 완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거치대(10) 내에 충전되는 충전물은 도 2와 같이 유체(30)를 충전하여 구성할 수 있고, 도 3과 같이 공기(35)를 충전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대(10)의 구성은, 흡착몸체(20)와 거치받침대(32) 및 유체(30) 또는 공기(35)로 대별되며, 크게는 단말기(100)의 배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흡착수단을 갖는 흡착몸체(20)와, 상기 흡착몸체(20)의 일측으로 굽힘 가능하게 형성된 필름힌지(33)를 통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단말기(100)를 책상이나 탁자 따위의 바닥에 비스듬히 세워 받침하여 거치하는 거치받침대(32)와, 상기 흡착몸체(20)의 타측으로 유체 또는 공기를 주입하는 주입구(40)와, 상기 주입구(40)를 통해 흡착몸체(20)와 거치받침대(32)의 내부에 충전되어 상기 흡착몸체(20)와 거치받침대(32)에 볼륨을 형성하는 유체(30) 또는 공기(35)로 구성된다.
상기 흡착몸체(20)와 거치받침대(32)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두 장의 합성수지 시트 원단을 맞대어 테두리(24)를 융착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흡착몸체(20)의 중앙에는 원판형상을 하는 누름버튼(22c)이 함께 융착되어 형성되며, 동시에 필름힌지(33)도 융착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예컨대 PVC(폴리염화비닐) 또는 폴리우레탄 수지와 같은, 유연성과 탄성 변형을 갖는 두 장의 수지 재질의 원단을 준비하여 테두리(24)와 흡착몸체(20)의 중앙 누름버튼(22c)을 고주파/초음파 또는 열융착 등으로 융착하여 형성하고 상기 테두리(24)의 일단이 개방되어 유체(30) 또는 공기(35)를 주입 후 밀봉하는 주입구(40)가 형성되고, 이와 함께 필름힌지(33)와 거치받침대(32)가 형성되며, 상기 흡착몸체(20)는 누름버튼(22c)에 의해 가운데가 막힌 도넛 형태로 하여 내부에 공간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주입구(40)는 유체(30) 또는 공기(35)를 주입할 수 있게 입구가 열린 상태이며, 이후 유체(30) 또는 공기(35)를 충전한 후 고주파 융착에 의해 밀봉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필름힌지(33)에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유체(30) 또는 공기(35)가 유동할 수 있는 가는 줄기 형태의 충전물유동통로(31)가 형성된다. 이는 상기 주입구(40)를 통해 유체(30) 또는 공기(35)가 한번에 흡착몸체(20)와 거치받침대(32)의 내부 공간에 충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주입구(40)를 통해 흡착몸체(20)와 거치받침대(32)의 내부에 유체(30) 또는 공기(35)를 충전하고 상기 주입구(40)를 밀봉함으로써 상기 흡착몸체(20)와 거치받침대(32)가 볼륨(부피감)을 갖고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볼륨에 의하여 상기 흡착몸체(20)는 누름버튼(22c)을 중심으로 자연스레 흡착수단이 형성되며, 동시에 상기 거치받침대(32)도 볼륨에 의하여 단말기(100)를 받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유체(30) 또는 공기(35)의 충전에 의해 볼륨이 형성된 거치받침대(32)는 필름힌지(33)에 의해 굽힘 가능하게 되는바, 이때 거치받침대(32)의 굽힘 시 필름힌지(33)의 굽힘을 간섭없이 원활하게 하기 위해 필름힌지(33)의 폭을 넓게(약 3~5mm)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33a는 상기 필름힌지(33)의 원활한 굽힘 동작을 위해 형성한 '누름자국'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에서 흡착몸체(20)와 거치받침대(32)를 형성하는 합성수지 시트 원단은 이미 만들어진 것을 사용하여 두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흡착수단은 흡착몸체(20)의 중앙에 형성되어 손가락으로 눌러 탄성 변형되는 누름버튼(22c)과, 상기 누름버튼(22c)을 중심으로 흡착몸체(20)의 앞뒷면이 유체(30) 또는 공기(35) 충전에 의해 볼륨을 갖게 하여 흡착몸체(20)의 테두리(24)와 누름버튼(22c) 사이의 단면이 단말기(100)의 평활한 배면에 밀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링(ring) 형태로 폐쇄되어 밀착되도록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흡착부(22a)와, 상기 흡착부(22a)와 누름버튼(22c) 사이에 진공공간을 형성하는 공간부(22b)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6과 같이 상기 막(membrane) 형태의 누름버튼(22c)을 누름에 따라 그 힘에 의해 누름버튼(22c)이 탄성 변형되고 동시에 흡착부(22a)가 단말기(100)의 배면에 밀착되어 흡착부(22a)와 공간부(22b) 사이에 진공상태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흡착몸체(20)가 단말기(100)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이다.
