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5736A - 단말기 유동 또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물림 방식의 단말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단말기 유동 또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물림 방식의 단말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5736A
KR20170105736A KR1020160028696A KR20160028696A KR20170105736A KR 20170105736 A KR20170105736 A KR 20170105736A KR 1020160028696 A KR1020160028696 A KR 1020160028696A KR 20160028696 A KR20160028696 A KR 20160028696A KR 20170105736 A KR20170105736 A KR 20170105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upport plate
fixing
mounting panel
horizont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8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지희
Original Assignee
한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지희 filed Critical 한지희
Priority to KR1020160028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5736A/ko
Publication of KR20170105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57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 유동 또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물림 방식의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닥면에 지지되는 수평 지지판과; 상기 수평 지지판의 상면 전방에 상기 수평 지지판과 수직 또는 비스듬히 위치되며, 단말기가 거치되는 거치 패널과; 상기 수평 지지판상에 형성되며, 상기 거치 패널을 그 배면으로부터 지지하는 고정대; 및 상기 고정대와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조절봉을 구비하며, 상기 수평 지지판과 함께 상면과 하면을 갖는 피고정체의 두께방향으로 이물림되는 고정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 패널은, 단말기의 상부를 지지하도록 상단에 마련되는 상부 지지대와, 상기 수평 지지판의 거치 패널 전방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단말기의 하부가 지지되되, 단말기가 외력에 의해서도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단말기가 안착되는 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유동 또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물림 방식의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기의 터치 등 외력을 가하는 경우 그 외력이 과도하게 작용하였을 때, 단말기가 상부 지지대 및 홈부에 안착되어 있으므로 거치대로부터 단말기가 좌우 유동에 의해 이탈됨 없이 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수평 지지판의 하부에 형성된 단차부에 의해 유동을 이중으로 지지한다.

Description

단말기 유동 또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물림 방식의 단말기 거치대{Vice-type terminal setting panel for prevention of swaying or breakaway of the terminal}
본 발명은 단말기 유동 또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물림 방식의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닥면에 지지되는 수평 지지판과; 상기 수평 지지판의 상면 전방에 상기 수평 지지판과 수직 또는 비스듬히 위치되며, 단말기가 거치되는 거치 패널과; 상기 수평 지지판상에 형성되며, 상기 거치 패널을 그 배면으로부터 지지하는 고정대; 및 상기 고정대와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조절봉을 구비하며, 상기 수평 지지판과 함께 상면과 하면을 갖는 피고정체의 두께방향으로 이물림되는 고정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 패널은, 단말기의 상부를 지지하도록 상단에 마련되는 상부 지지대와, 상기 수평 지지판의 거치 패널 전방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단말기의 하부가 지지되되, 단말기가 외력에 의해서도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단말기가 안착되는 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유동 또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물림 방식의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한다.
최근 들어 스마트 기기 등 개인 휴대용 단말기의 보급이 크게 늘어났고, 현재는 스마트 기기의 사용에 있어서 남녀노소 구분이 없어 생활 필수품이 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개인 휴대용 단말기는 대개 가방 등 이동수단에 휴대하면서 사용하나, 때로는 기존의 데스크탑 형태의 단말기처럼 특정 장소에 거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특정 장소는 별도의 구분은 없으나, 대개 책상이나, 차량내로서 책상이나 차량의 대시보드에 거치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특수하게는 병원이나 장애인용 침대에서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특정 장소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가 필요하며, 이러한 거치대는 휴대용 단말기를 특정 방향과 형태대로 고정하여 줌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거치대로서,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1-0011394호에서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거치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부분에는 밑으로 연장되는 좌우 양다리(221, 222)를 가지며 양다리(221, 222)의 끝에 양다리(221, 222)를 연결하는 연결핀(211)이 설치되고, 윗부분에는 앞뒤로 관통하는 축 관통공이 형성되는 몸체(220); 연결핀(211)이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한쪽 모서리를 따라 핀 관통공이 형성되어 연결핀(211)을 축으로 양다리(221, 222) 사이에서 앞뒤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받침대(210); 및 상기 축 관통공에 삽입되는 회동축(240)을 가지고, 회동축(240)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축(240)에 수직하게 양옆으로 연장되어 회동축(240)이 회전할 때 이에 따라 옆으로 회전하도록 몸체(220)의 앞쪽에 설치되어 휴대용 단말기를 지지하는 체결대(230);를 