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477Y1 -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 겸용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 겸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477Y1
KR200463477Y1 KR2020100013497U KR20100013497U KR200463477Y1 KR 200463477 Y1 KR200463477 Y1 KR 200463477Y1 KR 2020100013497 U KR2020100013497 U KR 2020100013497U KR 20100013497 U KR20100013497 U KR 20100013497U KR 200463477 Y1 KR200463477 Y1 KR 2004634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ortable electronic
electronic device
folding guid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34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4918U (ko
Inventor
김권일
서채원
Original Assignee
서채원
김권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채원, 김권일 filed Critical 서채원
Priority to KR20201000134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477Y1/ko
Publication of KR201200049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9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4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4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3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e.g. laptop, tablet, netbook, game boy, navigation system, calcul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5Articles convertible into a stand, e.g. for displaying purposes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전자기기가 상면에 안착되는 제 1 커버와, 제 1 커버 상에 마련되며, 휴대용 전자기기를 제 1 커버 상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제 1 커버에 연결되어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되고, 폭방향에 경사지도록 접힘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접힘가이드부를 기준으로 접혀서 제 1 커버에 지지됨으로써 제 1 커버와의 각도를 유지하는 지지부가 마련되는 제 2 커버와, 제 1 커버에 지지부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도록 마련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도록 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 겸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아이패드 등의 태블릿 PC나 스마트폰 등을 비롯한 다양한 휴대용 전자기기에 쉽게 장착할 수 있고, 외부의 충격이나 스크래치로부터 휴대용 전자기기를 보호할 수 있으며, 휴대용 전자기기를 일정 각도로 거치할 수 있고,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가로보기와 세로보기의 방향 전환에 따라 거치 방향 및 각도를 쉽게 전환시킬 수 있으며, 제작을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제조 비용이 저렴하면서, 가로보기와 세로보기의 거치 각도를 다단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 겸용 케이스{Stand-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본 고안은 아이패드 등의 태블릿 PC나 스마트폰 등을 비롯한 다양한 휴대용 전자기기에 쉽게 장착할 수 있고, 외부의 충격이나 스크래치로부터 휴대용 전자기기를 보호하며, 용이하고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고,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 방향과 각도를 쉽게 바꿀 수 있도록 거치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 겸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정보 통신의 발달로 인해 휴대성을 높이면서도 다양한 기능을 가진 휴대용 전자기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로는 휴대폰, MP3 플레이어, PMP, PDA, 네비게이션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을 가능하도록 하는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일명 아이패드, 갤럭시 탭 등으로 제품화되어 판매되는 태블릿 PC가 개발되어 그 사용자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아이패드 등의 태블릿 PC나 스마트폰 등을 비롯한 휴대용 전자기기는 휴대의 편의성과 동작의 편의성을 위하여 디스플레이부가 대부분 터치 패널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디스플레이부가 항시 개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용자는 외관을 보호하기 위하여 합성수지나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진 보호 케이스를 제품에 착용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디스플레이부의 보호를 위하여 보호 필름을 부착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스크래치 등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아이패드를 포함한 휴대용 전자기기는 디스플레이부가 일면에 형성되는 평면적인 구조로 인해 디스플레이부를 볼 수 있도록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거치시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하였으며, 보호 케이스만으로는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거치대 기능을 가진 케이스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제품들은 가로방향이나 세로방향의 한 방향 거치만을 지원하거나, 각도 조절 기능이 없는 제품이며, 구조의 복잡함으로 인해 제작에 따른 어려움과 제작 비용의 증가를 초래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아이패드 등의 태블릿 PC나 스마트폰 등을 비롯한 다양한 휴대용 전자기기에 쉽게 장착할 수 있고, 외부의 충격이나 스크래치로부터 휴대용 전자기기를 보호하며, 휴대용 전자기기를 일정 각도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하고,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가로보기와 세로보기의 방향 전환에 따라 거치 방향을 쉽게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제작을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제조 비용이 저렴하면서, 가로보기와 세로보기의 거치 각도를 다단계로 각각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르면, 휴대용 전자기기의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가 상면에 안착되는 제 1 커버와, 상기 제 1 커버에 마련되며,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상기 제 1 커버 상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제 1 커버에 연결되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되고, 폭방향에 경사지도록 접힘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접힘가이드부를 기준으로 접혀서 상기 제 1 커버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제 1 커버와의 각도를 유지하는 지지부가 마련되는 제 2 커버와, 상기 제 1 커버에 상기 지지부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도록 마련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 겸용 케이스가 제공된다.