상기 흡착수단은 흡착몸체(20)의 표면에 형성되는 흡착부(22a)와 공간부(22b) 및 누름버튼(22c)으로 구성되는바, 이는 흡착몸체(20)의 앞뒤 중 어느 한 표면에 형성할 수 있고, 흡착몸체(20)의 양 표면에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앞뒤 구분없이 흡착몸체(20)의 흡착수단을 이용하여 단말기(100)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흡착몸체(20)에 형성되는 흡착수단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변형 예와 같이 누름버튼(22c)의 중앙으로 고정구멍(22d)을 형성하고, 이 고정구멍(22d)을 통해 고정턱(34a)이 형성된 석션컵(흡착컵)(34)을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석션컵(34)은 시중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고정턱(34a)을 누름버튼(22c)에 형성된 고정구멍(22d)에 억지 끼움 형식으로 조립하여 설치되는바, 누름버튼(22c)을 누름으로써 석션컵(34)에 진공이 형성되어 흡착몸체(20)가 단말기(100)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거치대(10)의 경우, 흡착몸체(20)로부터 필름힌지(33)를 통해 형성되는 거치받침대(32)가 1개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이는 1개의 거치받침대(32)의 단면적과 볼륨에 의해 단말기(100)를 거치할 수 있는 것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거치대(10)의 2실시 예를 예시한 것으로, 이는 흡착몸체(20)로부터 필름힌지(33)를 통해 형성되는 거치받침대(32)를 2개로 형성한 것을 예시한 것으로, 나머지 구성부분은 앞서 설명한 1실시 예와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2개의 거치받침대(32)를 형성함으로써 마치 토끼의 귀 모양을 하고 있어 기능성과 함께 디자인을 고려한 것이다. 이 경우 사이즈가 큰 단말기의 거치에 유리한 측면이 있다.
이외에도 도 12 및 도 13의 3실시 예와 같이 거치받침대(32)를 흡착몸체(20)에서 방사방향으로 하여 다수 형성할 수 있다. 나머지 구성부분은 앞서 설명한 1실시 예와 동일하다. 이는 마치 흡착몸체(20)와 거치받침대(32)의 형상이 해바라기 모양을 갖게 하여 기능성과 디자인을 고려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흡착몸체(20)에 필름힌지(33)를 통해 연장 형성되는 거치받침대(32)는 흡착몸체(20)로부터 적어도 1개 이상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0과 같이 흡착몸체(20)는 앞 표면에 흡착부(22a)와 공간부(22b) 및 누름버튼(22c)을 형성하고 뒤 표면에는 단말기(100)의 터치패널을 닦을 수 있는 샤무드(21)를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 샤무드(Chamude)(21)는 시중에서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는 원단으로, 세무(CHAMOIS)와 스웨드(SUEDE)의 합성어로 초극세사 부직포형 인공피혁을 말한다.
