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5100A - 회전이 용이한 스마트폰 케이스 탈부착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이 용이한 스마트폰 케이스 탈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5100A
KR20130085100A KR1020120005993A KR20120005993A KR20130085100A KR 20130085100 A KR20130085100 A KR 20130085100A KR 1020120005993 A KR1020120005993 A KR 1020120005993A KR 20120005993 A KR20120005993 A KR 20120005993A KR 20130085100 A KR20130085100 A KR 20130085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spring
detachable
elastic
smart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5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3701B1 (ko
Inventor
장대규
Original Assignee
장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대규 filed Critical 장대규
Priority to KR1020120005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3701B1/ko
Publication of KR20130085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5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3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3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2005/002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스마트폰 그립은 스마트폰 케이스에 고정되어 회전되지 않아 한 방향으로만 사용이 가능하여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고, 스마트폰의 충전잭이나 밧데리와 같은 보조부품을 가방이나 주머니에 넣어 휴대하고 다니는데 주머니에 넣었던 옷을 갈아입거나 다른 가방을 가지고 나올 경우와 같이 스마트폰과 따로 분리되어있어 항상 휴대하기 힘들고 번거로운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수납용 인형(3a)이나 스마트폰 그립(3b) 중에서 선택적으로 하나의 장치와 스마트폰 케이스(2)와 결합되도록, 스프링결합형 탈착장치(10)와 탄성누름형 탈착장치(20) 중에서 선택적으로 하나의 장치가 결합되는 탈부착 회전장치(1)가 구성됨으로서, 수납용 인형이나 스마트폰 그립 중 하나의 장치를 스마트폰 케이스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어 필요한 용도에 따라 간단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내구성이 강하고 탄성력이 우수하며 소성변형이 미소하여 깨지거나 부셔지지 않고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45°의 간격으로 각도를 360° 변경할 수 있어 스마트폰을 원하는 방향으로 쉽게 조절하여 회전할 수 있어 용이하게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는 좋은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회전이 용이한 스마트폰 케이스 탈부착장치{Removable device is easy to rotate smartphone cases}
본 발명은 스마트폰 케이스에 수납용 인형이나 스마트폰 그립밴드 중에서 하나의 장치를 스마트폰 케이스에 탈부착하여 부가적인 기능을 사용할 수 있고, 결합된 스마트폰을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활용도가 높은 회전이 용이한 스마트폰 케이스 탈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은 일상적인 생활을 할 때 와이파이와 같은 무선 인터넷망을 사용하여 어디서든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어 무료함을 달래주기 위해 영화나 TV를 보거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사용하게 됨에 따라 장시간 들고 있어야 하고, 스마트폰이 기존의 핸드폰에 비해 면적이 넓어 아이들이 휴대하기 불편하고, 대중교통과 같이 이동을 하게 될 때 많은 사람들에 의해 예기치 않게 부딪치거나 놓쳐서 스마트폰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wifi, 블루투스, GPS와 같은 기능을 장시간 사용하면 배터리의 부족으로 인해 폰이 꺼지거나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해 충전용 잭이나 충전된 밧데리를 가지고 다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스마트폰 그립이 사용되었지만 기존의 스마트폰 그립은 스마트폰 케이스에 고정되어 회전되지 않아 한 방향으로만 사용이 가능하여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마트폰의 충전잭이나 밧데리와 같은 보조부품을 가방이나 주머니에 넣어 휴대하고 다니는데 주머니에 넣었던 옷을 갈아입거나 다른 가방을 가지고 나올 경우와 같이 스마트폰과 따로 분리되어있어 항상 휴대하기 힘들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수납용 인형이나 스마트폰 그립밴드 중에서 하나의 장치를 스마트폰 케이스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어 필요한 용도에 따라 간단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내구성이 강하고 탄성력이 우수하며 소성변형이 미소하여 수명이 길고, 45°의 간격으로 각도를 360° 변경할 수 있어 스마트폰을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세로방향이나 가로방향과 같이 원하는 각도로 쉽게 회전시켜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는 회전이 용이한 스마트폰 케이스 탈부착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이 용이한 스마트폰 케이스 탈부착 장치는 수납용 인형(3a)과 스마트폰 그립밴드(3b) 중에서 선택적으로 하나의 장치가 스마트폰 케이스(2)에 결합되도록, 내장된 2중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을 이용하여 탈부착이 가능하고 회전을 조절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스프링결합형 탈착장치(10)와,
