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319U - 비개방 사용이 가능한 모바일기기용 플립타입 보호케이스 - Google Patents

비개방 사용이 가능한 모바일기기용 플립타입 보호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319U
KR20130005319U KR2020120008794U KR20120008794U KR20130005319U KR 20130005319 U KR20130005319 U KR 20130005319U KR 2020120008794 U KR2020120008794 U KR 2020120008794U KR 20120008794 U KR20120008794 U KR 20120008794U KR 20130005319 U KR20130005319 U KR 2013000531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cover
protective case
opening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87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복진
이원엽
Original Assignee
지복진
이원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2020120001594U external-priority patent/KR20130001706U/ko
Application filed by 지복진, 이원엽 filed Critical 지복진
Priority to KR20201200087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5319U/ko
Priority to KR2020120012424U priority patent/KR20130005320U/ko
Publication of KR201300053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31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디스플레이를 개폐하는 커버가 함께 구비된 플립타입 보호케이스가 장착된 스마트폰이나 DMB 폰 등의 모바일 기기를 사용함에 있어 바쁜 작업환경 속에서도 전화가 걸려 왔을 때에 커버를 개방하지 않고도 관찰을 할 수 있어 통화정보를 알 수 있고, 커버의 개방 없이 통화가 가능해서 바쁜 출퇴근 시간 때에나 양 손을 함께 쓰지 못하는 곤란한 상황에서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부분의 정보를 쉽고 빠르게 알 수 있어 이에 대한 대처가 용이하여 불필요한 양손 사용으로 인한 불편함을 줄이며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비개방 사용이 가능한 모바일기기용 플립타입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비개방 사용이 가능한 모바일기기용 플립타입 보호케이스는 모바일기기의 후면에 결합되는 바디; 및 모바일기기의 전면 디스플레이를 개폐하고, 상기 바디에 연결부를 통하여 이어진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에는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를 부분 관찰할 수 있는 윈도우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개방 사용이 가능한 모바일기기용 플립타입 보호케이스{FLIP TYPE MOBILE CASE}
본 고안은 모바일기기용 플립타입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를 개폐하는 커버가 함께 구비된 플립타입 보호케이스가 장착된 스마트폰이나 DMB 폰 등의 모바일 기기를 사용함에 있어 바쁜 작업환경 속에서도 전화가 걸려 왔을 때에 커버를 개방하지 않고도 관찰을 할 수 있어 통화정보를 알 수 있고, 커버의 개방 없이 통화가 가능해서 바쁜 출퇴근 시간 때에나 양 손을 함께 쓰지 못하는 곤란한 상황에서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부분의 정보를 쉽고 빠르게 알 수 있어 이에 대한 대처가 용이하여 불필요한 양손 사용으로 인한 불편함을 줄일 수 있도록 보호케이스의 커버에 디스플레이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윈도우를 도입하면서도,
더 나아가 윈도우가 디스플레이를 부분 개방하여 플립타입 보호케이스를 선호하는 이유 중의 하나인 신용카드 등의 물품 수납 편리성까지 함께 구비되도록 한 모바일기기용 플립타입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등의 모바일기기는 단순히 유선 전화 대용 또는 대체 기능을 넘어 통화, 인터넷 활용, 업무용, 영화 및 TV 등의 감상용 기능 등으로 확장되고 있고,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전통적인 기능의 한계 및 제품간 경계를 무너뜨리는 기술의 첨단에 위치하고 있다.
또 이러한 휴대폰 등의 모바일기기의 사용편리성을 증대시키는 악세서리도 다양하게 개발되고 시판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많은 사람들이 외출시 지갑과 함께 모바일기기를 하루 종일 각각 따로 휴대하고 다니면서 분실의 위험과 휴대의 불편함 때문에 지갑과 휴대폰을 하나로 묶어서 휴대할 수 있는 다목적 수납 수단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플립타입 보호케이스 부류의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23887호(등록일자 2006년08월07일)의 “휴대전화 보호케이스”는 휴대전화의 외측을 감싸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휴대전화를 보호하는 보호케이스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휴대전화의 전면 디스플레이 화면에 매칭되는 상기 상부케이스의 배면부에 보안필름을 수납하기 위한 결합홈을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휴대전화 본체를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면서 휴대전화의 디스플레이창에 표시되는 내용을 타인이 엿보는 것을 방지하여 개인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고, 보호케이스 또는 보안필름을 교환할 필요가 있을 때 교체 용이하도록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 실용신안공개 제20-2012-00044972010-0012928호(공개일자 2012년6월25일)의 “탈부착식 휴대폰 케이스가 구비된 접이식 반 지갑”은 접이부를 경계로 좌우로 구획 형성된 접이식 반 지갑 내측에 휴대용 전화기를 휴대 및 보관할 수 있도록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휴대폰 케이스를 탈부착식으로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지갑에 휴대폰과 지갑의 수납이 각각 가능하며, 외출시 지갑과 휴대용 전화기를 별도로 소지 보관해야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으며 아울러 교통카드 기능이나 보안 키 기능이 있는 휴대용 전화기를 가방이나 지갑에서 꺼내서 사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나 사용상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특허공개 제10-2010-01290142009-0047744호(공개일자 2010년12월08일)의 “디스플레이부 덮개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는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디스플레이부를 개폐하는 덮개부를 구비함으로써, 터치 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부를 보호하면서도 휴대 단말기의 휴대 편이성을 높이는데 특징이 있다.
