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3190U -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3190U
KR20140003190U KR2020120010703U KR20120010703U KR20140003190U KR 20140003190 U KR20140003190 U KR 20140003190U KR 2020120010703 U KR2020120010703 U KR 2020120010703U KR 20120010703 U KR20120010703 U KR 20120010703U KR 20140003190 U KR20140003190 U KR 2014000319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upport plate
fastening
projecting support
folde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07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원영
Original Assignee
장원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원영 filed Critical 장원영
Priority to KR20201200107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3190U/ko
Publication of KR201400031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19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가 개시된다. 개시된 거치대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과 제 1 접힘부에 의해 연결된 제 1 돌출지지판; 상기 제 2 돌출지지판과 제 2 접힘부에 의해 연결된 제 2 돌출지지판; 상기 제 2 돌출지지판과 제 3 접힘부에 의해 연결된 바닥판; 상기 바닥판과 제 4 접힘부에 의해 연결된 각도조절판; 상기 각도조절판과 제 5 접힘부에 의해 연결된 체결판; 및, 상기 체결판을 상기 받침판 배면 일측에 부착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돌출지지판은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제 1 집힘부는 상기 바닥판에 접착되고, 상기 체결판이 상기 받침판에 부착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각도조절판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받침판의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 { SUPPORT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 }
본 고안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소정각도로 세워 놓을 수 있는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정보통신의 발달로 인해 휴대성을 높이면서도 다양한 기능을 가진 휴대용 전자기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로는 휴대폰, MP3 플레이어, PMP, PDA, 네비게이션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을 가능하도록 하는 스마트폰 뿐만 아니라, 일명 아이패드, 갤럭시 탭 등으로 제품화되어 판매되는 태블릿 PC가 개발되어 그 사용자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휴대용 전자기기는 디스플레이부가 일면에 형성되는 편명적인 구조로 인해 디스플레이부를 볼 수 있도록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일정 각도로 세운 상태에서 사용해야 하는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공보 20-2012-0004918호에는 일정각도로 휴대용 전자기기를 거치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케이스가 개시된다.
하지만,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공보 20-2012-0004918호에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단계별로 몇몇 각도로만 조절하여 거치할 수 있는 구조가 개시되기는 하나 사용자가 원하는 정밀각도조정은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휴대폰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의 구성이 형성되는 등,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가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정밀하게 각도조절하여 휴대용 전자기기를 거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조가 용이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전자기기를 거치하는 것은 물론, 독서대 기능을 겸할 수 있되,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책장을 넘길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과 제 1 접힘부에 의해 연결된 제 1 돌출지지판; 상기 제 2 돌출지지판과 제 2 접힘부에 의해 연결된 제 2 돌출지지판; 상기 제 2 돌출지지판과 제 3 접힘부에 의해 연결된 바닥판; 상기 바닥판과 제 4 접힘부에 의해 연결된 각도조절판; 상기 각도조절판과 제 5 접힘부에 의해 연결된 체결판; 및, 상기 체결판을 상기 받침판 배면 일측에 부착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돌출지지판은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제 1 집힘부는 상기 바닥판에 접착되고, 상기 체결판이 상기 받침판에 부착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각도조절판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받침판의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돌출지지판의 양측단에는 라운딩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받침판의 배면 일정 부분을 덮도록 설치되는 철판; 및, 상기 체결판에 설치되어, 상기 철판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자석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받침판의 배면 일정 부분을 덮도록 설치되는 제 1 밸크로; 및, 상기 체결판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벨크로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벨크로;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받침판의 배면 일정 부분을 덮도록 설치되며, 다수의 톱니가 상하방향으로 수평되게 형성되는 톱니판; 상기 체결판에 설치되어, 상기 다수의 톱니 중 하나에 삽입되는 돌기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받침판, 상기 제 1 돌출지지판, 상기 제 2 돌출지지판, 상기 바닥판, 상기 각도조절판 및 상기 체결판은 모두 동일한 폭을 가지며, 일렬로 순차적으로 연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판, 상기 제 1 돌출지지판, 상기 제 2 돌출지지판, 상기 바닥판, 상기 각도조절판 및 상기 체결판은 각각에 대응되는 내판들이 서로 이격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내판들에 외피를 접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바 대로 정밀한 각도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휴대용 전자기기를 가장 보기 편한 각도로 조절해 놓고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 뿐 아니라, 독서대를 겸할 수 있으며, 독서대 기능으로 사용시, 책의 하단을 지지하는 부분의 양 끝단이 라운딩 처리되어, 책장을 넘기는 것이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거치대의 보관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거치대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거치대의 각도 조절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1)를 설명한다.
