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109Y1 - 기능성 독서대 - Google Patents
기능성 독서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7109Y1 KR200487109Y1 KR2020160004329U KR20160004329U KR200487109Y1 KR 200487109 Y1 KR200487109 Y1 KR 200487109Y1 KR 2020160004329 U KR2020160004329 U KR 2020160004329U KR 20160004329 U KR20160004329 U KR 20160004329U KR 200487109 Y1 KR200487109 Y1 KR 20048710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mating
- mounting unit
- mounting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A47B23/043—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djustable, foldabl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16—Book stand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이한 각도 조절과 전방 공간 넓이의 확장이 가능한 기능성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독서대로서의 기본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책의 크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면적의 확장이 가능한 거치유닛을 제공하고, 거치유닛의 각도를 조절함에 있어서 당김의 당김 동작을 통하여 거치유닛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책의 거치 상태에서도 용이한 각도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성 독서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기능성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이한 각도 조절과 전방 공간 넓이의 확장이 가능한 기능성 독서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독서대는 경사를 이루는 판 형태의 거치유닛과, 상기 거치유닛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책을 지지하는 받침대와, 상기 거치유닛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거치유닛의 경사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지지대로 구성되며, 사용자는 거치유닛의 경사 각도를 적절히 조정한 후 책을 상기 받침대에 얹어 독서를 한다.
이러한 기본적인 구성을 갖는 종래의 독서대는 고정된 크기를 가지기 때문에 거치할 수 있는 책의 크기가 제한되는 문제가 있었고, 뿐만 아니라 거치유닛은 제작 당시에 각도가 결정되는 탓에 주어진 각도 이외에는 독서대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앉은 키를 비롯한 독서자세에 맞게 그 각도를 변경할 수 없어서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서, 최근에는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독서대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독서대는 지지대(2)의 이동을 통하여 각도 조절을 할 수 있는 구조로써, 고정되어 있던 거치유닛(1)을 들어올리는 동작 후 지지대(2)를 받침부재에 형성된 복수의 홈(3) 중 하나로 그 위치를 변경해야 함으로 거치유닛(1)에 책이 거치된 상태에서 이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기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독서대로서의 기본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책의 크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면적의 확장이 가능한 기능성 독서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거치유닛의 각도를 조절함에 있어서 별도의 당김부재를 통한 당김 동작으로 거치유닛을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책의 거치 상태에서도 용이한 각도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성 독서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기기를 거치유닛에 거치할 수 있도록 별도의 보조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하부 받침대의 이동을 통해 책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게 책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구조의 기능성 독서대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관점에 따르면, 책을 안착하여 거치하기 위한 거치유닛; 상기 거치유닛 후면에 배치되어 상기 거치유닛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하고, 일측에 예정된 형상의 제1 치합부가 형성되는 지지유닛; 및 상기 거치유닛 후면에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치합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제1 치합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2 치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치합부와 상기 제2 치합부의 치합 및 분리를 통해 상기 거치유닛과 상기 지지유닛의 사잇각을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유닛을 포함하는 기능성 독서대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유닛은 일단부에 구비되어 당김 동작을 통해 상기 제1 치합부와 상기 제2 치합부를 분리하기 위한 당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유닛은 상기 제2 치합부와 상기 당김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치합부와 상기 제2 치합부를 치합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복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거치유닛은 하단부 전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받침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거치유닛의 하단부에서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거나 또는 접철 가능하게 회동되거나 또는 상기 거치유닛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가이드유닛를 따라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거치유닛의 측단부에서 인출되게 구성되어 상기 거치유닛의 넓이를 확장시키기 위한 보조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거치유닛의 상단에 탈부착 되게 구성되어 보조학습도구를 거치하기 위한 보조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독서대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거치유닛의 크기를 확장시킬 수 있는 보조패널을 구비하여 다양한 크기의 책을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당김부재의 당김 동작을 통하여 거치유닛의 용이한 각도조절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거치유닛에 거치되는 별도의 보조 받침대를 통해 동영상 시청을 위한 기기의 거치 및 소형 책자의 거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받침부재의 상하 이동을 통해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게 책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독서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독서대의 전체적인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독서대의 각도조절유닛의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독서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독서대의 보조받침대의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독서대의 전체적인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독서대의 각도조절유닛의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독서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독서대의 보조받침대의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독서대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독서대의 전체적인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독서대(100)는 책을 안착하여 거치하기 위한 거치유닛(110); 거치유닛(110) 후면에 배치되어 거치유닛(110)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하고, 일측에 예정된 형상의 제1 치합부가 형성되는 지지유닛(140); 및 거치유닛(110) 후면에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제1 치합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제1 치합부(143)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2 치합부(152)가 형성되고 제1 치합부(143)와 제2 치합부(152)의 치합 및 분리를 통해 거치유닛(110)과 지지유닛(140)의 사잇각을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유닛(150)을 포함한다.