탄성력을 이용한 탄성누름 스위치를 눌러 형성되는 틈 사이에 슬라이드형식으로 끼워져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탄성누름형 탈착장치(20) 중에서 선택적으로 하나의 탈부착 회전장치가 결합되어 구성됨으로서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수납용 인형이나 스마트폰 그립밴드 중에서 하나의 장치를 스마트폰 케이스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어 필요한 용도에 따라 간단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내구성이 강하고 탄성력이 우수하며 소성변형이 미소하여 깨지거나 부셔지지 않고 수명이 길어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45°의 간격으로 각도를 360° 변경할 수 있어 스마트폰을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세로방향이나 가로방향과 같이 원하는 각도로 용이하게 회전시켜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는 좋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이 용이한 스마트폰 케이스 탈부착장치에서 스마트폰 케이스와 수납용 인형을 결합하는 스프링결합형 탈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용 인형과 스마트폰 케이스를 결합하는 스프링결합형 탈착장치를 후면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결합형 탈착장치를 이루는 장치구성과 장치의 결합되는 위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결합형 탈착장치의 스프링결합 프레임과 방사형 결합부의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형 결합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이 용이한 스마트폰 케이스 탈부착장치에서 스마트폰 케이스와 수납용 인형을 결합하는 탄성누름형 탈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그립밴드와 스마트폰 케이스를 결합하는 탄성누름형 탈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용 인형에 결합되는 탄성누름형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그립밴드가 부착된 탄성누름형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누름형 탈착장치의 탄성누름 프레임과 도르래형상 결합부의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르래형상 결합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용 인형과 스마트폰 케이스가 결합되어 거치된 스마트폰 케이스 결합장치의 일실시예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원숭이형상의 수납용 인형을 결합하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형상의 수납용 인형을 결합하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강아지 1 형상의 수납용 인형을 결합하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강아지 2 형상의 수납용 인형을 결합하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강아지 3 형상의 수납용 인형을 결합하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강아지 4 형상의 수납용 인형을 결합하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토끼형상의 수납용 인형과 가로방향으로 눕힌 스마트폰 케이스를 결합하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되는 액정부분을 기준으로 정면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이 용이한 스마트폰 케이스 탈부착장치에서 수납용 인형(3a)과 스마트폰 케이스(2)를 결합하는 스프링결합형 탈착장치(10)를 도시한 사시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스프링결합 프레임(100)과 방사형 결합부(200)로 구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이 용이한 스마트폰 케이스 탈부착장치에서 스마트폰 그립밴드(3b)와 스마트폰 케이스(2)를 결합하는 탄성누름형 탈착장치(20)를 도시한 사시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탄성누름 프레임(300)과 도르래형상 결합부(400)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결합형 탈착장치(1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스프링결합형 탈착장치(10)는 스마트폰 케이스(2)와 결합장치(3) 사이에 형성되어 내장된 2중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을 이용하여 탈부착이 가능하고, 스마트폰의 회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스프링결합 프레임(100)과 방사형 결합부(200)로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결합 프레임(100)은 전면이 방사형 결합부(200)와 결합되고 후면이 결합장치(3)에 부착되어 내장된 2중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을 이용하여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스프링결합 프레임 본체(110), 누름탈착부(120), 텐션 플레이트(130), 걸림핀 상하강부(140), 회전조절부(150), 지지부(160)로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결합 프레임 본체(110)는 전체적으로 상하방향으로 기다란 유선형의 몸체의 전면 상단에 말발굽형상 끼움부(112)가 돌출되고 하단이 수평으로 형성되며 하단 내부에 누름탈착부(120)가 일정량 삽입된 후 더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누름부(123)를 막아주는 걸림턱(111)이 형성되고, 내부에 구성된 장치를 보호하고 지지하며, 지지부(160)에 부착되어 방사형 결합부(200)와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누름탈착부(120)는 스프링결합 프레임 본체(110)의 하단에 누름부(123)가 돌출되도록 삽입되어 위치하고 내부의 상단이 누름탄성 스프링(121)과 접촉되도록 형성되며, 누름탄성 스프링의 양쪽으로 후면상단이 절삭된 형태의 비스듬한 경사면(122)이 형성된다.
여기서, 사용자의 외력으로 누름부(123)를 눌러주면 누름탄성 스프링(121)이 압축되며 걸림턱(111)에 누름부(123)가 걸리는 위치까지 내부로 삽입되며 걸림핀 상하강부(130)를 후단부로 밀어주고, 누름탄성 스프링(121)의 탄성력에 의해 하부로 위치가 복원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누름탄성 스프링(121)의 탄성강도에 따라 복원하고자 하는 힘의 세기가 결정되고, 스프링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서는 탄력성이 우수한 스프링을 사용해야한다.
상기 걸림핀 상하강부(130)는 평면에서 바라봤을 때 'ㅗ'자 형상으로 누름탈착부(120)의 상단에 위치하고, 전면에는 스프링결합 프레임 본체(110)에 관통되어 돌출되도록 걸림핀(131)이 형성되고, 후면은 텐션 플레이트의 텐션바 전면과 맞닿도록 형성되며, 양쪽 날개부분이 누름탈착부의 경사면(122)과 맞닿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누름부(123)에 외력을 가하여 누름탈착부(120)가 상향되면 경사면(122)이 양쪽 날개부분을 밀어주어 상단이 막혀있는 걸림핀 상하강부(130)가 후단으로 밀리면서 후퇴되고, 후퇴되는 만큼 돌출되어 있던 걸림핀(131)이 후퇴되며 걸림핀(131)에 걸림홀(222)이 걸리며 고정되는 방사형 결합부(200)가 탈착된다.
상기 텐션 플레이트(140)는 스프링결합 프레임 본체(110)의 후면에 맞닿은 인장강도와 내구성이 강한 얇은 플레이트로써, 중앙에 십자가형상 홈(142)이 파여지고, 홈의 중심에 걸림핀 상하강부(130)의 후단을 받쳐주어 이탈을 방지하는 텐션바(141)가 형성된다.
