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7932B1 - 이동 단말기 케이스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7932B1
KR101317932B1 KR1020130080397A KR20130080397A KR101317932B1 KR 101317932 B1 KR101317932 B1 KR 101317932B1 KR 1020130080397 A KR1020130080397 A KR 1020130080397A KR 20130080397 A KR20130080397 A KR 20130080397A KR 101317932 B1 KR101317932 B1 KR 101317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cover
main body
sealing
terminal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0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유진
Original Assignee
최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유진 filed Critical 최유진
Priority to KR1020130080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79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7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7932B1/ko
Priority to PCT/KR2014/001666 priority patent/WO201500556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Abstract

이동 단말기 케이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의 후면 및 측면을 커버하는 본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면 및 상기 본체의 측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덮개; 상기 본체의 측면의 둘레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실링홈; 및 상기 덮개의 측면의 둘레를 따라 상기 실링홈과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상기 실링홈에 끼움결합되는 실링돌기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케이스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케이스{MOBILE TERMINAL CASE}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통신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휴대폰을 비롯하여 태블릿 PC와 같이 크기가 작고 간편하면서 다양한 기능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무선의 특성을 가지므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수분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즉, 휴대용 단말기는 습기 또는 물에 접촉 되는 경우 오염 또는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수영장, 사우나실 등에서는 휴대용 단말기를 휴대하기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휴대용 단말기의 방수를 위하여 비닐로 포장하는 등의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방수 상태에서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틈새가 발생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로 물이 침투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82758호(2010.07.19 공개, 휴대 단말기용 외장 케이스)
본 발명의 목적은 실링돌기가 실링홈에 삽입되는 구조의 이동 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의 후면 및 측면을 커버하는 본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면 및 상기 본체의 측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덮개; 상기 본체의 측면의 둘레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실링홈; 및 상기 덮개의 측면의 둘레를 따라 상기 실링홈과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상기 실링홈에 끼움결합되는 실링돌기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케이스가 제공된다.
상기 실링돌기는 상기 덮개의 측면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실링홈은 상기 실링돌기에 대응하도록 상기 본체의 측면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돌기는 상기 실링홈에 억지끼움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링돌기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덮개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커버; 및 상기 본체의 측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전면커버에 결합되고, 상기 실링돌기가 형성되는 측면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커버와 상기 측면커버는 초음파용접 방식에 의하여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측면커버는 연성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측면커버는 폴리 비닐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커버에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기 위하여 형성되는 단자홀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상기 측면커버로부터 연장되는 단자커버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에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 위치에 대응하여 투명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투명부재는 이중 사출 방식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단이 상기 본체의 후면에 결합되고 타단의 위치 변화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를 지지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는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이루고, 외압이 가해지는 경우 내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이룸으로써 상기 타단의 위치가 변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후면에는 상기 받침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가 용이하게 방수될 수 있으므로, 수분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케이스의 본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케이스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케이스를 나타낸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케이스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케이스의 받침대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케이스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케이스의 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케이스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케이스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케이스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케이스의 받침대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케이스(100)는, 본체(110), 덮개(120), 실링홈(130) 및 실링돌기(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는 내부에 이동 단말기를 수용하는 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공간에 수용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과 측면을 커버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는 휴대폰, 태블릿 PC 등이 될 수 있다.
본체(110)는 이동 단말기의 후면을 커버하는 본체 후면(111)과 상기 본체 후면(11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이동 단말기의 측면을 커버하는 본체 측면(112)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는 강성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강성부재의 본체(110)는 이동 단말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체 후면(111)에는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 위치에 대응하여 투명부재(113)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투명부재(113)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에 이동 단말기 케이스(100)가 결합된 경우,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 이용이 이동 단말기 케이스(100)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투명부재(113)는 이중 사출 방식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중 사출 방식은 서로 다른 소재를 이용하여 한번의 사이클을 통해 제품을 제작하는 방식이다. 즉, 본체 후면(111)을 이루는 소재와 투명부재(113)를 이루는 또 다른 소재가 이중 사출 방식으로 일체화될 수 있다.
