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9732B1 - 태블릿 거치대 - Google Patents

태블릿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9732B1
KR102309732B1 KR1020200129032A KR20200129032A KR102309732B1 KR 102309732 B1 KR102309732 B1 KR 102309732B1 KR 1020200129032 A KR1020200129032 A KR 1020200129032A KR 20200129032 A KR20200129032 A KR 20200129032A KR 102309732 B1 KR102309732 B1 KR 102309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t
support
column
main body
lifting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9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효진
유용성
Original Assignee
(주)웅진씽크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웅진씽크빅 filed Critical (주)웅진씽크빅
Priority to KR1020200129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97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H04N5/2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블릿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태블릿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 세워지고 인출공(210)을 구비한 지지기둥(200)과 상기 지지기둥(200)의 인출공에서 승강되는 승강기둥(300)과 상기 승강기둥(300)에 장착되어 승하강 가능하고 승강기둥(300)에서 하강하면 상기 태블릿(T)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지지클립(4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태블릿을 안정적으로 거치시켜 고정하고 구조가 단순하여 어린 아이들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태블릿과 연동한 학습이 가능하여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태블릿 거치대{TABLET CRADLE}
본 발명은 태블릿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블릿을 거치시켜 고정하고 태블릿을 활용한 학습이 가능하도록 보조하는 기능을 갖는 태블릿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태블릿은 매우 다양한 종류와 형태를 갖는 제품이 출시되고 있으며, 이들은 MMS, 무선인터넷, 이메일, MP3, 동영상 및 카메라 등 다양한 기능이 부가된 복합적인 개념의 태블릿으로 개발되어 급속히 보급됨으로써, 사용자는 태블릿 하나로 쉽고 편리하게 여러가지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태블릿은 장시간 손에 들고 있거나 사용하는 경우 불편함이 많기 때문에 태블릿을 바닥에 내려놓거나 물건이나 벽 등에 기대어 사용해 왔으나, 사용이 불편한 이유로 태블릿을 거치시켜 사용하기 위한 여러 거치대들이 개발되었다.
그런데 종래의 태블릿 거치대는 책상에 고정하는 형태, 힌지 등을 적용하여 각도 조절 가능한 형태 등으로 그 구조가 복잡한 반면 안정성이 낮고, 태블릿의 단순 거치 기능만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강한 스프링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태블릿을 탈착할 때 많은 힘이 필요해서 어린이가 조작하기 어렵고 오랜 시간 사용할 경우 기구적으로 헐거워지는 문제점도 있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106452호(2012.01.09 등록, 태블릿 PC용 거치대)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태블릿을 안정적으로 거치시켜 고정하되 그 구조가 단순하며, 어린이도 쉽게 힘들이지 않고 태블릿을 고정 거치할 수 있고, 태블릿을 활용한 학습이 가능하고 태블릿과 연동하여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태블릿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입체 캐릭터 형상을 적용하여 외관이 미려하고 인테리어 소품으로도 활용 가능하게 한 태블릿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블릿 거치대는 태블릿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본체와 본체의 상면에 세워지고 인출공을 구비한 지지기둥과 지지기둥의 인출공에서 승강되는 승강기둥과 승강기둥에 설치되고 태블릿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지지클립을 포함한다.
지지클립은 상기 승강기둥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자중에 의해 하강된다.
승강기둥은 최상부측의 선단부에 카메라가 장착된다.
승강기둥은 최상부측의 전방으로 돌출된 단부에 카메라가 장착되어, 본체의 전방층의 바닥면 부분에 놓여지는 학습용 객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된다.
본체는 상면에 상기 태블릿의 하단부를 삽입하여 지지하는 지지홈부가 형성된다.
지지홈부는 지지기둥의 전방측에 위치하고, 서로 이격 배치된 제1 지지홈부와 제2 지지홈부를 포함하며, 제1 지지홈부와 상기 제2 지지홈부는 태블릿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지지홈을 형성하도록 본체의 상면에서 두 개의 지지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된 형상이다.
