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5021A - 휴대전자기기의 휴대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전자기기의 휴대용 거치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95021A KR20120095021A KR1020110014395A KR20110014395A KR20120095021A KR 20120095021 A KR20120095021 A KR 20120095021A KR 1020110014395 A KR1020110014395 A KR 1020110014395A KR 20110014395 A KR20110014395 A KR 20110014395A KR 20120095021 A KR20120095021 A KR 2012009502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nic device
- portable electronic
- front support
- portable
- rear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전자기기의 휴대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자기기의 휴대용 거치대는,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져 평판 형상으로 구비되며, 지지면 상에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세워질 수 있도록 절개 형성된 전면지지부; 및 상기 전면지지부와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상기 본체의 타측에 세워질 수 있게 절개 형성된 후면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면지지부와 상기 후면지지부에 전면과 후면이 각각 접촉되도록 상기 전면지지부와 상기 후면지지부가 세워져 형성되는 사이 공간에 휴대전자기기가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면, 상기 전면지지부와 상기 후면지지부의 누우려는 복원 탄성력에 의해 상기 휴대전자기기가 가압 고정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져 선택적으로 본체에 대해 상측으로 세워질 수 있는 전면지지부 및 후면지지부가 구비됨으로써, 평판 형상을 갖는 상태로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으면서도, 필요시에는 간편하게 전면지지부와 후면지지부를 세워 그 사이에 휴대전자기기를 세워진 상태로 설치하고, 전면지지부와 후면지지부의 누우려는 복원 탄성력을 이용해 휴대전자기기를 세워진 상태로 고정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장소의 지지면에 휴대전자기기를 용이하게 세워 휴대전자기기의 콘텐츠를 편안하게 감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져 선택적으로 본체에 대해 상측으로 세워질 수 있는 전면지지부 및 후면지지부가 구비됨으로써, 평판 형상을 갖는 상태로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으면서도, 필요시에는 간편하게 전면지지부와 후면지지부를 세워 그 사이에 휴대전자기기를 세워진 상태로 설치하고, 전면지지부와 후면지지부의 누우려는 복원 탄성력을 이용해 휴대전자기기를 세워진 상태로 고정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장소의 지지면에 휴대전자기기를 용이하게 세워 휴대전자기기의 콘텐츠를 편안하게 감상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전자기기의 휴대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으면서도, 필요시에는 사용자가 휴대전자기기의 콘텐츠를 편안하게 감상할 수 있도록 휴대전자기기를 세워진 상태로 지지할 수 있게 용이 신속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저렴하고 간단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는 휴대전자기기의 휴대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아이폰과 같이 DMB, 동영상 플레이어, 인터넷 서핑 등의 다양한 기능을 탑재한 모바일폰, MP3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의 휴대전자기기들이 개발되어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전자기기를 통해 이용 가능한 콘텐츠 중에서 DMB 시청, 영화, 애니메이션 드라마 등의 동영상 감상, MP3를 감상하며 곡의 가사보기 등의 별도의 잦은 조작이 필요하지 않은 콘텐츠를 테이블, 책상 등의 장소에서 이용하는 경우, 휴대전자기기를 테이블, 책상 등에 세워 편안하게 콘텐츠를 감상하고 싶은 사용자의 욕구가 자연스레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욕구의 해소를 위해 휴대전자기기를 테이블, 책상 등에 세울 수 있도록 각 휴대전자기기에 맞게 제작된 거치장치들이 최근에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거치장치들의 경우, 대개 특정 휴대전자기기에만 사용될 수 있게 제작되므로 휴대전자기기마다 구비해야 하는 부담이 있고, 대개 부피가 커서 휴대가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설치 및 철거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고가여서 구입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간편한 휴대를 위해 부피가 작은 평판 형상으로 구현되고, 휴대전자기기를 세워진 상태로 고정하는 설치 작업과 그 철거 작업이 매우 용이하며, 낮은 단가로 제작될 수 있도록 저렴한 재료와 간단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는 휴대전자기기의 휴대용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의 휴대용 거치대는,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져 평판 형상으로 구비되며, 지지면 상에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세워질 수 있도록 절개 형성된 전면지지부; 및 상기 전면지지부와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상기 본체의 타측에 세워질 수 있게 절개 형성된 후면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면지지부와 상기 후면지지부에 전면과 후면이 각각 접촉되도록 상기 전면지지부와 상기 후면지지부가 세워져 형성되는 사이 공간에 휴대전자기기가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면, 상기 전면지지부와 상기 후면지지부의 누우려는 복원 탄성력에 의해 상기 휴대전자기기가 가압 고정된다.
