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6267B1 - 휴대용 전자기기의 액세서리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기기의 액세서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6267B1
KR101816267B1 KR1020160078536A KR20160078536A KR101816267B1 KR 101816267 B1 KR101816267 B1 KR 101816267B1 KR 1020160078536 A KR1020160078536 A KR 1020160078536A KR 20160078536 A KR20160078536 A KR 20160078536A KR 101816267 B1 KR101816267 B1 KR 101816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rotating
rotary
rotating ring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8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0495A (ko
Inventor
전대형
Original Assignee
전대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대형 filed Critical 전대형
Priority to KR1020160078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6267B1/ko
Priority to PCT/KR2017/003987 priority patent/WO2017222157A1/ko
Publication of KR20180000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6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6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 A44C9/0053Finger-rings having special fun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MP, 전자사전, 스마트폰, 태블릿PC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후면에 설치되어, 사용시 손가락에 끼워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고 거치시에는 일정각도로 기울여 거치기능을 하되, 거치시 스마트폰과 같이 작은 크기의 전자기기뿐만 아니라 태블릿 PC와 같은 부피가 크고 무거운 전자기기도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후면에 부착 설치되는 부착수단과, 상기 부착수단에 설치되며 중앙에 결합공이 관통형성된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의 결합공에 삽입되되 결합공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여 양측으로 노출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C자 형태의 제1회전링과, 상기 제1회전링의 내측 회전축 상에 제1회전링보다 작은 크기의 C자 형태로 이루어져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회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전자기기의 액세서리{Accessory for electronic equipment}
본 발명은 PMP, 전자사전, 스마트폰, 태블릿PC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후면에 설치되어, 사용시 손가락에 끼워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고 거치시에는 일정각도로 기울여 거치기능을 하되, 거치시 스마트폰과 같이 작은 크기의 전자기기뿐만 아니라 태블릿 PC와 같은 부피가 크고 무거운 전자기기도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자기기로는 PMP, 전자사전,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이 있으며, 이러한 휴대용 전자기기 중 특히 사용량이 많고 보급화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의 경우, 휴대편의성을 향상시키거나 거치기능을 구비한 다양한 종류의 액세서리가 개발되어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액세서리 중에서 링(Ring) 형태의 액세서리가 전자기기의 후면에 설치되어 손가락에 끼우는 형태로 전자기기의 이탈방지기능을 갖고, 일정각도로 회전시켜 전자기기가 기울어진 형태로 바닥에 거치될 수 있도록 한 액세서리가 대표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특허 제1481256호(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에는 액세서리가 접착판, 고리 및 연결 부재를 포함한 구성이 제시되어 있고, 공개특허 제2016-0063599호(휴대단말기용 손가락 지지대)에는 휴대단말기용 손가락 지지대는, 부착구, 지지구 및 회동링을 포함하는 구성이 제시되어 있으며, 특허 제1624056호(단말기의 지지대)에는 단말기 지지대가 몸체부와, 몸체부의 하우징에 마련되어 연장되는 연장편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은 하나의 지지구성으로 전자기기의 거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다방면의 전자기기에 적용되기 어려웠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스마트폰에는 적용할 수 있지만 태블릿PC와 같은 부피가 크고 무게가 무거운 전자기기에는 거치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태블릿PC 전용 거치대를 마련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KR1481256 10 KR2016-0063599 10 KR1624056 1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휴대용 전자기기에 설치되는 하나의 액세서리에 지지수단을 제1회전링과 제2회전링으로 각각 구성하여 전자기기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지지수단을 회전시켜 거치가 용이하게 하고, 제1회전링과 제2회전링의 구조를 효과적으로 배치하여 사용상에 불편함 없이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액세서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후면에 부착 설치되는 부착수단과, 상기 부착수단에 설치되며 중앙에 결합공이 관통형성된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의 결합공에 삽입되되 결합공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여 양측으로 노출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C자 형태의 제1회전링과, 상기 제1회전링의 내측 회전축 상에 제1회전링보다 작은 크기의 C자 형태로 이루어져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회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착수단;은 출입구가 형성된 이동통로가 중앙에 관통형성되며 바닥면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베이스와, 상기 설치공간에 안착되고 좌우측에 체결홈이 대향되게 반복하여 형성되며 입구측이 개방되는 가이더와, 상기 베이스로부터 지지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장착되는 커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구;는 하단에 다각형의 스윙판이 형성되어 가이더의 체결홈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회전링은 회전축 양단에 제1회전링의 결합단부가 직접 끼워져 설치되고, 상기 제2회전링은 