거치대(1)는 받침판(10), 제 1 돌출지지판(20), 제 2 돌출지지판(30), 바닥판(40), 각도조절판(50) 및, 체결판(60) 및 고정수단(71,73)을 포함한다.
각 판(10,20,30,40,50,60)들은 동일한 두께 및 폭을 가지고, 순차적으로 일렬로 배치되며, 이웃하는 각판들은 각각의 접힘부(82,83,84,85,86)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제 1 돌출지지판(20)과 제 2 돌출지지판(30)은 바닥판(4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제 1 접힘부(82)가 바닥판(40)에 접착되어, 제 1 돌출지지판(20), 제 2 돌출지지판(30) 및, 바닥판(40)은 상호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 상태가 된다. 또한, 받침판(10)은 제 1 접힘부(82)에 의해 제 2 돌출지지판(30)에 접철가능하고, 각도 조절판(50)은 제 4 접힘부(85)에 의해 바닥판(40)에 접철가능하며, 체결판(60)은 제 5 접힘부(86)에 의해 각도조절판(50)에 접철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거치대(1) 사용시, 도 1과 같이, 각도 조절판(50)을 구부려 받침판(10)을 지지해 줌으로써, 받침판(10)을 일정각도로 세워 놓고, 받침판(10)에 태블릿 PC와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를 올려놓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거치대(1)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 2와 같이 바닥판(40), 각도조절판(50) 및 체결판(60)을 직선되게 펼친후, 받침판(10)에 포개서 보관할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은 바닥판(40), 각도조절판(50), 체결판(60)의 길이의 합이 구부려진 제 1 및 제 2 돌출지지판(20,30)과 받침판(10)의 길이합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수단(71,73)은 체결판(60)을 받침판(10)의 배면에 부착시키기 위한 수다으로서, 철판(71)과 자석(73)을 포함한다 .
철판(71)의 받침판(10)의 배면을 덮도록 부착 설치되고, 자석(73)은 체결판(60)의 전면을 덮도록 고정설치된다.
이때, 체결판(60)의 길이는 받침판(10)에 비해 매우 작으며, 이에 대응하여 자석(73)도 철판(71)에 비해 매우 작은 길이를 나타낸다.
따라서, 자석(73)이 철판(71)에 붙는 부위를 달리 함으로써, 각도 조절판(50)이 받침판(10)을 지지해주는 위치를 변경시켜 줌으로써, 바닥판(40)에 대한 받침판(10)의 각도를 미세하게 조절해 줄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철판(71)이 받침판(10)에 설치되고, 자석(73)이 체결판(60)에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석을 넓게 구성하여 받침판(10)에 설치하고, 철판을 작게 구성하여 체결판(86)에 설치하여 체결판(86)이 받침판(10)에 부착되는 위치를 조정하으로써, 받침판(10)의 각도를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두 부재가 모두 자석으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받침판(10), 제 1 돌출지지판(20), 제 2 돌출지지판(30), 바닥판(40), 각도조절판(50), 체결판(60)은 각 판에 해당되는 내판(P1,P2,P3,P4,P5,P6)들을 서로 이격되게 배치하고, 그 외표면을 가죽이나 천 또는 인공 가죽으로 된 외피를 접착하여 구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본 고안의 거치대(10)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여 제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거치대(1)는 제 1 돌출판(20)에 책의 하단을 지지시켜 놓고 독서대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거치대(1)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돌출지지부(20)와 제 2 돌출지지부(30)의 양 측단이 곡면 처리되어 라운딩부(23,33)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책장을 넘길 때, 제 1 및 제 2 돌출부(20)의 양단에 손이 걸리지 않아 보다 쉽게 책장을 넘길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거치대(1)는 받침판(10)의 상부 전면에 클립(18)이 설치되어 있어, 서류 용지를 꽂아 사용할 수 있어,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기능 이외에도 통상의 사무용 클립보드 기능을 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1')를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거치대(1')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거치대(1)에 비해, 고정수단의 구성에 있어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거치대(1')의 고정수단(91,95)은 톱니판(91)과 돌기(95)를 포함한다.
톱니판(91)은 받침판(10)의 배면을 덮도록 설치되며, 톱니판(91)의 후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수평되게 다수의 톱니가 형성된다.