또 실용신안등록 제20-04614532012-0000718호(등록일자 2012년07월06일)의 “투시창을 갖는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는 투시창이 형성된 투시부를 갖는 화면 커버를 적어도 포함하며, 상기 투시부에 상기 투시창이 결합되며, 상기 투시창은 보안성, 내지문성 및 무광택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성을 갖는 기능성 필름이 형성되고, 모바일 단말기를 보호하면서 투시창을 통하여 간편하게 화면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와 본인만 화면을 확인할 수 있는 사생활 보호를 위한 보안성을 제공할 수 있고 내지문성과 무광택성 등 사용상 편의 제공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들 종래기술들은 모두 모바일기기, 특히 스마트폰용 플립타입 보호케이스 또는 지갑형 보호케이스를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주된 이유 중 하나인 수납공간의 보장 특성을 충족시킬 수 없는 것이며,
아울러 디스플레이 보호 기능 및 디스플레이 확인 기능에만 중점을 두고 있어 통화 편리성 확보의 대한 방안 제시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고안은 휴대폰이나 스마트폰 등 모바일기기의 전면 디스플레이를 개폐하고, 상기 바디에 연결부를 통하여 이어진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에는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를 관찰할 수 있는 윈도우가 구비되어 있어 커버 개방 없이 전화 통화 등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편리하고, 이와 아울러 플립타입 보호케이스 또는 지갑형 보호케이스의 중요 선호 사유 중 하나인 신용카드 등을 위한 수납부, 특히 제1수납부가 구비되어 있어 모바일기기 자체의 사용편리성과 보호케이스의 추가 기능인 수납 편리성의 확보가 동시에 가능하여 상품가치까지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도록 한 비개방 사용이 가능한 모바일기기용 플립타입 보호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은 모바일기기 조작을 위한 스위치, 특히 전면에 구비된 스위치를 커버의 개방 없이 조작할 수 있도록 한 스위치 현출부를 더 도입하여 커버 비개방 상태에서 모바일기기, 특히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모바일기기용 플립타입 보호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고안은 바디와 커버를 잇는 상기 연결부 반대측에 구비되어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를 덮은 커버를 상기 바디에 구속하여 커버의 임의 개방을 방지하는 로커가 더 구비되어 있어 수납부에 수용된 소지품의 분실을 확실히 방지하며, 나아가 로커는 윈도우와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윈도우의 면적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 모바일기기용 플립타입 보호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은상기 바디와 상기 모바일기기 후면 사이에는 커버 개방시 연결부측이 개구되는 제2수납부가 더 구비되어 있어 커버에 구비된 윈도우로 인하여 제1수납부의 수납공간이 축소되는 문제를 해결함은 물론, 상기 로커와 함께 상대적으로 제1수납부에 비하여 커버 폐쇄상태에서 연결부로 인하여 제2수납부에 수용된 물품의 이탈이 불가능하게 되어 안전성 및 보안성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한 모바일기기용 플립타입 보호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은 모바일기기의 후면에 결합되는 바디의 배후 노출면에 구비된 다리부재를 포함하는 지지체가 구비되어 있어 스마트폰이나 DMB 폰 등 핸드폰과 같은 각종 모바일기기를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필요에 따라 임의로 세울 수 있어 TV 또는 영화 등의 시청이나 인터넷 검색 등의 사용은 물론 문자 수발신이나 단순 대기 상태에서의 비치시에도 매우 편리하도록 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지지체의 다리부재는 회동축부재에서 멀어질수록 좁아져 모바일 기기의 가로 또는 세로 방향 임의 지지 비치 특성이 강화될 수 있도록 한 보호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서 지지체의 다리부재를 바디에 결합하는 장착수단과 상기 다리부재 사이에 다리부재의 선회 정도를 제한하는 정지수단을 도입하여 편리성을 증대시킨 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비개방 사용이 가능한 모바일기기용 플립타입 보호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지지체의 다리부재의 후면에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한 착탈식 유에스비(USB) 메모리카드장치를 내장하여, 별도로 유에스비(USB) 메모리카드장치 등의 보조기억장치를 휴대해야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비개방 사용이 가능한 모바일기기용 플립타입 보호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비개방 사용이 가능한 모바일기기용 플립타입 보호케이스는
모바일기기의 후면에 결합되는 바디; 및
모바일기기의 전면 디스플레이를 개폐하고, 상기 바디에 연결부를 통하여 이어진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에는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를 부분 관찰할 수 있는 윈도우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커버는 윈도우 영역 외측에 구비된 제1수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비개방 사용이 가능한 모바일기기용 플립타입 보호케이스의 커버에서
상기 커버는 모바일기기의 전면에 구비된 스위치를 드러내는 현출부를 더 구비되어 있는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비개용 사용이 가능한 모바일기기용 플립타입 보호케이스는
