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5202A - 태블릿pc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태블릿pc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5202A
KR20120015202A KR1020100077519A KR20100077519A KR20120015202A KR 20120015202 A KR20120015202 A KR 20120015202A KR 1020100077519 A KR1020100077519 A KR 1020100077519A KR 20100077519 A KR20100077519 A KR 20100077519A KR 20120015202 A KR20120015202 A KR 201200152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t
plate
support
support plate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7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상
Original Assignee
(주)금오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금오전자 filed Critical (주)금오전자
Priority to KR1020100077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5202A/ko
Publication of KR20120015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52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최근 수요가 증대되는 태블릿PC를 보다 견고하게 거치시켜서 흔들리는 차량 뿐만 아니라 테이블 등에도 하나의 거치대로 거치시킬 수 있어서 각각 거치대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별도의 추가비용 및 보관상의 문제가 없으며, 태블릿PC의 사용환경에 적절하게 세팅할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태블릿PC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태블릿PC(1)가 장착되는 지지대(10)와, 기단부가 상기 지지대(10)의 후면에 결합되어 자유자재로 회동되는 회동아암(60)과, 상기 회동아암(60)의 선단부에 구비되어 차량 유리에 흡착되는 흡착판(70)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10)는 태블릿PC(1)의 후면을 지지하고 태블릿PC(1)의 하단부의 전면부를 감싸도록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향 절곡된 이탈방지돌기(21)가 형성된 지지판(20)과, 이 지지판(20)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태블릿PC(1)의 상단 전면부에 착탈되게 결합되는 고정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블릿PC용 거치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태블릿PC용 거치대{A supporter for tablet personal computer}
본 발명은 태블릿PC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최근 수요가 증대되는 태블릿PC를 보다 견고하게 거치시켜서 흔들리는 차량 뿐만 아니라 테이블 등에도 하나의 거치대로 거치시킬 수 있어서 각각 거치대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별도의 추가비용 및 보관상의 문제가 없으며, 태블릿PC의 사용환경에 적절하게 세팅할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태블릿PC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PC가 널리 보급되긴 했지만, 많은 사람들이 야외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내게 되면서 휴대가 용이한 컴퓨터에 대한 욕구가 증대되었다. 한편, 차량에 거치되어 길을 안내해주는 내비게이션이 거의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는 실정이다. 이때, 내비게이션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기능까지 갖추고 있어서 동승자들의 지루함을 달래주고 있다. 이와 같이, 내비게이션과 개인용PC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면서, 두께가 비교적 얇고 접을 수 있도록 된 노트북에 내비게이션기능까지 추가한 제품이 한때 큰 인기를 끌었다. 하지만, 비교적 큰 사이즈와 무게로 인해 휴대하기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차량 내부에 거치시키기가 매우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개인용PC와 같은 사양의 휴대폰인 스마트폰이 최근에 큰 인기를 끌고 있는데, 이는 통화기능과 더불어 인터넷 검색 등의 컴퓨터기능이 부가됨은 물론 내비게이션기능까지 갖추게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스마트폰은 휴대가 간편하나, 액정이 대부분 3인치 정도이고 큰 사이즈라고 해도 3.7인치에 불과하여 인터넷 검색 등을 할 때 사이트 또는 기사전체를 한눈에 볼 수 없고 부분적으로 보아야하며, 내비게이션기능의 경우도 초행길을 운전할 때에는 방향감각이 전혀 없는 상태임에도 주변의 많은 공간을 액정에 표시하기가 어려우며 표시하더라도 액정이 작아서 운전하는 상태에서 한눈에 인식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리고, 기사 등을 한눈에 보기 위해서는 문자가 상당히 작아져서 식별하기조차 어려우며, 식별한다고 하더라도 눈의 피로를 유발하게 된다.
