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9299B1 - 교체가능한 커버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교체가능한 커버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9299B1
KR101369299B1 KR1020130019634A KR20130019634A KR101369299B1 KR 101369299 B1 KR101369299 B1 KR 101369299B1 KR 1020130019634 A KR1020130019634 A KR 1020130019634A KR 20130019634 A KR20130019634 A KR 20130019634A KR 101369299 B1 KR101369299 B1 KR 101369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obile phone
rear cover
front cover
connec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9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아리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아리움 filed Critical 주식회사아리움
Priority to KR1020130019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92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9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9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상된 커버를 교체하거나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커버로 교체할 수 있는 휴대폰 케이스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는 전면커버와 후면커버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플레이트와 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결 플레이트는 후면커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와, 전면커버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하여 몸체에 형성된 수용홈을 구비한다. 결합부는 연결 플레이트와 후면커버에 각각 마련된 암수 결합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일부 커버를 교체할 수 있다.

Description

교체가능한 커버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Mobile Phone Case With Exchangable Cover}
본 발명은 일부 커버를 교체할 수 있는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면커버와 후면커버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손상된 커버 또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커버를 교체하는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액정화면에서 인터넷을 구현할 수 있게 되면서 보다 큰 액정화면이 요구되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터치 스크린 방식의 액정폰이 보다 높은 관심을 끌고 있고 이와 더불어 보다 얇은 두께의 슬림폰이 등장하면서, 휴대폰은 이제 단순한 휴대용 전화가 아니라 휴대폰의 외형적 심미감이 보다 강조되어 자신을 꾸미는 하나의 고급 액세서리로서의 기능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휴대폰의 외형적인 심미감이 강조됨에 따라 휴대폰 케이스 시장에서도 기존의 휴대폰의 외부 손상이나 내부 파손을 막기 위한 투명 또는 가죽 소재로 이루어져 단순히 휴대폰을 감싸기만 하는 케이스보다는 휴대폰을 보호하는데 효과적이면서도 이용이 편리하며 외형적인 디자인까지 고려한 다양한 휴대폰 케이스가 등장하고 있다.
한편 휴대폰 케이스가 단순한 충격 보호 이외에 부가 기능을 구비하여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키기도 한다. [문헌1]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폰의 배면과 외곽 부분을 감싸는 케이스부(10)를 구비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휴대폰을 보호함과 아울러 받침대(30)를 이용하여 휴대폰을 기울어지게 비스듬한 상태로 받쳐 놓을 수 있는 휴대폰 케이스가 알려져 있다.
또한 [문헌2]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커버(10)와 후면커버(20)를 구비하고 후면커버(20)에 카드꽂이홈(25)을 형성하여 카드(26)를 보관할 수 있는 지갑형 핸드폰 케이스를 개시한 바 있다.
이러한 휴대폰 케이스는 커버가 손상되거나 파손이 발생하여 교체 요구가 있거나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외형 디자인 또는 색상을 변경하고자 하는 교체 요구가 있을 수 있는데, [문헌2]와 같이 기존의 휴대폰 케이스에서 전면커버와 후면커버가 일체로 만들어져 있어 전체를 새로운 휴대폰 케이스로 교체해야 하므로 경제적 부담을 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휴대폰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8)을 별도로 구비하므로 휴대폰 케이스를 제조시 후면커버(20)에 고정수단(8)을 결합시키기 위한 작업 공수와 제조원가의 증가를 유발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선행문헌들을 포함한 종래 기술과 연결하여 이들 및 기타 문제점을 개선하여 손상되거나 파손된 커버를 바꾸거나 사용자 취향에 맞게 커버를 쉽게 교체할 수 있는 휴대폰 케이스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문헌1] 한국등록특허 제10-1224437호(2013.01.22) [문헌2] 한국등록특허 제10-1192287호(2012.10.17)
없음
