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3108B1 - 리모컨트롤 기능의 모바일 거치형 손잡이 - Google Patents

리모컨트롤 기능의 모바일 거치형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3108B1
KR101773108B1 KR1020160008047A KR20160008047A KR101773108B1 KR 101773108 B1 KR101773108 B1 KR 101773108B1 KR 1020160008047 A KR1020160008047 A KR 1020160008047A KR 20160008047 A KR20160008047 A KR 20160008047A KR 101773108 B1 KR101773108 B1 KR 101773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head
handle
us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8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8121A (ko
Inventor
이규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신한기술센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신한기술센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신한기술센타
Priority to KR1020160008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3108B1/ko
Publication of KR20170088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8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3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3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H04N5/2320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태블릿PC 등의 휴대형 모바일을 흔들임 없이 안정적으로 받쳐서, 모바일이 출력하는 DMB와 동영상과 내비게이션 이미지 등의 출력 영상을 사용자가 자신에게 편안한 시선 각으로 맞춰 시청할 수 있고, 사용자가 모바일을 안정하게 쥘 수 있는 모바일 받침용 다기능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모바일에 탈착하는 몸체; 상기 몸체에 돌출하도록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머리;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머리에 설치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로부터 수신한 입력신호를 처리해서 모바일 동작을 위한 제어신호로 출력하는 처리모듈; 상기 제어신호를 모바일에 전달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리모컨트롤 기능의 모바일 거치형 손잡이{SUPPORTABLE HANDLE HAVING THE REMOTE CONTROL FOR A MOBILE}
본 발명은 사용자가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PC 등의 휴대형 모바일을 직접 쥐고 조작할 필요없이 제어할 수 있게 함은 물론, 모바일을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받쳐서 모바일이 출력하는 DMB와 동영상과 내비게이션 이미지 등의 출력 영상을 사용자가 자신에게 편안한 시선 각으로 맞춰 시청할 수 있는 리모컨트롤 기능의 모바일 거치형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인 모바일은 일반 전화는 물론 통신 미디어, 인터넷,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사진촬영, 내비게이션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휴대형 복합 장치이다. 또한, 모바일은 사용자의 휴대 이용이 가능해야 하므로 비교적 소형이면서도, 사용자가 스크린을 보는데 불편이 없는 최대한의 스크린 구성을 갖추어야 했다. 따라서 종래 모바일은 휴대와 스크린 활용에 디자인의 관심이 집중할 수밖에 없었다.
결국, 모바일 디자인 및 제작 중에 사용자가 안전하게 쥐고 사용하게 하기 위한 디자인 제안은 차순위로 밀렸고, 이로 인해 사용자는 모바일을 떨어뜨려서 파손하는 사고를 빈번하게 경험했다.
특히 사용자의 잦은 조작과 불편한 핸들링 자세가 요구되는 모바일의 촬영 모드에서는 모바일의 낙하사고가 더욱 빈번했다. 또한, 사용자가 촬영결과에 상대적으로 관심이 높은 일명 '셀카'로 불리는 촬영에서는, 사용자가 더욱 안정적으로 모바일을 쥐고 촬영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일명 '셀카봉'으로 불리는 도구가 제안되었다. 그런데, 종래 '셀카봉'은 명칭 그대로 봉의 형태를 이루므로, 사용 범위와 사용장소가 매우 제한일 수밖에 없었다.
