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0993B1 - 누운 자세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누운 자세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0993B1
KR101670993B1 KR1020150109875A KR20150109875A KR101670993B1 KR 101670993 B1 KR101670993 B1 KR 101670993B1 KR 1020150109875 A KR1020150109875 A KR 1020150109875A KR 20150109875 A KR20150109875 A KR 20150109875A KR 101670993 B1 KR101670993 B1 KR 101670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portable terminal
height
headrest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9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정
Original Assignee
김상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정 filed Critical 김상정
Priority to KR1020150109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09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0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0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4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운 자세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판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 머리가 받침되도록 형성되고, 하부면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조절부(110)가 일체로 좌우대칭형성되며, 조절부(110) 사이 중앙으로 아암결합부(120)가 형성된 머리받침부(100)와; "┏┓" 형상으로 한 쌍이 형성되어 상기 머리받침부(100)를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서로 중첩되어 좌우로 벌어지거나 좁아지게 폭이 변화되도록 힌지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머리받침부(100) 하부에 형성된 조절부(110)에 상부가 대응되어 사용자 취향에 따라 머리받침부(100)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좌우로 확장축소되게 형성된 조절다리(200)와; 다수의 관절로 형성되어 하단이 상기 아암결합부(120)에 축결합되어 사용자 시선에 맞게 조절이 가능하도록 좌우선회가능하게 형성되고, 상단에 휴대 단말기가 거치되도록 거치대(H)가 결합되는 거치아암(300);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누운 자세에서 한 손으로는 휴대 단말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 휴대 단말기를 조작할 필요가 없고, 양손을 사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양손 사용없이도 휴대 단말기의 시청이 가능하여 휴대 단말기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하며, 누워있는 사용자의 머리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누운 자세에서 머리를 좌우로 돌렸을 때 좌우 각도에 따라 변화되는 시선의 위치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각도조정이 가능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하여 누운 자세에서 사용자가 보다 자유롭게 휴대 단말기 사용이 가능한 누운 자세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누운 자세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Mobile phone holder for the supine position}
본 발명은 누운 자세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누운 자세에서 한 손으로는 휴대 단말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 휴대 단말기를 조작할 필요가 없고, 양손을 사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양손 사용없이도 휴대 단말기의 시청이 가능하여 휴대 단말기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하며, 누워있는 사용자의 머리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고, 사용자 머리의 좌우 각도에 따라 변화되는 시선의 위치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각도조정이 가능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하여 누운 자세에서 사용자가 보다 자유롭게 휴대 단말기 사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누운 자세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로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폰, 태블릿, 노트북, MP3 플레이어, PDA, PMP 등 다양한 형태의 휴대 단말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휴대 단말기는 통상 차량 내부 또는 가정에서 안정적인 보관 및 고정을 위해 전용 거치대에 장착된다.
하지만 이러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의 안정적 보관이나 고정하도록 거치하는 것으로, 테이블이나 차량의 데쉬보드 등에 거치하여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시청하거나 조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휴대 단말기 거치대는 사용자가 앉은 상태의 자세에서 휴대 단말기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보관이나 고정하는 형태가 일반적이다.