본체는 전원연결포트가 구비되고, 전원연결포트는 지지홈부에 삽입되는 태블릿 및 본체에 구비되는 전기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승강기둥은 최상부측이 입체 캐릭터 형상을 가지고, 최상부측의 하부는 상기 입체 캐릭터 형상의 목 형상이 된다.
승강기둥은 최상부측이 동물 캐릭터 형상을 가지고, 동물 캐릭터 형상의 입에 해당하는 부분에 카메라가 내장되어, 본체의 전방측의 바닥면 부분을 촬영할 수 있도록 된다.
본체는 카메라와 태블릿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태블릿으로 전송하는 전송커넥터가 구비된다.
지지클립은 승강기둥의 외주에 결합되고 인출공에 비해 외경이 큰 밴드부와 밴드부의 전방측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승강기둥과의 사이에 삽입홈을 형성하는 지지판부를 포함한다.
승강기둥은 최상부측이 동물 캐릭터 형상을 가지고, 최상부측의 하부는 동물 캐릭터 형상의 목 형상이 되며, 지지클립은 목 형상에 착용되는 악세사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체는 저면에 미끄럼 방지용 마찰패드가 구비된다.
본 발명은 태블릿 거치대는 승강기둥을 잡고 상부로 잡아당기는 것에서 카메라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승강기둥에 설치된 지지클립을 상부로 당기고 당긴 힘을 제거하는 간단한 동작으로 지지클립이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태블릿을 지지할 수 있으므로 태블릿을 거치하고 고정하는 구조가 단순하고 간편하여 어린이들의 사용 안정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가 내장되어 태블릿에 설치된 앱과 연계되는 학습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학습 효과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체 동물 캐릭터를 적용하여 아이들에게 친근감을 주어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외관도 미려하여 인테리어 소품으로도 활용도가 높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블릿 거치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블릿 거치대의 측단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블릿 거치대를 후방에서 보인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블릿 거치대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블릿 거치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태블릿 거치대(10)는 본체(100), 지지기둥(200), 승강기둥(300) 및 지지클립(400)을 포함한다.
본체(100)는 태블릿을 책상, 테이블, 바닥면 등에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본체(100)는 소정의 부피를 가지는 형상이고, 저면이 소정의 면적을 가져 바닥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본체(100)는 상면에 지지홈부(110,120)가 형성된다. 지지홈부(110,120)는 태블릿의 하단부를 삽입하여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지지홈부(110,120)는 본체(100)의 상면에 서로 이격 배치된 제1 지지홈부(110)와 제2 지지홈부(120)를 포함한다. 제1 지지홈부(110)와 제2 지지홈부(120)는 태블릿의 하단부의 양측을 삽입하여 지지한다.
제1 지지홈부(110)와 제2 지지홈부(120)는 본체(100)의 상면에서 두 개씩의 지지돌기(111,112)(121,122)가 돌출되고, 그 사이에 3면이 개방된 지지홈(113,123)을 형성하는 형상이다. 두 개의 지지돌기(111,112)(121,122)의 사이의 지지홈(113,123)에 태블릿의 하단부가 삽입된다. 제1 지지홈부(110)와 제2 지지홈부(120)는 지지기둥(200)의 전방측에 위치하고, 서로 이격 배치된다.
제1 지지홈부(110)를 형성하는 지지돌기(111,112)와 제2 지지홈부(120)를 형성하는 지지돌기(121,122)는 실리콘 라운드 처리로 이질감이 없고 디자인이 미려하면서 태블릿을 보호해줄 수 있도록 된다. 또한, 지지홈(113,123)에도 보호패드가 부착되어 태블릿을 보호해줄 수 있도록 된다.
