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996Y1 - 스마트폰용 투명 보호 케이스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용 투명 보호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996Y1
KR200479996Y1 KR2020140005188U KR20140005188U KR200479996Y1 KR 200479996 Y1 KR200479996 Y1 KR 200479996Y1 KR 2020140005188 U KR2020140005188 U KR 2020140005188U KR 20140005188 U KR20140005188 U KR 20140005188U KR 200479996 Y1 KR200479996 Y1 KR 2004799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martphone
transparent
smart phone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1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0198U (ko
Inventor
손성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로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로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로젠
Priority to KR20201400051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996Y1/ko
Publication of KR201600001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1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9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9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Abstract

본 고안은 스마트폰용 투명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투명의 재질로서 스마트폰의 전면과 후면을 덮어서 서로 결합됨으로써 스마트폰을 수용하도록 하여 스마트폰의 고유 디자인이 외부로 표출될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용 투명 보호 케이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스마트폰의 전면 부위의 형상을 따르도록 투명의 경질재로서 전면투명창이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폰의 측면부 일부를 덮도록 상기 전면투명창의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전방 측벽부가 형성되며, 상기 측벽부에는 전방 결합돌기부 또는 전방 결합홈부가 형성된 전면커버;
스마트폰의 후면 부위의 형상을 따르도록 투명의 경질재로서 후면투명판이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폰의 측면부 일부를 덮도록 상기 후면투명판의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후방 측벽부가 형성되며, 상기 후방 측벽부에는 상기 전방 측벽부의 전방 결합돌기부 또는 전방 결합홈부와 결합되도록 후방 결합홈부 또는 후방 결합돌기부가 형성된 후면커버;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스마트폰용 투명 보호 케이스{omitted}
본 고안은 스마트폰용 투명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마트폰의 고유 디자인이 외부로 표출될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용 투명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은 외부의 충격이나 오염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 케이스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일반적인 보호 케이스는 도1에 도시한 바와같이, 보호 케이스(100)는 폴더 타입으로 된 전면커버(102)와 후면커버(103)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후면커버(103)에 스마트폰(150)을 수용시켜 장착시킨 다음, 전면커버(102)를 덮어서 보관 및 휴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이러한 보호 케이스는 스마트폰(150) 외관의 거의 대부분을 덮게 됨으로써 투박한 디자인의 전면커버(102)와 후면커버(103)에 의해 스마트폰(150)의 고유 디자인이 노출되지 않게 되어 미적인 부분을 크게 손상시키게 된다.
즉, 스마트폰(150) 제조사는 그 외관 디자인에 많은 비용을 투자하여 독특한 형태를 가지도록 설계하지만, 많은 사용자들은 이러한 스마트폰(150)을 보호 케이스를 사용하여 보관 및 휴대함으로써 두껍고 투박한 보호 케이스에 의해 스마트폰의 고유 디자인 묻히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여, 투명의 재질로서 스마트폰의 전면과 후면을 덮어서 서로 결합됨으로써 스마트폰을 수용하도록 하여 스마트폰의 고유 디자인이 외부로 표출될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용 투명 보호 케이스를 제공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스마트폰용 투명 보호 케이스는
스마트폰의 전면 부위의 형상을 따르도록 투명의 경질재로서 전면투명창이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폰의 측면부 일부를 덮도록 상기 전면투명창의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전방 측벽부가 형성되며, 상기 측벽부에는 전방 결합돌기부 또는 전방 결합홈부가 형성된 전면커버;
스마트폰의 후면 부위의 형상을 따르도록 투명의 경질재로서 후면투명판이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폰의 측면부 일부를 덮도록 상기 후면투명판의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후방 측벽부가 형성되며, 상기 후방 측벽부에는 상기 전방 측벽부의 전방 결합돌기부 또는 전방 결합홈부와 결합되도록 후방 결합홈부 또는 후방 결합돌기부가 형성된 후면커버;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르면 스마트폰의 고유 디자인이 투명 케이스에 의해 외부로 모두 표출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1은 일반적인 스마트폰용 보호 케이스의 구조를 보인 도.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폰용 투명 보호 케이스의 구조를 보인 도.