한편, 얼마 전에 애플사에서 태블릿PC(Tablet Personal Computer)인 아이패드를 출시하면서 전세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는데, 태블릿PC란 키보드 없이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컴퓨터를 조작하는 것으로, 아이패드의 액정은 9인치나 되며 사이즈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노트보다도 작다. 따라서, 휴대가 상당히 간편함은 물론 스마트폰에 비해 상당히 큰 액정을 통해서 인터넷 검색시 사이트나 기사전체가 한눈에 들어오더라도 문자가 크게 작아지지 않아서 사용이 편리하며, 전자책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눈의 피로 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이러한 태블릿PC를 차량에 장착하면 동승자들은 눈의 피로 없이 지루함을 달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네비게이션기능까지 추가된다면 주변의 많은 공간을 액정에 표시할 수 있어서 초행길에도 주변상황을 보다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한편, 태블릿PC는 평상시에도 사용할 수가 있는데, 평상시에는 대부분 태블릿PC를 한 손으로 들고 사용하거나 책이나 기타 물건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보기 편한 상태로 거치하게 되므로, 한 손으로 들기에는 무게가 꽤 무겁고 매번 거치시키기도 번거롭고 쉽지 않아서 사용상 많은 불편이 따르고 있다. 애플에 자극받은 삼성 등 대기업에서 앞다투어 이러한 태블릿PC를 제조하고 있어서 태블릿PC에 대한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므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조속히 극복할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태블릿PC를 용이하고도 견고하게 거치시킬 수 있어서 차량 뿐만 아니라 테이블 등에도 하나의 거치대를 이용하여 태블릿PC를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하여 차량용과 테이블용 거치대를 각각 구입해야함에 따른 추가비용 및 보관상의 문제가 해소되고, 흔들리는 차량에서도 보다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으며, 용이하게 회전되어 태블릿PC의 사용환경에 적절하게 맞출 수 있어서 사용편의성이 증진되는 태블릿PC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태블릿PC(1)가 장착되는 지지대(10)와, 기단부가 상기 지지대(10)의 후면에 결합되어 자유자재로 회동되는 회동아암(60)과, 상기 회동아암(60)의 선단부에 구비되어 차량 유리에 흡착되는 흡착판(70)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10)는 태블릿PC(1)의 후면을 지지하고 태블릿PC(1)의 하단부의 전면부를 감싸도록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향 절곡된 이탈방지돌기(21)가 형성된 지지판(20)과, 이 지지판(20)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태블릿PC(1)의 상단 전면부에 착탈되게 결합되는 고정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블릿PC용 거치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흡착판(70)이 결합되며 바닥면에 지지되는 베이스(80)가 더 구비되고, 이 베이스(80)에는 상기 흡착판(70)이 베이스(80)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흡착판(70)의 둘레부 일측이 끼워지는 끼움홈(81)이 형성되며, 상기 흡착판(70)이 슬라이드되는 베이스(80)의 상면에는 요철면(82)이 형성되어 흡착판(70)이 미끄러질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블릿PC용 거치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대(10)의 지지판(20)의 상면 중앙부에 구비되어 태블릿PC(1)를 전방으로 가압하는 탄성출몰핀(28)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블릿PC용 거치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판(20)의 후면에는 지지판(20)과 직교되는 회전축(30)을 갖는 회전판(50)이 구비되고, 상기 회동아암(60)의 기단부가 상기 회전판(5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판(20)의 후면 또는 회전판(50)에는 회전판(50)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어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블릿PC용 거치대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태블릿PC(1)의 하단을 지지 및 고정하는 지지판(20)과, 이 지지판(20)에 구비되어 태블릿PC(1)의 상단에 착탈되게 결합되는 고정부재(40)를 포함하며, 흡착판(70)에 의해 차량의 유리에 부착시키도록 된 거치대를 제공함으로써, 태블릿PC(1)를 용이하면서도 보다 견고하게 거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바닥면에 지지되며 상기 흡착판(70)이 슬라이드 삽입되는 끼움홈(81)이 형성된 베이스(80)를 더 구비함으로써, 차량에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테이블 등에 미리 준비된 베이스(80)에 차량에서 사용하던 거치대를 