수직으로 연장형성된 결합편이 회전축상에 설치되어 제2회전링이 제1회전링 내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회전링은 제2회전링보다 회전부하를 높게 하여 제1,2회전링의 지지력이 서로 상이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회전링의 회전부하는 제1,2회전링에 형성된 결합구멍의 지름을 서로 다르게 하여 조절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회전링의 회전부하를 높이기 위해 제1회전링과 회전축이 결합되는 부분에 탄성부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설치되는 액세서리에 크기가 서로 다른 제1,2회전링을 설치하여 전자기기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거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탈방지를 위해 손가락에 끼울 때에도 사용자의 손가락 크기나 끼워지는 손가락 개수에 따라 제1,2회전링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하나의 액세서리로 사용자의 욕구를 다양하게 충족시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제1회전링 내측에 크기가 작은 제2회전링을 배치하되 하나의 회전축을 공통으로 사용하는 콤팩트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사용하지 않는 회전링은 전자기기의 후면에 밀착시켜 사용상에 불편함 없이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액세서리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액세서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액세서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의 제2회전링이 사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의 제1회전링이 사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회전링과 회전축이 결합되는 부분에 탄성부재가 더 삽입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수단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부착수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PMP, 전자사전, 스마트폰, 태블릿PC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적용되는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 사용시에는 손가락에 끼워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고 거치시에는 일정각도로 기울여서 책상이나 바닥에 거치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종래의 액세서리는 크기와 무게의 차이가 있는 스마트폰과 태블릿PC에 모두 적용될 수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발명을 통해 스마트폰과 같이 작은 크기의 전자기기뿐만 아니라 태블릿 PC와 같은 부피가 크고 무거운 전자기기도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액세서리를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액세서리는 도 1 내지 2에 도시한 바와 같이,휴대용 전자기기(A)의 후면에 부착 설치되는 부착수단(100)과, 상기 부착수단(100)에 설치되며 중앙에 결합공(210)이 관통형성된 지지구(200)와, 상기 지지구(200)의 결합공(210)에 삽입되되 결합공(21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여 양측으로 노출되는 회전축(300)과, 상기 회전축(300)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C자 형태의 제1회전링(400)과, 상기 제1회전링(400)의 내측 회전축(300) 상에 제1회전링(400)보다 작은 크기의 C자 형태로 이루어져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회전링(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착수단(100)은 지지구(200)가 전자기기(A)의 후면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접착물질 또는 양면테이프로 이루어져 접착력에 의해 부착 설치될 수도 있고, 도 7 내지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구성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단순히 부착뿐만 아니라 지지구(200)를 회전할 수 있도록 하거나 일정간격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부착수단(100)은 도 7 내지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부착수단(100);은 출입구(111)가 형성된 이동통로(112)가 중앙에 관통형성되며 바닥면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베이스(110)와, 상기 설치공간에 안착되고 좌우측에 체결홈(121)이 대향되게 반복하여 형성되며 입구측이 개방되는 가이더(120)와, 상기 베이스(110)로부터 지지구(2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110)의 하부에 장착되는 커버(130);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구(200);는 하단에 다각형의 스윙판(220)이 형성되어 가이더(120)의 체결홈(121)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부착수단(100)은 베이스(110)의 저면에 양면테이프가 마련되어 전자기기의 후면에 접착되고, 가이더(120)는 베이스(110) 내부에 설치되어 스윙판(220)의 움직임에 따라 일시적으로 체결홈(121)이 탄성 변형되면서 정해진 회전각도 및 거리로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지지구(200)는 부착수단(100)과 함께 전자기기의 후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지지구(200)의 중앙에는 결합공(210)이 일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구(200)의 결합공(210)에는 결합공(210)의 관통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회전축(300)이 삽입되어 결합공(210)의 양측으로 회전축(300)이 더 노출되는 형태가 된다.
본 발명의 제1회전링(400)과 제2회전링(500)은 상기 회전축(300)의 노출된 부분에 각각 설치되어 독립적으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제1회전링(400)과 제2회전링(500)은 서로 유사한 C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2회전링(500)은 제1회전링(400)보다 작은 크기로 제1회전링(400)의 내측에 배치된 구조가 되며 하나의 회전축(300)에 제1,2회전링(400)(500)이 모두 설치가 된다. 따라서 비교적 크기가 작은 스마트폰에 설치되어 전화를 받거나 문자를 보낼 때 손가락을 끼워 이탈을 방지하거나 거치시에는 제2회전링(500)을 사용하게 되고, 크고 무거운 태블릿PC의 거치시에는 제1회전링(400)을 사용함으로써, 일일이 휴대용 전자기기의 종류에 따라 별도로 구매하지 않고 하나의 액세서리로 다양한 휴대용 전자기기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회전링(400)은 C자 형태로 일부가 개방된 링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개방된 부분에는 결합단부(410)가 각각 형성되고 결합단부(410)에는 결합구멍(420)이 형성되어 회전축(300)에 직접 끼움 결합된다.