한편, 모바일은 TV는 물론 다양한 영상과 음악의 출력 기능을 가지며, 사용자는 실내외에서 모바일을 켜고 출력되는 음악 또는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사용 방식은 모바일이 재생하는 영상을 사용자가 시청하기 위해서 모바일을 직접 손으로 들어야 한다는 시청 자세의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장시간 모바일을 손으로 들고 있어야 할 경우에는 손의 흔들림에 의해서 화면이 움직이게 되고, 이러한 움직임은 사용자의 눈 피로를 높이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모바일을 손으로 들지 못하는 상황에서 영상을 시청해야 할 경우에는 판 형상의 모바일을 탁자나 책상 등에 그냥 뉘어놓는데, 이 경우에는 화면이 상방을 향하므로 사용자의 시선 각을 벗어나는 불편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모바일의 배면을 받치는 다양한 형태의 지지대가 개발되었다. 상기 지지대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5852호(이하 '선행기술')에서 공지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는 영상촬영장치의 배면에 자성체와 자력을 띠는 금속재가 부착된 것과; 영상촬영장치의 일측에 형성된 걸고리에 끈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그 일측에는 상기 금속재와 밀착고정자성체가 설치되고, 이 자성체가 설치된 타측에는 수평면에 대하여 밀착되어 상기 영상촬영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 기능의 구성요소가 형성되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영상촬영장치의 배면에 금속재를 부착하여야 하고, 받침대 기능의 구성요소에는 금속재에 대응되는 자성체를 구비해야 하므로, 제작 단가는 물론 판매가가 높아질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영상촬영장치에 부착되는 금속재가 돌출된 턱을 이룰 수밖에 없으므로, 영상촬영장치를 휴대하고 이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 부위에 상처를 입힐 수도 있는 위험성이 있었다. 또한, 금속재를 영상촬영장치의 배면에 부착시키는 접착제의 접착력이 떨어지면 금속재가 영상촬영장치로부터 이탈하여 기능을 상실한다는 단점 또한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7514호(2015.06.17 공고)
선행기술문헌 2.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5852호(2005.03.11 공고)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모바일을 이용해서 일반 촬영은 물론 셀프 촬영을 안정하면서도 원하는 자세와 형태로 손쉽게 진행할 수 있는 리모컨트롤 기능의 모바일 거치형 손잡이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모바일의 플레이 영상을 편안한 시선 각으로 시청할 수 있게 하고, 통화 등을 위해서 사용자가 모바일을 손으로 들어야 할 때에는 안전하고 불편 없이 모바일을 쥐고 방향을 조정할 수 있게 하며, 모바일 지지 방식을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는 한편, 모바일 지지를 위한 탈부착이 손쉽고 반영구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리모컨트롤 기능의 모바일 거치형 손잡이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바일에 탈착하는 몸체;
상기 몸체에 돌출하도록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머리;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머리에 설치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로부터 수신한 입력신호를 처리해서 모바일 동작을 위한 제어신호로 출력하는 처리모듈; 및
상기 제어신호를 모바일에 전달하는 통신모듈;
을 포함하는 리모컨트롤 기능의 모바일 거치형 손잡이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사용자가 모바일을 이용해서 일반 촬영은 물론 셀프 촬영을 안정하면서도 원하는 자세와 형태로 손쉽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모바일의 플레이 영상을 편안한 시선 각으로 시청할 수 있게 하고, 통화 등을 위해서 사용자가 모바일을 손으로 들어야 할 때에는 안전하고 불편 없이 모바일을 쥐고 방향을 조정할 수 있게 하며, 모바일 지지 방식을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는 한편, 모바일 지지를 위한 탈부착이 손쉽고 반영구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가 모바일을 지지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의 제1실시 예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의 제어동작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손잡이의 결합모습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2에 도시한 손잡이의 핸들링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의 제2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의 제3실시 예에서 머리의 동작 모습을 180도로 뒤집어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의 제4실시 예에서 머리의 분해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의 제5실시 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몸체로부터 분리된 머리를 링크할 수 있는 행거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가 모바일을 지지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의 제1실시 예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의 제어동작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의 손잡이(100)는 모바일(200)이 입설하도록 받쳐서,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시선 각으로 모바일(200)의 출력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서 손잡이(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바일(200)의 배면에 밀착해서 모바일(200) 정면의 스크린이 사용자의 시선 각 범위 이내에 위치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100)는 몸체(110)와 모바일(200) 배면 간의 탈착을 통한 위치 변경이 가능하므로, 손잡이(100)의 설치 위치 변경에 의한 모바일(200)의 입설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손잡이(100)는 사용자가 모바일(200)을 직접 쥐고 조작하지 않아도, 사용자가 모바일(200)의 동작을 손쉽게 조작할 수 있게 한다. 즉, 사용자는 손잡이(100)만을 쥔 상태에서 모바일(200)의 카메라 조작, 플레이 영상 또는 음악 선택, 음량 조절 등이 가능한 것이다.
