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6315B1 - 휴대폰 단말기 이중커버 - Google Patents

휴대폰 단말기 이중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6315B1
KR101436315B1 KR1020120121883A KR20120121883A KR101436315B1 KR 101436315 B1 KR101436315 B1 KR 101436315B1 KR 1020120121883 A KR1020120121883 A KR 1020120121883A KR 20120121883 A KR20120121883 A KR 20120121883A KR 101436315 B1 KR101436315 B1 KR 101436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terminal
slit
main body
sli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1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6706A (ko
Inventor
한선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웍스
Priority to KR1020120121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6315B1/ko
Publication of KR20140056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6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6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6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4Frames
    • A45C13/06Frame clos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형 휴대폰 단말기의 뒷면을 보호하는 본체부(10)와 측면을 보호하는 측벽부(30)를 포함하고, 본체부(10) 뒷면(11)의 일 테두리와 이에 대응하는 일 측벽부(30)의 직선부에 각각 상호 관통하도록 형성한 제 1 슬릿홈(41)및 제 2슬릿홈(42)을 가지는 단말기커버; 및
상기 제 1 및 제 2슬릿홈(41,42)에 해당하는 길이로 제 1 및 제 2슬릿홈(41,42)에 수직끼움 작용을 하며 단말기커버의 측벽부(30)를 따라 접힘 기능과 끼움유지 기능을 하는 접힘부(60)와, 접힘부(60)에 일체로 결합하며 본체부(10) 뒷면(11)을 덮는 뒷면커버와(70), 접힘부(60)에 일체로 결합하며 휴대폰 단말기 전면을 덮는 전면커버(80)로 이루어진 외부커버(50)를 포함하여 단말기커버에서 외부커버를 분리 및 결합 가능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단말기 이중커버이다.