우선, 거치유닛(110)은 책(미도시)을 올려놓을 때 책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일정크기의 책을 수용할 수 있는 판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거치유닛(110)은 책의 하부를 받쳐주기 위하여 거치유닛(110)의 전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받침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재(120)는 거치유닛(110)의 하단부에서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거나 또는 접철 가능하게 회동될 수 있다.
그리고 거치유닛(110)은 측단부에서 인출되게 구성되는 보조 패널(130)을 더 포함함으로써 그 넓이가 확장될 수 있게 하여 다양한 크기의 책을 수용할 수 있다.
계속해서 지지유닛(140)은 거치유닛(110)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하면이 바닥과 접촉되는 제1 지지부재(141)와 제1 지지부재(141)의 상면에 일단이 결합되고 후술할 각도조절유닛(150)에 타단이 결합되는 제2 지지부재(142)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재(141)는 바닥면과 접촉되는 하면에 미끄럼 방지부재(미도시)를 포함하여 거치유닛(110)이 움직일 시에도 한자리에 고정되어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2 지지부재(142)는 양단이 제1 지지부재(141)와 각도조절유닛(150)에 각각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거치유닛(110)의 기울기가 조절될 때 거치유닛(110)과의 사잇각이 조정되어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이때, 제2 지지부재(142)만으로도 거치유닛(110)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제1 지지부재(141)와 제2 지지부재(142)는 거치유닛(110)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그리고 각도조절유닛(150)은 거치유닛(110)의 후면에 부착되어 거치유닛(110)과 지지유닛(140)의 사잇각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당김부재(151)의 간단한 당김 조작을 통해 거치유닛(110)의 회동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독서대의 각도조절유닛(150)의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3을 참조하여 각도조절유닛(15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각도조절유닛(150)은 거치유닛(110)의 경사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지유닛(140)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1 치합부(143)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2 치합부(152)가 일단에 형성되어 거치유닛(110)의 후면에 배치된다.
각도조절유닛(150)은 제1 치합부(143)와 치합되었을 때에는 거치유닛(110)과 지지유닛(140)의 사잇각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제1 치합부(143)와 분리되었을 때는 거치유닛(110)과 지지유닛(140)의 사잇각이 변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거치유닛(110)과 지지유닛(140)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당김부재(151)가 타단에 구비될 수 있다. 즉, 각도조절유닛(150)은 당김부재(151)를 당기는 동작을 통하여 제1 치합부(143)와 제2 치합부(152)가 분리될 수 있게 한다.
당김부재(151)를 당겨서 제1 치합부(143)와 제2 치합부(152)가 분리되었을 때 거치유닛(110)의 하부를 들어올리는 동작을 통하여 적정 각도를 설정한 후 당김부재(151)를 놓게 되면 당김부재(151)의 위치가 복원되어 제1 치합부(143)와 제2 치합부(152)가 다시 맞물리게 되면서 거치유닛(110)과 지지유닛(140)의 사잇각이 고정된다.
