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1706U -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1706U
KR20130001706U KR2020120001594U KR20120001594U KR20130001706U KR 20130001706 U KR20130001706 U KR 20130001706U KR 2020120001594 U KR2020120001594 U KR 2020120001594U KR 20120001594 U KR20120001594 U KR 20120001594U KR 20130001706 U KR20130001706 U KR 2013000170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support
stand assembly
coupled
le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15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복진
이원엽
Original Assignee
이원엽
지복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엽, 지복진 filed Critical 이원엽
Priority to KR20201200025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1707U/ko
Priority to KR2020120008794U priority patent/KR20130005319U/ko
Priority to KR2020120012424U priority patent/KR20130005320U/ko
Publication of KR201300017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70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 H04M1/12Adjustable supports, e.g. extensible
    • H04M1/13Adjustable supports, e.g. extensible pantograph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이나 DMB 폰 등을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필요에 따라 임의로 세울 수 있어 TV 또는 영화 등의 시청이나 인터넷 검색 등의 사용은 물론 문자 수발신이나 단순 대기 상태에서의 비치시에도 매우 편리하며, 모바일기기 배면에 직접 부착하거나 모바일기기에 결합된 보호커버에도 부착할 수 있어 장착이 쉽고 다양한 기종의 모바일기기에 모두 적용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 및 구매력 증대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결합형 지지체를 포함하고, 나아가 차량에 장착하여 영상 시청이나 네비게이션 용도 활용시에도 편리하며 안치부재가 승하강함에 따라 기둥부의 경사형 주안내부를 움직이면서 자연스럽게 각도가 변위되므로 사용편리성 또한 크게 증대된 분리형 지지체까지 포함하여 구성된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는 패널부재를 포함하는 모바일기기 배면 장착수단; 및 상기 장착수단의 패널부재에 회동축부재를 통하여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동축부재에서 멀어질수록 좁아지는 다리부재;를 포함하는 결합형 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STAND ASSEMBLY FOR MOBILE}
본 고안은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이나 DMB 폰 등을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필요에 따라 임의로 세울 수 있어 TV 또는 영화 등의 시청이나 인터넷 검색 등의 사용은 물론 문자 수발신이나 단순 대기 상태에서의 비치시에도 매우 편리하며, 모바일기기 배면에 직접 부착하거나 모바일기기에 결합된 보호커버에도 부착할 수 있어 장착이 쉽고 다양한 기종의 모바일기기에 모두 적용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 및 구매력 증대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결합형 지지체를 포함하고,
나아가 차량에 장착하여 영상 시청이나 네비게이션 용도 활용시에도 편리하며 안치부재가 승하강함에 따라 기둥부의 경사형 주안내부를 움직이면서 자연스럽게 각도가 변위되므로 사용편리성 또한 크게 증대된 분리형 지지체까지 포함하여 구성된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등의 모바일기기는 단순히 유선 전화 대용 또는 대체 기능을 넘어 통화, 인터넷 활용, 업무용, 영화 및 TV 등의 감상용 기능 등으로 확장되고 있고,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전통적인 기능의 한계 및 제품간 경계를 무너뜨리는 기술의 첨단에 위치하고 있다.
또 이러한 휴대폰 등의 모바일기기의 사용편리성을 증대시키는 악세서리도 다양하게 개발되고 시판되고 있는 상황이다.
다양한 악세서리 중 모바일기기의 대기상태의 보관이나 TV 또는 영화 등의 시청을 위하여 디스플레이를 정면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세워 놓기 위한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와 관련된 기술로는 실용신안등록 제20-0397129호(등록일자 2005년09월22일) [핸드폰 케이스용 거치대]가 있다.
