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2307A - 모바일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모바일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2307A
KR20130142307A KR1020120065415A KR20120065415A KR20130142307A KR 20130142307 A KR20130142307 A KR 20130142307A KR 1020120065415 A KR1020120065415 A KR 1020120065415A KR 20120065415 A KR20120065415 A KR 20120065415A KR 20130142307 A KR20130142307 A KR 20130142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case body
power button
unit
wal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5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나영
Original Assignee
홍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나영 filed Critical 홍나영
Priority to KR1020120065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42307A/ko
Publication of KR20130142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23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폰 케이스는 슬립전원버튼(95)이 배치된 모바일폰(90)이 끼움 고정되는 모바일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폰(90)이 내측에 삽입되도록 삽입홈(12)이 형성된 케이스바디(10); 상기 케이스바디(10)의 상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간편누름부(20); 상기 케이스바디(10)의 전면 측에 형성되어 상기 모바일폰(90)의 전면 일부를 가리도록 형성되어 상기 모바일폰(90)의 분리를 차단시키는 분리억제부(30);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상기 간편누름부(20)가 변형될 때, 상기 모바일폰(90)의 상측에 구비된 슬립전원버튼(95)이 눌려지도록 배치되어, 사용자가 모바일폰의 상단에 작게 형성된 슬립전원버튼(95)을 작동시킬 때, 상기 슬립전원버튼(95)이 삽입된 슬립전원버튼부(80)를 직접 누르거나 케이스바디(10) 상측으로 크게 돌출된 간편누름부(20)를 변형시켜 간접적으로 누르게 하기 때문에, 모바일폰의 조작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바일폰 케이스{Mobile phone case}
본 발명은 모바일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간편누름부를 변형시켜 모바일폰의 상측에 구비된 슬립전원버튼을 간접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모바일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또는 통화를 원하는 사람들은 다양한 통신수단을 이용하고 있다. 이 같은 통신수단으로는 유선전화기, 컴퓨터, 휴대폰 등이 있다. 최근에는, 그 휴대성 및 편리성의 장점으로 인해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동통신 시스템을 사용하는 모바일폰을 널리 이용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전면에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스마트폰의 사용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고, 스마트 폰의 특성 사 내부에 전자부품이 집적되어 외부의 충격에 취약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스마트폰의 외분에 별도의 보호 케이스를 결합시켜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스마트폰은 전면에 정압식 또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이 구비되기 때문에 기기의 작동을 위한 버튼이 전면이 아닌 측부 또는 상측으로 이동되어 배치된다.
그런데 종래의 스마트폰에 결합되는 보호 케이스는 내부에 배치된 스마트폰을 보호하기 위하여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탄성재질의 탄성으로 인해 스마트폰에 구비된 조작버튼을 즉각적으로 조작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간편누름부를 변형시켜 모바일폰의 상측에 구비된 슬립전원버튼을 간접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모바일폰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슬립전원버튼(95)이 배치된 모바일폰(90)이 끼움 고정되는 모바일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폰(90)이 내측에 삽입되도록 삽입홈(12)이 형성된 케이스바디(10); 상기 케이스바디(10)의 상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간편누름부(20); 상기 케이스바디(10)의 전면 측에 형성되어 상기 모바일폰(90)의 전면 일부를 가리도록 형성되어 상기 모바일폰(90)의 분리를 차단시키는 분리억제부(30);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상기 간편누름부(20)가 변형될 때, 상기 모바일폰(90)의 상측에 구비된 슬립전원버튼(95)이 눌려지도록 배치된 모바일폰 