그대로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어서 별도의 거치대를 추가로 구입해야함에 따른 추가비용문제와 점유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불편함 등이 해소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판(20)에 태블릿PC(1)의 후면을 가압하도록 전방으로 출몰하는 탄성출몰핀(28)을 구비함으로써, 지지판(20)에 상하단의 전면부가 고정된 태블릿PC(1)를 더욱 전면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태블릿PC(1)가 지지판(20)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어 흔들리는 차량에서도 지지판(20)에서 이탈되는 것이 좀 더 효과적으로 방지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20)에 지지판(20)과 직교되는 회전축(30)을 갖고 회전이 제어되며 흡착판(70)과 연결되는 회동아암(60)이 결합되는 회전판(50)을 구비함으로써, 태블릿PC(1)의 사용환경 즉, 인터넷, 동영상, 전자책 등을 위한 최적화된 화면구성에 따른 가로 또는 세로 기준을 고려하여 지지판(20)을 적절한 상태가 되도록 회전시킬 수 있어서, 태블릿PC(1)의 사용환경에 따른 사용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판(20)의 회전판(50)에 회동아암(60)이 착탈되게 결합되므로, 분리보관이 가능하여 보관상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PC용 거치대의 일실시예인 분해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상기 실시예 중 중요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상기 실시예 중 지지대의 작동상태도
도 4는 상기 실시예 중 흡착판을 베이스에 결합시키는 작동을 보인 도면
도 5는 상기 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 6은 상기 실시예의 다른 사용상태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PC용 거치대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a는 상기 실시예 중 태블릿PC가 지지대에 장착된 상태 및 회전판과 회동아암을 분리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2b는 도 2a에서 태블릿PC가 지지대에서 분리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상기 실시예 중 지지대의 작동상태도며, 도 4는 흡착판을 베이스에 결합시키는 작동을 보인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은 상기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태블릿PC를 각각 차량과 테이블에 거치시킨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블릿PC용 거치대는 태블릿PC(1)가 장착되는 지지대(10)와, 이 지지대(10)의 후면에 구비되어 자유자재로 회동되는 회동아암(60)과, 이 회동아암(60)의 선단에 구비되어 차량 유리에 흡착되는 흡착판(70)과, 이 흡착판(70)이 결합되는 베이스(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10)는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된 것으로, 태블릿PC(1)의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판(20)과, 이 지지판(20)의 상단 중앙부에 구비되어 태블릿PC(1)를 지지판(20)에 착탈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재(40)로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20)의 하단 모서리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며 선단이 상향 절곡되어 태블릿PC(1)의 측면과 전면 모서리부를 감싸도록 된 이탈방지돌기(21)가 형성되어, 태블릿PC(1)가 지지판(20)에서 좌우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도 방지된다. 이때, 상기 지지판(20)의 상단 모서리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태블릿PC(1)의 측면 모서리부를 감싸도록 된 지지돌부(22)가 형성되어, 태블릿PC(1)가 지지판(20)에서 좌우로 유동되는 것이 더욱 방지되며, 지지돌부(22)와 이탈방지돌기(21)에 의해서 태블릿PC(1)가 좌우 뿐만 아니라 상하로도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지지판(20)의 후면의 상측부 중앙에는 상향 돌출된 돌출몸체(23)가 구비되고, 이 돌출몸체(23)의 중간부에는 지지판(20)의 상면을 따라 힌지축(24)이 평행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도 2a 및 도 2b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40)는 기역자 형상이며 선단부에는 하향돌기(41)가 형성되며, 기단부가 상기 돌출몸체(23)에 구비된 힌지축(24)에 힌지결합되어 회동됨으로써 하향돌기(41)가 태블릿PC(1)의 전면 상단부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돌출몸체(23)에는 고정부재(40)를 전방으로 가압하는 스프링(25)이 구비되어, 고정부재(40)를 후방으로 밀면 스프링(25)이 가압되며, 후방으로 밀려났던 고정부재(40)를 놓게 되면 스프링(2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고정부재(40)가 전방으로 회동된다. 