상기 등록고안은 가정, 직장 또는 야외 등에서 핸드폰 케이스를 책상이나 일반 구조물 등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 용이하게 세워 놓은 상태에서 핸드폰의 액정화면을 편리하게 볼 수 있도록 한 핸드폰 케이스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폰을 수용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배면 상부에 형성되어 힌지공(11a)을 구비하는 힌지부(11)와; 상기 힌지부(1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케이스(10)를 경사지게 세워주는 서포트(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 힌지부(11)는 케이스(10)의 배면 양측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서포트(20)는 철봉으로 절곡형성되어 양측 상부에는 힌지공(11a)에 끼워지는 힌지핀(21)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10)의 배면에는 서포트(20)가 끼워지는 요홈(12)과 서포트(20)를 고정시키는 고정돌기(13) 및 인출홈(14)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등록고안은 힌지부(11)가 돌출되어 있어 주머니에 넣거나 이동할 때 불편하고, 디스플레이의 단변(短邊)의 상부에 위치한 세로방향으로 세우기에는 적합하나, 장변(長邊)이 상부에 위치한 가로방향으로 세우는 용도로는 활용하기에 부적합하여 한계를 갖는다.
이에 본 고안은 스마트폰이나 DMB 폰 등 핸드폰과 같은 각종 모바일기기를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필요에 따라 임의로 세울 수 있어 TV 또는 영화 등의 시청이나 인터넷 검색 등의 사용은 물론 문자 수발신이나 단순 대기 상태에서의 비치시에도 매우 편리하도록 회동축부재에서 멀어질수록 좁아지는 다리부재를 구비한 결합형 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은 모바일기기 배면에 직접 부착하거나 모바일기기에 결합된 보호커버에도 부착할 수 있어 장착이 쉽고 다양한 기종의 모바일기기에 모두 적용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 및 구매력 증대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장착수단의 패널부재 이면에 접착부재를 도입한 결합형 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고안은 상기 장착수단과 상기 다리부재 사이에 다리부재의 선회 정도를 제한하는 정지수단을 도입하여 편리성을 증대시킨 결합형 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은 차량에 장착하여 영상 시청이나 네비게이션 용도 활용시에도 편리하며 안치부재가 승하강함에 따라 기둥부의 경사형 주안내부를 움직이면서 자연스럽게 각도가 변위되므로 사용편리성 또한 크게 증대된 분리형 지지체까지 포함하여 구성된 분리형 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은 상기 안치부재의 안치면에 표면 마찰특성이 우수한 연질의 엘라스토 소재, 특히 연질 실리콘 소재의 논슬립패드를 더 도입하여 차량 장착시 모바일기기 낙하 위험을 제거한 분리형 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은 기둥부의 주안내부를 따라 움직이는 안치부재의 승하강 안정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기둥부의 보조안내부와 안치부재의 가이더가 상호 결합되도록 보완한 분리형 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는
패널부재를 포함하는 모바일기기 배면 장착수단; 및
상기 장착수단의 패널부재에 회동축부재를 통하여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동축부재에서 멀어질수록 좁아지는 다리부재;
를 포함하는 결합형 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의 결합형 지지체에서
상기 다리부재의 단부는 지지면과 선접촉하도록 직선 지지부를 갖거나, 2점 이상의 지지부를 갖고,
상기 장착수단과 상기 다리부재 사이에는 다리부재의 선회 정도를 제한하는 정지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장착수단의 패널부재에는 다리부재를 벌리기 위한 손가락투입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는
지면지지부;
상기 지면지지부 상부에 구비되고, 경사형 주안내부를 갖는 기둥부;
상기 기둥부의 경사형 주안내부를 따라 승하강하여 각도가 변위되고, 모바일기기용 전면 안치면을 구비한 안치부재; 및
상기 안치부재의 승하강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분리형 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의 분리형 지지체에서
상기 기둥부는 보조안내부를 갖고, 상기 안치부재 후면에는 상기 보조안내부에 결합되는 가이더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안치부재의 안치면에는 논슬립패드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분리형 지지체와 결합형 지지체의 연계 구성과 관련하여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는