상기 전면지지부는, 그 끝단부가 상기 휴대전자기기의 전면에 안정적으로 면 접촉될 수 있도록, 중심부에 평행하게 접철될 수 있게 구비된 접철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면지지부는, 상기 전면지지부보다 길게 구비되며, 상기 휴대전자기기의 후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그 끝단이 상기 휴대전자기기의 후면과 상기 지지면측 방향을 기준으로 예각으로 접촉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의 휴대용 거치대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평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지지면 상에 설치되며, 그 상면 중심부에 홀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홀부의 일측에 제1접철부를 통해 연결 구비되고,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제1접철부가 탄성 변형으로 접철되며 상기 홀부로부터 상측으로 세워질 수 있게 구비된 전면지지부; 상기 홀부의 타측에 상기 전면지지부와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제2접철부를 통해 연결 구비되고,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제2접철부가 탄성 변형으로 접철되며 상기 홀부로부터 상측으로 세워질 수 있게 구비된 후면지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전면지지부와 상기 후면지지부에 전면과 후면이 각각 접촉되도록 상기 전면지지부와 상기 후면지지부가 세워져 형성되는 사이 공간에 휴대전자기기가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면, 상기 전면지지부와 상기 후면지지부의 누우려는 복원 탄성력에 의해 상기 휴대전자기기가 가압 고정된다.
상기 전면지지부와 상기 후면지지부는, 상기 홀부의 일측부와 타측부에 각각 삽입 내장될 수 있도록 상기 홀부의 일측부와 타측부에 각각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 상기 전면지지부 및 상기 후면지지부는, 탄성을 갖는 동일한 소재로써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제2접철부는, 상기 전면지지부와 상기 후면지지부가 상측으로 세워지는 방향으로만 접철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제2접철부는, 상기 본체와 상기 전면지지부의 연결부분 상면 및 상기 본체와 상기 후면지지부의 연결부분 상면에 각각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휴대전자기기의 휴대용 거치대에 의하면,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져 선택적으로 본체에 대해 상측으로 세워질 수 있는 전면지지부 및 후면지지부가 구비됨으로써, 평상시에는 평판 형상의 작은 부피 상태로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으면서도, 필요시에는 간편하게 전면지지부와 후면지지부를 세워 그 사이에 휴대전자기기를 세워진 상태로 설치하고, 전면지지부와 후면지지부의 누우려는 복원 탄성력을 이용해 휴대전자기기를 세워진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양한 장소의 책상, 테이블 등의 지지면에 휴대전자기기를 용이하게 세워 편안하게 휴대전자기기의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전자기기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요소가 구비되지 않고 휴대전자기기의 전면과 후면을 각각 지지하는 전면지지부와 후면지지부의 복원 탄성력을 이용하여 휴대전자기기를 가압 고정할 수 있게 구현되며, 이러한 전면지지부와 후면지지부는 절개선 등을 통해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게 제작될 수 있으므로 저렴하고 간단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품의 제조 단가 및 제조 시간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휴대전자기기의 전면을 지지하는 전면지지부에는 평행하게 접철될 수 있는 접철선이 구비되어, 전면지지부의 상단부가 휴대전자기기의 전면에 안정적으로 면 접촉될 수 있게 함으로써, 더욱 안정적인 휴대전자기기의 지지가 가능하며, 접철선의 접철된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휴대전자기기의 세워진 각도도 어느 정도 조절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의 휴대용 거치대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의 휴대용 거치대를 휴대전자기기를 거치하기 위해 설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의 휴대용 거치대에 휴대전자기기를 거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의 휴대용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의 휴대용 거치대를 휴대전자기기를 거치하기 위해 설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의 휴대용 거치대에 휴대전자기기를 거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의 휴대용 거치대를 휴대전자기기를 거치하기 위해 설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의 휴대용 거치대에 휴대전자기기를 거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의 휴대용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의 휴대용 거치대를 휴대전자기기를 거치하기 위해 설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의 휴대용 거치대에 휴대전자기기를 거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범위가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의 휴대용 거치대의 구성, 작용효과, 동작 및 사용상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의 휴대용 거치대는, 본체(100), 전면지지부(200) 및 후면지지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0)는 합성수지 등과 같이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져 평판 형상으로 구비되며, 휴대전자기기(PE)를 거치할 때에는 소정의 지지면 상에 접촉되게 설치된다.
