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2118B1 - 디스플레이 거치대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2118B1
KR101592118B1 KR1020140127109A KR20140127109A KR101592118B1 KR 101592118 B1 KR101592118 B1 KR 101592118B1 KR 1020140127109 A KR1020140127109 A KR 1020140127109A KR 20140127109 A KR20140127109 A KR 20140127109A KR 101592118 B1 KR101592118 B1 KR 101592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frame
fixture
display
fram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7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4107A (ko
Inventor
서일용
Original Assignee
서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일용 filed Critical 서일용
Priority to PCT/KR2014/00894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5046903A1/ko
Publication of KR20150034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4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2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2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설치물(1)에 고정된 브래킷(2)에 일단이 제1회동축(21)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메인프레임(20); 일단이 상기 피설치물(1)에 연결되고 타단이 메인프레임(20)에 연결되어 상기 일단 또는 타단을 중심으로 회동되거나 중간부가 절첩됨에 따라 메인프레임(20)이 피설치물(1)과 이루는 각도(θ1,θ2)를 조절하는 지지프레임(30); 및 상기 메인프레임(20)의 타단에 구비되며 디스플레이(80)가 장착되는 설치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80)가 사용자(U)의 시야각에 들어오도록 상기 메인프레임(20)을 점진적으로 회동시킬 수 있어 사용자(U)는 자세를 바꾸거나 얼굴을 돌리지 않고 디스플레이(80)를 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거치대이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거치대{Supporting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좀 더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도 사용자의 위치나 자세에 따라 적절하게 위치 조절되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좀 더 편한 자세로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휴대폰이나 태블릿 등과 같이 휴대하며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된 디스플레이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는 거치대를 이용하여 일정위치에 고정시켜 영상을 시청하기도 하는데, 종래 디스플레이 거치대 중 일부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 등이 영상을 쉽게 시청할 수 있도록 침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러나 종래의 디스플레이 거치대는 디스플레이가 전면이 하향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사용자가 침대의 중앙에 똑바로 누워 상측을 바라봐야만 디스플레이의 영상을 편안하게 시청할 수 있고, 사용자가 옆으로 누운 경우에는 고개를 돌려야만 디스플레이를 볼 수 있어 불편한 문제가 있다. 더욱이, 영화 등을 감상하기 위해 장시간 고개를 돌려 디스플레이 영상을 시청할 경우 적지 않은 피로감을 느낄 뿐 아니라 이로 인한 목결림, 목디스크 등의 질병이 발생될 수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27140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침대, 책상 또는 벽면 등에 설치되어 좀 더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도 사용자가 자세를 바꾸지 않고도 디스플레이를 볼 수 있도록 자유자재로 위치 조절되어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아울러 미사용시 벽면 등에 밀착되도록 접을 수 있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피설치물(1)에 고정된 브래킷(2)에 일단이 제1회동축(21)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메인프레임(20); 일단이 상기 피설치물(1)에 연결되고 타단이 메인프레임(20)에 연결되어 상기 일단 또는 타단을 중심으로 회동되거나 중간부가 절첩됨에 따라 메인프레임(20)이 피설치물(1)과 이루는 각도(θ1,θ2)를 조절하는 지지프레임(30); 및 상기 메인프레임(20)의 타단에 구비되며 디스플레이(80)가 장착되는 설치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80)가 사용자(U)의 시야각에 들어오도록 상기 메인프레임(20)을 점진적으로 회동시킬 수 있어 사용자(U)는 자세를 바꾸거나 얼굴을 돌리지 않고 디스플레이(80)의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거치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피설치물(1) 또는 메인프레임(20)에 다수의 걸림홈(4)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30)의 일단이 피설치물(1)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걸림홈(4)에 선택적으로 걸려지는 걸림돌기(6)가 구비되거나 또는 지지프레임(30)의 타단이 메인프레임(20)에 힌지결합되고 일단에는 상기 걸림홈(4)에 선택적으로 걸려지는 걸림돌기(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거치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프레임(30)은 일단이 상기 제1회동축(21)과 평행한 제2회동축(31)에 의해 상기 피설치물(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지지바(32)와, 양단이 상기 제2회동축(31)과 평행한 제5회동축(34) 및 제6회동축(35)에 의해 상기 제1지지바(32) 및 메인프레임(20)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2지지바(33)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5회동축(34)에는 제1지지바(32)와 제2지지바(33)가 