구비하는 것을 구성적 특징으로 하며, 이로부터 아이패드와 같이 주변 테두리를 제외한 전체가 화면 역할을 하고, 화면이 옆으로 돌아가며, 여러가지 어플리케이션을 탑재시킬 수 있어 테스크탑이나 노트북처럼 키보드를 사용할 상황이 많은 휴대용 단말기를 단순히 거치하는 것이 아니라 거치한 상태에서 사용하고자 할 때에 유용한 것을 작용효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거치대는 받침대(210)가 몸체(220)와 유사한 정도의 폭을 가지며, 체결대(230)가 이로부터 이격된 몸체에 부착되고, 따라서, 단말기를 터치할 때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몸체(220)만의 특유의 유동성, 즉 재료 자체가 갖는 특유의 탄성유동에 의해 단말기도 흔들릴 수 있으며, 따라서, 단말기의 무게 중심 이동에 따라서 거치대 자체가 넘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뇌성마비 등 신체 장애인은 행동이 부자유스럽기 때문에 단말기 터치시 터치력을 조절하기 어려우며, 따라서 과도한 힘으로 단말기를 취급하는 경우에는 상기 거치대가 넘어지면서 단말기가 거치대로부터 이탈하기 쉬운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기의 터치 등 외력을 가하는 경우 그 외력이 과도하게 작용하였을 때, 단말기가 상부 지지대 및 홈부에 안착되어 있으므로 거치대로부터 단말기가 좌우 유동에 의해 이탈됨 없이 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수평 지지판의 하부에 형성된 단차부에 의해 이러한 유동을 이중으로 지지하므로 단말기 사용의 편의성이 제공되는 단말기 유동 또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물림 방식의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부 지지대가 거치 패널에 탄성체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단말기의 크기의 다변화에 대응할 수 있으며, 탄성에 의한 높은 지지력으로 단말기의 안정적 거치 및 취급이 가능한 단말기 유동 또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물림 방식의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말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터치력의 조절이 용이하지 아니한 신체 장애인들이 단말기에 터치력을 과도하게 작용하더라도 단말기가 거치대로부터 이탈되거나 거치대가 고정 위치로부터 탈락되지 않도록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 유동 또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물림 방식의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바닥면에 지지되는 수평 지지판과; 상기 수평 지지판의 상면 전방에 상기 수평 지지판과 수직 또는 비스듬히 위치되며, 단말기가 거치되는 거치 패널과; 상기 수평 지지판상에 형성되며, 상기 거치 패널을 그 배면으로부터 지지하는 고정대; 및 상기 고정대와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조절봉을 구비하며, 상기 수평 지지판과 함께 상면과 하면을 갖는 피고정체의 두께방향으로 이물림되는 고정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 패널은, 단말기의 상부를 지지하도록 상단에 마련되는 상부 지지대와, 상기 수평 지지판의 거치 패널 전방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단말기의 하부가 지지되되, 단말기가 외력에 의해서도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단말기가 안착되는 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좌우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물림 방식의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한다.
상기 상부 지지대는, 상기 거치 패널의 상부 내측에 삽탈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단말기의 상부에 지지되는 상부 지지부와; 상기 상부 지지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수직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수직 패널은 상기 거치 패널의 상부에 거치패널의 상하 길이 방향으로 가공된 삽탈홈에 삽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 지지부는 수직 패널과 연결되는 단말기 연접부와, 상기 단말기 연접부의 단부에서 하방 절곡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단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지지대는, 상기 수직 패널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돌기부와 상기 거치 패널의 내부 일측에 마련되는 제2돌기부에 그 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탄성체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삽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 지지판의 상기 거치 패널 후방 일측에는 상기 거치 패널을 그 후방에서 지지하기 위한 고정대가 더 마련되며, 상기 고정대가 상기 거치 패널을 직접 지지하거나, 상기 고정대의 상기 거치 패널 방향 일측에 마련되는 연결부에 의하여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대는, 상기 조절봉이 내삽되는 관체 형상으로서, 상기 수평 지지판상에서 직립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외삽되며, 연결부가 구비되는 연결부 지지링; 상기 몸체부, 연결부 지지링을 관통하여 상기 조절봉에 나사결합되는 볼트; 및 상기 볼트상에 체결되어 상기 볼트를 회전시켜 수평 지지판과 고정패드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 지지판의 하면 일측에는, 거치대 고정시, 피고정체의 모서리에 연접하여 거치대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단턱부가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패드의 상면에는 마찰패드가 더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기의 터치 등 외력을 가하는 경우 그 외력이 과도하게 작용하였을 때, 단말기가 상부 지지대 및 홈부에 안착되어 있으므로 거치대로부터 단말기가 좌우 유동에 의해 이탈됨 없이 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수평 지지판의 하부에 형성된 단차부에 의해 이러한 유동을 이중으로 지지하므로 단말기 사용의 편의성이 제공되는 작용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지지대가 거치 패널에 탄성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단말기의 크기의 다변화에 대응할 수 있으며, 탄성에 의한 높은 지지력으로 단말기의 안정적 거치 및 취급이 가능한 작용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단말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터치력의 조절이 용이하지 아니한 신체 장애인들이 단말기에 터치력을 과도하게 작용하더라도 단말기가 거치대로부터 이탈되거나 거치대가 고정 위치로부터 탈락되지 않도록 사용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기대된다.