패널부재를 포함하는 모바일기기 배면 장착수단; 및 상기 장착수단의 패널부재에 회동축부재를 통하여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동축부재에서 멀어질수록 좁아지는 다리부재;를 포함하는 결합형 지지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모바일기기가 결합된 상기 결합형 지지체의 다리부재를 벌린 상태에서 상기 분리형 지지체의 안치부재에 걸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는 결합형 지지체를 통하여 많은 장점을 갖게 되는데, 먼저 회동축부재에서 멀어질수록 좁아지는 다리부재를 구비하고 있어 스마트폰이나 DMB 폰 등 핸드폰과 같은 각종 모바일기기를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필요에 따라 임의로 세울 수 있어 TV 또는 영화 등의 시청이나 인터넷 검색 등의 사용은 물론 문자 수발신이나 단순 대기 상태에서의 비치시에도 매우 편리하도며, 또 장착수단의 패널부재 이면에 접착부재를 도입하여 모바일기기 배면에 직접 부착하거나 모바일기기에 결합된 보호커버에도 부착할 수 있어 장착이 쉽고 다양한 기종의 모바일기기에 모두 적용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 및 구매력 증대에 크게 기여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장착수단과 상기 다리부재 사이에 다리부재의 선회 정도를 제한하는 정지수단을 도입하여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는 분리형 지지체를 통하여 또 다른 이점을 제공하게 되는데, 안치부재가 승하강함에 따라 기둥부의 경사형 주안내부를 움직이면서 자연스럽게 각도가 변위되므로 사용편리성 또한 크게 증대되고, 특히 차량에 장착하여 영상 시청이나 네비게이션 용도 활용시에도 편리하게 되며, 또 상기 안치부재의 안치면에 표면 마찰특성이 우수한 연질의 엘라스토 소재, 특히 연질 실리콘 소재의 논슬립패드를 더 도입하여 차량 장착시 모바일기기 낙하 위험을 제거할 수 있고, 또 기둥부의 보조안내부와 안치부재의 가이더가 상호 결합되도록 보완하여 기둥부의 주안내부를 따라 움직이는 안치부재의 승하강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휴대폰용 스탠드 어셈블리 중 결합형 지지체에 대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 중 결합형 지지체의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 중 결합형 지지체의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의 결합형 지지체와 분리형 지지체의 연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 중 분리형 지지체에 대한 도면들.
도 7은 분리형 지지체의 분해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S)염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2 및 도 5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모바일기기(M)의 디스플레이를 관찰하는 사용 상태를 기준으로 전후면을 정하고,
모바일기기를 받치는 결합형 지지체(S1)와 분리형 지지체(S2) 역시 모바일기기가 결합 또는 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모바일기기(M) 전면을 보고 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전후좌우 상하를 정하며, 다른 도면과 관련된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먼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S) 중 결합형 지지체(S)를 살펴보면, 이는 크게 장착수단(10)과 다리부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장착수단(10)은 휴대폰, PDA, 태블릿PC 등의 모바일기기(M)의 배면에 다리부재(20)를 고정하는 기능을 하며, 모바일기기(M) 배면에 배열되는 패널부재(11)를 갖는다.
도 3의 [B]에서 패널부재(11)는 모바일기기(M) 배면에 직접 부착되거나, 모바일기기 보호를 위한 보호커버(40)(또는 범퍼류 등)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부착에는 양면테이프와 같은 다양한 접착부재(13)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다리부재(20)는 다양한 회동축부재(21)를 통하여 상기 패널부재(11)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 다리부재는 회동축부재(21)에서 멀어질수록 좁아져 광폭부(23A)와 협폭부(23B)를 갖는데,
이러한 폭이 넓다가 좁아지는 다리부재(20)가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의 단변(短邊)의 상부에 위치한 세로방향으로 세우기(도 4 [A])나,
장변(長邊)이 상부에 위치한 가로방향으로 세우기(도 4 [B])가 모두 가능하도록 함에 있어
안정된 모바일기기 세우기를 보장하여 TV 또는 영화 등의 시청 등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사항에 해당한다.
만약 다리부재의 폭이 동일한 장방형을 갖는 경우에는 가로방향 세우기의 경우 수직에 가깝게 되고, 모바일기기가 앞으로 넘어지는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또 만약 다리부재를 폭이 좁은 부재나 봉상부재를 활용하는 경우
모바일 기기 본래의 두께감을 해치지 않도록 가능한 박형을 가져야 상품성이 있는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의 특성상 가늘어야 하므로
강도의 문제를 일으키고, 일반 합성수지 등의 범용소재가 아닌 특수소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단가 경쟁력의 문제를 일으키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며,
나아가 가로방향 세우기 상태에서 너무 뒤로 눕게 되는 문제를 일으킨다.