접혀지거나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회동고정수단(36)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거치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프레임(30)의 일단이 상기 제1회동축(21)과 평행한 제2회동축(31)에 의해 상기 피설치물(1)에 고정된 보조브래킷(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브래킷(2) 또는 메인프레임(20)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1회동축(21)과 수직한 제3회동축(25)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브래킷(3) 또는 지지프레임(30)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2회동축(31)과 수직한 제4회동축(37)이 구비되어, 상기 메인프레임(20)이 제3 및 제4회동축(25, 37)을 중심으로 피설치물(1)에 밀착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거치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피설치물(1)에 고정된 브래킷(2)에 일단이 제1회동축(21)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메인프레임(20); 일단이 상기 제1회동축(21)과 평행한 제2회동축(31)에 의해 상기 피설치물(1)에 고정된 보조브래킷(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이 메인프레임(20)에 연결되어 신축됨에 따라 메인프레임(20)이 피설치물(1)과 이루는 각도(θ1,θ2)를 조절하는 지지프레임(30); 및 상기 메인프레임(20)의 타단에 구비되며 디스플레이(80)가 장착되는 설치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브래킷(2) 또는 메인프레임(20)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1회동축(21)과 수직한 제3회동축(25)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브래킷(3) 또는 지지프레임(30)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2회동축(31)과 수직한 제4회동축(37)이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80)가 사용자(U)의 시야각에 들어오도록 상기 메인프레임(20)을 피설치물(1)에서 점진적으로 회동시킬 수 있어 사용자(U)는 자세를 바꾸거나 얼굴을 돌리지 않고 디스플레이(80)의 영상을 시청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3 및 제4회동축(25, 37)을 중심으로 피설치물(1)에 밀착 회동시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거치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피설치물(1)에 설치된 브래킷(2)이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다수개가 구비되며, 상기 메인프레임(20) 및 지지프레임(30) 중 적어도 하나의 일단이 상기 다수의 브래킷(2)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거치대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일단이 벽면 등의 피설치물(1)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에 디스플레이(80)가 장착된 메인프레임(20)이 지지프레임(30)에 의해 지지되면서도 지지프레임(30)의 회동, 절첩 또는 신축에 의해 점진적으로 회동되므로, 구조적 안전성이 우수하면서도 사용자(U)는 좀 더 편안한 자세로 디스플레이(80)의 영상을 시청할 수 있어 얼굴을 돌려서 시청함에 따른 목결림, 목디스크 등이 예방된다. 이때, 디스플레이(80)가 메인프레임(20)에서 회동되도록 하여 사용자(U)가 자세나 위치를 바꾸지 않고도 디스플레이(80)의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프레임(20)과 지지프레임(30)을 피설치물(1)과 결합되는 각 일단부를 중심으로 피설치물(1)에 밀착 회동시킬 수 있으므로, 거치대(10)를 사용하지 않을 때 피설치물(1)에서 돌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자(U) 등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아서 이동편의성을 높이고 부딪쳐서 상해를 입는 것이 방지되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20)과 지지프레임(30) 중 적어도 하나의 일단이 피설치물(1)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다수의 브래킷(2)을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구비함으로써, 메인프레임(20)을 피설치물(1)로부터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거치대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설치상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측면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변형례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설치대의 제1작동을 보인 평면도
도 5는 상기 실시예의 설치대의 제1작동을 보인 배면도
도 6은 상기 실시예의 설치대의 제2작동을 보인 평면도
도 7 및 도 8은 상기 실시예의 설치대의 제2작동을 보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거치대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거치대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거치대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거치대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거치대의 제6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거치대의 제7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거치대의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거치대(10)는 일단이 피설치물(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메인프레임(20)과, 일단이 상기 피설치물(1)에 연결되고 타단이 메인프레임(20)에 연결된 지지프레임(30)과, 상기 메인프레임(20)의 타단에 구비되며 디스플레이(80)가 장착되는 설치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피설치물(1)은 책상이나 천장 등 다양하나 벽면을 예시하였고, 피설치물(1)에는 메인프레임(20) 및 지지프레임(30)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래킷(2) 및 보조브래킷(3)이 이격 구비되는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하로 이격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다.