도 1은 종래의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 거치대를 배면 방향으로부터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 거치대를 평면 방향으로부터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도 5에서 수평 지지판에 단차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 거치대를 배면 방향으로부터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 거치대를 평면 방향으로부터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도 5에서 수평 지지판에 단차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말기 거치대(100)는 바닥면에 지지되는 수평 지지판(101)과; 상기 수평 지지판(101)의 상면 전방에 상기 수평 지지판(101)과 수직 또는 비스듬히 위치되며, 단말기가 거치되는 거치 패널(105)과; 상기 수평 지지판(101)상에 형성되며, 상기 거치 패널(105)을 그 배면으로부터 지지하는 고정대(111); 및 상기 고정대(111)와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볼트(121)에 의해 결합되는 조절봉(145)을 구비하며, 상기 수평 지지판(101)과 함께 테이블 모서리에 이물림되는 고정패드(143);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 패널(105)은, 단말기의 상부를 지지하도록 상단에 마련되는 상부 지지대(107)와, 상기 수평 지지판(101)의 거치 패널(105) 전방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단말기의 하부가 지지되되, 단말기가 외력에 의해서도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단말기가 안착되는 홈부(109)가 구비된다.
상기 수평 지지판(101)은 예를 들어 테이블 등 정형화된 모서리를 갖는 기물의 상면에 안착되며, 후술하는 고정패드(143)와 함께 상기 모서리 부분을 물림 고정한다.
상기 수평 지지판(101)은 단말기 거치시 1차적인 안정성을 부여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수평 지지판(101)의 일측에 홈부(109)를 마련하였으며, 상기 홈부(109)에 예를 들어 단말기의 하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때, 대형의 무거운 단말기를 거치하는 경우에는, 적어도 거치대(100)를 중심으로 단말기 디스플레이의 좌우 단부에 가해지는 터치력이 다소간 과중하더라도 홈부(109)에서 단말기의 유동을 저지하게 되므로 거치대(100)가 상기 기물로부터 이탈되지 않거나, 단말기가 거치대(10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단말기에 대한 지지력을 배가하기 위하여, 수평 지지판(101)의 하부에 단차부(151)를 구성하였으며, 이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 대한 대칭도는 제시되지 않았으나, 대칭도의 해당 위치에서도 상기 단차부(151)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차부(151)는 기물의 모서리에 연접하며, 단말기를 통하여 거치대(100)에 외력이 작용하였을 때, 1차적으로 홈부(109)에 의해 단말기를 지지하며, 또한 단차부(151)에 의해 거치대(100)의 유동을 방지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단말기의 유동을 제한하여 단말기의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거치대(100)는 상기 수평 지지판(101)의 상면 전방에 상기 수평 지지판(101)과 수직 또는 비스듬히 위치되며, 단말기가 거치되는 거치 패널(105)이 마련된다.
상기 거치 패널(105)은 예를 들어 단말기의 후면이 안착되는 영역으로서, 수평 지지판(101)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수평 지지판(101)과 별도로 형성된 후 수평 지지판(101)상에 수평 지지판(101)과의 접촉 여부에 무관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 실시예에 의하여 수평 지지판(101)상에 거치 패널(105)이 별도로 형성되었으며, 상기 거치 패널(105)은 상기 수평 지지판(101)의 상기 거치 패널(105) 후방에 설치되는 고정대(111)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고정대(111)는 예를 들어 수평 지지판(10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별도로 마련되어 수평 지지판(101)과 거치 패널(105)에 조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 실시예에 의하여 고정대(111)의 일측에는 연결부(117)가 마련되고, 상기 연결부(117)는 상기 거치 패널(105)의 배면과 결합되는 브라켓(125)에 연결된다.