따라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다리부재(20)가 회동축부재(21)에서 '멀어질수록 좁아진다'라를 표현은
본질적으로 모바일기기의 가로 및 세로 측면 부분이 결합형 지지체(S1)와 함께 모바일기기(M)의 스탠딩수단으로 기능하는 상태에서 모바일기기의 가로 및 세로 폭 보다 다리부재(20)의 지면 접촉 지지부(25) 폭이 좁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다리부재(20)가 회동축부재(21)에서 '멀어질수록 좁아진다'라를 표현은
더 한정해서는 다리부재의 안정된 회전 특성과 박형 지지체(S1) 구조 특성을 모두 충족하기 위하여
회동축부재(21)가 사각형 디스플레이 형상에 맞게 대략 사각(특히 직사각) 형상을 갖는 모바일기기 케이스의 가로 또는 세로 폭 보다 작으나 가능한 넓게 확보된 양 축설 단부(21e)(도 2 [A] 참조)를 갖는 것에 비하여,
다리부재(20)의 지지부는 경사진 형태로 모바일기기가 안정되게 직립할 수 있으면서도, 가로 및 세로 세우기가 모두 가능하도록 회동축부재(21)의 양 축설 단부(21e) 보다 좁게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나아가 보다 더 한정해서는 다리부재(20)가 회동축부재(21)에서 '멀어질수록 좁아진다'라를 표현은
다리부재(20) 회동축부재(21)의 양 축설 단부(21e)와 지지부(25)를 연결할 경우 삼각형, 특히 이등변 삼각형 형태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도면에서는 실질적으로 다리부재는 절두형 이등변 삼각형 형태를 갖는다).
또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지면'은 테이블, 차량 대쉬보드 등 모바일기기(M)가 자립 상태로 놓여지는 부분을 대표하여 지칭한 것이다.
다시 도 2 내지 도 4에서,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S) 중 결합형 지지체(S)는 상기 다리부재(20) 단부가 삼각형 다리의 꼭지점을 자른 형상으로, 날카로운 단부일 경우 안전상의 문제를 일으키지 않도록 되어 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도 3 [A] 우측의 세 일점쇄선 원 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면과 선접촉하도록 직선 지지부(25)를 갖는 기본 형상이거나, 변형예로 2점 이상의 지지부(25a)(25b)(각각 2점 및 3점 지지부)를 갖는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 단부를 둥글게 처리하는 방안도 유용하다.
한편, 상기 장착수단(10)은 패널부재(11)를 모바일기기(M) 또는 보호커버(40) 배면에 장착함에 있어, 도 3 [B] 우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커버(40)에 노출공(41)을 형성하고 보호커버(40) 내면에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를 부착하는 방안을 취할 수 있다. 이때 보호커버(40) 내면과 패널부재(11)의 결합은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테이프(13)를 이용할 수 있다.
나아가 보호커버(40)와 모바일기기(M)의 이격 방지를 위하여 상기 보호커버(40)의 노출공(41) 주면 내면에는 안착리세스(43)를 형성하여 패널부재(11) 두께에도 불구하고 보호커버(40)와 모바일기기(M)의 밀착을 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장착수단(10)의 패널부재(11)에는 다리부재(20)를 벌리기 위한 손가락투입부(11A)가 구비되어 있어 쉽게 다리부재(20)를 펼칠 수 있으며,
특히 정지수단(30)으로 인하여 다리부재(20)가 완전히 접혀 장착수단(10) 배면과 평면을 이루고 있는 상태가 고정되는 구조와 함께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 사용을 위한 펼침과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 비사용시의 접힘 기능의 완벽을 기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나아가 외형상 상기 일 꼭지점 절단형 다리부재(20)와 상기 손가락투입부(11A)가 다리부재가 접혀 수납된 상태에서 경계면이 삼각형을 이루는 구조이므로 미려한 외관 제공에 일조할 수 있다.