상기 제 1 커버와 상기 제 2 커버 사이에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를 확보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1 커버와 경계부위와 상기 제 2 커버와의 경계부위가 각각 접히도록 하는 연결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 1 커버에 전후로 나란하게 설치되며,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단과 후단을 각각 고정시키는 제 1 밴드와, 상기 제 1 커버에 좌우로 나란하게 설치되며,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양측단을 각각 고정시키는 제 2 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밴드 중에서 어느 하나는 신축이 가능한 탄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는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접힘가이드부는 상기 제 2 커버의 끝단으로부터 양쪽 측부로 연장되도록 각각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접힘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접힘가이드부에 의해 각각 접힘과 아울러 삼각형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및 제 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부의 모서리가 상기 체결부에 의해 상기 제 1 커버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접힘가이드부는, 상기 제 2 커버의 끝단 중심을 벗어난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커버의 양측 모서리까지 서로 상이한 기울기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부가 서로 상이한 형상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 1 커버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 1 체결부재와, 상기 제 1 체결부재에 각각 선택적으로 체결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부의 모서리마다 설치되는 제 2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모서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휨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체결부재가 설치되는 연장부재와, 상기 제 1 커버의 저면에서 끝단의 양측 모서리 부위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체결부재에 각각 체결되는 제 3 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 겸용 케이스에 의하면, 아이패드 등의 태블릿 PC나 스마트폰 등을 비롯한 다양한 휴대용 전자기기에 쉽게 장착할 수 있고, 외부의 충격이나 스크래치로부터 휴대용 전자기기를 보호할 수 있으며, 휴대용 전자기기를 일정 각도로 거치할 수 있고,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가로보기와 세로보기의 방향 전환에 따라 거치 방향 및 각도를 쉽게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 겸용 케이스에 의하면, 제작을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제조 비용이 저렴하면서, 가로보기와 세로보기의 거치 각도를 다단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 겸용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 겸용 케이스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 겸용 케이스의 다양한 사용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 겸용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 겸용 케이스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 겸용 케이스(100)는 휴대용 전자기기가 상면에 안착되는 제 1 커버(110)와, 제 1 커버(110)에 마련되는 고정부(120)와, 제 1 커버(110)에 연결되는 제 2 커버(130)와, 제 1 커버(110)와 제 2 커버(130)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체결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 겸용 케이스(100)는 일면, 예컨대 상면에 LCD, 유기 EL 패널 등의 디스플레이부가 마련되는 휴대폰, MP3 플레이어, PMP, PDA, 네비게이션,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고, 적용되는 제품에 상응하는 규격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용 전자기기로서 아이패드(1)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커버(110)는 아이패드(1)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나 재질로 제작되고, 일측에 제 2 커버(130)가 일체를 이루도록 연결된다.
고정부(120)는 아이패드(1)를 제 1 커버(110) 상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데, 이를 위해 밴드, 고리, 클램프, 그 밖의 다양한 착탈부재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처럼 제 1 커버(110) 상에 전후로 나란하게 설치됨으로써 아이패드(1)의 전단과 후단을 각각 고정시키는 제 1 밴드(121)와, 제 1 커버(110) 상에 좌우로 나란하게 설치됨으로써 아이패드(1)의 양측단을 각각 고정시키는 제 2 밴드(12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밴드(121,122)가 아이패드(1)를 전후 및 좌우로 각각 고정시킴으로써 아이패드(1)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킨다.
제 1 및 제 2 밴드(121,122)는 아이패드(1)의 장착에 편리하도록 제 1 및 제 2 밴드(121,122) 중에서 어느 하나는 신축이 가능한 탄성을 가진 재질, 예컨대 내부에 고무재질의 와이어가 마련되는 부재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는 벨크로 테이프(123a,123b)에 의해 서로 체결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밴드(121)는 신축이 가능한 밴드로, 제 2 밴드(122)는 벨크로 테이프(123a,123b)를 가진 밴드로 이루어짐을 예로 들었으나, 이와 반대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 2 커버(130)는 제 1 커버(110)로부터 전후로 접히도록 마련되는데, 제 1 커버(110)로부터 일측으로 접힘으로써 휴대용 전자기기인 아이패드(1)의 디스플레이부(2)를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되고, 제 1 커버(110)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접힘으로써 디스플레이부(2)를 개방시키게 된다. 또한, 제 2 커버(130)는 폭방향에 경사지도록 접힘가이드부(131,132)가 형성되며, 접힘가이드부(131,132)를 기준으로 접혀서 제 1 커버(110)에 지지되어 제 1 커버(110)와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지지부(133,134)가 마련된다.
