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253Y1 -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253Y1
KR200476253Y1 KR2020120008008U KR20120008008U KR200476253Y1 KR 200476253 Y1 KR200476253 Y1 KR 200476253Y1 KR 2020120008008 U KR2020120008008 U KR 2020120008008U KR 20120008008 U KR20120008008 U KR 20120008008U KR 200476253 Y1 KR200476253 Y1 KR 2004762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frame
electronic device
portable electronic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80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1719U (ko
Inventor
김재성
Original Assignee
김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성 filed Critical 김재성
Priority to KR20201200080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253Y1/ko
Publication of KR201400017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7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2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25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휴대 전자기기를 수납하고 커버를 덮은 상태에서 전체적인 폭이 넓어지지 않게 하고, 유동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는 상방 또는 하방이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휴대 전자기기가 수납되는 프레임 및 프레임의 하방을 덮도록 프레임의 하부에 부착되는 하부커버와, 하부커버로부터 연장되어 프레임의 일측방을 덮을 수 있도록 폴딩가능한 연결부와, 연결부로부터 연장되어 프레임의 상방을 덮을 수 있도록 폴딩가능한 상부커버를 갖는 커버를 포함하되, 프레임은 연결부가 위치하는 일측단부에 오목하게 요입형성된 단턱부를 구비하여, 상부커버가 폴딩되는 경우 연결부가 단턱부에 인입되어 감싸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본 고안은 휴대 전자기기를 수납할 수 있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휴대 전자기기를 수납하고 커버를 덮은 상태에서 전체적인 폭이 넓어지지 않게 하고, 유동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기술이 급격히 발달하면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피씨 등과 같은 각종 휴대 전자기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휴대 전자기기 관련 악세사리 산업도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다. 특히, 케이스의 경우 고가인 전자기기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여 스크래치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디자인을 통해 사용자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필수적인 악세사리로 자리잡고 있다.
이러한 케이스는 통상 프레임 타입과 커버 타입으로 구별되는데, 구체적으로 프레임 타입은 전자기기의 측면 또는 측면과 후면을 프레임이 감싸는 형태이고, 커버 타입은 전자기기가 장착되는 하부커버에 상부커버가 폴딩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이다. 이 경우, 프레임 타입은 고무나 플라스틱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완충력이 우수한 장점이 있으며, 커버 타입은 하부커버 외에 상부커버도 존재하여 전자기기의 전면까지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프레임 타입과 커버 타입이 혼합된 형태, 즉,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 하부커버(20a) 및 상부커버(20c)로 이루어진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가 많이 활용되고 있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커버(20a)의 일면에 휴대 전자기기가 끼워져 결합되는 프레임(10)을 부착하고 하부커버(20a)에 폴딩 가능하게 연결된 상부커버(20c)로 프레임(10)의 상방을 덮게 된다.
그런데, 프레임(10)에 수납된 휴대 전자기기의 전면을 덮기 위해 상부커버(20c)를 폴딩시킨 경우, 상부커버(20c)와 하부커버(20a)의 연결부(20b)가 프레임(10)의 일측부(10a)를 덮게 되는데, 이때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20b)가 프레임(10)의 일측부(10a) 위로 볼록하게 튀어나온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휴대 전자기기를 케이스에 수납하고 상부커버(20c)를 덮은 경우 미관이 좋지 못하고, 연결부(20b)를 지지하는 어떠한 요소가 없어서 상부커버(20c) 및 연결부(20b)의 유동이 심하게 발생하게 될 뿐만 아니라 연결부(20b)의 두께만큼 전체적인 폭도 조금 넓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 전자기기를 수납하고 커버를 덮은 상태에서 전체적인 폭이 넓어지지 않게 하고 커버의 유동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상방 또는 하방이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휴대 전자기기가 수납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하방을 덮도록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부착되는 하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의 일측방을 덮을 수 있도록 폴딩가능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의 상방을 덮을 수 있도록 폴딩가능한 상부커버를 갖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은 상기 연결부가 위치하는 일측단부에 오목하게 요입형성된 단턱부를 구비하여, 상기 상부커버가 폴딩되는 경우 상기 연결부가 상기 단턱부에 인입되어 감싸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연결부가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커버는 발포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커버는 외측면에 요철무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에 의하면, 상부커버가 프레임의 상방을 덮으며 폴딩되는 경우 연결부가 프레임의 일측의 오목한 단턱부에 인입되기 때문에 연결부가 돌출되지 않게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유려한 미관을 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에 의하면, 상부커버가 폴딩된 상태에서 연결부가 프레임의 단턱부에 의해 구속됨으로써 연결부 뿐만 아니라 상부커버의 유동현상까지 최소화될 수 있어 케이스의 수명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에 의하면, 커버가 발포수지로 이루어지거나, 커버 외측면에 그루브, 엠보싱, 돌기 등과 같은 요철무늬가 형성됨으로써 무게가 감소되는 동시에 미끄럼도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종래의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를 보인 사시도.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상부커버가 폴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상부커버가 펼쳐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I-I'부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프레임을 보인 저면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100)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100)는 프레임(110)과, 커버(120)를 포함한다.