Description

휴대폰 단말기 이중커버{Double cover for hand held phone}
본 발명은 휴대폰 단말기 이중커버에 관한 것으로,
일 측벽부와 대응 본체부 뒷면에 상호 통하는 수직 슬릿홈을 형성한 단말기커버와,
양 슬릿(slit) 수직홈에 끼움 고정되어 접힘 작용을 하는 접힘부와 접힘부에 결합되어 뒷면을 덮는 뒷면커버와, 접힘부에 결합되어 단말기 전면을 덮는 전면커버를 가지는 외부커버로 결합된 이중커버 방식의 휴대폰단말기 이중커버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이 발전하면서 보턴이 하우징에 일체로 설치된 형태에서 자판이 화면에서 구현되는 소위 스마트폰 형태로 발전되고 있다. 이에 따라 휴대폰을 보호하는 커버 역시 그 형태를 따라서 변하고 있다.
일반적인 휴대폰 단말기커버는 국내특허등록 제 10-0848786호로 알려져 있는바, 이는 도 1 과 같이 단말기의 후면과 측면을 감싸는 형태의 바형 휴대용 단말기 커버로, 단말기의 후면에 접하는 본체부와 기기의 양쪽 측면을 감싸는 측벽부(30)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10)와 양쪽 측벽부(30) 사이 또는 본체부(10) 중앙에 탄성힌지부(20)가 구비되고, 상기 측벽부(30)에는 단말기의 모서리를 감싸기 위하여 곡면으로 형성되는 모서리부(31)가 길이방향 양단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탄성힌지부(20)는 본체부(10)로부터 변곡 가능토록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진 탄성힌지부가 구비된 바형 휴대용 단말기 커버(1)가 알려져 있다. 상기 본체부(10), 탄성힌지부(20) 및 측벽부(30)는 길이방향의 양측 선단부(1a)가 만곡형성된다. 그러나 점차 단말기가 고가화되는 현실에서 단순히 뒷면과 측면만 보호하는 커버에 보다 많은 기능과 디자인의 욕구를 충족시키지는 못하고 있다.
현재 휴대폰의 측면과 뒷면을 덮어 보호하는 기능 외에 전면을 덮도록 이루어진 기술로는 단말기 본체의 일 측면에 힌지수단을 통하여 연결된 덮개판 방식이 국내실용신안 등록 제 20-0460260호로 알려져 있으나, 힌지수단이 쉽게 손상되고, 디자인의 다양성을 구현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휴대폰 단말기를 수용하고 지지하는 홀더체와, 홀더체의 후면에 고정수단을 부가하여 일체로 지지되며 지갑 기능을 겸하는 지갑체가 일체로 된 커버 기술이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51310호 및 공개실용 제20-2012-0004497호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지갑 기능을 겸하는 것이어서 고가의 지갑을 더 만드는 비용이 들어서 일반인이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고, 요즘 휴대폰의 상품 사이클이 너무 빠른데 비하여 단말기커버의 성능은 너무 좋고 고가인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폰 단말기의 측면과 뒷면을 보호하는 단말기커버의 기능에 휴대폰 단말기의 전면을 보호하는 커버를 제공하며, 힌지의 기능이 이중으로 작용하여 힌지작용으로 인한 손상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 단말기 이중커버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폰 단말기의 측면과 뒷면을 보호하는 단말기커버의 측면모서리와 뒷면 모서리 부위에 각각 슬릿홈을 형성하고, 양 슬릿홈에 수직끼움 지지되는 목부 기능의 접힘부를 가지며 접힘부를 중심으로 단말기커버의 뒷면 외측면과 휴대폰 단말기의 전면을 덮는 전면커버를 가지는 별도의 외부커버로 구현하여 외부커버를 쉽게 분리 가능토록 하여 다양한 외부커버를 교체하여 다양한 커버를 쉽게 구현 가능토록 하는 휴대폰 단말기 이중커버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말기커버의 테두리에 외부커버의 뒷면커버를 수용 가능한 공간을 만드는 뒷면댐을 형성하여 뒷면커버가 쉽게 수용되도록 함과 동시에 접힘부가 쉬이 손상되는 것을 막아주는 보호 기능을 구현 가능토록 하는 휴대폰 단말기 이중커버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원발명은 바형 휴대폰 단말기의 뒷면을 보호하는 본체부와 측면을 보호하는 측면부를 포함하고, 본체부 뒷면과 대응하는 일 측벽부의 직선부에 각각 상호 관통하도록 형성한 슬릿홈을 가지는 단말기커버와;
상기 양 슬릿홈에 해당하는 길이로 슬릿홈에 수직끼움 작용을 하며 단말기커버의 일 측벽부를 따라 접힘 끼움유지 기능을 하는 접힘부와, 접힘부에 일체로 결합하며 본체부 뒷면을 덮는 뒷면커버와, 접힘부에 일체로 결합하며 휴대폰 단말기 전면을 덮는 전면커버로 이루어진 외부커버가 단말기커버에서 분리 및 결합 가능토록 구성된 휴대폰 단말기 이중커버를 제공한다.
상기 단말기커버의 본체부 뒷면 테두리에는 외부커버의 뒷면커버를 수용하는 공간을 만드는 뒷면댐을 뒷면 외측으로 돌출시키고 뒷면댐을 경계로 하는 측벽부 일측에는 제 2슬릿홈을 근접위치에 형성하고, 제 2슬릿홈에 대응하는 뒷면부위와 대응 뒷면댐의 경계부에는 제 1슬릿홈을 형성한다.