물론 고정부재(40)는 상하로도 이동되므로, 태블릿PC(1)의 전면 상단부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돌출몸체(23)에는 상기 고정부재(40)의 전방으로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26)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지지판(20)의 상면 중앙부이며 고정부재(40)의 하측에는 전방으로 출몰하는 탄성출몰핀(28)이 구비된다. 이 탄성출몰핀(28)은 일면이 개방되며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원통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개방된 일면의 둘레부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턱(28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돌출몸체(23)의 하측부와 대응되는 지지판(20)의 상측부 중앙에는 통공(27)이 형성되고, 탄성출몰핀(28)의 걸림턱(28a)이 상기 통공(27)에 걸려져서 탄성출몰핀(28)이 지지판(20)의 전방에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탄성출몰핀(28)의 내부에는 압축스프링(29)의 선단이 삽입되며, 이 압축스프링(29)의 기단은 돌출몸체(23)에 고정되어, 이 압축스프링(29)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탄성출몰핀(29)은 지지판(20)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20)의 후면 중앙부에는 회전판(50)이 구비되는데, 이 회전판(50)은 소정각도 회전되어 위치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구성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다음과 같은 형태를 예시한다. 상기 지지판(20)의 후면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돌기 형상의 회전축(3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50)은 상기 회전축(30)이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홈(51)이 중심부에 형성된 원반형으로 이루어지고, 이 삽입홈(51)의 입구에는 내향걸림턱(52)이 형성되며, 볼트(56)가 상기 회전축(30)에 결합된다. 이때, 양단부가 각각 상기 내향걸림턱(52)과 볼트(56)의 머리에 걸려지는 탄성스프링(55)이 구비된다. 따라서, 탄성스프링(55)의 탄성에 의해 회전판(50)이 지지판(20)의 후면에서 약간 이격될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의 회전판(50)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제어부가 구비되는데, 이 회전제어부는 지지판(20)의 후면에 상기 회전축(30)을 중심으로 소정길이의 반지름을 갖는 원의 원호를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제어돌기(31)와, 상기 회전판(50)의 전면에 상기 각 제어돌기(3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어홈(54)으로 구성된다. 이때, 이 제어홈(54)의 내주면은 입구에서 깊이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며, 제어돌기(31) 및 제어홈(54)은 회전축(30)을 기준으로 서로 소정각도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 3에서와 같이, 회전판(50)이 회전축(30)을 중심으로 회전되다가 제어돌기(31)가 제어홈(54)에 삽입되면 회전이 멈춘다. 이때, 상기 제어홈(54)의 내주면은 입구에서 깊이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허용수치를 초과하는 외력으로 회전판(50)을 돌리게 되면, 삽입홈(51)에 구비된 탄성스프링(55)이 압축될 뿐만 아니라 제어돌기(31)가 제어홈(54)의 내주면을 타고 미끄러지면서 제어홈(54)에서 이탈됨에 따라 회전판(50)이 회전된다. 한편, 상기 회전판(50)의 후면에는 착탈홈(53)이 형성된다.
상기 회동아암(60)은 상기 지지대(20)의 후면에 구비되어 자유자재로 회동되는 것으로 다양한 형상 및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 회동아암(60)은 기단부가 상기 회전판(50)의 착탈홈(5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선단부에는 흡착판(70)이 결합된다. 도 2a 및 도 2b에서와 같이, 이러한 회동아암(60)은 회전판(50)에 결합되는 결합판(62)이 구비된 구체(61)와, 이 구체(6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회동아암(64)과, 이 제1회동아암(64)이 끼워지는 제2회동아암(65)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체(61)의 결합판(62)에는 회전판(50)의 착탈홈(53)에 착탈되는 착탈돌기(63)가 형성되며, 상기 제1회동아암(64)은 제2회동아암(65)에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흡착판(70)은 차량의 유리나 대시보드에 진공흡착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인 것을 예시하였다. 그리고, 흡착판(70)은 흡착프레임(71)에 결합되며, 이 흡착프레임(71)은 상기 제2회동아암(65)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흡착프레임(71)에는 흡착판(70)과 연동되는 작동레버(72)가 구비되어, 이 작동레버(72)의 조작에 따라 흡착판(70)이 차량의 유리에 흡착된다.