상이 연결부 반대측에 구비되어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를 덮은 커버를 상기 바디에 구속하여 커버의 임의 개방을 방지하는 로커가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로커는 윈도우와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디와 상기 모바일기기 후면 사이에는 커버 개방시 연결부측이 개구되는 제2수납부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비개방 사용이 가능한 모바일기기용 플립타입 보호케이스는
상기 바디에 결합되는 패널부재를 포함하는 배면 장착수단과,
상기 장착수단의 패널부재에 회동축부재를 통하여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동축부재에서 멀어질수록 좁아지는 다리부재를 포함하는 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비개방 사용이 가능한 모바일기기용 플립타입 보호케이스는,
휴대폰이나 스마트폰 등 모바일기기의 전면 디스플레이를 개폐하고, 상기 바디에 연결부를 통하여 이어진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에는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를 관찰할 수 있는 윈도우가 구비되어 있어 커버 개방 없이 전화 통화 등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편리하고, 이와 아울러 플립타입 보호케이스 또는 지갑형 보호케이스의 중요 선호 사유 중 하나인 신용카드 등을 위한 수납부, 특히 제1수납부가 구비되어 있어 모바일기기 자체의 사용편리성과 보호케이스의 추가 기능인 수납 편리성의 확보가 동시에 가능하여 상품가치까지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고,
또 모바일기기 조작을 위한 스위치, 특히 전면에 구비된 스위치를 커버의 개방 없이 조작할 수 있도록 한 스위치 현출부를 더 도입하여 커버 비개방 상태에서 모바일기기, 특히 스마트폰의 사용 편리성이 더욱 증대되고,
나아가 바디와 커버를 잇는 상기 연결부 반대측에 구비되어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를 덮은 커버를 상기 바디에 구속하여 커버의 임의 개방을 방지하는 로커가 더 구비되어 있어 수납부에 수용된 소지품의 분실을 확실히 방지하며, 나아가 로커는 윈도우와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윈도우의 면적을 보장할 수 있고,
또 상기 바디와 상기 모바일기기 후면 사이에는 커버 개방시 연결부측이 개구되는 제2수납부가 더 구비되어 있어 커버에 구비된 윈도우로 인하여 제1수납부의 수납공간이 축소되는 문제를 해결함은 물론, 상기 로커와 함께 상대적으로 제1수납부에 비하여 커버 폐쇄상태에서 연결부로 인하여 제2수납부에 수용된 물품의 이탈이 불가능하게 되어 안전성 및 보안성이 증대될 수 있고,
아울러 모바일기기의 후면에 결합되는 바디의 배후 노출면에 구비된 다리부재를 포함하는 지지체가 구비되어 있어 스마트폰이나 DMB 폰 등 핸드폰과 같은 각종 모바일기기를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필요에 따라 임의로 세울 수 있어 TV 또는 영화 등의 시청이나 인터넷 검색 등의 사용은 물론 문자 수발신이나 단순 대기 상태에서의 비치시에도 매우 편리하도록 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지지체의 다리부재는 회동축부재에서 멀어질수록 좁아져 모바일 기기의 가로 또는 세로 방향 임의 지지 비치 특성이 강화될 수 있고,
또 지지체의 다리부재를 바디에 결합하는 장착수단과 상기 다리부재 사이에 다리부재의 선회 정도를 제한하는 정지수단을 도입하여 편리성이 증대되고,
또한 상기 지지체의 다리부재의 후면에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한 착탈식 유에스비(USB) 메모리카드장치를 내장하여, 별도로 유에스비(USB) 메모리카드장치 등의 보조기억장치를 휴대해야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편리성 및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모바일기기용 플립타입 보호케이스의 사시도.
도 3은 변형된 모바일기기용 플립타입 보호케이스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보호케이스 중 지지체의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보호케이스 중 지지체의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보호케이스 중 유에스비(USB) 메모리카드장치를 내장한 지지체의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다른 보호케이스 중 유에스비(USB) 메모리카드장치를 내장한 지지체의 부분 분해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플립타입 보호케이스(C)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2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모바일기기(M)의 디스플레이(M1)을 관찰하는 사용 상태를 기준으로 전후면을 정하고,
모바일기기를 받치는 지지체(S1) 역시 모바일기기가 결합 또는 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모바일기기(M) 전면을 보고 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가로와 세로를 정하며, 다른 도면과 관련된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플립타입 보호케이스(C)는 도 1 [A] 및 [B]의 커버(C1) 비개방 상태 사시도와 도 2 [A]의 커버 개방 상태 사시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크게 바디(C2), 커버(C1), 이 바디와 커버를 연결하는 연결부(C1b)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플립타입 또는 지갑형 보호케이스로, 일정 두께를 갖는 사각형, 특히 직사각형 모바일기기의 전면(디스플레이(M1)측)과 후면, 그리고 일측면(특히 측부 중 장변(長邊))을 감싸(반대측 장변(長邊)과 상하 두 단변(短邊)이 노출된다) 모바일 기기를 보호하게 된다. 필요에 따라 상기 연결부는 모바일 기기의 측부 중 상부 또는 하부 단변(短邊)을 감싸는 형태로 변형될 수 있고, 이때에 보호케이스는 좌우 두 장변(長邊)과 하부 또는 상부 단변(短邊)을 감싸 모바일기기를 보호하게 된다.