여기서, 텐션바(141)의 전면 상단부분에 접촉된 걸림핀 상하강부(130)의 양쪽 날개부분이 경사면(122)에 의해 후단방향으로 후퇴함에 따라 텐션바가 5° ~ 10°각도로 휘어지고 탄성작용에 의해 전진되며 복귀된다.
또한, 텐션 플레이트(140)는 인장강도 및 내구성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Cu-TiB2 복합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Cu-TiB2 복합재의 복합과정은 다음과 같다.
순도 99.5%, 10㎛의 티타늄; 순도 97%, 2~4㎛의 비결정성 보론; 순도 99.5%, 40㎛의 구리분말의 비율을 1:1:2로 하여 가속도가 600m/s2인 볼 밀(ball mill)에 투입하고, 분말 대 직경 5mm의 강구의 비율을 1:20으로 하여 20 ~ 30분 동안 믹싱한다.
이와 같이 물리적 혼합과정을 거친 후에는 혼합된 혼합물을 고온자전합성반응기에 채운 후 불활성 가스인 아르곤를 주입하여 반응기 내부의 공기를 제거한 후, 반응기 내부압력이 5 ~ 15기압이 되도록 불활성 가스를 인가한 후 점화시켜 Cu-TiB2 분말을 만든다.
이와 같이 제조된 Cu-TiB2 분말은 다시 20~80MPa의 압력범위에서, 50 ~ 200℃/min의 승온속도로 1,000~1,100℃까지 승온시킨 후, 25 ~ 35분을 유지하는 방전 플라즈마 소결과정을 거침으로써, 인장강도 및 내구성을 강화시킨 Cu-TiB2 복합재가 제조된다.
상기 Cu-TiB2 복합재는 성분 구성에 따른 인장강도 및 내구성을 강화 기능을 갖고, 상기 방전 플라즈마 소결과정에서는 기재된 압력범위 및 승온속도 및 소결온도의 범위 내에서 소결이 이루어짐에 따라 고밀도 특성 및 우수한 물성을 갖게 된다.
상기 회전조절부(150)는 스프링결합 프레임 본체(110)에 돌출된 말발굽형상 끼움부(112)의 내부에 방사형 결합부(200)가 결합되는 위치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결합된 방사형 결합부(200)의 회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회전조절 스프링(151)과 걸림돌기(152)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조절 스프링(151)은 회전조절부(150)의 상단에 접촉되어 상하방향으로 압축·인장되며 회전조절부(150)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방사형 결합부(200)가 결합되면 회전조절 스프링(151)이 압축되어 탄성력에 의해 회전조절부(150)를 하강시키려는 힘이 작용하여, 사용자가 방사형 결합부(200)를 회전시키면 걸림턱(221)이 회전조절부(150)를 밀어올리고 돌출된 걸림턱(221)을 넘으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턱(221)의 사이공간에 걸림돌기(152)가 걸리며 정지시켜 회전을 조절한다.
상기 걸림돌기(152)는 회전조절부(150)의 하단에 하단방향으로 라운드 형상의 둥근 형태로 돌출되어 걸림턱(221)과 자연스럽게 미끄러지며 걸리도록 형성되고, 걸림턱(221) 사이에 삽입되어 방사형 결합부(200)의 회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부(160)는 전체적으로 수납용 인형(3)의 내부에 삽입되고 전면에 스프링결합 프레임 본체(110)가 부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수납용인형(3)의 몸통형상에 삽입되는 라운드 진 직사각형과, 상단의 머리형상에 삽입되는 타원형이 결합되는 하나의 판으로 이루어져 스프링결합 프레임 본체(110)가 흔들리거나 인형 내부에서 위치가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방사형 결합부(200)는 전면이 스마트폰 케이스(2)의 후면에 고주파 용착을 통해 부착되고 후면이 스프링결합 프레임(100)과 결합되어 스마트폰 케이스(2)와 스프링결합 프레임(100)을 이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타원형 프레임(210)과, 방사형 결합핀(22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고주파 용착은 음파의 진동을 이용하여 플라스틱을 접착하는 방법으로 전기적인 에너지를 콘버터와 부스터를 통해 기계적인 진동에너지로 변환된 후 공구혼을 통하여 가공물에 전달되면 순간적으로 강력한 진동에 의한 마찰열을 발생시켜 가공물의 접합면이 용해 접착되어 분자적 결합이 이루어진다.
상기 타원형 프레임(210)은 전체적인 형상이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전면이 스마트폰 케이스와 부착되고, 후면에 방사형 결합핀(220)이 형성된다.
상기 방사형 결합핀(220)은 타원형 프레임(210)의 후면에 원기둥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원기둥의 전면 끝단에 방사형 형태의 라운드식의 굴곡있는 걸림턱(221) 8개가 45°의 간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걸림턱(221)이 걸림돌기(152)와 맞물려 고정되어 사용자의 필요상태에 따라 방사형 결합부(200)를 회전시키게 되면 걸림돌기(152)가 형성된 회전조절부(150)가 걸림턱(221)에 의해 후단으로 밀려들어가 회전되고, 다음 걸림턱(221)의 사이에 걸림돌기(152)가 위치되면 회전조절스프링(151)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조절부(150)가 복귀되며 고정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탄성누름형 탈착장치(2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탄성누름형 탈착장치(20)는 플라스틱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탄성누름 스위치부(320)를 눌러 형성되는 틈 사이에 슬라이드형식으로 끼워져 안정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하고, 스마트폰의 회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탄성누름 프레임(300)과 도르래형상 결합부(400)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누름 프레임(300)은 전면이 도르래형상 결합부(400)와 결합되고 후면이 수납용 인형의 후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인형결합 탄성누름 프레임(300a)과, 전면이 도르래형상 결합부(400)와 결합되고 후면에 스마트폰 그립밴드(3b)가 부착될 수 있는 그립 지지부(300b) 중에서 선택적으로 하나의 구조로 이루어져 형성된다.