상기 전면지지부(200)는 본체(100)의 일측에 제1절개선(210)에 의해 본체(100)와 일체로 형성되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세워질 수 있게 구비됨으로써, 휴대전자기기(PE)를 거치시에는 휴대전자기기(PE)의 전면을 접촉 지지한다.
상기 전면지지부(200)에는 그 상측 끝단부가 휴대전자기기(PE)의 전면에 안정적으로 면 접촉될 수 있도록 그 중심부에 평행하게 접철선(220)이 구비된다.
즉, 상기 전면지지부(200)를 상측으로 당겨 세우게 되면 전면지지부(200)와 본체의 경계 부분부터 그 높이 방향을 따라 전면지지부(200)가 휘어지게 되므로, 이 상태로는 전면지지부(200)의 상단이 휴대전자기기(PE)의 전면에 선 접촉 또는 다점 접촉되어 다소 불안정하다.
그러나 전면지지부(200)에 접철선(220)이 구비됨으로써, 이 접철선(220)을 기준으로 전면지지부(200)가 접철되어, 접철선(220)의 상측에 해당하는 상단부는 휴대전자기기(PE)의 전면에 안정적으로 면 접촉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에 대해 후술되는 후면지지부(300)는 휴대전자기기(PE)의 후면에 선 접촉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결국 전면지지부(200)의 상단부가 휴대전자기기(PE)의 전면에 면 접촉되는 각도가 곧 휴대전자기기(PE)의 세워진 각도가 된다.
따라서 상기 접철선(220)은 그 접철된 각도가 조절됨에 따라 휴대전자기기(PE)의 세워진 각도를 조절하는 역할도 수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자기기의 휴대용 거치대에 있어서, 이러한 접철선(220)은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아님을 밝혀둔다.
그리고 상기 전면지지부(200)의 상단 중심부에는 하측으로 움푹하게 요홈(230)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요홈(2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전자기기(PE)가 거치되었을 때, 전면지지부(200)가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에 인접된 부분을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자가 콘텐츠를 감상하는 데에 불편함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상기 후면지지부(300)는 본체(100)의 타측에 전면지지부(200)와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제2절개선(310)에 의해 본체(100)와 일체로 형성되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세워질 수 있게 구비됨으로써, 휴대전자기기(PE)를 거치시에는 휴대전자기기(PE)의 후면을 접촉 지지한다.
즉, 상기 휴대전자기기(PE)를 거치할 때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지지부(200)와 후면지지부(300)를 당겨 상측으로 세운 후, 휴대전자기기(PE)를 상측으로 세워진 전면지지부(200)와 후면지지부(300)의 사이 공간에 세워진 상태로 설치하면, 휴대전자기기(PE)의 전면과 후면이 각각 전면지지부(200)와 후면지지부(300)에 의해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전면지지부(200)와 후면지지부(300)는 상측으로 세워지면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져 있는 특성상 다시 누우려는 복원 탄성력이 발생한다. 이때, 상기 전면지지부(200)와 후면지지부(300)는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복원 탄성력은 휴대전자기기(PE)의 전면과 후면을 서로 마주보게 가압하여 휴대전자기기(PE)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 후면지지부(300)는 전면지지부(200)보다 길게 구비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가 설치된 지지면측 방향을 기준으로, 그 끝단이 휴대전자기기(PE)의 후면과 예각으로 접촉되게 구비됨으로써, 후면지지부(300)가 복원 탄성력에 의해 펼쳐질 때에 그 끝단이 통과하는 경로가 휴대전자기기(PE)의 후면과 간섭되게 구현되어 휴대전자기기(PE)의 후면을 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후면지지부(300)의 끝단이 휴대전자기기(PE)의 후면과 둔각으로 접촉되는 경우에는 후면지지부(300)가 복원 탄성력에 의해 펼쳐질 때에 그 끝단이 통과하는 경로가 휴대전자기기(PE)의 후면과 간섭되지 않으므로, 그 끝단이 휴대전자기기(PE)의 후면에서 미끄러지게 되면 후면지지부(300)는 원래대로 본체(100)와 평면 형상을 이루게 눕게 되고, 휴대전자기기(PE)는 쓰러져 버리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이렇게 