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2741A - 기능수기 - Google Patents

기능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2741A
KR20100122741A KR1020090041796A KR20090041796A KR20100122741A KR 20100122741 A KR20100122741 A KR 20100122741A KR 1020090041796 A KR1020090041796 A KR 1020090041796A KR 20090041796 A KR20090041796 A KR 20090041796A KR 20100122741 A KR20100122741 A KR 20100122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unctional
filter
passing
filtr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1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용신
Original Assignee
황용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용신 filed Critical 황용신
Priority to KR1020090041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2741A/ko
Publication of KR20100122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27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7/043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flow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입된 물을 정수할 뿐만 아니라 물의 사용용도에 따라 적절한 기능을 갖는 다양한 기능수를 만들 수 있는 기능수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능수기는 공급되는 물을 여과하는 여과부와, 상기 여과부를 통과한 후 분기된 물이 각각 통과하도록 다수 개의 기능성부재가 장착된 기능처리부와, 상기 다수 개의 기능성부재를 각각 통과한 물들 중에 어느 한 물을 선택적으로 배출시키는 밸브들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Figure P1020090041796
기능수기, 여과부, 기능처리부, 밸브, 옥정수, 심해자연수

Description

기능수기{Valuable Water Apparatus}
본 발명은 유입된 물을 정수할 뿐만 아니라 물의 사용용도에 따라 적절한 기능을 갖는 다양한 기능수를 만들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건강에 관심이 많아지면서 인체에 약70%를 차지하는 물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최근에는 상수도관을 통해 공급되는 수돗물을 정수하는 정수기가 각 가정 또는 업체에 많이 보급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정수기는 수돗물에 포함된 유익한 성분까지 모두 여과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음용자의 건강에 따라 다양한 기능수를 선택하여 마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살균의 효과를 갖고 있어 탕약재 세척용의 물을 공급할 수 있게 구성한 기능수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능수기는 공급되는 물을 여과하는 여과부와, 상기 여과부를 통과한 후 분기된 물이 각각 통과하도록 다수 개의 기능성부재가 장착된 기능처리부와, 상기 다수 개의 기능성부재를 각각 통과한 물들 중에 어느 한 물을 선택적으로 배출시키는 밸브들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능성부재는, 정수필터, 옥정수필터, 심해자연수필터 및 은이온발생기 중 2개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여과부는, 전처리필터를 포함한 1차여과부와, 전처리필터와 침전필터 및 멤브레인필터를 포함한 2차여과부로 구분되며, 상기 1차여과부를 통과한 물은 상기 2차여과부를 통과한 후에 분기되어 상기 기능처리부로 유입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여과부에는 오존발생기가 장착되며, 분기된 물의 일부는 오존발생기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멤브레인필터에는 배출관이 연장되며, 상기 멤브레인필터에서 걸러진 이물질이 상기 배출관을 통해 배출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능수기에는 저장탱크가 설치되며, 상기 멤브레인필터에서 배출된 물 중에 일부는 상기 기능처리부로 유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저장탱크에 저장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여과부로 공급되는 물은 집수조에 저장된 물이거나 또는 상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존발생기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물은 분사기를 통해 분사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존발생기의 케이스는 투명창이 형성되어 내장된 오존램프가 발광하는 지의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처리부를 통과한 물은 유량계를 통과하고, 유량계에서는 통과하는 물의 양을 측정한 후 설정된 유량의 물의 통과하면 밸브를 폐쇄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능수기는 오존함량이 높은 세척수를 만들어 제공함으로써 탕약재 등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수기는 정수뿐만 아니라, 옥정수, 심해자연수 및 은이온수 등과 같은 건강에 유익한 물을 선택적으로 생산함으로써, 음용자의 건강에 따라 유익한 물을 선택하여 음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수기는 단수와 같은 비상 시에는 외부 집수조에도 물을 공급받아 정수하거나 다기능수로 만들어 공급함으로써, 비상 시에도 물을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수기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기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기능수기의 좌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기능수기의 우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기능수기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수기의 물 흐름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수기(100)의 캐비넷(101)은 정면에 도어(102)가 장착되고 캐비넷(101)의 상면에는 입력부(160)와 표시부(170)가 설치되어 입력부(160)를 통해 제어신호를 입력하고, 표시부(170)를 통해 작동상태가 표시된다.