상기 베이스(80)는 바닥면이나 테이블의 상면에 지지되는 것으로,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면에는 상기 흡착판(70)이 면접촉되게 결합된다. 또한, 베이스(80)의 상면 일측에는 흡착판(70)과 흡착프레임(71)의 둘레부 일측을 감싸도록 된 끼움홈(81)이 형성되는데, 흡착판(70)과 흡착프레임(71)이 베이스(80)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끼움홈(81)에 끼워지게 된다. 이때, 흡착판(70)이 슬라이드되는 베이스(80)의 상면에는 흡착판(70)이 진공흡착되지 않는 요철면(82)을 형성하여, 흡착판(70)이 요철면(82)에서 미끄러지게 되므로, 흡착판(70)을 용이하게 끼움홈(81)에 끼울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판(70)이 원형으로 이루어져서 끼움홈(81)이 원호 형상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흡착프레임(71)은 흡착판(70)을 회동아암(60)에 결합시키기 위한 것일 뿐이므로, 흡착판(70)이 끼움홈(81)에 끼움결합된다는 것은 흡착판(70)과 흡착프레임(71)이 모두 끼움홈(81)에 끼움결합된다고 볼 수 있다. 한편, 베이스(80)에서 상면과 평행하게 보강바(83)가 돌출되어, 태블릿PC(1)가 거치된 베이스(80)의 안정성을 유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블릿PC의 거치대에 태블릿PC를 거치시키는 과정을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태블릿PC(1)의 하단부를 지지판(20)의 지지돌부(22)와 이탈방지돌기(21)에 안착되게 끼운다. 이때, 지지판(20)의 상측부에 구비된 고정부재(40)를 상방 및 후방으로 밀면 태블릿PC(1)의 자체 중량에 의해 태블릿PC(1)의 상단이 탄성출몰핀(28)을 가압하면서 지지판(20)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방 및 후방으로 밀었던 고정부재(40)를 놓게 되면, 고정부재(40)에 의해 가압된 스프링(2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고정부재(40)가 하방 및 전방으로 회동되면서 태블릿PC(1)의 전면부를 감싸게 된다. 이때, 상기 태블릿PC(1)에 의해 가압된 탄성출몰핀(28)은 압축스프링(29)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태블릿PC(1)의 후면에서 전방을 향해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태블릿PC(1)는 고정부재(40)와 이탈방지돌기(21)에 의해서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탄성출몰핀(28)에 의해서 후면에서 전면방향으로 가압되므로, 태블릿PC(1)가 지지판(20)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어 지지판(20)에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안정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흡착프레임(71)의 작동레버(72)를 이용하여 흡착판(70)을 차량의 유리에 부착시킨다. 흡착판(70)을 부착시킨 상태에서 태블릿PC(1)를 지지대(10)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
한편, 차량에 부착되었던 상기 거치대를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사용하고자 할 때, 흡착판(70)을 차량의 유리에서 분리시킨 후에, 도 4에서와 같이, 테이블 등에 준비된 베이스(80)의 끼움홈(81)에 흡착판(70)을 슬라이드시켜 끼우기만 하면 된다. 이때, 흡착판(70)이 베이스(80)에 형성된 요철면(82)을 따라 슬라이드되므로, 흡착판(70)이 베이스(80)의 임의적인 위치에 진공흡착되지 않고 끼움홈(81)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에 거치시켰던 태블릿PC(1)를 테이블 등에 준비된 베이스(80)에 거치대를 그대로 결합시킴으로써, 차량에서 뿐만 아니라 가정이나 사무실에서도 함께 사용할 수 있어서, 가정이나 사무실에 별도의 거치대를 준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비용이 절감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4)

  1. 태블릿PC(1)가 장착되는 지지대(10)와, 기단부가 상기 지지대(10)의 후면에 결합되어 자유자재로 회동되는 회동아암(60)과, 상기 회동아암(60)의 선단부에 구비되어 차량 유리에 흡착되는 흡착판(70)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10)는 태블릿PC(1)의 후면을 지지하고 태블릿PC(1)의 하단부의 전면부를 감싸도록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향 절곡된 이탈방지돌기(21)가 형성된 지지판(20)과, 이 지지판(20)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태블릿PC(1)의 상단 전면부에 착탈되게 결합되는 고정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블릿PC용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판(70)이 결합되며 바닥면에 지지되는 베이스(80)가 더 구비되고, 이 베이스(80)에는 상기 흡착판(70)이 베이스(80)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흡착판(70)의 둘레부 일측이 