여기서, 탄성누름 프레임(300)은 반복적인 비틀림 및 인장으로 인해 피로한도를 초과하여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구성 등의 물리적 특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ABS, PLA와 인장강도를 높일 수 있는 Cu를 사용하여 조성된 조성물의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되어 내구성, 인장강도 특성을 갖는 것으로, 상기 제조과정은 다음과 같다.
ABS 수지와 PLA 수지를 50 ~ 70℃에서 24시간 동안 진공 오븐에서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한 후, ABS 수지 20 ~ 40wt%와, PLA 수지 50 ~ 70wt%와, Cu 10 ~ 20wt%를 첨가하여 조성된 것을 Injection pressure(kg/㎠)(주입압력) 1162, Injection velocity(rpm)(주입속도) 178, Mold temperature(℃)(몰드온도) 60, Injection temperature(℃)(주입온도) 230의 조건에서 사출성형하여 제조된다.
여기서,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수지는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의 3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는 내충격성 열가소성 수지의 총칭이며 이들 세 성분의 앞 글자를 취하여 ABS 수지 혹은 ABS tert-polymer(3 원공중합체)라고도 불리는 것으로서, 그 사용량이 20 ~ 40wt%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내구성 및 인장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량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Poly(L-lactic acid)(PLA)는 옥수수로부터 젖산(lactic acid)을 추출한 후, 이것을 중합시켜 얻어지는 고분자로서, 그 사용량이 50 ~ 70wt%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내구성 및 인장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량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Cu는 인장강도 특성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첨가하는 것으로서, 그 사용량이 10wt% 미만인 경우에는 인장강도 특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구리의 사용량은 10 ~ 20wt%의 범위 내에서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형결합 탄성누름 프레임(300a)은 전면에 이격되어 형성된 탄성누름 스위치부(320)와 'U'자 형상 끼움부(330)의 사이에 도르래형상 결합부(400)를 슬라이드 형식으로 끼워넣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지지부(310a), 탄성누름 스위치부(320), 'U'자 형상 끼움부(33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310a)는 탄성누름 스위치부(320)가 전면 하단에 이격공간을 두도록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결합되는 결합장치(3)의 전체적인 형상에 따라 동일한 형태의 작은 사이즈의 윤곽모양으로 형성된 판으로 결합장치(3)의 후면에 부착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지지부(310a)의 형상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용인형(3)의 몸통형상에 삽입되는 라운드 진 직사각형과, 상단의 머리형상에 삽입되는 타원형이 결합되는 하나의 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누름 스위치부(320)는
Figure pat00001
형상으로 지지부(310a)와 이격되어 결합되도록 하단부분 끝단이 정면방향으로 돌출되어 결합되고, 중앙부분의 양쪽으로 세로방향의 가느다란 홈이 상·하단으로 파여져 탄성누름 스위치부(320)가 형성되고, 스위치 누름부(321)를 누름에 따라 스위치 헤드부(322)가 전후방향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스위치 누름부(321)는 탄성누름 스위치부(320)의 하단 중앙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놀이기구 시소의 원리를 통해 사용자가 전면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결합홈(401)에 결합된 스위치 헤드부(322)가 후면방향으로 휘어지며 결합홀(401)에서 분리되며 도르래형상 결합부(400)가 탈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스위치 헤드부(322)는 스위치 누름부(321)의 상단에 위치하고 전면에 10°의 각도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도르래형상 결합부(400)가 끼워졌을 때 결합홀(401)에 삽입되어 도르래형상 결합부(400)가 흔들리지 않고 결합되도록 하고, 전면에 걸림돌기(322a)가 돌출되어 각도조절홈(421)에 끼워져 45°간격으로 회전을 조절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상기 'U'자 형상 끼움부(330)는 뒤집어진 'U'자 형태로 탄성누름 스위치부(320)의 하단을 제외한 외곽 테두리부분이 전면방향의 내부로 도르래형상 결합부(400)의 후단부(430)가 끼워질 수 있을 정도로 이격공간이 생기도록 휘어져 형성된다.
여기서, 'U'자 형상 끼움부(330)의 이격공간에 도르래형상 결합부(400)의 후단부가 슬라이드형식으로 후단부(430)의 양쪽부분이 걸리며 뒤틀리거나 외력이 가해져도 빠지지 않도록 안전하게 삽입된다.