도3은 도2의 A-A' 및 B-B'의 단면구조를 보인 도.
본 고안을 첨부한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의 구조를 보인 도로서, 전면커버(200)와 후면커버(400)로 구성되는데, 전면커버(200)는 투명의 경질재로 형성되는데, 충격에 강한 PC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전면커버(200)는 스마트폰(300)의 전면 형태를 따르도록 전면투명창(210)이 형성되고, 그 전면투명창(210)의 가장자리에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전방측벽부(201)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전방측벽부(201)는 스마트폰(300)의 측면부위 절반 정도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그 전면투명창(210)과 전방측벽부(201)에 의해 스마트폰(300)의 전방부위를 수용하게 된다.
또한, 전방측벽부(201)의 하부면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돌기부(202)가 형성된다.
결합돌기부(202)는 전방측벽부(20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형성되거나 또는 간격을 가지면서 중간중간에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전방측벽부(201)에는 스마트폰(300)의 소켓, 마이크, 전원버튼, 볼륨버튼 등이 노출될 수 있도록 전방 노출공(260,270,280,290)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전방 노출공(260,270,280,290)은 소켓, 마이크, 전원버튼, 볼륨버튼 등의 형상을 따르되 후방 부위가 개방된 절반의 노출공이 된다.
전면투명창(210)에는 각종 센서, 스피커, 조작버튼이 노출되기 위하여 구멍형태의 전방노출공(230,240,250)이 형성되며, 전면투명창(201)의 가장자리 부위에는 둘레를 따라서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22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돌출부(220)의 높이는 약 0.5∼1.5mm 정도가 되는데, 이러한 돌출부(220)는 전면커버(200)와 후면커버(400)에 스마트폰(300)을 수용하여 소지하고 있다가 스마트폰(300)의 전면부위가 바닥과 직접 접촉하도록 떨어뜨렸을 때 전면부위가 충격을 받아서 스마트폰(300)의 디스플레이부(310)가 손상될 수 있는 충격을 흡수하게 되어 디스플레이부(310)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전면커버(300)가 바닥을 향하도록 뒤집어 놓았을 때 전면투명창(201)을 바닥부위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스크래치가 발생하거나 또는 이물질이 묻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아울러 돌출부(220)는 스마트폰(300)의 디스플레이부(310)를 침해하여 간섭하지 않은 위치에 형성되도록 가급적 전면투명창(210)의 최외각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면커버(400)는 스마트폰(300)의 후면 형태를 따르도록 후면투명판(410)이 형성되고, 그 후면투명판(410)의 가장자리에서 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후방측벽부(401)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후방측벽부(401)는 스마트폰(300)의 측면부위 절반 정도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그 후면투명판(410)과 후방측벽부(401)에 의해 스마트폰(300)의 후방부위를 수용하게 된다.
또한, 후방측벽부(401)의 상부면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결합홈부(420)가 형성되며, 이러한 결합홈부(420)는 전면커버(200)의 결합돌기부(202)가 끼워질 수 있도록 후방측벽부(40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형성되거나 또는 결합돌기부(202)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후방측벽부(401)에는 전방노출공(260,270,280,290)의 위치에서 후방노출공(460,470,480,490)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후방노출공(460,470,480,490)은 소켓, 마이크, 전원버튼, 볼륨버튼 등의 형상을 따르되 전방 부위가 개방된 또다른 절반의 노출공이 된다.
이로인해, 전방노출공(260,270,280,290)과 후방노출공(460,470,480,490)이 서로 맞닿았을 때 비로소 온전한 구멍형태의 노출공이 된다.
후면투명판(410)에는 스마트폰(300)의 카메라와 후방스피커가 노출되기 위하여 구멍형태의 후방노출공(430,450)이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후방노출공(430,450)의 가장자리부위도 후방으로 약 0.5∼1.5mm 정도 돌출되도록 형성함으로써 후면커버(400)가 바닥에 놓였을 때 스크래치가 발생하거나 이물질이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2는 전면커버(200)의 A-A'부분과 후면커버(400)의 B-B' 부분의 단면을 보인 도로서, 전면커버(200)의 결합돌기부(202)와 후면커버(400)의 결합홈부(420)가 서로 결합됨으로써 전면커버(200)와 후면커버(400)를 결합시키고, 그 내측에 스마트폰(300)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수용공간은 스마트폰(300)이 꼭 맞게 수용되도록 하여 수용공간 내부에서 스마트폰(300)이 흔들리지 않게 된다.
아울러, 전면커버(200)에 결합홈부가 형성될 수도 있고, 후면커버(400)에는 이와 대응되게 결합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전면커버(200)는 가급적 색상이 들어가지 않은 투명재로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후면커버(400)는 색상이 들어간 투명재 또는 반투명재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200 : 전면커버 201 : 전방측벽부
202 : 결합돌기부 210 : 전방투명창
220 : 돌출부
260,270,280,290 : 전방노출공
300 : 스마트폰
400 : 후면커버 401 : 후방측벽부
410 : 후면투명판 420 : 결합홈부
460,470,480,490 : 후방노출공