하지만, 최근 휴대 단말기의 사용 빈도가 크게 늘어나고 일상생활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실정을 감안한다면 이러한 단순히 고정하는 종래의 휴대 단말기 거치대로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방법에 제약이 많은 것이 실정이다. 예를 들어 주부는 주방에서 다양한 요리나 일을 서있는 상태에서 많이 하게 된다. 이 때 주부는 서서 작업하는 특성과 주방에서 물이나 화기를 주로 사용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주부의 눈높이 맞는 별도의 거치대가 필요로 하다. 즉, 요리를 할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를 통해 요리 방법을 시청하면서 사용이 가능하여야 하고, 설겆이 등과 같은 작업을 할 경우에 자신이 좋아하는 티브이나 음악을 감상할 수 있는 위치에 거치해야 한다. 가령 싱크대에 기존 거치대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를 거치할 경우에는 서서 일하는 주부의 눈높이와는 차이가 있어 시청이 불편하고, 조작도 불편한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물을 사용하는 주방의 특성상 물로 인한 휴대 단말기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장소나 하는 작업에 따른 적절한 거치대가 필요한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사용자가 요구하는 거치대는 현재 상당한 종류가 개시되고 있고, 이와 관련된 시장 또한 엄청난 경제성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최근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향 중에 한 가지로 휴식을 취하면서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례가 점차 늘어나고 있고, 휴식을 취하는 자세로는 사용자가 누워서 휴대 단말기의 사용을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거치대의 요구가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종래의 휴대 단말기 거치대로 플랙시블한 자바라 형태의 휴대폰 지지대를 구성하고, 지지대 상측에는 휴대폰 거치대가 결합되어 있고, 지지대 하측에는 대상물에 결합될 수 있는 진공흡착판 또는 집게와 같은 고정장치가 결합된 형태로 개시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휴대폰 거치대는 거치대를 고정할 수 있는 별도의 구성이 있어야 하고, 거치대가 고정되는 별도의 구성이 지지할 수 있는 능력이 없으면 사실상 거치대의 고정이 불가능하다.
한편,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대상에 일체로 고정된 형태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0-0122741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는 침대에 고정된 형태로 수평 및 수직 관절이 선회가능하게 결합된 형태의 거치대이다. 이와 같은 거치대는 전후 및 좌우로 위치변경이 가능하고, 변경된 위치에서 휴대 단말기의 선회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침대에 고정된 거치대의 경우도 독립적으로 사용이 불가능하고, 사용자가 누워서 휴식을 취했을 때, 누운 자세에 적합하게 사용이 가능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더욱이, 사용자가 누워서 고개를 좌우로 돌렸을 때 위치에 대하여 적용이 힘들고, 정자세로 누운 자세에서 위치 변화에 대하여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사용자 입장에서의 사용상 불편함이 많은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0-0122741호, 출원일자 2010. 12. 03.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사용자가 누운 자세에서 한 손으로는 휴대 단말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 휴대 단말기를 조작할 필요가 없고, 양손을 사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양손 사용없이도 휴대 단말기의 시청이 가능하여 휴대 단말기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하며, 누워있는 사용자의 머리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누운 자세에서 머리를 좌우로 돌렸을 때 좌우 각도에 따라 변화되는 시선의 위치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각도조정이 가능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하여 누운 자세에서 사용자가 보다 자유롭게 휴대 단말기 사용이 가능한 누운 자세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누운 자세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 머리가 받침되도록 형성되고, 하부면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조절부(110)가 일체로 좌우대칭형성되며, 조절부(110) 사이 중앙으로 아암결합부(120)가 형성된 머리받침부(100)와; "┏┓" 형상으로 한 쌍이 형성되어 상기 머리받침부(100)를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서로 중첩되어 좌우로 벌어지거나 좁아지게 폭이 변화되도록 힌지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머리받침부(100) 하부에 형성된 조절부(110)에 상부가 대응되어 사용자 취향에 따라 머리받침부(100)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좌우로 확장축소되게 형성된 조절다리(200)와; 다수의 관절로 형성되어 하단이 상기 아암결합부(120)에 축결합되어 사용자 시선에 맞게 조절이 가능하도록 좌우선회가능하게 형성되고, 상단에 휴대 단말기가 거치되도록 거치대(H)가 결합되는 거치아암(30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조절부(110)는 상기 조절다리(200) 상부가 끼움결합되어 상기 조절다리(200)의 확장 및 축소폭을 결정하여 높이를 조절하도록 좌우대칭 형성된 높이조절홈(112)과; 상기 높이조절홈(112) 직하로 감싸 형성되어 상기 조절다리(200)가 상기 머리받침부(1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조절다리(200) 상부가 상기 높이조절홈(112)으로 안내가 용이하도록 형성된 가이드커버(114);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아암결합부(120)는 상기 거치아암이 좌우측으로 선회시 선회된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선회고정수단(122)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머리받침부 하부에 높이조절수단이 형성되고, 머리받침부 상부면에 사용자 머리의 정수리측과 나란한 측면 중앙으로 선회가능한 거치아암이 결합되며, 거치아암 상단에 휴대 단말기 홀더가 결합된 것으로, 사용자가 누운 자세에서 한 손으로는 휴대 단말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 휴대 단말기를 조작할 필요가 없고, 양손을 사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양손 사용없이도 휴대 단말기의 시청이 가능하여 휴대 단말기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하며, 누워있는 사용자의 머리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누운 자세에서 머리를 좌우로 돌렸을 때 좌우 각도에 따라 변화되는 시선의 위치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각도조정이 가능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하여 