상기 그립 지지부(300b)는 전면에 이격되어 형성된 탄성누름 스위치부(320)와 'U'자 형상 끼움부(330)의 사이에 도르래형상 결합부(400)를 슬라이드 형식으로 끼워넣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그립 지지프레임(310b), 탄성누름 스위치부(320), 'U'자 형상 끼움부(30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그립 지지프레임(310b)은 탄성누름 스위치부(320)가 전면 하단에 이격공간을 두도록 연결되어 형성되고, 후면에 스마트폰 그립밴드(3b)가 부착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그립 지지프레임(310b)의 형상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이 도르래형상 결합부(400)와 결합되고, 후면에 스마트폰 그립밴드(3b)가 부착된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누름 스위치부(320)는
Figure pat00002
형상으로 그립 지지프레임(310b)과 이격되어 결합되도록 하단부분 끝단이 정면방향으로 돌출되어 결합되고, 중앙부분의 양쪽으로 세로방향의 가느다란 홈이 상·하단으로 파여져 탄성누름 스위치부(320)가 형성되고, 스위치 누름부(321)를 누름에 따라 스위치 헤드부(322)가 전후방향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스위치 누름부(321)는 탄성누름 스위치부(320)의 하단 중앙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놀이기구 시소의 원리를 통해 사용자가 전면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결합홈(401)에 결합된 스위치 헤드부(322)가 후면방향으로 휘어지며 결합홀(401)에서 분리되며 도르래형상 결합부(400)가 탈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스위치 헤드부(322)는 스위치 누름부(321)의 상단에 위치하고 전면에 10°의 각도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도르래형상 결합부(400)가 끼워졌을 때 결합홀(401)에 삽입되어 도르래형상 결합부(400)가 흔들리지 않고 결합되도록 하고, 전면에 걸림돌기(322a)가 돌출되어 각도조절홈(421)에 끼워져 45°간격으로 회전을 조절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상기 'U'자 형상 끼움부(330)는 뒤집어진 'U'자 형태로 탄성누름 스위치부(320)의 하단을 제외한 외곽 테두리부분이 전면방향의 내부로 도르래형상 결합부(400)의 후단부(430)가 끼워질 수 있을 정도로 이격공간이 생기도록 휘어져 형성된다.
여기서, 'U'자 형상 끼움부(330)의 이격공간에 도르래형상 결합부(400)의 후단부가 슬라이드형식으로 후단부(430)의 양쪽부분이 걸리며 뒤틀리거나 외력이 가해져도 빠지지 않도록 안전하게 삽입된다.
상기 도르래형상 결합부(400)는 중심에 결합홀(401)이 형성되고 결합홀을 중심으로 45°의 각도로 8개의 각도조절홈(421)이 형성되며, 전단부(410)와 후단부(430)가 직경이 크게 돌출되어 중단부(420)가 음각으로 환형상의 띠가 형성된 도르래형태로 형성되어, 전단부(410)가 스마트폰 케이스(2)의 후면에 고주파 용착식으로 부착되고, 탄성누름 스위치부(320)와 'U'자 형상 끼움부(330)의 사이에 후단부(430)가 삽입되어 끼워져 탄성누름 프레임(300)과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각도조절 홈(421)에 걸림돌기(322a)가 삽입되며 회전이 고정되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도르래형상 결합부(400)를 회전시키게 되면 걸림돌기(322a)가 탈착되며 걸림돌기의 높이만큼 도르래형상 결합부(400)가 밀려 올라가고 스위치 헤드부(322)를 압박하여 후단으로 밀어내며 분리되고, 회전된 다른 각도조절 홈(421)에 걸림돌기(322a)가 삽입되고 스위치 헤드부(322)가 복귀되며 회전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전단부(410)는 도르래형상 결합부(400)의 전면에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U'자 형상 끼움부(330)의 내부에 형성된 홀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전면이 스마트폰 케이스(2)의 후면에 부착되어 형성된다.
상기, 중단부(420)는 도르래형상 결합부(400)의 중앙에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전단부(410)와 후단부(430)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U'자 형상 끼움부(330)의 중앙에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후단부(430)는 도르래형상 결합부(400)의 후면에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U'자 형상 끼움부(330)의 내부에 슬라이드방식으로 삽입되어 탄성누름 프레임(300)과 도르래형상 결합부(400)가 결합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결합장치(3)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결합장치(3)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스마트폰 케이스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어 필요한 용도에 따라 간단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이는 수납용 인형(3a)이나 스마트폰 그립밴드(3b) 중에서 하나의 장치를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납용 인형(3a)은 탈부착 회전장치의 스프링결합 프레임(100)이나 탄성누름형 탈착장치(30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사람이나 동물 및 캐릭터형태로 형성되고 하단후면 내부에 지퍼나 똑딱이 단추형태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수납용 주머니(미도시)가 형성되고, 인형의 상하 방향으로 구멍이 형성되어 이어폰 헤드부를 통과시키고 필요이상으로 길이가 긴 이어폰줄을 말아서 정리하여 수납이 용이한 이어폰 정리부(미도시)가 구성된다.