본 발명은 휴대폰 단말기의 측면과 뒷면을 보호하는 단말기커버의 기능에 휴대폰 단말기의 전면을 보호하는 커버를 제공하며, 힌지의 기능이 이중으로 작용하여 힌지작용으로 인한 손상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휴대폰 단말기의 측면과 뒷면을 보호하는 단말기커버의 측면모서리와 뒷면 모서리 부위에 각각 슬릿홈을 형성하고, 양 슬릿홈에 끼움 지지되는 목부 기능의 접힘부를 가지며 접힘부를 중심으로 단말기커버의 뒷면 외측면과 휴대폰 단말기의 전면을 덮는 전면커버를 가지는 별도의 외부커버로 구현하여, 외부커버를 쉽게 분리 가능토록 하여 다양한 외부커버를 교체하여 다양한 커버를 쉽게 구현 가능토록 한다.
본 발명은 단말기커버의 테두리에 외부커버의 뒷면커버를 수용 가능한 공간을 만드는 뒷면댐을 형성하여 뒷면커버가 쉽게 수용되도록 함과 동시에 접힘부가 쉬이 손상되는 것을 막아주는 보호 기능을 구현 가능토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단말기커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단말기커버의 뒤집은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뒤집은 단말기커버와 외부커버를 결합하기 전의 분리상태 평면도,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이하 본원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2 내지 도 5 와 같이 바형 휴대폰 단말기(2)의 뒷면을 보호하는 본체부(10)와 측면을 보호하는 측벽부(30)를 포함하고, 본체부(10) 뒷면(11)의 일 테두리와 이에 대응하는 일 측벽부(30)의 직선부에 각각 상호 관통하도록 형성한 제 1 슬릿홈(41) 및 제 2슬릿홈(42)을 가지는 단말기커버(1); 및
상기 제 1 및 제 2슬릿홈(41,42)에 해당하는 길이로 제 1 및 제 2슬릿홈(41,42)에 수직끼움 작용을 하며 단말기커버의 측벽부(30)를 따라 접힘 기능과 끼움유지 기능을 하는 접힘부(60)와, 접힘부(60)에 일체로 결합하며 본체부(10) 뒷면(11)을 덮는 뒷면커버와(70), 접힘부(60)에 일체로 결합하며 휴대폰 단말기 전면을 덮는 전면커버(80)로 이루어진 외부커버(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단말기커버(1)의 본체부(10) 뒷면(11) 테두리에는 외부커버(50)의 뒷면커버(70)를 수용하는 공간을 만드는 뒷면댐(12)을 뒷면 외측으로 돌출시키고 뒷면댐(12)을 경계로 하는 측벽부(30) 일측에는 제 2슬릿홈(42)을 근접위치에 형성하고, 제 2슬릿홈(42)에 대응하는 뒷면(11)부위와 대응 뒷면댐(12)의 경계부에는 제 1슬릿홈(41)을 형성한다. 제 1슬릿홈(41)은 도 5에서 수직공으로 도시하였으나 조립의 용이를 위하여 경사직 벽면 형태나 테이퍼진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또한, 제 2슬릿홈(42)은 도 5에서 수평으로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경사직 벽면 형태나 테이퍼진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도 5의 경우 제 1슬릿홈(41)과 제 2슬릿홈(42)이 상호 90도의 각도를 이룬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둔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접힘부(60)의 길이는 뒷면커버(70) 및 전면커버(80)의 길이보다 작도록 구성하여 결합 후 뒷면커버(70)나 전면커버(80)가 쉽게 이탈되는 것을 막아준다.
상기, 뒷면커버(70)는 연질로 이루어지고 겹침 상태로 제 2슬릿홈(42)에서 제 1슬릿홈(41)을 경유하여 끼움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원발명은 도 2 와 같이 뒤집은 단말기커버(1)를 바닥에 놓고 연질의 뒷면커버(70)를 모서리부분부터 제 2 슬릿홈(42)에 먼저 끼워 넣고, 이어 제 1 슬릿홈(41)에도 끼워 넣는다. 길이가 길어서 못 들어가는 부분은 접어서 마져 끼워 넣는다.
이렇게 뒷면커버(70)가 본체(10)의 뒷면(11)에 안치되면서 뒷면댐(12) 사이의 공간에 안치되면 도 4와 같은 상태를 이룬다.
이 상태에서 단말기커버(1)를 뒤집어 휴대폰 단말기(2)를 결합하고, 전면커버(80)를 도 5 와 같이 덮는다. 그리고 휴대폰을 사용할 때는 도 5의 전면커버(80)를 실선 상태에서 점선 상태로 열고 사용하면 된다.
이와같이 별도의 힌지 작용을 위한 힌지축을 사용하지 않고 제 1 및 제 2슬릿홈(41,42)에 수직끼움으로 결합하고 사용시에는 슬릿홈 위치가 힌지축 작용을 하여 힌지 작용을 가능토록 하므로 조립이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하며, 외부커버(50)와 단말기커버(1)와의 재질을 달리하거나 색상을 달리하여 투톤의 효과를 주고, 슬릿홈에서 수직결합 및 힌지 작용을 하므로 외부커버(50)를 단말기커버(1)와 결합이 용이하고 분리도 가능하여 외부커바를 수시로 바꿔 사용 가능토록 하고, 교체도 용이하는 등의 다양한 효과를 제공 가능토록 작용한다.
1;단말기커버 10;본체부 11;뒷면 12;뒷면댐 30;측벽부 31;모서리부 41;제 1슬릿홈 42;제 2슬릿홈 50;외부커버 60;접힘부 70;뒷면커버 80;전면커버