휴대전자기기(PE)가 거치되었을 때에 후면지지부(300)의 끝단이 휴대전자기기(PE)의 후면에 예각으로 접촉되는 특징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자기기의 휴대용 거치대는, 후면지지부(300)의 끝단이 휴대전자기기(PE)의 후면에 직각 또는 둔각으로 접촉되게 구비되되, 후면지지부(300)의 끝단이 휴대전자기기(PE)의 후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부재가 별도로 구비되게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의 휴대용 거치대는, 긴 후면지지부(300)를 이용하여, 본체(100)와 후면지지부(300)의 사이에 책장이 삽입되게 하여, 책갈피 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0), 전면지지부(200) 및 후면지지부(300) 중 하나 이상의 일면에 장식 또는 광고의 문구나 이미지가 삽입되게 구현될 수도 있으며, 본체(100)의 후면 일측에는 눈금이 구비되게 하여 유사시에는 길이를 재거나 직선을 그릴 수 있는 자 대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게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의 휴대용 거치대의 구성, 작용효과, 동작 및 사용상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의 휴대용 거치대는, 본체(100'), 전면지지부(200'), 후면지지부(300') 및 장식부재(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평판 형상으로 구비되며, 휴대전자기기(PE)를 거치할 때에는 지지면 상에 접촉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중심부에는 전면지지부(200')와 후면지지부(300')가 구비되는 직사각 형상으로 홀부(110)가 형성되고, 그 일측에는 휴대전자기기의 줄이나 열쇠고리 등에 걸어 휴대할 수 있게 걸이홀(12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홀부(110)의 형상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상기 걸이홀(120)도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아님을 밝혀둔다.
상기 전면지지부(200')는 홀부(110)의 일측에 제1접철부(240)를 통해 연결 구비되고,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나 합성수지 등과 같은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져 제1접철부(240)가 탄성 변형으로 접철되며 홀부(110)로부터 상측으로 세워질 수 있게 구비됨으로써, 휴대전자기기(PE)를 거치시에는 휴대전자기기(PE)의 전면을 접촉 지지한다.
상기 후면지지부(300')는 홀부(110)의 타측에 전면지지부(200')와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제2접철부(320)를 통해 연결 구비되고, 전면지지부(200')와 같이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져 제2접철부(320)가 탄성 변형으로 접철되며 홀부(110)로부터 상측으로 세워질 수 있게 구비됨으로써, 휴대전자기기(PE)를 거치시에는 휴대전자기기(PE)의 후면을 접촉 지지한다.
즉, 상기 휴대전자기기(PE)를 거치할 때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지지부(200')와 후면지지부(300')를 당겨 상측으로 세운 후, 휴대전자기기(PE)를 상측으로 세워진 전면지지부(200')와 후면지지부(300')의 사이 공간에 세워진 상태로 설치하면, 휴대전자기기(PE)의 전면과 후면이 각각 전면지지부(200')와 후면지지부(300')에 의해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전면지지부(200')와 후면지지부(300')는 상측으로 세워지면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져 있는 특성상 다시 누우려는 복원 탄성력이 발생한다. 이때, 상기 전면지지부(200')와 후면지지부(300')는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복원 탄성력은 휴대전자기기(PE)의 전면과 후면을 서로 마주보게 가압하여 휴대전자기기(PE)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전면지지부(200')와 후면지지부(300')는 각각 홀부(110)의 일측부와 타측부에 각각 삽입 내장될 수 있도록 홀부(110)의 일측부와 타측부에 각각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이렇게 구비되는 경우 전면지지부(200')와 후면지지부(300')가 본체(100')의 상측이나 하측으로 돌출되지 않아 평면 형상이 될 수 있으므로 휴대가 매우 간편해지기 때문이다.
