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2726U - 휴대폰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2726U
KR20150002726U KR2020130010943U KR20130010943U KR20150002726U KR 20150002726 U KR20150002726 U KR 20150002726U KR 2020130010943 U KR2020130010943 U KR 2020130010943U KR 20130010943 U KR20130010943 U KR 20130010943U KR 20150002726 U KR20150002726 U KR 2015000272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mobile phone
business card
bas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109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금자
Original Assignee
김금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금자 filed Critical 김금자
Priority to KR20201300109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2726U/ko
Publication of KR201500027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72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을 거치시킨 상태에서 동영상을 감상할 수 있음은 물론 명함이나 펜 등의 필기구를 함께 보관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 거치대를 제공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바닥면에 지면과 마찰하는 논슬립패드가 부착된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며 휴대폰의 배면을 받쳐 거치시키는 받침프레임,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받침프레임에 받쳐져 있는 상기 휴대폰의 전면 하단을 걸림 고정시키는 걸림편, 상기 받침프레임의 일측에 함몰 형성되며 명함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명함 수납홈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 후방에 반원 단면 형태로 함몰 형성되며 필기구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필기구 거치홈을 포함하며, 상기 받침프레임의 전면은 상기 휴대폰이 뒤쪽으로 소정각도 누운 상태로 거치될 수 있도록 수직선상에서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면부를 형성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휴대폰 거치대{Resting Structure For Mobile Telephone}
본 고안은 휴대폰 거치대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을 거치시킨 상태에서 동영상을 감상할 수 있음은 물론 명함이나 펜 등의 필기구를 함께 보관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이나 모바일폰, MP3, 휴대용동영상플레이어 등과 같은 기기는 일상생활에서 없어서는 안될 필수적인 생활기기로 자리잡고 있으며, 이 중 휴대폰이나 모바일폰과 같은 경우에는 어린아이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폰은, 주로 상대방과의 통화를 목적으로 휴대하고 있지만, 통화 이외에 문자를 주고 받거나 또는 휴대폰에 구성된 카메라 기능을 이용하여 셀카 등을 찍는데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근자들어서는 휴대폰에 MP3기능과 동영상플레이어, DMB기능을 더 부가함으로써 단순한 통화나 문자전송 이외에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휴대폰에 DMB기능이나 동영상플레이어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DMB 시청 또는 동영상을 감상할 때 넓은 화면으로 볼 수 있도록 휴대폰에 와이드기능을 부가하고 있으며, 최근에 출시되고 있는 터치폰이나 아이폰 등과 같은 경우 DMB 시청이나 동영상을 감상할 때 휴대폰을 가로방향으로 위치하면 휴대폰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자동적으로 와이드형으로 바뀌어 넓은 화면이 제공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와이드형으로 바뀌는 넓은 화면을 이용하여 DMB 시청이나 동영상을 감상할 경우에 사용자가 직접 가로방향으로 위치되는 휴대폰을 한 손으로 계속 들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뒤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즉, 휴대폰 자체에 휴대폰을 지지하는 별도의 지지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사용자가 DMB 시청 또는 동영상을 넓은 와이드 화면으로 감상하고자 할 경우에, 휴대폰을 가로방향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한 손 또는 양손으로 휴대폰의 가장자리를 파지하고 있어야 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손에 무리가 가해지거나 심할 경우에는 손목 통증이나 어깨 통증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휴대폰을 직접 손으로 들지 않더라도 책상이나 방바닥 등 어느 곳에 거치시킨 상태에서 동영상을 편안하게 감상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용 거치대가 절실히 요구된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10-2006-0117594 호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폰을 거치시킨 상태에서 동영상을 감상할 수 있음은 물론 명함이나 펜 등의 필기구를 함께 보관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 