그리고 도 5a 및 도 5b에 보이듯이, 상기 캐비넷(101)의 내부에는 1차여과부(110), 오존발생기(120), 2차여과부(130), 기능처리부(140) 및 후처리부(150)가 장착되며, 본 발명에 따른 기능수기(100)는 탕제를 위한 탕제수와, 음용자가 바로 마시는 기능수들과, 오존을 함유하여 탕약재 등을 세척하는 세척수를 생산한다.
여기에서, 세척수는 오존발생기(120)를 거쳐 배출되고, 탕제수는 2차여과부(130)를 거친 후에 배출되며, 기능수는 기능처리부(140) 및 후처리부(150)를 거친 다음 배출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기능수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캐비넷(101)의 배면에는 호스가 연결되는 제1, 제2커플러(181a, 181b)가 장착되고, 제1커플러(181a)에 연결된 호스를 통해 수돗물이 기능수기(100)로 유입되고, 제2커플러(181b)에 연결된 호스는 집수조(105)에 연결되어 집수조(105)에 저장된 물이 호스를 통해 기능수기(100)로 유입된다.
여기에서 상기 집수조(105)에 저장된 물은 수돗물의 공급이 차단되는 단수 시에 공급된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보이듯이, 캐비넷(101)의 좌측으로 세척수를 배출하는 제1배수관(188a)과 저장탱크(107)로 연장된 제2배수관(188b)이 연장되고, 캐비넷(101)의 우측으로 다기능수를 배출하는 제3배수관(188c)이 연장되며, 제1배수관(188a)의 단부와 제3배수관(188c)의 단부에는 호스가 연결된 분사기(189a, 189c)가 장착되어 각각 세척수 및 다기능수를 분사한다.
아래에서는 제1, 제2커플러(181a, 181b)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흘러가는 순서에 따라 각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제2커플러(181a, 181b)에서 각각 연장된 배관은 하나의 배관으로 합쳐지는데, 제1커플러(181a)에서 연장된 배관에는 제2커플러(181b)에서 연장된 배관과 합쳐지기 이전에 제1밸브(183a)가 각각 장착되고, 제2커플러(181b)에서 연장된 배관에도 제2밸브(183b)가 장착된다. 상기 제1밸브(183a) 및 제2밸브(183b)는 상호 연동하는 밸브로서, 어느 한 쪽의 밸브가 개방되면 다른 쪽 밸브가 폐쇄된다. 따라서 기능수기(100)에는 수돗물 및 집수조에 저장된 물 중에서 어느 하나의 물이 유입된다. 즉 수돗물이 공급될 때에는 제1밸브(183a)가 개방되고 제2밸브(183b)가 폐쇄되며, 단수 시에는 제1밸브(183a)가 폐쇄되고 제2밸브(183b)가 개방된다.
한편, 제1커플러(181a)에 연결되거나 또는 제2커플러(181b)에 연결된 배관을 통해 유입된 물은 원수송수펌프(111)와 1차여과부(110)인 1차전처리필터(115)를 통과한 후에 오존발생기(120) 및 2차여과부(130)로 분기되어 유동한다.
오존발생기(120)로 유입된 물은 오존램프(121)가 침지된 탱크에 잠시 정체되었다가 제1배수관(188a)을 통해 배수된다. 제1배수관(188a)에는 제1솔레노이드밸브(185a)가 장착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배수관(188a)을 통해 배출된 물은 탕제수로서, 오존의 함량이 높아 살균성이 뛰어나다. 따라서 탕약재 등과 같은 물질을 세척하는데 사용하며, 세척이 용이하도록 제1배수관(188a)에는 분사기(189a)가 장착된다.