또 한편, 상기 전면지지부(200')와 후면지지부(300')는 본체(10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때 제1접철부(240)와 제2접철부(3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상면에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전면지지부(200')와 후면지지부(300')가 본체(100')와 일체로 제작될 경우 그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고, 제1접철부(240)와 제2접철부(320)도 간단한 홈으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제조 시간도 줄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렇게 홈으로 구현된 제1접철부(240)와 제2접철부(320)는 전면지지부(200')와 후면지지부(300')를 홈이 형성된 상측으로만 접철될 수 있게 함으로써, 그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휴대전자기기(PE)를 거치하기 위한 설치의 편의를 돕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전면지지부(200')와 후면지지부(300')는 본체(100')와 일체로 제작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각 별도로 제작되어 본체(100')의 홀부(110)에 고정 설치되는 방식으로 제조되게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장식부재(400)는 장식 또는 광고의 문구나 이미지가 구비되어 후면지지부(300')의 상면에 형성된 장식홀부(330)에 설치된다. 이러한 장식부재(400)는 후면지지부(300') 뿐만 아니라, 본체(100')나 전면지지부(200')의 상면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휴대전자기기의 휴대용 거치대에 향상된 심미감이나 광고정보의 전달성을 부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자기기의 휴대용 거치대에 의하면,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져 선택적으로 본체(100, 100')에 대해 상측으로 세워질 수 있는 전면지지부(200, 200') 및 후면지지부(300, 300')가 구비됨으로써, 평판 형상을 갖는 상태로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으면서도, 필요시에는 간편하게 전면지지부(200, 200')와 후면지지부(300, 300')를 세워 그 사이에 휴대전자기기(PE)를 세워진 상태로 설치하고, 전면지지부(200, 200')와 후면지지부(300, 300')의 누우려는 복원 탄성력을 이용해 휴대전자기기(PE)를 세워진 상태로 고정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장소의 지지면에 휴대전자기기(PE)를 용이하게 세워 휴대전자기기(PE)의 콘텐츠를 편안하게 감상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어 있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100' : 본체 110 : 홀부
120 : 걸이홀 200, 200' : 전면지지부
210 : 제1절개선 220 : 접철선
230 : 요홈 240 : 제1접철부
300, 300' : 후면지지부 310 : 제2절개선
320 : 제2접철부 330 : 장식홀부
400 : 장식부재 PE : 휴대전자기기
120 : 걸이홀 200, 200' : 전면지지부
210 : 제1절개선 220 : 접철선
230 : 요홈 240 : 제1접철부
300, 300' : 후면지지부 310 : 제2절개선
320 : 제2접철부 330 : 장식홀부
400 : 장식부재 PE : 휴대전자기기
Claims (7)
-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져 평판 형상으로 구비되며, 지지면 상에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세워질 수 있도록 절개 형성된 전면지지부; 및
상기 전면지지부와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상기 본체의 타측에 세워질 수 있게 절개 형성된 후면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면지지부와 상기 후면지지부에 전면과 후면이 각각 접촉되도록 상기 전면지지부와 상기 후면지지부가 세워져 형성되는 사이 공간에 휴대전자기기가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면, 상기 전면지지부와 상기 후면지지부의 누우려는 복원 탄성력에 의해 상기 휴대전자기기가 가압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기기의 휴대용 거치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지지부는,
그 끝단부가 상기 휴대전자기기의 전면에 안정적으로 면 접촉될 수 있도록, 중심부에 평행하게 접철될 수 있게 구비된 접철선;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기기의 휴대용 거치대.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지지부는,
상기 전면지지부보다 길게 구비되며, 상기 휴대전자기기의 후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그 끝단이 상기 휴대전자기기의 후면과 상기 지지면측 방향을 기준으로 예각으로 접촉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기기의 휴대용 거치대. - 소정의 두께를 갖는 평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지지면 상에 설치되며, 그 상면 중심부에 홀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홀부의 일측에 제1접철부를 통해 연결 구비되고,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제1접철부가 탄성 변형으로 접철되며 상기 홀부로부터 상측으로 세워질 수 있게 구비된 전면지지부;
상기 홀부의 타측에 상기 전면지지부와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제2접철부를 통해 연결 구비되고,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제2접철부가 탄성 변형으로 접철되며 상기 홀부로부터 상측으로 세워질 수 있게 구비된 후면지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전면지지부와 상기 후면지지부에 전면과 후면이 각각 접촉되도록 상기 전면지지부와 상기 후면지지부가 세워져 형성되는 사이 공간에 휴대전자기기가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면, 상기 전면지지부와 상기 후면지지부의 누우려는 복원 탄성력에 의해 상기 휴대전자기기가 가압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기기의 휴대용 거치대.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지지부와 상기 후면지지부는,