제1 지지홈부(110)와 제2 지지홈부(120)의 사이에 해당하는 본체(100)는 본체(100)의 일부가 후방으로 요입되어 형성된 관통홈부(130)가 포함된다. 관통홈부(130)를 통해서 제1 지지홈부(110)와 제2 지지홈부(120)에 안착된 태블릿의 하부 충전포트가 외부로 노출된다. 사용자는 태블릿을 제1 지지홈부(110)와 제2 지지홈부(120)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관통홈부(130)를 통해 태블릿의 충전포트에 충전기를 연결할 수 있다.
지지기둥(200)은 본체(100)의 상면에 세워지는 형상이다. 지지기둥(200)은 본체(100)의 상면 중앙에 수직으로 세워진 형상으로 형성되며, 본체(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작된 후 본체(100)의 중앙에 형성한 구멍에 하부측이 볼트 결합 방식 등으로 조립될 수도 있다.
지지기둥(200)은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지지기둥(200)은 상부로 개구되는 인출공(210)이 형성된다. 지지기둥(200)의 인출공(210)에 승강기둥(300)이 삽입 설치되어 승강되고, 하강할 수 있다. 승강기둥(300)은 인출공(210)에 압입식으로 삽입되고 승강되어 승강시킨 후 그 자리에서 멈출수 있다. 그에 따라 승강기둥(300)은 인출공(210)에서 인출되어 승강된 상태 또는 하강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승강기둥(300)은 지지기둥(200)의 인출공(210)에서 승강되고 하강된다. 승강기둥(300)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외경이 인출공(210)의 내경에 밀착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승강기둥(300)을 상부로 잡아당겨 승강시키는 작업이 가능하고, 승강기둥(300)을 승강시킨 상태에서 잡아당긴 힘을 제거하면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그 자리에서 자연스럽게 멈출 수 있다. 이 외 승강기둥(300)의 승강이 가능하고 승강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면 다른 구조도 적용 가능하다.
지지클립(400)은 승강기둥(300)의 외주에 장착된다. 지지클립(400)은 승강기둥(300)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자중에 의해 하강된다. 구체적으로, 지지클립(400)은 승강기둥(300)에 장착되어 승강 가능하고 자중에 의해 하강 가능하며, 하강하면 태블릿(T)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지지클립(400)의 내경은 승강기둥(300)의 외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또한, 지지클립(400)의 내경은 지지기둥(200)의 외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승강기둥(300)의 외주에 장착된 상태에서 지지기둥(200)으로 하강하지 않는다.
지지클립(400)은 밴드부(410)와 지지판부(420)를 포함한다. 밴드부(41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승강기둥(300)의 외주에 결합된다. 밴드부(410)는 인출공(210)의 내경에 비해 외경이 크게 형성되어 지지기둥(200)의 상단에 안착됨으로써 지지기둥(200)으로 하강하지 않는다. 지지판부(420)는 밴드부(410)의 전방측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지지판부(420)는 승강기둥(300)과의 사이에 삽입홈(421)을 형성하여 태블릿의 상단부를 삽입하여 지지할 수 있다.
승강기둥(300)은 최상부측의 선단부에 카메라(500)가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승강기둥(300)의 최상부측의 전방으로 돌출된 단부에 카메라(500)가 장착되어, 본체(100)의 전방층의 바닥면 부분에 놓여지는 책 등의 학습용 객체를 촬영할 수 있다.