상기 1실시 예 내지 3실시 예에 있어서, 흡착몸체(20)의 일측에 형성된 주입구(40)에는 연결줄(50)이 연결되는 연결구멍(4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연결줄(50)을 상기 연결구멍(41)에 연결하고 단말기(100)의 연결고리(51)에 연결함으로써 거치대(10)를 단말기(100)에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1실시 예 내지 3실시 예에 의하면, 도 4와 같이 거치대(10)를 연결줄(50)을 통해 단말기(100)에 연결하여 휴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단말기(100)를 책상이나 탁자 따위의 바닥에 거치시에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흡착몸체(20)를 단말기(100)의 배면에 위치시킨 다음 손가락으로 누름버튼(22c)을 누르면 그 가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됨으로써 흡착부(22a)가 밀착되고 공간부(22b)에 부압이 발생하면서 진공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도 6과 같이 상기 거치대(10)의 거치받침대(32)를 책상 따위의 바닥에 올려놓으면 굽힘 가능한 필름힌지(33)가 굽힘되고 이때 볼륨을 갖는 거치받침대(32)의 상면 일측이 흡착몸체(20)의 일부분에 맞대어져 더 이상 굽힘되지 않게 됨에 따라 거치받침대(32)가 책상 바닥에 받침되어 단말기(100)는 거치대(10)를 통해 일정한 각도를 갖고 비스듬히 거치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에 따라 단말기(100)를 통해 DMB시청 등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단말기(100)의 거치는 가로 또는 세로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착몸체(20)의 부착위치를 단말기(100)의 위, 아래로 조절함으로써 거치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단말기(100)의 DMB 등의 시청이 끝나면 흡착몸체(20)를 잡고 단말기(100)에서 떼어내면 그 당기는 힘에 의하여 흡착부(22a)가 분리됨에 따라 진공이 해제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예에서 거치대(10)를 구성하는 흡착몸체(20)는 원형 튜브 형태(도넛 형태)의 외관을 가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기본적으로 흡착몸체(20)의 가운데 흡착수단으로 누름버튼(22c), 공간부(22b) 및 흡착부(22a)를 갖고 외관은 사각, 별형 또한 동물모양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거치대(10)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흡착몸체(20)와 거치받침대(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에는 인쇄시트(23)를 내장하여 구성한 것이다.
즉, 도 15와 같이 유체(30)가 충전된 흡착몸체(20)와 거치받침대(32)의 중심에 인쇄시트(23)가 설치되어 구성된 것으로, 이는 두 장의 합성수지 시트 원단 사이에 상기 인쇄시트(23)를 개재하여 테두리(24)를 융착함으로써 흡착몸체(20)와 거치받침대(32)에 인쇄시트(23)가 설치된 거치대(10)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인쇄시트(23)는 내부에 충전된 유체(30)가 투명 또는 반투명 상태에서 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진 흡착몸체(20)와 거치받침대(32)를 통해 외부로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인쇄시트(23)는 도 14 (a)와 같이 흡착몸체(20)와 거치받침대(32)에 모두 설치할 수 있고, 도 14 (b)와 같이 거치받침대(32)에만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거치대(10)에 인쇄시트(23)를 설치함으로써 이를 통해 캐릭터 광고선전 등을 하여 판촉물 등으로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흡착몸체에 형성된 누름버튼의 변형 예로, 누름버튼(22c)에 마크(25)를 형성하고, 상기 마크(25)에 유체(30) 또는 공기(35)가 공급되도록 흡착몸체(20)의 내부와 연통되는 가는 줄기 형태의 충전물공급통로(26)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마크(25) 및 충전물공급통로(26)는 고주파 기계에서 두 장의 시트 원단으로 하여 누름버튼(22c)을 융착하여 형성할 때 상기 마크(25) 부분과 충전물공급통로(26) 부분을 융착하지 않음으로써 유체(30) 또는 공기(35)가 공급되어 충전될 수 있는 마크(25)와 충전물공급통로(26)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주입구(40)를 통해 유체(30) 또는 공기(35)를 주입시키면 흡착몸체(20) 내부 공간으로 유체(30) 또는 공기(35)가 공급되면서 이와 함께 흡착몸체(20)의 내부와 연통된 충전물공급통로(26)를 통해 유체(30) 또는 공기(35)가 마크(25) 내부로 공급되어 충전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이 마크(25) 내부에 충전된 유체(30)가 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진 누름버튼(22c)을 통해 외부로 나타나게 되는바, 상기 유체(30)에 색상을 줌으로써 마크(25) 색상이 더 선명하게 외부로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마크(25) 내부에 유체(30) 또는 공기(35)가 충전됨으로써 누름버튼(22c)에 쿠션을 주어 누름 조작을 부드럽게 하고, 누름버튼(22c)의 디자인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마크(25)는 '+'자로 형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회사마크, 문자나 도형 또는 심벌 등과 같이 주문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모양의 마크(25)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거치대(10)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연성과 탄성 변형을 갖는 두 장의 합성수지 시트 원단은 기체 투과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재료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미세한 모공을 통해 내부에 충전된 유체(30)를 휘발성 향 또는 방향제로 충전함으로써 거치대(10)가 향 또는 방향제의 기능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방향제를 공지된 휘발성 해충퇴치액으로 하여 모기 등 해충의 접근을 억제하거나 또는 퇴치할 수 있다.