본 고안의 보호케이스(C)는 통상의 것과 마찬가지로 외부 노출 소재는 천연 또는 인조 가죽이나 직물 소재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인조 또는 천연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바디(C2)는 모바일기기(M)의 후면에 결합되며, 도 2 [B]와 같이 모바일기기(M1) 수용부(C2a)를 갖는 수용부재(C2A)와 커버(C1)와 일체감을 이루는 배면부재(C2B)로 구성되며,
특히 상기 배면부재(C2B)와 연결부(C1b) 그리고 커버(C1)는 하나의 시트(특히 천연 또는 인조 가죽 시트)의 중간을 접은 형태일 수 있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수용부재만으로 바디를 구성하고, 이 수용부재에 커버를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한 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 바디(C2)는 도 2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에 모바일기기(M)의 카메라 등이 노출되도록 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노출홀(C2b)가 구비될 수 있으며, 바디(C2), 특히 수용부재(C2A)의 측면의 장변(長邊) 또는 단변(短邊)에는 다양한 모바일기기 기능부(버튼(또는 스위치), 스피커, 안테나 또는 이어폰 단자 등)의 노출을 위한 구멍이나 현출을 위한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모바일기기의 기능부 현출을 위한 돌출부 중 도 1 [A]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모바일기기(M)의 우측면에 구비된 통화 종료 스위치(또는 버튼)(M3)이다(편의상 수용부재의 돌출부와 겹치므로 모바일기기의 스위치를 중심으로 지시부호를 표시함).
다음으로 상기 커버(C1)는 모바일기기(M)의 전면 디스플레이(M1)를 개폐하고, 상기 바디(M2), 특히 배면부재(C2B)에 연결부(C1b)를 통하여 어어져 있고,
모바일기기(M)의 디스플레이(M1)를 부분 관찰할 수 있는 윈도우(C1a)가 구비되어 있다. 이 윈도우는 단순 통공일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통공에 투광성 필름을 더 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M1)를 부분 관찰할 수 있는 윈도우(C1a)를 통하여 커버(C1) 개방 없이 전화 통화 등 모바일기기(M)의 디스플레이(M1)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편리하고, 이와 아울러 플립타입 보호케이스(C) 또는 지갑형 보호케이스의 중요 선호 사유 중 하나인 신용카드 등의 물품을 위한 수납부, 특히 제1수납부(C1e)(도 2 [A] 참조) 도입을 보장하여 모바일기기 자체의 사용편리성과 보호케이스의 추가 기능인 수납 편리성의 확보가 동시에 가능하여 상품가치까지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M1)를 부분 관찰할 수 있는 윈도우(C1a)는 모바일기기(M), 특히 스마트폰의 전화 수신시 상대방의 정보(전화번호 및 이름(스마트폰 내장 정보 또는 상대방 설정 정보))인 발신자정보(M1a)를 표시할 수 있는 위치에 배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커버(C1)는 스마트폰에 적합하게 통화 수신 스피커(M4) 위치에 스피커홀(C1d)이 구비되어 있음은 물론,
모바일기기의 전면에 구비된 스위치(또는 버튼) 드러내는 현출부(C1c)를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현출부(C1c)는 특히 스마트폰의 웨이크업(Wake-UP) 버튼이자 전화 수신시 통화 연결 기능을 하는 버튼(또는 스위치)(M2)(도 2 [A] 참조)이며, 현철부(C1c)는 커버(C1) 닫힘시 스위치(M2)와 중첩되는 위치에 배열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M2)를 가리면서 스위치 위치를 도드라지게 하는 방식일 수 있고, 대안적으로 절개된 형태의 현출부여서 스위치를 노출시키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아울러 도 2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C1)는 물품, 특히 신용카드나 교통카드, 신분증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제1수납부(C1e)를 구비하여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바, 이 제1수납부는 커버는 윈도우 영역 외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1수납부는 신분증을 수납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투명 필름으로 구성된 관찰창(C1f)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부(C1b) 반대측에 구비되어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를 덮은 커버(C1)를 상기 바디(C2)에 구속하여 커버의 임의 개방을 방지하는 로커(C3)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로커(C3)는 특히 윈도우(C1a)와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한정된 커버 크기에도 불구하고 확실하게 필요한 윈도우의 면적을 확보·보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로커(C3)는 바디(C2) 우측에 결합된 연결밴드(C3a)와, 커버(C1) 상면에 구비된 자석(C3b)( 도 2 [B] 참조), 그리고 연결밴드에 구비된 자성체(C3c)로 구성되어, 커버(C1)의 디스플레이(M1) 폐쇄·가림 상태를 확고하게 한다. 상기 자석과 자성체는 단순한 스냅버튼(속칭 '똑딱단추')로 변형되거나, 벨크로테이프를 도입하는 형태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로커는 연결부의 반대쪽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연결부가 모바일기기의 일 단변(短邊)측에 구비된 다면, 로커는 모바일기기의 다른 단변(短邊)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C2)와 상기 모바일기기(M) 후면, 특히 수용부재(C2A)와 배면부재(C2B) 사이에는 커버(C1) 개방시 연결부측이 개구되는 제2수납부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2수납부(C2c)는 커버에 구비된 윈도우(C1a)로 인하여 제1수납부(C1e)의 수납공간이 축소되는 문제를 해결함은 물론, 상기 로커(C3)와 함께 상대적으로 제1수납부에 비하여 커버 폐쇄상태에서 연결부(C1b)로 인하여 제2수납부에 수용된 물품(G)(신용카드, 교통카드, 신분증, 지폐 등)의 이탈이 불가능하게 되어 안전성 및 보안성이 증대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비개방 사용이 가능한 모바일기기용 플립타입 보호케이스(C)는 모바일기기(M)의 비사용시 비치, 장시간 동안의 동영상 등의 시청 등을 위한 직립 상태(엄격한 의미가 아닌 '세워서 관찰 또는 보관이 가능한 상태'를 의미하며, 통상 기울어진 상태이다)의 유지를 위한 지지체(S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도 2 [B],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지지체(S1)를 살펴보면, 이는 크게 장착수단(10)과 다리부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장착수단(10)은 스마트폰, PDA, 태블릿PC 등의 모바일기기(M)의 배면에 다리부재(20)를 고정하는 기능을 하며, 모바일기기(M) 배면에 배열되는 패널부재(11)를 갖는다.