한편, 1차여과부(110)에서 배출된 일부의 물은 2차여과부(130)로 진입하는데, 상기 2차여과부(130)는 2차전처리필터(131), 침전필터(133), 멤브레인필터(135)를 포함하며, 2차여과부(130)로 진입한 물은 2차전처리필터(131), 침전필터(133), 멤브레인필터(135)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에 기능처리부(140)로 유입된다.
한편, 침전필터(133)와 멤브레인필터(135)의 사이에는 펌프(137)가 장착되어 수압을 상승시키며, 멤브레인필터(135)에는 여과물 배출관(188d)이 연결되어 멤브레인필터(135)에 여과된 찌꺼기 등을 외부로 배출한다. 여과물 배출관(188d)에는 퇴수밸브(187)가 장착되어 퇴수밸브(187)를 개방함으로써 여과된 찌꺼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2차여과부(130)를 통과한 물은 3방향밸브(186)의 일측으로 유입되고, 유입된 물은 3방향밸브(186)를 통해 저장탱크(107)로 유입되거나 기능처리부(140)로 유입된다. 따라서 3방향밸브(186)에서 저장탱크(107)로 물이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배수관(188b)이 3방향밸브(186)에 연결된다.
그리고 3방향밸브(186)에서 기능처리부(140)로 연장된 배관은 다수 개의 배관으로 분기되어 기능처리부(140)인 정수필터(141), 옥정수필터(143), 심해자연수필터(145) 및 은이온발생기(147)로 연장된다. 그리고 각 필터 즉 정수필터(141), 옥정수필터(143), 심해자연수필터(145) 및 은이온발생기(147)에서 배출된 물은 각 필터(141, 143, 145) 및 은이온발생기(147)의 후방에 장착된 후처리필터(151)를 각각 통과한 후에 제3배수관(188c)으로 모인다. 한편, 후처리필터(151)의 후방에는 제2솔레노이드밸브(185b)들이 각각 장착되어 선택적으로 어느 한 솔레노이드밸브를 개방함으로써, 기능처리부(140)의 필터 중 어느 한 필터를 통과한 기능수를 생산할 수 있다.
한편, 제3배수관(188c)에는 유량계(190)가 설치되어 제3배수관(188c)을 통해 지나간 유량을 측정한다. 즉, 기능처리부(140)의 각 필터(141, 143, 145) 및 은이 온발생기(147)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해 생산된 기능수의 양을 측정한다. 그리고 유량계(190)에 설정된 양만큼의 기능수가 생산되면 유량계(190)에서는 전기적신호를 발생하고, 각 필터(141, 143, 145) 및 은이온발생기(147)의 후방에 설치된 제2솔레노이드밸브(185b)들 중에서 개방된 제2솔레노이드밸브를 폐쇄한다.
유량계(190)는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유량을 설정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유량계(190)에 설정 유량을 입력할 수 있도록 입력부(160)에 키패드(168)가 설치될 수 있다. 키패드(168)가 설치될 경우에 사용자가 회전손잡이(161)를 이용하여 정수, 옥정수, 심해수, 은이온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유량을 설정하면 유량계(190)에 의해 설정된 유량만큼 생산된 기능수를 배출한다. 기능수가 설정된 유량만큼 배출된 후에 유량계(190)에서는 전기적신호를 발생하여 개방된 제2솔레노이드밸브(185b)를 폐쇄한다.
그리고 도 5a 및 도 5b에 있어서, 원수송수펌프(111) 및 1차전처리필터(115)가 정비 및 교체될 경우에도 물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원수송수펌프(111)의 전방에서 1차전처리필터(115)의 후방으로 우회관(113)이 연결되며 우회관(113)에는 제3밸브(183c)가 장착된다.
또한, 오존발생기(120)의 전방과 기능처리부(140)의 각 필터(141, 143, 145) 및 은이온발생기(147)의 전방에는 제4밸브(183d) 및 체크밸브(184)들이 각각 장착된다.