상기 메인프레임(20)은 일단이 제1회동축(21)에 의해 브래킷(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에는 상기 설치대(40)가 장착되는 장착부(22)가 절곡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장착부(22)에는 회동암(23)의 일단이 상기 제1회동축(21)과 수직한 제7회동축(24)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지지프레임(30)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일단이 제2회동축(31)에 의해 피설치물(1)의 보조브래킷(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제2회동축(31)은 제1회동축(21)과 평행하다. 지지프레임(30)의 타단은 메인프레임(20)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경우에 따라, 도 3에서와 같이 지지프레임(30)의 일단이 피설치물(1)에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제2회동축(31)에 의해 메인프레임(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지지프레임(30)의 일단 또는 타단이 피설치물(1) 또는 메인프레임(2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피설치물(1) 또는 메인프레임(20)에 다수의 걸림홈(4)이 톱니 형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지지프레임(30)의 일단 또는 타단에는 상기 걸림홈(4)에 걸려지는 걸림돌기(6)가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다. 이때, 지지프레임(30)의 일단 또는 타단에 걸림돌기(6)가 형성된 회동체(5)가 구비되어 지지프레임(30)이 회동되더라도 걸림돌기(6)가 걸림홈(4)에 용이하게 걸려진다.
상기 설치대(40)는 후면 중앙부가 상기 메인프레임(20)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바디(50)와, 이 바디(5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선단에 디스플레이(80)가 장착되는 슬라이더(6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바디(50)는 중앙이 후방으로 오목하게 만곡되며 내부에 좌우가 개방된 중공부(51)가 형성된다. 바디(50)의 전면에는 슬라이더(60)가 장착되는 레일(52)이 만곡면을 따라 형성된다. 이때, 레일(52)은 소정폭으로 절개된 장공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바디(50)의 후면에는 메인프레임(20)의 장착부(22)에 설치된 회동암(23)의 선단이 제8회동축(54)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결합부(53)가 구비된다. 이때, 제8회동축(54)은 제7회동축(24)에 수직하다.
상기 슬라이더(60)는 바디(50)의 중공부(51)를 따라 이동되는 가동부(61)와, 이 가동부(61)의 전면에서 바디(50)의 절개된 레일(52)을 관통하여 전방으로 돌출되며 선단에 디스플레이(80)가 결합되는 장착부(6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가동부(61)에 만곡면을 따라 슬라이딩홈(62)이 연장 형성되고 장착부(64)는 슬라이딩홈(62)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60)의 장착부(64)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동부(61)의 슬라이딩홈(62)의 양측 내벽면에는 장착부(64)의 측면을 감싸는 다수의 오목면(63)이 형성된다. 또한, 장착부(64)의 측면에는 탄성부재(66)의 탄성력에 의해 오목면(63)을 가압하는 한 쌍의 가압부재(65)가 구비되어, 장착부(64)가 가동부(61)의 소정위치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50)의 일측에는 슬라이더(60)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수단(70)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수단(70)은 바디(50)의 상면 또는 하면에 승강가능하게 탄지된 핀 형태로 이루어지고, 가동부(61)에 고정수단(70)이 삽입되는 다수개의 삽입홈 또는 삽입공(67)이 소정간격 이격 형성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80)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고 슬라이더(60)가 바디(5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메인프레임(20)이 지지프레임(30)의 회동에 의해 피설치물(1)에서 이루는 각도(θ1,θ2)가 조절될 뿐만 아니라 설치대(40)에서 디스플레이(80)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곡률을 따라 회동되며 더욱이 도 6에서와 같이 회동범위가 확장됨으로써, 디스플레이(80)의 전면표시부가 침대(7) 등에 똑바로 눕거나 옆으로 누워있는 사용자(U)의 시선을 향하도록 적절하게 