도 2 [B]에서 이러한 패널부재(11)는 바디(C2)에 구비되는데,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수용부재(C2A)와 가죽소재로 이루어진 배면부재(C2B)와는 별도의 소재(예: 합성수지)로 성형한 것을 부착할 수 있고,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부재로 구성된 장착수단(10) 미감 향상을 위한 하트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패널부재는 수용부재(C2A) 또는 배면부재(C2B)의 일부를 이룰 수 있고, 제조 방식 또한 수용부재 또는 배면부재와 일체로(동시 사출, 이중사출, 인서트 사출 등) 성형되거나 별도 성형후 접착 방식으로 상호 부착될 수있다.
도 4 내지 도 8에는 도 2 [B]와 달리 패널부재가 단순히 사각형인 형태의 것, 그리고 보호케이스(C)와 분리된 형태의 것을 위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패널부재 또는 장착수단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과 다양한 방식을 취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의 [B]에서 장착수단(10)의 패널부재(11)는 모바일기기(M) 배면에 직접 부착되거나, 모바일기기 보호를 위한 바디(C2m)(또는 범퍼류 등)(특히 커버 외에 수용부재만을 도시함)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도 5 [B] 및 도 6에서는 모바일기기 및 보호케이스를 지지체(S1)와의 연결관계 및 기능을 중점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단순화하여 도시하고 있다). 부착에는 양면테이프와 같은 다양한 접착부재(13)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다리부재(20)는 다양한 회동축부재(21)를 통하여 상기 패널부재(11)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 다리부재는 회동축부재(21)에서 멀어질수록 좁아지는 광폭부(23A)와 협폭부(23B)를 갖는데,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폭이 넓다가 좁아지는 다리부재(20)는
디스플레이의 단변(短邊)이 상부에 위치하는 세로방향으로 세우기(도 6 [A])나,
장변(長邊)이 상부에 위치하는 가로방향으로 세우기(도 6 [B])가 모두 가능하도록 함에 있어
안정된 모바일기기 세우기를 보장하여 TV 또는 영화 등의 시청 등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사항에 해당한다.
만약 다리부재의 폭이 동일한 장방형을 갖는 경우에는 가로방향 세우기의 경우 수직에 가깝게 되고, 모바일기기가 앞으로 넘어지는 등의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또한 모바일 기기 본래의 두께감을 해치지 않기 위해선 상기 지지체는 가능한 박형을 가져야 보호케이스로서의 상품성이 있는데, 만약 다리부재(20)를 폭이 좁은 부재나 봉상부재로 활용할 경우, 상기 다리부재는 강도가 약해져 파손되기 쉽고, 강도를 보장하기 위하여 일반 합성수지 등의 범용소재가 아닌 특수소재를 사용하여 상기 다리부재를 폭이 좁은 부재나 봉상부재의 형태로 활용하는 경우에는 단가 경쟁력의 문제가 생겨 바람직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가로방향 세우기 상태에서 너무 뒤로 눕게 되는 문제를 일으킨다.