상기, 수납용 주머니(미도시)는 스마프폰 충전잭이나 밧데리와 같은 스마트폰 주변기기나 USB메모리, 동전, 열쇠와 같은 소지품을 수납할 수 있고, 인형의 내부에 주머니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쿠션역할을 하여 외부충격에 대해 수납된 주변기기나 물품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이어폰 정리부(미도시)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구멍에 이어폰 헤드부를 통과시키고 필요이상으로 길이가 긴 이어폰줄을 말아서 정리하여 수납할 수 있어 미관상 깔끔하고, 정리가 안되거나 엉킴 및 꼬임으로 인해 단선이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스마트폰 그립밴드(3b)는 탈부착 회전장치의 스프링결합 프레임(100)이나 탄성누름형 탈착장치(300)의 후면에 접착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링형태의 밴드로 형성되어 탈부착 회전장치의 방사형 결합부(200)나 도르래형상 결합부(400)에 부착되는 것으로 밴드 하단의 고정핀에 의해 결합부와 부착되고 고정핀에 관통되도록 설치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스마트폰 그립(3b)은 사용자의 엄지를 제외한 손가락에 끼워넣고 스마트폰 케이스를 손바닥으로 지지하여 안정적인 그립감을 유지할 수 있고, 신축성이 좋은 밴드형태로 부착되어 손이 작은 어린이부터 어른들까지 휴대하기 용이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회전이 용이한 스마트폰 케이스 탈부착장치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여기서, 스프링결합형 탈착장치(10)로 구성되는 탈부착 회전장치(1)와 수납용 인형(3a)으로 구성되는 결합장치(3)의 결합을 예로써 설명한다.
먼저, 스마트폰 케이스(2)의 후면에 방사형 결합부(200)를 부착시키고 수납용 인형(3a)에 스프링결합 프레임(100)을 부착시킨다.
이어서, 스프링결합 프레임의 말발굽형상 끼움부(112)에 방사형 결합핀(220)을 끼울 때 걸림핀(131)이 후단으로 밀리며 후퇴한 후 걸림홀(222)이 걸림핀(131)의 위치에 도달하면 전진하여 걸림홀(222)의 내부에 고정되고, 회전조절부(150)가 밀려올라가고 걸림돌기(152)에 걸림턱(221)이 걸리며 회전이 고정되어 결합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방사형 결합부를 회전시키면 걸림턱(221)만큼 회전조절부(150)가 상승하고 다음 걸림턱(221)의 사이에 걸림돌기(152)가 끼워지며 고정되어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어서, 수납용 인형(3a)의 수납용 주머니에 스마트폰의 충전잭이나 밧데리와 같은 보조부품을 가방이나 주머니에 넣어 휴대하고, 이어폰 정리부의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구멍에 이어폰 헤드부를 통과시키고 필요이상으로 길이가 긴 이어폰줄을 말아서 정리한다.
다음으로, 누름탈착부의 누름부(123)를 눌러 경사면(122)이 상승하며 걸림핀 상하강부(130)를 후퇴시킨다.
여기서, 걸림홀(222)에 끼워져 고정되어 있던 걸림핀(131)이 후퇴되며 방사형 결합부(200)가 탈착된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 : 탈부착 회전장치 2 : 스마트폰 케이스
3a : 수납용 인형 3b : 스마트폰 그립
10 : 스프링결합형 탈착장치 20 : 탄성누름형 탈착장치
100 : 스프링결합 프레임 300 : 탄성누름 프레임
200 : 방사형 결합부 400 : 도르래형상 결합부

Claims (9)

  1. 스마트폰을 보호하고 지지하는 스마트폰 케이스(2)에 부착되는 탈부착 회전장치(1)와,
    스마트폰의 주변기기 및 소형물품의 수납이 용이한 수납형 인형(3a)과 밴드형식으로 형성되어 손바닥에 결합하여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는 스마트폰 그립밴드(3b) 중에서 선택적으로 하나의 장치가 부착되는 결합장치(3)의 결합을 통해 탈부착이 용이하고 회전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이 용이한 스마트폰 케이스 탈부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 회전장치(1)는
    스마트폰 케이스(2)와 결합장치(3)의 사이에 형성되어 내장된 2중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을 이용하여 탈부착이 가능하고 회전을 조절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스프링결합형 탈착장치(10)와,
    플라스틱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탄성누름 스위치부(320)를 눌러 형성되는 틈 사이에 슬라이드형식으로 끼워져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탄성누름형 탈착장치(20) 중에서 선택적으로 하나의 장치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이 용이한 스마트폰 케이스 탈부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결합형 탈착장치(10)는
    전면이 방사형 결합부(200)와 결합되고 후면이 결합장치(3)에 부착되어 내장된 누름탄성스프링(121)과 회전조절스프링(151)의 탄성복원력을 이용하여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스프링결합 프레임(100)과,
    전면이 스마트폰 케이스(2)의 후면에 부착되고 후면이 스프링결합 프레임(100)과 결합되어 스마트폰 케이스(2)와 스프링결합 프레임(100)을 이어주는 방사형 결합부(2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이 용이한 스마트폰 케이스 탈부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결합 프레임(100)은
    스프링결합형 탈착장치의 내부에 구성된 장치를 보호하고 지지하며, 스마트폰 케이스(2)의 후면에 부착되어 방사형 결합부(200)와 연결시켜주는 스프링결합 프레임 본체(110)와,
    스프링결합 프레임 본체(110)의 하단에 누름부(123)가 돌출되도록 삽입되고, 스프링결합 프레임 본체(110) 내부에 형성된 누름탄성 스프링(121)이 상단에 접촉되도록 형성되고, 후면상단이 절삭된 형태의 경사면(122)이 양쪽으로 형성되어 걸림핀 상하강부(130)를 후단부로 밀어주는 누름탈착부(120)와,