상기 휘발성 해충퇴치액은 공지된 시트로넬라(CITRONELLA OIL) 향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트로넬라 향은 네델란드의 유전학자 Dr. Dirk Vam Leenen이 이종교배를 통해 재배에 성공한 다년생의 관상식물로서 일명 모기 쫓는 풀로 잘 알려진 구문초(PELAR GONIUN CITROSA)의 잎에서 추출된 자연 발산 향으로서, 모기를 비롯한 각종 해충들이 기피하는 고유한 방향성질(INSECT REPELLENT PERFUME)을 가지고 있는 반면, 인체에는 전혀 해가 없어 향수나 비누, 화장품, 모기향 등의 제조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또한, 상기 휘발성 해충퇴치액은 알코올 성분(예를 들면, 에탄올)을 함유하고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알코올 성분은 대장균이나 곰팡이 등의 유해 세균 생성을 억제하는 항균작용을 할 뿐만 아니라 휘발성으로 인해 무더운 여름철 피부에 사용시 시원하고 상쾌한 느낌을 준다.
또한, 상기 거치대(10)를 구성하는 수지 원단은 사람이 만지는 제품으로 공지의 항균성을 갖는 재료를 선택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체(30)는 겔화된 유체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만일의 경우에 거치대(10)가 파손되어 유체(30)가 외부로 누출되더라도 예컨대 단말기(100) 및 신체, 의복 등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최소로 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유체(30)는 예컨대 젤라틴 또는 한천 등과 같은 겔화 물질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가장 바람직하게는 물을 흡수하여 겔화시킬 수 있는 흡수성 폴리머를 이용할 수 있다. 흡수성 폴리머에는 예컨대 흡수성 폴리 아크릴 아미드 폴리머(Water absorbent poly acrylamide polymer) 등과 같은 물질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라, 유체(30)는 물을 흡수하면 부피가 증가하는 볼 형태의 흡습제와 이 흡습제에 흡수된, 예컨대 수돗물과 같은 액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 흡습제로서 흡수성 폴리머 즉 소위 "크리스탈볼(개구리알)" 또는 "젤리볼"이라는 제품명으로서 알려져 있는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이 "크리스탈볼"은, 건조 상태에서는 쌀알과 같은 크기의 딱딱한 알갱이로 존재하지만 유체(예로, 물)를 흡수하면 부피가 증가하고 물렁물렁해지며, 이 제품은 방향제, 인공토양, 장식물 등의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다. "크리스탈볼"은 물을 흡수하면 건조시 부피의 약 100배까지 부피가 팽창하고, 흡수된 유체(예로, 물)를 젤리화(겔화)시킨다. 이에 따라 외부의 막이 손상시 충전액이 액상으로 유출되어 입히는 2차 피해를 차단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유체(30)에는 다양한 컬러를 연출하기 위하여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휘발성 방향제와 같은 향 성분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휘발성 모기향과 같은 기능성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1실시 예 내지 3실시 예에서 도시된 거치받침대(32)의 단부(32a)는 단말기(100)의 터치패널의 터치를 위해 "U"자형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거치받침대(32)의 단부(32a)를 "U"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터치패널의 입력 조작을 위한 접촉면적을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거치받침대(32)를 압력식 또는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의 터치펜으로 사용할 때는 상기 거치받침대(32)을 손으로 파지하여 사용하면 되고, 이때 충전된 유체(30) 또는 공기(35)의 쿠션과 원단의 유연함에 따라 충분한 접촉이 이루어져 터치패널의 입력 조작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거치대(10)에 충전되는 유체(30)는, 예컨대 물이나 알코올과 같은 액체상태의 전해 물질일 수 있는, 유체상태의 전기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거치대(10)를 구성하는 거치받침대(32)를 통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에 적용하고 있는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의 