프레임(110)은 휴대 전자기기를 수납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휴대 전자기기의 수납이 용이하도록 상방이 개방된 형상을 이루고, 경우에 따라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도 개방된 형상을 이룰 수 있다. 휴대기기가 수납된 경우, 프레임(110)은 휴대기기의 테두리를 감싸게 된다.
커버(120)는 프레임(110)의 하방, 상방 및 일측방을 덮어 프레임(110)에 수납된 휴대 전자기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커버(120)는 일측으로 폴딩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 2 내지 도 5에서는 휴대 전자기기를 감싸기 위해 커버가 일측으로 폴딩되는 것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프레임의 하방, 상방 및 일측방을 덮을 수 있다면 커버가 상단 또는 하단으로 폴딩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여기에서, 커버(120)는 프레임(110)의 하방을 덮도록 프레임(110)의 하부에 부착되는 하부커버(120a)와, 하부커버(12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프레임(110)의 일측방을 덮을 수 있도록 폴딩가능한 연결부(120b)와, 연결부(120b)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프레임(110)의 상방을 덮을 수 있도록 폴딩가능한 상부커버(120c)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기본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참고로,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휴대 전자기기로 핸드폰만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태블릿피씨, MP3, PMP 등 모든 형태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각종 전자기기가 포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내용에 기초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특징적인 구성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100)는 프레임(110)에 휴대 전자기기가 수납된 상태에서 상부커버(120c)를 폴딩시켜 프레임(110)을 덮은 경우 커버(120)의 연결부(120b)가 프레임(110)의 일측부(110a) 안쪽으로 인입되어 연결부(120b)가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가장 큰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프레임(110)의 일측부(110a)는 연결부(120b)에 의해 감싸지는 부분이 요입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프레임(110)의 일측부(110a)에 커버(120)의 연결부(120b)와 대응하는 크기로 오목하게 깎인 단턱부(110b)를 형성하여, 상부커버(120c)가 폴딩된 상태에서 연결부(120b)가 단턱부(110b) 내측에 정합되어 프레임(110)의 일측부(110a)와 대략 평면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연결부(120b)의 두께만큼 전체적인 폭이 증가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턱부가 형성된 프레임(110)의 일측부(110a)는 단턱부가 형성되지 않은 프레임(110)의 타측부(110c)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게 되고, 프레임(110)의 일측부(110a)에서 단턱부의 형성으로 인해 제거된 공간은 커버(120)의 연결부(120b)가 점유하게 된다.
여기에서, 단턱부(110b)의 길이와 두께는 연결부(120b)가 단턱부(110b)의 안쪽으로 자연스럽게 인입될 수 있도록 연결부(120b)의 길이 및 두께보다 약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단턱부(110b)의 크기가 연결부(120b)보다 너무 크면, 상부커버(120c)가 폴딩된 상태에서 단턱부(110b)가 연결부(120b)를 구속하지 못해 유동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단턱부(110b)를 성형할 때에는 이를 고려하여 길이와 두께가 적절히 설계되어야 한다. 참고로, 도 5에 도시된 프레임(110)의 저면 사시도에 더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프레임(110)의 저면에는 하부커버(120a)가 요입될 수 있는 크기로 요입부(110d)가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하부커버(120a)가 부착되더라도 두께가 두꺼워지지 않아 슬림화가 구현될 수 있다. 프레임(110)의 요입부(110d)의 깊이는 단턱부(110b)의 깊이와 거의 동일할 수 있고, 양자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커버(120)는 합성수지, 가죽, 직물, 고무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발포수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발포수지는 다수의 미세기공을 포함하기 때문에 커버(120)의 두께로 얇게 가공한 경우에도 표면에 미세기공이 노출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시 우수한 흡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이러한 발포수지의 흡착력을 이용하여 케이스의 사용 과정에서 실수로 인한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하고, 이와 더불어 발포수지가 갖는 경량성과 완충성을 통해 사용자의 편의와 휴대 전자기기의 보호 성능이 극대화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커버(120)의 소재를 발포수지로 하는 것 외에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120)의 표면에 요철무늬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부분인 커버(120)의 외측면에 빗살, 엠보싱, 돌기, 그루브 등의 패턴을 반복적으로 형성함으로써 마찰력을 향상시켜 책상이나 테이블 등에 둔 경우 미끄러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커버, 구체적으로 상부커버(120c)에는 상부커버(120c)의 형태 유지 및 변형 방지를 위한 합성수지 재질의 심재가 내장될 수 있다.