승강기둥(300)은 최상부측(310)이 입체 캐릭터 형상을 가지고, 최상부측의 하부는 입체 캐릭터 형상의 목 부분이 되도록 형성된다. 일 예로, 승강기둥(300)은 최상부측(310)이 동물 캐릭터 형상을 가지고, 동물 캐릭터 형상의 입에 해당하는 부분에 카메라(500)가 내장될 수 있으며, 카메라(500)는 본체(100)의 전방측의 바닥면 부분을 촬영할 수 있도록 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승강기둥(300)은 최상부측(310)이 기린 형상으로 형성되고, 기린의 입에 해당하는 부분에 카메라(500)가 내장되어, 본체(100)의 전방측의 바닥면 부분을 촬영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승강기둥(300)은 최상부측(310)의 하부가 기린 형상의 목 부분이 되며, 지지클립(400)은 기린 형상의 목 부분에 착용되는 악세사리 형상으로 된다. 실시예에서 악세사리는 리본 형상으로 된다. 즉, 태블릿 거치대(10)는 기린의 목에 착용된 밴드의 리본이 태블릿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구조가 된다. 또한, 지지기둥(200)은 승강기둥(300)과 연결되어 기린의 목 부분이 되며, 승강기둥(300)을 지지기둥(200)에서 승하강시킴에 의해 기린의 목이 신장되는 구조가 된다. 또한, 본체(100)는 기린의 몸통과 짧은 다리를 형성하여 태블릿 거치대의 전체 형상이 입체적인 기린 캐릭터 형상을 가지게 된다. 상술한 입체 동물 캐릭터 형상으로 형성되는 태블릿 거치대(10)는 외관이 미려하여 인테리어 소품으로 활용 가능하게 만든 것이다.
본체(100)의 전방측의 바닥면 부분에는 학습용 책 또는 학습용 카드와 같은 학습용 객체가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500)는 본체(100)의 전방측의 바닥면 부분에 배치된 학습용 책 또는 학습용 카드를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500)가 촬영한 학습용 책 또는 학습용 카드의 이미지는 태블릿 거치대(10)에 거치된 태블릿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100)는 카메라(500)와 태블릿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카메라가 촬영한 사진 또는 영상을 태블릿(T)으로 전송하는 전송커넥터(600)가 구비된다. 전송커넥터(600)는 블루투스, 커넥터 형상의 전송안테나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전송커넥터(600)는 본체(100)의 측면에 구비된 포터에 결합되고 탈착 가능하다.
본체(100)는 측면에 전원연결포트(700)가 구비된다. 전원연결포트(700)는 지지홈부(110,120)에 안착되는 태블릿 및 본체(100)에 구비되는 카메라(500) 등의 전기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태블릿 및 카메라(500)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본체(100)는 정면에 전원버튼(140)이 구비된다. 전원버튼(140)은 카메라(500)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버튼일 수 있다. 또한 전원버튼(140)은 태블릿 거치대에 거치된 태블릿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체(100)는 저면에 미끄럼 방지용 마찰패드(도 2의 도면부호 800)가 구비된다. 미끄럼 방지용 마찰패드(800)는 본체(100)를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실시예에서 미끄럼 방지용 마찰패드(800)는 기린의 발바닥에 해당하는 부분에 구비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블릿 거치대의 측단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체(100)의 상면 중앙에 지지기둥(200)이 수직으로 세워져 있다. 지지기둥(200)의 인출공(210)에 승강기둥(300)의 일부가 삽입되고, 승강기둥(300)은 인출공(210)에서 인출되는 방식으로 승강 가능하다.
승강기둥(300)은 지지기둥(200)의 인출공(210)에 압입식으로 결합되므로 상부로 당기고 하부로 누르는 힘으로 상승 또는 하강이 가능하고 상승된 상태 또는 하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지지클립(400)은 승강기둥(300)에 대해 승하강 가능하고, 자중에 의해 하강된다. 본체(100)의 지지홈부(110,120)와 승강기둥(300)의 외주에 장착된 지지클립(400)은 태블릿을 일정 강도로 세워서 지지하게 된다.
승강기둥(300)은 상부로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인출공(210)에서 인출되는 방식으로 승강되며, 승강 후 승강기둥(300)을 상부로 잡아당기는 힘을 제거하면 자연스럽게 그 자리에서 멈추게 된다.
지지클립(400)은 승강기둥(300)의 외주에 장착되어 상부로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자연스럽게 승강되며, 승강 후 지지클립(400)을 상부로 잡아당기는 힘을 제거하면 자중에 의해 지지클립(400)이 자연스럽게 하강하고 태블릿의 상단부를 접촉하여 지지하게 된다.