터치펜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거치받침대(32)를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의 터치펜으로 사용하기 위해 유체(30)가 전기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져야 터치패널이 입력 조작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거치받침대(32)에는 유체(30)를 전기전도성 물질로 충전하고, 흡착몸체(20)에 충전된 유체(30)는 전기전도성 물질이 아닌 오일 성분의 방향제나 모기향과 같은 유체상태의 기능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거치받침대(32)에 전기전도성 물질로 된 유체(30)를 먼저 충전하여 필름힌지(33)로 융착하여 밀봉하고, 이후 흡착몸체(20)에 다른 성분의 유체(30)를 충전한 후 주입구(40)를 밀봉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의 경우에는 필름힌지(33)에 형성되는 충전물유동통로(31)가 생략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10)의 제조방법은, 일 예로, 두 장의 수지 원단을 마주하여 테두리(24)와 함께 누름버튼(22c)과 필름힌지(33)를 융착시켜 흡착몸체(20)와 거치받침대(32)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흡착몸체(20)와 거치받침대(32)에 주입구(40)를 통해 유체(30) 또는 공기(35)를 충전하는 단계, 상기 주입구(40)를 밀봉하여 흡착몸체(20)와 거치받침대(32)를 볼륨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두 장의 수지 원단 사이에 인쇄시트(23)를 개재하여 흡착몸체(20)와 거치받침대(32)에 인쇄시트(23)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착몸체(20)와 거치받침대(32)를 형성하는 단계는, 초음파/고주파 또는 열융착 방식으로 2개의 수지 재질의 원단을 서로 맞대기 형태로 융착시키되, 일단의 주입구(40)는 개방시키고, 나머지 테두리(24)와 누름버튼(22c)은 폐쇄되고 상기 흡착몸체(20)에 흡착부(22a)와 공간부(22b) 및 누름버튼(22c)을 구비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필름힌지(33)와 함께 충전물유동통로(31)가 함께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이 단계에서 유체(30) 또는 공기(35)를 주입하는 주입구(40)는 원활한 주입을 위해 흡착몸체(20)의 테두리(24) 외측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유체(30) 또는 공기(35)를 충전하는 단계는, 상기 흡착몸체(20)와 거치받침대(32)의 내부 공간에 충전물인 유체(30) 또는 공기(35)를 충전한다.
마지막으로, 주입구(40)를 밀폐하여 밀봉하는 단계는, 주입구(40)를 서로 접촉시켜 초음파/고주파 또는 열에 의하여 융착시켜 밀봉하는 단계이다. 이때 주입구(40)의 밀봉과 함께 연결구멍(41)이 함께 융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테두리(24)로부터 주입구(40)를 밀봉한 다음 나머지 부분은 미관을 향상시키기 위해 잘라낸다.
이렇게 흡착몸체(20)와 거치받침대(32)의 내부공간이 밀폐되면, 내부에 충전되어 있는 유체(30) 또는 공기(35)는 일정한 압력을 가지고 부드러우면서도 볼륨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 주입구(40) 인근에 형성된 연결구멍(41)을 통해 연결줄(50)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본 발명에 있어 거치대(10)의 내부에 충전되어 볼륨을 형성하는 충전물로서 유체(30) 또는 공기(35)를 채택하고 있는바, 유체(30)와 공기(35)는 모두 기본적으로 거치대(10)를 구성하는 흡착몸체(20)와 거치받침대(32)에 볼륨을 제공하는 역할과 함께 유연성과 탄성 변형에 의해 쿠션을 제공한다.
여기서, 유체(30)를 채택할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터치펜, 향, 모기퇴치 등 다양한 기능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공기(35)를 채택할 경우에는 단순하여 제조를 간단히 하고 제조비용을 크게 절감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예컨대 폴리우레탄 시트와 같은 원단을 맞대어 예컨대 고주파 융착기계로 융착시킨 후 충전물을 충전하고 밀봉하는 공정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재료가 단순하고 저렴하며 제조과정도 용이하기 때문에, 제조단가가 크게 절감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여러 가지 특징을 참조하고 조합하여 다양하고 변형된 시공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가 설명된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함을 지적해둔다.