이어서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S)는 상기 장착수단(10)과 상기 다리부재(20) 사이에 구비되어 다리부재(20)의 선회 정도를 제한하는 정지수단(30)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지수단(30)은 먼저 다리부재(20)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더 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상기 패널부재(11)의 상부에 구비된 걸림턱(31)을 갖는다. 도 2의 [A]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부재(20)의 회동축부재(21) 동축상의 상면부와 이 걸림턱(31)이 맞닿아 정지 기능을 하게 된다.
또 정지수단(30)은 도 3 [A]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부재(20)가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펼침 반대방향으로 넘어가지 않고 패널부재(11) 후면과 다리부재(20) 후면이 평면을 유지하도록 하는 받침돌기(33)를 포함한다.
상기 받침돌기(33)는 패널부재(11)에 구비되고, 다리부재(20)의 외곽에 상응하는 형상을 이루며, 대략 삼각형 구명 둘레 중 회동축부재(21)측이 아닌 다른 두 변(邊) 각각에 상호 이격 형성된 두 쌍으로 구성되어 있다.
나아가 상기 정지수단(30)은 다리부재(20)가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임의로 접히지 않도록 하는 정지돌기를 포함한다.
이 정지돌기는 특히 도 3 [A]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리부재(20)에 구비된 두 제1정지돌기(35A)와, 이 제1정지돌기(35A)와 엇갈린 위치에서 패널부재(11)의 삼각형 구멍 둘레에 형성된 두 쌍의 제2정지돌기(35B)를 포함한다.
아울러 제1정지돌기(35A)에 대응하여 패널부재(11)의 삼각형 구멍 둘레의 해당 위치에는 제1정지돌기(35A)와 결합하는 정지홈(35a)이 더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1의 [B]에 변형예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정지수단(30)은 다리부재(20)의 단계적 펼침을 보장하도록 다단 결합홈(37)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리부재(20)의 회동축부재(21)와 동축상의 중앙부에는 복수의 다단 결합홈(37)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상응하게 상기 패널부재(11)에는 주변 절개부를 통하여 원활하게 탄성을 확보하도록 되어 있는 탄지편(37a)에 구비된 스토퍼(37A)가 구비되어 있어,
다리부재(20)의 펼침 각도에 따라 스토퍼(37A)가 서로 다른 결합홈(37)과 차례로 결합하면서 단계적인 펼침 및 정지를 보장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를 통하여 모바일기기 디스플레이 관찰 각도를 안정되게 선택할 수 있다.
나아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다리부재(20)의 지지부(25)(25a)(25b)에는 다양한 마찰증대부재(예: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엘라스토머)가 구비되어 있어 책상 등에 세워진 모바일기기가 임의로 밀리거나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S) 중 분리형 지지체(S2)와, 결합형 지지체와 분리형 지지체(S1)의 연계 상태를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S) 중 분리형 지지체(S2)는 크게 지면접촉부(50), 기둥부(60), 안치부재(70), 기둥부에 대한 안치부재의 승하강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재(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지면접촉부와 기둥부는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도 5 [A]는 결합형 지지체(s2)와 분리형 지지체(S1)의 사용상태도 중 전면도이고, 도 5 [B]는 측면도이다.
도 6 [A]는 다양한 각도에서 관찰한 분리형 지지체(S2)의 도면(세번째 및 네 번째 측면도에서는 안치부재(70)의 승하강에 따른 안치면(71)의 각도 변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이고,
도 6 [B] 상부는 분리형 지지체(S2)의 배면도이고, 하부는 배면도에서 "A-A"선을 따라 절단한 평단면도이다.
또 도 7 [A]는 분리형 지지체(S2)의 전면 관찰 분해사시도이고,
도 7 [B]는 분리형 지지체(S2)의 후면 관찰 분해사시도다.