상기 제1회전링(400)의 결합방법으로는 결합구멍(420)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느 한쪽의 결합구멍(420)은 결합단부(410)의 내측에만 형성되고 다른 한쪽의 결합구멍(420)은 결합단부(410)의 외측까지 관통형성되어 제1회전링(400) 내측에 제2회전링(500) 및 지지구(200)를 위치시킨 다음 외부에서 회전축(300)을 삽입하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결합구멍(420)이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지지 않고 제1회전링(400)의 결합구멍(420)이 결합단부(410)의 양측 모두 내측에만 형성된 구조로 하여 제1회전링(400)을 일시적으로 벌린 상태로 회전축(300)에 결합구멍(420)을 끼워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링(500)은 제1회전링(400)과 유사한 C자 형태로 일부가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개방된 부분에는 결합편(510)이 수직으로 연장형성되어 결합편(510)의 결합구멍(520)이 회전축(300)상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제2회전링(500)은 결합편(510)에 의해 회전축(300)에 설치되기 때문에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으면서 안정적인 구조로 제1회전링(400) 내측에 설치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1회전링(400)과 제2회전링(500)의 회전부하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지만, 서로 회전부하를 다르게 하여 지지력의 차이를 줄 수 있다. 즉, 제2회전링(500)의 경우 스마트폰과 같은 작고 가벼운 전자기기에 적합한 지지력을 갖지만, 제1회전링(400)의 경우 제2회전링(500)과 동일한 지지력으로는 크고 무거운 전자기기의 하중을 버티지 못하기 때문에, 제1회전링(400)은 제2회전링(500)보다 뻑뻑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부하를 높게 하여 하중에 좀 더 잘 버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1회전링(400)과 제2회전링(500)의 회전부하는 제1,2회전링(400)(500)에 각각 형성된 결합구멍(420)(520)의 지름을 서로 다르게 하여 조절될 수 있다. 즉, 제1회전링(400)의 결합구멍(420)이 제2회전링(500)의 결합구멍(520)보다 작게 형성하여 회전축(300)과의 회전부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결합구멍(420)(520)의 지름차이를 두는 것 말고 제1회전링(400)의 회전부하를 높이기 위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회전링(400)과 회전축(300)이 결합되는 부분에 탄성부재(600)가 삽입되어 탄성부재(600)의 밀착력에 의해 회전부하를 높일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600)는 예를 들어 오링(O-Ring)형태로 구비되어 함께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에는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서 휴대용 전자기기의 크기에 따라 제1,2회전링(400)(500)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과 같은 크기가 비교적 작은 전자기기일 경우, 제1회전링(400)을 전자기기의 후면에 밀착된 형태로 위치시켜 사용하지 않도록 하고, 제2회전링(500)은 전자기기를 세우는 각도에 맞게 회전시켜 바닥면에 지지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태블릿PC와 같은 비교적 크고 무거운 전자기기일 경우, 위와 반대로 제2회전링(500)을 전자기기의 후면에 밀착된 형태로 위치시켜 사용하지 않도록 하고, 제1회전링(400)은 전자기기를 세우는 각도에 맞게 회전시켜 바닥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2회전링(400)(500)은 지지뿐만 아니라 전자기기를 손으로 잡고 전화를 하거나 조작을 할 경우 손가락을 끼워넣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즉, 일반적으로 제2회전링(500)에 하나의 손가락을 끼워넣어 사용될 수 있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크거나 둘 이상의 손가락을 끼워 넣고자 할 경우 제1회전링(400)을 사용하여 전자기기의 이탈방지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A : 휴대용 전자기기 100 : 부착수단
110 : 베이스 111 : 출입구
112 : 이동통로 120 : 가이더
121 : 체결홈 130 : 커버
200 : 지지구 210 : 결합공
220 : 스윙판 300 : 회전축
400 : 제1회전링 410 : 결합단부
420 : 결합구멍 500 : 제2회전링
510 : 결합편 520 : 결합구멍
600 : 탄성부재

Claims (6)

  1. 휴대용 전자기기(A)의 후면에 부착 설치되는 부착수단(100),
    상기 부착수단(100)에 설치되며 중앙에 결합공(210)이 관통형성된 지지구(200),
    상기 지지구(200)의 결합공(210)에 삽입되되 결합공(21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여 양측으로 노출되는 회전축(300),
    상기 회전축(300)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C자 형태의 제1회전링(400),