이때 당김부재(151)를 놓았을 때 제1 치합부(143)와 제2 치합부(152)의 위치를 자동으로 복원시키기 위한 복원부재(16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복원부재(160)는 스프링과 같이 탄성을 가지는 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치합부(143)와 제2 치합부(152)는 서로 치합되어 있을 때 치합 위치가 변동되지 않도록 복수개의 기어가 맞물리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 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형상의 제1 치합부(143)의 모양에 대응하는 제2 치합부(152)는 제1 치합부(143)가 다양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복수의 홈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치합부(143)가 복수의 홈형태로 구성되고 제2 치합부가(152) 제1 치합부(143)의 홈에 대응하는 복수의 돌기 형태로 구성되는 등 상호 치합 형태는 변동 가능하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독서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독서대(200)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독서대(100)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독서대(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유닛(210)의 양 단부에 형성되는 가이드유닛(240)을 따라서 받침부재(220)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에서는 가이드유닛(240)이 거치유닛(210)의 양 단부에 홈형태의 레일부(241)가 형성되고 레일부(241)에 대응하는 돌출부(242)가 받침부재(220)의 양 단부에 형성되어 레일부(241)를 따라 돌출부(242)가 이동되는 구성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받침부재(220)가 거치유닛(21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결합형태는 무엇이든 채용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기능성 독서대(200)는 기본규격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책을 거치할 때 사용자의 눈높이 위치로 책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기본규격의 책일 경우에도 아랫부분의 내용을 읽을 때 고개를 숙이지 않고 책을 눈높이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효율적이 독서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거치유닛(210)의 상측단부에서 인출되게 구성되어 상기 거치유닛(210)의 높이를 확장시키기 위한 보조패널(230)을 더 포함하여 책의 상향 이동 시에도 지지점이 불안정하게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독서대의 보조 받침대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독서대의 보조받침대의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보조받침대(300)는 동영상을 시청하기 위한 휴대 기기를 거치하거나 단어장과 같은 작은 책을 거치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고정패널(310), 고정패널(310)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드 패널(320), 및 고정패널(310)과 슬라이드 패널(320)의 후면 각각에 배치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다리부재(33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보조받침대(300)는 다리부재(330)의 회동 기능을 통하여 고정패널(310)과 슬라이드 패널(320)이 별도의 거치대로서 기능할 수 있게 하거나(a), 거치유닛(110, 210)의 상단에서 탈부착될 수 있게 한다(b).
보조받침대(300)의 다리부재(3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갈고리 형태로 구성되어 거치유닛(110, 210)의 상단에 걸려질 수 있게 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거치유닛(110, 210)의 상단을 포함한 단부에 위치되도록 집게형태 등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은 자명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독서대(100, 200)는 거치유닛(110, 220)의 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는 보조패널(130, 230)을 구비하여 다양한 크기의 책을 거치할 수 있고, 당김부재(151)의 당김 동작을 통하여 거치유닛(110, 220)의 용이한 각도조절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거치유닛(110, 220)에 거치되는 별도의 보조받침대(300)를 통해 동영상 시청을 위한 기기의 거치 및 소형 책의 거치가 가능한 특징이 있으며, 받침부재(120, 220)의 상하 이동을 통해 책이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게 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고안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200: 기능성 독서대
110, 210: 거치유닛
120, 220: 받침부재
130, 230: 보조패널
140: 지지유닛
141: 제1 지지부재
142: 제2 지지부재
143: 제1 치합부
150: 각도조절유닛
151: 당김부재
152: 제2 치합부
160: 복원부재
240: 레일부
241: 가이드유닛
242: 돌출부
300: 보조받침대
310: 고정패널
320: 슬라이드패널
330: 다리부재
110, 210: 거치유닛
120, 220: 받침부재
130, 230: 보조패널
140: 지지유닛
141: 제1 지지부재
142: 제2 지지부재
143: 제1 치합부
150: 각도조절유닛
151: 당김부재
152: 제2 치합부
160: 복원부재
240: 레일부
241: 가이드유닛
242: 돌출부
300: 보조받침대
310: 고정패널
320: 슬라이드패널
330: 다리부재
Claims (6)
- 책을 안착하여 거치하기 위한 거치유닛;
상기 거치유닛 후면에 배치되어 상기 거치유닛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하고, 일측에 특정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제1 치합부가 구비되는 지지유닛; 및
상기 거치유닛 후면에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치합부가 다양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치합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제1 치합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제2 치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치합부와 상기 제2 치합부의 치합 및 분리를 통해 상기 거치유닛과 상기 지지유닛의 사잇각을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각도조절유닛은