누운 자세에서 사용자가 보다 자유롭게 휴대 단말기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누운 자세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누운 자세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머리받침부 요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누운 자세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누운 자세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높이조절 작동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누운 자세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거치아암 작동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누운 자세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누운 자세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누운 자세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머리받침부 요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누운 자세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누운 자세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높이조절 작동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누운 자세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거치아암 작동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누운 자세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는 사용자가 누운 자세에서 한 손으로는 휴대 단말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 휴대 단말기를 조작할 필요가 없고, 양손을 사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양손 사용없이도 휴대 단말기의 시청이 가능하여 휴대 단말기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하며, 누워있는 사용자의 머리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누운 자세에서 머리를 좌우로 돌렸을 때 좌우 각도에 따라 변화되는 시선의 위치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각도조정이 가능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하여 누운 자세에서 사용자가 보다 자유롭게 휴대 단말기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받침부(100), 조절다리(200), 거치아암(300)으로 구성된다.
상기 머리받침부(100)는 사용자가 누운 자세에서 머리를 받치도록 형성된 것으로,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 머리가 받침되도록 형성되고, 하부면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조절부(110)가 일체로 좌우대칭형성되며, 조절부(110) 사이 중앙으로 아암결합부(12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머리받침부(100) 상부면에는 사용자 취향에 따라 별도의 쿠션이나 베개를 놓아 머리를 받치도록 하여도 좋고, 상부면에 별도의 쿠션이나 베개를 결합한 상태로 하여도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사각형으로 예시하였으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이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편평한 받침형상으로 예시하였으나 사용자 두상에 대응되도록 굴곡진 형태로 형성하여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기 머리받침부(100)의 하부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절부(100)가 형성된다. 조절부(100)는 사용자가 누웠을 때 자신의 머리높이를 가장 최적으로 위치하기 위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홈(112), 가이드커버(114)로 구성된다.
상기 높이조절홈(112)은 머리받침부(100) 하부면에 좌우대칭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후술되는 조절다리의 폭을 좌우에 형성된 높이조절홈(112)간의 폭에 맞추어 끼움결합함으로써, 상기 머리받침부(100)의 높이가 결정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조절다리(200) 상부가 끼움결합되어 상기 조절다리(200)의 확장 및 축소폭을 결정하여 높이를 조절하도록 좌우대칭 형성된다. 즉, 좌우측에 대칭형성된 상기 높이조절홈(112)의 좌우폭에 다라 후술되는 조절다리의 폭이 결정되고, 조절다리의 폭이 확대될수록 전체 높이는 낮아지고, 축소될수록 전체 높이는 높아지기 때문에 상기 머리받침부(100)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커버(114)는 상기 높이조절홈(112) 직하로 감싸 형성되어 상기 조절다리(200)가 상기 머리받침부(1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조절다리(200) 상부가 상기 높이조절홈(112)으로 안내가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커버(114)는 상기 높이조절홈(112)으로부터 조절다리가 이탈되더라도 조절다리가 지나치게 확장되어 머리받침부(100)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급격히 하강하는 머리받침부로 인해 사용자 머리가 다치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높이조절홈(112)으로 보다 용이하게 조절다리 상부가 안내되어 끼움결합됨으로써, 용이한 높이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아암결합부(1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거치아암이 좌우로 선회가능하게 축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거치아암이 좌우측으로 선회시 선회된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선회고정수단(12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선회고정수단(122)은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축공의 직경을 축소하는 형태나 스톱볼트로 고정하는 형태 등을 선택하여 적용이 가능하고, 이외 다른 고정방법도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조절다리(20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 형상으로 한 쌍이 형성되어 상기 머리받침부(100)를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서로 중첩되어 좌우로 벌어지거나 좁아지게 폭이 변화되도록 힌지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머리받침부(100) 하부에 형성된 조절부(110)에 상부가 대응되어 사용자 취향에 따라 머리받침부(100)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좌우로 확장축소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조절다리(200)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좌우대칭 형성된 높이조절홈(112)의 좌우 폭에 다라 상기 조절다리(200)의 폭을 결정하고, 이에 따라 머리받침부(100)의 높이가 결정된다.