거치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휴대폰 거치대에 있어서, 바닥면에 지면과 마찰하는 논슬립패드가 부착된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며 휴대폰의 배면을 받쳐 거치시키는 받침프레임,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받침프레임에 받쳐져 있는 상기 휴대폰의 전면 하단을 걸림 고정시키는 걸림편, 상기 받침프레임의 일측에 함몰 형성되며 명함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명함 수납홈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 후방에 반원 단면 형태로 함몰 형성되며 필기구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필기구 거치홈을 포함하며, 상기 받침프레임의 전면은 상기 휴대폰이 뒤쪽으로 소정각도 누운 상태로 거치될 수 있도록 수직선상에서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면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받침프레임의 전면 경사면부에 휴대폰의 배면을 받쳐주면 휴대폰의 전면 하단은 걸림편에 걸려진 상태에서 거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휴대폰을 손으로 직접 들고 있지 않더라도 DMB나 동영상등을 감상할 수 있음은 물론 받침프레임에 형성된 명함수납홈과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된 필기구 거치홈을 통해 별도의 명함보관함 및 필기구보관함을 마련하지 않더라도 책상 주변을 말끔히 정리 정돈할 수 있는 작용 효과를 구현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측면을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고안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을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휴대폰 거치대(100)는 베이스플레이트(10)로 바닥을 구성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는 평판 형태로 휴대폰을 받쳐주는 받침프레임(14)을 지탱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전면에는 논슬립패드(12)가 부착되며, 상기 논슬립패드(12)는 바닥과의 접촉시 마찰력을 발생시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에 올려진 휴대폰(200)으로 동영상을 시청하는 과정에서 외부 충격 등으로 베이스플레이트(10)가 바닥에서 미끌어지는 것을 방지시키게 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면에는 휴대폰(200)의 배면을 받쳐주는 받침프레임(14)이 설치된다. 상기 받침프레임(14)의 전면은 수직선상에서 후방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지도록 경사면부(16)를 형성하고 그 후면은 수직으로 직각되게 직각면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받침프레임(14)의 전면에 형성된 경사면부(16)는 상기 휴대폰(200)이 뒤쪽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거치될 수 있도록 하여 DMB나 동영상 등을 감상할 때, 보다 편안하게 누워서 감상할 수 있도록 할 목적으로 제공되는 수단이다.
상기한 받침프레임(14), 바람직하게는 상기 받침프레임(14)의 전면 경사면부(16)로 휴대폰(200)의 배면이 받쳐지도록 함으로서 사용자는 휴대폰(200)을 손으로 직접 들고 있지 않더라도 DMB나 동영상 등을 감상할 수 있어 사용자의 손에 무리가 가해지거나 혹은 손목 통증이나 어깨 통증을 유발시키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받침프레임(14)의 일측에는 각종 명함(300)을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명함수납홈(18)이 함몰 형성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면 앞쪽에는 걸림편(20)이 설치된다. 상기 걸림편(20)은 상기 받침프레임(14)의 전면 경사면부(16)와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로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받침프레임(14)의 전면 경사면부(16)에 받쳐져 있는 휴대폰(200)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휴대폰(200)을 걸림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걸림편(20)의 전면에는 전화번호나 업체의 상호 또는 이름 등을 인쇄하여 판촉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면 뒤쪽에는 펜 등의 각종 필기구(400)를 거치시킬 수 있도록 반원 단면 형상을 가진 필기구 거치홈(24)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본 고안의 휴대폰 거치대(100)는 받침프레임(14)의 전면 경사면부(16)에 휴대폰(200)의 배면을 받쳐주면 휴대폰(200)의 전면 하단은 걸림편(20)에 걸려진 상태에서 거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휴대폰(200)을 손으로 직접 들고 있지 않더라도 DMB나 동영상등을 감상할 수 있게 됨으로서 사용자의 손에 무리가 가해지거나 혹은 손목 통증이나 어깨 통증을 유발시키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별도의 명함 보관함이나 필기구 보관함을 마련하지 않더라도 거치대(100)의 받침프레임(14)에 형성되어 있는 명함 수납홈(18)과 또한 거치대(100)의 베이스플레이트(10) 상면 후방에 형성되어 있는 필기구 거치홈(24)에 명함(300)과 필기구(400)를 각각 수납 및 보관할 수 있음으로서 사용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10: 베이스플레이트 12: 논슬립패드
14: 받침프레임 16: 경사면부
18: 명함수납홈 20: 걸림편
24: 필기구 거치홈 100: 휴대폰 거치대
200: 휴대폰 300: 명함
400: 필기구