이중 사출 방식으로 형성되는 투명부재(113)에 의하면, 투명부재(113)와 본체 후면(111)과의 경계부분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이동 단말기의 방수가 우수해질 수 있다.
본체 후면(111)에는 스피커커버(114)가 결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후면(111)에는 이동 단말기의 스피커와 대응하여 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에 스피커커버(114)가 결합된다. 이 경우, 스피커커버(114)는 링(ring)부(114a)와 캡(cap)부(114b)를 포함할 수 있다.
링부(114a)는 소리를 모아주기 위한 부품으로, 폴리 카보네이트(PC)를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캡부(114b)는 본체 후면(111)에 이동 단말기의 스피커와 대응하여 형성되는 홀을 덮어주는 뚜껑 역할을 한다. 캡부(114b)는 폴리 우레탄(poly urethane, PU)를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링부(114a)는 캡부(114b) 안에 삽입되며, 링부(114a)가 삽입된 캡부(114b)는 본체 후면(111)에 이동 단말기의 스피커와 대응하여 형성되는 홀에 삽입된다.
이러한 스피커커버(114)에 의하면, 스피커의 소리가 모아져 사용 상의 편리함이 증대되는 동시에 습기나 오염물질의 스피커의 침투가 방지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덮개(120)는 이동 단말기의 전면과 본체(110)의 측면을 커버하도록 본체(110)에 결합하는 부분이다. 덮개(120)는 전면커버(121)와 측면커버(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커버(121)는 이동 단말기의 전면을 커버하는 부분이다. 전면커버(121)는 이동 단말기의 화면이 사용자에게 보이도록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전면커버(121)는 폴리 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PC)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측면커버(122)는 이동 단말기의 측면과 본체 측면(112)을 커버하는 부분으로, 본체 측면(112)과 맞닿게 된다. 측면커버(122)는 연성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 비닐(poly vinyl, PC)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폴리 비닐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되는 측면커버(122)는 내마모성이 향상될 수 있다.
연성부재로 이루어진 측면커버(122)에 의하면, 측면커버(122)의 형상이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으므로 덮개(120)를 본체(110)에 결합시키기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측면커버(122)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측면커버(122)에 의하면, 덮개(120)와 이동 단말기 사이의 실링(sealing) 효과가 커질 수 있다.
덮개(120)의 전면커버(121)와 측면커버(122)는 초음파용접 방식에 의하여 접합될 수 있다. 즉, 전면커버(121)와 측면커버(122)에 초음파를 가하고 초음파의 진동을 이용하여 전면커버(121)와 측면커버(122)를 접합시킨다. 이와 같은 초음파용접 방식에 의하면, 전면커버(121)와 측면커버(122) 간의 결합력이 커짐으로써 이동 단말기의 방수가 우수해질 수 있다.
측면커버(122)에는 단자커버(123), 버튼커버(124)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단자커버(123)는 이동 단말기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기 위하여 형성되는 단자홀을 개폐시키는 부분이다. 여기서 외부 기기는, 충전기, 이어폰 등이 될 수 있다. 단자홀은 이동 단말기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단자홀은 소정의 높이만큼 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단자커버(123)는 단자홀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단자커버(123)에 의하면, 수분이 단자홀로 침투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단자커버(123)는 측면커버(122)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면커버(122)로부터 연장되는 단자커버(123)에 의하면, 단자커버(123)를 이용하여 단자홀을 용이하게 반복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다.
버튼커버(124)는, 이동 단말기에 명령을 입력하는 버튼을 커버하는 부분으로 이동 단말기의 버튼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촉감만으로도 버튼 위치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단자커버(123)와 버튼커버(124)는 이동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측면커버(122)에는 오목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오목부(125)는 사용자의 손가락 위치와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 그립(grip)감을 편안하게 만들 수 있다.