도 5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접촉부(50)는 저면에 차량 대쉬보드 등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패드(53)가 구비되어 있고,
기둥부(60)와의 일체형 연결 기능을 하면서 기둥부와 안치부재의 무게 중심(결국은 모바일기기의 무게 중심)이 지면접촉부(50)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는 무게중심 이동 연결부(51)가 상부에 미려하게 유선형으로 구비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서, 기둥부(60)는 경사형 주(主)안내부(61)가 구비되어 있는데, 특히 주안내부는 안치부재(70)의 후면 피안내돌기(77)와의 안정된 결합 및 승하강을 위하여 중앙에 장방형 슬롯 형태로 되어 있고, 피안내돌기(77)와의 접촉면적을 넓혀 승하강 및 고정상태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후방으로 돌설된 돌출살(61A)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다.
나아가 기둥부(60)는 주안내부(61) 뿐 아니라 전체적으로 경사진 형태를 취하고 있어 디자인적 측면에서의 일체감을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기둥부(60)의 측면, 특히 양측면은 안치부재의 승하강 운동 및 고정상태 안전성을 위한 보조안내부(63)의 기능을 한다.
한편, 도 5 [B]의 하부 일점 쇄선 원 개략적인 변형예 단면도와 같이, 상기 지면접촉부는 기둥부(60m)의 회전을 보장하며 경사형 주안내부 외에 추가적으로 안치부재의 각도조절(결국 모바일기기의 각도조절)을 보장할 수 있도록 수용베이스(50m)로 변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집게(55)로 구성되어 축핀(55s)을 기점으로 비틀림코일스프링(55a)에 의하여 탄지되는 수용베이스(50m)는 저면에 접착패드(53m)를 갖고,
기둥부(69m)는 하단에 수용볼(67)을 구비하고 있으며,
수용베이스는 이 수용불(67)을 감싸는 수용부(55A)을 구비하고 있다.
집게(55)의 클램핑으로 기둥부의 수용볼(67)은 상하 수용부(55A)에 의하여 클램핑 되고,
또 수용부(55A) 내면에는 마찰패드(59)가 구비되어 있어 미끄럼을 방지하게 되며,
집게의 클램핑 상태는 축핀(55s) 좌측에 구비된 고착수단(57)에 의하여 집게가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된다.
상기 고착수단(57)은 상하 어느 일측 집게 단부에 용접 결합된 수나사(57b)와, 이 수나사에 결합되고 미끄럼방지를 위한 널링(knurling) 가공면을 갖는 암나사(57a)로 구성되어,
암나사를 선회하여 암수 나사의 간격의 벌려 상하 어느 타측 집게 패널 내측을 가압하면 집게(55)가 임의로 벌어져 수용부(55A)에 안착, 고정된 기둥부(60m)의 수용볼(67)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집게형 수용베이스(50m)를 통하여 기둥부(60)를 회전하여 모바일기기 시청 또는 관찰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도 5 [B]의 하부 우측 집게(55)의 상부패널(55p)에 대한 평면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변위공(55h)이 수용볼(67) 외경 보다는 작고, 기둥부(60) 하단 연결부 외경 보다는 커서, 어느 정도 기둥부의 기울기까지 조절할 수 있어 기둥부의 경사형 주안내부를 통하녀 안치부재의 안치면 각도 조절에 더하여 더 다양하고 큰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안치부재(70)는 모바일기기(M)가 거치되는 전면 안치면(71)을 갖고, 이 안치면에는 마찰특성이 우수한 연질의 엘라스토 소재, 특히 연질 실리콘 소재의 논슬립패드(71A)가 부착되어 있어 특유의 마찰 특성으로 차량 장착시 급정거 등의 경우에도 모바일기기가 이탈, 낙하하는 불상사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또 안치부재(70)의 저면에는 전면으로 받침부(73)가 돌설되어 있어 모바일기기 거치 상태의 안정성을 높이도록 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 이 받침부를 변형하여 집게형 받침부 또는 안치면과의 간격 조절 및 고정이 가능한 변위형 받침부를 구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거치된 모바일기기를 클램핑하도록 하여 모바일기기 장착상태 안정상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6 [B] 하부 "A-A"선 단면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안치부재(70) 후면에는 장방형 슬롯 타입 주안내부(61)에 결합되는 피안내돌기(77)가 구비되어 있다.