전술한 기능을 갖는 본 실시의 손잡이(100)는, 모바일(200)을 받치는 몸체(110)와, 바닥에 안착하며 몸체(110)를 지지하는 머리(120)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실시의 손잡이(100)는, 사용자가 조작하도록 머리(120)에 배치되는 스위치(140)와, 스위치(140)로부터 수신한 입력신호를 모바일(200)에 호환하는 제어신호로 변환해 생성하는 처리모듈(150)과, 처리모듈(150)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를 모바일(200)에 발신하는 통신모듈(160)을 포함하고, 처리모듈(150)과 통신모듈(160)의 구동을 위한 전기를 출력하는 전원모듈(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손잡이의 결합모습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몸체(110)는 모바일(200)과의 접합을 위한 평면을 갖는 바디(111)를 포함한다. 머리(120)는 바닥에 안착하는 헤드(121)와, 헤드(121)와 바디(111)를 연결하는 넥(122)을 포함한다. 손잡이(100)는 몸체(110)와 머리(120)가 일체일 수 있으나, 본 실시와 같이 헤드(121)와 넥(122)은 일체로 구성되고, 바디(111)와 넥(122)은 상호가 탈착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디(111)와 넥(122) 간의 상호 탈착을 위해서, 본 실시는 바디(111)에 너트홈(111a)을 형성하고, 넥(122)의 말단에는 너트홈(111a)과의 나사결합을 위한 볼트(123)를 형성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너트홈(111a)에 볼트(123)를 풀거나 결합하는 방식으로 몸체(110)와 머리(120)를 탈착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헤드(121)는 사용자가 손으로 편안하게 쥐고 핸들링할 수 있으면서도, 손잡이(100)를 모바일(200)에 자세 제한 없이 고정해서 모바일(200)을 거치할 수 있도록, 둘레가 곡면 형태로 볼록한 원판 형상을 이룬다. 따라서, 손잡이(100)는 둥근 원편 형상의 헤드(121)가 바닥에 맞닿아 놓이게 되므로, 모바일(200)과의 연결 위치, 모바일(200)이 바닥에 놓인 자세, 상기 바닥의 굴곡 형태 등에 상관없이, 안정한 고정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헤드(121)는 원판 형상에 한정하지 않으며, 모바일(200)을 받치는 몸체(110)와 연결되어서 모바일(200)을 바닥에서 지지할 수 있다면 헤드(121)는 구 형상과 T 형상 등, 이하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실시의 손잡이(100)는 모바일(200)과의 부착을 위한 탈착패드(130)를 더 포함한다. 탈착패드(130)의 제1면(131)은 바디(111)에 고정되고, 제2면(132)은 모바일(200)에 부착된다. 여기서 제2면(132)은 모바일(200)에 밀착하는 방식으로 부착되고, 이를 통해서 바디(111)는 탈착패드(130)를 매개로 모바일(200)에 고정된다. 또한, 모바일(200)에 고정된 제2면(132)은 사용자의 인력으로 충분히 분리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손잡이(100)를 모바일(2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탈착패드(130)는 접착성질을 갖는 우레탄 재질의 패드를 적용했다. 참고로, 본 실시 예의 탈착패드(130)는 재접착 성질을 갖는 우레탄 재질의 양면 테이프로서, 일명 '겔패드'란 명칭으로 널리 알려져 있고, 스카치테이프 제작사로 유명한 '3M™'의 '재접착 폼 양면 테이프'가 대표적이다. 여기서, 제1면(131)은 강한 접착력에 의해서 탈착패드(130)가 바디(111)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하고, 제2면(132)은 인력으로도 모바일(200)과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제1면(131)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접착력을 갖는다.
본 실시의 머리(120)는 넥(122)과 볼트(123) 사이의 경계를 이루도록 둘레를 따라 확장 형성된 펜스(124)를 더 포함한다. 펜스(124)는 너트홈(111a)과 볼트(123) 사이의 노출 틈을 가려서 손잡이(100)가 깔끔한 외관 미를 갖게 한다.
본 실시의 스위치(140)는 머리(120) 또는 몸체(110)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손쉽게 터치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고, 사용자가 터치해 클릭하면 입력신호를 발생시켜서 처리모듈(150)에 전달한다. 스위치(140)는 사용자의 기계적인 클릭을 통해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장치일 수 있고, 터치스크린과 같이 전기적인 클릭을 통해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장치일 수 있다. 본 실시는 스위치(140)가 기계적인 클릭을 요하는 버튼이고, 배치위치는 머리(120)의 상단에 위치하며, 1개의 버튼으로도 모바일(200)의 동작 제어가 가능한 셔터와 전화 ON/OFF 등의 조작용으로 활용된다.