접힘가이드부(131,132)는 단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제 1 커버(110)와 제 2 커버(130)와의 각도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도록 다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처럼 제 2 커버(130)의 끝단(135)으로부터 양쪽 측부로 연장되도록 각각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접힘가이드부(131,13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33,134)는 제 1 및 제 2 접힘가이드부(131,132)에 의해 각각 접힘과 아울러 삼각형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및 제 2 지지부(133,134)를 포함하고, 제 1 및 제 2 지지부(133,134)의 모서리가 체결부(140)에 의해 제 1 커버(11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 1 및 제 2 접힘가이드부(131,132)의 형성 방향이나 형성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제 1 및 제 2 지지부(133,134)가 각기 다른 형상의 삼각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 1 및 제 2 지지부(133,134)가 제 1 커버(110)를 각각 지지할 때마다 제 1 커버(110)와 제 2 커버(130)가 이루는 각도를 달리하도록 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접힘가이드부(131,132)는 본 실시예에서처럼 제 2 커버(130)의 끝단(135) 중심을 벗어난 위치로부터 제 2 커버(130)의 양측 모서리까지 서로 상이한 기울기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제 1 및 제 2 지지부(133,134)가 서로 상이한 형상, 예컨대 이등변삼각형과 직각삼각형을 각각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제 2 커버(130)는 제 1 커버(110)와 동일한 재질 또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단일부재로 이루어지거나, 직물, 가죽, 합성수지 등의 외피 내부에 보강부재가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 2 커버(130)는 단일부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두께의 감소에 의해 제 1 및 제 2 접힘가이드부(131,13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외피와 보강부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보강부재가 분할됨으로써 보강부재 사이에 제 1 및 제 2 접힘가이드부(131,13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접힘가이드부(131,132)는 접힘을 보다 쉽게 가이드하기 위하여 실로 박음질될 수도 있다.
제 1 커버(110)와 제 2 커버(130) 사이에는 연결패널(150)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패널(150)은 아이패드(1)의 두께를 확보하도록 마련되고, 제 1 커버(110)와의 경계부위와 제 2 커버(130)와의 경계부위가 각각 접히도록 한다.
체결부(140)는 제 1 커버(110)에 지지부(133,134)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도록 마련되는데, 지지부(133,134)가 본 실시예에서처럼 다수로 이루어지는 경우 지지부(133,134)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제 1 커버(11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체결부(140)는 일례로 제 1 커버(110)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 1 체결부재(141)와, 제 1 체결부재(141)에 각각 선택적으로 체결되도록 제 1 및 제 2 지지부(133,134)의 모서리마다 설치되는 제 2 체결부재(14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체결부재(141)는 아이패드(1)가 거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 1 및 제 2 지지부(133,134) 각각이 제 1 커버(110)를 지지하기에 적정한 위치에 설치되되, 제 1 및 제 2 지지부(133,134)가 삼각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접힐 때 이들의 모서리가 제 1 커버(110)에서 거의 동일한 부분을 지지하는 점을 감안하여, 단일로 이루어짐으로써 제 2 체결부재(142)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체결부(140)는 제 1 및 제 2 지지부(133,134)의 모서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제 2 체결부재(142)가 설치되는 연장부재(143)와, 제 1 커버(110)의 저면에서 끝단의 양측 모서리 부위에 설치되는 제 3 체결부재(1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재(143)는 제 2 체결부재(142)가 제 1 체결부재(141)에 쉽게 체결될 수 있는 여유를 제공하며, 이를 위해 휨이 가능한 재질, 예컨대 직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3 체결부재(144)는 제 2 체결부재(142)에 각각 체결됨으로써 제 2 커버(130) 전체가 제 1 커버(110)에 고정되도록 한다.