따라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다리부재(20)가 회동축부재(21)에서 '멀어질수록 좁아진다'라를 표현은
본질적으로 모바일기기의 가로 및 세로 측면 부분이 지지체(S1)와 함께 모바일기기(M)의 스탠딩수단으로 기능하는 상태에서 모바일기기의 가로 및 세로 폭 보다 다리부재(20)의 지면 접촉 지지부(25) 폭이 좁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다리부재(20)가 회동축부재(21)에서 '멀어질수록 좁아진다'라를 표현은
더 한정해서는 다리부재의 안정된 회전 특성과 박형 지지체(S1) 구조 특성을 모두 충족하기 위하여
회동축부재(21)가 사각형 디스플레이 형상에 맞게 대략 사각(특히 직사각) 형상을 갖는 모바일기기 케이스의 가로 또는 세로 폭 보다 작으나 가능한 넓게 확보된 양 축설 단부(21e)(도 4 [A] 참조)를 갖는 것에 비하여,
다리부재(20)의 지지부는 경사진 형태로 모바일기기가 안정되게 직립할 수 있으면서도, 가로 및 세로 세우기가 모두 가능하도록 회동축부재(21)의 양 축설 단부(21e) 보다 좁게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나아가 보다 더 한정해서는 다리부재(20)가 회동축부재(21)에서 '멀어질수록 좁아진다'라를 표현은
다리부재(20) 회동축부재(21)의 양 축설 단부(21e)와 지지부(25)를 연결할 경우 삼각형, 특히 이등변 삼각형 형태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도면에서는 실질적으로 다리부재는 절두형 이등변 삼각형 형태를 갖는다).
또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지면'은 테이블, 차량 대쉬보드 등 모바일기기(M)가 자립 상태로 놓여지는 부분을 대표하여 지칭한 것이다.
다시 도 4 내지 도 6에서, 본 고안에 따른 보호케이스(S1) 중 지지체(S1)는 상기 다리부재(20) 단부가 삼각형 다리의 꼭지점을 자른 형상으로, 날카로운 단부일 경우 안전상의 문제를 일으키지 않도록 되어 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도 5 [A] 우측의 세 일점쇄선 원 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면과 선접촉하도록 직선 지지부(25)를 갖는 기본 형상이거나, 변형예로 2점 이상의 지지부(25a)(25b)(각각 2점 및 3점 지지부)를 갖는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 단부를 둥글게 처리하는 방안도 유용하다.
한편, 상기 다리부재(20) 후면에는 보강살(20a)(도 5 [A] 참조)이 구비되어 있다.
나아가 상기 장착수단(10)은 패널부재(11)를 모바일기기(M) 또는 바디(C2m) 배면에 장착함에 있어, 도 5 [B] 우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디(C2m)에 노출공(C2h)을 형성하고 바디(C2m) 내면에 보호케이스를 부착하는 방안을 취할 수 있다. 이때 바디(C2m) 내면과 패널부재(11)의 결합은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테이프(13)를 이용할 수 있다.
나아가 바디(C2m)와 모바일기기(M)의 이격 방지를 위하여 상기 바디(C2m)의 노출공(C2h) 주변 내면에는 안착리세스(C2r)를 형성하여 패널부재(11) 두께에도 불구하고 바디(C2m)와 모바일기기(M)의 밀착을 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장착수단(10)의 패널부재(11)에는 다리부재(20)를 벌리기 위한 손가락투입부(11A)가 구비되어 있어 쉽게 다리부재(20)를 펼칠 수 있으며,
특히 정지수단(30)으로 인하여 다리부재(20)가 완전히 접혀 장착수단(10) 배면과 평면을 이루고 있는 상태가 고정되는 구조와 함께 비개방 사용이 가능한 모바일기기용 플립타입 보호케이스(C) 사용을 위한 펼침과 비개방 사용이 가능한 모바일기기용 플립타입 보호케이스(C) 비사용시의 접힘 기능의 완벽을 기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나아가 외형상 상기 일 꼭지점 절단형 다리부재(20)와 상기 손가락투입부(11A)(도 4 [A] 참조)가 다리부재가 접혀 수납된 상태에서 경계면이 삼각형을 이루는 구조이므로 미려한 외관 제공에 일조할 수 있다.
이어서 본 고안에 따른 비개방 사용이 가능한 모바일기기용 플립타입 보호케이스(C)는 상기 장착수단(10)과 상기 다리부재(20) 사이에 구비되어 다리부재(20)의 선회 정도를 제한하는 정지수단(30)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지수단(30)은 먼저 다리부재(20)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더 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상기 패널부재(11)의 상부에 구비된 걸림턱(31)을 갖는다. 도 4의 [A]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부재(20)의 회동축부재(21) 동축상의 상면부와 이 걸림턱(31)이 맞닿아 정지 기능을 하게 된다.
또 정지수단(30)은 도 5 [A]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부재(20)가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펼침 반대방향으로 넘어가지 않고 패널부재(11) 후면과 다리부재(20) 후면이 평면을 유지하도록 하는 받침돌기(33)를 포함한다.
상기 받침돌기(33)는 패널부재(11)에 구비되고, 다리부재(20)의 외곽에 상응하는 형상을 이루며, 대략 삼각형 구명 둘레 중 회동축부재(21)측이 아닌 다른 두 변(邊) 각각에 상호 이격 형성된 두 쌍으로 구성되어 있다.
나아가 상기 정지수단(30)은 다리부재(20)가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임의로 접히지 않도록 하는 정지돌기를 포함한다.
이 정지돌기는 특히 도 5 [A]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리부재(20)에 구비된 두 제1정지돌기(35A)와, 이 제1정지돌기(35A)와 엇갈린 위치에서 패널부재(11)의 삼각형 구멍 둘레에 형성된 두 쌍의 제2정지돌기(35B)를 포함한다.