본 발명의 일측면은 휴대폰을 보호하는 전면커버와 후면커버를 분리하거나 결합할 수 있는 착탈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손상된 커버를 바꾸거나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커버로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전면커버를 접거나 펼치는 동작이 원활하도록 커버 연결부위를 연질의 소재로 만들고, 전면커버의 연결부위를 후면커버에 분리하거나 결합시키는 결합 구조를 간단하게 구현하여 교체 작업시 사용 편리성을 향상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연질의 소재로 만들어진 커버 연결부위가 노출되지 않고 후면커버 안에 위치함으로서 전면커버를 접은 상태에서 볼 때 외관상 미려한 심미감을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체가능한 커버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는, 휴대폰의 후면부와 외곽을 감싸는 후면커버; 상기 후면커버 안에 삽입된 상기 휴대폰의 전면부를 덮는 전면커버; 상기 전면커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전면커버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에 형성된 수용홈을 구비한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연결 플레이트와 상기 후면커버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연결 플레이트와 상기 후면커버를 분리 또는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면커버는 딱딱한 경질의 소재로 만들고 상기 전면커버는 가죽 또는 합성가죽을 포함한 연질의 소재로 만들며, 상기 수용홈은 상기 전면커버를 착탈 시 출입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되고 몸체 일측에서 타측까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수용 공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체의 외측에 일체로 형성된 복수개 끼움홈과, 상기 복수개 끼움홈에 억지 끼움으로 결합하도록 상기 후면커버의 내면에 형성한 복수개 끼움돌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개 끼움홈은 폐쇄된 원형 또는 일측이 개구된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체의 양단에 돌출 형성된 걸림편과, 상기 걸림편을 끼워 고정하도록 상기 후면커버에 형성한 고정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체의 외측과 상기 후면커버에 각각 부착된 밸크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면커버의 일측에 상기 연결 플레이트를 삽입하기 위하여 관통홈 또는 절개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체가능한 커버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는 전면커버와 후면커버를 이어주는 커버 연결부위가 착탈할 수 있어 손상된 커버를 바꾸거나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커버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면커버를 접거나 펼치는 동작이 원활하고, 전면커버의 연결부위를 후면커버에 분리하거나 결합시키는 결합 구조를 간단하게 구현하여 교체 작업시 사용 편리성이 뛰어나며, 연질의 소재로 만들어진 커버 연결부위가 노출되지 않고 후면커버 안에 위치함으로서 전면커버를 접은 상태에서 볼 때 외관상 미려한 심미감을 줄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다른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체가능한 커버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교체가능한 커버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교체가능한 커버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교체가능한 커버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7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체가능한 커버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가 결합된 상태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체가능한 커버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의 실사 이미지이다.
본 발명의 휴대폰 케이스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휴대폰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휴대폰 전면에 배치된 액정 화면이나 터치 스크린을 보호하기 위한 전면커버와 휴대폰 후면에 내장된 배터리와 전기회로 부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배터리 커버에 밀착되는 후면커버를 구비하며, 전면커버와 후면커버로 이루어진 단일의 휴대폰 케이스를 구성함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전면커버와 후면커버를 이어주는 커버 연결부위를 이용하여 분리 또는 결합할 수 있는 착탈 구조를 적용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특히 커버 연결부위를 적용하는 경우 전면커버의 일측과 후면커버의 일측에 연결할 수 있는 간단한 결합구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구부러질 수 있는 연질 소재로 만든 전면커버와 합성수지와 같이 딱딱한 경질 소재로 만든 후면커버를 쉽게 교체할 수 있는 주요한 장점을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체가능한 커버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서, 해당 실시예에서 착탈 구조를 구현하기 위한 여러 방식의 결합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며, 기능상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인용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휴대폰 케이스(100)는 후면커버(110), 전면커버(120), 연결 플레이트(130) 및 결합부(14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후면커버(110)는 내부에 휴대폰(20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가지며, 가장자리를 따라 수직으로 융기하고 외측 모서리가 완만하게 곡면처리되어 울타리를 형셩한다. 또한 후면커버(110)의 바닥과 측면에는 카메라, 이어폰잭, 스타일러스 펜, 충전단자부 등 휴대폰에 부여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과 크기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전면커버(120)는 후면커버(110) 안에 삽입된 휴대폰(200) 전면부를 보호하는데, 휴대폰(200) 전면부에 배치된 액정 화면 또는 터치스크린에 스크래치 발생되거나 파손이 발생되지 않도록 휴대폰(200) 전면부를 덮는다.
전면커버(120)의 측면에는 동일 소재의 얇은 끼움편(121)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연결 플레이트(13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131)와, 전면커버(120)의 끼움편(121)이 끼워지도록 몸체(131) 폭방향에 대해절반 정도 움푹하게 파여져 형성된 수용홈(132)을 포함한다. 이 수용홈(132)은 일측이 개구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일측에서 타측까지 연장된 수용공간을 가지며, 이 수용공간에 끼움편(121)이 조금 빡빡하게 끼워지게 된다.