제 1 내지 제 3 체결부재(141,142,144)는 본 실시예에서처럼 암수로 이루어져서 서로 체결되는 스냅 단추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벨크로 테이프나 후크 및 고리 등의 다양한 체결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 겸용 케이스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아이패드(1)를 거치하지 아니하고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밴드(121,122)를 이용하여 제 1 커버(110) 상에 고정시킨 다음, 제 2 커버(130)를 뒤로 젖힘으로써 디스플레이부(2)의 사용을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제 2 체결부재(142; 도 1에 도시) 각각을 제 3 체결부재(144; 도 2에 도시)마다 체결시킴으로써 제 2 커버(130)가 원하지 않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아이패드(1)를 휴대하고자 하는 경우 제 2 체결부재(142)를 제 3 체결부재(144)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제 2 커버(130)를 접어서 아이패드(1)의 디스플레이부(2)를 덮고, 제 2 체결부재(142; 도 1에 도시)를 다시 제 3 체결부재(144; 도 2에 도시)에 체결함으로써 제 2 커버(130)가 펼쳐지지 않도록 한다.
아이패드(1)의 거치가 필요한 경우, 특히 아이패드(1)를 가로보기가 가능하도록 거치하고자 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지지부(133)를 제 1 접힘가이드부(131)를 기준으로 접어서 제 2 체결부재(142)를 제 1 체결부재(141; 도 2에 도시)에 체결시키면, 아이패드(1)가 고정된 제 1 커버(110)와 지면에 놓이는 제 2 커버(130)의 각도를 제 1 지지부(133)가 유지시킴으로써 아이패드(1)의 거치를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지지부(133)보다 작은 밑변을 가지는 제 2 지지부(134)를 제 2 접힘가이드부(132)에 의해 접히도록 하여 제 1 커버(110)를 지지하게 되면, 아이패드(1)와 지면이 이루는 각도가 도 4에서보다 작아지도록 할 수 있다.
아이패드(1)를 세로보기가 가능하도록 거치하고자 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지지부(133)를 제 1 접힘가이드부(131)를 기준으로 접어서 제 2 체결부재(142)를 제 1 체결부재(141; 도 2에 도시)에 체결시킨 다음, 제 1 접힘가이드부(131)가 지면에 지지되도록 하면, 제 1 커버(110)에 장착된 아이패드(1)가 지면에 경사지도록 거치된다. 이때, 제 2 지지부(134)의 가장자리 부분을 지면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아이패드(1)가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상태에서 상하로 뒤집어서 제 1 접힘가이드부(131)에 비하여 기울기가 큰 제 2 접힘가이드부(132; 도 6에 도시)가 지면에 지지되도록 하면, 아이패드(1)를 지면과 이루는 각도가 도 6에서보다 크게 거치되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 겸용 케이스(100)는 상기한 바와 같은 방식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아이패드(1)를 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 겸용 케이스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 아이패드 2 : 디스플레이부
110 : 제 1 커버 120 : 고정부
121 : 제 1 밴드 122 : 제 2 밴드
123a,123b : 벨크로 테이프 130 : 제 2 커버
131,132 : 접힘가이드부 133,134 : 지지부
135 : 끝단 140 : 체결부
141 : 제 1 체결부재 142 : 제 2 체결부재
143 : 연장부재 144 : 제 3 체결부재
150 : 연결패널

Claims (8)

  1. 휴대용 전자기기의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가 상면에 안착되는 제 1 커버;
    상기 제 1 커버에 마련되며,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상기 제 1 커버 상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
    상기 제 1 커버에 연결되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되고, 폭방향에 경사지도록 접힘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접힘가이드부를 기준으로 접혀서 상기 제 1 커버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제 1 커버와의 각도를 유지하는 지지부가 마련되는 제 2 커버; 및
    상기 제 1 커버에 상기 지지부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도록 마련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 겸용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버와 상기 제 2 커버 사이에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를 확보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1 커버와 경계부위와 상기 제 2 커버와의 경계부위가 각각 접히도록 하는 연결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 겸용 케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 1 커버에 전후로 나란하게 설치되며,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단과 후단을 각각 고정시키는 제 1 밴드; 및
    상기 제 1 커버에 좌우로 나란하게 설치되며,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양측단을 각각 고정시키는 제 2 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 겸용 케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밴드 중에서 어느 하나는 신축이 가능한 탄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는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서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 겸용 케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가이드부는 상기 제 2 커버의 끝단으로부터 양쪽 측부로 연장되도록 각각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접힘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접힘가이드부에 의해 각각 접힘과 아울러 삼각형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및 제 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부의 모서리가 상기 체결부에 의해 상기 제 1 커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 겸용 케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접힘가이드부는,
    상기 제 2 커버의 끝단 중심을 벗어난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커버의 양측 모서리까지 서로 상이한 기울기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부가 서로 상이한 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 겸용 케이스.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 1 커버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 1 체결부재; 및
    상기 제 1 체결부재에 각각 선택적으로 체결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부의 모서리마다 설치되는 제 2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 겸용 케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모서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휨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체결부재가 설치되는 연장부재; 및
    상기 제 1 커버의 저면에서 끝단의 양측 모서리 부위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체결부재에 각각 체결되는 제 3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 겸용 케이스.