본 실시의 처리모듈(150)은 스위치(140)로부터 수신한 입력신호를 확인해서 모바일(200)이 인지하는 해당 기능의 제어신호로 출력한다. 스위치(140)의 입력신호를 받아서 모바일(200)의 실행을 위한 입력신호로 변환하는 기술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처리모듈(150)의 종류와 변환 프로세스 등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의 통신모듈(160)은 처리모듈(150)이 출력한 제어신호를 모바일(200)에 전달한다. 손잡이(100)와 모바일(200) 간의 통신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유선의 경우 통신모듈(160)은 모바일(200)의 이어폰잭 규격 또는 USB 코드 규격 등의 케이블일 수도 있고, 무선의 경우 통신모듈(160)은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규약에 맞춘 장치일 수도 있다.
한편, 처리모듈(150)과 통신모듈(160)은 자체 프로세싱을 위해 최소한의 전력이 요구되며, 이를 충족하기 위해서 본 실시의 손잡이(100)는 전원모듈(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모듈(170)은 충방전지 또는 수은전지 등을 전원으로 구성하고, 충방전지가 전원인 경우에 전원모듈(170)은 충전기(미 도시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의 전원에 수은전지와 같은 일회성 전지가 적용될 경우에는 수은전지를 모두 방전하면 새로운 전지로 교체해야 하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아래에서 다시 언급한다. 참고로, 본 실시의 손잡이(100)에 통신모듈(160)이 유선방식이면, 케이블이 연결된 USB 포트를 통해서 모바일(100)로부터 전력이 공급될 수 있고, 처리모듈(150)은 상기 전력을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100)는 동작을 위해 전원모듈(170)이 반드시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실시의 볼트(123)는 펜스(124)와의 사이에 피치가 형성되지 않은 미끈부(123a)가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의 손잡이(100)는 미끈부(123a)의 둘레를 감싸는 탄성의 링(125)이 보강된다. 따라서 볼트(123)의 미끈부(123a)에는 링(125)이 보강된 상태로, 도 4의 (b)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디(111)의 너트홈(111a)에 삽입된다.
그런데, 링(125)은 볼트(123)가 너트홈(111a)에 삽입되면서 너트홈(111a)의 내면과 밀착하고, 이 과정에서 탄성의 링(125)이 미끈부(123a)의 외면과 너트홈(111a)의 내면에 밀착해 가압한다. 이로 인해 볼트(123)는 너트홈(111a)과 긴밀하게 맞물리게 되고, 미끈부(123a) 자체의 마찰에 의해서 볼트(123)는 너트홈(111a)에서 회전 없이 현 위치를 고수한다.
결국, 너트홈(111a)에 삽입된 볼트(123)는 풀림이 제한되어서, 몸체(110)와 머리(120) 간의 결속을 견고히 한다.
도 5 및 도 6은 도 2에 도시한 손잡이의 핸들링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실시의 몸체(110)는 머리(120) 방향으로 돌출하며 모서리가 없는 돔(Dome) 형상으로 되어서, 사용자는 손잡이(100)가 부착된 모바일(200)을 쥘 때 간섭 없이 편안한 그립감과 안정된 사용감을 느낄 수 있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5에서 보인 바와 같이, 손잡이(100)가 모바일(200)을 받치는 상황(도 1 참조)에서 모바일(200)을 이용해 전화를 해야 할 경우에는, 사용자는 모바일(200)을 손으로 감싸쥐어야 한다. 이때, 사용자는 오른손의 검지(F1)와 중지(F2) 사이에 손잡이(100)의 넥(122)을 끼우면서 약지(F3)와 함께 모바일(200)의 일측을 감싸고, 모바일(200)의 타측은 엄지(미도시)로 감싼다.