실링홈(130)은 본체 측면(112)에 그 둘레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이다. 실링홈(130)은 본체 측면(112) 외부에 형성되며,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실링홈(130)은 본체 측면(112)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링홈(130)은 본체 후면(111)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실링홈(130)이 본체 후면(111)으로부터 지나치게 높게 위치하는 경우에는, 실링홈(130)과 실링돌기(140) 하측으로 덮개(120)와 본체(110) 간에 분리되는 부분이 넓게 발생하므로 상기 부분 내에 수분이나 이물질 등이 포집될 수 있다.
따라서, 실링홈(130)은 본체 후면(111)으로부터 비교적 낮은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덮개(120)와 본체(110)가 분리되는 부분을 최소화 시키는 것이 이동 단말기의 보호에 유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실링홈(130)은 본체 측면(112)의 최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실링돌기(140)는 덮개(120)의 측면에 실링홈(130)과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실링홈(130)에 끼움결합되는 부분이다.
실링돌기(140)는 덮개(120)의 측면에 그 둘레를 따라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링돌기(140)는 덮개(120)의 측면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덮개(120)가 전면커버(121)와 측면커버(122)를 포함하는 경우, 실링돌기(140)는 측면커버(122)에 형성될 수 있다.
실링돌기(140)는 가압됨으로써 실링홈(130)에 삽입될 수 있다. 실링홈(130)과 실링돌기(140)에 의하면, 덮개(120)와 본체(110) 간의 결합력이 우수해지며, 이동 단말기의 방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실링돌기(140)는 실링홈(130)에 억지끼움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실링돌기(140)의 직경은 실링홈(130)의 직경보다 거의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실링돌기(140)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실링돌기(140)에 의하면, 실링돌기(140)가 실링홈(130)에 용이하게 삽입되고, 삽입된 상태에서 실링돌기(140)가 실링홈(130)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링돌기(140)와 실링홈(130)에 의한 이동 단말기 케이스(100)는 실링돌기(140)와 실링홈(130) 간의 결합력이 우수해짐으로써, 이동 단말기가 이동 단말기 케이스(100)에 의하여 밀봉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의 방수 효과가 현저해질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케이스(100)는 받침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150)는 본체 후면(111)에 결합될 수 있다. 받침부(150)는 일단이 본체(110)에 결합되고, 타단의 위치가 변함으로써 이동 단말기를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받침부(150)는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이루며, 외압이 가해지는 경우, 내측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변경됨으로써 타단의 위치가 변화할 수 있다. 도 5에는 받침부(150)가 내측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변경되어 받침부(150)의 타단이 외측으로 이동된 상태가 나타나있다. 받침부(150)의 타단은 이동 단말기를 거치하고자 하는 곳, 예를 들어 바닥면에 안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는 바닥면 등에 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받침부(150)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가 다양한 위치,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편리함이 제공된다.
한편, 본체 후면(111)에는 안착홈(151)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151)은 받침부(150)를 수용하는 홈이다. 받침부(150)가 안착홈(151)에 수용됨으로써, 받침부(150)가 본체 후면(111)에 대해 돌출되지 않게된다. 따라서 본체 후면(111)이 바닥 등에 안착되었을 때, 평행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케이스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와 이동 단말기 케이스 간의 실링이 완전히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이동 단말기의 방수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다. 또한, 실링돌기와 실링홈의 결합은 단순한 구조를 이루므로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이동 단말기 케이스
110: 본체
111: 본체 후면
112: 본체 측면
113: 투명부재
114: 스피커커버
114a: 링부
114b: 캡부
120: 덮개
121: 전면커버
122: 측면커버
123: 단자커버
124: 버튼커버
125: 오목부
130: 실링홈
140: 실링돌기
150: 받침부
151: 안착홈

Claims (14)

  1. 이동 단말기의 후면 및 측면을 커버하는 본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면 및 상기 본체의 측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덮개;
    상기 본체의 측면의 둘레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실링홈;
    상기 덮개의 측면의 둘레를 따라 상기 실링홈과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상기 실링홈에 끼움결합되는 실링돌기; 및
    일단이 상기 본체의 후면에 결합되고 타단의 위치 변화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를 지지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돌기는 상기 덮개의 측면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실링홈은 상기 실링돌기에 대응하도록 상기 본체의 측면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돌기는 상기 실링홈에 억지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돌기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케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커버; 및
    상기 본체의 측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전면커버에 결합되고, 상기 실링돌기가 형성되는 측면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케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와 상기 측면커버는 초음파용접 방식에 의하여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케이스.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커버는 연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케이스.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커버는 폴리 비닐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케이스.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커버에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기 위하여 형성되는 단자홀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상기 측면커버로부터 연장되는 단자커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케이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 위치에 대응하여 투명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케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부재는 이중 사출 방식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케이스.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이루고, 외압이 가해지는 경우 내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이룸으로써 상기 타단의 위치가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케이스.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후면에는 상기 받침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케이스.