KR2020100013497U 2010-12-28 2010-12-28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 겸용 케이스 KR2004634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3497U KR200463477Y1 (ko) 2010-12-28 2010-12-28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 겸용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3497U KR200463477Y1 (ko) 2010-12-28 2010-12-28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 겸용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918U KR20120004918U (ko) 2012-07-06
KR200463477Y1 true KR200463477Y1 (ko) 2012-11-05

Family

ID=46853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3497U KR200463477Y1 (ko) 2010-12-28 2010-12-28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 겸용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47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71585A1 (en) * 2013-04-15 2014-10-23 Cho Sung-Sil The frame and cell phone cover that consists of horizontal and vertical prop system
KR101608931B1 (ko) 2015-10-07 2016-04-04 주식회사 스칸 모바일 단말기 거치용 스탠딩 케이스
KR20200000843U (ko) 2018-10-18 2020-04-28 김한신 거울을 구비한 모바일 기기 거치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334B1 (ko) * 2018-08-10 2019-08-30 장전주오 복수의 기능을 포함하는 케이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938Y1 (ko) 2005-12-16 2006-03-15 주식회사 현원 이동통신단말기용 케이스
KR200447424Y1 (ko) 2008-02-22 2010-01-25 김종호 지지대가 구비된 이중 체결 구조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938Y1 (ko) 2005-12-16 2006-03-15 주식회사 현원 이동통신단말기용 케이스
KR200447424Y1 (ko) 2008-02-22 2010-01-25 김종호 지지대가 구비된 이중 체결 구조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71585A1 (en) * 2013-04-15 2014-10-23 Cho Sung-Sil The frame and cell phone cover that consists of horizontal and vertical prop system
KR101608931B1 (ko) 2015-10-07 2016-04-04 주식회사 스칸 모바일 단말기 거치용 스탠딩 케이스
KR20200000843U (ko) 2018-10-18 2020-04-28 김한신 거울을 구비한 모바일 기기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918U (ko) 201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82771U (ja) 保護シース
US8887910B2 (en) Low profile protective cover configurable as a stand
JP3174558U (ja) 多機能保護ケース
EP2757438B1 (en) An electronic device case
US9033147B2 (en)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2955514B (zh) 折叠式盖体
US20140224676A1 (en) Low profile protective cover configurable as a stand with integrated battery
US8973795B2 (en) Multifunctional strap system for handheld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20130140194A1 (en) Protective cover unfolding and positioning device
EP2438829B1 (en) Protection cover for portable terminal
US7735644B2 (en) Case for electrical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US9306612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holder
US20140216954A1 (en) Case for electrical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US9671057B2 (en) Support plate
KR20110011211U (ko) 개량된 보호커버
WO2011146575A2 (en) Combination protective case and stand for a tablet device and keyboard
US20140166505A1 (en)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463477Y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 겸용 케이스
US9235230B1 (en) Magnetic stand, mount and cord wrap for mobile devices and accessories
US20140197048A1 (en) Multiple orientation support for electronic device with touch screen and method
US20140197049A1 (en) Support from leg of user for electronic device or tablet computer and method
US20130284866A1 (en)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WO2016045549A1 (zh) 保护套
JP2017068732A (ja) カバースタンド及びカバースタンド付き携帯用情報機器
KR200459667Y1 (ko)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