그런데, 모바일(200)의 폭은 사용자의 엄지와 검지(F1) 사이, 엄지와 중지(F2) 사이의 폭보다 짧으므로, 사용자의 손바닥은 모바일(200)의 배면으로부터는 아치(ARCH) 형태로 이격하게 된다. 결국, 모바일(200)을 쥔 손바닥은 모바일(200)의 배면으로부터 돌출한 몸체(110)와 직접 접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본 실시 예의 몸체(110)는 도시한 바와 같이 돔 형상을 이루므로, 아치 형태로 벌어진 손바닥 면을 따라 밀착하게 되고, 따라서 사용자가 모바일(200)을 쥐었을 때 공허함 없는 그립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몸체(110)의 모서리가 손바닥에 긁힘이나 간섭을 주지 않는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머리(120)의 넥(122)이 검지(F1)와 중지(F2) 사이에 끼워지므로, 사용자가 모바일(200)의 사용 손을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바꾸거나 그 반대로 하더라도 불편 없이 쉽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넥(122)의 말단에는 넥(122)에 비해 상대적으로 폭의 큰 헤드(121)가 구성되므로, 사용자의 검지(F1)와 중지(F2)는 헤드(121)와 몸체(110") 사이에 걸리게 되고,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넥(122)을 검지(F1)와 중지(F2) 사이에 끼우는 것만으로도 모바일(200)을 직접 쥘 필요 없이 모바일(200)을 들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가 모바일(200)을 활용해서 셀프 카메라 등의 촬영을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손잡이(100)의 머리(120)를 감싸 쥔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넥(122)이 검지(F1)와 중지(F2) 사이에 끼도록 하고, 약지(F3)와 소지(F4)는 머리(120)를 받치면서 흔들림을 방지한다. 또한, 엄지(F5)는 스위치(140)가 위치한 헤드(121)의 평면에 배치되어서, 필요한 상황에서 엄지(F5)로 스위치(140)를 바로 클릭할 수 있게 한다. 물론, 전술한 대로 스위치(140)의 입력신호는 처리모듈(150) 및 통신모듈(160)을 통해 모바일(200)에 전달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모바일(200)을 직접 쥐거나 조작하지 않아도 모바일(200)의 원하는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손잡이(100)에 헤드(121)는 저면에 돌부(121a)가 형성되고, 넥(122)은 돌부(121a)와 이어지도록 형성된다. 돌부(121a)는 곡면의 돔 형상을 이루므로, 돔 형상의 몸체(110)와 같이 헤드(121)를 감싸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공허함을 느끼지 않으며 헤드(121)를 쥘 수 있게 해서, 사용자는 편안한 그립감을 느낄 수 있다.
전술한 핸들링 외에도 사용자는 자세와 사용 목적 등에 맞춰서 손잡이(100)를 다양하게 핸들링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헤드(121)는 바람직하게 넥(122)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확장된 형상을 이루나, 이외에도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손쉽게 핸들링할 수 있다면 이하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의 제2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실시의 손잡이(100)에 스위치(140')는 버튼이 다수 개일 수 있고, 이로 인해서 손잡이(100)는 모바일(200)에 대한 다양한 조작이 가능하다. 본 실시는 스위치(140')가 영상 또는 음악 등의 플레이를 조작하기 위한 기능을 갖도록, 재생/정지 버튼(141)과 음량 버튼(142)과 선택 버튼(143)을 포함한다. 공지된 바와 같이, 재생/정지 버튼(141)는 재생 중인 영상 또는 음악을 일시정지시키거나 재싱시키고, 음량 버튼(142)은 출력 음량을 조정하며, 선택 버튼(143)은 다음 영상/음악 또는 이전 영상/음악을 선택한다.
해당 스위치(140')는 사용자가 손쉽게 선택해서 클릭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며, 촬영 모드에서 촬영을 위해 다수의 버튼 중 1개 이상이 혼용으로 활용될 수 있다.
처리모듈(150)은 스위치(140')로부터 전달된 입력신호를 확인해서 해당하는 제어신호로 변환하고 출력한다. 본 실시는 음량을 높이는 음량 버튼(142)이 촬영 모드에서 셔터 기능을 수행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의 제3실시 예에서 머리의 동작 모습을 180도로 뒤집어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는 전원모듈(170)의 전원이 수은전지와 같은 1회용 전지인 경우에, 1회용 전지가 모두 방전하면 사용자가 이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전지함(121a)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에서 전지(171)를 탑재하는 전지함(121b)은 헤드(121')에 배치되고, 서랍방식으로 여닫히면서 사용자가 전지(171)를 손쉽게 탈착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의 진지함(121b)은 헤드(121')를 뒤집은 상태에서 전지(171) 탈착이 가능하도록 했으나, 이와는 반대로 헤드(121')의 평면이 상향한 상태에서 전지(171) 탈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의 제5실시 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본 실시의 손잡이(100')는 너트홈(111a)과 볼트(123)를 매개로 서로 결합한 머리(120") 및 몸체(110')가 볼트(123)의 자체 풀림에 의해 분리되지 않게 하면서도, 너트홈(111a)에 볼트(123)가 삽입하는 과정에서 회전하는 몸체(110') 또는 펜스(124a)가 몸체(110')와 직접 마찰하지 않도록, 몸체(110')를 덮는 커버(112)를 더 포함한다.