후면커버(110)의 측면에는 연결 플레이트(130)에 대응하여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관통홈(111)이 형성된다. 관통홈(111)을 통하여 연결 플레이트(130)가 출입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 플레이트(130)는 경질 소재로 만들 수 있다.
결합부(140)는 후면커버(110)에 연결 플레이트(130)를 연결하는 착탈 구조를 적용하는데, 암수 결합으로 끼워지는 끼움홈(141)과 끼움돌기(142)로 이루어진다.
끼움홈(141)이 연결 플레이트(130)의 몸체(131)의 가장자리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는데,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여 폐쇄된 원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끼움돌기(142)가 후면커버(110)의 내측면에 단차를 가지고 파여진 일부 영역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는데, 끼움돌기(142)가 연결 플레이트(130)에 형성된 끼움홈(141)에 억지 끼움하여 결속시킬 수 있다.
끼움홈(141)에 끼움돌기(142)가 결합됨에 따라 연결 플레이트(13)의 몸체(131) 상면과 후면커버(110)의 내측면은 평탄한 바닥면을 형성하며, 이 바닥면에 휴대폰(200)의 저면부가 고르게 밀착되어 수용될 수 있다.
제1실시예의 구성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100)를 조립시, 먼저 전면커버(120)의 끼움편(121)을 연결 플레이트(130)의 수용홈(132)에 끼워 고정한다. 그런 다음 끼움편(121)이 끼워진 연결 플레이트(130)의 몸체(131)를 관통홈(111) 외부에서 내부로 삽입하고, 몸체(131)에 형성된 끼움홈(141)에 끼움돌기(142)를 정렬시키고 나서 외력을 가하여 끼움홈(141)과 끼움돌기(142)를 억지 끼움하여 결속시키게 된다. 이후 휴대폰(200)을 후면커버(110)에 삽입하고, 휴대폰(200)의 전면부위를 덮을 수 있도록 전면커버(120)를 접어서 사용한다.
전면커버(120)와 후면커버(110) 중 어느 하나를 교체하는 경우, 휴대폰(200)을 후면커버(110)에서 빼낸 후 연결 플레이트(130)의 몸체(131)를 들어 올린다. 그러면 끼움홈(141)에 박혀진 끼움 돌기(142)가 서로 떼어짐에 따라 연결 플레이트(130)의 몸체(131)는 후면커버(110)에서 분리된다. 이후 연결 플레이트(130)가 관통홈(111)을 통하여 외부로 꺼내지고 나서 전면커버(120)의 끼움편(121)을 일측 방향으로 잡아 당겨 수용홈(132)에서 빼낼 수 있다. 이후 새로운 커버를 상기와 같은 순서에 따라 재조립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제2실시예]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휴대폰 케이스(100a)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휴대폰 케이스(100)와 유사한 구성 요소를 구비하는데, 즉 후면커버(110), 전면커버(120), 연결 플레이트(130)를 포함하는 구성면에서 유사하며, 특징적으로 휴대폰 케이스(100a)는 결합부(140a)를 포함한다.
후면커버(110)와 전면커버(120)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기능상 동일하므로 간략하게 설명하고, 결합부(140a)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결합부(140a)는 후면커버(110)에 연결 플레이트(130)를 연결하는 착탈 구조를 적용하며, 암수 결합으로 끼워지는 끼움홈(141a)과 끼움돌기(142a)로 이루어진다.
전면커버(120)의 끼움편(121)이 연결 플레이트(130)의 몸체(131)에 형성된 수용홈(132)에 끼워지는 구성은 동일하다. 다만, 연결 플레이트(130)의 몸체(131) 가장자리에 끼움홈(141a)이 형성된다.
끼움홈(141a)이 연결 플레이트(130)의 몸체(131)의 가장자리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는데,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여 일측이 개구된 요홈으로 형성할 수 있다.
끼움돌기(142a)가 후면커버(110)의 내측면에 단차를 가지고 파여진 일부 영역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는데, 끼움돌기(142a)가 연결 플레이트(130)에 형성된 끼움홈(141a)에 억지 끼움하여 결속시킬 수 있다.
끼움홈(141a)에 끼움돌기(142a)가 결합됨에 따라 연결 플레이트(13)의 몸체(131) 상면과 후면커버(110)의 내측면은 평탄한 바닥면을 형성하며, 이 바닥면에 휴대폰(200)의 저면부가 고르게 밀착되어 수용될 수 있다.