케이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바디(10)의 배면 측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모바일폰(90)의 카메라를 노출시키는 카메라부(40); 상기 케이스바디(10)의 측면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모바일폰(90)의 측면스위치(91)를 노출시키는 스위치부(50); 상기 케이스바디(10)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모바일폰(90)의 볼륨조절버튼(92)이 삽입되는 볼륨조절부(60); 상기 케이스바디(10)의 상측면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이어폰이 관통되는 이어폰연결부(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바디(10)는 상기 모바일폰(90)의 배면을 감싸는 배벽부(14); 상기 모바일폰(90)의 측면은 감싸는 측벽부(15); 상기 모바일폰(90)의 상면을 감싸는 상벽부(16); 상기 모바일폰(90)의 저면을 감싸는 저벽부(17); 상기 측벽부(15), 상벽부(16) 및 저벽부(17)에서 상기 모바일폰(90)의 전면으로 소정길이 돌출되어 상기 모바일폰(90)의 베젤(98)을 감싸는 베젤부(18);를 포함하고, 상기 배벽부(14)에 상기 카메라부(40)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15)에 스위치부(50) 및 볼륨조절부(60)가 형성되며, 상기 상벽부(16) 하측에 상기 슬립전원버튼(95)이 삽입되는 슬립전원버튼부(80)가 형성되고, 상기 베젤부(18)에서 연장되어 상기 분리억제부(3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폰 케이스는 모바일폰의 상단에 작게 형성된 슬립전원버튼(95)을 누를 때, 상기 슬립전원버튼(95)이 삽입된 슬립전원버튼부(80)를 직접 누르거나 케이스바디(10) 상측으로 크게 돌출된 간편누름부(20)를 변형시켜 간접적으로 누를 수 있게 구성하여 모바일폰의 조작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폰 케이스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다른 측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의 배면도
도 5는 모바일폰의 사시도
도 6은 도 1의 작동 예시도
도 7은 도 1의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편누름부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편누름부의 사시도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폰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다른 측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배면도이고, 도 5는 모바일폰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작동 예시도이고, 도 7은 도 1의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폰(90) 케이스는 모바일폰(90)이 내측에 삽입되도록 삽입홈(12)이 형성된 케이스바디(10)와, 상기 케이스바디(10)의 상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간편누름부(20)와, 상기 케이스바디(10)의 전면 측에 형성되어 상기 모바일폰(90)의 전면 일부를 가리는 분리억제부(30)와, 상기 케이스바디(10)의 배면 측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모바일폰(90)의 카메라(미도시)를 노출시키는 카메라부(40)와, 상기 케이스바디(10)의 측면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모바일폰(90)의 측면스위치(91)를 노출시키는 스위치부(50)와, 상기 케이스바디(10)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모바일폰(90)의 볼륨조절버튼(92)이 삽입되는 볼륨조절부(60)와, 상기 케이스바디(10)의 상측면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이어폰(미도시)이 관통되는 이어폰연결부(7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바디(10)는 전면이 개구되게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모바일폰(90)의 배면을 감싸는 배벽부(14), 상기 모바일폰(90)의 측면은 감싸는 측벽부(15), 상기 모바일폰(90)의 상면을 감싸는 상벽부(16), 상기 모바일폰(90)의 저면을 감싸는 저벽부(17), 상기 측벽부(15), 상벽부(16) 및 저벽부(17)에서 상기 모바일폰(90)의 전면으로 소정길이 돌출되어 상기 모바일폰(90)의 전면 일부를 감싸는 베젤부(18)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바디(10)는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간편누름부(20)는 후술하는 슬립전원버튼(95)를 누르기 위해서 딱딱한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거나, 두께감이 있는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젤부(18)는 상기 모바일폰(90)의 디스플레이표시장치(99)를 가리지 않도록 상기 모바일폰(90)의 베젤(98) 부분만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분리억제부(30)는 상기 베젤부(18)에서 상기 모바일폰(90)의 전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카메라부(40)는 상기 배벽부(14)를 관통하게 형성된다.