커버(112)는 몸체(110')의 일면을 덮는 탄성 재질의 패드 형상을 이루며, 볼트(123)가 관통하는 관통홈(112a)을 형성한다.
따라서, 도 10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볼트(123)를 너트홈(111a)에 맞추고 볼트(123)를 너트홈(111a)에 삽입해 조이는 과정에서 펜스(124)가 커버(112)에 밀착하게 되고, 이렇게 밀착한 펜스(124)는 풀림 방향으로의 회전이 고무재질의 커버(112)가 갖는 마찰력에 의해 저지되어서, 머리(120)는 몸체(110')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더욱이 커버(112)는 자체 탄성을 가지므로 펜스(124)를 탄발해 밀어올려서, 볼트(123)의 나사산이 너트홈(111a)의 상방으로 힘을 받아 밀리므로, 볼트(123)와 너트홈(111a) 간의 밀착력은 더욱 높아진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펜스(124)가 몸체(110')와 직접 접촉하지 않으므로, 몸체(110')의 바디(111') 일면이 마모하거나 훼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112)와 몸체(110')의 바디(111')는 별도의 접착제를 매개로 서로 고정될 수 있으나, 이외에도 본 실시 예에서 보인 바와 같이 바디(111') 일면에 끼움홈(111b)을 형성시켜서, 커버(112)가 끼움홈(111b)에 끼워지게 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의 제4실시 예에서 머리의 분해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의 머리(120")와 몸체(110')는 볼트(123)와 너트홈(111a)을 매개로 탈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몸체(110')에 대한 머리(120")의 조임 정도에 따라 몸체(110')에 위치하는 머리(120")의 회전 위치가 변하게 된다.
그런데 몸체(110')를 기준으로 연결한 머리(120")의 회전 위치가 특별해야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상기 회전 위치에 머리(120")가 맞춰지도록 볼트(123)를 중심으로 머리(120")를 돌려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맞춤 방식은 볼트(120")와 너트홈(111a)이 더 조여지거나 풀린 상태로 몸체(110')와 머리(120")가 연결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본 실시의 머리(120")는, 펜스(124')와 볼트(123)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고, 펜스(124')와 넥(122)은 일체로 연결해서, 사용자가 볼트(123)를 돌리면 볼트(123)의 수나사 부분이 넥(122)을 중심으로 공회전을 하게 된다. 결국, 사용자가 몸체(110')에 머리(120")를 연결하기 위해서 볼트(123)를 너트홈(111a)에 맞추고, 볼트(123)를 돌리면서 너트홈(111a)에 맞춰 결합하면, 헤드(121')가 자체 회전 없이 현 자세를 유지하면서도 머리(120")를 몸체(110')에 결합할 수 있다.
본 실시는 넥(122)의 하단에 펜스(124')를 일체로 고정하되, 펜스(124')는 수용관(124a)을 형성하고, 수용관(124a)에 볼트(123)가 고정된 핸들(126)이 회전가능하게 내설되며, 수용된 핸들(126)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수용관(124a)을 마감하는 마감판(124b)을 구성한다. 여기서 마감판(124b)은 볼트(123)가 관통하는 관통공(124c)이 형성된다. 또한, 수용관(124a)의 둘레면 일부를 절개해서 핸들(126)의 가장자리가 개구된 부분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노출된 핸들(126)을 조작해서, 핸들(126) 및 볼트(123)를 회전시킬 수 있다.
결국, 사용자가 몸체(110')에 머리(120")를 연결하기 위해서 볼트(123)를 너트홈(111a)에 맞추고, 핸들(126)를 돌리면서 볼트(123)를 너트홈(111a)에 맞춰 결합하면, 헤드(121') 및 넥(122)이 자체 회전 없이 현 자세를 유지하면서 몸체(110')에 결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의 제5실시 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본 실시의 스피커(100')는 너트홈(111a)과 볼트(123)를 매개로 서로 결합한 몸체(110') 및 머리(120)가 볼트(123)의 자체 풀림에서도, 너트홈(111a)에 볼트(123)가 삽입하는 도중에 밀착하는 펜스(124')의 마감판(124b)이 몸체(110')와 직접 닿거나 마찰하지 않도록, 몸체(110')를 덮는 커버(112)를 더 포함한다.