제2실시예의 구성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100a)를 조립시, 먼저 전면커버(120)의 끼움편(121)을 연결 플레이트(130)의 수용홈(132)에 끼워 고정한다. 그런 다음 끼움편(121)이 끼워진 연결 플레이트(130)의 몸체(131)를 관통홈(111) 외부에서 내부로 삽입하고, 몸체(131)에 형성된 끼움홈(141a)에 끼움돌기(142a)를 정렬시키고 나서 외력을 가하여 끼움홈(141a)과 끼움돌기(142a)를 억지 끼움하여 결속시키게 된다. 이후 휴대폰(200)을 후면커버(110)에 삽입하고, 휴대폰(200)의 전면부위를 덮을 수 있도록 전면커버(120)를 접어서 사용한다.
전면커버(120)와 후면커버(110) 중 어느 하나를 교체하는 경우, 휴대폰(200)을 후면커버(110)에서 빼낸 후 연결 플레이트(130)의 몸체(131)를 들어 올린다. 그러면 끼움홈(141a)에 박혀진 끼움 돌기(142a)가 서로 떼어짐에 따라 연결 플레이트(130)의 몸체(131)는 후면커버(110)에서 분리된다. 이후 연결 플레이트(130)가 관통홈(111)을 통하여 외부로 꺼내지고 나서 전면커버(120)의 끼움편(121)을 일측 방향으로 잡아 당겨 수용홈(132)에서 빼낼 수 있다. 이후 새로운 커버를 상기와 같은 순서에 따라 재조립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제3실시예]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휴대폰 케이스(100b)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휴대폰 케이스(100)와 유사한 구성 요소를 구비하는데, 즉 후면커버(110), 전면커버(120), 연결 플레이트(130)를 포함하는 구성면에서 유사하며, 특징적으로 휴대폰 케이스(100b)는 결합부(140b)를 포함한다.
후면커버(110)와 전면커버(120)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기능상 동일하므로 간략하게 설명하고, 결합부(140b)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결합부(140b)는 후면커버(110)에 연결 플레이트(130)를 연결하는 착탈 구조를 적용하며, 암수 결합으로 부착 고정되는 제1밸크로(141a)와 제2밸크로(142a)로 이루어진다.
전면커버(120)의 끼움편(121)이 연결 플레이트(130)의 몸체(131)에 형성된 수용홈(132)에 끼워지는 구성은 동일하다. 다만, 연결 플레이트(130)의 몸체(131) 저면에 제1밸크로(141b)를 부착한다.
제2밸크로(142b)는 후면커버(110)의 내측면에 단차를 가지고 파여진 일부 영역에 마련되고, 제2밸크로(142b)가 연결 플레이트(130)의 몸체(131) 저면에 고정된 제1밸크로(141b)에 밀착되어 결속시킬 수 있다.
제3실시예의 구성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100b)를 조립시, 먼저 전면커버(120)의 끼움편(121)을 연결 플레이트(130)의 수용홈(132)에 끼워 고정한다. 그런 다음 끼움편(121)이 끼워진 연결 플레이트(130)의 몸체(131)를 관통홈(111) 외부에서 내부로 삽입하고, 몸체(131) 저면에 고정된 제1밸크로(141b)와 제2밸크로(142b)를 대면시킨 상태에서 밀착하여 결속시키게 된다. 이후 휴대폰(200)을 후면커버(110)에 삽입하고, 휴대폰(200)의 전면부위를 덮을 수 있도록 전면커버(120)를 접어서 사용한다.
전면커버(120)와 후면커버(110) 중 어느 하나를 교체하는 경우, 휴대폰(200)을 후면커버(110)에서 빼낸 후 연결 플레이트(130)의 몸체(131)를 들어 올린다. 그러면 제1밸크로(141b)와 제2밸크로(142b)가 서로 떼어짐에 따라 연결 플레이트(130)의 몸체(131)는 후면커버(110)에서 분리된다. 이후 연결 플레이트(130)가 관통홈(111)을 통하여 외부로 꺼내지고 나서 전면커버(120)의 끼움편(121)을 일측 방향으로 잡아 당겨 수용홈(132)에서 빼낼 수 있다. 이후 새로운 커버를 상기와 같은 순서에 따라 재조립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제4실시예]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휴대폰 케이스(100c)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휴대폰 케이스(100)와 유사한 구성 요소를 구비하는데, 즉 후면커버(110), 전면커버(120), 연결 플레이트(130)를 포함하는 구성면에서 유사하며, 특징적으로 휴대폰 케이스(100c)는 결합부(140c)를 포함한다.