본 발명에서는 오존발생기(120)의 케이스에 투명창이 형성되어 내장된 오존램프(121)가 발광하는 지의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보이듯이, 캐비넷(101)의 상면에 장착된 입력부(160)는 5개의 솔레노이드밸브, 즉 제1솔레노이드밸브(185a)와 4개의 제2솔레노이드밸브(185b)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회전손잡이(161), 기능수기(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스위치(163), 오존발생기(1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오존스위치(165)를 포함한다. 그리고 표시부(170)는 제2밸브(183b)의 후방에 장착된 압력게이지(172)와 제2배수관(188b)에 장착된 압력게이지(172)에서 측정된 압력을 표시하는 2개의 압력표시부(170)와, 은이온발생기(147)에 인가되는 전압을 표시하는 은이온수 전압표시창(173)과, 오존발생기(120)를 작동시키는 오존스위치(165)의 온/오프 모드 및 기능수기(100)의 작동상태를 알리는 램프(175) 등이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수기는 오존발생기를 통과한 세척수, 2차여과부(130)를 통과한 탕제수, 음용자가 바로 마시는 기능수인 정수와 옥정수와 심해자연수 및 은이온수가 생산된다.
은이온발생기(147)를 통과한 은이온수를 성분 분석한 결과 Ag함량이 0.1mg/kg이고, 정수필터(141)를 통과한 정수를 성분 분석한 결과 Ca함량이 36.1mg/kg이며, 조개껍질을 포함한 심해자연수필터(145)를 통과한 물에 포함된 Ca함량이 156.9mg/kg이다. 또한 물은 일정한 크기로 가공된 연옥을 포함한 옥정수필터(143)를 통과하면서 음이온을 포함한 약알칼리수인 옥정수가 된다.
한편, 캐비넷(101)의 저면에는 방향캐스터(109)가 장착되어 기능수기(10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기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기능수기의 좌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기능수기의 우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기능수기의 평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수기의 물 흐름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기능수기 101 : 캐비넷
102 : 도어 105 : 집수조
107 : 저장탱크 110 : 1차여과부
111 : 원수송수펌프 113 : 우회관
115 : 1차전처리필터 120 : 오존발생기
121 : 오존램프 130 : 2차여과부
131 : 2차전처리필터 133 : 침전필터
135 : 멤브레인필터 137 : 펌프
140 : 기능처리부 141 : 정수필터
143 : 옥정수필터 145 : 심해옥정수필터
147 : 은이온발생기 150 : 후처리부
151 : 후처리필터 160 : 입력부
161 : 회전손잡이 163 : 메인스위치
165 : 오존스위치 168 : 키패드
170 : 표시부 171 : 압력표시부
172 : 압력게이지 173 : 은이온수 전압표시창
175 : 램프 181a, 181b : 커플러
183a ~ 183d : 밸브 184 : 체크밸브
185a, 185b : 솔레노이드밸브 186 : 3방밸브
187 : 퇴수밸브 188a, 188b, 188c : 배수관
188d : 배출관 189a, 189c : 분사기
190 : 유량계센서

Claims (10)

  1. 공급되는 물을 여과하는 여과부(110, 130)와,
    여과부를 통과한 후 분기된 물이 각각 통과하면서 기능성을 갖도록 하는 다수 개의 기능성부재(141, 143, 145, 147)가 장착된 기능처리부(140)와,
    다수 개의 기능성부재를 각각 통과한 물들 중에 어느 한 물을 선택적으로 배출시키는 밸브(185b)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기능성부재는
    정수필터(141), 옥정수필터(143), 심해자연수필터(145) 및 은이온발생기(147) 중 2개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수기.
  3. 제1항에 있어서,
    여과부는,
    전처리필터(115)를 포함한 1차여과부(110)와,
    전처리필터(131)와 침전필터(133) 및 멤브레인필터(135)를 포함한 2차여과부(130)로 구분되며,
    1차여과부를 통과한 물은 2차여과부를 통과한 후에 분기되어 기능처리부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수기.
  4. 제1항에 있어서,
    여과부에는 오존발생기(120)가 장착되며, 분기된 물의 일부는 오존발생기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수기.