아울러 제1정지돌기(35A)에 대응하여 패널부재(11)의 삼각형 구멍 둘레의 해당 위치에는 제1정지돌기(35A)와 결합하는 정지홈(35a)이 더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4의 [B]에 변형예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정지수단(30)은 다리부재(20)의 단계적 펼침을 보장하도록 다단 결합홈(37)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리부재(20)의 회동축부재(21)와 동축상의 중앙부에는 복수의 다단 결합홈(37)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상응하게 상기 패널부재(11)에는 주변 절개부를 통하여 원활하게 탄성을 확보하도록 되어 있는 탄지편(37a)에 구비된 스토퍼(37A)가 구비되어 있어,
다리부재(20)의 펼침 각도에 따라 스토퍼(37A)가 서로 다른 결합홈(37)과 차례로 결합하면서 단계적인 펼침 및 정지를 보장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를 통하여 모바일기기 디스플레이 관찰 각도를 안정되게 선택할 수 있다.
나아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다리부재(20)의 지지부(25)(25a)(25b)에는 다양한 마찰증대부재(예: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엘라스토머)가 구비되어 있어 책상 등에 세워진 모바일기기가 임의로 밀리거나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비개방 사용이 가능한 모바일기기용 플립타입 보호케이스에 포함된 지지체(S1)는 상기 다리부재(20)의 후면에 유에스비(USB) 메모리카드장치(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리부재(20) 후면에 유에스비(USB) 메모리카드장치(40)를 더 구비함으로써, 사용자는 별도의 보조기억장치를 구비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다.
상기 유에스비(USB) 메모리카드장치(40)는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고리부(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리부는 상기 유에스비(USB) 메모리카드장치의 일측에 연장되어 돌출 형성하되, 하나 이상의 통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유에스비(USB) 메모리카드장치(40) 통공된 고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서, 상기 지지체(S1)의 다리부재(20)에 내장되어 보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필요에 따라 상기 고리부(43)에 열쇠고리나, 휴대폰고리를 연결하여 보관할 수 있어 본 고안에 따른 비개방 사용이 가능한 모바일기기용 플립타입 보호케이스(C)의 지지체의 휴대성을 더욱 증대시킨다.
본 고안에 따른 비개방 사용이 가능한 모바일기기용 플립타입 보호케이스(C) 중 지지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리부재(20)에 상기 유에스비(USB) 메모리카드장치(40)의 형상과 대응되는 안착홈(27)을 갖는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비개방 사용이 가능한 모바일기기용 플립타입 보호케이스(C)의 유에스비(USB) 메모리카드장치가 내장된 지지체를 모바일 기기에 부착하여도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리부재(20)의 안착홈(27)에 상기 유에스비(USB) 메모리카드장치(40)가 내장 수용되기 때문에, 모바일 기기 본래의 두께감을 해치지 않는다.
나아가, 도 7 및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홈(27)은 상기 고리부(43)의 형상을 포함하여 형성하되, 고리부(43)의 형상보다 넓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손가락투입홈(27a)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가락투입홈(27a)이 연장 형성되어짐으로써, 상기 유에스비(USB) 메모리카드장치가 상기 다리부재에 결합되어 내장되어 있을 때, 상기 손가락투입홈(27a)에 손가락을 넣을 수 있어 상기 유에스비(USB) 메모리카드장치(40)의 취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손가락을 손가락투입홈(27a)에 넣었을 때 상기 유에스비 메모리카드장치의 고리부(43)가 걸림장치 역할을 하게 됨으로써, 상기 유에스비(USB) 메모리카드장치(40)의 취출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에스비(USB) 메모리카드장치(40) 및 상기 다리부재(20)의 안착홈(27)에는 별도의 결합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에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에스비(USB) 메모리카드장치는 각가의 측면부에 복수개의 결합홈(41)을 갖고, 상기 결합홈(41)과 대응되어 결합되고, 상기 안착홈(27)에서 돌출되고,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복수개의 걸림부(29)는 상기 다리부재의 안착홈에 더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29)와 결합홈(41)에 의해 상기 유에스비(USB) 메모리카드장치(40)는 자유로운 탈착이 가능하며, 상기 다리부재(20)가 선회 시에도 상기 유에스비(USB) 메모리카드장치(40)는 상기 다리부재(20)에 결합되어 고정 유지될 수 있다.