Claims (1)

  1. 휴대폰 거치대에 있어서,
    바닥면에 지면과 마찰하는 논슬립패드(12)가 부착된 베이스플레이트(1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면에 설치되며 휴대폰(200)의 배면을 받쳐 거치시키는 받침프레임(14);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면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받침프레임(14)에 받쳐져 있는 상기 휴대폰(200)의 전면 하단을 걸림 고정시키는 걸림편(20);
    상기 받침프레임(14)의 일측에 함몰 형성되며 명함(300)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명함 수납홈(18) 및 ;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면 후방에 반원 단면 형태로 함몰 형성되며 필기구(400)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필기구 거치홈(24)을 포함하며;
    상기 받침프레임(14)의 전면은 상기 휴대폰(200)이 뒤쪽으로 소정각도 누운 상태로 거치될 수 있도록 수직선상에서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면부(16)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대.


KR2020130010943U 2013-12-31 2013-12-31 휴대폰 거치대 KR2015000272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943U KR20150002726U (ko) 2013-12-31 2013-12-31 휴대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943U KR20150002726U (ko) 2013-12-31 2013-12-31 휴대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726U true KR20150002726U (ko) 2015-07-09

Family

ID=53794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10943U KR20150002726U (ko) 2013-12-31 2013-12-31 휴대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2726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9429A (ko) * 2018-05-11 2019-11-20 김봉기 사진 및 향기 캡슐의 장착이 가능한 휴대폰용 그립 거치대
KR102309732B1 (ko) * 2020-10-06 2021-10-07 (주)웅진씽크빅 태블릿 거치대
KR102646227B1 (ko) 2022-11-11 2024-03-13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폰 거치대 겸용 지갑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9429A (ko) * 2018-05-11 2019-11-20 김봉기 사진 및 향기 캡슐의 장착이 가능한 휴대폰용 그립 거치대
KR102309732B1 (ko) * 2020-10-06 2021-10-07 (주)웅진씽크빅 태블릿 거치대
KR102646227B1 (ko) 2022-11-11 2024-03-13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폰 거치대 겸용 지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0376B2 (en) Supporting bracket
JP5177917B1 (ja) 携帯型情報端末用充電台
KR20100091675A (ko) 휴대용 거치대
US20140221055A1 (en) Mobile electronic device holder
KR200451879Y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KR20110011257U (ko) 거치 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KR20140007049A (ko)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GB2508566A (en) Multi-function cover for a personal media device including a sound channel to enhance the audio from the media device
US20090072786A1 (en) Cradle for differently sized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20150002726U (ko) 휴대폰 거치대
KR20150003379U (ko) 핸드폰용 흡착식 거치대
KR20160018306A (ko)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KR101371249B1 (ko) 디지털단말기 통합 거치대
JP3176840U (ja) 多機能型携帯電話機用スタンド
KR20140002951U (ko) 거치대 일체형 휴대폰 케이스
JP6016592B2 (ja) 携帯情報端末機用ケース
KR200457661Y1 (ko) 와이드형 휴대폰 거치대
KR101349706B1 (ko)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
KR20210093839A (ko) 휴대 단말기용 고리 홀더
KR200485571Y1 (ko) 사물 거치홈이 형성된 협탁
KR20140146466A (ko) 시트형 휴대폰 거치대
KR20140005390U (ko) 화면 거치가 편리한 모바일 기기용 보호 케이스
KR200468603Y1 (ko) 거치대 및 밴드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CN209856692U (zh) 一种支撑外壳
KR102253375B1 (ko)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