또 상기 기둥부(60)의 보조안내부(63)를 감싸는 가이더(75)가 피안내돌기(77) 양측에 구비되어 있으며,
이 가이더(75) 내측에는 기둥부(60) 전면과 접촉하는 지지돌기(75a)가 형성되어 있어 기둥부와 안치부재의 마찰면적을 줄이고, 안정된 슬라이딩 승하강을 보장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안치부재(70)의 승하강 위치를 고착시키는 고정부재(80)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7의 분해사시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도시된 고정부재(80)는 안치부재(70) 후면 피안내돌기(77)의 결합홈(77a)에 결합(접착제 활용 또는 억지끼움 방식 등 활용)되는 중계부싱(81A) 내면에 구비된 너트(81)와, 이 너트에 결합되는 볼트(83)로 구성되는 데, 이 볼트는 미끄럼방지 처리 널링부(83a)를 갖는 손잡이(83A)(반원형 끼움홈 구비)에 결합되어 있다.
안치부재(70) 안치면(71)의 각도 조절시 손잡이(83A)를 돌려 볼트(83)와 너트(81)는 상호 풀려 기둥부(60)의 주안내부(61) 전후면을 압지하고 있던 안치부재(70) 후면 지지돌기(75a) 후단과 손잡이(83A) 전단은 벌어지게 되고, 안치부재(70)는 자유롭게 승하강될 수 있다.
한편, 도 7 [B]의 변형예와 같이, 상기 기둥부(60)의 장병형 슬롯 타입 경사형 주안내부(61m)의 양측벽에는 다단 삼각홈으로 구성된 랙(65)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안치부재 후면 피안내돌기(77)의 양측에는 스프링(79a)에 의하여 탄지되는 스토퍼(79)가 구비되어 있어, 이 스토퍼가 랙(65)의 삼각홈에 결합되므로
고정부재(80)의 볼트(83)와 너트(81)를 풀어도 임의로 안치부재가 승하강되지 않고 다시 상하부로 가압하여야만 안치부재가 승하강하게 되므로, 안치부재의 승하강, 결국 모바일기기의 승하강 및 각도조절이 편리하고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스마트폰, 네비게이션 등의 모바일기기 종류,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의 각 결합형 및 분리형 지지체의 소재나 모바일기기 종류에 따른 치수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을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 M: 모바일기기
S1: 결합형 지지체 S2: 분리형 지지체
10: 장착수단 11: 패널부재
11A: 손가락투입부 13: 접착부재
20: 다리부재 21: 회동축부재
25,25a,25b: 지지부 30: 정지수단
31: 걸림턱 33: 받침돌기
35A,35B: 정지돌기 37: 다단홈
40: 보호커버 41: 노출공
50: 지면지지부 51: 연결부
53: 접착패드
60: 기둥부 61: 경사형 주안내부
63: 보조안내부 61A: 돌출살
70: 안착부재 71: 안치면
71A: 논슬립패드 73: 받침부
75: 가이더 77: 피안내돌기
80: 고정부재 81: 너트
83: 볼트 83A: 손잡이

Claims (8)

  1. 지면지지부;
    상기 지면지지부 상부에 구비되고, 경사형 주안내부를 갖는 기둥부;
    상기 기둥부의 경사형 주안내부를 따라 승하강하여 각도가 변위되고, 모바일기기용 전면 안치면을 구비한 안치부재; 및
    상기 안치부재의 승하강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분리형 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는 보조안내부를 갖고,
    상기 안치부재 후면에는 상기 보조안내부에 결합되는 가이더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치부재의 안치면에는 논슬립패드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패널부재를 포함하는 모바일기기 배면 장착수단; 및
    상기 장착수단의 패널부재에 회동축부재를 통하여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동축부재에서 멀어질수록 좁아지는 다리부재;를 포함하는 결합형 지지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모바일기기가 결합된 상기 결합형 지지체의 다리부재를 벌린 상태에서 상기 분리형 지지체의 안치부재에 걸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
  5. 패널부재를 포함하는 모바일기기 배면 장착수단; 및
    상기 장착수단의 패널부재에 회동축부재를 통하여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동축부재에서 멀어질수록 좁아지는 다리부재;
    를 포함하는 결합형 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재의 단부는 지지면과 선접촉하도록 직선 지지부를 갖거나, 2점 이상의 지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수단과 상기 다리부재 사이에는 다리부재의 선회 정도를 제한하는 정지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수단의 패널부재에는 다리부재를 벌리기 위한 손가락투입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
KR2020120001594U 2011-09-02 2012-02-29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 KR20130001706U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509U KR20130001707U (ko) 2011-09-02 2012-03-28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
KR2020120008794U KR20130005319U (ko) 2012-02-29 2012-09-28 비개방 사용이 가능한 모바일기기용 플립타입 보호케이스