전면커버(120)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기능상 동일하므로 간략하게 설명한다. 후면커버(110)에는 연결 플레이트(130)의 몸체(131)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부가 절개된 절개홈(112)이 형성된다.
결합부(140c)는 후면커버(110)에 연결 플레이트(130)를 연결하는 착탈 구조를 적용하며, 암수 결합으로 고정되는 고정구(141c)와 걸림편(142c)으로 이루어진다.
전면커버(120)의 끼움편(121)이 연결 플레이트(130)의 몸체(131)에 형성된 수용홈(132)에 끼워지는 구성은 동일하다. 다만, 연결 플레이트(130)의 몸체(131) 양단에 돌출되게 걸림편(142c)을 형성한다.
고정구(141c)는 후면커버(110)의 내측면에 단차를 가지고 파여진 일부 영역에 마련되고, 연결 플레이트(130)의 몸체(131) 양단에 형성된 걸림편(142c)이 고정구(141c)에 끼워져 결속시킬 수 있다.
제4실시예의 구성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100c)를 조립시, 먼저 전면커버(120)의 끼움편(121)을 연결 플레이트(130)의 수용홈(132)에 끼워 고정한다. 그런 다음 끼움편(121)이 끼워진 연결 플레이트(130)의 몸체(131)를 절개홈(112)으로 진입시키고, 몸체(131) 양단에 형성된 걸림편(142c)을 고정구(141c)에 끼워 결속시키게 된다. 이후 휴대폰(200)을 후면커버(110)에 삽입하고, 휴대폰(200)의 전면부위를 덮을 수 있도록 전면커버(120)를 접어서 사용한다.
전면커버(120)와 후면커버(110) 중 어느 하나를 교체하는 경우, 휴대폰(200)을 후면커버(110)에서 빼낸 후 걸림편(142c)을 고정구(141c)에서 분리한다. 이후 연결 플레이트(130)를 절개홈(112)을 통하여 외부로 꺼내고 나서 전면커버(120)의 끼움편(121)을 일측 방향으로 잡아 당겨 수용홈(132)에서 빼낼 수 있다. 이후 새로운 커버를 상기와 같은 순서에 따라 재조립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후면커버(110)에 전면커버(120)가 연결 플레이트(130)와 결합부(140)(140a)(140b)(140c)로 구성한 커버 연결부위를 매개로 서로 연결된다. 이때, 커버 연결부위는 후면커버(110)에 위치함에 따라 외부에서 볼 때 노출되지 않는다. 즉 도 7a 및 도 7b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전면커버(120)의 끼움편(121)만이 후면커버(110) 밖으로 노출되고 연결 플레이트(130)는 후면커버(110) 안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끼움편(121)은 유연한 연질 소재로 만들어지므로 접거나 펼치는 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려한 심미감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100a, 100b, 100c : 휴대폰 케이스
110 : 후면커버 111 : 관통홈
112 : 절개홈 120 : 전면커버
130 : 연결 플레이트 131 : 몸체
132 : 수용홈 140, 140a, 140b, 140c : 결합부
141, 141a : 끼움홈 142, 142a : 끼움돌기
141b, 142b : 밸크로 141c : 고정구
142c : 걸림편 200 : 휴대폰

Claims (7)

  1. 휴대폰의 후면부와 외곽을 감싸는 후면커버; 상기 후면커버 안에 삽입된 상기 휴대폰의 전면부를 덮는 전면커버; 상기 전면커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몸체에 형성된 수용홈을 구비한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연결 플레이트와 상기 후면커버를 분리 또는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용홈은 상기 전면커버를 착탈 시 출입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수용 공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능한 커버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커버는 딱딱한 경질의 소재로 만들고 상기 전면커버는 가죽 또는 합성가죽을 포함한 연질의 소재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능한 커버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3. 휴대폰의 후면부와 외곽을 감싸는 후면커버; 상기 후면커버 안에 삽입된 상기 휴대폰의 전면부를 덮는 전면커버; 상기 전면커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전면커버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에 형성된 수용홈을 구비한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연결 플레이트와 상기 후면커버를 분리 또는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체의 외측에 일체로 형성된 복수개 끼움홈과, 상기 복수개 끼움홈에 억지 끼움으로 결합하도록 상기 후면커버의 내면에 형성한 복수개 끼움돌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능한 커버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 끼움홈은 폐쇄된 원형 또는 일측이 개구된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능한 커버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5. 휴대폰의 후면부와 외곽을 감싸는 후면커버; 상기 후면커버 안에 삽입된 상기 휴대폰의 전면부를 덮는 전면커버; 상기 전면커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전면커버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에 형성된 수용홈을 구비한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연결 플레이트와 상기 후면커버를 분리 또는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체의 양단에 돌출 형성된 걸림편과, 상기 걸림편을 끼워 고정하도록 상기 후면커버에 형성한 고정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능한 커버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체의 외측과 상기 후면커버에 각각 부착된 밸크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능한 커버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7. 