상기 거치아암(300)은 휴대 단말기를 고정하여 사용자 시선에 맞게 위치시키는 것으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관절로 형성되어 하단이 상기 아암결합부(120)에 축결합되어 사용자 시선에 맞게 조절이 가능하도록 좌우선회가능하게 형성되고, 상단에 휴대 단말기가 거치되도록 거치대(H)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거치아암(300)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로 공급되는 전원선의 고정을 위한 고정홀더가 더 형성되어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누운 자세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는 우선 사용자가 누운 자세에서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받침부(100)의 높이가 자신의 머리높이에 맞게 조절하기 위해 우선 조절다리(200)를 가이드커버(114) 상에서 좌우로 벌리거나 오므린다. 이후, 자신의 머리에 맞는 높이의 폭에 대응되는 높이조절홈(112)에 조절다리(200)의 상부를 대응하여 끼움결합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머리받침부(100) 상부면에 쿠션이나 베개 등과 같은 별도 침구를 올려놓고 머리를 받치거나 머리받침부(100) 상부면에 그대로 머리는 받친다. 이후, 사용자는 거치아암(300)의 다관절을 조절하여 자신의 시선에 맞게 거치대에 고정된 휴대 단말기를 위치시킨다. 이후,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를 시청하다 머리의 위치를 좌우측 중 어느 한 측으로 바꿀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거치아암(300)을 좌우측 중 자신의 시선이 머물곳으로 밀어 거치아암(300)을 선회시킨다. 이후, 사용자 시선이 머무는 위치에 휴대 단말기가 위치되면 거치아암(300)의 하단이 결합된 아암결합부(120)의 선회고정수단(122)을 잠금하여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누운 자세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는 사용자가 누운자세에서 휴대 단말기 사용이 자유롭고, 두 손을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함은 물론, 사용자 시선과 편의에 따른 조절이 가능하여 장시간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여도 사용자에게 무리한 사용감을 주지않고 사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이들이 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0 : 머리받침부 110 : 조절부
112 : 높이조절홈 114 : 가이드커버
120 : 아암결합부 122 : 선회고정수단
200 : 조절다리 300 : 거치아암
H : 거치대

Claims (3)

  1. 판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 머리가 받침되도록 형성되고, 하부면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조절부(110)가 일체로 좌우대칭형성되며, 조절부(110) 사이 중앙으로 아암결합부(120)가 형성된 머리받침부(100)와; "┏┓" 형상으로 한 쌍이 형성되어 상기 머리받침부(100)를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서로 중첩되어 좌우로 벌어지거나 좁아지게 폭이 변화되도록 힌지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머리받침부(100) 하부에 형성된 조절부(110)에 상부가 대응되어 사용자 취향에 따라 머리받침부(100)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좌우로 확장축소되게 형성된 조절다리(200)와; 다수의 관절로 형성되어 하단이 상기 아암결합부(120)에 축결합되어 사용자 시선에 맞게 조절이 가능하도록 좌우선회가능하게 형성되고, 상단에 휴대 단말기가 거치되도록 거치대(H)가 결합되는 거치아암(300);으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조절부(110)는 상기 조절다리(200) 상부가 끼움결합되어 상기 조절다리(200)의 확장 및 축소폭을 결정하여 높이를 조절하도록 좌우대칭 형성된 높이조절홈(112)과; 상기 높이조절홈(112) 직하로 감싸 형성되어 상기 조절다리(200)가 상기 머리받침부(1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조절다리(200) 상부가 상기 높이조절홈(112)으로 안내가 용이하도록 형성된 가이드커버(114);로 형성되고, 상기 아암결합부(120)는 상기 거치아암이 좌우측으로 선회시 선회된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선회고정수단(122)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운 자세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2. 삭제
  3. 삭제
KR1020150109875A 2015-08-04 2015-08-04 누운 자세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KR101670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875A KR101670993B1 (ko) 2015-08-04 2015-08-04 누운 자세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875A KR101670993B1 (ko) 2015-08-04 2015-08-04 누운 자세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0993B1 true KR101670993B1 (ko) 2016-11-01