KR2020120012424U KR20130005320U (ko) 2012-02-29 2012-12-31 비개방 사용이 가능한 모바일기기용 플립타입 보호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08019 2011-09-02
KR2020110008019 2011-09-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706U true KR20130001706U (ko) 2013-03-12

Family

ID=51419574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1594U KR20130001706U (ko) 2011-09-02 2012-02-29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
KR2020120002509U KR20130001707U (ko) 2011-09-02 2012-03-28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
KR2020120002511U KR200470994Y1 (ko) 2011-09-02 2012-03-28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
KR2020120005173U KR200470995Y1 (ko) 2011-09-02 2012-06-18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2509U KR20130001707U (ko) 2011-09-02 2012-03-28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
KR2020120002511U KR200470994Y1 (ko) 2011-09-02 2012-03-28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
KR2020120005173U KR200470995Y1 (ko) 2011-09-02 2012-06-18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20130001706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773B1 (ko) * 2013-04-15 2014-11-21 조성실 가로세로 받침시스템이 구성된 프레임 및 휴대폰케이스
KR200475327Y1 (ko) * 2013-10-15 2014-11-24 태석정공 주식회사 3개의 지지대가 구비된 모니터
KR101809983B1 (ko) 2016-11-08 2017-12-18 (주) 씨앤피 무게중심 이동을 통한 거치각도 조절 기능을 가진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107B1 (ko) * 2003-10-15 2011-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받침장치
KR20090014899A (ko) * 2007-08-07 2009-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기기
KR20110006678U (ko) * 2009-12-28 2011-07-06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지지대를 구비한 전자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0995Y1 (ko) 2014-02-07
KR20130001707U (ko) 2013-03-12
KR200470994Y1 (ko) 2014-02-07
KR20130001709U (ko) 2013-03-12
KR20130001708U (ko) 2013-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98866B (zh) Multi-directional support structure of flat panel display device
JP3974904B2 (ja) ポータブルコンピュータの支持装置
US8537533B2 (en) Electronic device with support assembly
JP2015019363A (ja) 電子装置
KR200493314Y1 (ko) 휴대용 단말기 및 pc 장치용 스탠드
US9689523B2 (en) Foldable mobile electronic device stand
KR20130094402A (ko) 데스크 탑 유형 유니버셜 도크
CN103914273A (zh) 显示装置
US9282670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stand thereof
KR200454217Y1 (ko) 거치수단이 구비된 모바일 아이티 기기용 케이스
US20120325987A1 (en) Portable and foldable support bracket
KR101906040B1 (ko) 노트북용 접이식 거치대
KR200470994Y1 (ko)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
US8644013B2 (en) Movable hinge
WO2016078554A1 (zh) 一种多功能的笔
KR101754892B1 (ko) 스마트폰 거치대
CN205670781U (zh) 一种可调节的简易手机支架
US20120050969A1 (en) Electronic device with a touch screen, comprising a stand with at least three positions of use
US20150097093A1 (en) Supporter Assembly and Related Display Device
US20150173220A1 (en) Cradle for Electronic Devices
KR20120015202A (ko) 태블릿pc용 거치대
KR20120066402A (ko) 스마트패드용 거치대
KR20150107562A (ko) 스마트폰 거치대
CN209881849U (zh) 一种用于智能臂的可调式关节组件
KR20120095021A (ko) 휴대전자기기의 휴대용 거치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