상기 홀부의 일측부와 타측부에 각각 삽입 내장될 수 있도록 상기 홀부의 일측부와 타측부에 각각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기기의 휴대용 거치대. -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상기 전면지지부 및 상기 후면지지부는, 탄성을 갖는 동일한 소재로써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제2접철부는, 상기 전면지지부와 상기 후면지지부가 상측으로 세워지는 방향으로만 접철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기기의 휴대용 거치대.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접철부는,
상기 본체와 상기 전면지지부의 연결부분 상면 및 상기 본체와 상기 후면지지부의 연결부분 상면에 각각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 홈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기기의 휴대용 거치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4395A KR101235505B1 (ko) | 2011-02-18 | 2011-02-18 | 휴대전자기기의 휴대용 거치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4395A KR101235505B1 (ko) | 2011-02-18 | 2011-02-18 | 휴대전자기기의 휴대용 거치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95021A true KR20120095021A (ko) | 2012-08-28 |
KR101235505B1 KR101235505B1 (ko) | 2013-02-20 |
Family
ID=46885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14395A KR101235505B1 (ko) | 2011-02-18 | 2011-02-18 | 휴대전자기기의 휴대용 거치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35505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44035A (ko) * | 2015-06-08 | 2016-12-16 | 주식회사 하이맥 | 휴대형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
AT15221U1 (de) * | 2015-02-04 | 2017-03-15 | Hold Innovation GmbH | Ständer für Mobiltelefone und ähnliche elektronische Gerät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63551B1 (ko) * | 2004-07-08 | 2007-01-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용 단말기의 탁상용 거치대 |
KR20080018022A (ko) * | 2006-08-23 | 2008-02-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용단말기의 거치대 |
KR20100040639A (ko) * | 2008-10-10 | 2010-04-20 | 주식회사 다이아벨 | 휴대용 전자기기의 스탠딩장치 |
-
2011
- 2011-02-18 KR KR1020110014395A patent/KR10123550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AT15221U1 (de) * | 2015-02-04 | 2017-03-15 | Hold Innovation GmbH | Ständer für Mobiltelefone und ähnliche elektronische Geräte |
KR20160144035A (ko) * | 2015-06-08 | 2016-12-16 | 주식회사 하이맥 | 휴대형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35505B1 (ko) | 2013-02-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084315B (zh) | 带有支架的电子装置夹持器 | |
KR20200001539U (ko) | 휴대용 단말기 및 pc 장치용 스탠드 | |
KR102411776B1 (ko) | 휴대용 독서대 | |
CN105874400B (zh) | 用于便携式计算装置的支架 | |
US20100282924A1 (en) | Mobile Device Stand for Restaurants and Bars | |
KR200397129Y1 (ko) | 핸드폰 케이스용 거치대 | |
KR20110010009U (ko) | 휴대용 소형 전자 기기용 접힘가능성 스탠드 | |
US8602375B2 (en) | Portable and foldable support bracket | |
KR101235505B1 (ko) | 휴대전자기기의 휴대용 거치대 | |
US20120188699A1 (en) | Notebook computer | |
US20170254471A1 (en) | Portable foldable supporting assembly | |
JP2015104577A (ja) | 携帯情報機器のサポート装置及びテーブル | |
KR200472787Y1 (ko) | 휴대전자기기의 휴대용 거치대 | |
US20180010622A1 (en) | Connection clamp | |
JP3176840U (ja) | 多機能型携帯電話機用スタンド | |
KR200470994Y1 (ko) |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 | |
KR20150002726U (ko) | 휴대폰 거치대 | |
KR101359677B1 (ko) | 전자기기용 거치대 | |
KR101354213B1 (ko) |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 |
KR20140003190U (ko) |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 | |
CN202472510U (zh) | 手持式电子移动装置的保护装置 | |
KR20120015202A (ko) | 태블릿pc용 거치대 | |
CN210407584U (zh) | 折叠式板垫支撑结构 | |
CN214014285U (zh) | 折叠式移动终端支架 | |
KR102257373B1 (ko) | 모듈형 독서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