  5. 제3항에 있어서,
    멤브레인필터에는 배출관(188d)이 연장되며, 멤브레인필터에서 걸러진 이물질이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수기.
  6. 제3항에 있어서,
    기능수기에는 저장탱크(107)가 설치되며, 멤브레인필터에서 배출된 물 중에 일부는 기능처리부(140)로 유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저장탱크(107)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수기.
  7. 제1항에 있어서,
    여과부로 공급되는 물은 집수조(105)에 저장된 물이거나 또는 상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수기.
  8. 제4항에 있어서,
    오존발생기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물은 분사기(189a)를 통해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수기.
  9. 제4항에 있어서,
    오존발생기(120)의 케이스에는 투명창이 형성되어 내장된 오존램프(121)가 발광하는 지의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수기.
  10. 제1항에 있어서,
    기능처리부(140)를 통과한 물은 유량계(190)를 통과하고, 유량계에서는 통과하는 물의 양을 측정한 후 설정된 유량의 물의 통과하면 밸브(185b)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수기.
KR1020090041796A 2009-05-13 2009-05-13 기능수기 KR201001227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796A KR20100122741A (ko) 2009-05-13 2009-05-13 기능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796A KR20100122741A (ko) 2009-05-13 2009-05-13 기능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2741A true KR20100122741A (ko) 2010-11-23

Family

ID=43407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1796A KR20100122741A (ko) 2009-05-13 2009-05-13 기능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2274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993B1 (ko) 2015-08-04 2016-11-01 김상정 누운 자세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KR20190141875A (ko) * 2018-06-15 2019-12-26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직수식 정수기
WO2020013591A1 (ko) * 2018-07-11 2020-01-16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직수식 정수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993B1 (ko) 2015-08-04 2016-11-01 김상정 누운 자세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KR20190141875A (ko) * 2018-06-15 2019-12-26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직수식 정수기
US11802062B2 (en) 2018-06-15 2023-10-31 Woongjin Coway Co., Ltd. Direct water purifier
WO2020013591A1 (ko) * 2018-07-11 2020-01-16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직수식 정수기
KR20200006704A (ko) * 2018-07-11 2020-01-21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직수식 정수기
CN112424112A (zh) * 2018-07-11 2021-02-26 熊津科唯怡株式会社 直接式净水器
US20210268440A1 (en) * 2018-07-11 2021-09-02 Woongjin Coway Co., Ltd. Direct water purifi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85826A (ko) 수처리장치
CN108689516A (zh) 净水装置及净水机
JP2006289334A (ja) 廃棄水及び浄水を利用可能な逆浸透膜純水装置
CN205773828U (zh) 一种新型的农村净水机
KR20100122741A (ko) 기능수기
CN104843904A (zh) 净水设备、过滤系统及其水过滤方法
CN201914982U (zh) 无废水直饮水机
CN206680282U (zh) 可在线清洗的多级纯水净化系统
CN203602419U (zh) 一种净水装置
CN102531214A (zh) 兼有健康水和净化水功能的无废水反渗透水处理装置
CN104829024A (zh) 净水设备的过滤系统和具有其的净水设备
CN205803209U (zh) 超滤矿泉水生产设备
CN206680224U (zh) 双线路反渗透净化系统
KR20130127680A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CN201777949U (zh) 一种多功能净水机
CN206580657U (zh) 过滤水系统
KR101521937B1 (ko) 정수기용 위생키트
CN101665295A (zh) 一种水处理设备、水处理系统及其水处理方法
CN206705745U (zh) 原水反渗透净化系统
KR200292228Y1 (ko) 폐수 정화용 밸브수단을 구비한 역삼투압방식의 냉온정수기
KR20130006234A (ko) 정수기용 위생키트
CN208008563U (zh) 一种台式免安装反渗透净水系统
KR200277037Y1 (ko) 역삼투압 방식의 냉온정수기
CN206244531U (zh) 一种水路集成净水器
CN109336275A (zh) 一种稳定输水的反渗透家用净水装置以及家用纯水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