위치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U)는 얼굴을 돌리지 않고도 디스플레이(10)를 용이하게 볼 수 있게 되어 사용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거치대의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30)은 일단이 제2회동축(31)에 의해 보조브래킷(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지지바(32)와, 양단이 제5 및 제6회동축(34,35)에 의해 각각 제1지지바(32) 및 메인프레임(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2지지바(33)로 이루어져서, 제1 및 제2지지바(32,33)가 제5회동축(34)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접혀지거나 펼쳐진다. 이때, 제5회동축(34)이 상향되게 접혀지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하향되게 접혀질 수도 있다. 한편, 제5 및 제6회동축(34,35)은 제2회동축(31)과 평행하다. 그리고 제5회동축(34)에는 제1지지바(32)와 제2지지바(33)가 접혀지거나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회동고정수단(36)이 구비된다. 이때, 회동고정수단(36)은 스프링에 의해 탄지된 탄지볼이 다수의 타공이 원형으로 형성된 회전판의 상기 타공에 삽입되는 공지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거치대의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20)의 제1회동축(21)의 전방 또는 후방에 제1회동축(21)과 수직한 제3회동축(25)이 구비되고, 지지프레임(30)의 제2회동축(31)의 전방 또는 후방에 제2회동축(31)과 수직한 제4회동축(37)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도 11에서와 같이 메인프레임(20)의 타단이 제3 및 제4회동축(25, 37)을 중심으로 피설치물(1)과 밀착 회동되므로 거치대(10)를 사용하지 않을 때 피설치물(1)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자(U)나 주변사람이 거치대(10)에 걸려 상해입는 것이 방지된다. 경우에 따라, 브래킷(2) 및 보조브래킷(3) 자체가 피설치물(1)에 각각 제3 및 제4회동축(25, 37)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지지프레임(30)은 제2실시예와 같이 절첩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제1실시예와 같이 회동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거치대의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30)이 지지몸체(38)와, 이 지지몸체(38)에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는 신축바(39)로 이루어진다. 이때, 신축바(39)는 실린더 등과 같이 일반적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도시안된 탄지볼 등에 의해 지지몸체(38)에 단계적으로 신축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3실시예와 같이 메인프레임(20)과 지지프레임(30)이 제3 및 제4회동축(25, 37)을 중심으로 피설치물(1)에 밀착 회동된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거치대의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피설치물(1)에 다수개의 브래킷(2)이 일정간격 이격 설치되며, 메인프레임(20)과 지지프레임(30) 중 적어도 하나의 일단이 상기 다수의 브래킷(2)에 선택적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지지프레임(30)의 타단은 메인프레임(20)에 상기 제6회동축(35)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지지프레임(20)의 일단을 다수의 브래킷(2)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킨 것을 예시하였다.
이와 같이 지지프레임(30)이 타단을 중심으로 회동됨에 따라, 디스플레이(80)의 위치가 조절되면서도 지지프레임(30)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어 단가를 낮추고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다수의 브래킷(2)이 고리 형상인 것을 예시하였으나 반대로 지지프레임의 일단이 고리 형상일 수도 있다. 그리고 한편, 지지프레임(30)은 제1 내지 제3실시예의 형태도 가능함은 물론이며, 이때에는 지지프레임(30)의 일단에 제2회동축(31)이 브래킷(2)에 회동가능하게 걸려진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거치대의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20) 타단의 장착부(22)에 승강프레임(90)이 구비되며, 이 승강프레임(90)의 선단에 설치대(40)가 장착된다.