상기 브라켓(125)의 일면에는 제1돌기부(127)가 마련되고, 상기 제1돌기부(127)는 거치 패널(105)의 배면에 형성되는 결합홈(131)에 연결부 가이드(141)를 통해 결합된다. 또한, 브라켓(125)의 대향면에는 제2돌기부(129)가 마련되고, 상기 제2돌기부(129)는 상기 고정대(111)의 연결부(117)에 결합된다.
상기 제1돌기부(127) 및 제2돌기부(129)는 일 실시예로 T자형 돌기부로서 착탈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다만, 돌기부의 형상이 반드시 위와 같이 T자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돌기부는 적어도 1개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돌기부(127))가 2개 마련되었으나, 이와 같은 돌기부의 갯수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거치 패널(105)에 형성되는 결합홈(131)은 T자형의 제1돌기부(127)의 용이한 착탈을 위하여 하부는 T자형 돌기부의 가로부에 대응되도록 넓게 형성되고, 상부는 T자형 돌기부의 세로부에 대응되도록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117)는 하부가 개방되고, T자형 제2돌기부(129)의 가로부가 상기 개방영역으로 진입할 수 있으며, 세로홈이 형성되어 제2돌기부(129)의 T자형 세로부가 세로홈에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방식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해당되는 바,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다른 결합형태로도 변형이 가능하다.
이로써 상기 고정대(111)는 거치 패널(105)을 그 배면으로부터 안정되게 지지한다.
한편, 상기 고정대(111)는 상기 수평 지지판(101) 하부에서 상기 수평 지지판(101)과 함께 피고정체에 물림고정되도록 작용하는 고정패드(143)와 연결된다.
상기 고정대(111)는 상기 수평 지지판(101)상에서 직립하는 몸체부(113); 상기 몸체부(113)에 외삽되며, 연결부(117)가 구비되는 연결부 지지링(115); 상기 몸체부(113), 연결부 지지링(115)을 관통하여 후술하는 조절봉(145)에 나사결합되는 볼트(121); 및 상기 볼트(121)상에 체결되어 상기 볼트(121)를 회전시켜 수평 지지판(101)과 고정패드(143)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캡(1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113)는 수평 지지판(101)상에 고정되며, 연결부 지지링(115)을 지지한다. 연결부 지지링(115)은 상기 몸체부(113)에 외삽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113)는 상기 연결부 지지링(115)의 두께에 대응되도록 단차부(151)를 갖는다. 상기 단차부(151)에 의해 상기 연결부 지지링(115)은 몸체부(113)에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필요에 따라서, 단차부(151) 상부의 외주면과 몸체부(113)의 내주면에는 서로 음양의 관계를 이루는 가이드(149)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볼트(121)는 상기 고정대(111) 및 조절봉(145)에 내삽되고 회동에 의하여 조절봉(145)의 입출을 제어함으로써 수평 지지판(101)과 고정패드(143)간의 간격을 조절한다. 상기 볼트(121)는 상기 수평 지지판(101)과 고정패드(143)간의 간격을 충분히 넓힐 수 있도록 충분히 긴 길이의 몸통부를 구비한다. 상기 볼트(121)는 통상의 구성으로서, 두개의 볼트(121) 지지링(119)에 의해 연결부 지지링(115) 내에 안착되며, 볼트(121)의 두부는 예를 들어 육각의 형상으로서, 내부에 육각의 음각형상을 갖는 캡(123)과 결합된다.
상기 캡(123)은 마감재로서의 역할을 함은 물론 볼트(121)를 양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수평 지지판(101)과 고정패드(143)간의 간격을 조절한다.
상기 고정패드(143)는 조절봉(145)을 구비하며, 상기 조절봉(145)은 그 내부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산을 따라서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볼트(121)에 의해 상기 고정대(111)와 길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조절봉(145)은 볼트(121)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고정대(111)의 내부로부터 삽탈되어 피고정체의 두께에 대응되도록 그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피고정체에 단단히 고정된다.