끼워지는 끼움홈(81)이 형성되며, 상기 흡착판(70)이 슬라이드되는 베이스(80)의 상면에는 요철면(82)이 형성되어 흡착판(70)이 미끄러질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블릿PC용 거치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의 지지판(20)의 상면 중앙부에 구비되어 태블릿PC(1)를 전방으로 가압하는 탄성출몰핀(28)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블릿PC용 거치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20)의 후면에는 지지판(20)과 직교되는 회전축(30)을 갖는 회전판(50)이 구비되고, 상기 회동아암(60)의 기단부가 상기 회전판(5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판(20)의 후면 또는 회전판(50)에는 회전판(50)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어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블릿PC용 거치대.
KR1020100077519A 2010-08-11 2010-08-11 태블릿pc용 거치대 KR201200152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519A KR20120015202A (ko) 2010-08-11 2010-08-11 태블릿pc용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519A KR20120015202A (ko) 2010-08-11 2010-08-11 태블릿pc용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5202A true KR20120015202A (ko) 2012-02-21

Family

ID=45838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7519A KR20120015202A (ko) 2010-08-11 2010-08-11 태블릿pc용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520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060U (ko) 2015-09-14 2017-03-22 유니룩스 주식회사 스마트 패드용 거치대
KR20190000346U (ko) 2017-07-28 2019-02-11 (주)아이티엔제이 태블릿 내장형 거치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060U (ko) 2015-09-14 2017-03-22 유니룩스 주식회사 스마트 패드용 거치대
KR20190000346U (ko) 2017-07-28 2019-02-11 (주)아이티엔제이 태블릿 내장형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8933B2 (en) Support fram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8498101B2 (en) Support frame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140228075A1 (en) Functional Support System For Cellular Phone Or Related Devices
US8783641B2 (en) Foldable supporting bracket for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US20120074271A1 (en) Electronic book, tablet computer and smart phone stand
WO2012136076A1 (zh) 平板电脑支撑架
TWI496529B (zh) Can stand the electronic device
US9844159B1 (en) Handheld mount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11226656B2 (en) Computer
US8644013B2 (en) Movable hinge
US20060262091A1 (en) Wireless mouse with a structure for collecting a wireless receiver
KR20160063599A (ko) 휴대단말기용 손가락 지지대
JP2015087908A (ja) 電子機器用スタンド
CN103425196A (zh) 电子装置
KR20120015202A (ko) 태블릿pc용 거치대
KR20120066402A (ko) 스마트패드용 거치대
KR20120035810A (ko) 틸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 케이스 클립 및 스탠드장치
KR200470995Y1 (ko)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
US20150097093A1 (en) Supporter Assembly and Related Display Device
US20160050785A1 (en) Electronic device with support
CN201774571U (zh) 手机辅助支架
CN204090351U (zh) 一种电子移动终端的保护壳
US20150144672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201602240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a main housing of a mobile computing device in a supported operative orientation
CN203823388U (zh) 嵌入式支撑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