    누름탈착부(120)의 상단에 텐션플레이트(140)와 맞닿도록 위치하고, 양쪽 날개가 경사면(122)과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스프링결합 프레임 본체(110)의 전면에 돌출되어 스프링형 결합부(200)를 고정시킬 수 있는 걸림핀(131)이 구성된 걸림핀 상하강부(130)와,
    누름탈착부(120)의 후면에 맞닿은 얇은 플레이트로, 중앙에 십자가형상 홈(142)이 파여지고 그 중심에 텐션바(141)가 형성되며, 텐션바(141)의 전면에 걸림핀 상하강부(130)가 후퇴됨에 따라 하단방향으로 5° ~ 10°각도로 텐션되어 걸림핀 상하강부(130)의 이탈을 방지하는 텐션플레이트(140)와,
    스프링결합 프레임 본체(110)의 돌출된 말발굽형상 끼움부(112)의 상단 내부에 하단이 돌출되도록 삽입되고, 상단이 회전조절 스프링(151)과 접촉되도록 형성되며, 방사형 결합부(200)의 걸림턱(221) 사이에 삽입되어 회전을 조절하는 걸림 돌기(152)가 형성되는 회전조절부(150)와,
    수납용 인형(3)의 내부에 삽입되고 전면에 스프링결합 프레임 본체(110)가 부착되어 스프링결합 프레임 본체(110)가 수납용 인형(3a)의 내부에서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해주는 지지부(1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이 용이한 스마트폰 케이스 탈부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 플레이트(140)는
    인장강도 및 내구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Cu-TiB2 복합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Cu-TiB2 복합과정은 순도 99.5%, 10㎛의 티타늄; 순도 97%, 2~4㎛의 비결정성 보론; 순도 99.5%, 40㎛의 구리분말의 비율을 1:1:2로 하여 가속도가 600m/s2인 볼 밀(ball mill)에 투입하고, 분말 대 직경 5mm의 강구의 비율을 1:20으로 하여 20 ~ 30분 동안 믹싱하고, 혼합된 혼합물을 고온자전합성반응기에 채운 후 불활성 가스인 아르곤를 주입하여 반응기 내부의 공기를 제거한 후, 반응기 내부압력이 5 ~ 15기압이 되도록 불활성 가스를 인가한 후 점화시켜 Cu-TiB2 분말을 만든 후, 다시 20~80MPa의 압력범위에서, 50 ~ 200℃/min의 승온속도로 1,000~1,100℃까지 승온시킨 후, 25 ~ 35분을 유지하는 방전 플라즈마 소결과정을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이 용이한 스마트폰 케이스 탈부착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누름형 탈착장치(20)는
    라운드 진 직사각형의 상단에 타원형이 결합된 형상으로 하나의 판이 형성되어 스마트폰 케이스 후면에 부착되고 전면에 이격되어 형성된 탄성누름 스위치부(32)와 'U'자 형상 끼움부(330)의 사이에 도르래형상 결합부(400)를 슬라이드 형식으로 끼워넣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탄성누름형 프레임(300)과,
    중심에 결합홈(401)이 형성되고 결합홈을 중심으로 45°의 각도로 8개의 각도조절 홈(421)이 형성되며, 전단부(410)와 후단부(430)가 직경이 크게 돌출되어 전단부(410)가 결합장치(3)에 부착되고, 후단부(430)가 삽입되어 끼워져 탄성누름 프레임(300)과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도르래형상 결합부(4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이 용이한 스마트폰 케이스 탈부착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누름형 프레임(300)은
    결합되는 결합장치(3)의 전체적인 형상에 따라 동일한 형태의 작은 사이즈의 윤곽으로 형성된 판으로 결합장치(3)에 결합되는 지지부(310)와,
    Figure pat00003
    형상으로 지지부(310)와 이격되어 결합되도록 하단부분 끝단이 돌출되어 결합되고, 중앙부분의 양쪽으로 세로방향의 가느다란 홈이 상·하단으로 파여져 탄성누름 스위치부(320)가 형성되고, 스위치 누름부(321)를 누름에 따라 스위치 헤드부(322)가 후면방향으로 휘어지며 결합홀(401)에서 분리시키는 탄성누름 스위치부(320)와,
    뒤집어진 'U'자 형태로 탄성누름 스위치부(320)의 하단을 제외한 외곽 테두리부분이 전면방향의 내부로 도르래형상 결합부(400)의 하단부(430)가 끼워질 수 있을 정도로 이격되도록 휘어져 슬라이드형식으로 도르래형상 결합부(400)를 삽입하는 'U'자 형상 끼움부(3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이 용이한 스마트폰 케이스 탈부착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탄성누름 프레임(300)은
    내구성 등의 물리적 특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ABS, PLA와 인장강도를 높일 수 있는 Cu를 사용하여 조성된 조성물의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되어 내구성, 인장강도 특성을 갖는 것으로,
    제조과정은 ABS 수지와 PLA 수지를 50 ~ 70℃에서 24시간 동안 진공 오븐에서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한 후, ABS 수지 20 ~ 40wt%와, PLA 수지 50 ~ 70wt%와, Cu 10 ~ 20wt%를 첨가하여 조성된 것을 Injection pressure(kg/㎠)(주입압력) 1162, Injection velocity(rpm)(주입속도) 178, Mold temperature(℃)(몰드온도) 60, Injection temperature(℃)(주입온도) 230의 조건에서 사출성형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이 용이한 스마트폰 케이스 탈부착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누름 프레임(300)은
    전면이 도르래형상 결합부(400)와 결합되고 후면이 수납용 인형의 후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인형결합 탄성누름 프레임(300a)과, 전면이 도르래형상 결합부(400)와 결합되고 후면에 스마트폰 그립밴드(3b)가 부착될 수 있는 그립 지지부(300b) 중에서 선택적으로 하나의 구조로 이루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이 용이한 스마트폰 케이스 탈부착장치.