상기 스위치부(50)는 상기 측벽부(15)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모바일폰(90)의 스위치에 직접 조작력을 가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볼륨조절부(60)는 상기 측벽부(15)에서 돌출되게 형성되고, 사용자는 돌출된 볼륨조절부(60)를 눌러 조작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이어폰연결부(70)는 상기 상벽부(16)를 관통하게 형성되고, 상기 이어폰연결부(70)를 통해 이어폰의 플러그잭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간편누름부(20)는 동물의 귀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벽부(16)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모바일폰(90)의 슬립전원버튼(95)이 삽입되는 슬립전원버튼부(80)가 상기 상벽부(16)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간편누름부(20)는 변형 시 상기 슬립전원버튼부(80)를 가압하는 볼륨부(22)와, 상기 볼륨부(22)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변형을 용이하게 하는 슬림부(2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간편누름부(20)의 형상이 귀 모양인 바, 귀의 가장자리를 상기 볼륨부(22)로 형성시키고, 중앙부분을 두께가 얇은 슬림부(24)로 형성시켜 상기 귀 모양의 간편누름부(20)의 변형이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슬립전원버튼부(80)는 상기 볼륨부(22)의 회전반경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사용자는 상기 슬립전원버튼부(80)를 손으로 직접눌러 상기 슬립전원버튼(95)에 조작력을 가할수도 있고, 상기 간편누름부(20)를 변형시켜 상기 슬립전원버튼(95)에 조작력을 가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슬립전원버튼부(80)에 삽입된 슬립전원버튼(95)에 직접 조작력을 가할 수도 있고, 상기 간편누름부(20)가 휘어지도록 변형시켜 상기 간편누름부(20)의 변형을 통해서도 상기 슬립전원버튼(95)에 조작력을 가할 수도 있다.
그래서 사용자는 크기가 작은 슬립전원버튼부(80)를 직접 조작하는 것보다, 상기 간편누름부(20)를 구부려 변형시킴으로서 보다 간편하게 상기 슬립전원버튼(95)을 조작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간편누름부(20)의 변형되는 반대측에 상기 카메라부(40)가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부(40)의 관통된 홀에 의해 상기 간편누름부(20)의 변형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는 상기 카메라부(40)의 상측에 상기 간편누름부(20)가 배치되어 상기 간편누름부(20)의 변형을 용이하게 하나,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간편누름부(20)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도와주도록 별도의 홀(미도시)을 형성시켜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간편누름부(20)는 복수개가 배치되고, 이어폰(미도시)의 연결 시 상기 2개의 간편누름부(20) 둘레로 이어폰의 줄을 감아서 보관할 수 있고, 본 실시예와 달리 귀 모양이 아닌 팔모양 등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상기 케이스바디(10)의 가장자리에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편누름부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간편누름부(120)는 손가락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립전원버튼부(80) 측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래서 사용자가 조작력에 의해 상기 간편누름부(120)가 변형되면, 상기 간편누름부(120)의 변형을 통해 상기 슬립전원버튼부(80)가 눌려진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일 실시예와 동일한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편누름부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간편누름부(220)는 상기 일 실시예와 같이 귀 모양으로 형성되되 슬림부에 누름돌기(22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누름돌기(222)는 변형 시 상기 누름돌기(222)의 회전반경 내에 배치된 상기 슬립전원버튼부(80)가 눌려지도록 형성된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일 실시예와 동일한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다양한 조합을 통해 당업자에 의해 응용이 가능하다.
10 : 케이스바디 12 : 삽입홈
14 : 배벽부 15 : 측벽부
16 : 상벽부 17 : 저벽부
18 : 베젤부 20 : 간편누름부
30 : 분리억제부 40 : 카메라부
50 : 스위치부 60 : 볼륨조절부
70 : 이어폰연결부 80 : 슬립전원버튼부
90 : 모바일폰 91 : 측면스위치
92 : 볼륨조절버튼 95 : 슬립전원버튼
98 : 베젤 99 : 디스플레이표시장치

Claims (2)

  1. 슬립전원버튼(95)이 배치된 모바일폰(90)이 끼움 고정되는 모바일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폰(90)이 내측에 삽입되도록 삽입홈(12)이 형성된 케이스바디(10);
    상기 케이스바디(10)의 상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간편누름부(20);