10 :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대 20 : 흡착몸체
21 : 샤무드 22a : 흡착부
22b : 공간부 22c : 누름버튼
22d : 고정구멍 23 : 인쇄시트
24 : 테두리 25 : 마크
26 : 충전물공급통로 30 : 유체
31 : 충전물유동통로 32 : 거치받침대
32a : 거치받침대의 단부 33 : 필름힌지
33a : 누름자국 34 : 석션컵
34a : 고정턱 35 : 공기
40 : 주입구 41 : 연결구멍
50 : 연결줄 51 : 연결고리
100 : 단말기

Claims (21)

  1. 삭제
  2. 삭제
  3. 유연성과 탄성 변형이 가능한 두 장의 합성수지 시트 원단을 테두리(24)와 함께 중앙을 원판형상으로 융착하여 누름버튼(22c)을 갖는 흡착몸체(20)를 형성하고, 상기 흡착몸체(20)의 일측으로 굽힘 가능하게 형성된 필름힌지(33)를 통해 연장되는 거치받침대(32)를 적어도 1개 이상 형성하며, 상기 흡착몸체(20)의 타측으로 유체(30)를 주입하는 주입구(40)를 연장 형성하고, 이 주입구(40)를 통해 상기 흡착몸체(20)와 거치받침대(32)의 내부 공간에 유체(30)를 충전 후 주입구(40)를 밀봉하여 충전된 유체(30)에 의해 상기 흡착몸체(20)와 거치받침대(32)가 볼륨을 갖게 형성하여 상기 흡착몸체(20)의 중앙에 형성된 누름버튼(22c)의 흡착수단에 의해 상기 흡착몸체(20)가 단말기(100)의 배면에 진공흡착으로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게 하고, 상기 필름힌지(33)로 굽힘 가능하게 형성된 거치받침대(32)에 의해 단말기(100)를 받침하여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흡착수단은 흡착몸체(20)의 중앙에 형성되어 손가락으로 눌러 탄성 변형되는 누름버튼(22c)과, 상기 누름버튼(22c)을 중심으로 흡착몸체(20)의 앞뒷면이 유체(30) 충전에 의해 볼륨을 갖게 하여 흡착몸체(20)의 테두리(24)와 누름버튼(22c) 사이의 단면이 단말기(100)의 평활한 배면에 밀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링 형태로 폐쇄되어 밀착되도록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흡착부(22a)와, 상기 흡착부(22a)와 누름버튼(22c) 사이에 진공공간을 형성하는 공간부(22b)로 구성되어 상기 누름버튼(22c)을 누름에 따라 상기 흡착부(22a)와 공간부(22b) 사이에 진공상태가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대.
  4. 유연성과 탄성 변형이 가능한 두 장의 합성수지 시트 원단을 테두리(24)와 함께 중앙을 원판형상으로 융착하여 누름버튼(22c)을 갖는 흡착몸체(20)를 형성하고, 상기 흡착몸체(20)의 일측으로 굽힘 가능하게 형성된 필름힌지(33)를 통해 연장되는 거치받침대(32)를 적어도 1개 이상 형성하며, 상기 흡착몸체(20)의 타측으로 공기(35)를 주입하는 주입구(40)를 연장 형성하고, 이 주입구(40)를 통해 상기 흡착몸체(20)와 거치받침대(32)의 내부 공간에 공기(35)를 충전 후 주입구(40)를 밀봉하여 충전된 공기(35)에 의해 상기 흡착몸체(20)와 거치받침대(32)가 볼륨을 갖게 형성하여 상기 흡착몸체(20)의 중앙에 형성된 누름버튼(22c)의 흡착수단에 의해 상기 흡착몸체(20)가 단말기(100)의 배면에 진공흡착으로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게 하고, 상기 필름힌지(33)로 굽힘 가능하게 형성된 거치받침대(32)에 의해 단말기(100)를 받침하여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흡착수단은 흡착몸체(20)의 중앙에 형성되어 손가락으로 눌러 탄성 변형되는 누름버튼(22c)과, 상기 누름버튼(22c)을 중심으로 흡착몸체(20)의 앞뒷면이 공기(35) 충전에 의해 볼륨을 갖게 하여 흡착몸체(20)의 테두리(24)와 누름버튼(22c) 사이의 단면이 단말기(100)의 평활한 배면에 밀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링 형태로 폐쇄되어 밀착되도록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흡착부(22a)와, 상기 흡착부(22a)와 누름버튼(22c) 사이에 진공공간을 형성하는 공간부(22b)로 구성되어 상기 누름버튼(22c)을 누름에 따라 상기 흡착부(22a)와 공간부(22b) 사이에 진공상태가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대.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22a)와 공간부(22b) 및 누름버튼(22c)으로 구성되는 흡착수단은 흡착몸체(20)의 양 표면에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대.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22a)와 공간부(22b) 및 누름버튼(22c)으로 구성되는 흡착수단은 흡착몸체(20)의 양 표면에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대.