승강기둥(300)의 최상부측(310)은 동물 캐릭터로 구성되며, 동물 캐릭터의 입에 해당되는 부분에는 카메라(500)가 내장되어 본체(100)의 전방측에 해당하는 부분을 카메라로 찍거나 촬영할 수 있다.
본체(100)의 저면에는 미끄럼 방지용 마찰패드(800)가 구비된다. 본체(100)의 후면에는 전송커넥터(600)가 구비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블릿 거치대를 후방에서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태블릿 거치대(10)는 승강기둥(300)의 최상부측(310)이 동물 캐릭터의 머리를 형성하며, 승강기둥(300)과 지지기둥(200)은 동물 캐릭터의 신장 가능한 목을 형성하고, 지지클립(400)은 동물 캐릭터의 리본 타이를 형성하며, 본체(100)는 동물 캐릭터의 몸통과 짧은 다리를 형성하고, 전송커넥터(600)는 동물 캐릭터의 꼬리를 형성하게 되어, 태블릿 거치대(10)의 전체적인 형상이 입체 동물 캐리터가 된다.
태블릿 거치대(10)는 측면에 전원연결포트(700)가 구비되어 카메라(500)나 태블릿 거치대(10)에 거치되는 태블릿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 거치대(10)는 플라스틱 재질 또는 나무 재질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블릿 거치대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태블릿 거치대(10)는 지지클립(400)이 지지기둥(200)의 상단에 안착되고, 승강기둥(300)의 일부가 지지기둥(200)의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형상으로 된다.
이 상태에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기둥(300)을 상부로 잡아당기면 승강기둥(300)이 지지기둥(200)에서 인출된다. 그러면, 승강기둥(300)의 길이가 신장되면서 승강기둥(300)의 최상부측에 장착된 카메라(500)의 높이가 높아진다. 카메라(500)의 높이가 높아지면 본체(100)의 전방측의 바닥면을 촬영할 수 있는 면적이 넓어진다.
이 상태에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기둥(300)의 외주에 장착된 지지클립(400)을 상승시킨다. 그러면, 지지홈부(110,120)와 지지클립(400)의 사이에 태블릿(T)을 배치시킬 공간이 충분히 확보된다.
이 상태에서, 태블릿(T)의 하단부를 지지홈부(110,120)에 삽입시키고 상단부를 지지기둥(200)에 접촉되게 세우고, 지지클립(400)을 상부로 잡아당기는 힘을 제거한다.
그러면,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클립(400)이 자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하강하고, 지지클립(400)이 태블릿(T)의 상단부를 전면측에서 접촉하여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체(100)의 지지홈부(110,120)와 승강기둥(300)의 외주에 장착된 지지클립(400)은 태블릿(T)을 일정 강도로 세워서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태블릿을 활용한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전방측의 바닥면에 학습용 책 또는 학습용 카드와 같은 학습용 객체(C)를 배치하고, 카메라(500)가 이를 촬영한다. 그러면 카메라(500)가 촬영한 학습용 객체(C)의 이미지는 전송커넥터(600)를 통해 태블릿(T)으로 전송될 수 있다.
태블릿(T)으로 전송된 이미지는 태블릿(T)에 설치된 앱이 인식하여 해당 책 또는 카드와 연계된 학습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용 책 또는 카드의 이미지가 인체의 구조에 관한 것이라면, 태블릿(T)에 설치된 앱은 인체의 구조를 자세하게 보여주면서 그 기능에 대해 사용자에게 설명하는 화면을 보여줄 수 있다. 이러한, 태블릿(T)과 연동한 학습은 학습 효과를 향상시키고 학업에 대한 흥미를 증진시킬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 거치대는 미사용시 전원버튼(140)을 눌러 전원을 오프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태블릿 거치대는 승강기둥을 잡고 상부로 잡아당기고 당긴 힘을 제거하는 간단한 동작으로 카메라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지지클립을 잡고 상부로 잡아당기고 당긴 힘을 제거하는 간단한 동작으로 태블릿을 지지클립과 지지홈부의 사이에 거치할 수 있으며, 카메라가 내장되어 태블릿에 설치된 앱과 연계되는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입체 동물 캐릭터를 적용하여 아이들에게 친근감을 주어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외관도 미려하여 인테리어 소품으로도 활용도가 높다.