    상기 케이스바디(10)의 전면 측에 형성되어 상기 모바일폰(90)의 전면 일부를 가리도록 형성되어 상기 모바일폰(90)의 분리를 차단시키는 분리억제부(30);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상기 간편누름부(20)가 변형될 때, 상기 모바일폰(90)의 상측에 구비된 슬립전원버튼(95)이 눌려지도록 배치된 모바일폰 케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바디(10)의 배면 측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모바일폰(90)의 카메라를 노출시키는 카메라부(40); 상기 케이스바디(10)의 측면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모바일폰(90)의 측면스위치(91)를 노출시키는 스위치부(50); 상기 케이스바디(10)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모바일폰(90)의 볼륨조절버튼(92)이 삽입되는 볼륨조절부(60); 상기 케이스바디(10)의 상측면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이어폰이 관통되는 이어폰연결부(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바디(10)는
    상기 모바일폰(90)의 배면을 감싸는 배벽부(14);
    상기 모바일폰(90)의 측면은 감싸는 측벽부(15);
    상기 모바일폰(90)의 상면을 감싸는 상벽부(16);
    상기 모바일폰(90)의 저면을 감싸는 저벽부(17);
    상기 측벽부(15), 상벽부(16) 및 저벽부(17)에서 상기 모바일폰(90)의 전면으로 소정길이 돌출되어 상기 모바일폰(90)의 베젤(98)을 감싸는 베젤부(18);를 포함하고,
    상기 배벽부(14)에 상기 카메라부(40)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15)에 스위치부(50) 및 볼륨조절부(60)가 형성되며,
    상기 상벽부(16) 하측에 상기 슬립전원버튼(95)이 삽입되는 슬립전원버튼부(80)가 형성되고,
    상기 베젤부(18)에서 연장되어 상기 분리억제부(30)가 형성된 모바일폰 케이스.
KR1020120065415A 2012-06-19 2012-06-19 모바일폰 케이스 KR201301423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415A KR20130142307A (ko) 2012-06-19 2012-06-19 모바일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415A KR20130142307A (ko) 2012-06-19 2012-06-19 모바일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307A true KR20130142307A (ko) 2013-12-30

Family

ID=49985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5415A KR20130142307A (ko) 2012-06-19 2012-06-19 모바일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4230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107451A1 (de) 2013-11-21 2015-05-21 Hyundai Motor Company Verfahren zum Modus-basierten Steuern eines Variable-Verteilung-Kühlsystems für ein Fahrzeug
KR200480930Y1 (ko) 2015-07-02 2016-07-25 최성혜 휴대폰 케이스
WO2024084610A1 (ja) * 2022-10-19 2024-04-25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107451A1 (de) 2013-11-21 2015-05-21 Hyundai Motor Company Verfahren zum Modus-basierten Steuern eines Variable-Verteilung-Kühlsystems für ein Fahrzeug
KR200480930Y1 (ko) 2015-07-02 2016-07-25 최성혜 휴대폰 케이스
WO2024084610A1 (ja) * 2022-10-19 2024-04-25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8204B1 (ko) 바 형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JP6454482B2 (ja) 携帯端末
EP2922149B1 (en) Audio jack, electronic equipment and electronic system
KR102044470B1 (ko) 외부 장치 삽입 구조를 갖는 전자 장치
KR20120005719U (ko) 외부 터치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KR200467372Y1 (ko) 휴대폰 보호케이스
US20130182387A1 (en) Accessory system for portable electronic computing devices
KR20130142307A (ko) 모바일폰 케이스
EP3501329A1 (en) Smart device kit and smart device protective sleeve thereof
KR20130007175U (ko)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KR101655371B1 (ko) 휴대용 전자기기를 위한 케이스
KR101491978B1 (ko) 펜을 수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KR200476664Y1 (ko)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US20120235957A1 (en) Stylus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KR20140037405A (ko)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1043045B1 (ko) 터치형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용 케이스
KR20130085852A (ko) 모바일폰 케이스
KR20120104061A (ko)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된 정전식 버튼 케이스
JP3209654U (ja) 携帯型情報端末用ケース
KR20200094111A (ko) 모바일디바이스 케이스 일체형 핑거스트랩
KR20140003032U (ko)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CN203801912U (zh) 电子设备的保护套
CN104135568A (zh) 重力传感器模拟光距离感应器的方法及手机
KR200476384Y1 (ko) 분리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20150129978A (ko) 스마트폰 및 태블릿 피씨 거치수단 및 이를 구비한 스마트폰 및 태블릿 피씨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 before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