상기 승강프레임(90)은 텔레스코프식 또는 제3실시예에서 신축되는 형태의 지지프레임(30)과 같이 길이방향으로 신축된다. 승강프레임(90)의 상단은 제9회동축(91)에 의해 메인프레임(20)의 장착부(2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은 제8회동축(54)에 의해 설치대(40)의 회동결합부(5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제9회동축(91)은 제8회동축(54)에 수직하다. 이에 따라, 도 13에서와 같이 메인프레임(20)이 회동되더라도 승강프레임(90)은 수직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프레임(90)이 전번 실시예들에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거치대의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20)이 텔레스코프식 또는 제3실시예의 지지프레임(30)과 같이 길이방향으로 신축된다. 한편, 상기 메인프레임(20)의 신축되는 구조는 전번 실시예들에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메인프레임(20)이 신축 및 회동되고 디스플레이(80)가 설치대(40)에서 좌우 이동 및 회전되며 설치대(40)가 메인프레임(20)에서 승강되므로 디스플레이(80)의 위치를 보다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U)가 어떠한 자세를 취하더라도 디스플레이(80)의 전면표시부가 사용자(U)의 시야각에 들어오게 되므로 사용편의성이 향상된다.

Claims (6)

  1. 피설치물(1)에 고정된 브래킷(2)에 일단이 제1회동축(21)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메인프레임(20);
    일단이 상기 피설치물(1)에 연결되고 타단이 메인프레임(20)에 연결되어 상기 일단 또는 타단을 중심으로 회동됨에 따라 메인프레임(20)이 피설치물(1)과 이루는 각도(θ1,θ2)를 조절하는 지지프레임(30); 및
    상기 메인프레임(20)의 타단에 구비되며 디스플레이(80)가 장착되는 설치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피설치물(1) 또는 메인프레임(20)에는 다수의 걸림홈(4)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30)의 일단이 피설치물(1)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걸림홈(4)에 선택적으로 걸려지는 걸림돌기(6)가 구비되거나 또는 지지프레임(30)의 타단이 메인프레임(20)에 힌지결합되고 일단에는 상기 걸림홈(4)에 선택적으로 걸려지는 걸림돌기(6)가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80)가 사용자(U)의 시야각에 들어오도록 상기 메인프레임(20)을 점진적으로 회동시킬 수 있어 사용자(U)는 자세를 바꾸거나 얼굴을 돌리지 않고 디스플레이(80)를 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거치대.
  2. 피설치물(1)에 고정된 브래킷(2)에 일단이 제1회동축(21)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메인프레임(20);
    일단이 상기 제1회동축(21)과 평행한 제2회동축(31)에 의해 상기 피설치물(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지지바(32)와, 양단이 상기 제2회동축(31)과 평행한 제5회동축(34) 및 제6회동축(35)에 의해 상기 제1지지바(32) 및 메인프레임(20)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2지지바(33)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1지지바(32)와 제2지지바(33)가 접혀지거나 펼쳐짐에 따라 메인프레임(20)이 피설치물(1)과 이루는 각도(θ1,θ2)를 조절하는 지지프레임(30); 및
    상기 메인프레임(20)의 타단에 구비되며 디스플레이(80)가 장착되는 설치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5회동축(34)에는 제1지지바(32)와 제2지지바(33)가 접혀지거나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회동고정수단(36)이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80)가 사용자(U)의 시야각에 들어오도록 상기 메인프레임(20)을 점진적으로 회동시킬 수 있어 사용자(U)는 자세를 바꾸거나 얼굴을 돌리지 않고 디스플레이(80)를 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거치대.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30)의 일단이 상기 제1회동축(21)과 평행한 제2회동축(31)에 의해 상기 피설치물(1)에 고정된 보조브래킷(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브래킷(2) 또는 메인프레임(20)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1회동축(21)과 수직한 제3회동축(25)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브래킷(3) 또는 지지프레임(30)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2회동축(31)과 수직한 제4회동축(37)이 구비되어, 상기 메인프레임(20)이 제3 및 제4회동축(25, 37)을 중심으로 피설치물(1)에 밀착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거치대.