커버(112)는 몸체(110')의 일면을 덮는 탄성 재질의 패드 형상을 이루며, 볼트(123)가 관통하는 관통홈(112a)을 형성한다.
따라서, 도 11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볼트(123)를 너트홈(111a)에 맞추고 볼트(123)를 너트홈(111a)에 삽입해 조이는 과정에서 마감판(124b)이 커버(112)에 밀착하게 되고, 이렇게 밀착한 마감판(124b)은 커버(112)를 가압하고 있는 상태에서 풀림 방향으로의 회전이 고무재질의 커버(112)가 갖는 마찰력에 의해 저지되므로, 머리(120")는 몸체(110')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더욱이 커버(112)는 자체 탄성을 가지므로 마감판(124b)을 탄발해 밀어올려서, 볼트(123)의 나사산이 너트홈(111a)의 상방으로 힘을 받아 밀리므로, 볼트(123)와 너트홈(111a) 간의 밀착력은 더욱 커진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마감판(124b)이 몸체(110') 자체와 직접 접촉하지 않으므로, 몸체(110')의 바디(111') 일면이 마모하거나 훼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112)와 몸체(110') 바디(111')는 별도의 접착제를 매개로 서로 고정될 수 있으나, 이외에도 바디(111') 일면에 끼움홈(111b)을 형성시켜서, 커버(112)가 끼움홈(111b)에 끼워지게 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몸체로부터 분리된 머리를 링크할 수 있는 행거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인 바, 이를 참고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100)는 분리된 머리(120)를 연결해 보관하는 행거(30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100)는 몸체(110)와 머리(120)를 서로 조합해서 도 1에서 보인 바와 같이 사용할 수도 있으나, 별도의 받침대(미 도시)에 몸체(110)를 연결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런데, 별도의 받침대를 사용할 경우에는 머리(120)를 몸체(110)로부터 분리해야 하므로, 받침대를 사용하는 중에는 머리(120)에 대한 분실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의 손잡이(100)는 분리된 머리(120)를 연결해 보관하기 위한 행거(300)를 더 포함한다.
행거(300)는 모바일(200)의 커넥팅 홀(210, 220)에 삽탈하는 코드(310)와, 머리(120)의 볼트(123)가 끼워지는 너트홈(321)을 갖춘 본체(320)와, 코드(310)와 본체(320)를 서로 연결하는 와이어(330)를 포함한다.
모바일(200)의 커넥팅 홀(210, 220)은 이어폰 단자를 끼우는 이어폰 홀(210)과, USB 단자를 끼우는 USB 홀(220) 등이 있는데, 본 실시의 행거(300)는 이어폰 홀(210) 전용 코드(310)로 구성된다. 그러나, 본 실시의 코드(310)는 USB 홀(220) 전용 단자일 수도 있고, 두 종류의 단자 모두가 코드(310)로 구성될 수도 있다.