상기 조절봉(145)은 상기 고정패드(143)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로 제작되어 조립될 수도 있으므로 조절봉(145)의 형성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부 지지대(107)는, 상기 거치 패널(105)의 상부 내측에 상기 거치 패널(105)의 상하 길이방향으로 마련된 삽탈홈(157)을 통하여 삽탈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부 지지대(107)는 단말기의 상부를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상부 지지부(133)와, 상기 상부 지지부(133)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수직 패널(13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수직 패널(135)이 상기 삽탈홈(157)에 삽탈된다.
상기 수직 패널(135)의 삽탈홈(157)에서의 삽입된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상부 지지부(133)가 단말기의 모서리에 면접하게 되었을 때, 상부 지지부(133)가 단말기를 지지하게 된다.
선택에 따라서, 상기 수직 패널(135)의 일 구성요소와 상기 거치 패널(105)의 내부에 마련된 일 구성요소에 연결되는 탄성체(159)가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체(159)는 상기 수직 패널(135)이 상기 삽탈홈(157)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상기 탄성체(159)는 상기 상부 지지대(107)의 수직 패널(135) 일측에 마련되는 제1고정돌기(137)와 상기 거치 패널(105) 일측에 마련되는 제2고정돌기(139)에 그 단부가 각각 고정되며, 상기 상부 지지대(107)를 상향 이동하면 상기 탄성체(159)에 인장력이 작용하고, 그 상태에서 단말기를 거치 패널(105)에 거치한 후 상부 지지부(133)를 단말기 모서리에 연접시키면 탄성체(159)에 작용하는 복원력에 의거하여 상기 상부 지지부(133)가 단말기 모서리를 단단히 지지한다.
상기 제1고정돌기(137)는 상기 상부 지지대(107)가 거치 패널(105)로부터 삽탈될 때, 상기 거치 패널(105) 내면의 상기 제1고정돌기(137)의 설치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가이드(149)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홈부(109)와 탄성체(159)의 복원력을 이용하는 상부 지지대(107)는 단말기의 좌우 단부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서도 단말기가 거치대(1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유기적으로 작용한다. 또한, 탄성체(159)에 의해 상부 지지대(107)의 삽탈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므로 단말기의 크기에 대응하여 탄력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부 지지대(107)의 상부 지지부(133)는 수직 패널(135)과 연결되는 단말기 연접부(153)와, 상기 단말기 연접부(153)의 단부에서 하방 절곡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단턱부(15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단턱부(155)에 의해서도 단말기의 유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단턱부(155)는 단말기가 홈부(109)에 안착되고, 단말기의 모서리가 단말기 연접부(153)에 연접하면 상기 홈부(109)와 함께 단말기의 유동을 제한한다.
상기 단말기 연접부(153)와 단턱부(155)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아니면 별도로 제작되어 서로 고정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패드(143)의 상부에는 마찰패드(147)가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이로써 거치대(100)를 기물의 모서리에 물릴 때 기물로부터 거치대(100)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안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거치대 101 : 수평 지지판
105 : 거치 패널 107 : 상부 지지대
109 : 홈부 111 : 고정대
113 : 몸체부 115 : 연결부 지지링
117 : 연결부 119 : 지지링
121 : 볼트 123 : 캡
125 : 브라켓 127 : 제1돌기부
129 : 제2돌기부 131 : 결합홈
133 : 상부 지지부 135 : 수직 패널
137 : 제1고정돌기 139 : 제2고정돌기
141 : 연결부 가이드 143 : 고정패드
145 : 조절봉 147 : 마찰패드
149 : 가이드 151 : 단차부
153 : 단말기 연접부 155 : 단턱부

Claims (7)

  1. 바닥면에 지지되는 수평 지지판과;
    상기 수평 지지판의 상면 전방에 상기 수평 지지판과 수직 또는 비스듬히 위치되며, 단말기가 거치되는 거치 패널과;
    상기 수평 지지판상에 형성되며, 상기 거치 패널을 그 배면으로부터 지지하는 고정대; 및
    상기 고정대와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조절봉을 구비하며, 상기 수평 지지판과 함께 상면과 하면을 갖는 피고정체의 두께방향으로 이물림되는 고정패드;
    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 패널은,
    단말기의 상부를 지지하도록 상단에 마련되는 상부 지지대와,
    상기 수평 지지판의 거치 패널 전방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단말기의 하부가 지지되되, 단말기가 외력에 의해서도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단말기가 안착되는 홈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유동 또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물림 방식의 단말기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대는,
    상기 거치 패널의 상부 내측에 삽탈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단말기의 상부에 지지되는 상부 지지부와;
    상기 상부 지지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수직 패널;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수직 패널은 상기 거치 패널의 상부에 거치패널의 상하 길이 방향으로 가공된 삽탈홈에 삽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 지지부는 수직 패널과 연결되는 단말기 연접부와, 상기 단말기 연접부의 단부에서 하방 절곡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단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유동 또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물림 방식의 단말기 거치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대는,