  5. 피설치물(1)에 고정된 브래킷(2)에 일단이 제1회동축(21)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메인프레임(20);
    일단이 상기 제1회동축(21)과 평행한 제2회동축(31)에 의해 상기 피설치물(1)에 고정된 보조브래킷(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이 메인프레임(20)에 연결되어 신축됨에 따라 메인프레임(20)이 피설치물(1)과 이루는 각도(θ1,θ2)를 조절하는 지지프레임(30); 및
    상기 메인프레임(20)의 타단에 구비되며 디스플레이(80)가 장착되는 설치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브래킷(2) 또는 메인프레임(20)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1회동축(21)과 수직한 제3회동축(25)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브래킷(3) 또는 지지프레임(30)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2회동축(31)과 수직한 제4회동축(37)이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80)가 사용자(U)의 시야각에 들어오도록 상기 메인프레임(20)을 지지프레임(30)의 신축에 의해 피설치물(1)에서 점진적으로 회동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제3 및 제4회동축(25, 37)을 중심으로 피설치물(1)에 밀착 회동시킬 수 있어 사용자(U)는 자세를 바꾸거나 얼굴을 돌리지 않고 디스플레이(80)를 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거치대.
  6. 제1항, 제2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설치물(1)에 설치된 브래킷(2)이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다수개가 구비되며, 상기 메인프레임(20) 및 지지프레임(30) 중 적어도 하나의 일단이 상기 다수의 브래킷(2)에 선택적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거치대.
KR1020140127109A 2013-09-25 2014-09-23 디스플레이 거치대 KR101592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08945 WO2015046903A1 (ko) 2013-09-25 2014-09-25 디스플레이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3797 2013-09-25
KR1020130113797 2013-09-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4107A KR20150034107A (ko) 2015-04-02
KR101592118B1 true KR101592118B1 (ko) 2016-02-04

Family

ID=53031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7109A KR101592118B1 (ko) 2013-09-25 2014-09-23 디스플레이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21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2645B1 (ko) * 2018-07-04 2020-06-26 서일용 디스플레이 거치장치
KR102052586B1 (ko) * 2018-12-24 2019-12-05 김정순 스마트 파고라형 벤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4107A (ko) 2015-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3451B2 (en) Mobile device stand
EP3217684B1 (en) Adjustable head-mounted display
US7118080B2 (en) Multi-functional adjustable computer support stand
US20130206935A1 (en) Adjustable Electronic Device Holding Apparatus
US20130038995A1 (en) Hanging support for tablet/notebook computer
TWM501698U (zh) 弧形顯示器支架
KR101592118B1 (ko) 디스플레이 거치대
KR101670993B1 (ko) 누운 자세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WO2015139226A1 (zh) 具有可延展显示屏的笔记本电脑
CN104337284B (zh) 可折叠的尿不湿更换台
KR200394565Y1 (ko) 책걸상의 높이조절장치
US20130181498A1 (en) Chair Leg Rest Assembly
KR200487109Y1 (ko) 기능성 독서대
WO2015046903A1 (ko) 디스플레이 거치대
KR100963145B1 (ko) 노트북 거치대 겸용 독서대
CN204376994U (zh) 一种头戴式可伸缩手机支架
KR101410637B1 (ko) 디스플레이 거치대
KR200470994Y1 (ko)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
KR200372603Y1 (ko) 독서대
US20080224505A1 (en) Folding lap end table
KR102524109B1 (ko) 디스플레이 거치대
CN220343917U (zh) 坐姿矫正器
KR102374979B1 (ko) 휴대기기 거치장치
US20240148142A1 (en) Display holder
CN116917656A (zh) 显示器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