결국, 손잡이(100)를 미사용할 때는 열쇠고리와 같이 모바일(200)에 걸어 휴대하고, 사용할 때는 행거(300)로부터 분리해서 모바일(200) 거치 및 조작용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행거(300)와 연결한 상태에서 블루투스 통신을 매개로 모바일(200) 조작 기능을 실행시킬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100'; 거치대 110, 110'; 몸체
111, 111'; 바디 112; 커버
120, 120', 120"; 머리 121; 헤드 122; 넥
123; 볼트 124; 펜스 130; 탈착패드
131; 제1면 132; 제2면 140; 스위치
150; 처리모듈 160; 통신모듈 170; 전원모듈
200; 모바일 300; 행거

Claims (8)

  1. 모바일과 연결되는 몸체; 상기 몸체로부터 돌출하며 탈착하게 연결되는 머리;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머리에 설치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로부터 수신한 입력신호를 처리해서 모바일 동작을 위한 제어신호로 출력하는 처리모듈; 상기 제어신호를 모바일에 전달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리모컨트롤 기능의 모바일 거치형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제1너트홈을 구성하고, 상기 머리는 제1너트홈에 삽탈하는 볼트를 구성하며;
    모바일의 커넥팅 홀에 삽탈하는 코드와, 상기 머리의 볼트가 끼워지는 제2너트홈을 갖춘 본체와, 상기 코드와 본체를 서로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행거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트롤 기능의 모바일 거치형 손잡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는
    상기 몸체에 탈착하는 넥과, 상기 넥의 말단에 확장된 형상으로 연결되는 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트롤 기능의 모바일 거치형 손잡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둘레가 곡면 형태로 볼록한 원판 형상을 이루고, 저면에는 돔 형상으로 볼록하면서 넥과 이어지는 돌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트롤 기능의 모바일 거치형 손잡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는, 몸체와 접하는 넥의 말단에서 넥의 둘레를 따라 확장 형성된 펜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머리와의 결합시 몸체에 밀착하는 펜스를 탄발해 밀어올려서 상기 볼트의 나사산이 너트홈의 상방으로 힘을 받아 밀리도록, 탄성 재질의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트롤 기능의 모바일 거치형 손잡이.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이어폰잭 또는 USB 코드를 매개로 모바일과 연결돼 유선 통신하는 장치이거나, 블루투스를 매개로 모바일과 무선 통신하는 장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트롤 기능의 모바일 거치형 손잡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처리모듈과 통신모듈 중 선택된 하나 이상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트롤 기능의 모바일 거치형 손잡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모듈은 전지를 탑재하며, 상기 머리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전지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트롤 기능의 모바일 거치형 손잡이.
KR1020160008047A 2016-01-22 2016-01-22 리모컨트롤 기능의 모바일 거치형 손잡이 KR101773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047A KR101773108B1 (ko) 2016-01-22 2016-01-22 리모컨트롤 기능의 모바일 거치형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047A KR101773108B1 (ko) 2016-01-22 2016-01-22 리모컨트롤 기능의 모바일 거치형 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8121A KR20170088121A (ko) 2017-08-01
KR101773108B1 true KR101773108B1 (ko) 2017-08-31

Family

ID=59650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8047A KR101773108B1 (ko) 2016-01-22 2016-01-22 리모컨트롤 기능의 모바일 거치형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31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04490A1 (ko) * 2017-06-26 2019-01-03 주식회사 신한기술센타 리모컨트롤 기능의 모바일 거치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738B1 (ko) * 2014-11-06 2015-03-13 주식회사 이피텍 휴대단말기용 거치지지대
KR101561137B1 (ko) * 2015-01-12 2015-10-19 쓰리에이로직스(주) Nfc 단말 장치용 촬영 보조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738B1 (ko) * 2014-11-06 2015-03-13 주식회사 이피텍 휴대단말기용 거치지지대
KR101561137B1 (ko) * 2015-01-12 2015-10-19 쓰리에이로직스(주) Nfc 단말 장치용 촬영 보조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8121A (ko) 2017-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4299B1 (en) Grip attachment for a mobile phone
KR101891667B1 (ko)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US20160215926A1 (en) Tablet computer holder and stand
CN103427224B (zh) 移动终端
US20050255895A1 (en) Adaptable charging cradle with speaker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EP1339232B1 (en) Monitor device, base device and information terminal device
US9844159B1 (en) Handheld mount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20100088184A (ko) 프로젝팅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TWI384843B (zh) 可攜式終端
JP3193967U (ja) 無線充電ホルダー
US20170366746A1 (en) Peripheral equipment for controlling camera arranged in a terminal, system and method thereof
JP4328932B2 (ja) モニタ装置およびベース装置
US10897527B2 (en) Personal device docking station for video calls
US9483075B2 (en) Handheld mount and stand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WO2020034999A1 (zh) 应用于移动电子设备的握持装置和拍摄组件及其方法
KR101951925B1 (ko) 전자기기 장착 기능의 모바일용 거치대
KR101773108B1 (ko) 리모컨트롤 기능의 모바일 거치형 손잡이
US20140174964A1 (en) Beverage container with audio control and speaker
KR101741642B1 (ko) 모바일 거치형 스피커
KR20190043045A (ko) 배면에 액세서리가 부착된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의 무선충전장치
KR101967449B1 (ko)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KR20170059367A (ko) 모바일 받침용 다기능 거치대
US20080084328A1 (en) Television remote Control Device
WO2019004490A1 (ko) 리모컨트롤 기능의 모바일 거치대
US6556183B1 (en) Communications device having an interchangeable helmet user-inte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