상술한 실시예의 태블릿 거치대는 입체 동믈 캐릭터에 기린 형상을 적용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동물 캐릭터 형상을 적용하여 제작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과 명세서에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권리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태블릿 거치대 100: 본체
110: 제1 지지홈부 120: 제2 지지홈부
111,112,121,122: 지지돌기 113,123: 지지홈
130: 관통홈부 140: 전원버튼
200: 지지기둥 210: 인출공
300: 승강기둥 310: 승강기둥의 최상부측
400: 지지클립 410: 밴드부
420: 지지판부 421: 삽입홈
500: 카메라
600: 전송커넥터 700: 전원연결포트
800: 미끄럼 방지용 마찰패드

Claims (13)

  1. 태블릿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에 세워지고 상부로 개구되는 인출공을 구비한 지지기둥;
    상기 지지기둥의 인출공에서 승강되는 승강기둥; 및
    상기 승강기둥에 설치되고 상기 태블릿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지지클립;
    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기둥은
    최상부측에 카메라가 내장되어,
    상기 본체의 전방측의 바닥면 부분을 촬영할 수 있도록 되며,
    상기 승강기둥은 외경이 상기 인출공의 내경에 밀착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인출공에서 승강시킨 후 승강된 위치에서 멈출 수 있으며,
    상기 지지클립은 상기 승강기둥의 외주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클립의 내경은 상기 승강기둥의 외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자중에 의해 하강되며,
    상기 지지클립의 내경은 상기 지지기둥의 상단 외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클립이 상기 승강기둥의 외주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기둥의 상단에서 멈추는, 태블릿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둥은
    최상부측이 동물 캐릭터 형상을 가지고,
    상기 동물 캐릭터 형상의 입에 해당하는 부분에 상기 카메라가 내장되는, 태블릿 거치대.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둥은
    상기 본체의 전방층의 바닥면 부분에 놓여지는 학습용 객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된, 태블릿 거치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면에 상기 태블릿의 하단부를 삽입하여 지지하는 지지홈부가 형성된, 태블릿 거치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홈부는
    상기 지지기둥의 전방측에 위치하고, 서로 이격 배치된 제1 지지홈부와 제2 지지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홈부와 상기 제2 지지홈부는
    상기 태블릿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지지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에서 두 개의 지지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된 형상인,
    태블릿 거치대.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전원연결포트가 구비되고,
    상기 전원연결포트는 상기 지지홈부에 삽입되는 태블릿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전기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태블릿 거치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둥은
    상기 최상부측의 하부가 입체 캐릭터 형상의 목 형상이 되는, 태블릿 거치대.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카메라와 상기 태블릿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상기 태블릿으로 전송하는 전송커넥터가 구비된, 태블릿 거치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클립은
    상기 승강기둥의 외주에 결합되고 상기 인출공에 비해 외경이 큰 밴드부; 및
    상기 밴드부의 전방측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승강기둥과 사이에 삽입홈을 형성하는 지지판부;
    를 포함하는 태블릿 거치대.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클립은 상기 목 형상에 착용되는 악세사리 형상으로 되는,
    태블릿 거치대.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저면에 미끄럼 방지용 마찰패드가 구비된, 태블릿 거치대.