KR1020120005993A 2012-01-19 2012-01-19 회전이 용이한 스마트폰 케이스 탈부착장치 KR101373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993A KR101373701B1 (ko) 2012-01-19 2012-01-19 회전이 용이한 스마트폰 케이스 탈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993A KR101373701B1 (ko) 2012-01-19 2012-01-19 회전이 용이한 스마트폰 케이스 탈부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5100A true KR20130085100A (ko) 2013-07-29
KR101373701B1 KR101373701B1 (ko) 2014-03-12

Family

ID=48995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5993A KR101373701B1 (ko) 2012-01-19 2012-01-19 회전이 용이한 스마트폰 케이스 탈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370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3765A1 (ko) * 2015-09-07 2017-03-16 전대형 휴대용 전자,전기 기기의 액세서리
KR200483203Y1 (ko) * 2015-11-06 2017-04-14 주식회사 슈피겐코리아 모바일 기기용 액세서리
KR200485274Y1 (ko) * 2017-03-31 2017-12-15 브이엠텍(주) 휴대단말기 취부용 회전 작용 보조구
KR20180001554U (ko) * 2016-11-16 2018-05-25 김재식 버스 손잡이에 거는 스마트폰 케이스
JP2019154776A (ja) * 2018-03-13 2019-09-19 日販コンピュータテクノロジイ株式会社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コミュニケーションロボットの制御方法及びコミュニケーションロボット製作キット
KR20210115522A (ko) * 2020-03-13 2021-09-27 윤현주 스마트폰 액정클린장치
JP7518964B2 (ja) 2020-07-17 2024-07-18 ジョン キム,ス モバイル機器据置用クッション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597Y1 (ko) * 1997-12-10 2000-02-01 김정기 휴대폰 케이스 걸이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3765A1 (ko) * 2015-09-07 2017-03-16 전대형 휴대용 전자,전기 기기의 액세서리
US10274814B2 (en) 2015-09-07 2019-04-30 Daehyung JEON Accessory for portable electric/electronic device
KR200483203Y1 (ko) * 2015-11-06 2017-04-14 주식회사 슈피겐코리아 모바일 기기용 액세서리
KR20180001554U (ko) * 2016-11-16 2018-05-25 김재식 버스 손잡이에 거는 스마트폰 케이스
KR200485274Y1 (ko) * 2017-03-31 2017-12-15 브이엠텍(주) 휴대단말기 취부용 회전 작용 보조구
JP2019154776A (ja) * 2018-03-13 2019-09-19 日販コンピュータテクノロジイ株式会社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コミュニケーションロボットの制御方法及びコミュニケーションロボット製作キット
KR20210115522A (ko) * 2020-03-13 2021-09-27 윤현주 스마트폰 액정클린장치
JP7518964B2 (ja) 2020-07-17 2024-07-18 ジョン キム,ス モバイル機器据置用クッショ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3701B1 (ko) 201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3701B1 (ko) 회전이 용이한 스마트폰 케이스 탈부착장치
US9125475B2 (en) Electronic device holder
CN103220401B (zh) 一种表式可拆卸可夹持的蓝牙通讯组合终端
KR100760278B1 (ko) 무선 헤드셋
KR101587714B1 (ko) 스마트 기기 거치용 목걸이
KR200396216Y1 (ko) 핸드폰 케이스용 거치대
WO2020073759A1 (zh) 一种可自由转动伸缩的智能臂
CN104370167A (zh) 一种拉线自动收回机构
US20140274208A1 (en) Portable Three-in-One Mobile Phone Accessory
KR20080037399A (ko) 거치대 일체형 모바일 기기용 벨트클립
CN204185033U (zh) 一种拉线自动收回机构
CN209881850U (zh) 一种可自由转动伸缩的智能臂
CN201063672Y (zh) 带支架的手机
CN204906489U (zh) 一种自拍杆
CN205847362U (zh) 新型指环手机支架
CN214045969U (zh) 一种蓝牙耳机充电盒
CN212368532U (zh) 一种带蓝牙耳机的包袋
CN203250372U (zh) 手机防盗挂件
CN109581668B (zh) 一种可穿戴设备
CN215773506U (zh) 多功能耳机头夹
CN204481875U (zh) 一种多功能组合手机保护套
CN205810150U (zh) 一种英语口语陪练电子机
CN214854643U (zh) 一种用在运动头盔安全绑带上的物品固定结构
CN205560166U (zh) 一种新型平板电脑支架
CN216774830U (zh) 一种可伸缩收纳蓝牙耳机一体化手机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