  7.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흡착수단은 누름버튼(22c)의 중앙에 고정구멍(22d)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고정턱(34a)이 형성된 석션컵(34)을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대.
  8.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흡착몸체(20)의 앞 표면에는 흡착부(22a)와 공간부(22b) 및 누름버튼(22c)에 의한 흡착수단이 형성되고 뒤 표면에는 단말기(100)를 닦을 수 있는 샤무드(2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대.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거치받침대(32)의 단부(32a)는 단말기(100)의 터치패널의 터치를 위해 "U"자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대.
  13.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흡착몸체(20)와 거치받침대(32)에 충전되는 유체(30)는 상기 거치받침대(32)를 단말기(100)의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의 터치펜으로 사용하기 위해 전기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대.
  1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에 충전되는 유체(30)는 액체를 흡수하면 부피가 증가하는 흡습제와 이 흡습제에 흡수된 액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대.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흡습제는 젤라틴, 한천 및 흡수성 폴리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대.
  1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에 충전되는 유체(30)는 휘발성을 갖는 향, 모기향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대.
  17.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흡착몸체(20)와 거치받침대(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에는 인쇄시트(23)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대.
  1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과 탄성 변형이 가능한 두 장의 합성수지 시트 원단은 기체 투과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대.
  19.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흡착몸체(20)의 일측에 형성된 주입구(40)에는 단말기(100)의 연결줄(50)이 연결되는 연결구멍(4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대.
  2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흡착몸체(20)에 형성된 누름버튼(22c)에 마크(25)를 형성하고, 상기 마크(25)에 유체(30)가 공급되어 충전되도록 흡착몸체(20)의 내부와 연통되는 줄기 형태의 충전물공급통로(26)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대.
  21.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흡착몸체(20)에 형성된 누름버튼(22c)에 마크(25)를 형성하고, 상기 마크(25)에 공기(35)가 공급되어 충전되도록 흡착몸체(20)의 내부와 연통되는 줄기 형태의 충전물공급통로(26)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대.
KR1020110121420A 2011-07-01 2011-11-21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대 KR1013438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65534 2011-07-01
KR1020110065534 2011-07-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398A KR20130007398A (ko) 2013-01-18
KR101343809B1 true KR101343809B1 (ko) 2013-12-20

Family

ID=47837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1420A KR101343809B1 (ko) 2011-07-01 2011-11-21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38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027Y1 (ko) * 2017-03-03 2017-07-24 최영진 스마트기기 케이스용 액세서리
KR101843247B1 (ko) * 2016-03-07 2018-03-28 김영세 휴대단말기용 핑거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202B1 (ko) * 2019-06-25 2020-09-11 이원석 휴대 기기 거치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3247B1 (ko) * 2016-03-07 2018-03-28 김영세 휴대단말기용 핑거링
KR200484027Y1 (ko) * 2017-03-03 2017-07-24 최영진 스마트기기 케이스용 액세서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398A (ko) 2013-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3809B1 (ko)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대
CN104159470B (zh) 封装液体的半刚性凹形施加器
CN205433046U (zh) 一种花盆架
CN206429819U (zh) 平板电脑支架
CN210690978U (zh) 一种用于眼镜散发香气的辅助设备
KR101260668B1 (ko) 악력기
KR20160000137U (ko) 패치형 방향제 패키지
CN203475750U (zh) 充气式墙布
CN201428263Y (zh) 一种帐篷
CN219420828U (zh) 一种自定义香片移动终端保护壳及保护壳套件
CN206837455U (zh) 一种益智搭建面板和具有该面板的产品
CN206798241U (zh) 一种外延按压式喷剂盒
JP2003135509A (ja) 携帯型温熱パッド
CN217383187U (zh) 两用的便携式加湿器
KR101087038B1 (ko) 젤리 터치펜 및 그 제조방법
CN105662032A (zh) 一种花盆架
CN107968870A (zh) 手机壳
CN204061237U (zh) 电风扇
CN213849704U (zh) 一种新型丝瓜络床垫
CN204032888U (zh) 一种珍珠棉爬行垫
CN202959052U (zh) 一种抗菌鞋垫
CN208461895U (zh) 一种新型手机壳
CN213229712U (zh) 一种带有塑胶底座的无纺布袋
CN202350230U (zh) 香薰加湿机
CN208403979U (zh) 一种安神午休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