KR1020200129032A 2020-10-06 2020-10-06 태블릿 거치대 KR102309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032A KR102309732B1 (ko) 2020-10-06 2020-10-06 태블릿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032A KR102309732B1 (ko) 2020-10-06 2020-10-06 태블릿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9732B1 true KR102309732B1 (ko) 2021-10-07

Family

ID=78609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9032A KR102309732B1 (ko) 2020-10-06 2020-10-06 태블릿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9732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8648A (ja) * 1997-12-24 1999-07-06 Mieko Saiki 鏡付き猫型卓上書見台
KR20090107594A (ko) * 2008-04-10 2009-10-14 김소연 컴퓨터, 컴퓨터 모니터 장치 및 컴퓨터 책상
KR101106452B1 (ko) 2011-06-09 2012-01-18 이현탁 태블릿pc용 거치대
KR20130005070U (ko) * 2012-02-16 2013-08-26 김재연 야외 사진촬영용 스마트기기 거치대
KR20150002726U (ko) * 2013-12-31 2015-07-09 김금자 휴대폰 거치대
KR20170075458A (ko) * 2015-12-23 2017-07-03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용 삼각대
KR200485866Y1 (ko) * 2017-11-28 2018-03-07 이경호 메뉴판이 구비되는 보조 전원 공급 장치
TWM564890U (zh) * 2018-02-09 2018-08-01 易健立 Dinosaur-style table lamp mobile phone or tablet storage
KR20190001697A (ko) * 2017-06-28 2019-01-07 (주)아이티버스 휴대용 단말기 및 카메라 거치대
KR20190011034A (ko) * 2017-07-24 2019-02-01 한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 기반의 교육용 게임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8648A (ja) * 1997-12-24 1999-07-06 Mieko Saiki 鏡付き猫型卓上書見台
KR20090107594A (ko) * 2008-04-10 2009-10-14 김소연 컴퓨터, 컴퓨터 모니터 장치 및 컴퓨터 책상
KR101106452B1 (ko) 2011-06-09 2012-01-18 이현탁 태블릿pc용 거치대
KR20130005070U (ko) * 2012-02-16 2013-08-26 김재연 야외 사진촬영용 스마트기기 거치대
KR20150002726U (ko) * 2013-12-31 2015-07-09 김금자 휴대폰 거치대
KR20170075458A (ko) * 2015-12-23 2017-07-03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용 삼각대
KR20190001697A (ko) * 2017-06-28 2019-01-07 (주)아이티버스 휴대용 단말기 및 카메라 거치대
KR20190011034A (ko) * 2017-07-24 2019-02-01 한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 기반의 교육용 게임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0485866Y1 (ko) * 2017-11-28 2018-03-07 이경호 메뉴판이 구비되는 보조 전원 공급 장치
TWM564890U (zh) * 2018-02-09 2018-08-01 易健立 Dinosaur-style table lamp mobile phone or tablet storag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WM564890 U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3786B1 (ko) 박형 표시 장치 및 표시부의 제거 방법
US8598453B2 (en) Power strip hanging device and structure
USD886093S1 (en) Mobile device stand and cord holder combination
KR102177757B1 (ko) 분리형 전자기기 및 이에 사용되는 연결 장치
US7017871B2 (en) Electric appliance stand with simple telescopic support rod
KR102309732B1 (ko) 태블릿 거치대
US6307348B1 (en) Mounting stands for use with AC adapters
KR20150033835A (ko)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및 시스템
CN209587607U (zh) 数码产品夹持器连接头
CN205377390U (zh) 带支架可悬挂的手机充电装置
CN205490779U (zh) 一种蓝牙手机自拍杆
CN211295504U (zh) 多功能盒式收纳插座
CN102007898B (zh) 多功能蚊香架
KR20240105789A (ko)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
CN210345257U (zh) 一种组合式台灯
CN213484920U (zh) 一种折叠隐藏式伸缩支架
CN217951855U (zh) 升降支架与使用其的电子装置
KR200485571Y1 (ko) 사물 거치홈이 형성된 협탁
CN215476626U (zh) 一种带有安全防护结构的充电头收纳器
CN218603509U (zh) 一种便携式折叠手机支架
CN104691196A (zh) 一种多功能笔筒
CN220898209U (zh) 一种便携式写生画架
CN209879213U (zh) 一种可拆式云台相机
CN213213551U (zh) 小型伸缩三角手机支架
CN218124348U (zh) 一种多功能无线充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