100 :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110 : 프레임
110a : 프레임의 일측부
110b : 프레임의 단턱부
110c : 프레임의 타측부
120 : 커버
120a : 하부커버
120b : 커버의 연결부
120c : 상부커버

Claims (3)

  1. 상방 또는 하방이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휴대 전자기기가 수납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하방을 덮도록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부착되는 하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의 일측방을 덮을 수 있도록 폴딩가능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의 상방을 덮을 수 있도록 폴딩가능한 상부커버를 갖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은 상기 연결부가 위치하는 일측단부에 오목하게 요입형성된 단턱부를 구비하여, 상기 상부커버가 폴딩되는 경우 상기 연결부가 상기 단턱부에 인입되어 감싸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연결부가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2. 삭제
  3. 삭제
KR2020120008008U 2012-09-10 2012-09-10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KR2004762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008U KR200476253Y1 (ko) 2012-09-10 2012-09-10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008U KR200476253Y1 (ko) 2012-09-10 2012-09-10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719U KR20140001719U (ko) 2014-03-26
KR200476253Y1 true KR200476253Y1 (ko) 2015-02-12

Family

ID=52442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8008U KR200476253Y1 (ko) 2012-09-10 2012-09-10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253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8146U (ko) * 1989-12-27 1991-09-09
KR101016908B1 (ko) 2008-09-01 2011-02-22 윤 호 김 하측 개폐형 휴대폰 케이스
KR20110045972A (ko) * 2009-10-28 2011-05-04 윤 호 김 휴대용통신기기 보호케이스
KR200460260Y1 (ko) * 2011-04-07 2012-05-15 마승홍 휴대폰 보호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8146U (ko) * 1989-12-27 1991-09-09
KR101016908B1 (ko) 2008-09-01 2011-02-22 윤 호 김 하측 개폐형 휴대폰 케이스
KR20110045972A (ko) * 2009-10-28 2011-05-04 윤 호 김 휴대용통신기기 보호케이스
KR200460260Y1 (ko) * 2011-04-07 2012-05-15 마승홍 휴대폰 보호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719U (ko) 201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45741A1 (en) Composite protective case for phones, othe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other apparatus
KR101355772B1 (ko)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KR101421220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KR20120003702U (ko) 휴대폰 보호대
KR200462821Y1 (ko) 캐릭터 형상의 휴대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
KR200476253Y1 (ko)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JP3181524U (ja) 立てられ、保持可能、コード巻取可能な携帯電話ケース
CN203087914U (zh) 翻盖收纳式手机套
CN202818418U (zh) 手机趣味护角套
KR101385313B1 (ko)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20110109668A (ko) 커넥터 커버가 부착된 핸드폰 케이스
JP3181870U (ja) 保護枠底部構造
KR200472723Y1 (ko)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CN202798826U (zh) 一种手机套
KR20100003756U (ko) 가죽원단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케이스
KR200465077Y1 (ko)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KR20130001381U (ko) 이동통신단말기 케이스
KR200476267Y1 (ko) 휴대 전자기기용 플립형 케이스
CN209930334U (zh) 一种可折叠式手机的保护套
KR101604070B1 (ko) 휴대 단말기의 다이어리형 보호케이스
KR200496147Y1 (ko) 케이스용 삽입형 고리
JP3181063U (ja) 携帯型通信端末器用カバー
KR20130005319U (ko) 비개방 사용이 가능한 모바일기기용 플립타입 보호케이스
KR101201923B1 (ko) 터치입력기능을 가지는 전자기기용 보호커버
CN209268840U (zh) 电子产品保护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