일단부에 구비되어 당김 동작을 통해 상기 제1 치합부와 상기 제2 치합부의 맞물림을 분리하기 위한 당김부재; 및
상기 제2 치합부와 상기 당김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치합부와 상기 제2 치합부를 치합위치로 복원시켜 다시 서로 맞물리게 하기 위한 복원부재를 더 포함하는
기능성 독서대.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유닛은
하단부에서 전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받침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거치유닛의 하단부에서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거나 또는 접철 가능하게 회동되거나 또는 상기 거치유닛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가이드유닛를 따라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기능성 독서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유닛의 측단부에서 인출되게 구성되어 상기 거치유닛의 넓이를 확장시키기 위한 보조패널을 더 포함하는
기능성 독서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유닛의 상단에 탈부착 되게 구성되어 보조학습도구를 거치하기 위한 보조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기능성 독서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4329U KR200487109Y1 (ko) | 2016-07-27 | 2016-07-27 | 기능성 독서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4329U KR200487109Y1 (ko) | 2016-07-27 | 2016-07-27 | 기능성 독서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0365U KR20180000365U (ko) | 2018-02-06 |
KR200487109Y1 true KR200487109Y1 (ko) | 2018-08-06 |
Family
ID=61282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60004329U KR200487109Y1 (ko) | 2016-07-27 | 2016-07-27 | 기능성 독서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7109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09695A (ko) | 2018-03-18 | 2019-09-26 | 유승재 | 오뚝이 독서대 |
KR102205756B1 (ko) * | 2019-07-24 | 2021-01-21 | 황지선 | 넓이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
KR102443147B1 (ko) * | 2020-11-12 | 2022-09-14 | 김태민 | 책 페이지 누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독서대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1954Y1 (ko) * | 2005-08-25 | 2005-11-23 | 이숙희 | 학생용 책상 독서대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79425B1 (ko) | 2004-03-11 | 2006-05-12 | 정종천 | 독서대 |
KR20090095167A (ko) * | 2008-03-05 | 2009-09-09 | 이흥재 | 다용도 휴대용 독서대 |
KR20110018079A (ko) | 2009-08-17 | 2011-02-23 | 정대희 | 수납 기능을 갖는 독서대 |
KR20110011762U (ko) * | 2010-06-15 | 2011-12-21 | 주식회사 큐엘티 | 독서대 |
KR20110011763U (ko) * | 2010-06-15 | 2011-12-21 | 주식회사 큐엘티 | 소형 거치대 |
KR20120061364A (ko) * | 2010-12-03 | 2012-06-13 | 조희훈 | 보조학습대를 구비한 독서대 |
-
2016
- 2016-07-27 KR KR2020160004329U patent/KR200487109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1954Y1 (ko) * | 2005-08-25 | 2005-11-23 | 이숙희 | 학생용 책상 독서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0365U (ko) | 2018-02-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79333Y1 (ko) | 학습용 멀티 거치대 | |
CN107531327B (zh) | 针对飞机座位的便携式设备的保持装置 | |
KR200487109Y1 (ko) | 기능성 독서대 | |
US20060219849A1 (en) | Height-adjustable support for a display device | |
US6715827B1 (en) | Backrest adjusting mechanism used in high chair for infants, toddlers, and small children | |
JP6534004B2 (ja) | タブレットコンピュータ支持物 | |
US20120139316A1 (en) | Seat Structure | |
CN214839841U (zh) | 一种笔记本电脑支架 | |
US20070029458A1 (en) | Display moveable in two dimensions | |
KR101725394B1 (ko) | 높이조절형 칸막이와 모니터 및 수납도구의 거치 기능을 갖는 레일바가 장착된 스마트오피스 데스크 | |
US4167288A (en) | TV Chair with double pillow case and two-step ottoman | |
KR101829367B1 (ko) |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 |
KR100963145B1 (ko) | 노트북 거치대 겸용 독서대 | |
KR101539201B1 (ko) | 고정장치가 구비된 이젤 | |
CN106308041B (zh) | 折叠组件 | |
JP4035774B2 (ja) | 液晶テレビ用スタンドおよび液晶表示装置用スタンド | |
KR101558412B1 (ko) | 의자 틸팅장치 | |
KR101592118B1 (ko) | 디스플레이 거치대 | |
KR200220683Y1 (ko) | 탈착 가능한 독서대 | |
KR200467059Y1 (ko) | 휴대기기 거치대 | |
JP4279643B2 (ja) | 椅子のヘッドレスト装置 | |
KR101388616B1 (ko) | 독서물 거치장치 | |
US12036164B2 (en) | Electric bed with lumbar support assembly | |
JP2015204893A (ja) | ベッド用サイドテーブル | |
KR100785407B1 (ko) | 독서대 스탠드와 이에 마련되는 독서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