Claims (4)

  1. 전체가 투명의 경질재로 형성되되, 스마트폰의 전면 부위의 형상을 따르도록 전면투명창이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폰의 측면부 일부를 덮도록 상기 전면투명창의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전방 측벽부가 형성되며, 상기 측벽부에는 전방 결합돌기부 또는 전방 결합홈부가 형성된 전면커버;
    전체가 투명의 경질재로 형성되되, 스마트폰의 후면 부위의 형상을 따르도록 후면투명판이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폰의 측면부 일부를 덮도록 상기 후면투명판의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후방 측벽부가 형성되며, 상기 후방 측벽부에는 상기 전방 측벽부의 전방 결합돌기부 또는 전방 결합홈부와 결합되도록 후방 결합홈부 또는 후방 결합돌기부가 형성된 후면커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투명 보호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투명창의 가장자리 둘레로는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투명 보호 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투명 보호 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 전방 측벽부에는 스마트폰의 버튼 및 소켓을 노출시키기 위하여 후방이 개방된 절반의 전방 노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후면커버의 후방 측벽부에는 상기 전방 노출공과 맞닿는 위치에서 전방이 개방된 나머지 절반의 후방 노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투명 보호 케이스.
KR2020140005188U 2014-07-09 2014-07-09 스마트폰용 투명 보호 케이스 KR2004799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188U KR200479996Y1 (ko) 2014-07-09 2014-07-09 스마트폰용 투명 보호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188U KR200479996Y1 (ko) 2014-07-09 2014-07-09 스마트폰용 투명 보호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198U KR20160000198U (ko) 2016-01-19
KR200479996Y1 true KR200479996Y1 (ko) 2016-03-30

Family

ID=55310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188U KR200479996Y1 (ko) 2014-07-09 2014-07-09 스마트폰용 투명 보호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996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5193B1 (ko) * 2012-03-16 2012-07-11 박형주 휴대용 단말기용 방수 케이스
KR200470996Y1 (ko) 2013-11-12 2014-01-27 전홍진 착탈이 용이한 휴대 단말기용 메탈 범퍼 케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5193B1 (ko) * 2012-03-16 2012-07-11 박형주 휴대용 단말기용 방수 케이스
KR200470996Y1 (ko) 2013-11-12 2014-01-27 전홍진 착탈이 용이한 휴대 단말기용 메탈 범퍼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198U (ko) 201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26230S1 (en) Stylus kit
US9025948B2 (en) Camera protection module for portable device case
USD830356S1 (en) Mobile phone case
US20150065206A1 (en) Locking Rim Cell Phone Case
USD880565S1 (en) Projector
USD897133S1 (en) Duvet cover
US8879723B2 (en) Battery charging case with changeable panel for an electronic device
USD725388S1 (en) Paintbrush storage case
US20130193006A1 (en) Waterproof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USD868133S1 (en) Camera cover
USD889528S1 (en) Image distance control device
KR20090001546U (ko) 분리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USD858085S1 (en) Pen case
USD859387S1 (en) Lens cover for mobile computer
USD940121S1 (en) Mobile phone case
KR101369299B1 (ko) 교체가능한 커버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USD863319S1 (en) USB memory device
KR200479996Y1 (ko) 스마트폰용 투명 보호 케이스
USD828966S1 (en) Washing machine
USD605683S1 (en) Projector
USD606110S1 (en) Projector
USD766838S1 (en) Weatherproof GFI electrical plug cover
USD847818S1 (en) Electronic tablet case
KR101331154B1 (ko)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GB2576315A (en) A case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