    상기 제1회전링(400)의 내측 회전축(300) 상에 제1회전링(400)보다 작은 크기의 C자 형태로 이루어져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회전링(500);을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링(400)은 제2회전링(500)과 회전부하가 다르도록 제1,2회전링(400)(500)의 지지력이 서로 상이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2회전링(400)(500)의 회전부하는 제1,2회전링(400)(500)에 형성된 결합구멍(420)(520)의 지름을 서로 다르게 하여 조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액세서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수단(100);은 출입구(111)가 형성된 이동통로(112)가 중앙에 관통형성되며 바닥면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베이스(110)와, 상기 설치공간에 안착되고 좌우측에 체결홈(121)이 대향되게 반복하여 형성되며 입구측이 개방되는 가이더(120)와, 상기 베이스(110)로부터 지지구(2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110)의 하부에 장착되는 커버(130);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구(200);는 하단에 다각형의 스윙판(220)이 형성되어 가이더(120)의 체결홈(121)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액세서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링(400)은 회전축(300) 양단에 제1회전링(400)의 결합단부(410)가 직접 끼워져 설치되고, 상기 제2회전링(500)은 수직으로 연장형성된 결합편(510)이 회전축(300)상에 설치되어 제2회전링(500)이 제1회전링(400) 내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액세서리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링(400)의 회전부하를 높이기 위해 제1회전링(400)과 회전축(300)이 결합되는 부분에 탄성부재(600)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액세서리
KR1020160078536A 2016-06-23 2016-06-23 휴대용 전자기기의 액세서리 KR101816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536A KR101816267B1 (ko) 2016-06-23 2016-06-23 휴대용 전자기기의 액세서리
PCT/KR2017/003987 WO2017222157A1 (ko) 2016-06-23 2017-04-13 휴대용 전자기기의 액세서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536A KR101816267B1 (ko) 2016-06-23 2016-06-23 휴대용 전자기기의 액세서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495A KR20180000495A (ko) 2018-01-03
KR101816267B1 true KR101816267B1 (ko) 2018-01-08

Family

ID=60784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8536A KR101816267B1 (ko) 2016-06-23 2016-06-23 휴대용 전자기기의 액세서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16267B1 (ko)
WO (1) WO201722215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549Y1 (ko) * 2011-06-10 2013-04-23 (주)스마트이지 단말기용 핑거 홀더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557B1 (ko) * 2011-05-27 2011-09-05 김혜련 휴대단말기 거치링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JP3178173U (ja) * 2012-05-21 2012-09-06 丈夫 小澤 スマホ・ワンハンドラー
KR20140005143U (ko) * 2013-03-20 2014-10-01 김병철 핑거링이 장치된 휴대폰케이스
JP3198165U (ja) * 2015-04-07 2015-06-18 誠 種子田 携帯端末用補助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549Y1 (ko) * 2011-06-10 2013-04-23 (주)스마트이지 단말기용 핑거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222157A1 (ko) 2017-12-28
KR20180000495A (ko) 2018-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25105B2 (ja) 携帯用電子・電気機器のアクセサリー
US10302244B2 (en) Multi-purpose camera stand
US10791836B2 (en) Mounting apparatus for securing a device to a flat monitor
US9241422B2 (en) Multidirectional support structure for tablet display apparatus
US8248791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djustable leg
CN107426930B (zh) 保护壳
US20140174960A1 (en) Housing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WO2014014194A1 (ko) 휴대기기용 다기능 액세서리
US20140049851A1 (en) Device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ng accessories to hand held electronic devices
KR101614388B1 (ko) 단말기 거치대
US20130181903A1 (en) Protection cover support seat structure for tablet display apparatus
US8925878B2 (en) Support structure for tablet display apparatus
KR20160063599A (ko) 휴대단말기용 손가락 지지대
US20140347793A1 (en) Protective cas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CN101877735A (zh) 支撑结构及具该支撑结构的便携式电子装置
KR200468496Y1 (ko) 거치수단이 구비된 아이티 기기용 케이스
US8422208B2 (en) Stand fixing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11375813B2 (en) Mounting apparatus for securing a device to a flat monitor
KR101816267B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액세서리
US20100001165A1 (en) Display having support structure
KR200483647Y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101146925B1 (ko) 휴대용 기기 거치대
JP2012103520A (ja) 角度変化支持装置、及び電子機器
KR200488289Y1 (ko) 휴대 단말기 거치수단
KR101738616B1 (ko) 이동통신기기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