상기한 걸림부 및 결합홈은 본 고안에 따른 비개방 사용이 가능한 모바일기기용 플립타입 보호케이스(C)의 유에스비(USB) 메모리카드장치의 한 실시예로서 도 8에서 도시된 예로 한정되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유에스비(USB) 메모리카드장치(40)는 복수개의 결합홈(41) 또는 걸림부(29)로 이루어진 결합장치를 더 구비하여 형성되고, 상기 다리부재 후면에는 상기 결합장치와 대응되어 결합되는 걸림부(29) 또는 결합홈(41)을 더 구비하는 안착홈(27)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리부재에 수납되는 유에스비(USB) 메모리카드장치는 수납물품을 대표하여 지칭하는 것일 뿐으로, 교통카드, 신용카드 기능의 칩이나 소형 카드 등 다양한 물품이 수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수납물품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비개방 사용이 가능한 모바일기기용 플립타입 보호케이스(C)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 모바일기기용 플립타입 보호케이스
M: 모바일기기 M1: 디스플레이
C1: 커버 C1a: 윈도우 C1b: 연결부 C1b: 현출부
C2: 바디 C2A: 수용부재 C2B: 배면부재 C2c: 제2수납부
C3: 로커 C3a: 연결밴드 C3b: 자석 C3b: 자성체
S1: 지지체
10: 장착수단 11: 패널부재
11A: 손가락투입부 13: 접착부재
20: 다리부재 21: 회동축부재
25,25a,25b: 지지부 30: 정지수단
31: 걸림턱 33: 받침돌기
35A,35B: 정지돌기 37: 다단홈
40: 유에스비(USB) 메모리카드장치 41: 결합홈
43: 고리부

Claims (4)

  1. 모바일기기의 후면에 결합되는 바디; 및
    모바일기기의 전면 디스플레이를 개폐하고, 상기 바디에 연결부를 통하여 이어진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에는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를 부분 관찰할 수 있는 윈도우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커버는 윈도우 영역 외측에 구비된 제1수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개방 사용이 가능한 모바일기기용 플립타입 보호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모바일기기의 전면에 구비된 스위치를 드러내는 현출부를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개방 사용이 가능한 모바일기기용 플립타입 보호케이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반대측에 구비되어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를 덮은 커버를 상기 바디에 구속하여 커버의 임의 개방을 방지하는 로커가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로커는 윈도우와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디와 상기 모바일기기 후면 사이에는 커버 개방시 연결부측이 개구되는 제2수납부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개방 사용이 가능한 모바일기기용 플립타입 보호케이스.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 결합되는 패널부재를 포함하는 배면 장착수단과,
    상기 장착수단의 패널부재에 회동축부재를 통하여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동축부재에서 멀어질수록 좁아지는 다리부재를 포함하는 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개방 사용이 가능한 모바일기기용 플립타입 보호케이스.
KR2020120008794U 2012-02-29 2012-09-28 비개방 사용이 가능한 모바일기기용 플립타입 보호케이스 KR20130005319U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794U KR20130005319U (ko) 2012-02-29 2012-09-28 비개방 사용이 가능한 모바일기기용 플립타입 보호케이스
KR2020120012424U KR20130005320U (ko) 2012-02-29 2012-12-31 비개방 사용이 가능한 모바일기기용 플립타입 보호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594 2012-02-29
KR2020120001594U KR20130001706U (ko) 2011-09-02 2012-02-29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
KR2020120008794U KR20130005319U (ko) 2012-02-29 2012-09-28 비개방 사용이 가능한 모바일기기용 플립타입 보호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319U true KR20130005319U (ko) 2013-09-06

Family

ID=5243361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8794U KR20130005319U (ko) 2012-02-29 2012-09-28 비개방 사용이 가능한 모바일기기용 플립타입 보호케이스
KR2020120012424U KR20130005320U (ko) 2012-02-29 2012-12-31 비개방 사용이 가능한 모바일기기용 플립타입 보호케이스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2424U KR20130005320U (ko) 2012-02-29 2012-12-31 비개방 사용이 가능한 모바일기기용 플립타입 보호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3000531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75244A (zh) * 2016-12-19 2017-05-31 深圳天珑无线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显示方法和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5362B1 (ko) * 2013-12-03 2020-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커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75244A (zh) * 2016-12-19 2017-05-31 深圳天珑无线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显示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320U (ko) 2013-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5772B1 (ko)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KR101226084B1 (ko) 기능성을 구비한 스마트기기용 케이스
KR20140003803U (ko) 가변형 지갑이 구비된 안전 수납 구조의 휴대폰 케이스
KR101419199B1 (ko) 휴대폰용 케이스
KR20130005319U (ko) 비개방 사용이 가능한 모바일기기용 플립타입 보호케이스
KR101464254B1 (ko) 휴대폰 보호케이스
KR200473012Y1 (ko) 휴대폰 케이스
KR200474129Y1 (ko)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200472690Y1 (ko) 지갑겸용 스마트폰 케이스
KR101591302B1 (ko) 지갑겸용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2228884B1 (ko) 휴대폰 케이스
KR200479106Y1 (ko) 다용도 휴대폰 파우치
KR101392058B1 (ko) 휴대폰용 케이스
KR101340346B1 (ko) 교통 카드 수납용 휴대폰 케이스
KR200464902Y1 (ko) 휴대폰에 부착되는 카드 케이스
KR20180096641A (ko) 보호구
KR200487743Y1 (ko) 다용도 수납 케이스
KR20110109668A (ko) 커넥터 커버가 부착된 핸드폰 케이스
KR200482539Y1 (ko) 덮개형 카드 지갑이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KR200467191Y1 (ko)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CN209359837U (zh) 电子产品保护套
KR101433005B1 (ko) 수납된 카드 이탈 방지 구조를 갖는 휴대폰케이스
KR200487167Y1 (ko) 보호 커버
KR20170003703U (ko) 카드 수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KR200464834Y1 (ko) 휴대폰에 부착되는 카드 케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