돌기(95)는 체결판(60)의 전면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톱니판(91)에 형성된 다수의 톱니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톱니판(91)의 톱니에 삽입되는 돌기(95)의 위치를 조절해 줌으로써, 받침판(10)의 경사도를 정밀하게 조절해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받침판(10)의 배면에 제 1 벨크로를 설치하고, 체결판(60)의 전면에 제 2 벨크로를 부착하여, 상기 제 2 벨크로가 상기 제 1 벨크로에 부착되는 위치를 조절해 줌으로써, 받침판(10)의 경사도를 정밀하게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받침판
20...제 1 돌출지지판
30...제 2 돌출지지판
40...바닥판
50...각도조절판
60...체결판
71...철판
73...좌석
91...톱니판
95...돌기

Claims (7)

  1. 받침판;
    상기 받침판과 제 1 접힘부에 의해 연결된 제 1 돌출지지판;
    상기 제 2 돌출지지판과 제 2 접힘부에 의해 연결된 제 2 돌출지지판;
    상기 제 2 돌출지지판과 제 3 접힘부에 의해 연결된 바닥판;
    상기 바닥판과 제 4 접힘부에 의해 연결된 각도조절판;
    상기 각도조절판과 제 5 접힘부에 의해 연결된 체결판; 및,
    상기 체결판을 상기 받침판 배면 일측에 부착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돌출지지판은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제 1 집힘부는 상기 바닥판에 접착되고,
    상기 체결판이 상기 받침판에 부착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각도조절판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받침판의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돌출지지판의 양측단에는 라운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받침판의 배면 일정 부분을 덮도록 설치되는 철판; 및,
    상기 체결판에 설치되어, 상기 철판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받침판의 배면 일정 부분을 덮도록 설치되는 제 1 밸크로;
    상기 체결판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벨크로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벨크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받침판의 배면 일정 부분을 덮도록 설치되며, 다수의 톱니가 상하방향으로 수평되게 형성되는 톱니판;
    상기 체결판에 설치되어, 상기 다수의 톱니 중 하나에 삽입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 상기 제 1 돌출지지판, 상기 제 2 돌출지지판, 상기 바닥판, 상기 각도조절판 및 상기 체결판은 모두 동일한 폭을 가지며, 일렬로 순차적으로 연결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 상기 제 1 돌출지지판, 상기 제 2 돌출지지판, 상기 바닥판, 상기 각도조절판 및 상기 체결판은 각각에 대응되는 내판들이 서로 이격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내판들에 외피를 접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KR2020120010703U 2012-11-21 2012-11-21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 KR2014000319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703U KR20140003190U (ko) 2012-11-21 2012-11-21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703U KR20140003190U (ko) 2012-11-21 2012-11-21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190U true KR20140003190U (ko) 2014-05-29

Family

ID=52444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0703U KR20140003190U (ko) 2012-11-21 2012-11-21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3190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0526A3 (ko) * 2014-10-16 2016-06-09 이정용 스마트폰 거치대
KR20200020331A (ko) * 2018-08-17 2020-02-26 한성기 클립보드
KR20210001624U (ko) * 2020-01-03 2021-07-14 모프트 인크 접이식 휴대용장치 지지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0526A3 (ko) * 2014-10-16 2016-06-09 이정용 스마트폰 거치대
KR20200020331A (ko) * 2018-08-17 2020-02-26 한성기 클립보드
KR20210001624U (ko) * 2020-01-03 2021-07-14 모프트 인크 접이식 휴대용장치 지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6567B2 (en) Holding aid for a personal, hand-held, tablet-shaped device and methods of use
US8783641B2 (en) Foldable supporting bracket for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JP3182771U (ja) 保護シース
TWI498866B (zh) Multi-directional support structure of flat panel display device
US20130079066A1 (en) Mobile Device Support System, Apparatus and Method
KR20110058633A (ko) 휴대용 접이식 독서대
US20160377220A1 (en) Support plate
CN102052546A (zh) 手持设备的固定支架
US20140165366A1 (en) Universal mounting and support system for electronic devices
TWM496791U (zh) 可定位之升降支架結構
KR20140003190U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
TW201332355A (zh) 平板式顯示裝置之支撐架結構
WO2016045549A1 (zh) 保护套
CN210716803U (zh) 一种可折叠的笔记本支架
KR200463477Y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 겸용 케이스
JP2013070305A (ja) 携帯型情報端末用保持台および卓上電話機
KR101676960B1 (ko) 노트북 거치대 겸용 마우스 보드
CN202302617U (zh) 一种电子产品底座
US20100001146A1 (en) Stand Device
CN210319136U (zh) 翻折式置物架
KR20130001044U (ko) 탁상용 캘린더
CN204104239U (zh) 具可调式支撑件的壳体
CN211184013U (zh) 一种电子设备支架
US9816664B2 (en) Support for electronic device
CN107463203B (zh) 一种终端配件及终端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