    상기 수직 패널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돌기부와 상기 거치 패널의 내부 일측에 마련되는 제2돌기부에 그 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탄성체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삽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유동 또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물림 방식의 단말기 거치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지지판의 상기 거치 패널 후방 일측에는 상기 거치 패널을 그 후방에서 지지하기 위한 고정대가 더 마련되며,
    상기 고정대가 상기 거치 패널을 직접 지지하거나, 상기 고정대의 상기 거치 패널 방향 일측에 마련되는 연결부에 의하여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유동 또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물림 방식의 단말기 거치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는,
    상기 조절봉과 볼트가 내삽되는 관체 형상으로서,
    상기 수평 지지판상에서 직립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외삽되며, 연결부가 구비되는 연결부 지지링;
    상기 몸체부, 연결부 지지링을 관통하여 상기 조절봉에 나사결합되는 볼트; 및
    상기 볼트상에 체결되어 상기 볼트를 회전시켜 수평 지지판과 고정패드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캡;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유동 또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물림 방식의 단말기 거치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지지판의 하면 일측에는,
    거치대 고정시, 피고정체의 모서리에 연접하여 거치대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단턱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유동 또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물림 방식의 단말기 거치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패드의 상면에는 마찰패드가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유동 또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물림 방식의 단말기 거치대.
KR1020160028696A 2016-03-10 2016-03-10 단말기 유동 또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물림 방식의 단말기 거치대 KR201701057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696A KR20170105736A (ko) 2016-03-10 2016-03-10 단말기 유동 또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물림 방식의 단말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696A KR20170105736A (ko) 2016-03-10 2016-03-10 단말기 유동 또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물림 방식의 단말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736A true KR20170105736A (ko) 2017-09-20

Family

ID=60033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8696A KR20170105736A (ko) 2016-03-10 2016-03-10 단말기 유동 또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물림 방식의 단말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573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375B1 (ko) * 2019-12-18 2021-05-17 이상현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KR20230114503A (ko) * 2022-01-25 2023-08-01 주식회사 엘케이에스글로벌 원격 의료를 위한 생체 모니터링 및 케어 시스템에서의 생체 신호 측정 장치용 거치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375B1 (ko) * 2019-12-18 2021-05-17 이상현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KR20230114503A (ko) * 2022-01-25 2023-08-01 주식회사 엘케이에스글로벌 원격 의료를 위한 생체 모니터링 및 케어 시스템에서의 생체 신호 측정 장치용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6377B2 (en) Flat panel monitor mount with low profile ball and socket swivel and tilter mount
JP6814952B2 (ja) 表示装置およびスタンドセット
KR20170105736A (ko) 단말기 유동 또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물림 방식의 단말기 거치대
US20030122052A1 (en) Adjustable board support for easel
KR101949296B1 (ko) 컴퓨터 데스크
CN202392400U (zh) 万向调节投影机墙壁挂架
CN203286220U (zh) 吊挂式平板电脑支架
CN201731249U (zh) 可调式壁挂支架
KR100944632B1 (ko) 모니터 고정 거치대
CN203068094U (zh) 视角可调式平板电视机架
CN212960670U (zh) 一种电子设备的折叠支架结构
CN211010560U (zh) 一种电力客服现场服务的双屏显示器支撑架
CN210534624U (zh) 一种具有调节角度功能的显示器
CN203421462U (zh) 多角度调节平板电脑支架
KR20170104228A (ko) 단말기 좌우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단말기 거치대
CN203488940U (zh) 平板电脑支架
CN205267489U (zh) 防滑书立
CN101660649B (zh) 可调式平移结构及具有该结构的显示装置
CN211925185U (zh) 一种显示器支架
CN211624683U (zh) 一种智能可自动移动显示屏支架臂
KR20070074474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수납대
JP2015204893A (ja) ベッド用サイドテーブル
CN217592461U (zh) 一种坐挂一体的相框
CN211475382U (zh) 一种新型计算机底座
CN204254195U (zh) 一种多功能可旋转式液晶电视机安装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