Claims (4)

  1. 삭제
  2. 바형 휴대폰 단말기의 뒷면을 보호하는 본체부(10)와 측면을 보호하는 측벽부(30)를 포함하고, 본체부(10)의 뒷면(11)의 일 테두리와 이에 대응하는 일 측벽부(30)의 직선부에 각각 상호 관통하도록 형성한 제 1 슬릿홈(41)및 제 2슬릿홈(42)을 가지는 단말기커버; 및
    상기 제 1 및 제 2슬릿홈(41,42)에 해당하는 길이로 제 1 및 제 2슬릿홈(41,42)에 수직끼움 작용을 하며 단말기커버의 측벽부(30)를 따라 접힘 기능과 끼움유지 기능을 하는 접힘부(60)와, 접힘부(60)에 일체로 결합하며 본체부(10) 뒷면(11)을 덮는 뒷면커버와(70), 접힘부(60)에 일체로 결합하며 휴대폰 단말기 전면을 덮는 전면커버(80)로 이루어진 외부커버(50)를 포함하여 단말기커버에서 외부커버를 분리 및 결합 가능토록 구성하고;
    상기 단말기커버의 본체부(10) 뒷면(11) 테두리에는 외부커버(50)의 뒷면커버(70)를 수용하는 공간을 만드는 뒷면댐(12)을 뒷면 외측으로 돌출시키고 뒷면댐(12)을 경계로 하는 측벽부(30) 일측에는 제 2슬릿홈(42)을 근접위치에 형성하고, 제 2슬릿홈(42)에 대응하는 뒷면(11)부위와 대응 뒷면댐(12)의 경계부에는 제 1슬릿홈(4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단말기 이중커버.
  3. 제 2항에 있어서, 접힘부(60)의 길이는 뒷면커버(70) 및 전면커버(80)의 길이보다 작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단말기 이중커버.
  4. 제 2항에 있어서, 뒷면커버(70)는 연질로 이루어지고 겹침 상태로 끼움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단말기 이중커버.
KR1020120121883A 2012-10-31 2012-10-31 휴대폰 단말기 이중커버 KR101436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883A KR101436315B1 (ko) 2012-10-31 2012-10-31 휴대폰 단말기 이중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883A KR101436315B1 (ko) 2012-10-31 2012-10-31 휴대폰 단말기 이중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6706A KR20140056706A (ko) 2014-05-12
KR101436315B1 true KR101436315B1 (ko) 2014-09-03

Family

ID=50887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1883A KR101436315B1 (ko) 2012-10-31 2012-10-31 휴대폰 단말기 이중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631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4307U (ko) * 2011-04-07 2011-05-02 마승홍 휴대폰 보호케이스
KR200456789Y1 (ko) * 2011-09-01 2011-11-21 백승욱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110011234U (ko) * 2010-05-28 2011-12-06 손정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KR200462038Y1 (ko) 2012-06-18 2012-08-22 임창수 휴대폰 보호 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1234U (ko) * 2010-05-28 2011-12-06 손정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KR20110004307U (ko) * 2011-04-07 2011-05-02 마승홍 휴대폰 보호케이스
KR200456789Y1 (ko) * 2011-09-01 2011-11-21 백승욱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0462038Y1 (ko) 2012-06-18 2012-08-22 임창수 휴대폰 보호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6706A (ko) 2014-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1310Y1 (ko)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US9847806B1 (en) Cell phone case
KR101394285B1 (ko)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의 전면 커버를 계폐하는 결합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KR101421220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KR20090001546U (ko) 분리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20110004307U (ko) 휴대폰 보호케이스
KR101369299B1 (ko) 교체가능한 커버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KR101436315B1 (ko) 휴대폰 단말기 이중커버
KR101137244B1 (ko) 휴대폰 케이스
CN209545667U (zh) 折叠屏手机保护壳
KR200468398Y1 (ko)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KR101292527B1 (ko) 바형 휴대용 단말기의 충격흡수커버
CN210405402U (zh) 防尘结构及智能手机
KR20190001260U (ko) 분리식 흡착가능한 핸드폰 케이스
KR101781080B1 (ko) 스마트폰 케이스
KR101296178B1 (ko) 휴대폰 케이스에 장착되는 커버 탈착용 클립체
KR20150000060A (ko) 휴대 단말기 케이스
KR20130004853U (ko) 휴대폰 케이스
KR200477277Y1 (ko)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200406188Y1 (ko) 무선 단말기 케이스
KR101872008B1 (ko) 휴대폰 케이스
KR200473421Y1 (ko) 미러 부착형 휴대폰 케이스
KR20170002529U (ko) 3단 분리형 휴대폰용 보호 케이스
KR20110004381U (ko) 휴대폰용 보호케이스
KR200464932Y1 (ko)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