Family

ID=57484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875A KR101670993B1 (ko) 2015-08-04 2015-08-04 누운 자세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099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2869B1 (ko) * 2019-07-11 2020-06-15 김영민 친환경 온열 매트리스 침대
KR200492219Y1 (ko) 2020-06-12 2020-08-31 이기영 휴대 단말기용 머리 거치대
KR102374019B1 (ko) * 2021-03-22 2022-03-14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웰슬립을 위한 모바일 미디어 스마트 거치장치
KR20230056335A (ko) 2021-10-20 2023-04-27 이태현 휴대폰 공중 거치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0789A (ja) * 1989-07-28 1991-03-15 Osaka Gas Co Ltd アスベストの溶融処理法
JPH1071024A (ja) * 1996-08-30 1998-03-17 Matsuda Mokko:Kk 携帯用テーブル及び携帯用椅子
KR20100122741A (ko) 2009-05-13 2010-11-23 황용신 기능수기
KR20120106262A (ko) * 2011-03-18 2012-09-26 신윤항 휴대용 디스플레이어 거치대
KR20120008411U (ko) * 2011-05-30 2012-12-10 조윤희 침대용 휴대용단말기 거치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0789A (ja) * 1989-07-28 1991-03-15 Osaka Gas Co Ltd アスベストの溶融処理法
JPH1071024A (ja) * 1996-08-30 1998-03-17 Matsuda Mokko:Kk 携帯用テーブル及び携帯用椅子
KR20100122741A (ko) 2009-05-13 2010-11-23 황용신 기능수기
KR20120106262A (ko) * 2011-03-18 2012-09-26 신윤항 휴대용 디스플레이어 거치대
KR20120008411U (ko) * 2011-05-30 2012-12-10 조윤희 침대용 휴대용단말기 거치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2869B1 (ko) * 2019-07-11 2020-06-15 김영민 친환경 온열 매트리스 침대
KR200492219Y1 (ko) 2020-06-12 2020-08-31 이기영 휴대 단말기용 머리 거치대
KR102374019B1 (ko) * 2021-03-22 2022-03-14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웰슬립을 위한 모바일 미디어 스마트 거치장치
KR20230056335A (ko) 2021-10-20 2023-04-27 이태현 휴대폰 공중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0993B1 (ko) 누운 자세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CN105768742B (zh) 可调头枕、可调理疗床头枕、可调椅背头枕及可调桌面头枕
US20190125604A1 (en) Dental treatment machine with a retractable backrest for children
WO2006135931A1 (en) Furniture
CN109431073A (zh) 一种平面桌
EP2953510A1 (en) Pillow adjusting device and method of use
KR101435160B1 (ko) 다기능 간이침대
US10028601B2 (en) Computer pillow stand
US8936305B1 (en) Foldable chair with pivotable headrest
KR101353076B1 (ko) 침대 프레임에 연결된 테이블
CN204164612U (zh) 一种平板电脑角度调节装置
WO2011016707A2 (es) Silla estacion de trabajo para computadora por accion mecanica
KR20170107257A (ko) 기능성 베개
KR102470702B1 (ko) 스마트폰 거치장치
KR20170099526A (ko) 눕거나 앉은 자세로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
WO2015123354A1 (en) Wearable belt mount for an electronic device
KR20150034107A (ko) 디스플레이 거치대
KR101955251B1 (ko) 독서대 겸용 얼굴베개
KR200320684Y1 (ko)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독서대
KR101577689B1 (ko) 다기능 양변기
KR101449665B1 (ko) 책상용 자세 교정장치
WO2020208385A1 (en) Headrest for sunbed
CN220320807U (zh) 一种笔记本电脑旋转支架
CN206894726U (zh) 一种可移动式手机支架
CN110313770B (zh) 一种午休趴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31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