KR1020130080397A 2013-07-09 2013-07-09 이동 단말기 케이스 KR101317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0397A KR101317932B1 (ko) 2013-07-09 2013-07-09 이동 단말기 케이스
PCT/KR2014/001666 WO2015005560A1 (ko) 2013-07-09 2014-02-28 이동 단말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0397A KR101317932B1 (ko) 2013-07-09 2013-07-09 이동 단말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7932B1 true KR101317932B1 (ko) 2013-10-16

Family

ID=49638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0397A KR101317932B1 (ko) 2013-07-09 2013-07-09 이동 단말기 케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17932B1 (ko)
WO (1) WO201500556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0790B1 (ko) 2014-08-04 2015-10-16 권혁일 스마트폰 방수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88858B (en) * 2020-11-13 2021-12-15 Cenegex Ltd An electronic device cas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5193B1 (ko) * 2012-03-16 2012-07-11 박형주 휴대용 단말기용 방수 케이스
KR20130056037A (ko) * 2011-11-21 2013-05-29 주식회사 지우미디어 휴대용 전자기기 방수 커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072A (ja) * 1995-07-05 1997-01-21 Hitachi Denshi Ltd 筐体の防水構造
KR100969192B1 (ko) * 2009-12-08 2010-07-09 주식회사 우전앤한단 실리콘 일체형 휴대용 전자기기
KR20120005260U (ko) * 2012-06-12 2012-07-18 김선주 점착수단을 이용한 휴대용기기의 케이스 및 액세서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6037A (ko) * 2011-11-21 2013-05-29 주식회사 지우미디어 휴대용 전자기기 방수 커버
KR101165193B1 (ko) * 2012-03-16 2012-07-11 박형주 휴대용 단말기용 방수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0790B1 (ko) 2014-08-04 2015-10-16 권혁일 스마트폰 방수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05560A1 (ko) 2015-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4035B2 (en) Protective case for mobil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US9876522B2 (en) Protective case for mobile device
US8584847B2 (en) Portable device case with corner protection element
US20150257285A1 (en) Door securement mechanism for waterproof encasement
US20130146491A1 (en) Selective exposure waterproof case for electronic devices
TW201433016A (zh) 防水密封式電子產品保護裝置
US10835006B2 (en) Protective enclosure for encasing an electronic device
KR200467372Y1 (ko) 휴대폰 보호케이스
KR20110027951A (ko) 바-타입 휴대폰용 케이스
JP5894611B2 (ja) 密閉性が良好な電子製品用防水ケース
KR101317932B1 (ko) 이동 단말기 케이스
KR20130007175U (ko)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CN105530772B (zh) 保护套
KR200462730Y1 (ko) 휴대용 통신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1560790B1 (ko) 스마트폰 방수 케이스
KR101491978B1 (ko) 펜을 수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KR20140037405A (ko)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US20150104609A1 (en) Protective cover for a portable or mobile device
KR20130142307A (ko) 모바일폰 케이스
KR20110109668A (ko) 커넥터 커버가 부착된 핸드폰 케이스
CN106790877B (zh) 一种三防手机保护套
TW201441787A (zh) 電子裝置保護殼
KR101201923B1 (ko) 터치입력기능을 가지는 전자기기용 보호커버
KR20130081145A (ko) 휴대 단말기
KR20140003032U (ko)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