휴대폰의 후면부와 외곽을 감싸는 후면커버; 상기 후면커버 안에 삽입된 상기 휴대폰의 전면부를 덮는 전면커버; 상기 전면커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전면커버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에 형성된 수용홈을 구비한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연결 플레이트와 상기 후면커버를 분리 또는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후면커버의 일측에 상기 연결 플레이트를 삽입하기 위하여 관통홈 또는 절개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능한 커버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KR1020130019634A 2013-02-25 2013-02-25 교체가능한 커버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KR101369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634A KR101369299B1 (ko) 2013-02-25 2013-02-25 교체가능한 커버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634A KR101369299B1 (ko) 2013-02-25 2013-02-25 교체가능한 커버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9299B1 true KR101369299B1 (ko) 2014-03-05

Family

ID=50647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9634A KR101369299B1 (ko) 2013-02-25 2013-02-25 교체가능한 커버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929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196B1 (ko) 2014-04-14 2014-07-25 주식회사아리움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
KR200476086Y1 (ko) 2013-06-28 2015-01-27 (주)씨에스테크 탈착 가능한 휴대 전자기기용 플립형 케이스
KR20160007004A (ko) 2014-07-10 2016-01-20 김진우 스마트폰용 케이스
KR200484101Y1 (ko) 2016-11-28 2017-08-03 주식회사로마네 교체 가능한 착탈물이 포함된 휴대전화 케이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1200U (ko) * 2009-07-28 2011-02-08 김광미 휴대폰 케이스의 덮개부 연결구조
KR200462038Y1 (ko) * 2012-06-18 2012-08-22 임창수 휴대폰 보호 케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1200U (ko) * 2009-07-28 2011-02-08 김광미 휴대폰 케이스의 덮개부 연결구조
KR200462038Y1 (ko) * 2012-06-18 2012-08-22 임창수 휴대폰 보호 케이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086Y1 (ko) 2013-06-28 2015-01-27 (주)씨에스테크 탈착 가능한 휴대 전자기기용 플립형 케이스
KR101422196B1 (ko) 2014-04-14 2014-07-25 주식회사아리움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
KR20160007004A (ko) 2014-07-10 2016-01-20 김진우 스마트폰용 케이스
KR200484101Y1 (ko) 2016-11-28 2017-08-03 주식회사로마네 교체 가능한 착탈물이 포함된 휴대전화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1310Y1 (ko)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USD826889S1 (en) Mobile phone
USD827604S1 (en) Mobile phone
KR101369299B1 (ko) 교체가능한 커버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KR20090001546U (ko) 분리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200468374Y1 (ko) 휴대폰 노출체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US8893879B2 (en) Eyeglass storage case
USD510562S1 (en) Charger for a communication device
USD607035S1 (en) Portable front projection screen
KR200468398Y1 (ko)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KR101371307B1 (ko) 조립식 휴대폰 케이스
KR101246791B1 (ko) 휴대폰 훼손방지용 2중 케이스 구조물
USD972521S1 (en) Foldable mobile phone
KR200478502Y1 (ko) 카메라 보호용 핸드폰 보호케이스
KR101331154B1 (ko)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KR200467895Y1 (ko) 표시창 보호 부재를 구비한 수첩형 휴대폰 보호 케이스
JP3181870U (ja) 保護枠底部構造
KR20110004381U (ko) 휴대폰용 보호케이스
KR200464932Y1 (ko)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101239088B1 (ko) 휴대용 전자기기를 수용하는 케이스 어셈블리
KR20110109668A (ko) 커넥터 커버가 부착된 핸드폰 케이스
KR200479996Y1 (ko) 스마트폰용 투명 보호 케이스
KR200472307Y1 (ko)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101556061B1 (ko) 내부 케이스가 구비된 지갑 겸용 휴대폰 케이스
KR200473331Y1 (ko) 절개부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